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233B1 -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유닛 교체방법 - Google Patents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유닛 교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233B1
KR101845233B1 KR1020160110823A KR20160110823A KR101845233B1 KR 101845233 B1 KR101845233 B1 KR 101845233B1 KR 1020160110823 A KR1020160110823 A KR 1020160110823A KR 20160110823 A KR20160110823 A KR 20160110823A KR 101845233 B1 KR101845233 B1 KR 1018452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ort
lifting
housing
suppor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494A (ko
Inventor
박창진
이정익
고종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60110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233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4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4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2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2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45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comprising toggle le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06Equipment for til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41/00Casting melt-holding vessels, e.g. ladles, tundishes, cups or the like
    • B22D41/12Travelling ladles or similar containers; Cars for la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3/00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 B66F3/24Devices, e.g. jacks, adapted for uninterrupted lifting of loads fluid-pressure operated
    • B66F3/25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물체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는 지지체에 착탈 가능하고, 상기 물체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유닛의 양측에 위치하며, 적어도 일부분이 굴절 가능한 복수의 리프팅 유닛을 구비하여, 파손된 지지유닛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유닛 교체방법{Lifting Apparatus and Supporting Unit Chang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유닛 교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지지체 상에 설치되어 물체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신속하게 교체할 수 있는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유닛 교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에서 생산된 용선은 래들에 담긴 상태에서 탈류 작업을 거치게 된다. 탈류 작업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우선, 래들 내의 용선으로 내화물 임펠러를 침적시켜 일정한 속도로 회전시킨다. 그 다음, 용선의 상부로 탈황제를 투입하면 소용돌이 형상에 의해 탈황제가 용선 중으로 침투하여 탈황반응을 일으킨다.
이때, 용선이 담긴 래들은 대차 상에 안착되는 경동대에 지지되어 운반된다. 경동대는 대차에 구비되는 4개의 가이드 롤러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따라서, 래들을 경동대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가이드 롤러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탈류 작업을 수행할 때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진동이 가이드 롤러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가이드 롤러가 쉽게 파손되거나 고장날 수 있다.
종래에는 가이드 롤러에 이상이 발생하면, 대차의 브레이크를 해체하고, 리미트 스위치를 고정하고, 경동대를 크레인에 연결하여 상측으로 이동시켰다. 경동대와 가이드 롤러가 분리되면, 가이드 롤러를 대차에서 분리하고, 작업자가 직접 가이드 롤러를 트럭까지 운반하였다. 그 다음, 새로운 가이드 롤러를 대차(30)까지 운반하여 설치하고, 크레인으로 경동대를 이동시켜 새로운 가이드 롤러에 안착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가이드 롤러를 교체하면, 교체작업에 4시간 이상의 많은 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가이드 롤러가 갑작스럽게 파손되면, 가이드 롤러의 교체작업으로 인해 용선의 탈류작업이 중단될 수 있고, 교체작업 동안 탈류작업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설비의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KR 10-0929857 B
본 발명은 지지유닛과 지지유닛 상에 안착된 물체를 신속하게 분리할 수 있는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유닛 교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유닛 교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물체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는 지지체에 착탈 가능한 리프팅 장치로서, 상기 물체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유닛의 양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분이 굴절 가능한 복수의 리프팅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물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지지체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하로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하구동부; 및 일단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하구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틸팅부를; 포함한다.
상기 물체의 하부면은 곡면을 가지며,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물체의 중간부와 연결되는 제1 리프팅 유닛; 및 상기 물체의 외곽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리프팅 유닛보다 상하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제2 리프팅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상하구동부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 하우징과 접촉 가능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구동기를; 포함한다.
상기 상하구동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체의 상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틸팅부는, 상기 제2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볼; 및 일단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볼에 연결되는 샤프트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유닛을 이송시키는 운반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운반 유닛은, 복수의 이송롤러, 상기 이송롤러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주행휠을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는 상기 지지체의 외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운반 유닛은,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이송롤러와 연결되는 동력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운반 유닛은,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체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부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지지체에 설치된 지지유닛을 교체하는 지지유닛 교체방법으로서, 파손된 지지유닛 양측에 적어도 일부분이 굴절 가능한 복수의 리프팅 유닛을 마련하는 과정; 파손된 지지유닛이 지지하는 물체와 상기 리프팅 유닛을 연결하는 과정; 상기 리프팅 유닛으로 상기 물체를 상승시켜 상기 물체와 파손된 지지유닛을 분리하는 과정; 파손된 지지유닛을 상기 지지체에서 분리하는 과정; 새로운 지지유닛을 상기 지지체에 설치하는 과정; 및 상기 리프팅 유닛으로 상기 물체를 하강시켜 새로운 지지유닛과 접촉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유닛을 상기 지지체에서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 지지체의 일측에 운반 유닛을 마련하는 과정; 상기 지지체와 상기 지지유닛을 결합시켜주는 결합나사를 푸는 과정; 및 상기 운반 유닛을 통해 상기 지지유닛을 상기 지지체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물체와 새로운 지지유닛을 접촉시킨 후, 상기 리프팅 유닛과 운반 유닛을 상기 지지체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는 래들 대차를 포함하고, 상기 물체는 상기 래들을 지지하고 하부에 곡면에 형성되는 경동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래들 대차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경동대가 경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리프팅 장치가 지지유닛과 지지유닛 상에 안착된 물체를 신속하게 분리시켜줄 수 있다. 리프팅 장치가 물체를 지지하는 동안, 파손된 지지유닛을 용이하게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물체와 지지유닛을 분리하기 위해 작업자가 크레인을 이용한 고소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고, 물체를 별도의 장소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 지지유닛을 정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갑작스럽게 지지유닛이 파손되더라도 이를 신속하게 정비하여 작업이 지연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철강공정에서 사용되는 대차의 상부면에는 래들이 안착되는 경동대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대차에 설치된 지지유닛이 손상되는 경우, 리프팅 장치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손상된 지지유닛을 새로운 지지유닛으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대차를 이용한 작업이 지연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하여 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래들, 경동대, 래들 대차, 및 지지유닛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가 설치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이용한 지지유닛의 교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유닛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유닛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래들, 경동대, 래들 대차, 및 지지유닛의 연결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리프팅 장치가 래들 대차에 안착된 경동대를 정비작업 동안 지지하는 것에 대해 예시적으로 서술하지만, 적용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체에 안착되거나 설치된 다양한 물체들을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우선,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해 래들(10)을 운반하는 설비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래들(10)을 운반하는 설비는, 래들 대차(30), 경동대(20), 및 지지유닛(4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래들 대차(30)는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래들(10)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된 용기일 수 있다. 래들(10)은 외관을 이루는 철피, 철피의 내측면에 마감되는 영구장 연와, 영구장 연와의 내측으로 축조되어 래들의 내벽면을 이루면서 용선 및 용강과 접촉하는 내화연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래들(10)의 양측에는 크레인의 후크가 걸릴 수 있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래들(10)의 둘레에는 경동대(20)에 걸려 안착될 수 있는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래들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경동대(20)는 래들(10)을 경동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경동대(20)는 자석이 부착될 수 있도록 철 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경동대(20)는 래들(10)의 둘레를 감싸도록 링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동대(20)는 전후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 전단부가 제1 부재의 좌측 끝단과 연결되고 후단부가 제2 부재의 좌측 끝단과 연결되는 제3 부재, 및 전단부가 제1 부재의 우측 끝단과 연결되고 후단부가 제2 부재의 우측 끝단과 연결되는 제4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경동대(20)의 제1 부재와 제2 부재의 이격거리는 래들(10) 돌출부의 전후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경동대(20)의 제3 부재와 제4 부재의 이격거리는 래들(10) 돌출부의 좌우방향 길이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래들(10)의 돌출부가 제3 부재와 제4 부재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3 부재와 제4 부재의 래들(10)과 접촉하는 부분은 하측으로 파여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래들(10)의 돌출부가 제3 부재와 제4 부재의 홈에 안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3 부재와 제4 부재의 하부는 반원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1 부재와 제2 부재보다 하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즉, 경동대(20)의 하부면이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경동대(20)는 곡면의 형상을 따라 전후로 경동될 수 있다. 그러나 경동대(2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래들 대차(30)는 래들(10)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래들 대차(30)는 대차 프레임(31), 대차 프레임(31)에 설치되는 구동휠(32), 및 경동대(20)를 경동시키는 경동유닛(33)을 포함할 수 있다.
대차 프레임(31)은 사각형의 플레이트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차 프레임(31)의 상부면은 평평하게 형성되어 경동유닛(33)과 지지유닛(40)이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다. 대차 프레임(31)은 자석이 부착될 수 있도록 철 성분을 함유할 수도 있다. 리프팅 장치도 대차 프레임(31)의 상부면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다.
또한, 대차 프레임(31)의 중심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래들(10)의 적어도 일부분이 관통할 수 있다. 이에, 래들(10)을 경동대(20)에 용이하게 안착시킬 수 있고, 경동대(20)를 경동시킬 때 래들(10)도 함께 경동될 수 있다. 그러나 대차 프레임(3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구동휠(32)은 대차 프레임(31) 하부의 4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구동휠(32)은 유압모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레일 위를 이동하면서 대차 프레임(31)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구동휠(32)이 구비되는 개수 및 레일 위를 이동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경동유닛(33)은 경동대(20)를 경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경동유닛(33)은 대차 프레임(31)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경동유닛(33)은 경동대(20)의 하부와 접촉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경동대(20)와 접촉하는 경동유닛(33)의 기어를 회전시키면, 경동대(20)가 기울어지면서 경동대(20)에 지지되는 래들(10)이 경동될 수 있다. 따라서, 래들(10) 내부로 용선이나 용강을 공급하거나 래들(10) 내부의 용강을 외부로 배출할 때 경동유닛(33)으로 래들(10)을 경동시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지지유닛(40)은 경동대(20)를 경동 가능하게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지지유닛(40)은 가이드 롤러일 수 있다. 지지유닛(40)은 복수개가 구비되고, 대차 프레임(31)의 상부면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지지유닛(40)이 구비될 수 있고, 체결나사로 대차 프레임(31)과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체결나사를 풀거나 조여서 지지유닛(40)과 대차 프레임(31)을 결합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때, 좌측에 배치되는 지지유닛(40)들은 경동대(20)의 제3 부재와 접촉할 수 있고, 우측에 배치되는 지지유닛(40)들은 경동대(20)의 제4 부재와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지지유닛(40)은 곡면을 가지는 경동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도록 경동대(20)의 중간부에 접촉하는 부분과, 경동대(20)의 외곽부에 접촉하는 부분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위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지지유닛(40)의 경동대(20)의 외곽부에 접촉하는 롤러가, 경동대(20)의 중간부에 접촉하는 롤러보다 더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유닛(40)의 롤러들이 경동대(20)의 하부면 형상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래들(10)을 경동대(20)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지지유닛(40)에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탈류 작업을 수행할 때 사용되는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발생한 진동이 지지유닛(40)에 전달될 수 있다. 이에, 지지유닛(40)의 고장이 자주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100)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지지유닛(40)을 정비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가 설치된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유닛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100)는 물체를 지지하는 지지유닛(40)을 구비하는 지지체에 착탈 가능한 리프팅 장치로서, 물체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지지유닛(40)의 양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분이 지지유닛(40)을 향하여 굴절 가능한 복수의 리프팅 유닛(110)을 포함한다. 또한, 리프팅 장치(100)는 운반 유닛(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지지체는 고정체와 이동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가 이동체인 경우, 지지체는 래들 대차(30)일 수 있고, 물체는 래들(10)을 지지하는 경동대(20)일 수 있고, 지지유닛(40)은, 래들 대차(30)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경동대(20)가 경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 롤러일 수 있다.
리프팅 유닛(110)은 래들 대차(30)의 상부면에 착탈 가능하게 되어 지지유닛(40)을 정비하는 동안 경동대(20)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리프핑 유닛(110)이 경동대(20)를 지지해줄 때는 리프팅 유닛(40)이 래들 대차(30)에 장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고, 정비작업이 완료되면 리프팅 유닛(110)을 래들 대차(30)에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지지유닛(40) 중 파손된 지지유닛(40)의 위치에 맞추어 리프팅 유닛(110)을 이동시켜 경동대(20)를 지지하게 할 수 있다.
리프팅 유닛(110)은, 경동대(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111), 래들 대차(30)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하로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하구동부(113), 및 일단이 연결부(111)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하구동부(11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틸팅부(112)를 포함한다.
연결부(111)는 경동대(20)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111)는, 제1 플레이트, 제1 플레이트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2 플레이트, 제1 플레이트의 타측에 설치되어 제2 플레이트와 이격되고 상측으로 돌출되는 제3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와 제3 플레이트에 각각 복수의 나사(111a)를 포함할 수 있다. 즉, 플레이트들이 'ㄷ'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플레이트와 제3 플레이트의 이격거리는 경동대(20)의 제3 부재 또는 제4 부재의 좌우방향 폭 이상일 수 있다. 이에, 연결부(111)가 제3 부재 또는 제4 부재의 하부에 끼워질 수 있다. 따라서, 제2 플레이트와 제3 플레이트가 제3 부재 또는 제4 부재의 벽면을 마주보게 한 상태에서 나사(111a)를 조여주면 나사가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경동대(20)에 체결되고, 연결부(111)와 경동대(20)가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나사(111a)를 풀어주면 연결부(111)와 경동대(20)가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제1 플레이트는 자석일 수도 있다. 제1 플레이트는 자성에 의해 경동대(20)의 제3 부재 또는 제4 부재의 하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플레이트가 경동대(20)에 부착된 상태에서 나사(111a)를 안정적으로 조여줄 수 있다. 한편, 자석은 전자석일 수도 있다. 이에, 전류의 공급을 제어하여 선택적으로 제1 플레이트와 경동대를 부착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다. 나사와 자성에 의해 연결부(111)와 경동대(20)가 이중으로 결합되어 안정적으로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111)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틸팅부(112)는 연결부(111)를 틸팅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경동대(20)의 형상에 맞추어 연결부(111)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틸팅부(112)는, 제2 하우징(113b)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볼(112a), 및 일단이 연결부(111)에 연결되고, 타단이 회전볼(112a)에 연결되는 샤프트(112b)를 포함한다.
회전볼(112a)은 구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볼(112a)은 상하구동부(113) 내에 수납되어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그러나 회전볼(112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샤프트(112b)는 전후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샤프트(112b)의 전단은 연결부(111)의 제1 플레이트의 하부면과 연결되고, 후단은 회전볼(112a)과 연결된다. 샤프트(112b)는 회전볼(112a)의 회전을 따라 이동할 수 있고, 샤프트(112b)의 이동에 의해 연결부(111)의 위치가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112b)는 100도의 각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틸팅부(112)의 구조 및 이동 가능한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상하구동부(113)는 연결부(111)와 틸팅부(112)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에, 상하구동부(113)가 연결부(111)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연결부(111)와 연결된 경동대(20)가 상측으로 들어올려질 수 있다. 반대로, 상하구동부(113)가 연결부(111)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연결부(111)와 연결된 경동대(20)가 하측으로 내려올 수 있다.
이러한 상하구동부(113)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는 제1 하우징(113a), 제1 하우징(113a)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2 하우징(113b), 및 제2 하우징(113b)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제2 하우징(113b)과 접촉 가능하고 제1 하우징(113a)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구동기(113c)를 포함한다. 또한, 상하구동부(113)는 탄성부재(113d), 및 고정부재(113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3a)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구동기(113c)가 수납될 수 있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부에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결합나사가 구비될 수도 있다. 결합나사는 제1 하우징(113a)과 대차 프레임(31)을 관통하여 제1 하우징(113a)과 대차 프레임(31)을 연결해줄 수 있다. 따라서, 상하구동부(113)가 대차 프레임(31) 상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제1 하우징(113a)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고정부재(113e)는 제1 하우징(113a)의 하부에 설치되고, 대차 프레임(31)의 상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부재(113e)는 전자석일 수 있다. 고정부재(113e)에 전류를 공급하면 자성에 의해 대차 프레임(31)에 부착되고, 전류를 공급하지 않으면 자성이 없어져 대차 프레임(31)과 분리될 수 있다. 즉, 고정부재(113e)에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하여 제1 하우징(113a)과 대차 프레임(31)을 연결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부재(113e)를 이용하면 결합나사를 사용할 때보다 용이하고 신속하게 상하구동부(113)를 대차 프레임(31) 상에 고정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에, 지지유닛(40)을 더 신속하게 정비할 수 있다. 그러나 고정부재(113e)의 재질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제2 하우징(113b)은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와 하부가 개방될 수 있고, 내부에 지지대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13b)의 상부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13b)의 하부의 내경은 제1 하우징(113a)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제2 하우징(113b)이 제1 하우징(113a)의 상부는 커버할 수 있고, 제1 하우징(113a)의 상부가 제2 하우징(113b) 내로 삽입되어 지지대의 하부면과 접촉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의 상부면에는 틸팅부(112)의 회전볼(112a)이 수납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대에 형성된 홈은 회전볼(112a)의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된다. 회전볼(112a)은 지지대에 형성된 홈 내에서 회전할 수 있고, 지지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틸팅부(112)의 샤프트(112b)는 하부가 제2 하우징(113b) 내부에 수납되고, 상부가 제2 하우징(113b)의 개방된 부분을 통해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하우징(113b)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탄성부재(113d)는 제2 하우징(113b)의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에 설치될 수 있다. 탄성부재(113d)는 신장수축되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고, 틸팅부(112)의 샤프트(112b)가 중심부를 관통할 수 있다. 따라서, 탄성부재(113d)는 제2 하우징(113b)의 개방된 상부를 차단할 수 있고, 제2 하우징(113b) 내부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탄성부재(113d)는 탄성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탄성부재(113d)가 일부분이 신장수축하면서 샤프트(112b)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구동기(113c)는 로드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유압 실린더일 수 있다. 구동기(113c)는 제1 하우징(113a)의 내부에 설치되어 로드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구동기(113c)가 로드를 상측으로 이동시키면 로드의 상단부가 제2 하우징(113b)의 지지대의 하부면과 접촉하여 제2 하우징(113b)을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반대로, 구동기(113c)가 로드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제2 하우징(113b)도 하측으로 이동하여 지지대가 제1 하우징(113a)의 상부면에 안착될 수 있다.
제2 하우징(113b)의 이동하면 연결부(111)도 상하로 이동하면서 경동대(20)를 승강시키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하우징(113b)의 이동에 의해 제1 하우징(113a)이 제2 하우징(113b) 내에 수납되는 정도가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구동기(113c)가 제2 하우징(113b)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이때, 제1 하우징(113a)과 제2 하우징(113b)은 서로 결합되어 있지 않다. 또한, 구동기(113c)와 제2 하우징(113b)도 결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제1 하우징(113a)과 제2 하우징(113b)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고, 둘 중 하나를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이에, 장비의 유지보수가 용이해질 수 있고, 대차 프레임(31)과 경동대(20) 사이의 이격거리에 맞추어 상하방향 길이가 서로 다른 제2 하우징(113b)을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운반 유닛(120)은 대차 프레임(31)에서 분리된 지지유닛(40)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운반 유닛(120)은, 복수의 이송롤러(121), 이송롤러(121)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122), 및 지지 프레임(122)에 설치되는 주행휠(123)을 포함한다. 또한, 운반 유닛(120)은 부착부재(124) 및 동력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송롤러(121)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이송롤러(121)들은 회전하면서 지지유닛(40)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지지 프레임(122)은 이송롤러(121)들을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지지 프레임(122)은 래들 대차(30)의 이동방향(또는 전후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이송롤러(121)들은 지지 프레임(12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지지 프레임(122)의 연장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다. 이에, 지지유닛(40)은 지지 프레임(122)이 연장되는 곳으로 운반될 수 있다.
주행휠(123)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지지 프레임(122)의 하부에 설치될 수 있다. 주행휠(123)은 지지 프레임(122)을 지지해주고, 지지 프레임(122)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지지유닛(40)을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할 때 지지 프레임(122)을 대차 프레임(31)에 근접시켜 지지유닛(40)을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지지유닛(40)의 교체작업이 완료되면 지지 프레임(122)을 이동시켜 래들 대차(30)의 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부착부재(124)는 지지 프레임(122)의 대차 프레임(31)과 마주보는 면에 설치될 수 있다. 부착부재(124)는 대차 프레임(31)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착부재(124)는 자석일 수 있다. 이에, 지지 프레임(122)을 이동시켜 대차 프레임(31)에 근접시키면 부착부재(124)가 대차 프레임(31)에 부착되고, 지지 프레임(122)은 대차 프레임(3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부착부재(124)의 자기력보다 더 큰 힘으로 가하면 부착부재(124)가 대차 프레임(31)에서 분리될 수 있다. 이에, 지지유닛(40)에 대한 교체 작업이 완료되면, 부착부재(124)를 대차 프레임(31)에서 분리시키고, 지지 프레임(122)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신속하게 지지 프레임(122)을 대차 프레임(31)에 고정해주거나 분리해줄 수 있고, 지지유닛(40)을 교체하는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한편, 부착부재(124)는 전자석일 수도 있다. 이에, 부착부재(124)로 공급되는 전류의 양을 제어하여 부착부재(124)와 대차 프레임(31)을 부착시키거나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볼트를 이용하여 대차 프레임(31)과 지지 프레임(122)을 연결하거나 분리할 때보다 신속하게 대차 프레임(31)과 지지 프레임(122)을 연결하거나 분리해줄 수 있다.
동력기(미도시)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일 수 있다. 동력기는 이송롤러(121)에 연결될 수 있고, 이송롤러(121)를 일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이송롤러(121)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지지유닛(40)을 대차 프레임(31) 외부로 운반할 수 있고, 이송롤러(12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지지유닛(40)을 대차 프레임(31)으로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동력기의 회전방향을 제어하여 지지유닛(40)을 교체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지지 프레임(122)이 좌우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경우, 지지 프레임(122)에 설치된 이송롤러(121)들이 지지유닛(40)을 좌우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차 프레임(31)에서 분리된 지지유닛(40)은 트럭(미도시)으로 수거될 수 있다. 따라서, 트럭의 지지유닛(40)이 적재되는 부분과 대차 프레임(31)의 상부면 높이가 동일하거나 유사한 경우, 트럭과 대차 프레임(31) 사이에 운반 유닛(120)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에, 지지유닛(40)이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대차 프레임(31)의 상부면에서 트럭으로 용이하게 운반될 수 있다.
또는, 지지 프레임(122)이 대차 프레임(31)의 외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복수의 이송롤러(121)도 대차 프레임(31)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유닛(40)을 작업장의 바닥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는, 작업장 바닥에 위치한 지지유닛(40)을 대차 프레임(31)으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나 지지 프레임(122)의 연장방향 및 이송롤러(121)들이 배치되는 방향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이용한 지지유닛의 교체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유닛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운반 유닛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프팅 장치를 이용한 지지유닛의 교체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유닛의 교체방법은, 지지체에 설치된 지지유닛을 교체하는 지지유닛 교체방법으로서, 지지유닛 양측에 적어도 일부분이 굴절 가능한 복수의 리프팅 유닛을 마련하는 과정(S100), 지지유닛이 지지하는 물체와 리프팅 유닛을 연결하는 과정(S200), 리프팅 유닛으로 물체를 상승시켜 물체와 지지유닛을 분리하는 과정(S300), 지지유닛을 지지체에서 분리하는 과정(S400), 새로운 지지유닛을 지지체에 설치하는 과정(S500), 및 리프팅 유닛으로 상기 물체를 하강시켜 새로운 지지유닛과 접촉시키는 과정(S600)을 포함한다.
이때, 지지체는 고정체와 이동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가 이동체인 경우 래들 대차(30)일 수 있고, 물체는 래들(10)을 지지하는 경동대(20)일 수 있고, 지지유닛(40)은, 래들 대차(30)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경동대(20)가 경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 롤러일 수 있다.
지지유닛(40)이 손상되면 래들 대차(30)의 이동을 중단할 수 있다. 그 다음, 2개의 리프팅 유닛(110)을 손상된 지지유닛(40)의 전방과 후방에 각각 위치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지지유닛(40) 중 후방 좌측의 지지유닛(40)이 손상되는 경우, 손상된 지지유닛(40)의 전방에 제1 리프팅 유닛(110a)을 위치시키고, 후방에 제2 리프팅 유닛(110b)을 위치시킬 수 있다. 이때, 경동대(20)의 하부면은 곡면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경동대(20)의 중간부와 대차 프레임(31)의 상부면 사이의 이격거리가, 경동대(20)의 외곽부와 대차 프레임(31)의 상부면 사이의 이격거리보다 짧을 수 있다. 이에, 경동대(20)의 형상에 맞추어 제1 리프팅 유닛(110a)과 제2 리프팅 유닛(110b)의 상하방향 길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러나 손상된 지지유닛(4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고, 손상된 지지유닛(40)의 위치에 따라 리프팅 유닛들이 배치되는 위치도 달라질 수 있다.
제1 리프팅 유닛(110a)은 경동대(20)의 중간부와 연결된다. 상대적으로 대차 프레임(31)과 경동대(20) 사이의 이격거리가 짧기 때문에, 제1 리프팅 유닛(110a)은 길이가 짧을 수 있다. 제2 리프팅 유닛(110b)은 경동대(20)의 외곽부와 연결된다. 상대적으로 대차 프레임(31)과 경동대(20) 사이의 이격거리가 길기 때문에, 제2 리프팅 유닛(110b)은 제1 리프팅 유닛(110a)보다 길이가 길 수 있다. 이때, 제1 리프팅 유닛(110a)과 제2 리프팅 유닛(110b)에 구비되는 고정부재(113e)가 대차 프레임(31)의 상부면에 부착되어 제1 리프팅 유닛(110a)과 제2 리프팅 유닛(110b)이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 이상의 리프팅 유닛(110)이 경동대(20)를 지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6과 같이 제1 리프팅 유닛(110a)과 제2 리프팅 유닛(110b)의 연결부(111)를 각각 이동시켜 경동대(20)의 하부와 접촉시키고, 연결부(111)의 나사를 조여 연결부(111)와 경동대(20)를 결합시킨다. 즉, 리프팅 유닛들을 파손된 지지유닛(40)을 향하여 굴절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리프팅 유닛(110a)과 제2 리프팅 유닛(110b)이 경동대(20)의 하부 형상에 맞추어 지지해주기 위해, 제1 리프팅 유닛(110a)을 후방을 향하여(또는, 파손된 지지유닛을 향하여) 굴절시킬 수 있고, 제2 리프팅 유닛(110b)을 전방을 향하여(또는, 파손된 지지유닛을 향하여) 굴절시킬 수 있다. 이에, 제1 리프팅 유닛(110a)과 제2 리프팅 유닛(110b)이 지지유닛(40)을 감싸도록 배치되고, 경동대(20)의 하부가 반원 모양으로 형성되어도 제1 리프팅 유닛(110a)과 제2 리프팅 유닛(110b)이 경동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또한, 리프팅 유닛들이 지지유닛(40)을 향하여 굴절되기 때문에, 리프팅 유닛들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짧아질 수 있다. 즉, 리프팅 유닛들이 지지유닛(40)의 외측으로 향하여 굴절되면, 리프팅 유닛의 연결부(111)와 경동대(20) 사이의 이격거리가 멀어질 수 있다. 따라서, 연결부(111)를 경동대(20)에 연결하려면 상대적으로 길이가 긴 리프팅 유닛을 구비해야 한다. 이에, 지지유닛(40)을 향하여 리프팅 유닛들을 굴절시켜 길이가 짧은 리프팅 유닛을 사용할 수 있고, 리프팅 유닛을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다.
또한, 리프팅 유닛들이 지지유닛(40)을 향하여 기울어지기 때문에, 제1 리프팅 유닛(110a)과 제2 리프팅 유닛(110b)이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리프팅 유닛(110a)과 제2 리프팅 유닛(110b)가 같은 곳을 향하여 상측으로 이동하는 힘을 제공하기 때문에, 적은 힘으로 경동대(20)를 상승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제1 리프팅 유닛(110a)과 제2 리프팅 유닛(110b)의 상하구동부(113)의 작동을 제어하여 연결부(111)를 상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연결부(111)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경동대(20)의 후방 좌측을 들어올릴 수 있다. 파손되지 않은 3개의 지지유닛(40)들과 리프팅 유닛들이 경동대(20)를 지지하고, 파손된 지지유닛(40)과 경동대(20)는 분리될 수 있다.
이처럼 리프팅 유닛들이 경동대(20)를 국소적으로 들어올릴 수 있다. 즉, 리프팅 유닛들이 경동대(20) 전체를 들어올리는 것이 아니라 경동대(20)의 파손된 지지유닛(40)과 접촉하는 부분만 들어올릴 수 있다. 따라서, 경동대(20) 전체를 들어올릴 때보다 상대적으로 적은 힘만으로 경동대(20)와 파손된 지지유닛(40)을 분리시킬 수 있다.
또한, 경동대(20)가 파손된 지지유닛(40)과는 분리되면서 파손되지 않은 지지유닛(40)과는 접촉한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파손된 지지유닛(40)을 정비하는 동안 경동대(20)를 별도의 위치로 이동시킬 필요가 없다. 이에, 파손된 지지유닛(40)을 교체하기 전에 경동대(20)를 별도의 위치로 이동시키고, 지지유닛(40)을 교체한 후 별도의 위치에 있던 경동대(20)를 지지유닛(40)들에 안착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기 때문에 파손된 지지유닛(40)을 정비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경동대(20)가 파손되지 않은 지지유닛(40)들과 접촉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기 때문에, 정비작업 후 경동대(20)와 지지유닛(40)들이 접촉하는 부분을 맞추는 작업을 별도로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래들 대차(20)의 브레이크를 해체하고, 리미트 스위치를 고정하지 않고도 파손된 지지유닛(40)을 교체할 수 있다. 이에, 경동대(20)를 교체하는 작업의 시간이 단축되어 래들(10)을 이용하는 공정이 지연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리프팅 유닛들이 경동대(20)의 일측을 들어올려, 파손된 지지유닛(40)과 경동대(20) 사이에 약 80mm의 간격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크레인을 이용하여 경동대(20)를 별도의 위치로 이동시키지 않고도 지지유닛(40)을 교체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리프팅 유닛들이 경동대(20)를 들어올리는 정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그러나 리프팅 유닛들이 경동대(20)를 들어올리는 높이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그 다음, 지지유닛(40)을 대차 프레임(31)에서 분리할 수 있다. 우선, 도 7과 같이 대차 프레임(31)의 일측에 운반 유닛(120)을 위치시킬 수 있다. 운반 유닛(120)은 대차 프레임(31)에 근접시키면, 운반 유닛(120)에 구비된 부착부재(124)가 대차 프레임(31)에 부착되고, 운반 유닛(120)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대차 프레임(31)과 파손된 지지유닛(40)을 결합시켜주는 결합나사를 풀어줄 수 있다. 이에, 대차 프레임(31)과 지지유닛(40)이 분리될 수 있다.
지지유닛(40)을 분리하는 작업이 완료되면 운반 유닛(120)에 분리된 지지유닛(40)을 싣고, 운반 유닛(120)을 통해 대차 프레임(31)의 외측으로 파손된 지지유닛(40)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지지유닛(40)을 운반 유닛(120)에 싣고, 대차 프레임(31)의 상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다음, 새로운 지지유닛(40)을 정위치로 이동시키고, 결합나사를 조여 새로운 지지유닛(40)과 대차 프레임(31)을 결합시켜줄 수 있다. 작업자가 직접 지지유닛(40)을 운반하지 않기 때문에 운반작업을 더 신속하고 안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 새로운 지지유닛(40)과 대차 프레임(31)이 결합되면, 제1 리프팅 유닛(110a)과 제2 리프팅 유닛(110b)의 작동을 제어하여 경동대(2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이에, 경동대(20)가 새로운 지지유닛(40)에 접촉하고, 새로운 지지유닛(40)은 경동대(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다.
그 다음, 리프팅 유닛(110)의 연결부(111)를 경동대(20)와 분리시키고, 리프팅 유닛(110)과 운반 유닛(120)을 대차 프레임(31)에서 분리하여 대차 프레임(31) 외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래들 대차(30)가 래들(10)을 운반하는 작업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파손된 지지유닛(20)의 위치에 따라 리프팅 유닛들이 설치되는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이처럼 리프팅 장치(100)가 지지유닛(40)과 지지유닛(40) 상에 안착된 물체를 신속하게 분리시켜줄 수 있다. 리프팅 장치(100)가 물체를 지지하는 동안, 파손된 지지유닛(40)을 용이하게 수리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이에, 물체와 지지유닛(40)을 분리하기 위해 작업자가 크레인을 이용한 고소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고, 물체를 별도의 장소로 이동시키는 작업을 수행하지 않아, 지지유닛(40)을 정비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갑작스럽게 지지유닛(40)이 파손되더라도 이를 신속하게 정비하여 작업이 지연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차 프레임(31)에 설치된 지지유닛(40)이 손상되는 경우, 리프팅 장치(100)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손상된 지지유닛(40)을 새로운 지지유닛(40)으로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래들 대차(30)를 이용한 작업이 지연되는 것을 억제하거나 방지하여 작업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래들 20: 경동대
30: 래들 대차 40: 지지유닛
100: 리프팅 장치 110: 리프팅 유닛
111: 연결부 112: 틸팅부
113: 상하구동부 120: 운반 유닛

Claims (13)

  1. 물체를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구비하는 지지체에 착탈 가능한 리프팅 장치로서,
    상기 물체를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유닛의 양측에 위치하고, 적어도 일부분이 굴절 가능한 복수의 리프팅 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을 이송시키는 운반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운반 유닛은, 복수의 이송롤러, 상기 이송롤러를 지지하는 지지 프레임,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체의 측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부착부재, 및 상기 지지 프레임에 설치되는 주행휠을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물체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
    상기 지지체의 상부면에 위치하고 상하로 이동하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상하구동부; 및
    일단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상하구동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틸팅부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물체의 하부면은 곡면을 가지며,
    상기 리프팅 유닛은,
    상기 물체의 중간부와 연결되는 제1 리프팅 유닛; 및
    상기 물체의 외곽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리프팅 유닛보다 상하방향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제2 리프팅 유닛을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상하구동부는,
    내부공간을 가지고, 상부가 개방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에 안착되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2 하우징과 접촉 가능하고,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구동기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상하구동부는, 상기 제1 하우징의 하부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체의 상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는,
    상기 제2 하우징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볼; 및
    일단이 상기 연결부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회전볼에 연결되는 샤프트를;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7. 삭제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이송롤러는 상기 지지체의 외측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운반 유닛은, 상기 이송롤러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이송롤러와 연결되는 동력기를 더 포함하는 리프팅 장치.
  9. 삭제
  10. 지지체에 설치된 지지유닛을 교체하는 지지유닛 교체방법으로서,
    파손된 지지유닛 양측에 적어도 일부분이 굴절 가능한 복수의 리프팅 유닛을 마련하는 과정;
    파손된 지지유닛이 지지하는 물체와 상기 리프팅 유닛을 연결하는 과정;
    상기 리프팅 유닛으로 상기 물체를 상승시켜 상기 물체와 파손된 지지유닛을 분리하는 과정;
    파손된 지지유닛을 상기 지지체에서 분리하는 과정;
    새로운 지지유닛을 상기 지지체에 설치하는 과정; 및
    상기 리프팅 유닛으로 상기 물체를 하강시켜 새로운 지지유닛과 접촉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지지유닛 교체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지지유닛을 상기 지지체에서 분리하는 과정은,
    상기 지지체의 일측에 운반 유닛을 마련하는 과정;
    상기 지지체와 상기 지지유닛을 결합시켜주는 결합나사를 푸는 과정; 및
    상기 운반 유닛을 통해 상기 지지유닛을 상기 지지체 외측으로 이동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지지유닛 교체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물체와 새로운 지지유닛을 접촉시킨 후,
    상기 리프팅 유닛과 운반 유닛을 상기 지지체에서 분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지지유닛 교체방법.
  13. 청구항 10 내지 청구항 1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래들 대차를 포함하고, 상기 물체는 상기 래들을 지지하고 하부에 곡면에 형성되는 경동대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래들 대차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경동대가 경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가이드 롤러를 포함하는 지지유닛 교체방법.
KR1020160110823A 2016-08-30 2016-08-30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유닛 교체방법 KR1018452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823A KR101845233B1 (ko) 2016-08-30 2016-08-30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유닛 교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823A KR101845233B1 (ko) 2016-08-30 2016-08-30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유닛 교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494A KR20180024494A (ko) 2018-03-08
KR101845233B1 true KR101845233B1 (ko) 2018-04-04

Family

ID=61726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823A KR101845233B1 (ko) 2016-08-30 2016-08-30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유닛 교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52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9560B1 (ko) * 2019-05-03 2020-11-16 주식회사 포스코 경동 장치 및 경동 방법
KR102129311B1 (ko) * 2019-05-27 2020-07-02 현대로템 주식회사 용선 레이들용 고정장치
KR102239248B1 (ko) * 2019-08-19 2021-04-12 주식회사 포스코 경동 장치 및 용융물 처리 방법
CN110614358B (zh) * 2019-11-05 2021-07-13 湖北华远装备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大吨位钢包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494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45233B1 (ko)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유닛 교체방법
KR20190020447A (ko) 연속하역장비용 레일 크리닝장치
JP2005505741A (ja) 電気アーク炉の構造群の取付け又は取外しをするための方法及び交換装置
JP5214724B2 (ja) 溶接用台車
KR101553144B1 (ko) 주행휠 교체용 지그 장치
WO2018078020A1 (en) Manipulator for a ladle
KR101053319B1 (ko) 버켓 탑재장치
WO2013176061A1 (ja) 連続アンローダ、連続アンローダ施設及び連続アンローダの運転方法
KR102163212B1 (ko) 용강 레이들용 슬래그 제거장치
KR20150061375A (ko) 연속하역설비용 모터조립장치
KR100794561B1 (ko) 연속주조설비의 쉬라우드 노즐 이송장치
JP2014223991A (ja) 連続アンローダ、連続アンローダ施設及び連続アンローダの運転方法
JP2995039B2 (ja) 金属精錬炉の炉底交換装置
US4978105A (en) Steel mill system which includes a metallurgical furnace and a further processing system
JPH11333592A (ja) 自動溶接システム
JP2011016613A (ja) 据付式作業機の運搬用架台
KR101224837B1 (ko) 선박의 곡블록용 핀지그
JP6706516B2 (ja) 炉蓋取付方法、および、仮設台車
JP2009023811A (ja) 傾動式台車枠搬送装置
KR101746768B1 (ko) 스크랩 분배장치
KR102239248B1 (ko) 경동 장치 및 용융물 처리 방법
KR102374447B1 (ko) 전로내 다트 투입을 위한 다트 공급장치
KR102570923B1 (ko) 전로내 다트 투입을 위한 다트 공급장치
KR100862835B1 (ko) 고로 드라이브 유니트의 교환 및 그라인딩장치
KR102250329B1 (ko) 연속하역장비용 주행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