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07988B1 -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 Google Patents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07988B1
KR100507988B1 KR10-2002-7007159A KR20027007159A KR100507988B1 KR 100507988 B1 KR100507988 B1 KR 100507988B1 KR 20027007159 A KR20027007159 A KR 20027007159A KR 100507988 B1 KR100507988 B1 KR 100507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trailer
cargo
transfer
unloa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7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89306A (ko
Inventor
권영수
김경한
Original Assignee
권영수
김경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수, 김경한 filed Critical 권영수
Priority to KR10-2002-70071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07988B1/ko
Publication of KR200200893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93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7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7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Abstract

본 발명은 트롤리 스프레더와 트레일러 중 어느 일측의 작업 지연으로 인해 타측들이 기다림으로써 발생되는 작업시간 지연 문제를 해소하는 콘베어와 겐트리 크레인의 트롤리, 스프레더 이동범위를 최소화 하여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 사이를 구분 분업화 하여 종래보다 하역/선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하역/선적 방법 및 그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Description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DEVICE FOR LOADING/UNLOADING CARGO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항만에 정박한 선박에서 트레일러로 혹은 그 역으로 화물을 옮겨 싣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화물 하역작업 또는 그 선적작업을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으로 분업화 하여 크레인이 컨테이너를 잡을시 항만에서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전송받아 신속 정확하게 선상과 야드의 정위치에 컨테이너를 이동시킬 수 있는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주요 항만시설의 하나로서 컨테이너 하역 및 선적을 위한 겐트리 크레인(Gantry Crane)이 잘 알려져 있다. 겐트리 크레인은 일정한 규격으로 된 대형 화물운반 용기인 컨테이너를 동력을 이용해 달아 올리고 일정한 구간을 이동하여 옮겨놓을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컨테이너 하역/선적을 위한 종래의 겐트리 크레인은, 그 개략적인 구성을 보인 도 1과 같이 철골 구조물(1)과 크레인(5) 한 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철골 구조물(1)은 지상에 똑바로 세워진 지주(2,3)와 상기 지주(2,3)를 의지하여 횡으로 길게 가설된 가이드 레일(4)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크레인(5)은 철골 구조물(1)의 가이드 레일(4)을 따라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가이드 레일(4)과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한 2축 이동제어가 가능한 것으로서, 컨테이너(7)를 달아 올리 수 있는 스프레더(6)를 가지며 이밖에 도시되지 않는 윈치(winch) 조정실(운전실) 등을 포함한다.
컨테이너 하역을 위해, 크레인(5)은 정박해 있는 선박(8) 위치로 이동하여 그 위치에서 스프레더(6)를 내려서 선박(8)에 적재되어 있는 컨테이너(7) 중 하나를 달아 올리며, 가이드 레일(4)을 따라 달아 올린 컨테이너(7)와 함께 트레일러(9)의 위치로 이동하여 그 컨테이너(7)를 트레일러(9) 위에 가만히 내려 놓는다. 그런 다음 크레인(5)은 그 스프레더(6)를 되감아 올린 후 다음의 컨테이너 하역 작업을 반복하기 위해 선박위치로 돌아간다. 상기 크레인(5)이 선박(8)을 향해 복귀하는 동안 컨테이너(7)를 탑재한 트레일러(9)는 그 위치를 떠나고 다음 트레일러가 그 위치로 진입하여 대기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동을 반복함으로써 선박(8)에 적재된 컨테이너(7)들의 하역작업이 이루어진다. 컨테이너 선적작업은 그 하역작업의 역순으로 행해진다. 참고로, 도 1에서 A의 이동경로로 스프레더(6)가 이동하는 하역시의 경로와 선적시의 경로를 도식화한 것이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컨테이너 하역 또는 선적을 위하여 도 1과 같이 한 대의 크레인(5)에 스프레더(6)가 이동경로 A의 전(全)구간을 왕복하게 되는데, 선박(8)에서 트레일러(9) 까지의 거리가 멀고 크레인(5)의 이동속도는 느리므로 그 구간을 1회 왕복하는데 상당한 시간이 소요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컨테이너를 선박에서 트레일러 또는 그 역으로 옮겨 싣는데 긴 시간이 소비되는 것은 물론, 특히 선박과 트레일러 및 트롤리, 스프레더 중 어느 일측의 작업준비가 지연되는 경우에 그 작업준비가 완료되기까지 나머지 작업을 중단한채 대기하고 있어야 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겐트리 크레인은 항만의 전체적인 하역/선적 효율을 크게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가진다.
한편, 항만의 하역/선적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겐트리 크레인에 있는 트롤리및 스프레더 이동속도를 높여서 작업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컨테이너의 하중과 그 운반중 안전을 감안할 때 트롤리와 스프레더의 이동속도를 높이는데 한계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화물 하역/선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겐트리 크레인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화물 하역/선적 방법을 설명하기 위하여 겐트리 크레인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바람직한 화물 하역/선적 장치를 나타낸 겐트리 크레인의 도면.
도 4a 내지 도 4c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승강기를 나타낸 도면.
도 5a 내지 5c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컨테이너 가이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콘베이어를 나타낸 도면.
도 7a 내지 도 7c는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콘베이어 체인의 상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바람직한 화물 하역/선적 장치를 나타낸 겐트리 크레인의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철골 구조물 11,12: 지주
13,14: 가이드 레일 20: 트롤리
21,31: 스프레더 22: 윈치
23,33: 운전실 30: 직교좌표 크레인
40: 컨테이너 50: 선박
60,60a: 트레일러 70, 72: 이송장치
70a: 승강기 72a: 콘베이어
100: 선박화물 이재부 200: 상/하 이송부
300: 수평 이송부 400: 트레일러 이재부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이 트롤리, 스프레더와 트레일러 중 어느 일측의 작업 지연으로 인해 타측들이 기다림으로써 발생되는 작업시간 지연 문제를 해소하는 콘베어와 겐트리 크레인의 트롤리, 스프레더 이동범위를 최소화 하여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 사이를 구분 분업화 하여 종래보다 하역/선적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컨테이너 하역/선적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트레일러에 컨테이너를 하역/탑재시 자동화를 용이하게 하는 직교좌표 크레인과 두 개소의 스프레더에 항만에서 필요한 정보를 읽을 수 있는 센서가 부착되어 작업 오류를 없애고, 신속 정확하게 선박과 야드의 정위치에 컨테이너를 이송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에서 트레일러로 화물(컨테이너)을 하역하거나 그 역으로 선적하는 방법에 있어서,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사용하여 선박과 이에 가까운 장소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선박화물을 이재하는 선박화물 이재단계와,
트레일러 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사용하여 트레일러와 이에 가까운 장소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트레일러 화물을 이재하는 트레일러 화물 이재단계, 그리고
상기한 선박측 이재장소와 트레일러측 이재장소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각각에 이재된 화물을 이송시키는 이송단계를 포함하여,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에서 각각의 운반기구를 사용하여 화물하역 또는 선적작업을 병행할 수 있게 하는 각 단계별로 분업화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화물 하역/선적 방법에 있어서의 또 다른 특징은,
선박과 트레일러 각각으로부터 그 사이에 위치된 동일 장소로 또는 그 역으로 각각의 운반기구(스프레더, 직교좌표 크레인)를 사용하여 화물을 이재하는 이재단계를 포함하여, 그 동일 장소를 경유하고 화물을 하역 또는 선적케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선박에서 트레일러 화물(컨테이너)을 하역하거나 그 역으로 선적하는 장치에 있어서,
선박과 이에 가까운 장소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선박 화물을 이재하기 위한 선박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포함하는 선박 화물 이재수단과,
트레일러와 이에 가까운 장소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트레일러 화물을 이재하기 위한 트레일러 화물 전용의 운반기구를 포함하는 트레일러 화물 이재수단, 그리고
상기한 선박측 이재장소와 트레일측 이재장소 중 어느 일측에서 타측으로 각각에 이재된 화물을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수단을 구비하여,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에서 각각의 운반기구를 사용하여 화물 하역 또는 선적작업을 병행할 수 있게, 즉 각 부위별로 분업화 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의 화물 하역/선적장에 있어서의 또 다른 특징은,
선박과 트레일러 각각으로부터 그 사이의 위치된 동일장소로 또는 그 역으로 화물을 이재하기 위한 각각의 운반기구를 포함하는 이재수단을 포함하여, 그 동일장소를 경유하여 화물을 하역 또는 선적케 구성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화물은 모든 유형의 포장 또는 비포장 물품은 물론, 그러한 물품을 담고있는 규격 또는 비규격의 모든 화물용기를 포함한다. 규격 화물용기로서는 컨테이너가 대표적이다. 한편 선박화물은 선박에 선적할 또는 그로부터 하역할 화물을, 그리고 트레일러 화물은 트레일러에 탑재할 또는 그로부터 내릴 화물을 말하는 것이다. 또한 트레일러는 화물수송을 위한 모든 동력 또는 비동력 차량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선박에서 트레일러 또는 그 역으로 컨테이너를 하역하거나 선적하는 방법 또는 그러한 장치에 있어서, 종래는 하나의 운반기구(트롤리, 스프레더)를 사용하던 것과 달리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으로 구분된 둘 이상의 운반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컨테이너의 하역과 선적작업을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에서 분업화하여 각각 병행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서,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화물 하역/선적 방법을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도 2는 본 발명의 화물 하역/선적을 위한 장치로서 항만에 실시되는 겐트리 크레인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도 2에 도시된 겐트리 크레인에는 철골 구조물(10)로서 지상에 똑바로 세워진 지주(11,12)와 상기 지주(11,12)를 의지하여 서로 다른 높이에 횡으로 길게 가설된 상하측 가이드 레일(13,14)에 선박 화물용 트롤리(20)와 트레일러 화물용 직교좌표 크레인(3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트롤리(20)와 직교좌표 크레인(30)은 통상과 같이 각각 컨테이너(40)를 달아 올릴 수 있는 스프레더(21,31)를 가진다. 한편 선박(50)과 트레일러(60)의 사이에 이송장치(70,72)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이송장치(70,72)는 선박(50)과 가까이 위치된 이재장소(71)와 상기 트레일러(60)와 가까이 위치된 이재장소(73)를 가지며, 컨테이너(40)를 상기 이재장소(71,73)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구동기구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장치(70,72)의 구동기구는 예를 들면 수직이송용 승강기(70a)와 수평이송용 콘베이어(72a)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여기서, 이송장치(70)의 일측 이재장소(71)는 선박(50)의 규모나 거기에 쌓인 화물 적재 높이에 따라 단계적으로 그 높이가 가변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단계인 선박화물 이재단계는, 도 2에서 철골 구조물(10)의 상측 가이드 레일(13)에 설치되어 컨테이너(40)를 달아 올리는 선박 화물용 트롤리(20)와 스프레더(21)를 사용하며, 가역적인 경로 A를 따라 컨테이너(40)를 선박(50)에서 이송장치(70)의 선박측 이재장소(71)로 하역이재(경로 A) 하거나 또는 그 역으로 선적(경로 A)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단계인 트레일러 화물 이재단계는 도 2에서 철골 구조물(10)의 하측 가이드 레일(14)에 설치된 트레일러 화물 하역/탑재용 직교좌표 크레인(30)과 스프레더(31)를 사용하며, 역시 가역적인 경로 D에 따라 컨테이너(40)를 이송장치(72)의 트레일러측 이재장소(73)에서 트레일러(60)로 탑재(경로 D)하거나 또는 그 역으로 선적 이재(경로 D)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세 번째 단계인 이송단계는 도 2에서 선박(50)과 트레일러(60)의 사이에 설치된 이송장치(70,72)에 의하여 행해지는 것으로, 가역적인 경로 B,C를 따라 컨테이너(40)를 그 선박측 이재장소(71)에서 트레일러 이재장소(73)로 하역이송(경로 B,C)하거나 또는 그 역으로 선적이송(경로 C,B)하는 것이다.
즉, 컨테이너 하역작업은 선박(50)에 적재된 컨테이너(40)를 경로 A,B,C,D를 따라서 하역이재와 하역이송하는 과정을 거친 후, 트레일러(60)에 이재하는 것으로 행한다. 그리고 컨테이너 선적작업은 트레일러(60)에 탑재된 컨테이너(40)를 경로 D,C,B,A를 따라서 선적이재와 선적이송하는 과정을 거친 후, 선박(50)에 적재하는 것으로 행하는 것이다.
상기한 선박 화물용 트롤리(20)와 스프레더(21)는 필요에 따라 종래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도 1에 표시된 경로 A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하역/선적 방법에 따르면, 선박화물 이재단계와 트레일러 화물 이재단계의 일측에서 작업이 지연될 경우에도 타측의 작업은 계속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효율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선박이나 트레일러가 필요 이상으로 대기하는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또한 트레일러(60)에 컨테이너(40)를 하역/탑재하는 직교좌표 크레인(30)과 스프레더(31)를 자동화할 수 있게 하였다.
한편, 도면으로 예시하지 않으나, 본 발명은 도 2에서 이송장치(70,72)를 사용하지 않고 그 이송장치(70,72)의 이재장소(71,73)를 포함한 넓은 동일장소를 확보하는 동시에 선박화물과 트레일러 화물 각각의 트롤리(20)와 스프레더(21) 및 직교좌표 크레인(30)과 스프레더(31)가 그 동일 장소를 각각 이동할 수 있게 함으로써, 선박(50)과 트레일러(60) 각각으로부터 그 동일장소로 컨테이너(40)를 이재하고 거기에 이재된 컨테이너(40)를 역시 각각의 트롤리(20)와 스프레더(21) 및 직교좌표 크레인(30), 스프레더(31)로 선박(50)과 트레일러(60) 각각으로 옮기는 과정을 통해 컨테이너의 하역작업 또는 선적작업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화물 하역/선적 방법을 구현하는 장치로서 항만에 시설되는 겐트리 크레인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구체적으로 예시하여 설명한다. 이하에 참조되는 도면에 있어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의한 겐트리 크레인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 구조물(10)로써 지상에 똑바로 세워진 지주(11,12)와 이 지주(11,12)에 다른 높이로 가설된 가이드 레일(13,14)과 함께 선박(50)으로부터 하역 이재될 또는 그에 적재될 컨테이너의 이재수단을 위한 선박화물 이재부(100), 선박(50)과 트레일러(60) 사이에서 이재된 컨테이너(40)의 이송을 위한 이송부(200,300), 그리고 트레일러(60)에 탑재될 또는 그로부터 선적 이재될 컨테이너의 이재수단을 위한 트레일러 화물 이재부(400)로 구성된다.
선박화물 이재부(100)는 철골 구조물(10)의 상측 가이드 레일(13)을 포함하여, 상기 가이드 레일(13)을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 선박 화물용 트롤리(2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트롤리(20)는 컨테이너를 집기 위한 스프레더(21)와 이 스프레더(21)에 집힌 컨테이너를 달아 올리기 위한 윈치(22) 및 조정실(23) 등으로 구성되며, 가이드 레일(13)과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하여 2축 위치 제어되는 것이다.
이송부(200,300)는 앞에 설명된 바 있는 도 3의 이송장치(70,72)와 대응되는 부분으로써, 컨테이너를 수직방향으로 승강시킬 수 있는 승강기(70)와 콘베이어(72)로 이루어진다. 상기 이송부(200,300)의 승강기(70)는 전술한 선박측 이재장소를 제공하는 팔레트(211)를 포함하며, 도 4와 같이 팔레트(211)를 상승 및 하강시키기 위한 체인(212), 이 체인(212)을 작동시키는 구동원(213), 그리고 팔레트(211)의 상승 및 하강 작동을 똑바로 안내 및 지지하는 가이드 지주(214)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면으로는 자세히 예시되지 않으나, 선박(50)의 규모(높이) 또는 거기에 쌓여있는 컨테이너(40)들의 적재높이가 계속되는 선적과 하역에 의하여 달라지는데 따라서 팔레트(211)의 상승높이를 단계적으로 가변 조정할 수 있는 것이다.
전술한 이송부(300)의 콘테이너(40)의 하역 이송시, 도 5, 도 6, 도 7과 같이 컨베이어(321,322,32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승강기(210)의 팔레트(211)에 컨테이너(40)가 컨테이너 안내판 G1,G2,G3을 따라 탑재되면 팔레트(211)는 하강하여 위치 결정장치(330)에 팔레트(211)가 위치 결정될시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지그와 링크에 의해 컨테이너 안내판 G2,G3이 컨테이너(40)가 이동할 수 있게 컨테이너 안내판 G2',G3'이 같이 벌어지고 콘베이어 체인(321)은 콘베이어 체인 구동부 및 구동축(351)의 중심축으로 실린더(324)가 상승하여 팔레트(211)를 기울어지게 하여 컨테이너(40)의 이동 효율을 좋게 하고 컨테이너(40)를 탑재한 콘베이어 체인(321)은 일정한 간격으로 가설된 골조(312), 이 골조(312) 위에 설치된 레일(311), 레일(311) 위를 구를 수 있고, 그 콘베이어 체인(321) 다수 열 위에 국제 통용 컨테이너(40)의 하부 골격구조의 폭이 각각 다른 것을, 이 콘베이어 체인(321) 위에 안착할 수 있게 콘베이어 체인(344,345,346)은 넓은 폭을 가졌다, 컨테이너(40)의 하부 골격구조의 높낮이 차이를 흡수할 수 있는 콘베이어 체인(321)에 탄성체(345)를 부착하여 컨테이너(40)의 하부 골격에 하중을 고르게 분배할 수 있게 하였다.
트레일러 화물 이재부(400)는 철골 구조물(10)의 하측 가이드 레일(14)을 포함하여, 이 가이드 레일(14) 위를 이동할 수 있게 직교좌표 크레인(30)과 스프레더(31)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직교좌표 크레인(30)은 컨테이너를 집기위한 스프레더(31)와 조정실(33) 등으로 구성되며, 가이드 레일(14)과 직교하는 방향을 포함하여 3축 위치제어되는 것이다. 조정실(33)은 그 직교좌표 크레인(30)과 분리되어 철골 구조물(10)의 한쪽 지주(12)에 설치된 것이다. 이 조정실(33)에는 그 직교좌표 크레인(30)을 수동조작 및 자동으로 전환할 수 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 예에서, 선박(50)에 선적되어 있는 컨테이너(40)를 하역하는 과정은, 선박화물 이재부(100)의 트롤리(20)가 선박(50)위치로 이동하고 그 위치에서 윈치(220로 스프레더(21)를 내려서 하역할 컨테이너(40) 하나를 달아 올린 후 이송부(200)에 구비된 승강기(210) 위치로 이동한다. 이때 승강기(210)의 팔레트(211)는 상승해 있는데, 스프레더(21)는 그 팔레트(211)에 달아올린 컨테이너(40)를 내려놓고 다음 컨테이너 하역을 위해 선박(50)측으로 되돌아간다.
이와 동시에 이송부(200,300)에서는 승강기(210)의 도 4에 나타난 작동기(213)와 체인(212)이 작동하여 컨테이너(40)가 이재되어 있는 팔레트(211)를 하강시킨다. 상기 팔레트(211)가 하강하면, 도 5에 나타난 실린더(324)가 상승하고 팔레트(211)에 부착된 콘베이어 체인(321)을 기울게 한 후 구동부 및 구동축(351)이 구동하여 컨테이너(40)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컨테이너(40)가 팔레트(221)에 진입시 도시되지 않은 센서에 감지되어 실런더(325)가 상승하고 콘베이어 체인(322)을 구동부 및 구동축(352)이 구동하여 컨테이너(40)는 이동되고, 상기 컨테이너(40)가 팔레트(211)에서 팔레트(212)로 이동이 완료되면, 콘베이어 체인(321)은 정지하고 팔레트(211)는 상승한다. 이때에 상기 컨테이너(40)는 팔레트(231)에 도착 완료한다. 앞 설명과 같이 하여 컨테이너(40)가 팔레트(231) 하역이송 끝 부분에 도착하면, 탑재부(400)의 직교좌표 크레인(30)과 스프레더(31)가 그 컨테이너(40)를 달아 올려서 대기중에 있는 트레일러(60)에 탑재 함으로써, 비로소 컨테이너(40) 하나에 대한 하역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한편 전술한 컨테이너(40)에 탑재된 트레일러(60)가 목적지를 향하고, 다음 트레일러가 진입하는 동안 위와 같은 선박화물 이재, 하강 및 수평이송 과정이 반복되므로, 컨테이너(40)들의 하역작업은 꾸준히 진행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어 컨테이너 하역작업 도중, 트레일러 진입이 지연된 경우에도 일시 보관기능과 이송기능을 가진 팔레트(211,221,231)에 컨테이너로 채워질때까지 선박측 트롤리(20)와 스프레더(21)에 의한 컨테이너 하역작업은 계속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술한 내용은 컨테이너 하역을 기술한 것이며 컨테이너 선적은 그 역순으로 이루어진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동일 규격의 항만시설에서 하역/선적 작업을 각각 구분 분업화하여, 하역/선적 작업 효율을 향상시켰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로서, 상기 실시 예에서는 앞의 실시 예의 기본적 구성은 같고, 부가적으로 이송부(200,300)에 전술한 바 있는 승강기 (210,210a)와 콘베이어(72,72a)에 컨테이너(40)를 담을 수 있는 포켓이 부착되어 있으며, 컨테이너(40)를 포켓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중간 이재용 크레인(630,630a)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에 설명되고 도면으로 예시된 것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선박과 트레일러 사이의 컨테이너 하역/선적 뿐만 아니라 대형 컨테이너 창고에 실시되는 컨테이너 크레인에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실시예에 있어서 다음에 기재되는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더 많은 변형 및 변용예가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거운 컨테이너(화물)를 달아 올리는 크레인(트롤리, 직교좌표 크레인, 스프레더)을 선박과 트레일러 양측으로 구분하여 그 양측에서의 하역 및 선적 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분업화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항만의 주요 시설인 겐트리 크레인에 적용하면, 컨테이너 운반시간을 크게 단축시킬 수 있고 특히 선박이나 트레일러 어느 일측의 사정으로 인하여 타측의 작업이 지연되는 일, 대체적으로 예로서 트레일러들이 필요 이상으로 대기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입고와 출고가 원할해지므로 하역 및 선적 작업이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만에서의 컨테이너 하역/선적 작업시간 단축 및 작업 효율 증대를 통한 물류비용 절감에 기여하고, 또한 항만의 용역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트레일러에서 하역/탑재 작업을 완전 자동화할 수 있게 직교좌표 크레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두 개소의 스프레더에 센서가 부착되어 컨테이너에 인쇄된 고유의 번호(바코드, RF, IC칩 등)를 인식하여 선박과 항만에서 컨테이너 내용 정보를 받아 컨테이너 하역 작업 오류를 없애고, 신속 정확하게 선박 야드의 정위치에 컨테이너를 이송, 적재할 수 있으며, 야드에 적재를 효율적으로 함으로써 야드효율도 배가할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에 있어서,
    철골 구조물(10)에서는 지상에 똑바로 세워진 지주(11,12)와 상기 지주(11.12)를 의지하여 서로 다른 높이에 횡으로 길게 가설된 상하측 가이드 레일(13,14)에 선박 화물용 트롤리(20)와 트레일러 화물용 직교좌표 크레인(30)이 설치되며;
    상기 트롤리(20)와 직교좌표 크레인(30)은 각각 컨테이너(40)를 달아 올릴 수 있는 스프레더(21,31)를 가지며, 선박(50)과 트레일러(60) 사이에는 이송장치(70,72)가 설치되고;
    상기 이송장치(70,72)는 상기 선박(50)과 가까이 위치된 이재장소(71)와 상기 트레일러(60)와 가까이 위치된 이재장소(73)를 가지며, 상기 컨테이너(40)를 상기 이재장소(71,73)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이송하는 수직이송용 승강기(70a) 및 수평이송용 콘베이어(72a)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선박(50)으로부터 하역 이재될 또는 그에 적재될 컨테이너의 이재수단을 위한 선박화물 이재부(100)와, 상기 선박(50)과 트레일러(60)의 사이에서 이재된 컨테이너(40)의 이송을 위한 이송부(200,300)와, 상기 트레일러(60)에 탑재될 또는 그로부터 선적 이재될 컨테이너의 이재수단을 위한 트레일러 화물 이재부(4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02-7007159A 2002-05-30 1999-12-20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KR1005079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07159A KR100507988B1 (ko) 2002-05-30 1999-12-20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7007159A KR100507988B1 (ko) 2002-05-30 1999-12-20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306A KR20020089306A (ko) 2002-11-29
KR100507988B1 true KR100507988B1 (ko) 2005-08-17

Family

ID=27730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7159A KR100507988B1 (ko) 2002-05-30 1999-12-20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0798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093B1 (ko) * 2004-11-29 2007-04-23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컨테이너용 하역 기계,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 및 컨테이너하역 방법
KR101149499B1 (ko) * 2009-11-04 2012-05-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하역시스템 및 하역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03247220A1 (en) * 2003-08-07 2005-02-25 Dong-A University Cargo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KR100948990B1 (ko) * 2007-11-08 2010-03-23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컨테이너선의 선적/하역 관리정보를 이용한 힐링/리스트보정시스템
KR100980826B1 (ko) * 2008-09-02 2010-09-10 주식회사 싸이버로지텍 컨테이너 장착 콘 표시 장치 및 그 방법
CN102768544B (zh) * 2012-08-02 2015-01-21 中国神华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控制装船机溜筒的方法和设备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0093B1 (ko) * 2004-11-29 2007-04-23 미츠비시 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컨테이너용 하역 기계, 컨테이너 관리 시스템 및 컨테이너하역 방법
KR101149499B1 (ko) * 2009-11-04 2012-05-25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컨테이너 하역시스템 및 하역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9306A (ko) 2002-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034712B2 (ja) ロボットコンテナ取り扱い装置及び方法
JP2021185112A (ja) ロボットコンテナ取り扱い装置及び方法
SU1711666A3 (ru) Конвейер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 загрузки и разгрузки грузов из судов
KR102059451B1 (ko) 컨테이너 보관 영역 안에 컨테이너를 배치시키거나 컨테이너 보관 영역으로부터 컨테이너를 제거하기 위한 컨테이너 운반 설비 및 방법
KR101429092B1 (ko) 컨테이너 이송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컨테이너 이송 방법
US20050244254A1 (en)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JP2003517983A (ja) 貨物荷揚げ/船積方法及びその装置
JP5629267B2 (ja) 標準貨物保持器、特にisoコンテナおよびスワップボディを鉄道と道路との間で移載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システム
WO2019192327A1 (zh) 集装箱检查系统、转运方法及港口设施
KR100507988B1 (ko) 화물 하역 및 선적 장치
KR20050086422A (ko) 항만의 하역 스테이션
US7004338B2 (en) Empty container storage for the intermediate storage of empty ISO containers
KR100474103B1 (ko) 겐트리크레인
FI111157B (fi) Menetelmä ja sovitelma paperi-, kartonki- ja sellurullien lastaamiseksi kuljetusvälineeseen
JPH07215665A (ja) パレタイザーおよび空パレット供給装置
KR100230144B1 (ko) 화물 하역/선적 장치
US20020015637A1 (en) Straddle loader for ISO containers
JPH065281Y2 (ja) 立体倉庫
JPH0225779Y2 (ko)
KR20110049144A (ko) 컨테이너 하역시스템 및 하역방법
KR100480473B1 (ko) 화물운송용 컨테이너 이송장치
KR910008079B1 (ko) 자동화물 적재기(palletizer) 및 이것을 이용한 화물 적재 방법
US202301924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ading and loading a transport unit
JP3214137B2 (ja) 高速船用荷役設備
JP2540557B2 (ja) ティ―チング方式によるドラム缶搬送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