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925B1 -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 Google Patents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925B1
KR101253925B1 KR1020110063787A KR20110063787A KR101253925B1 KR 101253925 B1 KR101253925 B1 KR 101253925B1 KR 1020110063787 A KR1020110063787 A KR 1020110063787A KR 20110063787 A KR20110063787 A KR 20110063787A KR 101253925 B1 KR101253925 B1 KR 101253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ke wheel
link
rail
wheel
bra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3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2677A (ko
Inventor
정해선
박태진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산업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산업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한국기술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3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925B1/ko
Publication of KR20130002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2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1/00Supporting frames or bases for conveyors as a whole, e.g. transportable conveyor frames
    • B65G41/02Frames mounted on wheels for movement on rail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HBRAKES OR OTHER RETARD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AIL VEHICLES; ARRANGEMENT OR DISPOSITION THEREOF IN RAIL VEHICLES
    • B61H7/00Brakes with braking members co-operating with the track
    • B61H7/12Grippers co-operating frictionally with t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7/00Devices for assisting manual moving or tilting heavy loads
    • B65G7/12Load carriers, e.g. hooks, slings, harness, gloves, modified for load carr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arriers, Traveling Bodies, And Overhead Traveling Cranes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림방지장치는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운송장치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장치로서, 운송장치의 하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변형 브래킷; 가변형 브래킷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어 가변형 브래킷의 높이 조절에 의해 지면에 밀착되어 회전하거나 이격되는 제동차륜; 및 제동차륜의 회전에 연계하여 레일에 물림고정되도록 제공된 클램프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ANTI-PUSHING APPARATUS AND UNLOADER OF USE IT}
본 발명은 외적 요인에 의해 주행장치가 밀리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용 연, 원료 등은 선박을 통해 이송되며, 하역기(unloader)를 통해 육상의 저장시설로 하역된다.
이러한 하역기는 육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본체를 포함하고, 이 본체에 설치된 버켓(bucket) 장치를 이용하여 호퍼에 연, 원료 등의 운송물을 하역 작업한다.
이와 같이, 연, 원료의 하역 작업이 이루어지는 지역은 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입지조건상 바닷가 등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이에 따라 기상 조건, 즉 순간적인 돌풍, 강풍 등에 의해 하역기가 밀리게 되어 작업 지연 등이 발생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역기의 주행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하역기(10)의 본체(12) 하단에는 주행부(20)가 구비되고, 이 주행부(20)는 부두 육상에 설치된 주행레일(25)의 궤도를 따라서 주행하는 구조로 제공된다.
주행부(20)는 복수의 주행차륜(22)을 포함하고 있으며, 주행부(20)의 일측에는 하역기 본체(12)가 강풍이나 돌풍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역기(10)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유지장치(30)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이 고정유지장치(30)가 주행레일(25)의 측면과 맞물리며 하역기(10)의 밀림 또는 이동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하역기(10)에 설치된 고정유지장치(30)만으로는 하역기(10)에 발생하는 주행밀림을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으며, 이에 따라 바람이 순간적으로 강하게 부는 돌풍 또는 강풍 등의 악조건 하에서는 하역기(10)의 주행 밀림을 방지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돌풍 또는 강풍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하역기(10)가 밀릴 경우, 고정유지장치(30)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일단 하역기(10)에 주행 밀림이 발생할 경우 그 가속도로 인하여 하역기(10)를 제동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하역기(10)가 인접 설비 등에 부딪혀서 정지할 때까지 고속으로 밀리게 되며, 이에 따라 주변 시설물 및 작업자 등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하역기(10)에 주행 밀림이 발생하면, 부두 육상에 배치된 작업자가 주행차륜(22)에 고임목 등을 설치하여 주행 밀림을 방지하고 있으나, 고임목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하역기(10)가 돌풍 또는 강풍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바닷가에 위치되는바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돌풍이나 강풍에 의한 하역기(10)의 주행 밀림을 방지할 수 없어, 하역기(10)의 주행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순간 돌풍 또는 강풍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하역기가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한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림방지장치는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운송장치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장치로서, 운송장치의 하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변형 브래킷; 가변형 브래킷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어 가변형 브래킷의 높이 조절에 의해 레일에 밀착되어 회전하거나 이격되는 제동차륜; 및 운송장치의 일측에 제공되어 제동차륜의 회전에 연계하여 제동차륜의 일측에 접촉되며 가압됨에 따라 레일을 물림고정하도록 가변되는 클램프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가변형 브래킷은 운송장치의 일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동차륜의 회전축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동차륜을 지지하는 제1링크와, 제동차륜의 회전축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링크와, 제2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링크와 이격되어 운송장치의 타측에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링크를 매개로 제동차륜을 지지하는 제3링크와, 제1링크, 제2링크 및 제3링크 중 적어도 하나와 운송장치의 다른 일측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송장치와 가변형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어 제동차륜이 지면이 밀착하도록 가변형 브래킷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제동차륜의 일측에 제공되어 제동차륜의 폭을 증가시키는 폭확장부를 포함하고, 클램프 유닛은 운송장치에 제공되어 제동차륜의 양측에 위치되는 프레임과, 프레임의 일측에 제동차륜의 상부 측면과 레일의 측면 사이에 양단부가 선회가능하게 제공되어, 제동차륜의 폭확장부 진입에 의해 선회하며 레일에 물림고정되는 클램프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동차륜의 일측에 제공되어 제동차륜의 폭을 증가시키는 폭확장부를 포함하고, 폭확장부는 제동차륜의 양측단부에서 회전방향으로 소정구간 점층적으로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동차륜의 일측에 제공되어 제동차륜의 폭을 증가시키는 폭확장부를 포함하고, 제동차륜의 일측에 설치되어 폭확장부가 하향 이동하도록 제동차륜을 자유회전시키는 중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아암의 단부에 구비된 브레이크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하역기는 운송물을 이동 또는 하역하기 위한 운송부가 구비된 본체;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부; 및 본체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전술된 밀림방지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폭확장부는 제동차륜의 양측단부에서 회전방향으로 소정구간 점층적으로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동차륜의 일측에 설치되어 폭확장부가 하향 이동하도록 제동차륜을 자유회전시키는 중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유닛은 레일과 접촉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역기의 밀림이 발생할 경우, 제동차륜의 회전에 연동하여 클램프유닛이 레일에 물림되도록 제공되어 하역기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하역기의 밀림 방지에 따라 하역기 및 주변 시설물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의 안전사고 등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하역기가 이동할 경우, 밀림방지장치가 레일로부터 이탈되어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하역기가 이동하지 않거나, 하역 작업을 위해 멈춘 경우, 밀림방지장치가 자동적으로 작동하여 하역기의 주행 밀림을 방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하역 작업을 더욱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하역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고, 이로 인한 조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역기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구비된 하역기가 선박으로부터 운송물을 하역하는 상태의 정면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구비된 하역기가 선박으로부터 운송물을 하역하는 상태의 측면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구비된 하역기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물림고정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물림고정된 상태의 정면도.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의 제동차륜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와 정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의 클램프 아암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의 클램프 아암이 주행레일에 물림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해제된 상태의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해제된 상태의 측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해제된 상태의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의 클램프 아암이 주행레일에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는 주행부를 갖는 운송장치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운송장치의 일례로는 하역기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구비된 하역기가 선박으로부터 운송물을 하역하는 상태의 정면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구비된 하역기가 선박으로부터 운송물을 하역하는 상태의 측면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구비된 하역기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의 밀림방지장치(150)는 가변형 브래킷과, 제동차륜과, 클램프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밀림방지장치(150)는 레일(125) 등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운송장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운송장치에 발생할 수 있는 주행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운송장치는 바닷가 등에 설치되어 선박(100) 등에 의해 운송물을 하역 또는 이송하는 하역기(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하역기(110)는 순간적인 돌풍이나 강풍 등에 의해 주행 밀림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하역기(110)에 밀림방지장치(150)를 설치하여 하역기(110)의 하역 작업 중 또는 정지 중에 주행 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하역기(110)는 운송물을 이송 또는 하역하기 위한 운송부(114)가 구비된 본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운송부(114)는 선박(100)의 본체(102)에 구비된 저장부와 육상(115) 등에 구비되는 처리부 사이에 연료 또는 원료 등의 운송물을 하역 또는 이송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운송부(114)는 본체(112)에 설치되어 저장부와 처리부 사이로 연장된 이동대(11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송부(114)는 이러한 이동대(116)를 따라 저장부와 처리부 사이를 이동하며 운송물을 담아 이동하기 위한 버켓(bucket) 장치(118))가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하역기(110)는 버켓 장치(118)를 이동대(116)를 따라 저장부 등으로 이동시킨 후, 버켓 장치(118)를 저장부로 하강시켜 운송물을 담는다. 그리고, 하역기(110)는 이를 상승시킨 다음, 이동대(116)를 따라 처리부로 이동하여 운송물을 하역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운송물의 하역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하역기(110)는 필요에 따라 작업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본체의 하부에 주행부(120)가 구비될 수 있다. 주행부(120)는 복수의 주행차륜(1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주행차륜(122)이 육상의 작업면에 설치된 주행레일(125)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하역기(110)는 주행부(120)의 주행차륜(122)이 주행레일(125)에 안착된 상태에서 주행레일(125)을 따라 궤도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하역기(110)는 운송물의 하역 작업 중 순간적인 돌풍이나 강풍 등의 외적요인에 의해 하역기(110)가 이동 또는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유지장치(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고정유지장치(130)는 본체(112)의 일측, 일례로 본체(112) 중앙의 하부에 설치되어 주행레일(122)의 측면에 물림 고정되며 하역기(110)의 이동 또는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하역기(110)는 순간적인 돌풍이나 강풍 등의 외적 요인에 고정유지장치(130)가 제 역할을 못하게 되어 밀릴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물림고정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물림고정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은 본 실시예의 밀림방지장치(150)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밀림방지장치(150)의 작동에 따라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밀림방지장치(150)는 하역기(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의 일측에는 회전가능하게 제공된 제동차륜(16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이에 따라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의 높이를 조절하여 제동차륜(160)을 주행레일(125)에 밀착하거나 이격시킬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은 하역기(110)의 본체(112) 일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링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링크들의 상호 연결구조에 의해 가변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의 형태 또는 연결구조는 한정되지 않으며, 제동차륜(16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의 각 링크들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제동차륜(160)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으며, 한 쌍의 링크들 사이가 부분적으로 연결되거나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각 링크들은 힌지부재 또는 핀부재 등의 회전연결부재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은 하역기(110)의 본체(112) 하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112) 일측에 회전연결부재를 매개로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링크(1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링크(152)의 타단은 제동차륜(160)의 회전축에 회전연결부재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에 따라 본체(112)에 대해 제동차륜(16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동차륜(160)의 회전축에는 제2링크(154)의 일단이 회전연결부재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링크(154)의 타단에는 제3링크(156)가 회전연결부재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링크(156)는 제1링크(152)와 이격되어 본체(112)의 다른 일측에 회전연결부재를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링크(156)는 제2링크(152)를 매개로 본체(112)에 대해 제동차륜(16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은 전체적으로 제1링크(152)를 한 변으로 하고, 제2링크(154) 및 제3링크(156)를 다른 한 변으로 하는 삼각형 구조로 배치되어 제동차륜(16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링크(154)와 제3링크(156)가 상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제2링크(154)와 제3링크(156)가 접히면서 제동차륜(160)을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은 자동으로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액츄에이터(170)는 유압실린더(17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압실린더(172)는 일단이 본체(112)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이 유압실린더(172)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174)의 단부는 제2링크(154) 또는 제3링크(156)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제2링크(154) 또는 제3링크(156)를 회동시켜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을 가변시킬 수 있다.
즉,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은 액츄에이터(170)의 유압실린더(172)에 의해 로드(174)가 수축하면 제2링크(154) 및 제3링크(156)가 접히는 방향(일례로 상향)으로 회동되고, 이와 연동하여 제1링크(152)도 회동하며 제2링크(154) 및 제1링크(152)에 설치된 제동차륜(160)을 주행레일(125)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은 액츄에이터(170)의 유압실린더(172)에 의해 로드(174)가 신장하면 제2링크(154) 및 제3링크(156)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와 연동하여 제1링크(152)도 회동하며 제2링크(154) 및 제1링크(152)에 설치된 제동차륜(160)을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에 밀착시킬 수 있다.
더불어, 제2링크(154)와 제3링크(156)에는 과도한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수단(158)이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스토퍼수단(158)은 제2링크(154)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3링크(156)의 일측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지면과 인접하는 방향의 제2링크(154)와 제3링크(156)의 꺽임각이 소정의 각도, 일례로 180도 이하로 유지되도록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수단(158)은 제3링크(156)의 단부 상측에 돌출된 돌출부(158a)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링크(154)의 일측에는 제3링크(156)의 돌출부(158a)가 걸리도록 제공된 슬릿홈을 갖는 멈춤뭉치(158b)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슬릿홈은 제3링크(156)의 돌출부(158a)가 제2링크(154)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원호 형상에 대응하는 장공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수단(158)은 돌출부(158a)와 멈춤뭉치(158b)에 형성된 슬릿홈의 결합에 의해 작용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그 구성은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일례로 스토퍼수단(158)은 제2링크(154)의 단부 상측에 돌출된 돌출부(158a)와, 제3링크(156)의 측면에 돌출되어 제2링크(154)의 돌출부(158a)에 걸리도록 제공된 멈춤뭉치(158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수단(158)에서 돌출부는 제3링크(156)에서 돌출형성될 수 있고, 돌출부에 걸리도록 제공된 멈춤뭉치는 제2링크(154)의 측면에서 돌출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하역기(110)의 본체(112)와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 사이에는 제동차륜(160)을 주행레일(125)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176)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탄성부재(176)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76)는 본체(112)의 하부 일측과 제2링크(154)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176)의 탄성력에 의해 제2링크(154)와 제3링크(156)가 펼쳐지도록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76)는 액츄에이터(170)에 연결된 유압 호스 등의 연결상태가 원활하지 않거나, 분리 또는 고장 등의 작동이상이 발생할 경우, 보조적으로 밀림방지장치(150)를 작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밀림방지장치(150)는 액츄에이터(170)에 의해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탄성부재(176)는 보조적인 안전기능을 하게 되며, 밀림방지장치(150)는 액츄에이터(170)의 작동 이상시 자체적인 자중 등에 의해서도 지면과 밀착되며 하역기(110)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은 본체(112)의 하부에 직접 설치될 수 있으며, 높이 조절 등을 위해 본체(112)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부재(153, 157)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 하역기(110)에는 본체(112)의 하부와 제1링크(152) 및 제3링크(156) 사이에 각각 제1지지부재(153)와 제3지지부재(157)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은 각 링크부재 또는 액츄에이터(170)나 탄성부재(176)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53, 157)로 인해, 각 링크의 크기를 줄이거나 설치 위치 등을 더 용이하게 설계변형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은 본체(112)에 설치된 지지부재(153, 157)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체(112)에 설치된 프레임(140)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8의 (a)와 (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의 제동차륜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와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의 클램프 아암을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의 클램프 아암이 주행레일에 물림 고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제동차륜(160)의 외경에는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탄성휠(162)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휠(162)의 일례로는 고무 또는 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밀림방지장치(150)는 하역기(110) 등의 운송장치의 주행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제동차륜(160)의 회전에 연계하여 주행레일(125)에 물림고정되는 클램프 유닛(18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동차륜(160)의 일측에는 폭을 증가시키도록 제공된 폭확장부(164)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폭확장부(164)는 제동차륜(160)의 양측단부에서 소정구간 점층적으로 돌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폭확장부(164)는 소정구간 동안 점층적으로 돌출한 후, 다시 점강적으로 돌출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폭확장부(164)는 제동차륜(160)의 양측단부에서 회전방향으로 점층적으로 돌출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램프 유닛(180)은 운송장치, 일례로 하역기(110)의 하부에는 제동차륜(160)의 양측에 위치되는 한 쌍의 프레임(1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프레임(140)의 일측에는 클램프 아암(182)의 중간부분이 힌지부재 또는 핀부재 등의 회전연결부재(184)에 의해 선회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클램프 아암(182)은 양 단부가 제동차륜(160)의 상부 측면 또는 주행레일(125)의 측면 사이에 위치될 수 있으며, 클램프 아암(182)의 회전시 양 단부가 선회축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적으로 이동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램프 유닛(180)은 제동차륜(160)이 회전함에 따라 제동차륜(160)의 폭확장부(164)가 클램프 아암(182)의 상부 공간 사이로 진입하게 되며, 이에 따라 제동차륜(160)의 폭확장부(164)가 클램프 아암(182)의 상부와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제동차륜(160)의 회전이 진행함에 따라 클램프 아암(182)의 상부를 가압하게 되어 클램프 아암(182)을 선회시킨다. 이와 동시에 클램프 아암(182)의 하부는 상부의 선회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으로 선회하며 주행레일(125)의 측면에 물림고정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클램프 아암(182)의 단부에는 주행레일(125)에 접촉시 마찰에 의한 마모 등을 방지하기 위해 브레이크패드(186)가 더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브레이크패드(186)는 클램프 아암(182)의 하부에 제공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클램프 아암(182)의 상부가 폭확장부(164)에 접촉시 발생하는 마찰에 의한 마모 등을 방지하기 위해 클램프 아암(182)의 상부에도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해제된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해제된 상태의 측면도이며,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해제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또한,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의 클램프 아암이 주행레일에 해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역기(110)의 이동을 위해서는 클램프 아암(182)과 주행레일(125)을 이격시켜 클램프 유닛(180)의 작동을 해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동차륜(160)이 주행레일(125)로부터 이격될 경우, 제동차륜(160)의 폭확장부(164)가 클램프 아암(182)의 상부로부터 이탈되도록 제동차륜(16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제동차륜(160)이 주행레일(125)로부터 이격되면 폭확장부(164)를 하향 이동시키는 제동차륜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동차륜 회전부는 제동차륜(160)의 일측에 설치된 중량체(166)를 포함할 수 있다. 중량체(166)는 제동차륜(160)의 폭확장부(164)와 인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중량체(166)는 제동차륜(16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분리형으로 이루어져 용접 또는 물리적 체결구조에 의해 제동차륜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동차륜(160)의 일측면에는 스터드(stud) 등의 고정부재(167)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중량체(166)에는 고정부재(167)에 삽입되도록 관통홀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중량체(166)를 제동차륜(160)에 고정할 수 있다.
전술된 바와 같이, 제동차륜(160)이 주행레일(160)로부터 이격되면, 중량체(160)의 자중에 의해 제동차륜(160)이 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중량체(166) 및 이와 인접한 폭확장부(164)가 최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동차륜(160)의 자유회전에 의해 폭확장부(164)는 상부의 클램프 아암(182) 사이에서 이탈되며, 이에 따라 클램프 아암(182)의 상부에 대한 가압력이 제거되어 클램프 아암(182)의 하부가 주행레일(125)에 대한 물림을 해제하며 이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밀림방지장치(150)에 의해 하역기의 주행밀림이 방지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밀림방지장치(150)는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을 가변시켜 제동차륜(160)을 주행레일(125)에 밀착시킨다.
이때,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은 액츄에이터(170)의 유압실린더(172)에 의해 로드(174)가 팽창되고, 이 로드(174)의 팽창에 연계하여 제2링크(154) 및 제3링크(156)가 하강하게 되며, 이와 연동하여 제1링크(152)도 하강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링크(152), 제2링크(154) 및 제3링크(156)로 이루어진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의 가변에 의해 제동차륜(160)이 주행레일(125)과 밀착하게 된다.
더불어, 이때, 하역기(110)는 고정유지장치(130)에 의해 주행레일(125)에 물림되며, 이에 따라 주행레일(125)에 고정되어 밀림이 방지되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순간적인 돌풍이나 강풍 등의 외적요인이 하역기(110)로 전달될 경우, 고정유지장치(130)의 고정력을 넘어서게 되면 하역기(110)에 밀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역기(110)가 고정유지장치(1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순간적인 돌풍이나 강풍 등의 외적요인에 의해 하역기(110)가 밀리게 되면, 하역기(110)의 밀림에 의해 주행레일(125)에 밀착된 제동차륜(160)에 회전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도 10을 참고하면, 하역기(110)는 제동차륜(160)이 주행레일(125)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역기(110)의 밀림이 발생하면, 밀림 초기에 제동차륜(160)이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동차륜(160)이 회전을 지속함에 따라 제동차륜(160)의 폭확장부(164)가 클램프 유닛(180)의 클램프 아암(182) 상부의 공간으로 진입하며, 클램프 아암(182)의 상부를 가압하여 클램프 아암(182)을 선회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클램프 아암(182)이 선회하면, 클램프 아암(182)의 하부가 주행레일(125)의 측면에 물림되며 하역기(110)의 주행 밀림을 방지한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역기(110)의 이동시에는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에 의해 제동차륜(160)이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과 이격되며 밀림방지장치(150)의 작동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밀림방지장치(150)는 액츄에이터(170)의 작동에 의해 유압실린더(172)가 로드(174)를 신축시키면,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이 상승하며 제동차륜(160)이 주행레일(125)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동차륜(160)이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로부터 이격되면, 제동차륜(160)의 폭확장부(164)가 클램프 아암(182) 사이의 공간에서 이탈되고, 이와 동시에 제동차륜(160)은 중량체(166) 및 폭확장부(164)의 자중에 의해 하향으로 자유회전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도 14와 같이, 제동차륜(160)의 폭확장부(164)가 클램프 아암(182) 사이의 공간에서 이탈되면, 클램프 아암(182)의 상부를 가압하던 힘이 상쇄됨에 따라 클램프 아암(182)의 하부가 주행레일(125)로부터 이격되며 하역기(110)가 이동할 수 있도록 밀림방지장치의 작동을 해제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 선박 110 : 하역기
112 : 본체 114 : 운송부
115 : 육상 116 : 이동대
118 : 버켓 장치 120 : 주행부
122 : 주행차륜 125 : 주행레일
130 : 고정유지장치 140 : 프레임
150 : 밀림방지장치 152 : 제1링크
153, 157 : 지지부재 154 : 제2링크
156 : 제3링크 158 : 스토퍼수단
160 : 제동차륜 164 : 폭확장부
166 : 중량체 167 : 고정부재
170 : 액츄에이터 172 : 유압실린더
174 : 로드 176 : 탄성부재
180 : 클램프 유닛 182 : 클램프 아암
184 : 회전연결부재 186 : 브레이크패드

Claims (11)

  1.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 운송장치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장치로서,
    상기 운송장치의 하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변형 브래킷;
    상기 가변형 브래킷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가변형 브래킷의 높이 조절에 의해 상기 레일에 밀착되어 회전하거나 이격되는 제동차륜; 및
    상기 운송장치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동차륜의 회전에 연계하여 상기 제동차륜의 일측에 접촉되며 가압됨에 따라 상기 레일을 물림고정하도록 가변되는 클램프 유닛;
    을 포함하는 밀림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브래킷은
    상기 운송장치의 일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동차륜의 회전축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동차륜을 지지하는 제1링크와,
    상기 제동차륜의 회전축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링크와 이격되어 상기 운송장치의 타측에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링크를 매개로 상기 제동차륜을 지지하는 제3링크와,
    상기 제1링크, 상기 제2링크 및 상기 제3링크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운송장치의 다른 일측 사이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송장치와 상기 가변형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동차륜이 지면이 밀착하도록 상기 가변형 브래킷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동차륜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동차륜의 폭을 증가시키는 폭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 유닛은 상기 운송장치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동차륜의 양측에 위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상기 제동차륜의 상부와 상기 레일 사이를 양단부로 선회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제동차륜의 폭확장부 진입에 의해 선회하며 상기 레일에 물림고정되는 한 쌍의 클램프 아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폭확장부는 상기 제동차륜의 양측단부에서 회전방향으로 소정구간 점층적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동차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폭확장부가 하향 이동하도록 상기 제동차륜을 자유회전시키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장치.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아암의 단부에 구비된 브레이크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장치.
  8. 운송물을 이동 또는 하역하기 위한 운송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밀림방지장치;
    를 포함하는 하역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동차륜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동차륜의 폭을 증가시키는 폭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폭확장부는 상기 제동차륜의 양측단부에서 회전방향으로 소정구간 점층적으로 돌출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기.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동차륜의 일측에 제공되어 상기 제동차륜의 폭을 증가시키는 폭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동차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폭확장부가 하향 이동하도록 상기 제동차륜을 자유회전시키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기.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클램프 유닛은 상기 레일과 접촉되는 브레이크 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기.
KR1020110063787A 2011-06-29 2011-06-29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KR101253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787A KR101253925B1 (ko) 2011-06-29 2011-06-29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3787A KR101253925B1 (ko) 2011-06-29 2011-06-29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677A KR20130002677A (ko) 2013-01-08
KR101253925B1 true KR101253925B1 (ko) 2013-04-16

Family

ID=47835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3787A KR101253925B1 (ko) 2011-06-29 2011-06-29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9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81563B1 (ko) * 2014-06-27 2015-12-30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
CN105084045A (zh) * 2015-07-02 2015-11-25 中国神华能源股份有限公司 装船机的上岸装置和上岸方法
KR102224882B1 (ko) * 2019-07-17 2021-03-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기용 제동 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1072A (ko) * 2000-11-27 2002-06-01 이구택 클램프 레일을 구비한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
KR20050013425A (ko) * 2003-07-28 2005-02-04 주식회사 포스코 주행 레일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하역기용 레일클램프
KR20110060010A (ko) * 2009-11-30 2011-06-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1072A (ko) * 2000-11-27 2002-06-01 이구택 클램프 레일을 구비한 하역기의 밀림 방지장치
KR20050013425A (ko) * 2003-07-28 2005-02-04 주식회사 포스코 주행 레일을 안정적으로 파지할 수 있는 하역기용 레일클램프
KR20110060010A (ko) * 2009-11-30 2011-06-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식 하역장치의 제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2677A (ko) 2013-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481543B (zh) 運輸裝置
US6152674A (en) Truck deck mounted cargo handling apparatus with ground level loading and unloading position
US9669749B2 (en) Lift gate loading ramp
US20110170988A1 (en) Cargo transfer system
KR101253925B1 (ko)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US20160362033A1 (en) Floor-bound transport vehicle for containers, featuring a lifting function
JP5370866B2 (ja) 車両用方向づけ装置を持つ輸送装置
EP2723619B1 (en) Support device for a laterally displaceable railway waggon
KR101253868B1 (ko)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KR101256530B1 (ko) 하역기의 추돌방지장치
CN110155891A (zh) 起重设备
JP5110884B2 (ja) 手動走行式リフター
KR100784781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트랜스포터
KR101256529B1 (ko) 하역기 밀림 방지 장치
JP5752969B2 (ja) 岸壁クレーン
JP4616811B2 (ja) 軌道走行用車両搭載クレーン装置
KR200431312Y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트랜스포터
US11015579B2 (en)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a wind turbine tower segment
JPH10330081A (ja) クレーン車両に結合されている補助ワゴンを有する線路走行形自走クレーン
CN217076341U (zh) 一种登车桥
CN209817926U (zh) 一种可翻转斜梯装置
JP7480085B2 (ja) 船舶用アンローダー
KR102581697B1 (ko) 카 케리어의 추락방지장치
KR102264338B1 (ko) 연속식 하역기
KR101173143B1 (ko) 크레인 주행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