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125946A - 리프팅 기능을 구비한 컨테이너용 지상 운반 차량 - Google Patents

리프팅 기능을 구비한 컨테이너용 지상 운반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125946A
KR20160125946A KR1020167018304A KR20167018304A KR20160125946A KR 20160125946 A KR20160125946 A KR 20160125946A KR 1020167018304 A KR1020167018304 A KR 1020167018304A KR 20167018304 A KR20167018304 A KR 20167018304A KR 20160125946 A KR20160125946 A KR 201601259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trut
rocker
lifting
vehic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8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헤게발드 마이크
무초카파스 야니스
아민 비셰만
Original Assignee
테렉스 엠하페에스 이페 매니지먼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테렉스 엠하페에스 이페 매니지먼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테렉스 엠하페에스 이페 매니지먼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125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59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B60P1/027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with relative displacement of the wheel ax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1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 B60P1/6445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shifted only vert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9Damper mount on wheel suspension or knuck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9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60Industrial applications, e.g. pipe inspection vehicles
    • B60Y2200/66Containers; Pallets; Sk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반 차량(1)의 차량 프레임(8) 위에 배치되고 리프팅 드라이브(15)에 의하여 하강된 운반 위치로부터 상승된 이송 위치로 들어 올려질 수 있으며 다시 하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플랫폼(7)을 포함하는 컨테이너(5) 운반용 바닥-고정 운반 차량(1)에 대한 것이다. 리프팅 드라이브(15)는 운반 차량(1)의 샤시(10) 위의 수직으로 조정가능한 휠 서스펜션(11)의 일부이다. 컨테이너 (5)들을 보다 용이하게 픽업하고 하착시킬 수 있도록, 휠 서스펜션(11)은 힌지 방식으로 설계된다.

Description

리프팅 기능을 구비한 컨테이너용 지상 운반 차량{FLOOR-BOUND TRANSPORT VEHICLE FOR CONTAINERS, FEATURING A LIFTING FUNCTION}
본 발명은 운반 차량의 차량 프레임 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로드 표면을 가지며 운반 차량의 주행 기어의 높이-조정가능한 휠 서스펜션의 일부인 리프팅 드라이브에 의하여 하강된 운반 위치로부터 상승된 이송 위치로 상승되거나 또는 역으로 하강될 수 있는 컨테이너들의 운반용 지상 운반 차량에 대한 것이다.
유럽 특허공보 EP 0 302 569 B1에서 선박에 컨테이너들을 선적하고 하착하기 위한 시스템이 이미 알려져 있다. 이 시스템은 부두에 정박한 선박들에 컨테이너를 선적하고 하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부두 크레인을 포함한다. 부두 크레인을 사용할 때, 컨테이너들은 운반 차량으로부터 픽업되거나 또는 컨테이너들은 운반 차량 위에 하착된다. 이러한 운반 차량은 레일을 사용하지 않고 부두에서 이동할 수 있으며 제어 기구에 의하여 자동으로 안내된다. 컨테이너는 운반 차량으로부터 하착되거나 또는 고정된 이송 스태이션에서 운반 차량으로부터 픽업된다. 이러한 이송 스태이션은 기본적으로 고정된 지지 테이블로 구성되고 그 위에 컨테이너들이 하착되거나 그로부터 컨테이너들이 픽업된다. 이들 지지 테이블은 지지 아암의 방식으로 형성되고 그들의 긴 측면 영역에서 아래로부터 컨테이너를 지지한다. 따라서, 대향하는 지지 테이블들 사이의 공간은 컨테이너들의 폭보다 좁다. 지지 테이블로부터 컨테이너들을 픽업할 수 있거나 또는 그 위에 하착할 수 있도록, 운반 차량은 컨테이너들을 운반하기 위한 플랫폼을 가지도록 구비되며, 이 플랫폼은 컨테이너를 수용하기 위하여 운반 차량의 차량 프레임에 대해 상승되고 이어서 운반 차량은 컨테이너가 이제 그 플랫폼에 접촉 지지되면서 지지 테이블의 영역으로부터 외부로 구동된다.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플랫폼을 사용할 때, 플랫폼은 운반 차량을 외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강된다. 지지 테이블 위로의 컨테이너들의 하착은 역순으로 실행된다. 운반 차량이 이송 스태이션으로부터 컨테이너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상승 및 하강될 수 있는 플랫폼은 대향하는 지지 테이블들 사이의 공간보다 더 좁은 폭을 가진다. 이러한 이송 스태이션으로부터, 컨테이너들은 이어서 자동으로 동작하는 갠트리 크레인에 의하여 픽업되고 컨테이너 보관 장소에 하착되거나 또는 겐트리 크레인에 의하여 내부에 하착된다.
더욱이, 운반 차량에 관련해서, 플랫폼이 기계적인, 공압적이거나 유압적인 리프팅 드라이브에 의하여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다.
DE 10 2007 039 778 A1은 운반 차량의 차량 프레임 위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리프팅 플랫폼을 가지는 컨테이너들의 운반용 지상 운반 차량을 개시하며, 이러한 리프팅 플랫폼은 리프팅 드라이브에 의하여 하강된 운반 위치로부터 상승된 이송 위치로 상승되거나 또는 역으로 상승위치로부터 하강 위치로 하강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리프팅 플랫폼은 적어도 하나의 니(knee) 레버를 거쳐 차량 프레임 위에 고정되므로 리프팅 플랫폼은 적어도 하나의 니 레버를 통해 상승되거나 또는 하강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리프팅 드라이브는 적어도 하나의 니 레버에 작용한다. 리프팅 및 하강 운동을 위하여 리프팅 플랫폼은 운반 차량 위에서 안내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 더 나아가서, 본 발명의 목적은 로드(load), 특히 컨테이너들의 향상된 픽업 및 하착을 포함하는, 특히 컨테이너용의 자동으로 안내되는 고무-타이어를 구비한 지상 차량, 바람직하게 소위 AGV(자동 안내 차량)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특허청구범위 1의 특징들을 가지는 운반 차량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청구범위 2 내지 12에 기재된다.
본 발명에 따라, 운반 차량의 차량 프레임에 배치되고 리프팅 드라이브에 의하여 하강된 운반 위치로부터 상승된 이송 위치로 상승되거나 또는 역으로 하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로드 표면을 가지는 컨테이너들의 운반용 지상 운반 차량이 개시되며, 여기서 리프팅 드라이브는 운반 차량의 주행 기어의 높이-조정가능한 휠 서스펜션의 일부이며, 휠 서스펜션이 힌지 죠인트(hinged joint) 방식으로 형성되는 것에 의하여 향상된 컨테이너들의 픽업 및 하착(set-down)이 달성된다.
이와 같이, 로드 표면을 상승시키거나 하강시키는 단순한 가능성이 발생된다. 리프팅 드라이브를 주행 기어와 통합시키고 이와 같이 구비된 휠 서스펜션의 힌지-형상의 형성과, 차량 프레임 영역에서 구조의 높이를 더 낮추는 것이 달성된다. 또한 정적이므로 컨테이너의 로드 표면은 더욱 간단하게 설계될 수 있다. 전체 차량 프레임만이 이동된다.
구조적으로 더욱 간단한 방식으로, 차량 프레임 위에 관절에 의하여(articulated) 장착된 스트럿과 수평 리프팅 드라이브를 통해 스트럿 위에 관절에 의하여 선회하게 장착된 로커(rocker)를 포함하도록 휠 서스펜션이 구비된다.
또한, 관절에 의하여 적어도 로커에 연결되고 바람직하게 부가적으로 스트럿에 리프팅 드라이브가 관절에 의하여 연결되도록 구조적으로 간단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특히, 주행 기어는 복수의 휠 서스펜션들을 가지는 다중-액슬(multi-axle)로 구성된 주행 기어이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각각의 휠 서스펜션은 각각의 로커를 거쳐 스트럿에 부착되는 선회 액슬(swing axle)이며, 조정가능한 유압 실린더는 리프팅 운동을 위하여 로커와 스트럿 사이에서 연결되어 작동된다. 스트럿은 일 단부에서 차량 프레임에 관절에 의하여 장착되고 선회 액슬과 스트럿 사이의 로커의 배치에 의하여, 차량 프레임 또는 컨테이너의 로드 표면은 픽업 또는 하착 목적을 위하여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상승되거나 하강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서, 로커는 바람직하게 일 단부에서 선회 액슬 위에 관절에 의하여 장착되고 다른 단부에서는 스트럿 위에 관절에 의하여 장착된다.
개별 액슬의 조향을 허용하기 위하여(직선 이동, 곡선 위에서의 이동, 경사면 위에서의 이동, 후방으로의 이동 등), 스트럿은 대략 수직으로 배향된 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 베어링을 거쳐 차량 프레임 위에 관절에 의하여 장착된다. 조향 운동을 실행하기 위하여, 스트럿은 회전 베어링 둘레로 회전하도록 외부 톱니를 구비한 중앙 피벗판을 가질 수 있다. 조향의 구부러짐(deflection)의 감시는 각도 송신기(예컨대, 포텐시오미터)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다. 대신에, 조향 운동은 유압 실린더에 의하여 실행될 수 있으며, 그 중에서 길이 변화가 감시된다.
스트럿은 바람직하게 일 측면으로 개방되고, 실질적으로 U-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차량 프레임으로부터 로커를 향하여 좁아지는 프로파일의 일부이다. 그러므로, 낮은 중량으로 높은 정도의 강성이 달성될 수 있다. 더욱이, 유압 실린더는 스트럿의 고정 지점 아래 프로파일 내에서 차량 프레임 위에 중앙으로 관절에 의하여 장착될 수 있으며, 이는 힘의 흡수의 면에서 효과적이다. 스트럿이 차량의 세로 방향으로 경사되므로 로커가 대략 수평으로 배향된 때, 선회 액슬은 회전 베어링 위에 스트럿의 고정 지점 아래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고, 이로써 타이어 또는 선회 액슬에 의한 중량의 효과적인 흡수가 달성될 수 있다.
유압 실린더의 리프팅은 바람직하게 600mm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운반 차량의 바람직한 적용 분야는, 특히 AGV 형태의 항만 설비용 컨테이너 운반 차량으로서의 그의 용도이다.
본 발명에서, 주행 기어는 이송 레인(lane)에 연결하기 위하여 작동하는 차량의 모든 가동 부품의 전부로서 생각된다. 주행 기어는 휠, 휠 서스펜션, 서스펜션 시스템, 쇽 업소버, 조향 수단 및 브레이크를 포함한다. 휠 서스펜션은 휠/타이어들과 차량 프레임 사이의 이동가능한 연결부를 위한 부품들의 전부로서 이해된다.
본 발명의 보다 상세한 내용은 도면들을 참조한 예시적인 실시예들의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며, 여기서:
도 1은 이송 스태이션의 자동으로 안내된 차량의 사시도이며,
도 2는 이송 스태이션 외측의 도 1에 따른 차량의 사시도이며,
도 3은 차량 프레임이 상승된 도 1의 차량의 정면도이며,
도 4는 차량 프레임이 하강된 도 3에 따른 도면이며,
도 5는 차량 프레임 위의 높이-조정가능한 휠 서스펜션의 도면이다.
도 1은 이송 스태이션(2) 내에서 자동으로 안내되는 차량(1)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차량(1)은 지면 위에서, 레일 위가 아닌 공기-충진 고무 타이어인 타이어(1a) 위에서 자유로이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유형의 이송 스태이션은 자유롭게안내되는 차량(1)과, 예컨대, 로드 픽-업 수단 또는 높은-다리부를 가진, 유인 또는 무인의 스트래들 캐리어 장치와 같은 스프리더 크레인을 구비한 자동, 반자동, 또는 수동의 갠트리 크레인과 같은 또 다른 운반 수단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송 스태이션(2)은 기본적으로 수직 기둥 형태의 다리부(3a)들과 그 위에 설치되는 컨테이너(5)들을 수용하기 위하여 고정된 수평 지지면(3c)을 가지는 고정 지지 프레임(3)으로 구성된다. 다리부(3a)는 하단부에서 지면(4)에 장착되는 데, 이 지면은 항구 지역에서 보통 부두의 일부이다. 지면(4)으로부터 멀리 있는 상단부(3d)에서 다리부(3a)는 내측으로 각도를 형성하고 각각 수평 지지면(3c)을 형성하므로 다리부(3a)는 차량(1)의 이동 방향에서 볼 때 L--형상으로 도시된다. 모두 8개의 다리부(3a)들이 구비되고, 그 중에서 각각의 경우에 이동 방향(F)에서 볼 때 우측 및 좌측으로 차량(1)용 진입 채널(6)에 인접하는 4개의 다리부(3a)들은 이송 스태이션(2)으로 운전되는 차량(1)으로부터 그리고 서로로부터 떨어져 배치된다. 우측 및 좌측 다리부(3a)들은 또한 각각 대향하는 구조로 배치된다. 두 개의 대향하는 다리부(3a)들 사이의 공간(a)(도 3 및 4 참조)은 차량(1)이 진입할 수 있도록 차량(1)의 폭(b)보다 더 크도록 선택된다. 이러한 측면에서, 공간(a)은 폭(b)보다 대략 100mm 더 크다.
컨테이너(5)들은 차량(1)이나 다른 운반 수단에 의하여 그 위에 배치된 때 바람직하게 그 하부면 위에 배치된 안정된 코너 피팅(5a)(코너 캐스팅)에 의하여 지지면(3c) 위에 접촉하도록 지지된다. 또한, 8개의 다리부(3a)들 또는 관련 지지면(3c)들은 20-피트, 40-피트, 또는 45-피트 컨테이너(5)들이 지지면(3c) 위에 그들의 코너 피팅(5a)에 의하여 배치될 수 있도록 서로 배치된다. 도 1에서, 두 개의 20-피트 컨테이너(5)들이 이송 스태이션(2)의 8개의 지지면(3c)들 위에 서로 이어서 배치되었다. 이송 스태이션(2)에서 40-피트 또는 45-피트 컨테이너(5)들을 배치할 수 있도록, 이송 방향(F)에서 본 바와 같이, 제1 및 최종 쌍의 다리부(3a)들이, 그의 상단부(3b) 영역에서 두 개의 지지면(3c)들을 수용할 수 있도록 더 넓으며, 이들 지지면들은 서로 떨어지고 이송 방향(F)에서 본 바와 같이 연이어서 위치된다. 따라서 총 10개의 지지면(3c)들이 구비된다. 제1 및 최종 쌍의 다리부(3a)들 위의 최외측 지지면(3c)은 45-피트 컨테이너(5)를 수용하고; 제1 및 최종 쌍의 다리부(3a)들 위의 내측 지지면(3c)은 40-피트 컨테이너(5)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개별적인, 평탄한 직사각형의 지지면(3c)들이 다리부(3a) 위에 배치된다. 개별적인 지지면(3c)들 대신에, 이송 방향(F)에서 볼 때 연속적이며 L-자 형상을 가지는 지지 레일이 또한 사용될 수 있으며, 다리부(3a)의 상단부(3b)에 하나의 분기부가 고정되고 다른 분기부는 수평의 내측으로 향하는 지지면(3c)을 형성한다.
지지면(3c) 위에 컨테이너(5)를 배치하기 위하여 또는 지지면(3c)으로부터 컨테이너(5)들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차량(1)은 차량 프레임(8) 위에 배치되고 차량(1)의 주행 기어(10)에 의하여 차량(1)의 차량 프레임(8)과 함께 수직으로 상승되고 하강될 수 있는 박스-형상의 플랫폼 형태의 로드 표면(7)을 가진다. 로드 표면 또는 주행 기어(10)의 들어올리는 높이는 약 600mm이다. 또한, 로드 표면(7)은 차량(1)의 이동 방향(F)에서 본 바와 같이, 차량(1)의 거의 전 길이에 걸쳐 연장하고 서로 이어서 두 개의 20-피트 컨테이너(5)들 또는 하나의 40-피트 또는 하나의 45-피트 컨테이너(5)들을 수용하기에 적합한 크기이다.
도 1에서, 차량(1)은 방금 이동 스태이션(2) 내로 진입하였다. 이는 보통 자동으로 실행되므로 지지 프레임(3)의 대향하는 다리부(3a)들 사이의 폭을 가지는 진입 채널(6)은 또한 단지 차량(1)의 폭(b)보다 약간 더 넓어야 한다. 이동 스태이션(2)으로 차량(1)이 진입하기 전에, 차량(1)은 그의 하부 이송 위치로부터 상부 리프팅 위치로 차량 프레임(8)과 같이 결합하여 로드 표면(7)을 들어올리기 위하여 잠시 정지되었다.
이러한 리프팅 위치에서, 컨테이너(5)가 그 위에 접촉 지지되는 로드 표면(7)의 상부 측면은, 수직 방향으로 본 바와 같이, 수평으로 내측으로 연장하는 지지면(3c) 위로 돌출한다. 이동 방향(F)으로 본 바와 같이, 로드 표면(7)은 지지 프레임(3)의 대향하는 다리부(3a)들의 지지면(3d)들 사이의 공간(d)(도 4 참조)보다 더 좁은 폭(c)을 가진다. 그러므로, 지지 플랫폼(7)이 지지면(3c)과 접촉함이 없이, 차량(1)은 그의 로드 표면(7)이 리프팅 위치로 상승되면서 이송 스태이션(2)으로 진입할 수 있다. 지지 플랫폼(7)의 상부 측면은 또한 지지면(3c) 위에 위치되므로 차량(1)이 이송 스태이션(2)으로 진입할 때, 컨테이너(5)의 하부 면(5a)(도 3 참조), 특히, 그의 코너 피팅(5a)은 지지면(3c) 위로 위치된다.
더욱이, 통상적으로 컨테이너 위치 어댑터로 표시되는, 이동 방향(F)에서 볼 때, 차량 프레임(8) 위에서 횡방향 에지에 배치되고 수직으로 위로 돌출하는 가이드 부재(9)들이 차량(1)이 이송 스태이션(2)으로 진입함에 따라 지지면(3c)과 충돌하지 않도록 내측으로 선회되거나, 멀어지게 접히거나 또는 하강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그러므로 가이드 부재(9)들은 차량(1)이 이송 스태이션(2)으로 진입하기 위하여 필요한 구조적인 공간으로부터 외부로 이동된다. 가이드 부재(9)들은 기본적으로 바람직하게 시트 금속으로 제조되고 램프-형상의 가이드면(9a)으로 구성되며, 컨테이너(5)의 하강 방향에서 볼 때, 로드 표면(7) 방향으로 테이퍼링되고, 로드 표면(7) 위에 배치된 컨테이너(5)와 정렬되도록 따라서 이동 방향(F)으로 그리고 로드 표면을 가로질러 작동한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9)들은 이동 방향(F)으로 그리고 이동 방향을 가로질러 컨테이너(5)를 안내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컨테이너(5)들의 코너 영역들에 배치된다. 또한, 이송 스태이션(2) 지역에서, 가이드 부재(9)들은 차량(1)의 차량 프레임(8) 내로 선회된다.
차량(1)이 이송 스태이션(2) 내로 소정의 진입 깊이를 달성할 때, 로드 표면(7)은 차량 프레임(8)을 하강시키고, 지지 프레임(3) 위의 뒤에 컨테이너(5)를 잔류시킨 채로 이송 스태이션(2)에서 떠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차량(1)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여기서, 로드 표면(7)의 리프팅 작용을 예시하기 위하여, 차량 프레임(8)과 로드 표면(7)은 상승된 리프팅 위치에 도시된다.
이를 위하여 하강 운반 위치에 위치된 로드 표면(7) 위에 컨테이너(5)를 용이하게 설치하기 위하여, 상기 설명된 호퍼-형상의 가이드 부재(9)들이 차량(1)의 차량 프레임(8) 위에 구비된다. 이들 가이드 부재(9)들은 로드 표면(7)을 향하고 차량 프레임(8)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넓어지며 로드 표면(7)을 향하여 배향되는 가이드면(9a)을 가진다.
도 1과 2는 또한 차량(1)이 레일 차량이 아니고 공기-충진 타이어(1a)를 구비한 차량(1)인 것을 도시한다.
도 3은 다리부(3a)들 사이의 이송 스태이션(2)에 위치된 차량(1)의 이송 방향(F)으로 볼 때 도 1의 차량의 정면도를 도시한다. 이러한 도 3에서 볼 수 있는 컨테이너(5)와 차량 프레임(8)을 구비한 로드 표면(7)은 상승된 리프팅 위치에 위치된다. 컨테이너(5)의 코너 피팅(5a) 또는 하부면(5b)은 다리부(3a)의 지지면(3c) 위로 수직 거리(e)에 위치된다. 이러한 공간(e)은 컨테이너(5)의 로드 상태 및 타이어(1a)들의 충진 압력에 따라 50 내지 150mm 사이에서 변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타이어(1a)들이 이중 타이어 배치 방식으로 액슬 마다 구비된다.
도 4는 도 3에 대응하는 도면을 도시하며, 여기서 그러나, 차량 프레임(8)을 구비한 로드 표면(7)은 컨테이너(5)를 지지하지 않고 하강된 운반 위치에 위치된다. 컨테이너(5)는 코너 피팅(5a)을 지지면(3c) 위에 배치하여 위치된다.
도 5는 차량(1)의 차량 프레임(8) 위의 주행 기어(10)의 높이-조정가능한 휠 서스펜션(11)의 도면을 도시한다. 각각의 휠 서스펜션(11)은 선회 액슬(14)을 포함하며 두 개의 타이어(1a)들이 이중의 타이어 배치 방식으로 - 이동 방향(F)에서 볼 때 - 우측 및 좌측으로 그 위에 장착된다. 선회 액슬은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하는 로커(13)의 제1 단부(13a)에 장착된다. 실질적으로 이동 방향(F)으로 연장하는, 로커(13)에 의하여 선회 액슬(14)은 관절에 의하여 스트럿(12)에 부착된다.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연장하는 로커(13)는 이동 방향(F)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평으로 그리고 가로방향으로 연장하는 리프팅 스핀들(13b)을 거쳐 스트럿(12) 위에 선회가능하게 관절에 의하여 장착된다. 스트럿(12)과 로커(13) 사이에 대략 직각인 각도가 형성되고 이는 차량 프레임(8) 또는 로드 표면(7)의 리프팅 또는 하강 위치에 따라 변한다. 그러나, 모든 위치들에서 스트럿(12)과 로커(13) 사이에 각도가 형성된다. 유압 실린더(15) 형태의 리프팅 드라이브(15)는 선회 액슬(14)에 인접한 제1 단부(13a) 지역에서 로커(13)의 상부 측면에 관절에 의하여 장착된다. 리프팅 드라이브(15)에 의하여, 차량 프레임(8)은 리프팅 드라이브(15)의 신장에 의하여 타이어(1a)에 대해 상승될 수 있으며 리프팅 드라이브(15)의 수축에 의하여 하강될 수 있다.
리프팅 드라이브(15)의 리프팅은 차량 프레임(8) 또는 로드 표면(7)의 하강 또는 상승 위치 사이에서 약 600mm이다. 이와 같이 리프팅 드라이브(15)는 스트럿(12)에 대해 지지 플랫폼(7)의 리프팅 동안 그 위에서 관절에 의하여 작동되는 선회 액슬(14)과 같이 예컨대 로커(13)를 아래로 가압하며, 스트럿(12)과 로커(13)는 힌지 죠인트 방식으로 서로 멀어지게 이동하며 차량 프레임(8)은 이에 따라 상승된다.
스트럿(12)은 대략 수직으로 향하는 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 베어링(16)을 거쳐 차량 프레임(8)에 관절에 의하여 장착되며, 스트럿(12)은 조향 기능을 제공하도록 회전 베어링(16) 둘레에 회전하도록 외부 톱니를 구비한 중심 피벗판(17)을 가진다.
스트럿(12)은 일 측면에서 개방되고 실질적으로 U-자형 단면을 가지며 차량 프레임(8)으로부터 로커(13)를 향하여 테이퍼링되는 프로파일의 일부이다. 스트럿(12)과 로커(13)는 이와 같이, 로커(13)가 대략 수평으로 향할 때 선회 액슬(14)이 회전 베어링(16) 위의 스트럿(12)의 고정 죠인트(또는 그 중간) 아래 대략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서로에 대해 배치되고 형성된다. 그러므로, 타이어(1a)들의 회전축은 또한 주행 기어(10)가 정상적인 하강된 운반 위치에 있을 때 회전 베어링(16) 아래 거의 수직으로 위치한다.
적절한 리프팅 및 운반 장치를 구비하면, 차량(1)의 로드 표면(7) 위에 이송 스태이션(2) 외측으로 컨테이너(5)를 설치하거나 또는 로드 표면(7)으로부터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송 스태이션(2)은 바람직하게 컨테이너(5)들에 대해 버퍼 작용을 수행한다.
1: 차량, 1a: 타이어
2: 이송 스태이션, 3: 지지 프레임
3a: 다리부, 3b: 상단부
3c: 지지면, 4: 지면
5: 컨테이너, 5a: 코너 피팅
5b: 하부면, 6: 진입 채널
7: 로드 표면, 8: 차량 프레임
9: 가이드 부재, 9a: 가이드면
10: 주행 기어, 11: 휠 서스펜션
12: 스트럿, 13: 로커
13a: 제1 단부, 13b: 리프팅 스핀들
14: 선회 액슬, 15: 리프팅 드라이브
16: 회전 베어링, 17: 중앙 피벗판
a: 대향 다리부들 사이 공간
b: 차량 폭, c: 로드 표면의 폭
d: 대향 지지면 사이의 공간,
e: 지지면과 하부면 사이의 공간, F:이동방향

Claims (12)

  1. 운반 차량(1)의 차량 프레임(8)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로드 표면(7)을 가지며 리프팅 드라이브(15)에 의하여 하강된 운반 위치로부터 상승된 이송 위치로 상승되거나 또는 하강될 수 있는 컨테이너(5)들을 운반하기 위한 차량으로, 상기 리프팅 드라이브(15)는 운반 차량(1)의 주행 기어(10)의 높이-조정가능한 휠 서스펜션(11)의 일부인 지상 운반 차량(1)에 있어서, 상기 휠 서스펜션(11)은 힌지 죠인트 방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운반 차량(1).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휠 서스펜션(11)은 상기 차량 프레임(8) 위에 관절에 의하여 장착된 스트럿(12)과 수평의 리프팅 스핀들(13b)을 거쳐 상기 스트럿(12)에 피벗가능하게 관절에 의하여 장착된 로커(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차량(1).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드라이브(15)는 적어도 상기 로커(13)에 관절에 의하여 장착되고 바람직하게 추가적으로 상기 스트럿(12)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차량(1).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 기어(10)는 다중-액슬 주행 기어이며 복수의 휠 서스펜션(11)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차량(1).
  5. 제 1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휠 서스펜션(11)은 각각의 로커(13)를 거쳐 스트럿(12)에 장착된 선회 액슬(14)을 포함하며, 상기 리프팅 드라이브(15)는 상기 로커(13)와 상기 스트럿(12) 사이의 유압 실린더(15)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차량(1).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13)는 일 단부(13a)에서 상기 선회 액슬(14)에 관절에 의하여 장착되고 다른 단부(13b)에서는 리프팅 스핀들(13c)을 거쳐 상기 스트럿(12)에 관절에 의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차량(1).
  7. 제 2항 내지 제 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12)은 대략 수직으로 배향된 축 둘레로 회전할 수 있는 회전 베어링(16)을 거쳐 상기 차량 프레임(8) 위에 관절에 의하여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차량(1).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12)은 상기 회전 베어링(16) 둘레로 회전하기 위한 외부 톱니를 가진 중심 피벗판(17)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차량(1).
  9. 제 2항 내지 제 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12)은 일 측면에서 개방된 프로파일의 일부이며, 실질적으로 U-자형 단면을 가지며 상기 차량 프레임(8)으로부터 상기 로커(13)를 향하여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차량(1).
  10. 제 5항 내지 제 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럿(12)은 상기 로커(13)가 대략 수평으로 배향될 때 상기 선회 액슬(14)이 상기 회전 베어링(16) 위에서 상기 스트럿(12)의 고정 지점 아래 수직으로 배치되도록 차량의 세로 방향으로 경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운반 차량(1).
  11. 제 1항 내지 제 10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드라이브(15)의 리프팅은 대략 60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차량(1).
  12. 상기 선행하는 항들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 차량은 항구 설비용 컨테이너 운반 차량, 특히 AG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반 차량(1).
KR1020167018304A 2013-12-23 2014-12-11 리프팅 기능을 구비한 컨테이너용 지상 운반 차량 KR201601259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3114841.7A DE102013114841A1 (de) 2013-12-23 2013-12-23 Flurgebundenes Transportfahrzeug für Container mit einer Hubfunktion
DE102013114841.7 2013-12-23
PCT/EP2014/077457 WO2015096996A1 (de) 2013-12-23 2014-12-11 Flurgebundenes transportfahrzeug für container mit einer hubfunk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5946A true KR20160125946A (ko) 2016-11-01

Family

ID=52232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8304A KR20160125946A (ko) 2013-12-23 2014-12-11 리프팅 기능을 구비한 컨테이너용 지상 운반 차량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160362033A1 (ko)
EP (1) EP3086978A1 (ko)
JP (1) JP2017500248A (ko)
KR (1) KR20160125946A (ko)
CN (1) CN106414169A (ko)
AU (1) AU2014372762A1 (ko)
DE (1) DE102013114841A1 (ko)
SG (1) SG11201604888PA (ko)
WO (1) WO201509699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0142A (ko) 2021-08-03 2023-02-10 강영 주식회사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119193A1 (de) 2015-11-07 2017-05-11 Terex MHPS IP Management GmbH Batteriemodul für einen Fahrantrieb und Transportfahrzeug hiermit
DE102015121846B4 (de) * 2015-12-15 2017-07-27 Terex Mhps Gmbh Transportfahrzeug für Container
DE102015121804B4 (de) 2015-12-15 2017-07-27 Terex Mhps Gmbh Transportfahrzeug für Container
DE102018004209B4 (de) * 2018-05-25 2020-12-10 Flexette Gmbh Fahrzeug mit Fahrmodul und Lastmodul
US11338866B2 (en) * 2018-05-31 2022-05-24 Uatc, Llc Movable front shield for vehicles
CN109910726A (zh) * 2019-03-26 2019-06-21 南京博内特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物联网电动物流运输车及其使用方法
CN110316246A (zh) * 2019-07-18 2019-10-11 上海振华重工(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跨运车电动伺服独立转向系统及其控制方法
CN114408803A (zh) * 2022-01-26 2022-04-29 十通(深圳)物流机器人有限公司 集装箱双车联运设备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1521618A (fr) * 1967-03-10 1968-04-19 Train latéral suspendu orientable de roues porteuses pour véhicules lourds
CA1241036A (en) * 1987-06-12 1988-08-23 Bogdan Charczuk Cylinder attachment for elevating transporter
NL8701823A (nl) * 1987-08-03 1989-03-01 Europ Container Terminus Op- en overslagsysteem voor containers.
DE29505618U1 (de) * 1995-03-31 1995-05-24 Geroh Mechanische Systeme Selbstfahrendes und selbstauf- und abladbares Verladesystem für Container oder Wechselbrücken
JP3492133B2 (ja) * 1997-01-30 2004-02-03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移動式架設橋装置
JP3621845B2 (ja) * 1999-03-04 2005-02-16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重量物搬送車
JP4111840B2 (ja) * 2003-01-31 2008-07-02 Tcm株式会社 運搬車両
JP5231432B2 (ja) * 2006-10-19 2013-07-10 ゴットヴァルト ポート テクノロジー ゲーエムベーハー 特にコンテナ運搬のための運搬用車両
DE102007039778A1 (de) 2007-08-23 2009-02-26 Gottwald Port Technology Gmbh Flurgebundenes Transportfahrzeug, insbesondere für den Transport von Containern
DE202009001933U1 (de) * 2009-03-03 2009-04-30 M.W.B. Gmbh Trailerzuganhänger
DE102011108500A1 (de) * 2011-02-14 2012-08-16 Still Gmbh Trailerzuganhänger und Trailerzugsystem
DE202013102199U1 (de) * 2013-05-21 2013-06-06 Lr Intralogistik Gmbh Trailerzuganhäng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0142A (ko) 2021-08-03 2023-02-10 강영 주식회사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086978A1 (de) 2016-11-02
JP2017500248A (ja) 2017-01-05
US20160362033A1 (en) 2016-12-15
AU2014372762A1 (en) 2016-06-30
DE102013114841A1 (de) 2015-06-25
CN106414169A (zh) 2017-02-15
WO2015096996A1 (de) 2015-07-02
SG11201604888PA (en) 2016-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60125946A (ko) 리프팅 기능을 구비한 컨테이너용 지상 운반 차량
RU2179525C2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ый терминал для контейнеров и железнодорожная вагон-платформа
US8128064B2 (en) Floor-bound transportation vehicle, in particular for the transportation of containers
US6715977B2 (en) Loading device for ISO containers
EA012685B1 (ru) Мобильное перевал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US4877365A (en) Side shift grappler
EP3428093B1 (en) Aerial railway-based multimodal transport interconnecting system
US20130272827A1 (en) Container transport system
WO2010144033A1 (en) A loading/ unloading system in railway transportation
GB2052439A (en) Cantilever straddle carrier
KR100327816B1 (ko) 컨테이너 수송용 터미널 및 컨테이너 화차
US4915576A (en) Side shift grappler
CN108367698B (zh) 用于集装箱的运输车辆
CN212221792U (zh) 一种用于集装箱港口的输送装置
CN109436856A (zh) 一种用于集装箱港口的输送装置
FI90956B (fi) Nostettava ja laskettava perävaunu
US20170080840A1 (en) Combination Vehicle and Apparatus for Loading and Covering Material Located on a Vehicle Bed, Apparatus for Loading Material, and/or Method for Lifting Material
RU2657627C2 (ru) Вагон в.в. бодрова для подвижных тяжелых негабаритных грузов
EP0049121A2 (en) Improved mechanical handling apparatus
SU1735085A1 (ru) Железнодорожна платформа дл перевозки длинномерных грузов
RU112898U1 (ru) Терминал для погрузки и разгрузки контейнеров и временного их хранения
WO2022101652A1 (en) Railway container transhipment apparatus
FI71095C (fi) Transportanlaeggning
US4054217A (en) Load-lifting assembly
JP5924946B2 (ja) 走行荷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