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717B1 - 컨테이너 크레인을 구비하는 이동항구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크레인을 구비하는 이동항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717B1
KR101166717B1 KR20100024602A KR20100024602A KR101166717B1 KR 101166717 B1 KR101166717 B1 KR 101166717B1 KR 20100024602 A KR20100024602 A KR 20100024602A KR 20100024602 A KR20100024602 A KR 20100024602A KR 101166717 B1 KR101166717 B1 KR 1011667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gs
crane
container
container crane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00024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79431A (ko
Inventor
안충승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110079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9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7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717B1/ko

Links

Images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파지하는 스프레더와, 상기 스프레더가 지지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롤리와, 상기 트롤리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며 고정된 거더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붐과, 상기 붐 및 거더를 지지하는 복수의 레그와, 상기 복수의 레그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포탈빔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과, 상기 복수의 레그 하단에 연결되어 주행부가 제공되는 실빔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과,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의 주행부와 접하며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이 이송 가능한 레일과, 상기 레일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부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레그는 상기 붐을 지지하되 수직방향에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수형방향 하중이 인가되고, 상기 주행부에는 상기 레일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레일이탈 방지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이 설치된 이동항구는, 해상에서의 흔들림을 고려한 다양한 장치를 통해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깊은 수심이 필요한 초대형 선박의 화물 운송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앞으로의 항만 시스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Description

컨테이너 크레인을 구비하는 이동항구 {Mobile Harbor With Container Crane}
본 발명은 컨테이너 크레인이 레일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해상에서 하역 작업을 수행하는 이동항구에 관한 것이다.
원격지의 상품이동수단으로서 선박을 이용한 해상운송은, 타 운송수단에 비하여 에너지를 적게 사용하며 수송비용도 저렴하여 국제교역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에는 컨테이너선과 같은 해상운송에 있어서, 운송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대형화된 선박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선박의 수송량을 증가시켜 운송의 경제성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따라 대형 선박을 접안 시킬 수 있는 계류시설 및 하역시설을 구비한 항만이 점점 더 많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대형 컨테이너선을 접안 시킬 수 있는 항구는 국내외에 한정되어 있으며, 이러한 항구의 건설에는 필요한 항만수심을 유지하기 위한 준설 등으로 인하여 많은 경비가 소요될 뿐만 아니라 넓은 장소가 요구된다. 또한, 대형 항구의 건설로 인하여 주변 교통 체증의 유발이나 해안환경의 파괴 등 주위의 환경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는 바, 대형 항구의 건설에는 많은 제약이 따르고 있다.
이에, 대형 선박을 항구 내의 안벽에 접안시키지 않고, 육지로부터 떨어진 해상에 정박시킨 채로 화물을 선적 및 하역할 수 있는 이동 항구(모바일 하버, Mobile Harbor) 및 이를 이용한 화물 이송 방법에 관한 발명이 특허(등록번호 제10-0895604호)받은 바 있다.
도 1은 상기 특허에서 도시된 이동항구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것으로서, 이동 항구(10)는 크레인(20)을 이용하여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도 1a는 이동항구(10)와 대형 컨테이너선(30) 사이에서의 하역을, 도 1b는 이동항구(10)와 부두(40) 사이에서의 하역을 도시하고 있다.
이동항구(10)는 화물이 적재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플랫폼과, 선박과 플랫폼 사이에서 화물을 선적 및 하역하기 위한 장치와, 상기 플랫폼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위치결정 장치와, 화물을 하역하는 동안 선박과 충돌하지 않고 접속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완충접속 장치 등을 포함하게 된다.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은 수 톤 내지 수십 톤에 이르는 화물을 이동시키는 작업이므로 이동 항구로서의 역할을 하는 선박과 이에 장착된 크레인의 안정성 확보가 절실히 요구되지만, 해상에서는 바람, 파랑, 또는 조류 등의 영향으로 선박의 요동이 불가결하다고 할 것인 바, 이러한 요동에도 불구하고 선박이 해상에서 작업하는 도중에 그 기능이 유지되고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크레인 및 이러한 크레인이 장착된 이동항구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해상에서 컨테이너선과의 관계에서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컨테이너의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동항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를 파지하는 스프레더와, 상기 스프레더가 지지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롤리와, 상기 트롤리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며 고정된 거더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붐과, 상기 붐 및 거더를 지지하는 복수의 레그와, 상기 복수의 레그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포탈빔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과, 상기 복수의 레그 하단에 연결되어 주행부가 제공되는 실빔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과,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의 주행부와 접하며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이 이송 가능한 레일과, 상기 레일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부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레그는 상기 붐을 지지하되 수직방향에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수형방향 하중이 인가되고, 상기 주행부에는 상기 레일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레일이탈 방지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주행부에는 컨테이너 크레인이 주행하는 레일에 회전 가능하도록 접하여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의 전복 또는 이탈을 방지하는 상승 방지용 롤러 및 스큐 방지용 롤러가 제공되고, 상기 실빔에는 유압에 의하여 상기 레일에 밀착 가능하여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레일 클램프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실빔에는 크레인의 전복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주행부 타이다운 및 주행부 앵커가 제공되고, 상기 트롤리에는 트롤리의 전복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트롤리 타이다운 및 트롤리 앵커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그는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2 쌍의 레그를 포함하되, 상기 2 쌍의 레그는 상단에서의 서로 간의 종방향 간격이 하단에서의 서로 간의 종방향 간격보다 작아 상기 상기 붐과 상기 2 쌍의 레그와 상기 포탈빔의 형상이 사다리꼴을 형성할 수 있다.
상단이 상기 레그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포탈빔과 결합되어 V자 형상을 형성하는 1 쌍 이상의 보조 레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조 레그는 상단이 상기 레그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포탈빔 또는 상기 레그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그는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2 쌍의 레그를 포함하되 상기 2 쌍 중 1 쌍의 레그는 상기 붐의 끝단에서 바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계실은 상기 2 쌍의 레그 사이를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실빔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은 종방향 간격을 두고 2 개 이상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레일은 상기 부유체의 횡방향 양단에 각각 종방향으로 길게 2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이 설치된 이동항구는, 해상에서의 흔들림을 고려한 다양한 장치를 통해 안정성을 확보함으로써, 깊은 수심이 필요한 초대형 선박의 화물 운송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앞으로의 항만 시스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특허에서 도시된 이동항구의 개략적인 모습을 나타낸 도면 으로서, 도 1a는 해상에서의 하역하는 모습을, 도 1b는 육상에서 하역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2는 종래의 일반적인 육상 크레인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2a는 측면도이고, 도 2b는 정면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일반적인 육상 크레인에서 사용되던 구동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4a는 측면도이고, 도 4b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시스템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5a는 권상장치의 배치를, 도 5b는 횡행장치와 에너지 체인의 위치를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일이탈 방지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6a 및 도 6b는 각각 상승 방지용 롤러 및 스큐 방지용 롤러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크레인 안전장치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7a는 크레인의 주행부의 측면도, 도 7b는 크레인 타이다운의 정면도, 도 7c는 크레인 앵커의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이 설치된 이동항구의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도 8a 및 도8b는 각각 붐이 하강한 때와 상승한 때의 모습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100)은, 컨테이너를 파지하는 스프레더(110)와, 스프레더(110)가 지지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롤리(120)와, 트롤리(120)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며 고정된 거더(130a)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붐(130)과, 붐(130)을 지지하는 복수의 레그(140)와, 복수의 레그(140)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포탈빔(Portal Beam)(150)과, 복수의 레그(140) 하단에 연결되어 종방향으로 이동하는 주행부(170)가 제공되는 실빔(Sill Beam)(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횡방향은 붐(130)과 거더(130a)의 길이방향, 종방향은 지면에 수직인 방향을 의미한다.
컨테이너 크레인(100)은 근거리 또는 원거리를 운항하는 선박 또는 이동항구 위에 설치되는 크레인으로서 운항 및 작업 중에 바람이나 파도 등 해상상태에 따라 발생되는 하중의 영향을 고려하여 다음과 같은 차별화된 특징을 갖출 수 있다.
크레인의 주요 부재 중 하나인 레그(140)는 크레인 상부구조물의 하중과 모멘트를 지탱하고 견딜 수 있도록 하는 주요 구조물로서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레그(140)가 4개로 구성된 컨테이너 크레인(100)을 예시한다.
도 4b에 따르면, 복수의 레그(140)는 붐(130)을 지지하되 수직방향에서 경사지게 배치되어, 선박의 흔들림으로 인한 수평방향의 하중이 레그(140)에서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레그(140)는 상단에서의 서로 간의 간격이 하단에서의 서로 간의 간격보다 작아 붐(130)과 복수의 레그(140)와 포탈빔(150)의 형상이 사다리꼴을 형성할 수 있다. 복수의 레그(140)는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2 쌍의 레그(140)로 구성될 수 있다. 2 쌍의 레그(140)는 상단에서의 서로 간의 종방향 간격이 하단에서의 서로 간의 종방향 간격보다 작아 붐(130)과 2 쌍의 레그(140)와 포탈빔(150)의 형상이 사다리꼴을 형성할 수 있다.
종래의 육상 컨테이너 크레인(1)에서는, 도 2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작용하는 힘은 주행 관성력과 풍하중이므로 붐(30)과 거더(30a), 포탈빔(50) 및 실빔(60)에 대하여 레그(40)가 수직으로 배치된다. 이와는 달리 이동항구에 사용되는 크레인에는 주행 관성력과 풍하중 외에 선체운동으로 부가되는 수평력을 견디기 위한 구조가 필요하다.
다시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100)에는, 선체 운동으로 부가되는 크레인의 수평력을 견딜 수 있도록 레그(140)를 붐(130) 또는 지면에 대하여 수직이 아니고 경사지게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가짐으로써 레그(140) 등 크레인 부재의 단면이나 두께 혹은 무게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효율적으로 크레인의 수평방향으로의 강성이 증대된다. 레그(140)의 구조 단면이나 부재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므로 크레인의 중량이 증가되지 않아 선박 복원성 및 선폭 등의 제원 결정에 여유가 생기고, 이로 인해 선박과 크레인 제조원가의 상승을 억제하여 경제적인 측면에서 유리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100)은 레그(140) 간 내부 구속 보강재(Internal Fastening)의 설치로 수평력을 보강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컨테이너 크레인(100)은 상단(145a)이 레그(140)의 상단에 결합되고 하단(145b)이 포탈빔(150)과 결합되어 V자 형상을 형성하는 1 쌍 이상의 보조 레그(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보조 레그(145)를 사용하여 레그(140)에 작용하는 수평력을 견디기 위해 레그(140)와 레그(140) 및 레그(140)와 포탈빔(150)간을 구속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레그(140), 포탈빔(150) 등의 구조물 단면 및 중량의 증가 없이 크레인 수평방향으로의 강성 증대 효과를 발휘하여, 선박의 해상에서 발생되는 선체운동에 의한 수직 및 수평하중을 극복하고 안정적으로 하역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레그(145)는 2 개의 레그(140) 사이에 배치되지만, 상황에 따라 보조 레그(145)의 위치를 조절함으로써 컨테이너(C)의 선적 및 하역작업 시 충돌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보조 레그(145)는 상단(145a)이 레그(140)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145b)이 포탈빔(150) 또는 레그(140)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보조 레그(145)는 힌지 핀(Hinge Pin)기능을 사용하여 선박의 항해 및 이동 중에는 레그(140)와 포탈빔(150)의 중간을 결합하는 구조로 사용할 수 있다. 선박이 정박하여 컨테이너(C)의 하역작업을 수행할 시에는 하단(145b)의 힌지 핀을 해체 후 레그(140)의 하단 또는 포탈 빔(150)의 양 끝단 쪽에 결박시켜 컨테이너(C)의 이동 경로에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크레인의 무게 중심을 낮추어 크레인의 안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a를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크레인에는 백리치(Back reach)가 있어, 컨테이너를 육상 일정거리까지 운송하기 위해 거더(30a)가 레그(40)에서 더 돌출되어 크레인 후방 측(육지 측)으로 연장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100)은 종래의 크레인과는 달리, 도 4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2 쌍의 레그(140)를 포함하되, 2 쌍 중 붐(130)에서 멀리 있는 1 쌍의 레그(140)는 거더(130a)의 끝단에서 바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선박 폭 방향으로 백리치를 확보하기 위한 거더(130a)의 돌출부를 삭제함으로써 크레인의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다. 또한 선박운항 및 부두 접안 시 충돌손상 등의 재해요소를 제거하게 된다.
컨테이너 크레인(10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계실(180)은 2 쌍의 레그(140) 사이를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실빔(1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붐(130)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붐 권상장치(135)가 실빔(1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기계실에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주기능인 컨테이너의 권상 및 권하 작업, 트롤리의 횡행 작업, 그리고 붐의 회전 작업에 필요한 기계장치(모터, 감속기, 드럼, 브레이크 및 기타 부속설비)들을 배치하게 됨으로써 상당한 중량이 나가게 된다. 도 2a를 참조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컨테이너 크레인(1)은 기계실(80)이 크레인 상부의 거더(30a)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크레인의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도록 기계실(180)의 설치 위치를 크레인 상부의 거더(130a) 측아 아닌 하부 측 실빔(160)에 배치함으로써 크레인의 무게 중심을 낮추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붐(130)을 상승 및 하강시키는 붐 권상장치(135)는 실빔(160) 위에 배치시켜 크레인 무게중심을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3은 육상 부두에 설치되는 종래의 컨테이너 크레인에 있어서, 스프레더(10)에 대한 주 권상장치(15)와 트롤리(20)를 이동시키는 트롤리 횡행장치(25) 및 붐 권상장치(35)의 와이어로프 리빙 시스템을 도시하고 있다. 이 시스템을 이동항구의 크레인에 그대로 적용할 경우 선체 운동에 따라 로프의 흔들림으로 로프간 간섭 마모에 의한 로프 손상과 활차에서 로프의 탈선 문제가 나타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100)은 종래의 크레인과는 달리, 트롤리(120)를 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트롤리 횡행장치(125)를 트롤리(120)가 자체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자주식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기계실(180)에서는 횡행용 로프를 사용하지 않는다. 또한 스프레더(110)의 상승 및 하강을 조절하는 주 권상장치(115)도 트롤리(120)에 장착되어 독립적으로 배치되어 붐(130) 측에는 로프가 배열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트롤리 횡행장치와 붐 권상장치를 분리시켜 배치함으로써, 선박의 흔들림에도 불구하고 로프와 활차 등의 서로 간의 간섭, 마모 및 로프의 활차 이탈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5b에 도시된 것과 같이, 트롤리(120)에는 트롤리 횡행장치(125), 주 권상장치(115) 등을 작동하기 위한 전원공급 장치로서 에너지 체인(130b)이 연결될 수 있다. 트롤리는 에너지 체인(130b)에 의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붐(13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선박의 해상운항에 의한 흔들림과 강풍에도 불구하고 간섭 마모 충돌에 의한 손상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100)에는, 주행부(170)에 레일(19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다양한 레일이탈 방지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주행부(170)에는 컨테이너 크레인(100)이 주행하는 레일(190)에 회전 가능하도록 접하여 크레인의 전복 또는 이탈을 방지하는 상승 방지용 롤러(172)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도 6b를 참조하면, 주행부(170)에는 컨테이너 크레인(100)이 주행하는 레일(190)에 회전 가능하도록 접하여 크레인의 전복 또는 이탈을 방지하는 스큐 방지용 롤러(174)가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도 6c를 참조하면, 실빔(160)에는 유압에 의하여 레일(190)에 밀착 가능하여 컨테이너 크레인(100)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레일 클램프(166)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레일이탈 방지장치를 통하여 크레인의 전도를 방지하고 크레인의 움직임을 최소화 하여 하역 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100)은 또 다른 안전장치를 구비하여 크레인 격납 시 선박과 크레인을 안전하게 결속시킴으로써 태풍이나 심한 파랑에도 크레인 및 부속장치들이 궤도를 이탈하지 않거나 전도되지 않도록 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실빔(160)에는 크레인의 전복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크레인 타이다운(Tie Down)(162)이 제공된다. 크레인 타이다운(162)은 크레인 전도방지를 위하여 실빔(160)측에 턴버클(Turnbuckle) 타입의 빔으로써 선박과 크레인을 결속시키게 된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실빔(160)에는 크레인의 전복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크레인 앵커(Anchor)(164)가 제공된다. 앵커(164)는 크레인 주행 방향으로의 일주현상 방지를 위하여 실빔(160)측에 앵커 베이스 구조물을 설치하고 선박 데크 상부에 형성된 포켓에 삽입하여 크레인 주행방향으로 움직임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게 된다.
이동항구가 컨테이너를 적재한 후 부두에서 모선 간 또는 부두에서 부두로 운항 시 모바일 하버용 컨테이너 크레인은 타이다운(162)과 앵커(164)에 의하여 격납 상태로 선박 위에 고정된다.
나아가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크레인 타이다운 또는 크레인 앵커와 유사하게, 선박의 운항 및 태풍 시에 트롤리(120)가 주행방향으로 밀리거나 수직방향으로 상승되지 않도록 붐(130)과 트롤리(120)의 결속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트롤리 타이다운 및 트롤리 앵커가 설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100)은 이동항구에 설치될 수 있다. 컨테이너 크레인은 종방향 간격을 두고 2 개 이상 제공될 수 있다.
이동항구는 컨테이너 크레인의 주행부(170)와 접하며 컨테이너 크레인(100)이 이송 가능한 레일(190)과, 레일(190)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부유체(200)를 포함할 수 있다. 레일(190)은 부유체(200)의 횡방향 양단에 각각 종방향을 따라 긴 형상으로 2 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항구는 트러스터와 같은 추진장치를 구비하여 육상의 부두에서 해상으로 이동하고 해상에서 컨테이너선과의 관계에서 하역 작업을 수행한 후 다시 육상의 부두로 이동할 수 있다. 이동항구는 해상에 부유하면서 육상의 항만 대신에 또는 육상의 항만과 더불어 컨테이너선과의 사이에서 컨테이너(C)를 전달하고 컨테이너(C)를 임시적으로 적재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컨테이너선이 육상의 항만에 체류하거나 대기할 필요 없이 신속하게 하역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테이너 크레인이 설치된 이동항구는, 깊은 수심이 필요한 초대형 선박의 화물 운송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어 앞으로의 항만 시스템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각 구성요소의 재질, 크기 등을 적용 분야에 따라 변경할 수 있으며,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 또는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 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명백하다.
100: 컨테이너 크레인 110: 스프레더
115: 주 권상장치 120: 트롤리
125: 트롤리 횡행장치 130: 붐
130a: 거더
135: 붐 권상장치 140: 레그
145: 보조 레그 150: 포탈빔
160: 실빔 162: 크레인 타이다운
164: 크레인 앵커 166: 레일 클램프
170: 주행부 172: 상승 방지용 롤러
174: 스큐 방지용 롤러 180: 기계실
190: 레일 200: 부유체

Claims (8)

  1. 컨테이너를 파지하는 스프레더와, 상기 스프레더가 지지되어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트롤리와, 상기 트롤리가 이동하도록 안내하며 고정된 거더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붐과, 상기 붐 및 거더를 지지하는 복수의 레그와, 상기 복수의 레그 사이를 서로 연결하는 포탈빔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과, 상기 복수의 레그 하단에 연결되어 주행부가 제공되는 실빔을 포함하는 컨테이너 크레인과,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의 주행부와 접하며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이 이송 가능한 레일과, 상기 주행부에는 상기 레일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레일이탈 방지장치가 구비되고, 상기 레일이 종방향으로 형성되는 부유체를 포함하고,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은, 상단이 상기 레그의 상단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이 상기 포탈빔 또는 상기 레그의 하단에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1 쌍 이상의 보조 레그를 포함하고,
    상기 1 쌍 이상의 보조 레그는, 상기 포탈빔에 결합되는 때에는 V자 형상을 형성하고. 상기 레그의 하단에 결합되는 때에는 컨테이너의 이동 경로가 확보될 수 있는
    이동항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부에는 컨테이너 크레인이 주행하는 레일에 회전 가능하도록 접하여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의 전복 또는 이탈을 방지하는 상승 방지용 롤러 및 스큐 방지용 롤러가 제공되고,
    상기 실빔에는 유압에 의하여 상기 레일에 밀착 가능하여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의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레일 클램프가 제공되는 이동항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빔에는 크레인의 전복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주행부 타이다운 및 주행부 앵커가 제공되고,
    상기 트롤리에는 트롤리의 전복 또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트롤리 타이다운 및 트롤리 앵커가 제공되는 이동항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그는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2 쌍의 레그를 포함하되,
    상기 2 쌍의 레그는 상단에서의 서로 간의 종방향 간격이 하단에서의 서로 간의 종방향 간격보다 작아 상기 상기 붐과 상기 2 쌍의 레그와 상기 포탈빔의 형상이 사다리꼴을 형성하는 이동항구.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그는 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2 쌍의 레그를 포함하되 상기 2 쌍 중 1 쌍의 레그는 상기 붐의 끝단에서 바로 하방으로 연장되고,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기계실은 상기 2 쌍의 레그 사이를 종방향으로 연결하는 실빔 상에 배치되는 이동항구.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 크레인은 종방향 간격을 두고 2 개 이상 제공되는 이동항구.
  8.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부유체의 횡방향 양단에 각각 종방향으로 길게 2 개 이상 형성되는 이동항구.
KR20100024602A 2009-12-30 2010-03-19 컨테이너 크레인을 구비하는 이동항구 KR1011667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34804 2009-12-30
KR20090134804 2009-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431A KR20110079431A (ko) 2011-07-07
KR101166717B1 true KR101166717B1 (ko) 2012-07-19

Family

ID=4491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00024602A KR101166717B1 (ko) 2009-12-30 2010-03-19 컨테이너 크레인을 구비하는 이동항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7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477B1 (ko) * 2014-02-06 2016-02-18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화물 적재가 가능한 선박 거주구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174A (ja) * 2000-08-11 2002-02-26 Nippon Aikiyan Kk 構造物補強構造
JP2003207331A (ja) * 2002-01-10 2003-07-25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トロリコンベヤにおけるレール摩耗検査車および装置
KR100479867B1 (ko) * 2000-11-27 2005-03-30 주식회사 포스코 클램프 레일을 구비한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60174A (ja) * 2000-08-11 2002-02-26 Nippon Aikiyan Kk 構造物補強構造
KR100479867B1 (ko) * 2000-11-27 2005-03-30 주식회사 포스코 클램프 레일을 구비한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
JP2003207331A (ja) * 2002-01-10 2003-07-25 Nakanishi Metal Works Co Ltd トロリコンベヤにおけるレール摩耗検査車およ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9431A (ko) 2011-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54843B1 (ko) 화물을 선박으로부터 그리고/또는 선박으로 운반하기 위한 플랜트
US6802684B2 (en) Container tranfer terminal system and method
KR101112156B1 (ko) 다단 트롤리 컨테이너 크레인
JP2014507358A (ja) 荷下し及び荷積みクレーン構造、コンテナターミナル、そして船からの荷下し及び船への荷積みの為の方法
KR101166718B1 (ko) 개선된 레그 구조를 가지는 안정화된 컨테이너 크레인
US20100028105A1 (en) Floating Device for Transporting and Transferring Containers
KR100914385B1 (ko) 대형블럭의 플로팅도크 탑재방법 및 이를 이용한해상건조공법
WO2012039619A2 (en) Vessel comprising a hull with a deck and a cargo area extending in a length direction of the deck
WO2013006041A1 (en) Shear leg crane and transportation vessel
KR101166717B1 (ko) 컨테이너 크레인을 구비하는 이동항구
US4106638A (en) Ship and shore load handling system with an asymmetrical shaped pontoon for supporting carriage cables
AU4961490A (en) Container crane
US6863484B2 (en) Catamaran transfer vessel
KR20110079443A (ko) 모바일 하버를 이용한 컨테이너 하역 방법
KR20110129698A (ko) 스위블 크레인이 설치되는 이동 항구
KR101125044B1 (ko) 하향 격납되는 붐을 가지는 컨테이너 크레인
KR101112158B1 (ko) 모바일 포탈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선박
KR101112126B1 (ko) 롤링 차단 크레인 및 이를 장착한 부유체
KR20110124960A (ko) 컨테이너 크레인이 구비되는 해상 부유체
KR101383860B1 (ko) 모바일 하버 용 크레인 시스템의 트롤리 구동 장치
WO2023242651A1 (en) Crane
JP2001315685A (ja) 浮体式港湾施設の入出港支援装置
WO2024018024A1 (en) Monopiles transport and installation vessel
CN114789965A (zh) 一种海上风电基础吊运一体化工程船
KR20150000890U (ko) 안벽계류선박의 화물 선적 및 하역용 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