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3868B1 -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 Google Patents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3868B1
KR101253868B1 KR1020110012764A KR20110012764A KR101253868B1 KR 101253868 B1 KR101253868 B1 KR 101253868B1 KR 1020110012764 A KR1020110012764 A KR 1020110012764A KR 20110012764 A KR20110012764 A KR 20110012764A KR 101253868 B1 KR101253868 B1 KR 101253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brake wheel
ground
variable bracket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12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2872A (ko
Inventor
심현택
박태진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산업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산업주식회사,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한국기술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12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3868B1/ko
Publication of KR20120092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28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3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3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88Safety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28Cranes on rails or on rail vehicles
    • B66C2700/035Construction details related to the travelling, to the supporting of the crane or to the blocking of the axles; Outriggers; Coupling of the travelling mechanism to the crane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림방지장치는 주행부를 갖는 운송장치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장치로서, 운송장치의 하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변형 브래킷; 가변형 브래킷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어 가변형 브래킷에 의해 지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제동차륜; 및 제동차륜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제공되는 회전제한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ANTI-PUSHING APPARATUS AND UNLOADER OF USE IT}
본 발명은 외적 요인에 의해 주행장치가 밀리거나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용 연, 원료 등은 선박을 통해 이송되며, 하역기(unloader)를 통해 육상의 저장시설로 하역된다.
이러한 하역기는 육상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본체를 포함하고, 이 본체에 설치된 버켓(bucket) 장치를 이용하여 호퍼에 연, 원료 등의 운송물을 하역 작업한다.
이와 같이, 연, 원료의 하역 작업이 이루어지는 지역은 접근성 등을 고려하여 입지조건상 바닷가 등에 인접하여 설치되며, 이에 따라 기상 조건, 즉 순간적인 돌풍, 강풍 등에 의해 하역기가 밀리게 되어 작업 지연 등이 발생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역기의 주행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하역기(10)의 본체(12) 하단에는 주행부(20)가 구비되고, 이 주행부(20)는 부두 육상에 설치된 주행레일(25)의 궤도를 따라서 주행하는 구조로 제공된다.
주행부(20)는 복수의 주행차륜(22)을 포함하고 있으며, 주행부(20)의 일측에는 하역기 본체(12)가 강풍이나 돌풍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하역기(10)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클램프 장치(30)가 설치된다.
종래에는 이 클램프 장치(30)가 주행레일(25)의 측면과 맞물리며 하역기(10)의 밀림 또는 이동을 방지한다.
그러나, 종래의 하역기(10)에 설치된 클램프 장치(30)는 하역기(10)의 진행방향과 클램프 장치(30)의 물림방향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용하는 바, 큰 힘이 발생하지 않으며, 이에 따라 비교적 바람이 약하게 부는 경우, 클램프 장치(30)의 물림 고정력에 의하여 하역기(10)의 주행 밀림이 방지되었으나, 바람이 순간적으로 강하게 부는 돌풍 또는 강풍 등의 악조건 하에서는 하역기(10)의 주행 밀림을 방지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돌풍 또는 강풍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하역기(10)가 밀릴 경우, 클램프 장치(30)가 파손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는 일단 하역기(10)에 주행 밀림이 발생할 경우 그 가속도로 인하여 하역기(10)를 제동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하역기(10)가 인접 설비 등에 부딪혀서 정지할 때까지 고속으로 밀리게 되며, 이에 따라 주변 시설물 및 작업자 등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하역기(10)에 주행 밀림이 발생하면, 부두 육상에 배치된 작업자가 주행차륜(22)에 고임목 등을 설치하여 주행 밀림을 방지하고 있으나, 고임목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하역기(10)가 돌풍 또는 강풍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바닷가에 위치되는 바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돌풍이나 강풍에 의한 하역기(10)의 주행 밀림을 방지할 수 없어, 하역기(10)의 주행 밀림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순간 돌풍 또는 강풍 등의 외적요인에 의해 하역기가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개선한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역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밀림방지장치는 주행부를 갖는 운송장치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장치로서, 운송장치의 하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변형 브래킷; 가변형 브래킷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어 가변형 브래킷에 의해 지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제동차륜; 및 제동차륜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제공되는 회전제한유닛;을 포함하고, 가변형 브래킷은 운송장치의 일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동차륜의 회전축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동차륜을 지지하는 제1링크와, 제동차륜의 회전축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링크와, 제2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제1링크와 이격되어 운송장치의 타측에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제2링크를 매개로 제동차륜을 지지하는 제3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또한, 가변형 브래킷은 운송장치의 일측과 제1링크 사이에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와, 운송장치의 타측과 제3링크 사이에 설치되는 제3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운송장치와 가변형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어 가변형 브래킷의 위치를 자동으로 가변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변형 브래킷은 운송장치의 일측과 액츄에이터 사이에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불어, 운송장치와 가변형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어 제동차륜이 지면이 밀착하도록 가변형 브래킷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회전제한유닛은 제동차륜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면과 제동차륜 사이로 위치되는 고임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동차륜이 지면과 이격될 경우, 고임목부재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제동차륜을 회전시키는 제동차륜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동차륜 회전부는 제동차륜의 일측에 설치되어 고임목부재가 상향 이동하도록 제동차륜을 자유회전시키는 중량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하역기는 운송물을 이동 또는 하역하기 위한 운송부가 구비된 본체;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부; 및 본체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전술된 밀림방지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지면에 설치되어 주행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주행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역기의 하부에 밀림방지장치를 설치함으로써 하역기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주변 시설물의 손상이나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하역 작업중 하역기의 밀림이 방지되므로, 이로 인한 하역기의 손상 등을 방지할 수 있고, 하역 작업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어 하역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한 조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하역기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구비된 하역기가 선박으로부터 운송물을 하역하는 상태의 정면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구비된 하역기가 선박으로부터 운송물을 하역하는 상태의 측면을 도시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구비된 하역기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해제된 상태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해제된 상태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지면에 밀착된 상태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작동하는 상태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작동하는 상태의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작동하는 상태의 측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의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으며,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로 표시되는 요소는 동일한 요소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는 주행부를 갖는 운송장치의 밀림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구비된 하역기가 선박으로부터 운송물을 하역하는 상태의 정면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구비된 하역기가 선박으로부터 운송물을 하역하는 상태의 측면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구비된 하역기의 일부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밀림방지장치(150)는 운송장치의 일례로, 바닷가 등에 설치되어 선박(100) 등에 의해 운송되는 운송물을 하역 또는 이송하는 하역기(110)에 설치될 수 있으며, 순간적인 돌풍이나 강풍 등에 의해 하역기(110)가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하역기(110)는 운송물을 이송 또는 하역하기 위한 운송부(114)가 구비된 본체(112)를 포함할 수 있다.
운송부(114)는 선박(100)의 저장부와 육상의 지면(115)에 구비된 처리부 사이 상부에 본체(112)로부터 연장된 이동대(116)가 설치될 수 있고, 이 이동대(116)에는 연, 원료 등의 운송물을 담아 이동하기 위한 버켓(bucket) 장치(118)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하역기(110)는 버켓 장치(118)를 선박(100)의 저장부로 하강시켜 운송물을 담은 다음, 이를 상승시켜 지면(115)의 처리부에 구비된 호퍼 등으로 이동하여 버켓 장치(118)에 저장된 운송물을 하역 작업할 수 있다.
또한, 하역기(110)는 이동을 위해 본체(112)의 하부에 주행부(120)가 설치될 수 있다.
주행부(120)는 복수의 주행차륜(12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주행차륜(122)이 육상의 지면(115) 등을 따라 회전함에 따라 하역기(1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하역기(110)가 이동하는 지면(115)에는 주행부(120)의 이동을 안내하는 주행레일(125)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역기(110)는 주행부(120)의 주행차륜(122)이 주행레일(125)에 안착된 상태에서 주행레일(125)을 따라 궤도 이동할 수 있다.
한편, 하역기(110)는 운송물의 하역 작업 중 순간적인 돌풍이나 강풍 등의 외적요인에 의해 하역기(110)가 이동 또는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클램핑 장치(130)가 제공될 수 있다.
일례로, 클램핑 장치(130)는 본체(112)의 일측, 일례로 본체(112) 중앙의 하부에 설치되어 주행레일(122)의 측면에 물림 고정되며 하역기(110)의 이동 또는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하역기(110)는 순간적인 돌풍이나 강풍 등의 외적요인에 클램핑 장치(130)가 제 역할을 못하게 되어 밀릴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밀림방지장치(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해제된 상태의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해제된 상태의 측면도이다. 또한,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지면에 밀착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작동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작동하는 상태의 정면도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림방지장치가 작동하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본 실시예의 밀림방지장치(110)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밀림방지장치(110)의 작동에 따라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와 도 6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밀림방지장치(150)는 하역 조업 또는 주행시 작동이 해제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밀림방지장치(150)는 하역기(110)의 하부에 설치되는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의 일측에는 회전가능하게 제공된 제동차륜(160)이 구비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제공되며, 이에 따라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의 높이를 조절하여 제동차륜(160)을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에 밀착하거나 이격시킬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은 하역기(110)의 본체(112) 일측에 설치되는 복수의 링크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링크들의 상호 연결구조에 의해 가변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의 형태 또는 연결구조는 한정되지 않으며, 제동차륜(16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다양한 구조로 변형될 수 있다.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의 각 링크들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제동차륜(160)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으며, 한 쌍의 링크들 사이가 부분적으로 연결되거나 일체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각 링크들은 힌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은 하역기(110)의 본체(112) 하부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체(112) 일측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1링크(15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링크(152)의 타단은 제동차륜(160)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이에 따라 본체(112)에 대해 제동차륜(16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동차륜(160)의 회전축에는 제2링크(154)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2링크(154)의 타단에는 제3링크(156)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링크(156)는 제1링크(152)와 이격되어 본체(112)의 다른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3링크(156)는 제2링크(152)를 매개로 본체(112)에 대해 제동차륜(160)을 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은 전체적으로 제1링크(152)를 한 변으로 하고, 제2링크(154) 및 제3링크(156)를 다른 한 변으로 하는 삼각형 구조로 배치되어 제동차륜(16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제2링크(154)와 제3링크(156)가 상호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제2링크(154)와 제3링크(156)가 접히면서 제동차륜(160)을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으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더불어, 제2링크(154)와 제3링크(156)에는 과도한 회전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스토퍼는 제2링크(154)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3링크(156)의 일측에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으며, 지면과 인접하는 방향의 제2링크(154)와 제3링크(156)의 꺽임각을 180도 이하로 유지하도록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는 제2링크(154)의 단부 상측에 돌출된 돌출부(154a)와, 제3링크(156)의 측면에 돌출되어 제2링크(154)의 돌출부(154a)에 걸리도록 제공된 멈춤뭉치(156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스토퍼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제2링크(154)의 상단에서 제3링크(156)의 상단에 걸리도록 연장된 돌출부로 제공되거나, 제2링크(154) 또는 제3링크(156)의 연결부 중 어느 한 쪽에 슬릿 또는 고리를 형성하고, 다른 한쪽이 이 슬릿 또는 고리에 끼워져 회전을 제한하는 멈춤뭉치 등으로 다양하게 변형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은 자동으로 높이를 가변시키기 위한 액츄에이터(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액츄에이터(170)는 유압실린더(17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유압실린더(172)는 일단이 본체(112)의 하부 일측에 설치되고, 이 유압실린더(172)에 신축 가능하게 설치된 로드(174)의 단부는 제2링크(154) 또는 제3링크(156)의 연결부에 설치되어 제2링크(154) 또는 제3링크(156)를 회동시켜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을 가변시킬 수 있다.
즉,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은 액츄에이터(170)의 유압실린더(172)에 의해 로드(174)가 수축하면 제2링크(154) 및 제3링크(156)가 접히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와 연동하여 제1링크(152)도 회동하며 제2링크(154) 및 제1링크(152)에 설치된 제동차륜(160)을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은 액츄에이터(170)의 유압실린더(172)에 의해 로드(174)가 신장하면 제2링크(154) 및 제3링크(156)가 펼쳐지는 방향으로 회동되고, 이와 연동하여 제1링크(152)도 회동하며 제2링크(154) 및 제1링크(152)에 설치된 제동차륜(160)을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에 밀착시킬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하역기(110)의 본체(112)와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 사이에는 제동차륜(160)을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에 밀착시키는 방향으로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176)가 설치될 수 있다. 일례로 탄성부재(176)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탄성부재(176)는 본체(112)의 하부 일측과 제2링크(154) 사이에 설치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176)의 탄성력에 의해 제2링크(154)와 제3링크(156)가 펼쳐지도록 가압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부재(176)은 액츄에이터(170)에 연결된 유압 호스 등의 연결상태가 원할하지 않거나, 분리 또는 고장 등의 작동이상이 발생할 경우, 보조적으로 밀림방지장치(150)을 작동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밀림방지장치(150)는 액츄에이터(170)에 의해 승강 작동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탄성부재(176)는 보조적인 안전기능을 하게 되며, 밀림방지장치(150)는 액츄에이터(170)의 작동이상시 자체적인 자중 등에 의해서도 지면과 밀착되며 하역기(110)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은 본체(112)의 하부에 직접 설치될 수 있으며, 높이 조절 등을 위해 본체(112)의 하부에 설치된 지지부재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실시예에서 하역기(110)에는 본체(112)의 하부와 제1링크(152) 및 제3링크(156) 사이에 각각 제1지지부재(153)와 제3지지부재(157)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2)의 하부에는 액츄에이터(170) 또는 탄성부재(176)를 지지하는 제2지지부재(155)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은 각 링크부재 또는 액츄에이터(170)나 탄성부재(176)를 지지하는 지지부재(153, 155, 157)로 인해, 각 링크의 크기를 줄이거나 설치 위치 등을 더 용이하게 설계변형할 수 있다.
한편, 제동차륜(160)의 외경에는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과의 마찰력을 증가시키는 탄성휠(162)이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탄성휠(162)의 일례로는 고무 또는 우레탄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제동차륜(160)에는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에 밀착시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회전제한유닛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회전제한유닛은 제동차륜(160)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과 제동차륜(160) 사이로 위치되며 제동차륜(160)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제공된 고임목부재(164)를 포함할 수 있다.
고임목부재(164)는 제동차륜(160)의 일측에 결합부재(165) 등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동차륜(160) 또는 고임목부재(164)에는 관통홀이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는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부재(165)가 고정되며 고임목부재(164)와 제동차륜(160)을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하역기(110)는 이동시 고임목부재(164)가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과 마찰될 경우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고임목부재(164)를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과 이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는 제동차륜(160)이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과 이격될 경우, 고임목부재(164)가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과 이격되도록 제동차륜(160)을 회전시키는 제동차륜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동차륜 회전부는 제동차륜의 일측에 설치된 중량체(16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중량체(166)는 제동차륜(160)의 일측에 설치되며, 제동차륜(160)이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과 이격되면 중량체(166)의 자중에 의해 중량체(166)가 제동차륜(160)의 최하부에 위치하도록 제동차륜(160)이 자유회전하게 된다.
중량체(166)는 제동차륜(160)과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분리형으로 이루어져 용접 또는 물리적 체결구조에 의해 제동차륜에 고정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 제동차륜(160)의 일측면에는 스터드(stud) 등의 고정부재(167)가 설치되고, 중량체(166)에 고정부재(167)에 삽입되도록 구비된 관통홀을 이용하여 제동차륜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중량체(166)는 제동차륜(16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고임목부재(164)의 설치방향과 대향되는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더불어, 본 실시예에서 중량체(166)가 설치된 위치는 제동차륜(160)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고임목부재(164)와 대향선상에 한정되지 않으며, 중량체(166)의 설치위치는 제동차륜(160)의 회전시 고임목부재(164)를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로부터 완전히 이격시킬 수 있는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서 밀림방지장치(110)는 엑츄에이터(170)의 유압실린더가 로드(174)를 팽창시키면, 제2링크(154) 및 제3링크(156)이 하강하고, 이와 연동하여 제1링크(152)도 하강할 수 있다.
여기서, 밀림방지장치(110)는 제동차륜(160)이 지면(115) 또는 레일(125)에 밀착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고임목부재(164)는 제동차륜(160)의 최상부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더불어, 이때, 하역기(110)는 클램프 장치(130)에 의해 주행레일(125)에 물림되며, 이에 따라 주행레일(125)에 고정되어 밀림이 방지되는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순간적인 돌풍이나 강풍 등의 외적요인이 하역기(110)로 전달될 경우, 클램프 장치(130)의 고정력을 넘어서게 되면 하역기(110)에 밀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역기(110)가 클램프 장치(130)에 고정된 상태에서 순간적인 돌풍이나 강풍 등의 외적요인에 의해 하역기(110)가 밀리게 되면, 하역기(110)의 밀림에 의해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에 밀착된 제동차륜(160)에 회전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도 8 내지 도 10을 참고하면, 하역기(110)는 제동차륜(160)이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에 밀착된 상태에서 하역기(110)의 밀림이 발생하면,
밀림 초기에 제동차륜(160)이 회전하며 고임목부재(164)가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제동차륜(160)의 회전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된 고임목부재(164)는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과 제동차륜(160) 사이에 끼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제동차륜(16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되어 하역기(110)의 밀림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하역기(110)의 이동시에는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에 의해 제동차륜(160)이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과 이격되며 밀림방지장치(150)의 작동을 해제할 수 있다.
이때, 밀림방지장치(150)은 액츄에이터(170)의 작동에 의해 유압실린더(172)가 로드(174)를 신축시키면, 가변형 브래킷(152, 154, 156)이 상승하며 주행차륜(160)이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로부터 다시 이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주행차륜(160)이 지면(115) 또는 주행레일(125)로부터 이격되면, 주행차륜(160)은 중량체(166)의 자중에 의해 자유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주행차륜(160)은 중량체(166)가 하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고임목부재(164)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밀림방지장치(150)는 액츄에이터(170) 및 중량체(166)의 자중을 이용하여 밀림방지장치(150)의 작동을 해제하게 되며, 이에 따라 하역기(110)를 원활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100 : 선박 110 : 하역기
112 : 본체 114 : 운송부
115 : 지면 116 : 이동대
118 : 버켓 장치 120 : 주행부
122 : 주행차륜 125 : 주행레일
130 : 클램핑 장치 150 : 밀림방지장치
152 : 제1링크 154 : 제2링크
156 : 제3링크 154a :돌출부
156a : 멈춤뭉치 160 : 제동차륜
162 : 탄성휠 164 : 고임목부재
165 : 결합부재 166 : 중량체
167 : 고정부재 170 : 액츄에이터
172 : 유압실린더 174 : 로드
176 : 탄성부재

Claims (11)

  1. 주행부를 갖는 운송장치의 밀림을 방지하는 밀림방지장치로서,
    상기 운송장치의 하부에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가변형 브래킷;
    상기 가변형 브래킷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어 상기 가변형 브래킷에 의해 지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는 제동차륜; 및
    상기 제동차륜의 회전을 제한하도록 제공되는 회전제한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가변형 브래킷은 상기 운송장치의 일측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동차륜의 회전축에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동차륜을 지지하는 제1링크와, 상기 제동차륜의 회전축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링크와, 상기 제2링크의 타단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링크와 이격되어 상기 운송장치의 타측에 타단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2링크를 매개로 상기 제동차륜을 지지하는 제3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브래킷은
    상기 운송장치의 일측과 상기 제1링크 사이에 설치되는 제1지지부재와,
    상기 운송장치의 타측과 상기 제3링크 사이에 설치되는 제3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운송장치와 상기 가변형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가변형 브래킷의 위치를 자동으로 가변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변형 브래킷은
    상기 운송장치의 일측과 상기 액츄에이터 사이에 설치되는 제2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운송장치와 상기 가변형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동차륜이 지면이 밀착하도록 상기 가변형 브래킷을 탄성 가압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제한유닛은 상기 제동차륜의 일측에 설치되어 지면과 상기 제동차륜 사이로 위치되는 고임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동차륜이 지면과 이격될 경우, 상기 고임목부재가 지면과 이격되도록 상기 제동차륜을 회전시키는 제동차륜 회전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동차륜 회전부는 상기 제동차륜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고임목부재가 상향 이동하도록 상기 제동차륜을 자유회전시키는 중량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림방지장치.
  10. 운송물을 이동 또는 하역하기 위한 운송부가 구비된 본체;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본체를 이동시키는 주행부; 및
    상기 본체의 하부 일측에 설치된 청구항 1 및 청구항 3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밀림방지장치;
    를 포함하는 하역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주행부의 이동을 안내하는 주행레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역기.
KR1020110012764A 2011-02-14 2011-02-14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KR101253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764A KR101253868B1 (ko) 2011-02-14 2011-02-14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12764A KR101253868B1 (ko) 2011-02-14 2011-02-14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872A KR20120092872A (ko) 2012-08-22
KR101253868B1 true KR101253868B1 (ko) 2013-04-12

Family

ID=46884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12764A KR101253868B1 (ko) 2011-02-14 2011-02-14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38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1781B1 (ko) * 2020-02-11 2020-05-15 에이펙스 주식회사 대형크레인의 휠 제동용 자동초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2024A (ko) 1974-01-21 1975-08-13
KR920007872A (ko) * 1990-10-20 1992-05-27 엄상중 자동차의 스키드 및 트위스트 방지용 보조제동장치
KR0141028B1 (ko) * 1995-12-28 1998-07-01 김태구 자동차의 제동력 향상장치
KR20100127630A (ko) * 2009-05-26 2010-12-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장비의 주행밀림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02024A (ko) 1974-01-21 1975-08-13
KR920007872A (ko) * 1990-10-20 1992-05-27 엄상중 자동차의 스키드 및 트위스트 방지용 보조제동장치
KR0141028B1 (ko) * 1995-12-28 1998-07-01 김태구 자동차의 제동력 향상장치
KR20100127630A (ko) * 2009-05-26 2010-12-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장비의 주행밀림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2872A (ko) 2012-08-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224464A1 (en) Conveyance device using carriage
US8261674B2 (en) Apparatus for handling modules at sea
US20110170988A1 (en) Cargo transfer system
CA2829177C (en) Arrangement for damping oscillation of loading member in crane
US10449977B2 (en) Railway vehicle and funicular apparatus
KR20160125946A (ko) 리프팅 기능을 구비한 컨테이너용 지상 운반 차량
WO2012117573A1 (ja) クレーン
JP2019505716A (ja) 風力タービン翼の輸送枠体
KR101253925B1 (ko)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KR101253868B1 (ko)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CN106687399B (zh) 给装货面装货的装货机
US20070217895A1 (en) Device for offshore loading and unloading of ships
JP5852942B2 (ja) ばら物の船積み設備
JP5110884B2 (ja) 手動走行式リフター
KR20140005995U (ko) 부유식 해상 구조물용 모노레일장치
CN108137169A (zh) 飞行器用升降机
KR102027257B1 (ko)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
EP3912949A1 (de) Hebeeinrichtung und ein mit einer solchen hebeeinrichtung ausgestattetes wasserfahrzeug sowie ein hierfür bestimmtes arbeitsverfahren
US11015579B2 (en) Transportation system and method for loading a wind turbine tower segment
FI127506B (fi) STS-nosturi
CN106274847B (zh) 隧道车辆掉头装置
CN206049631U (zh) 隧道车辆掉头装置
KR102264338B1 (ko) 연속식 하역기
JP6170423B2 (ja) 機械式駐車設備
CN103517868A (zh) 运送件货和/或散货的设备和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3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