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81563B1 -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 - Google Patents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81563B1
KR101581563B1 KR1020140079727A KR20140079727A KR101581563B1 KR 101581563 B1 KR101581563 B1 KR 101581563B1 KR 1020140079727 A KR1020140079727 A KR 1020140079727A KR 20140079727 A KR20140079727 A KR 20140079727A KR 101581563 B1 KR101581563 B1 KR 1015815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case
traveling body
traveling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9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부곤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9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815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815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815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3/00Transferring or trans-shipping at storage areas, railway yards or harbours or in opening mining cuts; Marshalling yard install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5/00Loading or unloading
    • B65G65/02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 B65G65/16Loading or unloading machines comprising essentially a conveyor for moving the loads associated with a device for picking-up the loads with rotary pick-up conveyors
    • B65G65/20Paddl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붐에서 공급되는 이송물을 복수개의 지상벨트컨베이어로 유도하는 주행몸체부와, 주행몸체부에 장착되어 회전되고 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주행몸체부를 이동시키는 주행바퀴부와, 주행몸체부에 장착되고 레일의 측부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주행안내부를 포함하여, 주행몸체부의 안정적인 주행을 유도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MOVING DEVICE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본 발명은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붐을 통해 공급되는 이송물을 복수개의 벨트컨베이어로 안내하도록 이동되는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공장에서 고로조업시 원연료로 사용되는 철광석과 석탄은 선박으로 수송되어 부두에서 하역작업을 거친 후, 벨트컨베이어 등의 운송설비를 통하여 공장의 야적장까지 운송된다. 선박에 적재되어 있는 석탄이나 철광석 같은 연원료는, 연속식 하역기의 엘리베이터 포스트에 연속적으로 부착된 버켓(bucket)을 이용하여 선박의 외부로 이송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0-0020731호(2000.04.15 공개, 발명의 명칭: 버켓 엘리베이터 형식의 연속식 하역기)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붐을 통해 공급되는 이송물을 복수개의 벨트컨베이어로 안내하도록 이동되는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는: 붐에서 공급되는 이송물을 복수개의 지상벨트컨베이어로 유도하는 주행몸체부; 상기 주행몸체부에 장착되어 회전되고, 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주행몸체부를 이동시키는 주행바퀴부; 및 상기 주행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의 측부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주행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행안내부는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주행몸체부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주행안내부는: 상기 주행몸체부에 장착되는 안내케이스부; 상기 안내케이스부에 안착되는 안내조절부; 상기 안내조절부에 편심되어 결합되는 안내축부; 및 상기 안내축부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안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케이스부는: 상기 주행몸체부에 장착되는 결합케이스; 상기 결합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조절부가 안착되고, 상기 안내축부가 관통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안착케이스; 및 상기 안착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안내조절부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조절부는: 상기 커버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고, 저면에 상기 안내축부가 결합되는 조절판; 상기 조절판의 저면에 장착되고, 상기 안착케이스에 안착되어 회전되는 조절바퀴; 상기 조절판을 상기 안착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조절나사; 및 상기 조절판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조절판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절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는 주행안내부가 레일의 측부와 접촉되어 주행몸체부의 좌우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는 안내축부가 안내조절부에 편심되어 결합되므로, 안내조절부의 회전 여부에 따라 안내축부에 장착된 안내지지부가 레일에 근접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는 커버케이스가 안내조절부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안내조절부의 좌우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의 설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에서 주행안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에서 안내케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에서 안내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에서 안내지지부가 레일과 이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에서 안내지지부가 레일과 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의 설치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속식 하역기(100)는 부두(101)를 따라 이동하는 주행부(102)의 상측에 수평 방향으로 붐(103)이 연결되며, 붐(103)의 하측으로 상하이동기(104)가 설치된다. 상하이동기(104)의 하부에는 굴삭부(105)가 위치하며, 굴삭부(105)를 따라 이동하는 버켓(106)이 선박의 저장고(107)로 진입하여 철광석 또는 석탄 등의 연원료를 굴삭하여 붐(103)에 전달한다. 붐(103)을 통해 이송되는 연원료는 주행부(102)의 하측에 구비된 지상벨트컨베이어(108)로 이동된 후 야적장으로 이동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1)는 주행부(102)에 설치되고, 붐(103)에서 공급되는 연원료, 즉 이송물을 복수개의 지상벨트컨베이어(108)에 선택적으로 안내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1)는 주행몸체부(10)와, 주행바퀴부(20)와, 주행안내부(30)를 포함한다.
주행몸체부(10)는 붐(103)에서 공급되는 이송물을 복수개의 지상벨트컨베이어(108)로 유도하고, 주행바퀴부(20)는 주행몸체부(10)에 장착되어 회전된다. 일 예로, 주행몸체부(10)는 벨트 컨베이어 형상을 하여 붐(103)에서 공급되는 이송물을 목적지로 안내할 수 있다.
주행바퀴부(20)는 레일(90)을 따라 이동되어 주행몸체부(10)를 이동시킨다. 일 예로, 한 쌍의 레일(90)은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주행부(102)에 결합되고, 주행몸체부(10)에 장착되는 주행바퀴부(20)가 레일(90)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주행안내부(30)는 주행몸체부(10)에 장착되고, 레일(90)의 측부와 접촉되어 회전된다. 일 예로, 주행안내부(30)는 주행몸체부(10)의 전단부 양측 및 후단부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레일(90)의 외측면과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행안내부(30)는 레일(90)을 따라 이동되는 주행몸체부(10)가 레일(90)에서 이탈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한편, 주행몸체부(10)가 상하이동기(104)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전방 이동이라 가정하고, 주행몸체부(10)가 상하이동기(104) 반대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후방 이동이라 가정한다. 이때, 주행몸체부(10)의 전단부는 상하이동기(104)와 가까운 주행몸체부(10)의 일단부를 의미하고, 주행몸체부(10)의 후단부는 상하이동기(104)와 먼 주행몸체부(10)의 타단부를 의미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에서 주행안내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행안내부(30)는 안내케이스부(40)와, 안내조절부(50)와, 안내축부(60)와, 안내지지부(70)를 포함한다.
안내케이스부(40)는 주행몸체부(10)에 장착된다. 일 예로, 안내케이스부(40)는 주행몸체부(1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한 쌍이 배치되고, 레일(90)의 상방에 위치될 수 있다.
안내조절부(50)는 안내케이스부(40)에 안착되고, 안내축부(60)는 안내조절부(50)에 결합된다. 일 예로, 안내축부(60)는 안내조절부(50)의 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되, 안내조절부(50)의 중심에서 벗어난 지점에 배치되도록 편심되어 결합될 수 있다.
안내지지부(70)는 안내축부(60)에 장착되고, 레일(90)과 접촉되어 회전된다. 일 예로, 안내지지부(70)는 안내축부(6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고, 주행몸체부(10)가 이동되는 동안 레일(90)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다. 안내지지부(70)는 레일(90)의 마모 방지를 위해 레일(90)보다 강도가 낮은 연성재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에서 안내케이스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케이스부(40)는 결합케이스(41)와, 안착케이스(42)와, 커버케이스(43)를 포함한다.
결합케이스(41)는 주행몸체부(10)에 장착된다. 일 예로, 결합케이스(41)는 주행몸체부(10)의 전단부 양측면과 후단부의 양측면에 나사 조립될 수 있다. 그 외, 결합케이스(41)는 주행몸체부(10)에 용접되어도 무방하다.
안착케이스(42)는 결합케이스(41)에 결합되고, 안내조절부(50)는 결합케이스(41)에 안착된다. 일 예로, 결합케이스(41)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주행몸체부(10)에 결합되고, 안착케이스(42)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결합케이스(41)에 결합될 수 있다. 안착케이스(42)에는 관통홀부(421)가 형성되고, 안내축부(60)는 관통홀부(421)를 관통할 수 있다. 일 예로, 관통홀부(421)는 안착케이스(42)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케이스(43)는 안착케이스(42)에 장착되고, 안내조절부(5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된다. 일 예로, 커버케이스(43)는 안착케이스(42)의 상측면에 고정되어 상방으로 돌출되고, 원띠 형상을 하여 안내조절부(50)의 좌우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예로, 커버케이스(43)의 내부에 관통홀부(421)가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케이스(42)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고정홀부(422)는 커버케이스(43)의 내측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그 외, 안내케이스부(40)에는 안착케이스(42)에서 하방으로 연장되어 결합케이스(41)에 결합되고, 안내축부(60)를 지지하는 지지케이스(6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에서 안내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내조절부(50)는 조절판(51)과, 조절바퀴(52)와, 조절나사(53)와, 조절돌기(54)를 포함한다.
조절판(51)은 커버케이스(43)의 내측에 배치된다. 일 예로, 조절판(51)은 원형의 판 형상을 할 수 있다. 조절판(51)의 저면에는 안내축부(60)가 결합되어 관통홀부(421)를 관통할 수 있다.
조절바퀴(52)는 조절판(51)의 저면에 장착되고, 안착케이스(42)에 안착되어 회전된다. 일 예로, 조절바퀴(52)는 조절판(51)의 저면에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되고, 조절판(51)의 회전을 유도한다. 조절판(51)이 회전되면, 편심된 안내축부(60)가 조절판(51)과 연동되어, 안내지지부(70)와 레일(90)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조절나사(53)는 조절판(51)을 안착케이스(42)에 고정시킨다. 일 예로, 안착케이스(42)에는 복수개의 고정홀부(422)가 원주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나사(53)는 조절판(51)에 형성되는 조절홀부(511)와 어느 하나의 고정홀부(422)가 수직선상에 배치되는 지점에서 조절홀부(511)와 고정홀부(422)를 관통하여 조절판(51)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조절돌기(54)는 조절판(51)의 상면에 장착되고, 조절판(51)에 회전력을 전달한다. 일 예로, 조절돌기(54)는 조절판(51)의 상방으로 돌출되고, 십자 또는 일자 나사가 삽입되도록 조작홈부(541)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안내축부(60)는 연결축(61)과 편심축(6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축(61)은 조절판(51)의 저면 중앙부에 결합되고, 지지케이스(64)를 관통하여 좌우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편심축(62)은 연결축(61)의 하방으로 연장되고, 연결축(61)의 저면 가장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편심축(62)을 둘러싸는 안내지지부(70)는 조절판(51)이 회전됨에 따라 레일(90)과의 거리가 조절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에서 안내지지부가 레일과 이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에서 안내지지부가 레일과 밀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편심된 안내축부(60)가 레일(90)에 근접됨에 따라 안내축부(60)에 장착되는 안내지지부(70)와 레일(90)과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주행몸체부(10)에 형성되는 주행바퀴부(20)는 주행부(102)에 결합되는 레일(90)에 안착되어 주행몸체부(10)를 이동시키고, 주행몸체부(10)에 장착된 주행안내부(30)는 레일(90)의 측면과 접촉되어 회전된다.
즉, 결합케이스(41)는 주행몸체부(10)에 장착되고, 안착케이스(42)는 결합케이스(41)에 결합된다. 안착케이스(42)의 상측면에는 원띠 형상의 커버케이스(43)가 돌출되고, 커버케이스(43)의 내측으로 조절판(51)이 배치되어 조절판(51)의 유동이 제한된다.
조절판(51)의 저면에 형성되는 조절바퀴(52)는 안착케이스(42)에 안착되고, 조절판(51)에 편심되도록 결합되는 안내축부(60)는 관통홀부(421)를 관통하여 조절판(51)의 하방에 배치된다. 이때, 안내지지부(70)가 안내축부(60)의 하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작업자는 조절판(51)의 상방으로 돌출되는 조절돌기(54)에 도구를 삽입하여 조절판(51)을 회전시킨다. 조절판(51)이 회전되면, 조절판(51)에 편심되어 결합된 안내축부(60)에 의해 안내지지부(70)가 레일(90)의 측면에 근접 또는 밀착될 수 있다. 안내지지부(70)가 레일(90)에 근접되면, 조절나사(53)를 이용하여 조절판(51)의 회전을 제한한다.
상기한 상태에서, 주행몸체부(10)는 레일(90)을 따라 이동된다. 이때, 레일(90)과 주행바퀴부(20)간에는 일부 유격이 형성되도록 설계되어 주행바퀴부(20)에 의한 레일(90)의 마모 및 마찰을 억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주행몸체부(10)의 좌우 유동이 발생될 수 있으나, 주행몸체부(10)의 전단부 및 후단부 양측에 각각 배치되는 주행안내부(30)가 레일(90)의 외측면에 지지되어 주행몸체부(10)의 안정적인 이동성을 보장할 수 있다.
한편, 장기간 사용으로 안내지지부(70)가 마모되어 레일(90)과 이격되는 경우, 조절나사(53)의 잠금을 해제하여 안내지지부(70)가 레일(90)의 외측면에 근접되도록 조절판(51)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1)는 주행안내부(30)가 레일(90)의 측부와 접촉되어 주행몸체부(10)의 좌우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1)는 안내축부(60)가 안내조절부(50)에 편심되어 결합되므로, 안내조절부(50)의 회전 여부에 따라 안내축부(60)에 장착된 안내지지부(70)와 레일(90)간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1)는 커버케이스(43)가 안내조절부(50)의 외측을 감싸도록 형성되어 안내조절부(50)의 좌우 유동을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주행몸체부 20 : 주행바퀴부
30 : 주행안내부 40 : 안내케이스부
41 : 결합케이스 42 : 안착케이스
43 : 커버케이스 50 : 안내조절부
51 : 조절판 52 : 조절바퀴
53 : 조절나사 54 : 조절돌기
60 : 안내축부 61 : 연결축
62 : 편심축 70 : 안내지지부
90 : 레일 101 : 부두
102 : 주행부 103 : 붐
104 : 상하이동기 105 : 굴삭부
106 : 버켓 107 : 저장고
108 : 지상벨트컨베이어 421 : 관통홀부
422 : 고정홀부 511 : 조절홀부

Claims (5)

  1. 붐에서 공급되는 이송물을 복수개의 지상벨트컨베이어로 유도하는 주행몸체부;
    상기 주행몸체부에 장착되어 회전되고, 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주행몸체부를 이동시키는 주행바퀴부; 및
    상기 주행몸체부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의 측부와 접촉되어 회전되는 주행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주행안내부는
    상기 주행몸체부에 장착되는 안내케이스부;
    상기 안내케이스부에 안착되는 안내조절부;
    상기 안내조절부에 편심되어 결합되는 안내축부; 및
    상기 안내축부에 장착되고, 상기 레일과 접촉되어 회전되는 안내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행안내부는 한 쌍이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주행몸체부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케이스부는
    상기 주행몸체부에 장착되는 결합케이스;
    상기 결합케이스에 결합되어 상기 안내조절부가 안착되고, 상기 안내축부가 관통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안착케이스; 및
    상기 안착케이스에 장착되고, 상기 안내조절부의 외측을 감싸는 커버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조절부는
    상기 커버케이스의 내측에 배치되고, 저면에 상기 안내축부가 결합되는 조절판;
    상기 조절판의 저면에 장착되고, 상기 안착케이스에 안착되어 회전되는 조절바퀴;
    상기 조절판을 상기 안착케이스에 고정시키는 조절나사; 및
    상기 조절판의 상면에 장착되고, 상기 조절판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조절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
KR1020140079727A 2014-06-27 2014-06-27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 KR1015815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727A KR101581563B1 (ko) 2014-06-27 2014-06-27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9727A KR101581563B1 (ko) 2014-06-27 2014-06-27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81563B1 true KR101581563B1 (ko) 2015-12-30

Family

ID=550881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9727A KR101581563B1 (ko) 2014-06-27 2014-06-27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815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677A (ko) * 2011-06-29 2013-01-08 주식회사 포스코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KR101368935B1 (ko) * 2013-01-31 2014-03-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장비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677A (ko) * 2011-06-29 2013-01-08 주식회사 포스코 밀림방지장치 및 이를 구비한 하역기
KR101368935B1 (ko) * 2013-01-31 2014-03-03 현대제철 주식회사 연속하역장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46117B2 (ja) フィーダホッパ、フィーダホッパの壁体の固定方法及び固定手段
KR101298750B1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1377492B1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KR101572359B1 (ko) 벨트 이동 방지장치
KR101845233B1 (ko)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유닛 교체방법
KR101121563B1 (ko) 트리퍼카 밀림 방지 장치
KR101581563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주행 장치
KR20190020447A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KR101411858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KR101504932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보호장치
KR101562145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오탁수처리장치
KR101175788B1 (ko) 연속하역기용 하역장치
KR102250329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장치
KR101246226B1 (ko) 연속식 하역기
KR20180118464A (ko) 연속식 하역장치
KR20130059890A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이송장치
KR101167127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2224878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장치
KR101344311B1 (ko) 연속식 하역기의 로터리피더용 이송장치
KR102408098B1 (ko) 연속식 하역기
KR101572371B1 (ko) 연속식 하역장치
KR101159583B1 (ko) 연속식 하역장치
CN109879029A (zh) 一种连续转运系统的自移受料车
KR101399859B1 (ko) 연속식 하역기
KR20130088406A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