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6768B1 - 스크랩 분배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랩 분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6768B1
KR101746768B1 KR1020150077367A KR20150077367A KR101746768B1 KR 101746768 B1 KR101746768 B1 KR 101746768B1 KR 1020150077367 A KR1020150077367 A KR 1020150077367A KR 20150077367 A KR20150077367 A KR 20150077367A KR 101746768 B1 KR101746768 B1 KR 1017467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magnet member
scrap
auxiliary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7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41542A (ko
Inventor
진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50077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6768B1/ko
Publication of KR20160141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41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67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67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65G15/30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 B65G15/58Belts or like endless load-carriers with means for holding or retaining the loads in fixed position, e.g. magne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posi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as a who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 Non-Mechanical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크랩 분배장치는, 이송되는 대상물의 상부에 위치하고, 무한궤도로 운동 가능한 메인 벨트를 구비하는 메인 컨베이어; 및 상기 메인 벨트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대상물에 자력을 인가하여 상기 대상물을 상기 메인 벨트 상에 고정 가능한 메인 자석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자석부재는 상기 메인 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랩 분배장치{APPARATUS FOR DISTRIBUTING OF SCRAP}
본 발명은 스크랩 분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일방향으로 이송되는 스크랩의 상부에 설치되어 스크랩에 자력을 인가 가능한 자석부재가 내부에 설치된 메인 컨베이어를 이용하여 스크랩 박스에 균일한 스크랩 분배가 가능한 스크랩 분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후판은 대형 교량 및 선박, 건축구조물, 압력용기 등에 주로 이용되는 것으로, 두께가 6mm 이상인 비교적 두꺼운 열간압연 강판을 말한다.
후판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철광석에서 불순물을 제거하고, 소결 공정과 고로를 고쳐 제강설비의 전로로 이동한 후 탈황, 탈인 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리고 강 슬라브는 최종 제품에 부합되도록 압연, 가속냉각 및 열간 교정을 거쳐 양호한 물성치 및 높은 평탄도를 지닌 제품으로 제작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된 후판은 다시 해당 등급과 두께에 따라 기계식 절단기나 가스 절단기에 의해 적절한 폭과 길이로 절단되는 과정을 거쳐 고객사가 원하는 최종 제품으로 완성되며, 절단된 스크랩은 스크랩 박스에 적재되어 수거된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32976호. 2012. 04. 06.
본 발명의 목적은 스크랩 박스에 스크랩을 균일하게 분배 가능한 스크랩 분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스크랩을 자동으로 분배함으로써 기존에 스크랩이 스크랩 박스의 일측에 적재되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스크랩을 평탄하게 고르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스크랩 분배장치는, 이송되는 대상물의 상부에 위치하고, 무한궤도로 운동 가능한 메인 벨트를 구비하는 메인 컨베이어; 및 상기 메인 벨트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대상물에 자력을 인가하여 상기 대상물을 상기 메인 벨트 상에 고정 가능한 메인 자석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 자석부재는 상기 메인 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자석부재는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대상물에 자력을 제공하는 전자석이며, 상기 스크랩 분배장치는 상기 전자석들에 전류를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 가능한 제어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자석부재는 상기 대상물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순차로 배치되는 메인 후방 자석부재 및 메인 전방 자석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메인 전방 자석부재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상기 메인 후방 자석부재에 공급되는 전류를 허용하는 제2 분배상태; 및 상기 메인 전방 자석부재 및 상기 메인 후방 자석부재에 각각 공급되는 전류를 허용하는 제3 분배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랩 분배장치는, 상기 대상물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후방에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무한궤도로 운동 가능한 보조 벨트를 구비하는 보조 컨베이어; 및 상기 메인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컨베이어가 상기 보조 컨베이어의 전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작동위치 및 상기 보조 컨베이어의 전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대기위치로 전환 가능한 승강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컨베이어는, 상기 메인 벨트의 일측 및 타측을 각각 지지하여 상기 메인 벨트와 함께 회전 가능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전방 및 후방풀리; 및 상기 전방 및 후방풀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전방 및 후방풀리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양측 후방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전방 바닥프레임; 및 상기 전방 바닥프레임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지지프레임에 각각 돌출 형성되는 링축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는, 일측이 상기 링축에 각각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며, 타측이 상기 지지프레임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축; 상기 링축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제1 및 제2 연결축이 상기 링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의 일면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프레임;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 및 제2 구동부재; 및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재와 상기 제1 및 제2 연결축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 구동부재의 구동력에 의해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전방을 승강 가능한 제1 및 제2 로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랩 분배장치는 상기 메인 벨트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바닥면에 상기 메인 자석부재와 연결되는 자석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자석부재는 상기 대상물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자석하우징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스크랩 분배장치는, 상기 대상물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후방에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무한궤도로 운동 가능한 보조 벨트를 구비하는 보조 컨베이어; 및 상기 보조 벨트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대상물에 자력을 인가 가능한 보조 자석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인 자석부재는 상기 대상물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순차로 배치되는 메인 후방 자석부재 및 메인 전방 자석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랩 분배장치는 메인 전방 자석부재와 상기 메인 후방 자석부재 및 상기 보조 자석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메인 전방 자석부재 및 상기 메인 후방 자석부재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상기 보조 자석부재에 공급되는 전류를 허용하는 제1 분배상태; 상기 메인 전방 자석부재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상기 메인 후방 자석부재 및 상기 보조 자석부재에 각각 공급되는 전류를 허용하는 제2 분배상태; 및 상기 메인 전방 자석부재 및 상기 메인 후방 자석부재와 상기 보조 자석부재에 각각 공급되는 전류를 허용하는 제3 분배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상기 보조 자석부재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는 상기 메인 자석부재들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스크랩 분배장치는, 상기 스크랩이 적재 가능한 적재공간을 가지는 스크랩 박스; 및 상기 스크랩을 상기 스크랩 박스를 향해 이송 가능한 이송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재와 상기 보조 컨베이어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일방향으로 이송된 스크랩은 스크랩 분배장치를 통해 스크랩 박스의 내부에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송된 상태에서 낙하시킴으로써 스크랩 박스의 내부에 균일하게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랩이 스크랩 박스 내의 한쪽으로만 편중된 상태에서 스크랩 박스를 교체할 경우, 스크랩이 한쪽으로만 쌓이면서 외부로 이탈되어 주변을 오염시키고, 이송 작업 시 스크랩의 편중된 무게 차이에 의해 전복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에 스크랩이 스크랩 박스의 일측에 적재되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스크랩을 평탄하게 고르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함으로써, 별도의 인력 투자 및 설비 투자를 절감함에 따라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분배장치가 설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크랩 분배장치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A'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스크랩 분배장치에 구비된 제어기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11은 도 2에 도시한 스크랩 분배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11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하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한편, 이하에서는 이송 대상물을 스크랩을 예로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치 않으며, 자석에 붙는 소재의 이송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크랩 분배장치가 설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반적으로 압연공정에서 사이드 트리머(side trimmer)(도시안함)에서 발생되는 스크랩(scrap)(1)은 이송부재(5)(예를 들어, 이송 컨베이어)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연속적으로 스크랩 박스(scrap box)(8)에 저장되며, 스크랩 박스(8)가 만적될 경우, 로드리카(도시안함)로 스크랩 박스(8)를 스크랩 야드로 운반하여 재활용하게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랩 분배장치(100)는 이송부재(5)와 스크랩 박스(8)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스크랩 분배장치(100)는 이송되는 스크랩(1)의 상부에 위치하여 무한궤도로 운동 가능한 보조 벨트(65)를 구비하는 보조 컨베이어(60)와 스크랩(1)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보조 컨베이어(60)의 전방에 배치되어 무한궤도로 운동 가능한 메인 벨트(15)를 구비하는 메인 컨베이어(10), 그리고 보조 벨트(65) 및 메인 벨트(15)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어 스크랩(1)에 자력을 인가 가능한 복수의 자석부재들(4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조 컨베이어(60)는 이송부재(5)와 중첩되도록 이송부재(5)의 상부에 설치되며, 메인 컨베이어(10)는 스크랩 박스(8)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스크랩 분배장치(100)는 메인 컨베이어(10)에 연결되어 메인 컨베이어(10)를 승강 가능한 승강부재(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송부재(5)의 상면을 따라 이송되는 스크랩(1)은 보조 벨트(65) 및 메인 벨트(15)의 하면을 따라 이송되는 스크랩(1)과 서로 동일한 이송 방향을 가진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스크랩 분배장치를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한 A-A'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도 2의 정면도이며, 도 6은 도 2에 도시한 스크랩 분배장치에 구비된 제어기의 연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크랩(1)의 이송 방향을 기준으로 상부 전방에 보조 컨베이어(60)가 설치되며, 메인 컨베이어(10)는 보조 컨베이어(60)의 전방에 배치되어 스크랩 박스(8)를 가로질러 설치된다. 보조 컨베이어(60)와 메인 컨베이어(10)는 서로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메인 컨베이어(10)는 보조 컨베이어(60)보다 긴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메인 컨베이어(10)의 전단은 스크랩 박스(8)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 컨베이어(10)는 메인 벨트(15)의 일측 및 타측을 각각 지지하여 메인 벨트(15)와 함께 회전 가능한 메인 전방 및 후방풀리(20a, 20b)를 구비하며, 메인 전방 및 후방풀리(20a, 20b)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또한, 메인 컨베이어(10)는 메인 전방 및 후방풀리(20a, 20b)의 양측에 설치되어 메인 전방 및 후방풀리(20a, 20b)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메인 지지프레임(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지지프레임(12)은 메인 전방 및 후방풀리(20a, 20b)에 축결합된 메인 전방 및 후방풀리축(21a, 21b)과 베어링부재(25)를 매개로 연결되어 메인 전방 및 후방풀리(20a, 20b)는 메인 지지프레임(12)에 지지된 상태로 따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메인 전방풀리(20a) 또는 메인 후방풀리(20b)의 일측에는 메인 전방풀리(20a) 또는 메인 후방풀리(20b)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메인 구동모터(80)가 연결될 수 있으며, 메인 구동모터(80)는 메인 지지프레임(12)의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메인 모터프레임(82)에 지지될 수 있다.
보조 컨베이어(60)는 앞서 설명한 메인 컨베이어(10)와 마찬가지로, 보조 벨트(65)의 일측 및 타측을 각각 지지하여 보조 벨트(65)와 함께 회전 가능한 보조 전방 및 후방풀리(70a, 70b)를 구비하며, 보조 전방 및 후방풀리(70a, 70b)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보조 컨베이어(65)는 보조 전방 및 후방풀리(70a, 70b)의 양측에 각각 설치되어 보조 전방 및 후방풀리(70a, 70b)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보조 지지프레임(6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보조 전방풀리(70a) 또는 보조 후방풀리(70b)의 일측에는 보조 구동모터(85)가 연결되어 보조 전방풀리(70a) 또는 보조 후방풀리(70b)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보조 구동모터(85)는 후방 모터프레임(87)에 지지되어 고정설치될 수 있다. 보조 지지프레임(62)은 후방 바닥프레임(63)에 지지되며, 이송부재(5)와 나란한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승강부재(50)는 메인 지지프레임(12)에 연결되어 메인 컨베이어(10)를 승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부재(50)는 메인 지지프레임(12)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메인 지지프레임(12)에 연결되는 제1 및 제2 연결축(51a, 51b)과 메인 컨베이어(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제1 및 제2 구동부재(55a, 55b), 그리고 제1 및 제2 연결축(51a, 51b)과 제1 및 제2 구동부재(55a, 55b)에 각각 연결되는 제1 및 제2 로드(56a, 56b)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연결축(51a, 51b)의 전단부에는 제1 및 제2 연결축(51a, 51b)의 두께 방향을 따라 각각 관통 형성된 제1 및 제2 전방 관통홀(52a, 52b)을 각각 가질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전방 관통홀(52a, 52b)은 메인 지지프레임(12)의 전방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된 제1 및 제2 전방 링축(14a, 14b)에 각각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연결축(51a, 51b)의 후단부에는 제1 및 제2 연결축(51a, 51b)의 두께 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된 제1 및 제2 후방 관통홀(53a, 53b)을 각각 가질 수 있으며, 제1 및 제2 후방 관통홀(53a, 53b)은 메인 지지프레임(12)의 후방 양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 형성된 제 1 및 제2 후방 링축(16a, 16b)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연결축(51a, 51b)의 양측에는 각각 전방 및 후방 축브라켓들(54a, 54b)이 설치되며, 전방 및 후방 축브라켓들(54a, 54b)을 통해 제1 및 제2 전방 링축(14a, 14b)과 제1 및 제2 후방 링축(16a, 16b)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후방 축브라켓(54b)은 전방 바닥프레임(19)의 상면에 고정설치되며, 메인 컨베이어(10)는 후술하는 제1 및 제2 구동부재(55a, 55b)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 후방 링축(16a, 16b)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구동부재(55a, 55b)는 메인 컨베이어(10)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구동부재(55a, 55b)는 제1 및 제2 구동실린더일 수 있으며, 제1 및 제2 로드(56a, 56b)는 제1 및 제2 구동실린더(55a, 55b)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 실린더로드(56a, 56b)일 수 있다.
실린더브라켓(57)의 하면은 고정프레임(58)에 고정되며, 제1 및 제2 구동실린더(55a, 55b)는 실린더브라켓(57)에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린더로드(56a, 56b)는 제1 및 제2 연결부재(59a, 59b)를 통해 제1 및 제2 연결축(51a, 51b)에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및 제2 연결부재(59a, 59b)는 서로 나란하게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후방 축브라켓(54b)은 전방 바닥프레임(19)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구동실린더로드(56a, 56b)가 제1 및 제2 연결축(51a, 51b)에 각각 연결되어 제1 및 제2 구동실린더(55a, 55b)의 구동함으로써 메인 컨베이어(10)의 전방은 제1 및 제2 후방 링축(16a, 16b)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메인 컨베이어(10)와 보조 컨베이어(60)는 각각 스크랩(1)에 자력을 인가 가능한 메인 자석부재(40A) 및 보조 자석부재(40c)를 포함한다. 메인 자석부재(40A)는 메인 벨트(15)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메인 벨트(15)의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인 자석부재(40A) 및 보조 자석부재(40c)는 전류를 인가하여 스크랩(1)에 자력을 인가 가능한 전자석일 수 있다.
메인 자석부재(40A)는 스크랩(1)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에 배치되는 메인 전방 자석부재(40a) 및 메인 후방 자석부재(40b)를 구비할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90)는 메인 전방 자석부재(40a)와 메인 후방 자석부재(40b) 및 보조 자석부재(40c)에 전류를 인가하는 제1 내지 제3 전원(45a, 45b, 45c)에 각각 연결되어 메인 전방 자석부재(40a)와 메인 후방 자석부재(40b) 및 보조 자석부재(40c)에 인가되는 전류를 각각 따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90)는 제1 및 제2 구동부재(55a, 55b)에 연결되어 제1 및 제2 구동부재(55a, 55b)를 제어하여 메인 컨베이어(10)의 전방을 승강할 수 있다. 한편, 메인 컨베이어(10) 및 보조 컨베이어(60)는 추가로 자석부재(4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기(90)는 자석부재(40)의 개수에 대응되는 전원에 연결되어 각각 따로 제어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메인 자석부재(40A)는 메인 밸트(15)의 내부에 고정 설치된다. 예를 들어, 메인 전방 자석부재(40a)는 메인 전방 자석하우징(46a)의 하면에 연결되어 스크랩(1)에 근접하도록 메인 벨트(15)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메인 전방 자석하우징(46a)은 전방 지지프레임(12)의 내측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는 연결부재(48)를 통해 전방 지지프레임(12)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메인 후방 자석부재(40b) 및 보조 자석부재(40c) 또한 메인 후방 자석하우징(46b) 및 보조 자석하우징(46c)에 각각 연결되어 전방 지지프레임(12) 및 후방 지지프레임(62)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메인 밸트(15) 및 보조 밸트(65)는 자력에 반응하지 않은 고무 소재일 수 있다.
메인 전방 자석부재(40a)는 메인 전방 자석하우징(46a)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메인 전방 자석하우징(46a)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메인 후방 자석부재(40b)와 보조 자석부재(40c)는 각각의 메인 후방 자석하우징(46b)과 보조 자석하우징(46c)보다 긴 길이를 가지며, 메인 후방 자석하우징(46b)과 보조 자석하우징(46c)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즉, 전방 및 후방 자석부재(40A)는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메인 벨트(15)가 바닥면 전반에 걸쳐 배치됨으로써 스크랩(1)에 자력을 인가하여 스크랩(1)을 용이하게 이송시킬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도 2에 도시한 스크랩 분배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메인 컨베이어의 작동위치로 전환된 도면이다. 또한, 도 8은 스크랩 분배장치의 제1 분배상태, 도 9는 스크랩 분배장치의 제2 분배상태, 도 10은 스크랩 분배장치의 제3 분배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1은 메인 컨베이어의 대기위치로 전환된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기(90)는 제1 및 제2 구동부재(55a, 55b)와 제1 내지 제3 전원(45a, 45b, 45c)에 각각 연결된다. 제1 전원(45a)은 메인 전방 자석부재(40a)에 연결되어 전류를 제공하고, 제2 전원(45b)은 메인 후방 자석부재(40b)에 연결되어 전류를 제공하며, 제3 전원(45c)은 보조 자석부재(40c)에 연결되어 전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90)는 메인 컨베이어(10)의 상부에 설치된 제1 및 제2 구동부재(55a, 55b)를 제어하여 메인 컨베이어(10)의 전방을 승강할 수 있다. 즉, 메인 컨베이어(10)를 보조 컨베이어어(60)의 전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대기위치에서 보조 컨베이어(60)의 전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어 작동위치로 전환 가능하며, 메인 컨베이어(10)의 작동위치에서 스크랩(1)을 스크랩 박스(8)로 이송할 수 있다. 따라서, 메인 컨베이어(10)의 전단부가 스크랩 박스와 근접하게 배치됨으로써 스크랩(1)을 수평방향을 따라 용이하게 적재할 수 있다.
보조 컨베이어(60)는 이송부재(5)와 스크랩 박스(8)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며, 메인 컨베이어(10)는 보조 컨베이어(60)와 근접하도록 보조 컨베이어(60)의 전방에 배치된다. 제1 내지 제3 전원(45a, 45b, 45c)에 전류를 인가하지 않을 경우, 스크랩(8)은 이송부재(5)와 이송부재(5)의 전방에 설치되어 스크랩(1)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6)를 통해 스크랩 박스(8)의 후방에 적재된다.
다음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90)는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60초)이 흐를 경우, 메인 전방 자석부재(40a) 및 메인 후방 자석부재(40b)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보조 자석부재(40c)에 공급되는 전류를 허용한다. 이송부재(5)를 통해 이송된 스크랩(1)은 보조 자석부재(40c)의 자력을 통해 보조 벨트(65)를 따라 전방을 향해 이송되어 스크랩 박스(8)로 적재된다.
따라서, 이송부재(5)를 통해 이송된 스크랩(1)은 보조 자석부재(40c)의 길이만큼 이송된 상태에서 스크랩 박스(8)에 적재된다. 보조 자석부재(40c)의 자력에 의해 스크랩(1)이 보조 벨트(65)로 이송될 경우, 보조 자석부재(40c)와 보조 벨트(65), 그리고 보조 벨트(65)와 스크랩(1)은 각각 밀착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스크랩(1)을 이송부재(5)로부터 보조 컨베이어(60)로 용이하게 이송 가능하도록 보조 자석부재(40c)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는 메인 전방 자석부재(40a) 및 메인 후방 자석부재(40b)에 각각 인가되는 전류보다 클 수 있다. 한편, 메인 전방 자석부재(40a) 및 메인 후방 자석부재(40b)에 각각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는 스크랩(1)이 메인 벨트(15)로부터 이탈되지 않는 전류량이면 족하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90)는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60초)이 흐를 경우, 메인 전방 자석부재(40a)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메인 후방 자석부재(40b) 및 보조 자석부재(40c)에 공급되는 전류를 각각 허용한다. 스크랩(1)은 보조 자석부재(40c) 및 메인 후방 자석부재(40b)의 자력에 의해 보조 컨베이어(65)를 거쳐 메인 컨베이어(15)의 중앙부까지 이송되어 스크랩 박스(8)로 적재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랩(1)은 메인 후방 자석부재(40b)의 길이만큼 더 이송된 상태에서 스크랩 박스(8)에 적재된다.
다음으로,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90)는 기설정된 시간(예를 들어, 60초)이 흐를 경우, 메인 전방 자석부재(40a) 및 메인 후방 자석부재(40b), 그리고 보조 자석부재(40c)에 전류를 각각 허용한다. 스크랩(1)은 보조 자석부재(40c)와 메인 후방 자석부재(40b) 및 메인 전방 자석부재(40a)에 의해 보조 컨베이어(65)를 거쳐 메인 컨베이어(15)의 전단부까지 이송되어 스크랩 박스(8)로 적재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랩(1)은 메인 자석부재(40a)의 길이만큼 더 이송된 상태에서 스크랩 박스(8)에 적재된다.
즉, 도 7 내지 도 10을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스크랩 박스(8)에 스크랩(1)이 균일하게 적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기(90)는 제1 및 제2 구동부재(55a, 55b)를 제어하여 메인 컨베이어의 전방을 상승시킨 후('대기위치'), 적재된 스크랩 박스(8)와 메인 컨베이어(10)의 충돌을 방지하여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즉, 이송부재(5)를 통해 이송된 스크랩(1)은 스크랩 분배장치(100)를 통해 스크랩(1)을 스크랩 박스(8)의 내부에서 기설정된 간격으로 이송된 상태에서 낙하시킴으로써 스크랩 박스(8)의 내부에 균일하게 적재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랩(1)을 스크랩 박스(8)에 고르게 담아 스크랩 박스(8)의 적재효율과 운송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스크랩(1)이 스크랩 박스(8) 내의 한쪽으로만 편중된 상태에서 스크랩 박스(8)를 교체할 경우, 스크랩(1)이 한쪽으로만 쌓이면서 외부로 이탈되어 주변을 오염시키고, 이송 작업 시 스크랩(1)의 편중된 무게 차이에 의해 전복사고의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에 스크랩(1)이 스크랩 박스(8)의 일측에 적재되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스크랩(1)을 평탄하게 고르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의 위험을 방지함으로써, 별도의 인력 투자 및 설비 투자를 절감함에 따라 제품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한 스크랩 분배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1 : 스크랩 5 : 이송부재
8 : 스크랩 박스 10 : 메인 컨베이어
12 : 메인 지지프레임 15 : 메인 벨트
20a : 메인 전방풀리 20b : 메인 후방풀리
40a : 메인 전방 자석부재 40b : 메인 후방 자석부재
40c : 보조 자석부재 80 : 메인 구동모터
60 : 보조 컨베이어 65 : 보조 벨트
70a : 보조 전방풀리 70b : 보조 후방풀리
80 : 메인 구동모터 90 : 제어기
100 : 스크랩 분배장치

Claims (13)

  1. 이송되는 대상물의 상부에 위치하고, 무한궤도로 운동 가능한 메인 벨트를 구비하는 메인 컨베이어;
    상기 메인 벨트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대상물에 자력을 인가하여 상기 대상물을 상기 메인 벨트 상에 고정 가능한 메인 자석부재;
    상기 대상물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후방에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무한궤도로 운동 가능한 보조 벨트를 구비하는 보조 컨베이어;
    상기 메인 컨베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메인 컨베이어가 상기 보조 컨베이어의 전단으로부터 하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작동위치 및 상기 보조 컨베이어의 전단으로부터 상향 경사지도록 배치되는 대기위치로 전환 가능한 승강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컨베이어는,
    상기 메인 벨트의 일측 및 타측을 각각 지지하여 상기 메인 벨트와 함께 회전 가능하며,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메인 전방풀리 및 메인 후방풀리;
    상기 메인 전방풀리 및 상기 메인 후방풀리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며, 상기 메인 전방풀리 및 상기 메인 후방풀리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메인 지지프레임;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의 양측 후방에 각각 고정 설치되는 전방 바닥프레임; 및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의 양 측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되, 상기 메인 지지프레임의 전단측에 배치되는 전방 링축 및 상기 전방 바닥프레임과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후방 링축을 포함하며,
    상기 승강부재는,
    전방측에 전방 관통홀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며, 후방측에 후방 관통홀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전방 관통홀 및 상기 후방 관통홀에 상기 전방 링축 및 상기 후방 링축이 각각 삽입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연결축;
    상기 전방 링축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축이 상기 전방 링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방 고정브라켓;
    상기 후방 링축에 배치되어 상기 연결축이 상기 후방 링축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전방 바닥프레임에 고정 배치되는 후방 고정브라켓;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상부에 고정 설치되는 구동부재; 및
    상기 구동부재와 상기 연결축을 연결하며, 상기 구동부재의 구동력을 상기 연결축에 전달하여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전방을 승강 가능한 로드를 포함하는, 스크랩 분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자석부재는 상기 메인 벨트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되는, 스크랩 분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자석부재는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대상물에 자력을 제공하는 전자석이며,
    상기 스크랩 분배장치는 상기 전자석들에 인가되는 전류를 제어 가능한 제어기를 더 포함하는, 스크랩 분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자석부재는 상기 대상물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순차로 배치되는 메인 후방 자석부재 및 메인 전방 자석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메인 전방 자석부재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상기 메인 후방 자석부재에 공급되는 전류를 허용하는 제2 분배상태; 및
    상기 메인 전방 자석부재 및 상기 메인 후방 자석부재에 각각 공급되는 전류를 허용하는 제3 분배상태로 전환 가능한, 스크랩 분배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분배장치는 상기 메인 벨트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 설치되며, 바닥면에 상기 메인 자석부재와 연결되는 자석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스크랩 분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자석부재는 상기 대상물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자석하우징의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는, 스크랩 분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분배장치는,
    상기 대상물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후방에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무한궤도로 운동 가능한 보조 벨트를 구비하는 보조 컨베이어; 및
    상기 보조 벨트의 내측에 고정 설치되며, 상기 대상물에 자력을 인가 가능한 보조 자석부재를 더 포함하는, 스크랩 분배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자석부재는 상기 대상물의 이송방향을 기준으로 순차로 배치되는 메인 후방 자석부재 및 메인 전방 자석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스크랩 분배장치는 메인 전방 자석부재와 상기 메인 후방 자석부재 및 상기 보조 자석부재에 각각 연결되는 제어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기는,
    상기 메인 전방 자석부재 및 상기 메인 후방 자석부재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상기 보조 자석부재에 공급되는 전류를 허용하는 제1 분배상태;
    상기 메인 전방 자석부재에 공급되는 전류를 차단하고 상기 메인 후방 자석부재 및 상기 보조 자석부재에 각각 공급되는 전류를 허용하는 제2 분배상태; 및
    상기 메인 전방 자석부재 및 상기 메인 후방 자석부재와 상기 보조 자석부재에 각각 공급되는 전류를 허용하는 제3 분배상태로 전환 가능한, 스크랩 분배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자석부재에 인가되는 전류의 세기는 상기 메인 자석부재들보다 큰, 스크랩 분배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랩 분배장치는,
    상기 스크랩이 적재 가능한 적재공간을 가지는 스크랩 박스; 및
    상기 스크랩을 상기 스크랩 박스를 향해 이송 가능한 이송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재와 상기 보조 컨베이어는 상기 이송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스크랩 분배장치.
KR1020150077367A 2015-06-01 2015-06-01 스크랩 분배장치 KR1017467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367A KR101746768B1 (ko) 2015-06-01 2015-06-01 스크랩 분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7367A KR101746768B1 (ko) 2015-06-01 2015-06-01 스크랩 분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542A KR20160141542A (ko) 2016-12-09
KR101746768B1 true KR101746768B1 (ko) 2017-06-13

Family

ID=57574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7367A KR101746768B1 (ko) 2015-06-01 2015-06-01 스크랩 분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67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391B1 (ko) * 2021-10-15 2022-11-01 주식회사 엔이티에스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79031A (ja) * 2003-12-22 2005-07-07 Honda Motor Co Ltd マグネット吸着式コンベア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設定方法
KR100544534B1 (ko) * 2001-12-18 2006-01-24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의 크기에 따라 자동 조정되는 스트립 통판장치
KR101225295B1 (ko) * 2010-09-29 2013-01-25 현대제철 주식회사 후판 제품 절단 후 잔존 스크랩 분리수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4534B1 (ko) * 2001-12-18 2006-01-24 주식회사 포스코 소재의 크기에 따라 자동 조정되는 스트립 통판장치
JP2005179031A (ja) * 2003-12-22 2005-07-07 Honda Motor Co Ltd マグネット吸着式コンベアシステム及びその運転設定方法
KR101225295B1 (ko) * 2010-09-29 2013-01-25 현대제철 주식회사 후판 제품 절단 후 잔존 스크랩 분리수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0391B1 (ko) * 2021-10-15 2022-11-01 주식회사 엔이티에스 다중 컨베이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41542A (ko) 2016-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99402B2 (en) Vehicle capable of stirring concrete during transportation
KR101746768B1 (ko) 스크랩 분배장치
KR101845233B1 (ko) 리프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지유닛 교체방법
US2087846A (en) Article handling apparatus
CN105501921A (zh) 一种胶块自动翻倒的输送系统以及输送方法
KR101344309B1 (ko)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
KR101224986B1 (ko) 압연기의 쵸크 결합장치와 결합 및 해체방법
KR20090100979A (ko) 가열로 장입용 롤러 이송 장치
JP2004330200A (ja) 板曲げプレスの搬送装置
KR20140103232A (ko) 컨베이어 장치 및 블랭킹 가공방법
CN213173229U (zh) 一种装配化施工的钢桥面浇筑式沥青混合料立体摊铺设备
JP4401238B2 (ja) 片面溶接装置
CN110803649B (zh) 一种输送机构
KR102248817B1 (ko) 레이저 절단용 피절단물의 이송 시스템
KR101504427B1 (ko) 연연속 접합기용 나이프 교체장치 및 방법
KR101957936B1 (ko) 손수레형으로 이루어지는 타이어 리프팅 지그 장치
KR20160036429A (ko) 연속하역장비용 낙광 제거장치
KR101666432B1 (ko) 주물용 성형물 분리장치
US1939441A (en) Stock conveying apparatus for metal sawing machines
KR102022833B1 (ko) 캘리퍼하우징 주조시스템
KR101323294B1 (ko) 연주 설비
KR101659877B1 (ko) 주편 냉각설비 및 냉각방법
KR102100792B1 (ko) 절단 장치 및 절단 방법
CN212711099U (zh) 一种冶炼钢材废料回收装置
KR101291533B1 (ko) 연속식 하역기용 연원료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