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9867B1 - 클램프 레일을 구비한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클램프 레일을 구비한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9867B1
KR100479867B1 KR10-2000-0070818A KR20000070818A KR100479867B1 KR 100479867 B1 KR100479867 B1 KR 100479867B1 KR 20000070818 A KR20000070818 A KR 20000070818A KR 100479867 B1 KR100479867 B1 KR 100479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support
clamp rail
unloader
c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70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1072A (ko
Inventor
이태연
김병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0-0070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9867B1/ko
Publication of KR200200410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10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9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98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9/00Auxiliary measures taken, or devices used, in connection with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20Transmit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13/00Actuating rail vehicle brakes
    • B61H13/34Details
    • B61H13/38Suspension of transmit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7/00Brakes with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track
    • B61H7/12Grippers co-operating frictionally with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9/00Brakes characterised by or modified for their application to special railway systems o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5G67/606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bulk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0Safety features of loads, equipment or pers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2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97Loading or unloading means for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클램프 레일을 구비한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역기 지지붐(125)의 하부에 설치되어, 실린더와 스프링의 상호작용에 의해 다수의 링크와 상기 링크에 연결된 죠를 동작시켜 하역기(110)를 레일(111)에 고정 또는 분리시키는 기능을 하는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111)을 양측면에서 가압 고정하는 클램프 레일부와, 상기 클램프 레일부를 지지하면서 고정 분리동작을 시키는 지지부와, 실린더와 스프링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지지부에 전달하는 링크부를 상기 레일(111)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구성상의 특징으로 하며,
하역기의 밀림현상 발생시 하역기 고정용 죠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하역기의 밀림을 방지하여, 설비의 파손과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심적 불안요소를 제거하여 하역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클램프 레일을 구비한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Unloader fixing appratus with clamp rail}
본 발명은 클램프 레일을 구비한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을 통하여 운반된 연료나 원료의 하역작업 도중에 순간적인 돌풍이나 강풍 등의 기상불량으로 발생되는 하역기의 주행 밀림 현상을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클램프 레일과 상기 클램프 레일 상에서 구름운동을 할 수 있는 다수개의 롤러 베어링을 구비한 죠를 사용하여 밀림시의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밀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클램프 레일을 구비한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하역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의 구성도이다.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는 하역기(11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선박(115)을 통하여 운반되는 광석 등과 같은 연료나 원료 등의 하역용으로 사용되는 크레인을 지칭한다.
이러한 하역기(110)는 하부에 구동장치(120)가 설치되어 이동가능토록 되어 있는 한편, 상기 하역기(110)에 설치되는 지지붐(125)에는 이동가능토록 바켓(130)이 설치되어 선박(115)에서 하역되는 연료나 원료를 퍼올리고 일정 위치로 운반한 후 하역기(110)의 측면에 설치된 호퍼(135)에 낙하시키게 되고, 그 후 상기 호퍼(135)에 연결된 이송컨베이어(140)를 통하여 연료나 원료를 운반토록 하여 저장장소 또는 운반차량에 적치토록 하게 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작업이 진행되는 도중에는 순간적으로 돌풍이나 강풍 등의 기상 불량으로 인하여 상기 하역기(110)의 밀림 현상이 발생할 수 있는데, 작업 특성상 하역작업시에는 하역기(110)가 지속적으로 주행을 행해야 하며 이로 인하여 하역기(110)를 레일(111)상에 고정시키기 위한 레일 클램프장치(155)가 레일(111)에서 분리된 상태를 유지해야하므로, 상기와 같은 밀림 현상의 발생시에는 급조작을 통해 레일 클램프장치(155)로 하역기(110)를 레일(111)에 고정시켜야만 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하역기 밀림방지 장치로서는 레일 클램프장치(155)가 사용되는데, 지지붐(125)의 하부에 설치되는 구동장치(120) 사이에 설치되어 하역기를 레일(111)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레일 클램프장치(155)는 고정박스(160)의 상부에 실린더(165)가 설치되어 그 하단으로는 반대측 단부가 죠(170)에 결합되는 클램프 로드(175)가 힌지연결되는데, 상기 클램프 로드(175)는 다수의 링크로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박스(160)의 내측에는 지지프레임(180)이 각각 결합되어 실린더(165)에 의해 지지되는 스프링(185)이 접촉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하역기의 레일 클램프장치는, 하역기(110)의 이동시에는 실린더(165)에 에어가 전달되어 로드를 하강시키고, 이때 상기 실린더(165)의 로드에 연결되는 스프링(185)을 압축시킴과 동시에 실린더(165)에 연결되는 클램프 로드(175)의 링크를 하향 이동시켜 죠(170)가 레일(111)에서 분리되도록 하여 하역기(110)가 이동가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하역기(110)의 고정시에는, 실린더(165)에서 에어를 배출토록 하여 로드를 상승시키고, 이때 상기 실린더(165)의 로드에 연결되는 스프링(185)의 탄성에 의해 실린더(165)에 연결되는 클램프 로드(175)의 링크를 상향 이동시켜 죠(170)가 레일(111)에 압착되도록 하여 하역기(110)가 일정 위치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레일 클램프장치(155)로 하역기(110)를 레일(111)에 고정하여도, 장비의 가속도와 레일 클램프 죠(170)와 레일(111)상의 틈새의 불일치 등으로 하역기(110)의 밀림을 완전히 제어할 수는 없었으며, 이로 인하여 하역기의 지지붐(125)과 선박(115)이 충돌하여 설비의 파손과 선박의 데미지가 발생할 수도 있었고, 또한 하역기의 운전실이 지지붐(125)에 위치한 관계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었다.
또한 상기 레일 클램프장치는 작동시에 주행부의 해측과 육측 레일 클램프의 작동 타이밍이 일정하지 않아 강풍에 의해 밀릴 경우 가속력이 붙어 하역기의 밀림을 원활히 제어하지 못하며, 레일 클램프 죠의 마모 발생시 조정이 힘들고 수리시간이 과다하게 소요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레일 클램프장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지상 30 m의 운전실에서 지상의 부두 근무자간 유무선을 통하여 고임목을 체결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움직이는 회전체에 고임목을 체결할 때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으며, 2000 톤 내외의 움직이는 중량물을 고임목 1~2개로 정지 시키기에는 큰 무리가 있는 실정이었다.
결과적으로 상기와 같은 장비의 밀림 현상이 자주 발생하여 설비와 선박의 충돌 등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증가하였고, 작업자의 심적인 불안으로 인하여 하역작업의 효율이 저하되어 원가상승 등의 문제점이 발생 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레일 클램프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실용신안등록출원 출원번호 99-26740호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가 선출원된 바 있으나, 상기 선출원된 고안은 하역기의 밀림으로 인하여 장치가 작동할 때 고정형과 이동형 레일 클램프가 닫히는 속도에 차이가 있어 가이드의 휨과 죠의 밀착으로 인한 지지대의 벤딩 현상 등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을 여전히 안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하역기에 돌발적으로 밀림현상이 발생하는 경우에 있어서, 클램프 레일과 상기 클램프 레일 상에서 구름운동을 할 수 있는 다수개의 롤러 베어링을 구비한 죠를 사용하여 밀림시의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밀림을 방지하여, 설비의 파손과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심적 불안요소를 제거하여 하역능률을 향상시킬수 있도록 하는 클램프 레일을 구비한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역기 지지붐(125)의 하부에 설치되어, 실린더와 스프링의 상호작용에 의해 다수의 링크와 상기 링크에 연결된 죠를 동작시켜 하역기(110)를 레일(111)에 고정 또는 분리시키는 기능을 하는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111)을 양측면에서 가압 고정하는 클램프 레일부와, 상기 클램프 레일부를 지지하면서 고정 분리동작을 시키는 지지부와, 실린더와 스프링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지지부에 전달하는 링크부를 상기 레일(111)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구비하되;
상기 클램프 레일부는, 상기 레일(111)측을 향하는 가압면과 양단부로 상향 구배의 테이퍼부를 갖도록 형성된 반대면을 구비하면서, 봉형의 클램프 레일 가이드(216)가 상기 반대면의 양단부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 클램프 레일(212)과,
상기 클램프 레일(212)의 반대면을 가압하면서 구름운동을 할 수 있는 다수개의 롤러 베어링(219)을 구비한 죠(218)와,
상기 클램프 레일 가이드(216)의 단부가 양단부에 삽입 고정되면서 중앙에 가이드 홈(215a)이 형성된 가이드 바(21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수직의 봉형상을 가지되, 하부에 상기 죠(218)를 회전가능한 형태로 결합 고정하고, 그 반대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215a)에 삽입되도록 돌출형성된 지지대 가이드(217)를 구비한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 본체 하단부에 관통 설치되면서 양단부가 상기 클램프 레일 가이드(216)에 각각 고정 결합되고 양측으로 그 외주면에 스프링(224)을 삽입 설치한 스토퍼(2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크부는, 레일(111)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대(210)의 상부에 그 양단부가 회전가능한 형태로 각각 체결되는 수평 링크(222)와,
상기 수평 링크(222)의 중앙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되, 상단부에 연결된 실린더(214)와 상기 수평 링크(222)의 상부면 사이에 스프링(213)을 삽입 설치한 실린더 링크(221)와,
상기 실린더 링크(221)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한 형태로 체결되고 상기 지지대(210) 본체의 상부에 반대측 단부가 회전가능한 형태로 체결되는 연결 링크(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클램프 레일부의 클램프 레일(212)의 일측면은 레일(111)과 마찰할 수 있는 면을 가지며, 또 다른 일측면은 죠(218)의 롤러 베어링(219)이 밀리는 것을 저지할 수 있도록 양단부로 상향 구배를 갖는 테이퍼부를 가진다.
클램프 레일 가이드(216)는 각 2개씩 그 일단부가 상기 클램프 레일(212)의 양단부에 고정되고, 또 타측 단부는 자유단으로서 가이드 바(215)의 양단부의 홈에 삽입 고정된다.
상기 가이드 바(215)는 양단부에 각각 2개의 홈이 형성되었으며, 중앙에는 사각형 단면의 지지대 가이드(217)가 관통 삽입될 수 있는 가이드 홈(215a)이 형성된다.
지지부의 지지대(210)는 하부의 클램프 레일(212)측에 죠(218)를 핀으로 결합하여 회전가능한 형태로 고정할 수 있는 홈이 형성되고, 그 반대측에 상기 가이드 바(215)의 가이드 홈(215a)에 삽입될 수 있는 사각형 단면의 지지대 가이드(217)가 돌출형성되며, 한편 상부는 연결부의 연결 링크(220)와 수평 링크(222)가 핀으로 회전가능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도록 2개의 관통 홈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대(210)의 본체 하부에는 스토퍼(223)의 지름보다 약간 크고 스프링(224) 보다는 작은 직사각형의 홈이 형성되어 상기 스토퍼(223)가 상기 직사각형 홈에 관통 삽입되며, 상기 스토퍼(223)는 그 양측에 스프링(224)이 삽입 설치되면서 양측 단부가 클램프 레일 가이드(216)에 고정 결합된다.
죠(218)는 일측면이 상기 지지대(210)의 내측 홈에 삽입되어 핀에 의해 결합되고, 타측면에는 다수개의 롤러 베어링(219)이 삽입되어 가압시의 압력 하중을 분산하여 충분하게 견딜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클램프 레일부와 지지부는 레일(211)을 중심으로 양측에 대칭적으로 설치된다.
링크부의 수평 링크(222)는 양단부가 각각 상기 지지대(210)의 상부에 형성된 홈에 핀으로 결합되고, 중앙부의 홈으로는 실린더 링크(221)가 수직으로 관통 삽입되며, 연결 링크(220)는 일단부가 상기 지지대(210)의 상부에 형성된 홈에 핀으로 결합되고 타단부는 상기 실린더 링크(221)의 하단부에 핀으로 결합된다.
상기 실린더 링크(221)의 상부에는 스프링(213)이 삽입되고, 그 상단부에는 모터(도면 미도시)와 유압 실린더(214)가 연결 설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5a는 정상적으로 고정된 경우를 나타내고 도 5b는 밀림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다.
선박이 입항한 후 하역기의 바켓을 이용하여 하역작업이 이루어지는 도중 돌풍이나 강풍 등의 기상불량으로 인하여 하역기의 밀림현상이 발생하게 되면, 운전실에서는 클램프 스위치(도면 미도시)를 작동하게 되고, 이에 의해 유압모터(도면 미도시)가 가동되어 분배변(도면 미도시)을 통하여 실린더(214)의 작동유가 배출되면서 실린더 링크(221)가 스프링(213)의 탄성력에 의하여 상승하게 된다.
이때 실린더 링크(221)의 하단부에 결합된 연결 링크(220)의 단부도 같이 상승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연결 링크(220)의 타단부에 연결된 지지대(210)가 레일(111) 측으로 회전력을 받게 되고, 그 하단부에 설치된 죠(218)가 클램프 레일(212)을 고정 압박 하게 되므로 하역기가 레일(111)상에서 고정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하역기의 밀림이 계속 진행되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대(210)에 고정된 죠(218)의 롤러 베어링(219)이 상기 클램프 레일(212)의 테이퍼부상으로 진입하면서 상기 실린더(214)를 압축하는 형상이 되어 하역기의 밀림이 더욱 견고하게 방지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도 5a의 상태에서 도 5b의 상태로 변화되는 경우에 이뤄지게 되는데,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의 죠(218)는 클램프 레일(212)의 테이퍼부의 구배를 따라 롤러 베어링(219)이 움직일 때에 지지대(210)와의 결합용 핀에 의해 회전되면서 높아지는 압력을 분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때 지지대 가이드(217)는 가이드 바(215)에 의해 지지되어 지지대(210)와 클램프 레일(212)간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하역기의 밀림현상이 멈추게 되면 운전실(도면 미도시)에서는 주행을 위하여 클램프 스위치(도면 미도시)를 오픈으로 선택하게 되고, 유압모터(도면 미도시)가 가동되면서 작동유가 분배변을 통하여 실린더(214)에 압입되어 실린더 링크(221)가 하강되므로, 죠(218)와 클램프 레일(212)이 레일(111)과의 사이에 틈새를 주어 하역기가 이동하는데 간섭이 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주행을 위하여 다시 클램프 레일(212)을 오픈하게 되면, 클램프 레일(212)은 지지대(210) 하부에 관통 설치되면서 스프링(224)이 구비된 스토퍼(223)와 그 양단부에 고정된 클램프 레일 가이드(216)에 의해 원위치 되고, 이에 의해 지지대(210)에 하부에 설치된 죠(218)도 클램프 레일(212)에 대한 상대 위치에 있어서 원위치로 오게 되어, 상기와 같은 전체 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클램프 레일을 구비한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는, 클램프 레일과 상기 클램프 레일 상에서 구름운동을 할 수 있는 다수개의 롤러 베어링을 구비한 죠를 사용하여 밀림시의 압력을 분산시킴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하역기의 밀림을 방지하여, 설비의 파손과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심적 불안요소를 제거하여 하역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하역기를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의 구성도,
도 3는 본 발명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의 작동상태도로서, 도 5a는 정상적으로 고정된 경우를 나타내고 도 5b는 밀림이 발생한 경우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1: 레일 210: 지지대
212: 클램프 레일 213: 스프링
214: 유압 실린더 215: 가이드 바
216: 클램프 레일 가이드 217: 지지대 가이드
218: 죠 219: 롤러 베어링
220: 연결 링크 221: 실린더 링크
222: 수평 링크 223: 스토퍼
224: 스프링

Claims (1)

  1. 하역기 지지붐(125)의 하부에 설치되어, 실린더와 스프링의 상호작용에 의해 다수의 링크와 상기 링크에 연결된 죠를 동작시켜 하역기(110)를 레일(111)에 고정 또는 분리시키는 기능을 하는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111)을 양측면에서 가압 고정하는 클램프 레일부와, 상기 클램프 레일부를 지지하면서 고정 분리동작을 시키는 지지부와, 실린더와 스프링에 의한 구동력을 상기 지지부에 전달하는 링크부를 상기 레일(111)을 중심으로 대칭적으로 구비하되;
    상기 클램프 레일부는,
    상기 레일(111)측을 향하는 가압면과 양단부로 상향 구배의 테이퍼부를 갖도록 형성된 반대면을 구비하면서, 봉형의 클램프 레일 가이드(216)가 상기 반대면의 양단부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된 클램프 레일(212)과,
    상기 클램프 레일(212)의 반대면을 가압하면서 구름운동을 할 수 있는 다수개의 롤러 베어링(219)을 구비한 죠(218)와,
    상기 클램프 레일 가이드(216)의 단부가 양단부에 삽입 고정되면서 중앙에 가이드 홈(215a)이 형성된 가이드 바(21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는,
    수직의 봉형상을 가지되, 하부에 상기 죠(218)를 회전가능한 형태로 결합 고정하고, 그 반대측에는 상기 가이드 홈(215a)에 삽입되도록 돌출형성된 지지대 가이드(217)를 구비한 지지대(210)와,
    상기 지지대(210) 본체 하단부에 관통 설치되면서 양단부가 상기 클램프 레일 가이드(216)에 각각 고정 결합되고 양측으로 그 외주면에 스프링(224)을 삽입 설치한 스토퍼(22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링크부는,
    레일(111) 양측에 위치하는 상기 지지대(210)의 상부에 그 양단부가 회전가능한 형태로 각각 체결되는 수평 링크(222)와,
    상기 수평 링크(222)의 중앙부를 수직으로 관통하되, 상단부에 연결된 실린더(214)와 상기 수평 링크(222)의 상부면 사이에 스프링(213)을 삽입 설치한 실린더 링크(221)와,
    상기 실린더 링크(221)의 하단부에 일단부가 회전가능한 형태로 체결되고 상기 지지대(210) 본체의 상부에 반대측 단부가 회전가능한 형태로 체결되는 연결 링크(2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레일을 구비한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
KR10-2000-0070818A 2000-11-27 2000-11-27 클램프 레일을 구비한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 KR100479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818A KR100479867B1 (ko) 2000-11-27 2000-11-27 클램프 레일을 구비한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70818A KR100479867B1 (ko) 2000-11-27 2000-11-27 클램프 레일을 구비한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072A KR20020041072A (ko) 2002-06-01
KR100479867B1 true KR100479867B1 (ko) 2005-03-30

Family

ID=197015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70818A KR100479867B1 (ko) 2000-11-27 2000-11-27 클램프 레일을 구비한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986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900B1 (ko) * 2010-01-05 2010-09-02 주식회사 금양테크 하역장비용 가압식 레일 클램프
KR20110077222A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포스코 풍력 클램핑 장치
KR101166717B1 (ko) * 2009-12-30 2012-07-19 한국과학기술원 컨테이너 크레인을 구비하는 이동항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19697A (ko) * 2002-08-29 2004-03-06 주식회사 포스코 하역기의 이동형 레일 스토퍼 장치
KR100785732B1 (ko) * 2006-11-17 2007-12-18 (유)한국엑츄언트 고하중 구조물 이송장치
KR100913746B1 (ko) * 2007-08-08 2009-08-24 (유)한국엑츄언트 고하중 구조물 이송방법
KR101253925B1 (ko) * 2011-06-29 2013-04-16 한국기술산업주식회사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CN110819983B (zh) * 2019-11-27 2022-02-08 江苏理工学院 一种轨道表面覆层夹具
CN115196359A (zh) * 2022-07-27 2022-10-18 郭均 一种物流货箱锁定装置及锁定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111867U (ko) * 1979-02-01 1980-08-06
US4236608A (en) * 1978-10-30 1980-12-02 Jacob Kobelt Compact caliper brake
JPS58105871A (ja) * 1981-12-21 1983-06-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レ−ルクランプ
JPH09123908A (ja) * 1995-10-31 1997-05-13 H S S T Kaihatsu Kk 磁気浮上式鉄道のブレーキ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6608A (en) * 1978-10-30 1980-12-02 Jacob Kobelt Compact caliper brake
JPS55111867U (ko) * 1979-02-01 1980-08-06
JPS58105871A (ja) * 1981-12-21 1983-06-23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レ−ルクランプ
JPH09123908A (ja) * 1995-10-31 1997-05-13 H S S T Kaihatsu Kk 磁気浮上式鉄道のブレーキ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7222A (ko) * 2009-12-30 2011-07-07 주식회사 포스코 풍력 클램핑 장치
KR101166717B1 (ko) * 2009-12-30 2012-07-19 한국과학기술원 컨테이너 크레인을 구비하는 이동항구
KR101701350B1 (ko) * 2009-12-30 2017-02-01 주식회사 포스코 풍력 클램핑 장치
KR100978900B1 (ko) * 2010-01-05 2010-09-02 주식회사 금양테크 하역장비용 가압식 레일 클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1072A (ko) 2002-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9867B1 (ko) 클램프 레일을 구비한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
EP1132300A1 (en) Bag mouth sealing device
MXPA01004105A (es) Sujetador de vehiculo con flotacion vertical.
EP2144786B1 (en) Tensioning device
US6502879B1 (en) Spreader for container crane
KR101008058B1 (ko) 주행 레일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하역기용 레일클램프
US10351149B2 (en) Rail car lifting device
EP2753567B1 (en) Apparatus for tipping containers or movable cases
CA2489314C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truck tarp loading
KR200429036Y1 (ko)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US5098038A (en) Retractable guide apparatus
US4850294A (en) Hatchway panel with improved sealing device, particularly usable for equipping container carrying ships
US5085557A (en) Large part rollover device
US5344207A (en) Tire lifting apparatus
US3760961A (en) Load compensated car dumper clamp
KR100790321B1 (ko) 슬라이드 적재프레임 구조
US6598916B2 (en) Spreader for container crane
US20040051325A1 (en) Gripping means
US3092065A (en) Multi-section closing or lift-lock devices having retractable bearing members
DE2650034B2 (de) An der Hubtraverse insbesondere eines Brammentransportkranes mindestens paarweise befestigte, selbstschließende Zange
CN110304381A (zh) 自装卸式垃圾车
KR200183925Y1 (ko)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
CN109911475B (zh) 一种垃圾转运箱后门与压缩机构对接的启闭装置
CN220203423U (zh) 倾斜式重型混凝土运输布料一体机
CN220392231U (zh) 一种自卸物料爪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0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