KR200426975Y1 -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 Google Patents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6975Y1
KR200426975Y1 KR2020060017664U KR20060017664U KR200426975Y1 KR 200426975 Y1 KR200426975 Y1 KR 200426975Y1 KR 2020060017664 U KR2020060017664 U KR 2020060017664U KR 20060017664 U KR20060017664 U KR 20060017664U KR 200426975 Y1 KR200426975 Y1 KR 20042697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rame
hinge shaft
rotatably coupled
coupled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766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호
Original Assignee
이재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호 filed Critical 이재호
Priority to KR202006001766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697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697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697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2Endless track vehicles with tracks and additional ground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다양한 작업장소에 용이하게 접근하여 작업이 가능하고 신속하게 정확하게 아웃트리거의 회전각도가 조절되고 안정되게 바닥에 지지되도록, 무한궤도를 이용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는 차량과, 차량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베이스프레임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쪽 끝부분에는 탑승함이 연결되는 크레인 본체와, 베이스프레임의 전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장치와, 베이스프레임에 회전장치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아웃트리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을 제공한다.
크레인, 운반, 이동, 무한궤도, 주행, 탑승함, 아웃트리거, 회전, 유압실린더

Description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Caterpillar Traveling Type Crane}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크레인 본체의 탑승함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회전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회전장치를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아웃트리거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설치상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의 일실시예를 차량에 운반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의 일실시예를 차량에 싣거나 내리기 위한 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장소에 용이하게 접근하여 안정적으로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고 차량을 통한 운반이 간편하게 행해지도록 구성한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크레인은 하물(荷物)을 들어올려서 상하 및 좌우, 전후로 운반할 때 주로 사용되는 기계장치로서, 중량물을 운반하거나 높은 장소로 하물을 운반하는 등의 작업을 행하는 경우 매우 유용하다.
상기 크레인은 과거에는 주로 작업장소에 고정식으로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이 경우 여러 가지 불편함이 따르고 활용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최근에는 작업장소로 직접 이동하여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주행식 크레인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주행식 크레인에 있어서는 특히, 높은 곳에서 안전하고 편리하게 작업을 할 수 있고 기동성이 있으므로 건물의 내외부 비계공사, 전기통신설비의 가설 및 유지보수공사, 교량의 점검 및 보수공사 등의 경우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되는 고소작업차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고소작업차는 트럭 등 화물차량과, 상기 화물차량의 섀시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장착되는 크레인 본체와, 안정되게 바닥에 지지된 상태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앞뒤에 설치되는 아웃트리거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크레인 본체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지지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신축가능하도록 다수의 강관을 안테나식으로 결합시킨 다단붐과, 상기 다단붐의 끝부분에 설치되는 탑승함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고소작업차는 비탈길이나 급경사, 건물 내부 등과 같은 장소에서 하물의 운반이나 고소작업 등을 행하게 되는 경우, 접근이 불가능하거나 안정적인 지지가 이루어지지 않는 것에 의하여 사용이 불가능한 경우가 많이 발생하므로,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주행이 이루어지면서 안정적으로 작업을 행할 수 있는 이동식 크레인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다양한 작업장소에 용이하게 접근이 가능하도록 무한궤도를 이용하여 주행이 이루어지고 신속하고 정확하게 아웃트리거를 통하여 바닥에 지지가 이루어지며 차량에 실고 운반하는 작업이 아웃트리거에 의하여 용이하게 행해지는 것이 가능한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이 제안하는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은 무한궤도를 이용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는 차량과, 상기 차량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쪽 끝부분에는 탑승함이 연결되는 크레인 본체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장치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상기 회전장치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아웃트리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크레인 본체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접철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접철되고 다단으로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연장붐이 결합되는 신축붐과, 상기 신축붐의 마지막 연장붐에 한쪽 끝부분이 고정되고 하부에 도르래가 설치되는 "ㄴ"형상의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다른쪽 끝부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받침대와, 회전받침대의 상부에 설치되는 탑승함과, 상기 연결대의 한쪽 끝부분 상부와 상기 회전받침대의 상부를 각각 연결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후방 양측 끝부분에서 한쪽 끝부분이 베이스프레임에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수평연결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후방 끝부분에서 1쌍이 서로 교차하여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과 아웃트리거에 양쪽 끝부분이 1쌍의 힌지축을 이용하여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아웃트리거는 상기 수평연결대의 다른쪽 끝부분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제1힌지축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제1수직회전대와, 상기 제1수직회전대의 다른쪽 끝부분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도록 제2힌지축을 이용하여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에는 받침판이 설치되는 제2수직회전대와, 상기 수평연결대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축과 소정거리 떨어진 위쪽 지점에 한쪽 끝부분이 제3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제1수직회전대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축과 소정거리 떨어진 위쪽 지점에 제4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유압실린더와, 상기 제1수직회전대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축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지점에 한쪽 끝부분이 제5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수직회전대에 있어서 상기 제3힌지축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지점에 한쪽 끝부분이 제6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수직회전대는 대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제1수직회전대의 다른쪽 끝부분에 제2힌지축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절곡대와, 상기 절곡대의 다른쪽 끝부분에 한쪽 끝부분이 고정되고 2단으로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연장붐대가 결합되고 상기 연장붐대에는 받침판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축붐대와, 상기 절곡대의 다른쪽 끝부분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신축붐대의 연장붐대와 피스톤로드가 연결되는 신축유압실린더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고안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크레인 본체의 신축붐 및 연결대에 도르래를 통하여 와이어로프가 매달리도록 이루어지는 윈치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본 고안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고안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의 일실시예는 도 1~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한궤도(20)를 이용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는 차량(10)과, 상기 차량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4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40) 상부에 설치되는 크레인 본체(6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60)의 전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회전장치(10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60)에 상기 회전장치(100)를 통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복수의 아웃트리거(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차량(10)에 있어서 무한궤도(20)는 일반적으로 포크레인이나 불도저 등의 건설기계나 전차, 장갑차 등에 널리 사용되는 무한궤도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4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략 사각판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량(10)의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크레인 본체(6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4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기둥프레임(62)과, 상기 기둥프레임(62)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접철유압실린더(64)에 의하여 접철되고 다단으로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연장붐(68)이 결합되는 신축붐(66)과, 상기 신축붐(66)의 마지막 연장붐(68)에 설치되고 탑승함(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크레인 본체(60)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신축붐(66)의 마지막 연장붐(68)에 한쪽 끝부분이 고정되고 하부에 와이어로프(96)를 걸 수 있도록 도르래(72)가 설치되는 "ㄴ"형상의 연결대(70)와, 상기 연결대(70)의 다른쪽 끝부분에 힌지축(75)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탑승함(80)이 설치되는 회전받침대(74)와, 상기 연결대(70)의 한쪽 끝부분과 상기 회전받침대(74)에 힌지축(77)을 이용하여 양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압실린더(7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탑승함(80)에는 작업자가 탑승하여 작업을 수행하거나 물품의 운반이 행해지게 된다.
상기 크레인 본체(60)는 일반적으로 이동식 크레인에 널리 사용되는 크레인 본체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회전장치(100)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60)의 전후방 양측 끝부분에서 한쪽 끝부분이 베이스프레임(60)에 힌지축(120)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수평연결대(110)와, 상기 베이스프레임(60)의 전후방 끝부분에서 1쌍이 서로 교차하여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60)과 아웃트리거(200)에 양쪽 끝부분이 1쌍의 힌지축(170)을 이용하여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압실린더(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수평연결대(11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40)의 판면방향으로 대략 90도 정도의 범위내에서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아웃트리거(200)는 도 1~도 3 및 도 6,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수평연결대(110)의 다른쪽 끝부분에 한쪽 끝부분이 제1힌지축(212)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수직회전대(210)와, 상기 제1수직회전대(210)의 다른쪽 끝부분에 한쪽 끝부분이 제2힌지축(242)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에는 받침판(280)이 설치되는 제2수직회전대(240)와, 상기 수평연결대(110)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축(212)과 소정거리 떨어진 위쪽 지점에 한쪽 끝부분이 제3힌지축(222)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제1수직회전대(210)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축(214)과 소정거리 떨어진 위쪽 지점에 제4힌지축(224)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유압실린더(220)와, 상기 제1수직회전대(210)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축(214)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지점에 한쪽 끝부분이 제5힌지축(232)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수직회전대(240)에 있어서 상기 제3힌지축(222)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지점에 한쪽 끝부분이 제6힌지축(234)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유압실린더(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수직회전대(210) 및 제2수직회전대(240)는 상기 베이스프레임(40)의 판면(또는 지면(1))과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2수직회전대(240)는 대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제1수직회전대(210)의 다른쪽 끝부분에 제2힌지축(214)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절곡대(250)와, 상기 절곡대(250)의 다른쪽 끝부분에 한쪽 끝부분이 고정되고 2단으로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연장붐대(270)가 결합되고 상기 연장붐대(270)에는 받침판(28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축붐대(260)와, 상기 절곡 대(250)와 연장붐대(270)와 연결하는 유압실린더(29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의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회전장치(100) 및 아웃트리거(200)에 의해 바닥(1) 비탈지거나 노면의 폭이 좁은 장소 등 다양한 장소에서 안정적으로 바닥(1)에 지지된 상태로 작업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의 일실시예에 있어서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트럭 등과 같은 화물차량(2)에 실거나 내리는 동작을 상기 회전장치(100) 및 아웃트리거(200)에 의하여 편리하게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을 차량(2)에 싣거나 내리는 경우 상기 회전장치(100)를 이용하여 아웃트리거(200)를 차량(2)의 측면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제1수직회전대(210) 및 제2수직회전대(220)를 펼친 후 상기 연장붐대(270)를 신축붐대(260)로부터 인출시켜 받침대(280)가 바닥(1)에 닿게 하는 것에 의하여 바닥(1)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들려지므로 차량(2)에 싣거나 내릴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을 차량(2)에 실은 상태에서는 상기 아웃트리거(200)의 제1수직회전대(210) 및 제2수직회전대(240)가 접힌 상태로 상기 베이스프레임(40)에 세워진 상태가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의 다른 실시예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프레임(40)에 설치되고 상기 크레인 본체(60)에 있어 서 신축붐(66) 및 연결대(70)에 도르래(72)를 통하여 와이어로프(96)가 매달리도록 이루어지는 윈치(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와이어로프(96)에는 화물 등을 고정시킬 수 있도록 고리(98) 등을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윈치(90)가 설치되면, 상기 탑승함(80)을 통한 고소작업이나 물품의 운반작업 이외에도 중량물의 운반이나 견인 등 다양한 작업이 가능해지므로, 활용도가 커지는 등 매우 유용해진다.
상기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상기한 구성 이외에는 상기한 일실시예와 마찬가지의 구성으로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및 고안의 상세한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고안의 범위내에 속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고안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에 의하면, 무한궤도를 이용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므로 비탈진 장소나 험한 산길, 폭이 좁은 도로, 건물 내부 등 다양한 작업장소에 용이하게 접근하여 작업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종래 접근이 어려워 고소작업이나 하물의 운반작업이 불가능한 장소에도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하고 효용성이 커지게 된다.
그리고 회전장치를 통하여 아웃트리거를 회전시킬 수 있으므로 신속하게 정 확하게 아웃트리거의 회전각도를 조절하여 설치가 가능하다.
또 아웃트리거의 제1수직회전대 및 제2회전대에 의하여 바닥에 지지하기 어려운 장소에 안정되게 지지가 가능하므로 보다 안정되고 정확하게 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고안에 따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에 의하면, 차량에 실고 내리는 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지므로 운반이 비교적 간편해지고 운반시간의 절약이 가능하다.
나아가 탑승함이 연결대를 통하여 신축붐에 연결되고 유압실린더에 의해 항상 수평상태가 유지되므로 탑승자나 물품의 추락 등 안전사고가 예방된다.
뿐만 아니라 윈치를 이용하여 물품의 운반이나 견인 등이 가능해지므로, 효용성이 커지고 다양한 작업이 가능해진다.

Claims (4)

  1. 무한궤도를 이용하여 주행이 이루어지는 차량과, 상기 차량의 상부에 설치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다른쪽 끝부분에는 탑승함이 연결되는 크레인 본체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복수의 아웃트리거와, 상기 아웃트리거를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회전장치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크레인 본체에 와이어로프가 도르래를 이용하여 매달리도록 이루어지는 윈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장치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후방 양측 끝부분에서 한쪽 끝부분이 베이스프레임에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수평연결대와,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전후방 끝부분에서 1쌍이 서로 교차하여 설치되고 베이스프레임과 아웃트리거에 양쪽 끝부분이 1쌍의 힌지축을 이용하여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압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아웃트리거는 상기 수평연결대의 다른쪽 끝부분에 한쪽 끝부분이 제1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수직회전대와, 상기 제1수직회전대의 다른쪽 끝부분에 한쪽 끝부분이 제2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에는 받침판이 설치되는 제2수직회전대와, 상기 수평연결대에 있어서 상기 제1힌지축과 소정거리 떨어진 위쪽 지점에 한쪽 끝부분이 제3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다른쪽 끝부분이 상기 제1수직회전대에 있어서 상기 제2 힌지축과 소정거리 떨어진 위쪽 지점에 제4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유압실린더와, 상기 제1수직회전대에 있어서 상기 제2힌지축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지점에 한쪽 끝부분이 제5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제2수직회전대에 있어서 상기 제3힌지축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소정거리 떨어진 지점에 한쪽 끝부분이 제6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수직회전대는 대략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한쪽 끝부분이 상기 제1수직회전대의 다른쪽 끝부분에 제2힌지축을 이용하여 결합되는 절곡대와, 상기 절곡대의 다른쪽 끝부분에 한쪽 끝부분이 고정되고 2단으로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연장붐대가 결합되고 상기 연장붐대에는 받침판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축붐대와, 상기 절곡대의 다른쪽 끝부분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신축붐대의 연장붐대와 피스톤로드가 연결되는 신축유압실린더를 포함하는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본체는 상기 베이스프레임의 상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기둥프레임과, 상기 기둥프레임에 한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접철유압실린더에 의하여 접철되고 다단으로 길이를 연장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다수의 연장 붐이 결합되는 신축붐과, 상기 신축붐의 마지막 연장붐에 연결되는 탑승함을 포함하는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본체는 상기 신축붐의 마지막 연장붐에 한쪽 끝부분이 고정되고 하부에 와이어로프를 걸 수 있도록 도르래가 설치되는 "ㄴ"형상의 연결대와, 상기 연결대의 다른쪽 끝부분에 힌지축을 이용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탑승함이 설치되는 회전받침대와, 상기 연결대의 한쪽 끝부분과 상기 회전받침대에 힌지축을 이용하여 양쪽 끝부분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유압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KR2020060017664U 2006-06-30 2006-06-30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KR20042697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664U KR200426975Y1 (ko) 2006-06-30 2006-06-30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7664U KR200426975Y1 (ko) 2006-06-30 2006-06-30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6975Y1 true KR200426975Y1 (ko) 2006-09-20

Family

ID=41775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7664U KR200426975Y1 (ko) 2006-06-30 2006-06-30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697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919B1 (ko) * 2006-06-29 2008-01-03 이재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KR100907727B1 (ko) 2008-09-26 2009-07-14 경 환 정 송전탑 설치용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0919B1 (ko) * 2006-06-29 2008-01-03 이재호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KR100907727B1 (ko) 2008-09-26 2009-07-14 경 환 정 송전탑 설치용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97624B2 (ja) 可変位置カウンタウエイトユニットを装備している自走式リフトクレーン及びその操作方法
US5829605A (en) Mobile crane towable by a pickup truck
JP6829143B2 (ja) クライミングクレーン
KR100790919B1 (ko)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US20230183047A1 (en) Mobile Crane Having A Counterweight Device
JP2007112526A (ja) 自走式小型クレーン
KR200426975Y1 (ko) 무한궤도 주행식 크레인
KR101347865B1 (ko) 고소 리프팅 작업차
RU2465191C2 (ru) Самоходный двухстреловой кран
EP3551497A2 (en) Tow truck capable to rotate vehicle in air
US2941685A (en) Fork lift attachment for a crane
NL2024610B1 (en) A mobile heavy lift crane system
JP5569557B2 (ja) 建設機械のステップ構造
GB2552222A (en) Mobile suspended platform apparatus
CN219194289U (zh) 一种大起重量防爆柴油机履带式起重机
WO2019132801A1 (en) Tow truck rotator with knuckle boom crane capable of turning the vehicle in air, mounted on the rear axis
WO2013014620A1 (en) A crane
JP7494283B2 (ja) 移動式クレーン、移動式クレーンシステム、および移動式クレーンに対してガイイング装置を追加および除去する方法
CN210620066U (zh) 一种起吊车设备
CN204060079U (zh) 一种立体车库的运送装置
JP2004068477A (ja) ワーク搬送台車
EP3371091B1 (en) Movable crane arrangement and method for erecting movable crane arrangement
JPH07172769A (ja) クレーン
JPH0724526Y2 (ja) コンクリートポンプ車
FI127257B (fi) Ajoneuvoon kiinnitettävän kuormaimen runkorakenne ja menetelmä kuormaimella varustetun ajoneuvon tukemiseksi alusta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