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9306A - 화물 하역/선적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화물 하역/선적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9306A
KR20020089306A KR1020027007159A KR20027007159A KR20020089306A KR 20020089306 A KR20020089306 A KR 20020089306A KR 1020027007159 A KR1020027007159 A KR 1020027007159A KR 20027007159 A KR20027007159 A KR 20027007159A KR 20020089306 A KR20020089306 A KR 200200893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trailer
ship
unloading
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7988B1 (ko
Inventor
권영수
김경한
Original Assignee
권영수
김경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수, 김경한 filed Critical 권영수
Priority to KR10-2002-7007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988B1/ko
Publication of KR20020089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롤리 스프레더와 트레일러 중 어느 일측의 작업 지연으로 인해 타측들이 기다림으로써 발생되는 작업시간 지연 문제를 해소하는 콘베어와 겐트리 크레인의 트롤리, 스프레더 이동범위를 최소화 하여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 사이를 구분 분업화 하여 종래보다 하역/선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하역/선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화물 하역/선적 방법 및 그 장치{DEVICE FOR LOADING/UNLOADING CARGO AND METHOD THEREFOR}
통상적으로, 주요 항만시설의 하나로서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겐트리 크레인(Gantry Crane)이 잘 알려져 있다. 겐트리 크레인은 일정한 규격으로 된 대형 화물운반 용기인 컨테이너를 동력을 이용해 달아 올리고 일정한 구간을 이동하여 옮겨놓을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컨테이너 하역/선적을 위한 종래의 겐트리 크레인은, 그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도 1과 같이 철골 구조물 1과 크레인 5 한 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철골 구조물 1은 지상에 똑바로 세워진 지주 2,3와 이 지주 2,3를 의지 하여 횡으로 길게 가설된 가이드 레일 4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 5은 철골 구조물 1의 가이드 레일 4을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그 가이드 레일 4과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한 2축 이동제어가 가능한 것으로서, 컨테이너 7를 달아 올리 수 있는 스프레더 6를 가지며 이밖에 도시되지 않는 윈치(winch) 조정실(운전실) 등을 포함한다.
컨테이너 하역을 위해, 크레인 5은 정박해 있는 선박 8위치로 이동하여 그 위치에서 스프레더 6를 내려서 선반 8에 적재되어 있는 컨테이너 7 중 하나를 달아 올리며, 가이드 레일 4을 따라 달아 올린 컨테이너 7와 함께 트레일러 9 위치로 이동하여 그 컨테이너 7를 트레일러 9 위에 가만히 내려 놓는다. 그런 다음 크레인 5은 그 스프레더 6를 되감아 올린 후 다음의 컨테이너 하역 작업을 반복하기 위해 선박위치로 돌아간다. 상기 크레인 5이 선박 8을 향해 복귀하는 동안 컨테이너 7를 탑재한 트레일러 9는 그 위치를 떠나고 다음 트레일러가 그 위치로 진입하여 대기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선박 8에 적재된 컨테이너 7들의 하역작업이 이루어진다. 컨테이너 선적작업은 그 하역작업의 역순으로 행해진다. 참고로, 도 1에서 A의 이동경로로 스프레더 6가 이동하는 하역시의 경로와 선적시의 경로를 도식화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컨테이너 하역 또는 선적을 위하여 도 1과 같이 한 대의 크레인 5에 스프레더 6가 이동경로 A의 전(全)구간을 왕복하게 되는데, 선박 8에서 트레일러 9 까지의 거리가 멀고 크레인 5의 이동속도는 느리므로 그 구간을 1회 왕복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컨테이너를 선박에서 트레일러 또는 그 역으로 옮겨 싣는데 긴 시간이 소비되는 것은 물론, 특히 선박과 트레일러 및 트롤리, 스프레더 중 어느 일측의 작업준비가 지연되는 경우에 그 작업준비가 완료되기까지 나머지 작업을 중단한채 대기하고 있어야 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겐트리 크레인은 항만의 전체적인 하역/선적 효율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가진다.
한편, 항만의 하역/선적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겐트리 크레인에 있는 트롤리및 스프레더 이동속도를 높여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컨테이너의 하중과 그 운반중 안전을 감안할 때 트롤리와 스프레더의 이동속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항만에 정박한 선박에서 트레일러로 혹은 그 역으로 화물을 옮겨 싣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물 하역작업 또는 그 선적작업을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으로 분업화 하여 크레인이 컨테이너를 잡을시 항만에서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전송받아 신속 정확하게 선상과 야드의 정위치에 컨테이너를 이동시킬 수 있는 화물 하역/선적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물 하역/선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겐트리 크레인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 하역/선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겐트리 크레인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바람직한 화물 하역/선적 장치를 나타낸 겐트리 크레인의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승강기를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5c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컨테이너 가이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콘베이어를 나타낸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콘베이어 체인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바람직한 화물 하역/선적 장치를 나타낸 겐트리 크레인의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철골 구조물 11,12: 지주
13,14: 가이드 레일 20: 트롤리
21,31: 스프레더 22: 윈치
23,33: 운전실 30: 직교좌표 크레인
40: 컨테이너 50: 선박
60,60a: 트레일러 70,70a: 승강기
72,72a: 콘베이어 100: 선박화물 이재부
200: 상/하 이송부 300: 수평 이송부
400: 트레일러 이재부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트롤리, 스프레더와 트레일러 중 어느 일측의 작업 지연으로 인해 타측들이 기다림으로써 발생되는 작업시간 지연 문제를 해소하는 콘베어와 겐트리 크레인의 트롤리, 스프레더 이동범위를 최소화 하여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 사이를 구분 분업화 하여 종래보다 하역/선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하역/선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트레일러에 컨테이너를 하역/탑재시 자동화를 용이하게 하는 직교좌표 크레인과 두 개소의 스프레더에 항만에서 필요한 정보를 읽을 수 있는 센서가 부착되어 작업 오류를 없애고, 신속 정확하게 선박과 야드의 정위치에 컨테이너를 이송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에서 트레일러로 화물(컨테이너)을 하역하거나 그 역으로 선적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사용하여 선박과 이에 가까운 장소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선박화물을 이재하는 선박화물 이재단계와,
트레일러 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사용하여 트레일러와 이에 가까운 장소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트레일러 화물을 이재하는 트레일러 화물 이재단계, 그리고
상기한 선박측 이재장소와 트레일러측 이재장소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각각에 이재된 화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단계를 포함하여,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에서 각각의 운반기구를 사용하여 화물하역 또는 선적작업을 병행할 수 있게 하는 각 단계별로 분업화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화물 하역/선적 방법에 있어서의 또 다른 특징은,
선박과 트레일러 각각으로부터 그 사이에 위치된 동일 장소로 또는 그 역으로 각각의 운반기구(스프레더, 직교좌표 크레인)를 사용하여 화물을 이재하는 이재단계를 포함하여, 그 동일 장소를 경유하고 화물을 하역 또는 선적케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에서 트레일러 화물(컨테이너)을 하역하거나 그 역으로 선적하는 장치에 있어서,
선박과 이에 가까운 장소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선박 화물을 이재하기 위한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포함하는 선박 화물 이재수단과,
트레일러와 이에 가까운 장소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트레일러 화물을 이재하기 위한 트레일러 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포함하는 트레일러 화물 이재수단, 그리고
상기한 선박측 이재장소와 트레일측 이재장소 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각각에 이재된 화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수단을 구비하여,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에서 각각의 운반기구를 사용하여 화물 하역 또는 선적작업을 병행할 수 있게, 즉 각 부위별로 분업화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화물 하역/선적장에 있어서의 또 다른 특징은,
선박과 트레일러 각각으로부터 그 사이의 위치된 동일장소로 또는 그 역으로 화물을 이재하기 위한 각각의 운반기구를 포함하는 이재수단을 포함하여, 그 동일장소를 경유하여 화물을 하역 또는 선적케 구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화물은 모든 유형의 포장 또는 비포장 물품은 물론, 그러한 물품을 담고있는 규격 또는 비규격의 모든 화물용기를 포함한다. 규격 화물용기로서는 컨테이너가 대표적이다. 한편 선박화물은 선박에 선적할 또는 그로부터 하역할 화물을, 그리고 트레일러 화물은 트레일러에 탑재할 또는 그로부터 내릴 화물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트레일러는 화물수송을 위한 모든 동력 또는 비동력 차량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박에서 트레일러 또는 그 역으로 컨테이너를 하역하거나 선적하는 방법 또는 그러한 장치에 있어서, 종래는 하나의 운반기구(트롤리, 스프레더)를 사용하던 것과 달리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으로 구분된 둘 이상의 운반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컨테이너의 하역과 선적작업을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에서 분업화하여 각각 병행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하역/선적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2는 본 발명의 화물 하역/선적을 위한 장치로서 항만에 실시되는 겐트리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겐트리 크레인에는 철골 구조물 10로서 지상에 똑바로 세워진 지주 11,12와 이 지주 11,12를 의지하여 서로 다른 높이에 횡으로 길게 가설된 상하측 가이드 레일 13,14에 선박 화물용 트롤리 20와 트레일러 화물용 직교좌표 크레인 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트롤리 20와 직교좌표 크레인 30은 통상과 같이 각각 컨테이너 40를 달아 올릴 수 있는 스프레더 21,31를 가진다. 한편 선박 50과 트레일러 60 사이에 이송장치 70,7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송장치 70,72는 선박 50과 가까이 위치된 이재장소 71와 상기 트레일러 60와 가까이 위치된 이재장소 73를 가지며, 컨테이너 40를 그 이재장소 71,73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구동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장치 70,72의 구동기구는 예를 들면 수직이송용 승강기 70,70a와 수평이송용 콘베이어 72,72a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장치 70의 일측 이재장소 71는 선박 50의 규모나 거기에 쌓인 화물 적재 높이에 따라 단계적으로 그 높이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단계인 선박화물 이재단계는, 도 2에서 철골 구조물 10의 상측 가이드 레일 13에 설치되어 컨테이너 40를 달아 올리는 선박 화물용 트롤리 20와 스프레더 21를 사용하며, 가역적인 경로 A를 따라 컨테이너 40를 선박 50에서 이송장치 70의 선박측 이재장소 71로 하역이재(경로 A) 하거나 또는 그 역으로 선적(경로 A)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단계인 트레일러 화물 이재단계는 도 2에서 철골 구조물 10의 하측 가이드 레일 14에 설치된 트레일러 화물 하역/탑재용 직교좌표 크레인 30과 스프레더 31를 사용하며, 역시 가역적인 경로 D에 따라 컨테이너 40를 이송장치 72의 트레일러측 이재장소 73에서 트레일러 60로 탑재(경로 D)하거나 또는 그 역으로 선적 이재(경로 D)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세 번째 단계인 이송단계는 도 2에서 선박 50과 트레일러 60 사이에 설치된 이송장치 70,72에 의하여 행해지는 것으로, 가역적인 경로 B,C를 따라 컨테이너 40를 그 선박측 이재장소 71에서 트레일러 이재장소 73로 하역이송(경로 B,C)하거나 또는 그 역으로 선적이송(경로 C,B)하는 것이다.
즉, 컨테이너 하역작업은 선박 50에 적재된 컨테이너 40를 경로 A,B,C,D를 따라서 하역이재와 하역이송하는 과정을 거친 후, 트레일러 60에 이재하는 것으로행한다. 그리고 컨테이너 선적작업은 트레일러 60에 탑재된 컨테이너 40를 경로 D,C,B,A를 따라서 선적이재와 선적이송하는 과정을 거친 후, 선박 50에 적재하는 것으로 행하는 것이다.
상기한 선박 화물용 트롤리 20와 스프레더 21는 필요에 따라 종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도 1에 표시된 경로 A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하역/선적 방법에 따르면, 선박화물 이재단계와 트레일러 화물 이재단계의 일측에서 작업이 지연될 경우에도 타측의 작업은 계속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효율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선박이나 트레일러가 필요 이상으로 대기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트레일러 60에 컨테이너 40를 하역/탑재하는 직교좌표 크레인 30과 스프레더 31를 자동화할 수 있게 하였다.
한편, 도면으로 예시하지 않으나, 본 발명은 도 2에서 이송장치 70,72를 사용하지 않고 그 이송장치 70,72의 이재장소 71,73를 포함한 넓은 동일장소를 확보하는 동시에 선박화물과 트레일러 화물 각각의 트롤리 20와 스프레더 21 및 직교좌표 크레인 30과 스프레더 31가 그 동일 장소를 각각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선박 50과 트레일러 60 각각으로부터 그 동일장소로 컨테이너 40를 이재하고 거기에 이재된 컨테이너 40를 역시 각각의 트롤리 20와 스프레더 21 및 직교좌표 크레인 30, 스프레더 31로 선박 50과 트레일러 60 각각으로 옮기는 과정을 통해 컨테이너의 하역작업 또는 선적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하역/선적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로서 항만에 시설되는 겐트리 크레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예시하여설명한다. 이하에 참조되는 도면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겐트리 크레인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 구조물 10로써 지상에 똑바로 세워진 지주 11,12와 이 지주 11,12에 다른 높이로 가설된 가이드 레일 13,14과 함께 선박 50으로부터 하역 이재될 또는 그에 적재될 컨테이너의 이재수단을 위한 선박화물 이재부 100, 선박 50과 트레일러 60 사이에서 이재된 컨테이너 40의 이송을 위한 이송부 200,300, 그리고 트레일러 60에 탑재될 또는 그로부터 선적 이재될 컨테이너의 이재수단을 위한 트레일러 화물 이재부 400로 구성된다.
선박화물 이재부 100는 철골 구조물 10의 상측 가이드 레일 13을 포함하여, 이 가이드 레일 13을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 선박 화물용 트롤리 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트롤리 20는 컨테이너를 집기 위한 스프레더 21와 이 스프레더 21에 집힌 컨테이너를 달아 올리기 위한 윈치 23 및 조정실 23 등으로 구성되며, 가이드 레일13과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하여 2축 위치 제어되는 것이다.
이송부 200,300는 앞에 설명된 바 있는 도 3의 이송장치 70,72와 대응되는 부분으로써, 컨테이너를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기 70와 콘베이어 72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부 200,300의 승강기 70는 전술한 선박측 이재장소를 제공하는 팔레트 211를 포함하며, 도 4와 같이 팔레트 211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체인 212, 이 체인 212을 작동시키는 구동원 213, 그리고 팔레트 211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을 똑바로 안내 및 지지하는 가이드 지주 214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면으로는 자세히 예시되지 않으나, 선착 50의 규모(높이) 또는 거기에 쌓여있는 컨테이너 40들의 적재높이가 계속되는 선적과 하역에 의하여 달라지는데 따라서 팔레트 211의 상승높이를 단계적으로 가변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이송부 300의 콘테이너 40 하역 이송시, 도 5, 도 6, 도 7과 같이 콘베이어 321,322,3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승강기 210의 팔레트 211에 컨테이너 40가 컨테이너 안내판 G1,G2,G3을 따라 탑재되면 팔레트 211는 하강하여 위치 결정장치 330에 팔레트 211가 위치 결정될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지그와 링크에의해 컨테이너 안내판 G2,G3이 컨테이너 40가 이동할 수 있게 컨테이너 안내판 G2',G3'이 같이 벌어지고 콘베이어 체인 321은 콘베이어 체인 군동부 및 구동축 351의 중심축으로 실린더 324가 상승하여 팔레트 211를 기울어지게 하여 컨테이너 40의 이동 효율을 좋게 하고 컨테이너 40를 탑재한 콘베이어 체인 321은 일정한 간격으로 가설된 골조 312, 이 골조 312 위에 설치된 레일 311, 레일 311 위를 구를수 있고, 그 콘베이어 체인 321 다수 열 위에 국제 통용 컨테이너 40의 하부 골격구조의 폭이 각각 다른 것을, 이 콘베이어 체인 321 위에 안착할 수 있게 콘베이어 체인 344,345,346은 넓은 폭을 가졌다, 컨테이너 40의 하부 골격구조의 높낮이 차이를 흡수할 수 있는 콘베이어 체인 321에 탄성체 345를 부착하여 컨테이너 40의 하부 골격에 하중을 고르게 분배할 수 있게 하였다.
트레일러 화물 이재부 400는 철골 구조물 10의 하측 가이드 레일 14을 포함하여, 이 가이드 레일 14 위를 이동할 수 있게 직교좌표 크레인 30과 스프레더 3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직교좌표 크레인 30은 컨테이너를 집기위한 스프레더 31와조정실 33등으로 구성되며, 가이드 레일 14과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하여 3축 위치제어되는 것이다. 조정실 33은 그 직교좌표 크레인 30과 분리되어 철골 구조물 10의 한쪽 지주 12에 설치된 것이다. 이 조정실 33에는 그 직교좌표 크레인 30을 수동조작 및 자동으로 전환할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 예에서, 선박 50에 선적되어 있는 컨테이너 40를 하역하는 과정은, 선박화물 이재부 100의 트롤리 20가 선박 50위치로 이동하고 그 위치에서 원치 22로 스프레더 21를 내려서 하역할 컨테이너 40 하나를 달아올린 후 이송부 200에 구비된 승강기 210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승강기 210의 팔레트 211는 상승해 있는데, 스프레더 21는 그 팔레트 211에 달아올린 컨테이너 40를 내려놓고 다음 컨테이너 하역을 위해 선박 50측으로 되돌아간다.
이와 동시에 이송부 200,300에서는 승강기 210의 도 4에 나타난 작동기 213와 체인 212이 작동하여 컨테이너 40가 이재되어 있는 팔레트 211를 하강시킨다. 상기 팔레트 211가 하강하면, 도 5에 나타난 실린더 324가 상승하고 팔레트 211에 부착된 콘베이어 체인 321을 기울게 한 후 구동부 및 구동축 351이 구동하여 컨테이너 40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컨테이너 40가 팔레트 221에 진입시 도시되지 않은 센서에 감지되어 실런더 325가 상승하고 콘베이어 체인 322을 구동부 및 구동축 352이 구동하여 컨테이너 40는 이동되고, 상기 컨테이너 40가 팔레트 211에서 팔레트 212로 이동이 완료되면, 콘베이어 체인 321은 정지하고 팔레트 211는 상승한다. 이때에 상기 컨테이너 40는 팔레트 231에 도착 완료한다. 앞 설명과 같이 하여 컨테이너 40가 팔레트 231 하역이송 끝 부분에 도착하면, 탑재부 400의 직교좌표 크레인 30과 스프레더 31가 그 컨테이너 40를 달아 올려서 대기중에 있는 트레일러 60에 탑재 함으로써, 비로소 컨테이너 40 하나에 대한 하역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컨테이너 40에 탑재된 트레일러 60가 목적지를 향하고, 다음 트레일러가 진입하는 동안 위와 같은 선박화물 이재, 하강 및 수평이송 과정이 반복되므로, 컨테이너 40들의 하역작업은 꾸준히 진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어 컨테이너 하역작업도중, 트레일러 진입이 지연된 경우에도 일시 보관기능과 이송기능을 가진 팔레트 211,221,231에 컨테이너로 채워질때까지 선박측 트롤리 20와 스프레더 21에 의한 컨테이너 하역작업은 계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한 내용은 컨테이너 하역을 기술한 것이며 컨테이너 선적은 그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동일 규격의 항만시설에서 하역/선적 작업을 각각 구분 분업화하여, 하역/선적 작업 효율을 향상시켰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서, 상기 실시 예에서는 앞의 실시 예의 기본적 구성은 같고, 부가적으로 이송부 200,300에 전술한 바 있는 승강기 210,210a 와 콘베이어 72,72a에 컨테이너 40를 담을 수 있는 포켓이 부착되어 있으며, 컨테이너 40를 포켓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중간 이재용 크레인 630,630a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으로 예시된 것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선박과 트레일러 사이의 컨테이너 하역/선적 뿐만 아니라 대형 컨테이너 창고에 실시되는 컨테이너 크레인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실시예에 있어서 다음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거운 컨테이너(화물)를 달아 올리는 크레인(트롤리, 직교좌표 크레인, 스프레더)을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으로 구분하여 그 양측에서의 하역 및 선적 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분업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항만의 주요 시설인 겐트리 크레인에 적용하면, 컨테이너 운반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특히 선박이나 트레일러 어느 일측의 사정으로 인하여 타측의 작업이 지연되는 일, 대체적으로 예로서 트레일러들이 필요 이상으로 대기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입고와 출고가 원할해지므로 하역 및 선적 작업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만에서의 컨테이너 하역/선적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 효율 증대를 통한 물류비용 절감에 기여하고, 또한 항만의 용역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일러에서 하역/탑재 작업을 완전 자동화할 수 있게 직교좌표 크레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두 개소의 스프레더에 센서가 부착되어 컨테이너에 인쇄된 고유의 번호(바코드, RF, IC칩 등)를 인식하여 선박과 항만에서 컨테이너 내용 정보를 받아 컨테이너 하역 작업 오류를 없애고, 신속 정확하게 선박 야드의 정위치에 컨테이너를 이송, 적재할 수 있으며, 야드에 적재를 효율적으로 함으로써 야드효율도 배가할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선박에서 야드로 화물을 하역하거나 그 역으로 선적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박화물 전용 운반기구에서 컨테이너에 인쇄된 고유의 번호 및 바코드, RF, IC칩 등을 인식하여 그 화물의 종류, 중량, 행선지, 화주 등 속성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 고유번호와 그 화물의 속성이 상시 세트된 형으로 정보를 전달받아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선박과 이에 가까운 이재장소 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화물을 이재하는 이재단계와;
    트레일러 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는 트레일러 위치를 감지하여 스프레더를 하강하고 컨테이너에 인쇄된 고유번호 및 바코드, RF, IC칩 등을 인식하여 그 화물의 속성이 상시 세트된 형으로 정보를 전달받아 자동운전으로 트레일러와 이에 가까운 이재장소 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화물을 이재하는 트레일러 화물 이재단계; 그리고,
    상기한 선박측 이재장소와 트레일러측 이재장소 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각각에 이재된 화물을 이송하는 이송단계와 선박측 이재장소와 트레일러중 어느 일측의 작업 지연으로 인해 타측들이 기다림이 발생하는 것을 완화시키는 일시 저장기능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화물 이재단계와 트레일러 화물 이재단계가 화물을 달아 올려서 이동하는 각각의 크레인에 의해 수행되며, 크레인이 화물을 잡을시화물에 인쇄된 고유번호 및 바코드, RF, IC칩 등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계가,
    상기 선박측 이재장소에 이재된 화물을 상기 트레일러측 이재장소와 같은 높이로 또는 그 역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이송 과정과;
    상기 트레일러측 이재장소에 이재된 화물을 상기 선박측 이재장소로부터 하강한 위치쪽으로 이송하는 수평이송 과정과;
    상기 승강이송 과정에서 수평이송 과정으로 또는 그 역으로 화물을 이재하는 중간이재 과정이 각각의 유닛에 의해 개별 구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이재 과정이 외부의 도움없이 스스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 과정에 화물을 콘베이어 체인에 의하여 직접 수행되며, 화물의 하부 골격이 콘베이어 체인에 닿을 때 골고루 하중을 분포시켜 화물 하부 골격에 손상을 최소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 방법.
  6. 선박에서 야드로 화물을 하역하거나 그 역으로 선적하는 장치에 있어서,
    선박화물 전용 운반기구에서 컨테이너에 인쇄된 고유의 번호 및 바코드, RF, IC칩 등을 인식하여 그 화물의 종류, 중량, 행선지, 화주 등 속성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컨테이너 고유번호와 그 화물의 속성이 상시 세트된 형으로 정보를 전달받아 컨테이너를 하역하는 선박과 이에 가까운 이재장소 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화물을 이재하는 이재단계와;
    트레일러 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는 트레일러 위치를 감지하여 스프레더를 하강하고 컨테이너에 인쇄된 고유번호 및 바코드, RF, IC칩 등을 인식하여 그 화물의 속성이 상시 세트된 형으로 정보를 전달받아 자동운전으로 트레일러와 이에 가까운 이재장소 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화물을 이재하는 트레일러 화물 이재단계; 그리고,
    상기한 선박측 이재장소와 트레일러측 이재장소 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각각에 이재된 화물을 이송하는 이송단계와 선박측 이재장소와 트레일러중 어느 일측의 작업 지연으로 인해 타측들이 기다림이 발생하는 것을 완화시키는 일시 저장기능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화물 이재단계와 트레일러 화물 이재단계가 화물을 달아 올려서 이동하는 각각의 크레인에 의해 수행되며, 크레인이 화물을 잡을시 화물에 인쇄된 고유번호 및 바코드, RF, IC칩 등을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단계가,
    상기 선박측 이재장소에 이재된 화물을 상기 트레일러측 이재장소와 같은 높이로 또는 그 역으로 승강시키는 승강이송 과정과;
    상기 트레일러측 이재장소에 이재된 화물을 상기 선박측 이재장소로부터 하강한 위치쪽으로 이송하는 수평이송 과정과;
    상기 승강이송 과정에서 수평이송 과정으로 또는 그 역으로 화물을 이재하는 중간이재 과정이 각각의 유닛에 의해 개별 구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이재 과정이 외부의 도움없이 스스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 과정에 화물을 콘베이어 체인에 의하여 직접 수행되며, 화물의 하부 골격이 콘베이어 체인에 닿을 때 골고루 하중을 분포시켜 화물 하부 골격에 손상을 최소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선적 장치.
KR10-2002-7007159A 2002-05-30 1999-12-20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KR100507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07159A KR100507988B1 (ko) 2002-05-30 1999-12-20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07159A KR100507988B1 (ko) 2002-05-30 1999-12-20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306A true KR20020089306A (ko) 2002-11-29
KR100507988B1 KR100507988B1 (ko) 2005-08-17

Family

ID=2773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159A KR100507988B1 (ko) 2002-05-30 1999-12-20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98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4450A1 (en) * 2003-08-07 2005-02-17 Dong-A University Cargo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KR100710093B1 (ko) * 2004-11-29 2007-04-23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컨테이너용 하역 기계,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 및 컨테이너하역 방법
KR100948990B1 (ko) * 2007-11-08 2010-03-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선적/하역 관리정보를 이용한 힐링/리스트보정시스템
KR100980826B1 (ko) * 2008-09-02 2010-09-10 주식회사 싸이버로지텍 컨테이너 장착 콘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CN102768544A (zh) * 2012-08-02 2012-11-07 中国神华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控制装船机溜筒的方法和设备
KR20180041844A (ko) * 2016-10-17 2018-04-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팔레트 케리어를 포함하는 겐트리 크레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9499B1 (ko) * 2009-11-04 2012-05-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하역시스템 및 하역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5014450A1 (en) * 2003-08-07 2005-02-17 Dong-A University Cargo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KR100710093B1 (ko) * 2004-11-29 2007-04-23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컨테이너용 하역 기계,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 및 컨테이너하역 방법
KR100948990B1 (ko) * 2007-11-08 2010-03-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선적/하역 관리정보를 이용한 힐링/리스트보정시스템
KR100980826B1 (ko) * 2008-09-02 2010-09-10 주식회사 싸이버로지텍 컨테이너 장착 콘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CN102768544A (zh) * 2012-08-02 2012-11-07 中国神华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控制装船机溜筒的方法和设备
KR20180041844A (ko) * 2016-10-17 2018-04-25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팔레트 케리어를 포함하는 겐트리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07988B1 (ko) 200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4712B2 (ja) ロボットコンテナ取り扱い装置及び方法
SU1711666A3 (ru) Конвей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грузки и разгрузки грузов из судов
KR102059451B1 (ko) 컨테이너 보관 영역 안에 컨테이너를 배치시키거나 컨테이너 보관 영역으로부터 컨테이너를 제거하기 위한 컨테이너 운반 설비 및 방법
JP2021185112A (ja) ロボットコンテナ取り扱い装置及び方法
EP3636566B1 (en)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of freight
SG182672A1 (en) Device for coning and/or deconing a container and methods related thereto
US7287953B2 (en)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KR101429092B1 (ko) 컨테이너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이송 방법
JP2003517983A (ja) 貨物荷揚げ/船積方法及びその装置
JP4171024B2 (ja) 港湾または内港における荷役設備
WO2019192327A1 (zh) 集装箱检查系统、转运方法及港口设施
KR100507988B1 (ko)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US20160122139A1 (en) Container terminal
US7004338B2 (en) Empty container storage for the intermediate storage of empty ISO containers
FI111157B (fi) Menetelmä ja sovitelma paperi-, kartonki- ja sellurullien lastaamiseksi kuljetusvälineeseen
JPH07215665A (ja) パレタイザーおよび空パレット供給装置
KR100230144B1 (ko) 화물 하역/선적 장치
JPH05229609A (ja) 立体自動倉庫
JPH09315520A (ja) 物品保管棚用の物品搬送装置
KR20110073867A (ko) 컨테이너 하역 및 운송 방법
KR910008079B1 (ko) 자동화물 적재기(palletizer) 및 이것을 이용한 화물 적재 방법
US202301924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ading and loading a transport unit
JPH09315519A (ja) 物品保管設備
JP2540557B2 (ja) ティ―チング方式によるドラム缶搬送方法
JP2001261165A (ja) パレットの積降ろし設備及びその積降ろ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