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2621B1 - 양현 하역 선박 - Google Patents

양현 하역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2621B1
KR101132621B1 KR1020090066613A KR20090066613A KR101132621B1 KR 101132621 B1 KR101132621 B1 KR 101132621B1 KR 1020090066613 A KR1020090066613 A KR 1020090066613A KR 20090066613 A KR20090066613 A KR 20090066613A KR 101132621 B1 KR101132621 B1 KR 1011326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loading
crane
vessel
support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6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9285A (ko
Inventor
양동열
임태우
손용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090066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2621B1/ko
Publication of KR20110009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9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26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26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44Floating buildings, stores, drilling platforms, or workshops, e.g. carrying water-oil separ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1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 B63B27/12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cranes of gantry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3/00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43/02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 B63B43/04Improving safety of vessels, e.g. damage control, not otherwise provided for reducing risk of capsizing or sinking by improving st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박의 화물 하역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으로 크레인을 탑재한 하역 선박 간의 결합을 통한 양현 하역을 가능하게 하는 하역 선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역할 화물이 적재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플랫폼에 일단이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크레인 기둥과, 상기 크레인 기둥의 타단과 연결되어 지지되는 수평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와 연결되어 지지되며 하역을 위해 이동 가능한 캐리어가 장착되는 크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크레인은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역 대상 선박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위치한 하역 선박의 크레인과 결합 가능한 크레인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결합부는 상기 크레인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굽힘 모멘트를 지지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양현 하역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쪽 하역 선박으로부터의 크레인이 하역 대상 선박 위로 결합함으로써 안정적인 갠트리 크레인 (gantry crane) 구조를 형성하여 양쪽 하역 선박에서 화물을 안정적으로 하역할 수 있다.
양현 하역, 이동 항구, 모바일 하버, 갠트리 크레인

Description

양현 하역 선박{Vessel for Cargo Handling at Both Side of a Container Ship}
본 발명은 선박의 화물 하역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방법으로 크레인을 탑재한 하역 선박 간의 결합을 통한 양현 하역을 가능하게 하는 하역 선박에 관한 것이다.
전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의 지속적인 증가로 초대형 컨테이너선 위주의 물류 시장으로의 재편에 따라 초대형 컨테이너선(10,000 TEU급 이상) 처리 능력이 요구되고 있다. 컨테이너선의 화물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보통 항만에 배를 정박하고 지상의 크레인을 이용하여 한쪽에서만 하역을 하였다. 하지만 현대에는 그 처리 물량이 많아짐에 따라 양쪽에서 하역을 할 수 있는 양현 하역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출원번호 10-2005-0071065, 출원번호 10-2006-0075502 특허는 이러한 양현 하역을 가능하게 하는 부유식 안벽을 제안하였다. 하역을 위한 컨테이너선이 항만에 정박하면 컨테이너선 반대편을 'ㄷ‘ 형태의 부유식 안벽이 감싸면서 양쪽에서 크레인을 이용한 양현 하역하여 화물의 하역효율을 높이는 방법이다.
하지만 앞으로는 전 세계간 물동량 증가로 인해 말라카막스 (Malaccamax, 15,000 TEU급)라고 구분되는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들이 출현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러한 선박의 크기는 길이 400m, 홀수 21m, 선폭 69m로 최소 접안 수심으로 25m가 필요하지만 우리나라의 주요 항만인 부산항만의 경우 17m밖에 되지 않아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화물 처리를 위해서는 다른 방법이 필요하다.
초대형 선박의 화물을 처리하기 위해 기존 항만의 수심을 깊게 하여 항만에 접안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법으로 초대형 컨테이너선은 근해까지만 오고 소형선박을 이용하여 화물을 소량 실어 항만으로 운반하는 방법인 mid-stream operation 방법이 홍콩, 싱가포르 등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소형 선박을 이용하여 화물을 실어 나르는 기존의 방법은 초대형 선박이 항만에 정박하지 않고도 화물을 하역할 수 있지만 그 처리용량이 작음에 따라 그 효율이 많이 떨어지게 된다.
앞으로의 초대형 선박의 화물 하역을 위해서는 해상에서의 작업이 필요하며 많은 양의 화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서 양현 하역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을 이용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해상에서 초대형 선박 양 옆에 위치한 두 개의 선박이 협력하여 크레인을 초대형 선박 위를 가로질러 연결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해상 에서의 양현 하역을 가능하게 하는 양현 하역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역할 화물이 적재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플랫폼에 일단이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크레인 기둥과, 상기 크레인 기둥의 타단과 연결되어 지지되는 수평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와 연결되어 지지되며 하역을 위해 이동 가능한 캐리어가 장착되는 크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크레인은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역 대상 선박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위치한 하역 선박의 크레인과 결합 가능한 크레인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크레인 결합부는 상기 크레인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굽힘 모멘트를 지지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는 양현 하역 선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현 하역 선박의 상기 크레인은, 상기 하역 선박의 이동 시에는 상기 수평 지지대 상에 포개져서 위치하되, 하역 시에는 상기 하역 선박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회전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레인은, 화물의 하역을 위해 수평지지대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크레인 기둥에는 크레인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스태빌라이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현 하역 선박은 상기 캐리어의 이동 또는 화물의 이송에 따라 상기 플랫폼의 평형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평형 유지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평형 유지 장치는, 크레인 상에 제공되어 상기 캐리어 이동 또는 화물 이송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밸런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현 하역 선박의 크레인 결합부는, 판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하중에 의한 굽힘 모멘트를 지지하도록 하며, 하역 시 상기 하역 대상 선박 또는 상기 양현 하역 선박의 움직임 또는 결합 시 상기 크레인 간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여유 공간을 가지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양현 하역 선박은 상기 양현 하역 선박이 상기 하역 대상 선박에 고정 결합하도록 돌출 가능한 고정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양현 하역 선박은, 상기 수평 지지대에 마련되고 상기 크레인이 돌출됨에 따라 직립 가능한 수직 지지대와, 상기 크레인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단 및 상기 크레인의 타단을 거쳐 상기 플랫폼에 제공되는 로프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크레인을 지지하는 로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로프 고정부는, 상기 플랫폼 상에 설치된 레일 조립체와, 상기 레일 조립체를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로프의 일단이 고정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현 하역 선박은, 상기 수평 지지대와 연결되어 지지되며 직경이 상이한 다단 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보강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지지대는 상기 다단 보가 연장됨으로써 측면으로 돌출되어 하역 대상 선박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위치한 하역 선박의 보강 지지대와 결합하여 하중에 의한 굽힘 모멘트를 지지 가능한 구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양현 하역 선박에 의하면, 하역 대상 선박의 길이에 따라 여러 개의 하역 선박이 양 옆에 위치하여 양쪽에서 하역을 할 수 있어 많은 양의 화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양쪽 하역 선박으로부터의 크레인이 하역 대상 선박 위로 결합함으로써 안정적인 갠트리 크레인 (gantry crane) 구조를 형성하여 양쪽 하역 선박에서 화물을 안정적으로 하역할 수 있다.
또한 안정적인 하역 작업을 위해 양 쪽에서 고정빔이 하역 대상 선박에 결합되고, 양 쪽의 크레인과 보강 지지대가 각각 크레인 결합부 및 지지대 결합부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화물의 하중에 의한 굽힘 응력에 대해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이룬다.
본 발명은 깊은 수심이 필요한 초대형 선박의 화물 운송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이동 항구(모바일 하버)로서의 기능을 할 수 있어 앞으로의 항만 시스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현 하역 선박의 구조와 작동 원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양현 하역 선박을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 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현 하역용 크레인(24)을 탑재한 하역 선박(10)이 화물의 하역을 위해 하역 대상 선박(11)과 결합하고 양 쪽의 하역 선박(10) 간에 크레인(24)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해상에서 하역 대상 선박(11) 옆에 위치한 2 개의 하역 선박(10)이 선박 간 고정빔(12)으로 서로 고정된 채 협력하여 2 개의 외팔보 형태의 크레인(24)을 하역 대상 선박(11) 위를 가로질러 연결함으로써 안정적 구조를 형성하여 효율적으로 해상에서의 양현 하역을 가능하게 한다. 하역 대상 선박(11)은 초대형 컨테이너선이 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중대형 컨테이너선 등 화물을 선적하는 선박이라면 모두 그 대상이 될 수 있다. 크레인(24)에는 하역 대상 선박(11)과 양현 하역 선박(10) 간의 화물 하역을 위해 이동 가능한 캐리어(17)가 장착되며, 캐리어(17)로는 크레인 스프레더가 사용될 수 있다. 캐리어(17)의 이동 또는 화물의 이송에 따라 플랫폼(13)의 평형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평형 유지 장치가 장착될 수 있으며, 여기서 평형 유지 장치는 크레인 상에 제공되어 캐리어(17) 이동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밸런스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많은 화물을 적재하기 위해 하역 선박(10)의 플랫폼(13)에 넓은 하역 공간을 확보한다. 무거운 화물을 옮기기 위한 크레인(24)을 지탱하기 위해 플랫폼(13)의 모서리에는 4 개의 크레인 기둥(15)이 있으며, 크레인 기둥(15)에는 크레인 등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스태빌라이저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여기서 스태빌라이저에는 자이로스코프(gyroscope)가 포함될 수 있다. 크레인 기둥(15)을 가로질러 크레인 수평 지지대(25)가 있으며 이 위로 크레인 수직 지지대(23)와 로프(16)의 장력에 의해 지지되는 외팔보 형태의 크레인(24)이 하역 대상 선박(11) 위로 뻗게 된다. 반대편도 이와 같은 하역 선박(10)이 위치하여 두 개의 외팔보 형태의 크레인(24)이 서로 만나 크레인 간 결합부(21)에 의해 연결이 되면 2 개의 하역 선박(10)을 기반으로 하여 하역 대상 선박(11)을 가로지르는 형태로 안정적인 크레인 구조인 갠트리 크레인 (gantry crane)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두 개의 하역 선박(10)을 이용하여 하역 대상 선박(11)을 가로지르는 크레인(24)을 이용하면 양방향으로 화물을 하역할 수 있어 해상에서의 양현 하역이 가능하다.
하역 선박(10)에 설치된 크레인(24)은 하역 대상 선박(11)의 높이에 맞추기 위해서 그 높이가 높아야 하지만 하역 선박(10)이 이동 시에는 무게중심이 높게 되어 전복될 위험이 있고 교량 등을 통과하기 위해서는 그 높이가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므로 크레인(24)을 지지하는 크레인 기둥(15)의 높이는 유압 등으로 조절하여 하역 선박(10)이 이동 시에는 크레인(24)의 높이를 낮추어 안정적인 항해가 가능하게 해주며 화물을 하역 시에는 크레인(24)의 높이를 하역 대상 선박(11)에 맞출 수 있게 한다.
수평 지지대(25) 위로 수직 지지대(23)이 직립하여 로프(16)로 크레인(24)을 지지하면서 회전하여 반대편 하역 선박의 크레인(24)과 결합할 수 있다. 수직 지지 대는(23)는 일단이 수평 지지대(25)에 고정되어 힌지 등을 사용하여 상황에 따라 직립하거나 수평으로 위치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크레인(24)은 효율적인 하역을 위해 +y, -y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하역 선박의 모든 영역에서 화물을 싣거나 내려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역 대상 선박(11)의 길이에 따라 여러 개의 하역 선박(10)이 양 옆에 위치하여 양쪽에서 하역을 할 수 있어 많은 양의 화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안정적인 하역 작업을 위해 양쪽에서 보강 지지대(31)가 지지대 결합부(21)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화물의 하중에 의한 굽힘 응력에 대해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이룬다. 보강 지지대(31)는 수평 지지대(25)와 연결되어 지지되며 직경이 상이한 다단 보의 조합으로 구성되고, 다단 보가 연장됨으로써 측면으로 돌출되어 하역 대상 선박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위치한 하역 선박의 보강 지지대와 결합하여 하중에 의한 굽힘 모멘트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보강 지지대(31) 대신에 크레인(24)을 복수 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크레인(24)이 다단 보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양 쪽의 하역 선박(10)에서 각각 돌출된 2 개의 크레인(24) 또는 보강 지지대(31)를 연결하는 크레인 결합부(21) 또는 지지대 결합부(22)를 나타낸 도면이다. 양 쪽의 크레인(24)은 무거운 화물을 들어 올릴 때 아래로 힘이 작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양 쪽에서 크레인(24) 또는 보강 지지대(31)가 서로 연장되어 도 4와 같은 결합부(21)의 형태로 결합하게 되면 하중에 의해 생기는 굽힘 모멘트에 대해 강한 구조를 이루어 로프(16)에 의한 지지와 함께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또한 하중 방향에 대한 구속력은 갖지만 좌우에 대한 구속력은 없어 선박 간의 크레인(24) 연결 시 생기는 오차나 선박에서 생기는 흔들림으로부터 유연성을 부여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크레인(24)을 지지하는 로프(16)가 하역 선박과 결합하는 고정부(14)를 나타낸 도면이다. 외팔보 형태의 크레인(24)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로프(16)가 필요하다. 이 로프(16)를 플랫폼(13)과 고정하여 크레인(24)이 안정적인 구조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플랫폼(13)과 로프(16)와의 연결이 필요하다. 플랫폼(13)의 한쪽 모서리에 설치된 레일 조립체(51, 52)에서 이동하는 롤러 조립체(61, 62, 63)에 로프(16)가 연결되어 로프(16)에 상하 방향으로 가해지는 장력을 지탱해주면서 크레인(24)의 좌우 이동 시에는 롤러 조립체(61, 62, 63)에 연결된 로프(16)의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여기서 레일 조립체는 선박의 모서리를 따라 길게 설치된 튜브형 단면의 레일(51)과 이를 지지하는 레일 지지대(52)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롤러 조립체는 로프(16)에 연결된 도르레(62)와, 도르레(62)에서 연장되는 롤러 축(61)과, 롤러 축(6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며 레일(51)을 타고 이동 가능한 롤러(63)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현 하역 선박을 작동하는 방법과 화물을 이송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양현 하역용 크레인을 탑재한 하역 선박(10)이 이동할 때의 모습과 하역을 하기 위해 크레인(24)을 뻗는 모습을 나타낸 그림이다.
도 5의 step 1은 하역 선박(10)이 이동할 때의 모습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크레인(24)을 지지하는 크레인 기둥(15)의 높이를 유압으로 조절하고 수직 지지대(23)를 내려서 수평 위치로 맞추고, 하역 선박(10)이 이동 시에는 크레인(24)의 높이를 낮추어 안정적인 항해가 가능하게 한다.
도 5의 step 2는 하역 대상 선박(11)의 화물을 하역하기 위하여 하역 대상 선박(11)과 결합하고 반대편 하역 선박의 크레인과 결합되기 위해 크레인(24)을 뻗는 모습을 나타낸다. 양 끝의 보강 지지대(31)는 크레인 기둥(15)에서 연장되어 반대편 하역 선박의 보강 지지대(31)와 결합하며, 중앙의 크레인(24)은 수직 지지대(23)를 올려 로프(16)로 크레인(24)을 지지하면서 회전하여 반대편 하역 선박의 크레인(24)과 결합한다.
도 5의 step 3은 하역 대상 선박(11)과 결합하기 위해 선박간 고정빔(12)을 뻗고 크레인(24)과 보강 지지대(31)를 뻗어 양현 하역을 가능하게 하는 구조로 변한 하역 선박(10)의 모습을 나타낸다. 하역 선박(10)은 선박 간 고정빔(12)이 하역 대상 선박(11)에 마련되는 고정부(미도시)를 통해 결합하고 양쪽의 크레인 지지대(31)와 크레인(24)이 지지대 결합부(21)와 크레인 결합부(22)로 사용하여 대상 선박(11)을 가로지르는 크레인(24)을 만들어 양현 하역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크레인(24)은 효율적인 하역을 위해 +y, -y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한 구조로 하역 선박의 모든 영역에 화물을 실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역 선박(10)이 이동 항구(모바일 하버)로서 기능하며, 하역 대상 선박(11)의 양 옆에 위치하여 양쪽에서 하역을 할 수 있어 많 은 양의 화물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안정적인 하역 작업을 위해 양 쪽에서 고정빔(12)이 하역 대상 선박에 결합되고, 양 쪽의 크레인(24)과 보강 지지대(31)가 각각 크레인 결합부(21) 및 지지대 결합부(22)에 의해 결합함으로써 화물의 하중에 의한 굽힘 응력에 대해 보다 안정적인 구조를 이룬다.
도 6은 양현 하역용 크레인을 탑재한 하역 선박(10)이 지상의 하역 설비와 결합하여 하역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그림으로 화물을 실은 하역 선박(10)이 지상의 크레인과 결합하여 빠르게 화물을 하역할 수 있음을 보인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현 하역 장치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 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명백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현 하역용 크레인(24)을 탑재한 하역 선박(10)이 화물의 하역을 위해 하역 대상 선박(11)과 결합하고 양 쪽의 하역 선박(10) 간에 크레인(24)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현 하역용 크레인(24)을 탑재한 하역 선박(10)이 화물의 하역을 위해 하역 대상 선박(11)과 결합하고 양 쪽의 하역 선박(10) 간에 크레인(24)이 연결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양 쪽의 하역 선박(10)에서 각각 돌출된 2 개의 크레인(24) 또는 보강 지지대(31)를 연결하는 크레인 결합부(21) 또는 지지대 결합부(22)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크레인(24)을 지지하는 로프(16)가 하역 선박과 결합하는 고정부(14)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양현 하역 선박(10)이 초대형 선박(11)과 결합하고 크레인(24)이 반대편의 크레인과 결합하기 위해 가동하는 순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양현 하역용 크레인을 탑재한 하역 선박(10)이 지상의 하역 설비와 결합하여 하역을 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설명>
10 : 양현 하역 선박
11 : 하역 대상 선박
12 : 고정빔
13 : 플랫폼
14 : 로프 고정부
15 : 크레인 기둥
16 : 로프
17 : 캐리어
21 : 크레인 결합부
22 : 지지대 결합부
23 : 수직 지지대
24 : 크레인
25 : 수평 지지대
31 : 보강 지지대
51 : 레일
52 : 레일 지지대
61 : 롤러 축
62 : 도르레
63 : 롤러

Claims (11)

  1. 하역할 화물이 적재되는 공간이 구비되는 플랫폼에 일단이 지지되는 하나 이상의 크레인 기둥과,
    상기 크레인 기둥의 타단과 연결되어 지지되는 수평 지지대와,
    상기 수평 지지대와 연결되어 지지되며 하역을 위해 이동 가능한 캐리어가 장착되는 크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크레인은 일 방향으로 돌출되어 하역 대상 선박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위치한 하역 선박의 크레인과 결합 가능한 크레인 결합부가 마련되고, 상기 크레인 결합부는 상기 크레인에 가해지는 하중에 의한 굽힘 모멘트를 지지하도록 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크레인은, 상기 하역 선박의 이동 시에는 상기 수평 지지대 상에 포개져서 위치하되, 하역 시에는 상기 하역 선박의 측면으로 돌출되도록 회전 가능한
    양현 하역 선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화물의 하역을 위해 수평지지대를 따라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양현 하역 선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기둥에는 크레인의 안정성을 확보하도록 스태빌라이저가 구비되는
    양현 하역 선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의 이동 또는 화물의 이송에 따라 상기 플랫폼의 평형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평형 유지 장치를
    더 포함하는 양현 하역 선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평형 유지 장치는 크레인 상에 제공되어 상기 캐리어 이동 또는 화물 이송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는 밸런스를 포함하는
    양현 하역 선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 결합부는,
    판 형태의 구조를 가지고 하중에 의한 굽힘 모멘트를 지지하도록 하며,
    하역 시 상기 하역 대상 선박 또는 상기 양현 하역 선박의 움직임 또는 결합 시 상기 크레인 간의 간섭이 방지되도록 여유 공간을 가지는
    양현 하역 선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현 하역 선박이 상기 하역 대상 선박에 고정 결합하도록 돌출 가능한 고정빔을
    더 포함하는 양현 하역 선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대에 마련되고 상기 크레인이 돌출됨에 따라 직립 가능한 수직 지지대와,
    상기 크레인의 일단으로부터 상기 수직 지지대의 상단 및 상기 크레인의 타단을 거쳐 상기 플랫폼에 제공되는 로프 고정부에 고정되어 상기 크레인을 지지하는 로프를
    더 포함하는 양현 하역 선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로프 고정부는,
    상기 플랫폼 상에 설치된 레일 조립체와,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상기 로프의 일단이 고정되는 롤러 조립체를
    포함하는 양현 하역 선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지지대와 연결되어 지지되며 직경이 상이한 다단 보의 조합으로 구성되는 보강 지지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보강 지지대는 상기 다단 보가 연장됨으로써 측면으로 돌출되어 하역 대상 선박을 사이에 두고 반대편에 위치한 하역 선박의 보강 지지대와 결합하여 하중에 의한 굽힘 모멘트를 지지 가능한
    양현 하역 선박.
KR1020090066613A 2009-07-22 2009-07-22 양현 하역 선박 KR1011326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613A KR101132621B1 (ko) 2009-07-22 2009-07-22 양현 하역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6613A KR101132621B1 (ko) 2009-07-22 2009-07-22 양현 하역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285A KR20110009285A (ko) 2011-01-28
KR101132621B1 true KR101132621B1 (ko) 2012-04-06

Family

ID=436149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6613A KR101132621B1 (ko) 2009-07-22 2009-07-22 양현 하역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262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487647A (zh) * 2017-08-07 2017-12-19 吴惠民 海上集装箱从装船港cy(含中转港)至卸船港cy垂向组合运输
CN109110049B (zh) * 2018-08-19 2024-01-12 湖北东船重工有限公司 半潜式lng换装船及船用lng装船应用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5387A (en) * 1980-03-21 1981-10-22 Hitachi Zosen Corp Cargo handling device for container
KR100895604B1 (ko) * 2008-02-12 2009-05-06 한국과학기술원 해양수송 시스템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동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이송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35387A (en) * 1980-03-21 1981-10-22 Hitachi Zosen Corp Cargo handling device for container
KR100895604B1 (ko) * 2008-02-12 2009-05-06 한국과학기술원 해양수송 시스템을 향상시키기 위한 이동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화물 이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9285A (ko) 2011-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69445A (ko)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안벽 시스템 및 이에 사용되는 이동항구 및 운송장치
CA2875214C (en) System for loading and unloading during port operations, comprising a crane, and a base located in the body of the crane that supports and stacks hatchway covers
KR101112156B1 (ko)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KR20090011057A (ko) 종강도가 보강된 바지선
KR101125045B1 (ko) 이동항구의 선적 및 하역장치와 이를 이용한 방법
KR101245573B1 (ko) 모바일 하버 리프팅 시스템을 위한 댐핑 조인트 장치
KR101132621B1 (ko) 양현 하역 선박
EP2377801B1 (en) Method of serving a complex including two and more mobile wharf boom cranes
KR101186257B1 (ko) 부력용 부유체를 구비하는 크레인선 및 그의 안정화 방법
KR101089283B1 (ko)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 항구
EP2098445A1 (en) Inland vessel with container lifting crane and a method for handling containers transported on inland waterways
KR101112158B1 (ko) 모바일 포탈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101079654B1 (ko) 듀얼 가이드 크레인, 이를 장착한 선박 및 컨테이너 착지 방법
KR20110079433A (ko) 낮은 무게중심을 가지는 안정화된 컨테이너 크레인
JP5766926B2 (ja) 岸壁クレーン
KR100650594B1 (ko) 컨테이너 크레인 합체형 갠트리 크레인을 탑재한 쌍동선형컨테이너선
KR20110069440A (ko) 크레인 시스템의 화물 이송방법
KR20110069442A (ko) 크레인 시스템
KR101125044B1 (ko) 하향 격납되는 붐을 가지는 컨테이너 크레인
KR200311765Y1 (ko) 2개의 트롤리를 가지는 크레인
WO2013002640A1 (en) Ship to shore crane installation with offset cranes
KR101166717B1 (ko) 컨테이너 크레인을 구비하는 이동항구
KR20110069441A (ko) 다단식 크레인 시스템
KR20110074387A (ko) 컨테이너 적재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컨테이너 이송선
KR20110041775A (ko) 레일을 이용한 컨테이너 이송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