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7257B1 -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7257B1
KR102027257B1 KR1020170176931A KR20170176931A KR102027257B1 KR 102027257 B1 KR102027257 B1 KR 102027257B1 KR 1020170176931 A KR1020170176931 A KR 1020170176931A KR 20170176931 A KR20170176931 A KR 20170176931A KR 102027257 B1 KR102027257 B1 KR 102027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crane
moving
deck
b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6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5386A (ko
Inventor
유재혁
허재영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6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72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75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5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7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72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52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84Slew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7/00Runways, tracks or trackways for trolleys or cranes
    • B66C7/08Constructional features of runway rails or rail moun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28Cranes on rails or on rai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선박의 데크 상에 설치된 레일 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은, 선박의 데크 상에 설치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선박에 화물을 선적 또는 하역할 수 있는 크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크레인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이동 경로에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이동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붐의 작업 공간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바디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Mobile Crane System}
본 발명은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격자형 레일을 포함하여 이동 가능한 크레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크레인, 예를 들어, 플로팅 크레인(floating crane)은 항만이나 해상에서의 각종 공사나 구조물의 운반/설치에 사용되는 것으로, 해상에서 이동하는 바지선(barge)에 크레인이 설치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운반이 요구되는 구성요소(예를 들어, 설치 블록 등)들이 바지선에 의해 해상의 설치 지점 부근으로 운반된 후, 크레인에 의해 각 구성요소들이 해상의 설치 지점으로 이동하여 고정되면서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구성요소가 고중량 구조물인 경우에, 스퍼트(spud)에 의한 바지선의 잭업(jack-up)이 수행될 수 있는 잭업 바지선을 통해 구성요소의 운반과 구성요소의 이동/설치가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종래에는 잭업 바지선에 업다운(up-down) 기능 및 회전(rotation) 기능을 함께 갖는 크레인이 설치되었다. 이와 같은 다기능 크레인이 설치된 잭업 바지선을 사용하기 위해 지불되는 비용이 많이 발생된다.
즉, 데크에는 크레인이 기본적으로 설치되어 있기는 하지만, 데크의 전체 영역을 커버하기 위해서는 크레인의 붐 리치(boom reach)를 키워야 한다. 이에 따라 크레인 붐의 용량(capacity)이 증가하여 비용이 증가한다.
또한, 데크 상부의 공간 부족으로 인해 다수의 크레인 설치는 불가능하다. 또는, 크레인을 이용한 작업 수행 시에 다수의 지점에서 동시에 작업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종래에는 바지선에 설치되는 크레인의 붐 베드(boom bed)가 바지선 선수부에 배치되어 무게중심이 선수부로 치우칠 수 있다. 이에 따라 바지선의 중량으로 균형이 맞출 필요가 있다. 치우진 무게중심에 의해 잭업 바지선의 가장자리 부위에 배치된 각각의 스퍼드(spud)에 부과되는 부하가 불균일해지면서 선수부 측 스퍼드에 과도한 부하가 걸리게 된다.
대한민국 공개공보 제 10-1999-024142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바지선 등의 선박 상에서 용이하게 이동 가능한 크레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은, 선박의 데크 상에 설치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선박에 화물을 선적 또는 하역할 수 있는 크레인을 포함하며, 상기 크레인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이동 경로에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이동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붐의 작업 공간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바디부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레일 및 상기 제1 방향에 나란하지 않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레일과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일을 포함한다.
상기 레일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하지 않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 중 적어도 하나와 교차하는 하나 이상의 제3 레일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 레일 중 적어도 두 개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상기 이동부가 회전하여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레일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토퍼가 상기 크레인이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여 탈선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이동부 사이에 제1 베어링부가 설치되어, 상기 이동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바디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제2 베어링부가 설치되어, 상기 바디부가 상기 베이스부의 상단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에 따르면, 선박의 데크 상에 설치된 레일 상으로 크레인이 이동함으로써, 사각지대 없이 데크 상에서 크레인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동일 붐 길이에 대해서 붐 리치(boom reach) 및 크레인이 화물을 선적 또는 하역할 수 있는 허용 면적이 증가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의 예시적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 이외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및/또는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A와 B가 이루는 경사각”이라는 의미는, A의 연장선과 B의 연장선이 이루는 각도 중에서 180도 미만인 각으로 정의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의 예시적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1)은 크레인(200) 및 레일(1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크레인(200) 및 레일(100)은 선박의 데크(1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크레인(200)은 데크(10)의 외부 방향으로 연장되고, 와이어가 설치되는 붐(boom)(290)을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데크(10) 상에 설치되는 크레인(200)은 붐(290)에 설치된 와이어를 이용하여 선박에 화물을 선적 또는 하역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1)에서 크레인(200)은, 선박의 데크(10) 상에 고정되지 않고, 선박의 데크(10) 상에 설치된 레일(1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와 같은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1)의 구체적인 구현예는 도 3 및 도 4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1)에서는 크레인(200)이 데크(10) 상에 설치된 레일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다수의 크레인(200)의 설치가 필요없이 데크(10) 상의 전체 영역에서 사각지대 없이 화물을 선적 또는 하역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일반적으로 고정되어 설치되는 크레인과 달리, 본 발명의 일 실시예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1)의 크레인(200)을 직접 이동시킴으로써 선박 전체의 이동이 필요없이 요구되는 위치에 화물을 선적 또는 하역할 수 있다. 즉, 사각지대 없이 크레인(200)을 레일(100)을 따라 이동시킴으로써, 붐(290) 및 붐(290)에 설치된 와이어 등이 닿을 수 있는 작업 공간이 보다 증가한다. 따라서, 화물의 선적 또는 하역 시 필요한 붐(290)의 길이(boom length)를 감소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1)은 크레인(200)의 구조적인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붐(290)의 길이가 감소하므로 외부 환경(예를 들어, 해풍)으로부터 크레인(200)이 받는 영향이 감소된다. 또한, 붐(290)의 길이가 감소되는 만큼 크레인(200)의 하중이 감소하여, 크레인(200)이 보다 안정적으로 데크(10) 상에 지지되어 이동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와 같은 구조적인 안정성으로 인하여 화물의 선적 및 하역 시에 필요한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붐(290)의 길이가 감소함으로써 크레인(200)에서 붐(290)을 건조하는 데에 필요한 원자재를 절감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1)의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1)은 레일(100) 및 크레인(200)을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200)은, 선박의 데크(10)상에 설치된 레일(100)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레일(100)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레일(110) 및 상기 제1 방향(D1)에 나란하지 않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레일(110)과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일(1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2 방향(D2)은 제1 방향(D1)에 수직하여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은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직교하여 교차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1)의 크레인(200)은,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120)의 교차 지점(또는, 로테이팅 포인트(rotating point))(112)에서 회전하여, 제1 레일(110)에서 제2 레일(120)으로 또는 제2 레일(120)에서 제1 레일(110)으로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그 결과, 크레인(200)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으로 모두 이동할 수 있다. 즉, 사각지대 없이 데크(10) 상에서 크레인(200)이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120)이 교차하지 않는 지점의 레일(100)의 폭(W1)보다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120)의 교차 지점(112)의 폭(W2)이 더 넓을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200)의 이동부(230)가 교차 지점(112)에서 회전하여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제1 레일(110)과 제2 레일(120)이 30개의 교차 지점(112)에서 교차하도록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데크(10)의 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또는 크레인(200)을 보다 정교하게 위치 이동시킬 필요성에 따라,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120)의 교차 지점(112)은 30개 이상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의 정면도 및 측면도이다.
우선 도 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1)에서 크레인(200)은 이동부(230), 베이스부(250), 바디부(270) 및 붐(2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크레인(200)의 이동부(230)는 베이스부(25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동부(230)는 레일(100)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이동 경로에 따라서 베이스부(25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부(230)는, 상부의 베이스부(250)를 지지하면서 이동부(230)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회전 구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부(230)는 이동 각도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230)는 크레인(200)이 레일(100)을 따라 이동할 때 서로 나란하지 않은 방향(예를 들어, 제1 방향 및 제2 방향, 도 2의 D1 및 D2 참조)으로 경로 변경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앞서 도 2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크레인(200)은 제1 방향(D1)에서 제2 방향(D2)으로 또는 제2 방향(D2)에서 제1 방향(D1)으로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레일(100)의 교차 지점(도 2의 112 참조)에서 이동부(230)가 회전하여 서로 나란하지 않은 방향(예를 들어,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이동부(230)는, 이동부(230) 및 베이스부(250)를 지지하며 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 부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하나의 이동부(230) 및 이동 부재(233)가 각각 베이스부(25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동부(230) 및 이동 부재(233)의 개수 또는 결합 방식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2개의 이동 부재(233)가 나란하게 이동부(230)에 설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250)의 하단에 2개 이상의 이동부(230)가 설치되어 보다 하중을 분산시키며 레일(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1)은 예를 들어, 베이스부(250)와 이동부(230) 사이에 제1 베어링부(210)가 설치되어, 이동부(230)가 베이스부(250) 하단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100)의 교차 지점(예를 들어,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120)의 교차 지점(112), 도 2 참조)에서 제1 베어링부(210)에 의해 이동부(230)가 회전할 수 있다. 그 결과, 크레인(200)이 제1 방향(D1) 또는 제2 방향(D2)으로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크레인(200)의 바디부(270)는 베이스부(250)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디부(270)는 베이스부(25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바디부(270)는, 베이스부(250)의 상단에서 바디부(270)의 중심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 구동할 수 있다.
또한, 크레인(200)은 바디부(270)로부터 연장되는 붐(29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바디부(270)가 회전 구동함으로써, 크레인(200)의 붐(290)이 닿을 수 있는 붐 리치(boom reach) 및 작업 허용 공간이 증가한다.
또한,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바디부(270)와 베이스부(250) 사이에 제2 베어링부(220)가 설치되어, 바디부(270)가 베이스부(250)의 상단에서 회전 구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100)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이동부(230)가 이동을 정지한 크레인(200)은, 바디부(270)가 회전함으로써 바디부(270)의 상단에 위치하는 구성 요소의 회전을 가능하게 한다(도 2 참조). 예를 들어, 바디부(270)가 회전함으로써 바디부(270)으로부터 연장되는 붐(290)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크레인(200)의 붐(290) 또는 붐(290)에 설치되는 와이어는, 길이 조절 가능하며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붐(290)은 바디부(270)에 힌지 연결되어 회전 구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붐(290) 또는 붐(290)에 설치된 와이어의 길이 또는 회전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데크(10) 또는 데크(10)의 주변에 위치하는 화물과 연결되어 선박으로 선적 또는 하역할 수 있다. 따라서,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레일(100)의 어느 한 지점에서 이동부(230)가 이동을 정지한 크레인(200)은, 바디부(270)가 회전함으로써 붐(290)이 작업할 수 있는 공간의 반경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크레인(200)이 화물의 선적 또는 하역할 수 있는 반경이 증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1)에서 레일(100)은,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데크(10) 상으로 수직 연장되는 레일(100)이 형성하는 간극(gap)에 크레인(200)의 이동부(230)가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230)는 양 측에 형성된 레일(100)에 의해 저지되어 탈선이 방지되고, 레일(100)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한편, 크레인(200)에서 제1 베어링부(210) 및 제2 베어링부(220)는, 미끄럼 베어링(sliding bearing) 또는 구름 베어링(rolling bearing)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베어링부(210) 및 제2 베어링부(220)는 예를 들어, 축방향으로 하중이 작용하는 스러스트(thrust)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앞서 도 3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크레인(200)의 이동부(230)가 레일(100)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부(250)의 하부에 설치된다. 이동부(230)는 예를 들어,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휠(wheel)과 같은 이동 부재(233)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는, 이동 부재(233)를 하나의 휠로 도시하였지만, 개수 또는 이동 방식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즉, 크레인(200)의 하중을 견디면서 레일(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식(예를 들어, 피니온(pinion) 등)의 이동부(230) 및 이동 부재(233)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레일(100)의 끝단부에는 스토퍼(stopper)(150)가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토퍼(150)는, 레일(10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레일(100)의 길이 방향으로 각 끝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스토퍼(150)는, 레일(100)의 끝단부에서 이동부(230) 또는 이동 부재(233)가 레일(100) 바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할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200)이 레일(100) 밖으로의 탈선하는 것이 방지된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는 이동부(230) 또는 이동 부재(233)가 스토퍼(150)와 접촉되어 크레인(200)의 이동이 저지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레일(100)의 끝단부에 형성되는 스토퍼(150)는, 크레인(200)의 베이스부(250) 또는 바디부(270)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즉, 스토퍼(150)가 베이스부(250) 또는 바디부(270)와 접촉하여 이동을 저지함으로써, 크레인(200)이 레일(100) 밖으로 탈선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3 및 도 4에서는 레일(100)이 데크(10) 상에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레일(100)은 데크(10) 상에 그루빙(grooving)되어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의 평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도 1 내지 도 4에서 설명한 것과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2)에서 레일(100)은, 제1 방향(D1) 및 제2 방향(D2)과 나란하지 않는 제3 방향(D3)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3 레일(1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3 방향(D3)은 각각 제1 방향(D1)과 제2 방향(D2)으로부터 45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레일(130)은, 제1 레일(110) 및 제2 레일(120) 중 적어도 하나와 교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 및 이동 부재(도 4의 230 및 233 참조)는, 제1 내지 제3 레일(110 내지 130) 중 적어도 두 개의 교차 지점(123, 124)에서 회전하여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2)보다 더 다양한 경로로 크레인(2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크레인(200)은 데크(10) 상에서 위치를 변경하여 보다 정교하게 화물을 선적 또는 하역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내지 제3 방향(D1 내지 D3) 중 어느 하나와 나란하지 않은 제4 방향의 제4 레일(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4 레일(140)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내지 제3 레일(110 내지 130) 중 적어도 하나와 교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부(230) 및 이동 부재(233)는, 제1 내지 제4 레일(110 내지 140) 중 적어도 두 개의 교차 지점(123, 124)에서 회전하여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크레인(200)이 서로 나란하지 않은 방향(제1 방향(D1), 제2 방향(D2), 제3 방향(D3) 또는 제4 방향(D4))으로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5에서는 제1 내지 제4 방향(D1 내지 D4)으로 연장되는 레일(100)만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2)은 제1 내지 제4 방향(D1 내지 D4)과 나란하지 않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레일(100)을 하나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방향의 레일(100)이 증가할수록, 크레인(200)이 데크(10) 상에서 이동 가능한 위치가 보다 다양해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1, 2: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 10: 데크
100, 110, 120, 130, 140: 레일 112, 123, 124: 교차 지점
150: 스토퍼 200: 크레인
210: 제1 베어링부 220: 제2 베어링부
230: 이동부 233: 이동 부재
250: 베이스부 270: 바디부
290: 붐 D1: 제1 방향
D2: 제2 방향 D3: 제3 방향
D4: 제4 방향 W1, W2: 레일의 폭

Claims (5)

  1. 선박의 데크 상에 설치되는 레일; 및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고, 상기 선박에 화물을 선적 또는 하역할 수 있는 크레인을 포함하되,
    상기 크레인은,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이동 경로에 따라서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이동부와,
    상기 베이스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붐의 작업 공간에 따라 상기 베이스부에 대해 회전 가능한 바디부를 포함하고,
    상기 레일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레일 및 상기 제1 방향에 나란하지 않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레일과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레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이 교차하는 지점은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이 교차하지 않는 지점보다 폭넓게 형성되고,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회전하여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과 나란하지 않는 제3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1 레일 및 상기 제2 레일 중 적어도 하나와 교차하는 하나 이상의 제3 레일을 더 포함하는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레일 중 적어도 두 개가 교차하는 지점에서 상기 이동부가 회전하여 이동 경로를 변경할 수 있는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여,
    상기 스토퍼가 상기 크레인이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여 탈선을 방지하는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
KR1020170176931A 2017-12-21 2017-12-21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 KR102027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931A KR102027257B1 (ko) 2017-12-21 2017-12-21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6931A KR102027257B1 (ko) 2017-12-21 2017-12-21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386A KR20190075386A (ko) 2019-07-01
KR102027257B1 true KR102027257B1 (ko) 2019-10-01

Family

ID=672557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6931A KR102027257B1 (ko) 2017-12-21 2017-12-21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72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0330A (ko) 2021-03-18 2022-09-27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폴더블 폴랫폼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1135A (ja) * 2010-08-19 2012-03-01 Kobelco Cranes Co Ltd 移動式クレーン及び移動式複合クレーン
WO2015088333A1 (en) * 2013-12-09 2015-06-18 Jumbo Maritime B.V. Vessel comprising a moveable crane and method for lifting a load aboard a vessel by using such a cran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1733U (ko) * 1995-06-13 1997-01-21 크레인 스토퍼의 충격흡수장치
KR19990024142A (ko) 1998-12-12 1999-03-25 윤동근 바아지선의 갑판에 설치된 이동식 포오크레인 겸용 크레인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41135A (ja) * 2010-08-19 2012-03-01 Kobelco Cranes Co Ltd 移動式クレーン及び移動式複合クレーン
WO2015088333A1 (en) * 2013-12-09 2015-06-18 Jumbo Maritime B.V. Vessel comprising a moveable crane and method for lifting a load aboard a vessel by using such a cr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5386A (ko) 201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7052B2 (en) Overhead crane and assembly of at least two overhead cranes
JP2006315864A (ja) 重量物持上げ用ラティスブームクレーン
KR102027257B1 (ko) 이동식 크레인 시스템
US20100028105A1 (en) Floating Device for Transporting and Transferring Containers
KR101245573B1 (ko) 모바일 하버 리프팅 시스템을 위한 댐핑 조인트 장치
JP2017094988A (ja) 揚陸用の船舶及び揚陸用の船舶を使用した荷役方法
US20040007552A1 (en) Mobile handling equipment for piece goods
US20210024334A1 (en) Crane for a wind farm installation vessel
JP2008528355A (ja) 貨物船舶における貨物取扱装置及びシステム
KR102007667B1 (ko) 컨테이너 저장 및 하역 장치
US8602714B2 (en) Structural profile rotator
KR20160026097A (ko) 타워 크레인
KR101052229B1 (ko) 선박용 이동식 크레인의 수평이동장치
JP2020521674A (ja) 輸送器
US10569995B2 (en) Offshore system with movable cantilever
EP2540654B1 (en) Ship to shore crane installation with offset cranes
KR101253868B1 (ko)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KR100417180B1 (ko) 선체 지지용 강재반목
JP6746320B2 (ja) ボーディングブリッジ
JP2009242085A (ja) レールマウント式門型クレーンのスイッチバック式レーン移動方法及び装置
KR20200031840A (ko) 하역 장치
JP4997644B2 (ja) 全方位積込・荷降ろし可能システム
KR101684318B1 (ko) 컨테이너 체결 장치
KR101403649B1 (ko) 선박의 크레인
JP3231716U (ja) レール運搬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