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20142A -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 - Google Patents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20142A
KR20230020142A KR1020210101821A KR20210101821A KR20230020142A KR 20230020142 A KR20230020142 A KR 20230020142A KR 1020210101821 A KR1020210101821 A KR 1020210101821A KR 20210101821 A KR20210101821 A KR 20210101821A KR 20230020142 A KR20230020142 A KR 202300201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vehicle body
link
rotatably fixed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18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5400B1 (ko
Inventor
김경한
Original Assignee
강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018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400B1/ko
Publication of KR202300201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201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1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 B60P1/645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the load transporting element being shifted by means of an inclined ramp connected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7/00Securing or covering of load on vehicles
    • B60P7/06Securing of load
    • B60P7/13Securing freight containers or forwarding container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Abstract

본 발명은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컨테이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직육면체의 골격을 형성하는 차체부와, 상기 차체부의 전면 또는 후면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도어부와, 상기 차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하단 일측면에 형성되는 코너캐스팅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후크가 형성되는 행거부와, 상기 차체부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컨테이너 터미널 내 컨테이너 크레인에 의한 컨테이너를 적재 및 하역을 위한 대기를 줄임으로서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이송장비의 뼈대가되는 차체에 도어를 부착하여 터미널 바닦에 내려진 컨테이너를 파지하기 위해 도어를 열거나, 야드의 목적한 위치에 도착시 컨테이너 크레인이 컨테이너를 내려 주기를 기다리지 않고 이송장비에 부착된 도어를 열고 차체만 빠져 나가므로 인한 기다림을 줄여 이송장비의 효율을 높이고, 또한 이송장치에 컨테이너를 2단 적재로 터미널 내 투입된 이송장비 대수를 줄여 터미널 내 교차로에서 이송장비간 충돌로 기다리는 시간과 속도가 떨어지는 것을 줄여 줌으로서, 이송 효율을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컨테이너 터미널 바닦이 울퉁불퉁한 터미널에도 사용 가능하도록 바닦 깔판(Foot)를 차체에 부착 되어 있으며, 컨테이너 이송장비 차체 속으로 담을수 있는 20피트 와 40피트 컨테이너 외 45피트 와 48피트,53피트 도 이송장비 상부에 탑재 가능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A Container Carrying System}
본 발명은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선에서 하역된 컨테이너를 야드로 이송 또는 그 반대과정으로 다단 적재 이송 및 다른 장비의 도움 없이 내려 놓아 생산성을 향상시킨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테이너 터미널 내에는 컨테이너를 하역하고, 소정의 위치에 이송하기 위하여 트레일러 샤시를 이용한다. 트레일러 샤시에는 컨테이너를 타 장비의 도움으로 싣고 내리고를 수행하므로 기다리는 낭비 시간으로 이송 효율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트레일러 샤시 배차 대수가 늘어난다. 그 대수가 많아지면 터미널 내부 교차로에서 상호 간섭율이 많아 자주 정지하는 시간이 발생하고 다시 출발 하면 스피드도 떨어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일러 샤시 및 스트래들 캐리어가 있다. 트레일러 샤시는 다른 장비가 있어야만 컨테이너를 싣고 내릴 수가 있고, 스트래들 캐리어는 바닥에 내려진 컨테이너를 직접 파지하고 이송하여 목적한 야드 위치에 도착하면 직접 내리고 이동하는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약 40톤의 컨테이너를 이송하기 위한 트레일러 샤시의 경우 별도의 하역 및 적재장치가 필요하고, 스트래들 캐리어의 경우 이송장비의 중량이 약 50톤(컨테이너를 포함하면 약 100톤)으로 이송시키기 위하여 에너지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송장비의 구조가 높에 위치되어 무게 중심도 상부에 위치하게 되어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 제 10-2016-0125946호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테이너 크레인에 의하여 터미널 바닥에 놓인 컨테이너를 직접 픽업 및 이송하여 내려놓을 수 있는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한 번에 여러개의 컨테이너를 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인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은, 컨테이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직육면체의 골격을 형성하는 차체부와 ,상기 차체부의 후면 또는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도어부와, 상기 차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하단 일측면에 형성되는 코너캐스팅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후크가 형성되는 행거부와, 상기 차체부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승하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행거부는, 상기 차체부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는 안착프레임과, 상기 안착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차체부 내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후크부와, 상기 안착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차체부 하방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푸트부와, 상기 안착프레임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후크실린더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후크부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후크실린더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링크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제 1링크와 상기 후크실린더의 선단이 연결되는 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착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체프레임에 구비되는 바퀴의 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고, 일단은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3링크와, 상기 차체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는 승강실린더와, 절곡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의 회전축은 상기 차체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일단은 상기 승강실린더의 피스톤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4링크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4링크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3링크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5링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체프레임에는 바퀴가 여러개 형성되고, 상기 제 3링크, 제 4링크는 상기 바퀴의 수만큼 형성되고, 상기 승강실린더의 피스톤단에는 수평의 제 6링크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6링크에 상기 제 4링크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차체프레임의 상단에는 수직가이드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직가이드이 내측면은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인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은, 컨테이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직육면체의 골격을 형성하는 차체부의 상하부 및 후면이 개방되어 컨테이너가 상기 차체부 내부로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차체부가 승하강부에 의하여 승하강하면서, 상기 차체부의 마련되는 행거부의 후크에 의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하단 일측면에 형성되는 코너캐스팅홈에 삽입하여 상기 컨테이너를 파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컨테이너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차체부의 측면에 컨테이너의 코너캐스팅홈에 체결될 수 있는 행거부를 형성시키고, 행거부가 차체부를 따라 승하강하도록 하여 바닥면에 있는 컨테이너를 바로 픽업할 수 있도록 하여 장비 사이에서 기다리는 시간을 최소화 할 수 있어 컨테이너 터미널에서의 하역 및 적재작업의 효율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트레일러 샤시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스트래들 캐리어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트레일러 샤시)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스트래들 캐리어)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행거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의 행거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7은 도 5의 행거부의 구성을 보인 분해절개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승하강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승하강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을 구성하는 도어부의 구성을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컨테이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직육면체의 골격을 형성하는 차체부(10)와, 상기 차체부(10)의 전면 또는 후면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도어부(20)와, 상기 차체부(10)에 마련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하단 일측면에 형성되는 코너캐스팅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후크가 형성되는 행거부(30)와, 상기 차체부(10)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승하강부(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인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에는 차체부(10)가 마련된다. 상기 차체부(10)는 본 발명인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의 골격을 구성하는 것으로, 내부에 컨테이너가 수용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되며, 그 형상은 상기 컨테이너의 형상에 대응되는 직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차체부(10)는 상하와 후면이 개방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컨테이너가 바닥에 위치한 상태로 상기 차체부 내부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차체부(10)에는 상기 차체부(10)가 이동할 수 있는 동력을 자체로 구비할 수도 있으며, 상기 차체부(10)의 전면에 탈착가능한 동력원이 별개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차체부(10)의 상단에는 수직가이드(12)가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직가이드(12)는 상기 차체부(10) 내부에 컨테이너를 적층할 때, 상방으로 유입되는 컨테이너를 차체부(10) 내부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직가이드(12)는 상기 차체부(10)에 여러개 마련될 수 있으며, 내측면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체부(10)의 후면에는 도어부(20)가 마련된다. 상기 도어부(20)는 상기 차체부(10)의 후면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도어부(20)가 개방되어 상기 차체부(10)의 후면을 통하여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차체부(10) 내부의 공간으로 진입하거나 이탈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상기 차체부(10)의 전면이 개방되도록 하고, 상기 도어부가 상기 차체부(10)의 전면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도어부(20)는 상기 차체부(10)의 후면의 상측에 형성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상하방으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으며, 후면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힌지를 중심으로 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부(2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형성되어 몸체를 형성하는 도어몸체(22)와, 상기 도어몸체(22)가 상기 차체부(10)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도어힌지(24)와, 상기 도어몸체(22)가 상기 차체부(10)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도어고정단(26)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고정단(26)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몸체(22)와 대응되는 차체부(10) 중 어느 일측에 홈이 형성되고, 타측에 돌기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려 안내되고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고정단(26)에는 도어후크(28)가 마련되어, 상기 도어몸체(22)의 결합공(27)을 관통한 후 걸어져 상기 도어몸체(22)가 상기 차체부(10)에 안전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차체부(10)에는 행거부(30)가 마련된다. 상기 행거부(30)는 상기 컨테이너가 상기 차체부(10)에 선택적으로 고정 및 해제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행거부(30)는 상기 컨테이너의 측면 하단에 형성되는 코너캐스팅홈(R)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후크부(32)가 형성되어 상기 후크부(32)가 상기 코너캐스팅홈(R)에 맞물리면서 상기 차체부(10)에 상기 컨테이너(C)가 고정된다.
상기 행거부(3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행거부(30)는, 상기 차체부(10)의 하단 일측에 구비되는 안착프레임(31)과, 상기 안착프레임(3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차체부(10) 내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후크부(32)와, 상기 안착프레임(3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차체부(10) 하방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푸트부(33)와, 상기 안착프레임(31)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후크실린더(34)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후크부(32)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후크실린더(34)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링크(35)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제 1링크(35)와 상기 후크실린더(34)의 선단이 연결되는 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착프레임(3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링크(36)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행거부(30)에는 안착프레임(31)이 마련된다. 상기 안착프레임(31)은 상기 행거부(30)의 골격을 형성하며, 한면은 상기 컨테이너(C)의 모서리 일측면에 밀착되는 제 1판(31a)이 구성되고, 상기 제 1판(31a)에 대하여 수직으로 돌출되는 두개의 판으로 구성되는 제 2판(31b)이 구비되며, 상기 두개의 제 2판(31b) 사이에 상기 행거부(30)를 구성하는 각 부품이 실장된다.
상기 행거부(30)에는 후크부(32)가 마련된다. 상기 후크부(32)는 상기 안착프레임(31)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차체부(10) 내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코너캐스팅홈(R)에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후크부(32)는 판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착프레임(31)의 두개의 판인 제 2판(31b)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상단의 상기 두개의 제 2판(31b)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회전축(32a)이 마련되며, 하단의 일측은 돌출되는 돌출부(32b)가 형성되고, 하단의 타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 1링크(35)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행거부(30)에는 후크실린더(34)가 마련된다. 상기 후크실린더(34)는 상기 후크부(32)가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후크실린더(34)의 일단이 상기 안착프레임(31)의 제 2판(31b)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후크실린더(34)의 피스톤의 선단이 아래에서 설명될 제 1링크(35)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행거부(30)에는 제 1링크(35)가 마련된다. 상기 제 1링크(35)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후크부(32)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후크실린더(34)의 피스톤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즉, 상기 후크실린더(34)의 피스톤의 운동을 상기 후크부(32)의 회전운동으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행거부(30)에는 제 2링크(36)가 마련된다. 상기 제 2링크(36)는 상기 제 1링크(35)의 마찬가지로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제 1링크(35)와 상기 후크실린더(34)의 피스톤이 연결되는 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착프레임(3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행거부(30)에는 푸트부(33)가 마련된다. 상기 푸트부(33)는 상기 안착프레임(31)의 제 2판(31b) 외부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안착프레임(31) 하방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도록 회전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푸트부(33)는 상기 안착프레임(31)의 하방으로 돌출되어 상기 행거부(30)를 포함하는 차체부(10)가 하강할 때 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푸트부(33)는 상술한 기능을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착프레임(31)의 외측면에 바 형상의 수직푸트(33a)와, 상기 수직푸트(33a)의 말단에 직교되는 판상의 수평푸트(33b)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행거부(30)는 상기 차체부(10) 내부에 여러개가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컨테이너(C)에 형성되는 코너캐스팅홈(R)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상기 행거부(30)가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컨테이너(C)에 상기 코너캐스팅홈(R)이 4개가 위치되면, 상기 행거부(30)도 상기 차체부(10)의 모서리 내측에 4개 또는 여러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체부(10)에는 승하강부(40)가 마련된다. 상기 승하강부(40)는 상기 차체부(10)가 상기 차체부(10)의 하방에 마련되는 바퀴(1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하강부(40)는, 상술한 기능을 위하여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체부(10)에 구비되는 바퀴(14)의 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고, 일단은 상기 차체부(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3링크(41)와,
상기 차체부(10)에 일단이 고정되는 승강실린더(42)와, 절곡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의 회전축은 상기 차체부(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일단은 상기 승강실린더(42)의 피스톤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4링크(43)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4링크(43)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3링크(41)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5링크(4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승하강부(40)에는 제 3링크(41)가 마련된다. 상기 제 3링크(41)는 판상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차체부(10)에 구비되는 바퀴(14)의 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을 하도록 위치된다. 상기 제 3링크(41)의 일단은 상기 차체부(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 5링크(44)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부(40)에는 승강실린더(42)가 마련된다. 상기 승강실린더(42)는 상기 차체부(10)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상기 승강실린더(42)의 피스톤의 선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 4링크(43)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부(40)에는 제 4링크(43)가 마련된다. 상기 제 4링크(43)는 절곡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으로 회전축(43a)은 상기 차체부(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일단은 상기 승강실린더(42)의 피스톤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 5링크(44)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부(40)에는 제 5링크(44)가 마련된다. 상기 제 5링크(44)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제 4링크(43)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3링크(41)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체부(10)에는 바퀴(14)가 여러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바퀴(14)의 수만큼 상기 승하강부(40)의 제 3링크(41), 제 4링크(43) 및 제 5링크(4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강실린더(42)의 피스톤의 선단에 각각이 바퀴(14)에 위치하는 제 4링크(43)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도록 수평의 제 6링크(45)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즉, 상기 승상실린더(42)의 피스톤이 이동하면 상기 제 6링크(45)가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각각의 제 4링크(43)를 움직이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부(50)의 다른 실시예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승하강부(50)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바퀴(14)의 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7링크(51)와, 곡면의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제 7링크(51)의 선단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차체부(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8링크(52)와, 상기 제 8링크(52)와 상기 차체부(10)에 연결되는 축에 회전가능하게 일단이 연결되는 승강실린더(53)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제 8링크(52)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승강실린더(53)의 피스톤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9링크(54)와,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제 8링크(52)와 상기 승강실린더(53)의 피스톤 선단이 연결되는 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차체부(1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10링크(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승강실린더(53)의 피스톤이 길어지면, 제 9링크(54)와 제 10링크(55)가 수평으로 위치되면서, 상기 제 8링크(52)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차체부(10)가 지면에서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승강실린더(53)의 피스톤이 짧아지면, 제 9링크(54)와 제 10링크(55)가 절곡되면서, 상기 제 8링크(5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차체부(10)가 지면으로 이동하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인 컨테이너용 트레일러 조립체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지면에 내려져 있는 컨테이너(C)가 위치하는 곳으로 본 발명인 컨테이너용 트레일러 조립체의 차체부(10)를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차체부(10)의 도어부(20)를 개방시킨다.
상기 개방된 차체부(10) 내부로 상기 컨테이너(C)가 삽입되도록 한다. 상기 컨테이너(C)가 상기 차체부(10)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도어부(20)를 닫는다. 물론, 상기 도어부(20)는 차체부(10) 내부에 컨테이너(C)가 안전하게 고정된 후에 닫을 수도 있다.
그리고, 승하강부(40)를 동작시켜 상기 차체부(10)가 하강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승강실린더(42)가 동작한다. 승강실린더(42)의 피스톤이 실린더 외부로 이동하여 길어지면, 제 4링크(43)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4링크(43)에 연결되어 있는 제 5링크(44)가 상승하면서, 제 3링크(41)는 바퀴(12)의 축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시소운동하여 제 3링크(41)가 차체부(10)에 고정된 축이 하강하여, 차체부(10)가 아래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행거부(30)의 푸트부(33)를 동작시켜, 수평푸트(33b)가 차체부(10)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이동시켜 놓으면, 상기 차체부(1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지면에 닿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지면의 요철여부에 상관없이 상기 행거부(30)의 푸트부(33)을 이용하여 컨테이너를 수평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차체부(10)가 하강하고 나면, 상기 행거부(30)를 동작시킨다. 상기 행거부(30)의 후크실린더(34)를 동작시켜, 피스톤이 길이지면, 제 1링크(35)와 제 2링크(36)가 서로 수평으로 위치되면서 상기 후크부(32)가 시계반대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컨테이너(C)의 코너캐스팅홈(R)으로 상기 후크부(32)의 돌출부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승하강부(40)를 동작시켜 상기 차체부(10)가 상승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며, 승강실린더(42)가 동작한다. 승강실린더(42)의 피스톤이 실린더가 이동하여 짧아지면, 제 4링크(43)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 4링크(43)에 연결되어 있는 제 5링크(44)가 하강하면서, 제 3링크(41)는 바퀴(14)의 축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시소운동하여 제 3링크(41)가 차체부(10)에 고정된 축이 상승하여, 차체부(10)가 위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차체부 12: 수직가이드
14: 바퀴 20: 도어부
22: 도어몸체 24: 도어힌지
26: 도어고정단 30: 행거부
31: 안착프레임 31a: 제 1판
31b: 제 2판 32: 후크부
33: 푸트부 33a: 수직푸트
33b: 수평푸트 34: 후크실린더
35: 제 1링크 36: 제 2링크
40: 승하강부 41: 제 3링크
42: 승강실린더 43: 제 4링크
44: 제 5링크 45: 제 6링크
C: 컨테이너 R: 코너캐스팅홈

Claims (7)

  1. 컨테이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직육면체의 골격을 형성하는 차체부의 상하부 및 후면이 개방되어 컨테이너가 상기 차체부 내부로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차체부가 승하강부에 의하여 승하강하면서, 상기 차체부의 마련되는 행거부의 후크에 의하여 상기 컨테이너의 하단 일측에 형성되는 코너캐스팅홈에 삽입하여 상기 컨테이너를 적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
  2. 컨테이너가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직육면체의 골격을 형성하는 차체부;
    상기 차체부의 전면 또는 후면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도어부;
    상기 차체부에 마련되어 상기 컨테이너의 하단 일측면에 형성되는 코너캐스팅홈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후크가 형성되는 행거부; 및
    상기 차체부가 상하로 이동하도록 동력을 제공하는 승하강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는,
    상기 차체부이 모서리 하단에 구비되는 안착프레임;
    상기 안착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차체부 내부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후크부;
    상기 안착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상기 차체부 하방으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푸트부;
    상기 안착프레임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후크실린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후크부의 일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후크실린더의 선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링크; 및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제 1링크와 상기 후크실린더의 선단이 연결되는 축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안착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링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부는,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체프레임에 구비되는 바퀴의 축을 중심으로 시소운동하고, 일단은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3링크;
    상기 차체프레임에 일단이 고정되는 승강실린더;
    절곡된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중심의 회전축은 상기 차체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일단은 상기 승강실린더의 피스톤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4링크;
    바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상기 4링크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 3링크의 타단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5링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에는 바퀴가 여러개 형성되고, 상기 제 3링크, 제 4링크는 상기 바퀴의 수만큼 형성되고, 상기 승강실린더의 피스톤단에는 수평의 제 6링크가 회전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 6링크에 상기 제 4링크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프레임의 상단에는 수직가이드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수직가이드이 내측면은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행거부와 상기 승하강부가 여러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용 이송 시스템.



KR1020210101821A 2021-08-03 2021-08-03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 KR1025354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821A KR102535400B1 (ko) 2021-08-03 2021-08-03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1821A KR102535400B1 (ko) 2021-08-03 2021-08-03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20142A true KR20230020142A (ko) 2023-02-10
KR102535400B1 KR102535400B1 (ko) 2023-05-26

Family

ID=85223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1821A KR102535400B1 (ko) 2021-08-03 2021-08-03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40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6364B2 (ja) * 1998-06-25 2008-12-17 三輪運輸工業株式会社 Uフレーム車両
JP2013518788A (ja) * 2010-02-03 2013-05-23 シップ トゥ ショア テクノロジー ホールディング ビー.ブイ. コンテナ処理装置、そのようなものの利用法、および積み下ろし時の方法
KR20160125946A (ko) 2013-12-23 2016-11-01 테렉스 엠하페에스 이페 매니지먼트 게엠베하 리프팅 기능을 구비한 컨테이너용 지상 운반 차량
KR20190071853A (ko) * 2017-12-14 2019-06-25 최영수 화물 트럭용 덤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96364B2 (ja) * 1998-06-25 2008-12-17 三輪運輸工業株式会社 Uフレーム車両
JP2013518788A (ja) * 2010-02-03 2013-05-23 シップ トゥ ショア テクノロジー ホールディング ビー.ブイ. コンテナ処理装置、そのようなものの利用法、および積み下ろし時の方法
KR20160125946A (ko) 2013-12-23 2016-11-01 테렉스 엠하페에스 이페 매니지먼트 게엠베하 리프팅 기능을 구비한 컨테이너용 지상 운반 차량
KR20190071853A (ko) * 2017-12-14 2019-06-25 최영수 화물 트럭용 덤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400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67204B2 (en) Transport vehicle and transport facility
US11718477B2 (en) Vehicle for an 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US7686558B2 (en) Arrangement scheme of a container wharf and the container loading/unloading process
TW462945B (en) Material handling and transport system and process
WO2012167581A1 (zh) 车辆货物托架和车辆货物托架组
JP2023501431A (ja) レールシステムから動作不良車両を回収するための救助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2535400B1 (ko) 컨테이너 이송 시스템
US20030077154A1 (en) Empty container storage for the intermediate storage of empty iso containers
JP2868964B2 (ja) 自動倉庫の入出庫設備及びそれを使っての入出庫方法
JP5589512B2 (ja) コンテナターミナル
JP2017088316A (ja) 自動倉庫システム
JPH05229609A (ja) 立体自動倉庫
WO2020093741A1 (zh) 货车
JP3139698B2 (ja) コンテナ格納庫
WO2012100586A1 (zh) 堆高机吊具及设有该吊具的堆高机
JPH09151076A (ja) トランスファクレーンおよびその運転方法
EP1820768A1 (en) A double-trolley container crane capable of lifting dual 40-foot containers
KR20020089306A (ko) 화물 하역/선적 방법 및 그 장치
KR200452416Y1 (ko) 선박용 크레인
KR200452876Y1 (ko) 선박용 크레인
JP2011073865A (ja) 立体倉庫及びその入庫方法
CN212150095U (zh) 一种新型硬开顶集装箱
CN112607593B (zh) 一种吊具、门架小车以及双小车岸桥
JP7061082B2 (ja) 放射性物質保管容器の運搬方法
CN210065071U (zh) 叉车辅助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