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4309B1 -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 - Google Patents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4309B1
KR101344309B1 KR1020110111059A KR20110111059A KR101344309B1 KR 101344309 B1 KR101344309 B1 KR 101344309B1 KR 1020110111059 A KR1020110111059 A KR 1020110111059A KR 20110111059 A KR20110111059 A KR 20110111059A KR 101344309 B1 KR101344309 B1 KR 101344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form
roller
support
lifting
ji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1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46589A (ko
Inventor
배기영
이태연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1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4309B1/ko
Publication of KR201300465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465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4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4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02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consisting essentially of struts, ties, or like structural elements
    • B65G21/06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consisting essentially of struts, ties, or like structural elements constructed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20Means incorporated in, or attached to, framework or housings for guiding load-carriers, traction elements or loads supported on moving surfaces
    • B65G21/22Rails or the like engaging sliding elements or rollers attached to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B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GENERAL; OPEN SINTERING OR LIKE APPARATUS
    • F27B9/0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 F27B9/1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 F27B9/20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 F27B9/24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 F27B9/2407Furnaces through which the charge is moved mechanically, e.g. of tunnel type; Similar furnaces in which the charge moves by gravity characterised by the path of the charge during treatment; characterised by the means by which the charge is moved during treatment the charge moving in a substantially straight path tunnel furnace being carried by a conveyor the conveyor being constituted by rollers (roller hearth furn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3/00Charging; Discharging; Manipulation of charge
    • F27D3/12Travelling or movable supports or containers for the charge
    • F27D3/123Furnac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65G2201/045Sand, soil and mineral 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30Modular constru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원료를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의 롤러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롤러가 설치되는 베이스와 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대와, 지지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본체와, 이동본체를 지지대를 따라 이동시키는 수평구동부와, 이동본체에 구비되고 롤러를 승강시키는 승강대와,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 {JIG APPARATUS FOR CHANGING ROLLER}
본 발명은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원료를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의 롤러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 상태인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연주공정은 액체 상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면서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Billet)으로 변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장치를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제선공정은 고로에서 이루어지는데, 고로에 장입되는 연료 및 원료는 차량 또는 벨트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된다.
연원료를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는 철광석, 석탄, 코크스 등의 무거운 연원료를 이송하므로 이송롤러를 주기적으로 교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89557호(2000년 7월 25일 공개, 고안의 명칭 : 호퍼하부의 수평케이트 위치조정장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연원료를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의 롤러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롤러가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본체; 상기 이동본체를 상기 지지대를 따라 이동시키는 수평구동부; 상기 이동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롤러가 안착되는 승강대; 및 상기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지지대는 파이프 모양으로 형성되고 보조지지대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구동부는,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1레버; 및 상기 이동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이 볼트결합되는 고정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대는, 상기 고정너트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너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승강대; 상기 고정너트부에서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너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승강대; 상기 제1승강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승강대; 및 상기 제2승강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3승강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승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제1승강대와 상기 제3승강대 사이에 설치되는 제1이동너트부; 상기 제2승강대와 상기 제4승강대 사이에 설치되는 제2이동너트부; 상기 제1이동너트부와 상기 제2이동너트부에 볼트결합되는 승강축; 및 상기 승강축에 설치되는 제2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3승강대와 상기 제4승강대 사이에는 받침부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받침곡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는 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베이스와 롤러 사이에 지그장치에 배치되어 롤러를 상승시킬 수 있으므로 별도의 크레인이 요구되지 않고 용이하게 롤러를 베이스로부터 분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의 상승상태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의 삽입상태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의 상승상태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의 상승상태가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의 삽입상태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의 상승상태가 도시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는, 롤러(80)가 설치되는 베이스(82)와 롤러(80)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대(10)와, 지지대(1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본체(30)와, 이동본체(30)를 지지대(10)를 따라 이동시키는 수평구동부(50)와, 이동본체(30)에 구비되고 롤러(80)가 안착되는 승강대(72)와, 승강대(72)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74)를 포함한다.
장기간 연원료의 이동작업이 지속되면 벨트컨베이어에 설치되는 롤러(80)가 마모되거나 변형되므로 롤러(80) 교체작업을 진행하게 된다.
이때, 작업자는 지지대(10)를 베이스(82)와 롤러(80) 사이의 간격으로 삽입하여 안착시킨 후에 수평구동부(50)를 조작하여 승강대(72) 및 승강구동부(74)를 베이스(82)와 롤러(80) 사이에 안착시키고, 승강구동부(74)를 조작하여 승강대(72)를 상승시킨다.
승강대(72)가 상승되면 롤러(80)의 하단부를 지지하게 되므로 작업자는 롤러(80)를 지지하는 별도의 작업을 행하지 않는 상태에서 롤러(80)의 분리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지지대(10)는 파이프 모양으로 형성되고 보조지지대(14)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다양한 모양의 베이스(82)에 거치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의 베이스(82)는 다수 개의 바 모양의 프레임이 연결되어 이루어지므로 지지대(10)로부터 보조지지대(14)를 돌출시켜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지지대(10)와 보조지지대(14)가 거치될 수 있도록 설치한다.
지지대(10)의 일측 단부에는 제1스토퍼(12)가 하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보조지지대(14)의 타측 단부에는 제2스토퍼(16)가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따라서 제1스토퍼(12)가 베이스(82)의 프레임에 걸쳐지도록 배치되고, 제2스토퍼(16)가 베이스(82)의 다른 프레임에 걸쳐지도록 배치되면 지지대(10)와 보조지지대(14)는 유동되지 않게 베이스(82)에 안착될 수 있게 된다.
수평구동부(50)는, 지지대(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동축(52)과, 구동축(52)을 회전시키는 제1레버(56)와, 이동본체(30)에 설치되고 구동축(52)이 볼트결합되는 고정너트부(58)를 포함한다.
구동축(52)은 지지대(10) 상면에 베어링부(54)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베어링부(54)에 제1레버(56)가 설치된다.
제1레버(56)와 구동축(52)은 웜기어 방식으로 연결되므로 제1레버(56)를 회전시키면 구동축(52)이 회전된다.
지지대(10)와 보조지지대(14)를 안착시킨 후에 작업자가 제1레버(56)를 회전시켜 구동축(52)을 회전시키면 구동축(52)과 볼트결합되는 고정너트부(58)가 직선운동되는데, 고정너트부(58)는 이동본체(30)에 설치되므로 이동본체(30)가 지지대(10)를 따라 슬라이딩된다.
고정너트부(58)는 이동본체(30)의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브래킷(32) 사이에 설치되므로 구동축(52)을 따라 고정너트부(58)가 이동될 때에 이동본체(30)를 이동시키게 된다.
승강대(72)는, 고정너트부(58)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고정너트부(5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승강대(72a)와, 고정너트부(58)에서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고정너트부(58)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승강대(72b)와, 제1승강대(72a)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승강대(72c)와, 제2승강대(72b)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3승강대(72c)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승강대(72d)를 포함한다.
제1승강대(72a)와 제2승강대(72b)의 하측 단부는 고정너트부(58)에 양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3승강대(72c)와 제4승강대(72d)의 하측 단부는 각각 제1승강대(72a)와 제2승강대(72b)의 상측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제3승강대(72c)와 제4승강대(72d)의 상측 단부는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따라서 제1승강대(72a), 제2승강대(72b), 제3승강대(72c) 및 제4승강대(72d)는 마름모 모양을 이루게 되며, 네 개의 모서리의 위치가 가변되면서 승강작동을 행하게 된다.
승강구동부(74)는, 제1승강대(72a)와 제3승강대(72c) 사이에 설치되는 제1이동너트부(74a)와, 제2승강대(72b)와 제4승강대(72d) 사이에 설치되는 제2이동너트부(74b)와, 제1이동너트부(74a)와 제2이동너트부(74b)에 볼트결합되는 승강축(75)과, 승강축(75)에 설치되는 제2레버(77)를 포함한다.
승강축(75)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며, 제1이동너트부(74a)와 제2이동너트부(74b)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므로 승강축(75)을 회전시킬 때에 제1이동너트부(74a)와 제2이동너트부(74b)를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승강축(75)을 일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이동너트부(74a)와 제2이동너트부(74b)는 서로 가까워지도록 승강축(75)의 중앙 측으로 이동되고, 승강축(75)을 타측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이동너트부(74a)와 제2이동너트부(74b)가 서로 멀어지도록 승강축(75)의 단부 측으로 이동된다.
제3승강대(72c)와 제4승강대(72d) 사이에는 받침부(78)가 설치되고, 받침부(78)에는 롤러(80)를 지지하는 받침곡면부(79)가 구비된다.
받침부(78)는 제3승강대(72c)와 제4승강대(72d)의 상측 단부가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되는 구조물이며, 측면 형상이 '∩'모양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제3승강대(72c)와 제4승강대(72d)의 상측 단부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받침곡면부(79)는 받침부(78)로부터 측 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승강대(72)를 롤러(80)와 베이스(82)의 전방부에 배치시키고, 받침곡면부(79)를 롤러(80)와 베이스(82) 사이에 개재시켜 승강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받침곡면부(79)의 단부는 하측 방향으로 오목한 곡면 형상으로 이루어지므로 롤러(8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80) 교체용 지그장치의 작동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원료 이송작업을 장기간 진행하여 롤러(80)가 마모되거나 파손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롤러(80)를 베이스(82)로부터 분리하는 작업을 진행하게 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른 지그장치를 베이스(82)에 설치하여 롤러(80) 분리작업을 진행한다.
먼저, 제1스토퍼(12)가 베이스(82)에 걸리도록 지지대(10)를 롤러(80)와 베이스(82) 사이에 배치시키고, 지지대(10)로부터 보조지지대(14)를 돌출시켜 다른 베이스(82)에 제2스토퍼(16)가 걸리도록 보조지지대(14)를 거치시킨다.
이후에, 제1레버(56)를 회전시켜 이동본체(30)를 이동시켜 롤러(80)와 베이스(82) 사이의 간격에 인접하도록 배치시킨다.
이때, 받침곡면부(79)가 롤러(80)의 하부에 대향되도록 이동본체(30)를 위치시킨다.
작업자가 제2레버(77)를 회전시키면 제1이동너트부(74a)와 제2이동너트부(74b)가 승강축(75)의 중앙부 측으로 이동되면서 받침부(78) 및 받침곡면부(79)가 상승되므로 롤러(80)의 하부가 받침곡면부(79)에 의해 지지된다.
이후에, 작업자는 롤러(80)를 지지하는 별도의 작업을 행하지 않는 상태에서 롤러(80)를 베이스(82)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롤러(80)를 베이스(82)에 설치할 때에는 크레인에 의해 이동되는 롤러(80)를 베이스(82) 상측에 배치시킨 후에 받침곡면부(79)에 안착시키고, 롤러(80)와 베이스(82)를 연결하는 작업을 행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연원료를 이송하는 벨트컨베이어의 롤러를 용이하게 거치할 수 있는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가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지그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지지대 12 : 제1스토퍼
14 : 보조지지대 16 : 제2스토퍼
30 : 이동본체 32 : 브래킷
50 : 수평구동부 52 : 구동축
54 : 베어링부 56 : 제1레버
58 : 고정너트부 72 : 승강대
72a : 제1승강대 72b : 제2승강대
72c : 제3승강대 72d : 제4승강대
74 : 승강구동부 74a : 제1이동너트부
74b : 제2이동너트부 75 : 승강축
77 : 제2레버 78 : 받침부
79 : 받침곡면부 80 : 롤러
82 : 베이스

Claims (6)

  1. 롤러가 설치되는 베이스와 상기 롤러 사이에 배치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본체;
    상기 이동본체를 상기 지지대를 따라 이동시키는 수평구동부;
    상기 이동본체에 구비되고 상기 롤러가 안착되는 승강대; 및
    상기 승강대를 승강시키는 승강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대는 파이프 모양으로 형성되고 보조지지대가 출몰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구동부는,
    상기 지지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사산이 형성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을 회전시키는 제1레버; 및
    상기 이동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축이 볼트결합되는 고정너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대는,
    상기 고정너트부에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너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승강대;
    상기 고정너트부에서 타측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고정너트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승강대;
    상기 제1승강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3승강대; 및
    상기 제2승강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3승강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4승강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구동부는,
    상기 제1승강대와 상기 제3승강대 사이에 설치되는 제1이동너트부;
    상기 제2승강대와 상기 제4승강대 사이에 설치되는 제2이동너트부;
    상기 제1이동너트부와 상기 제2이동너트부에 볼트결합되는 승강축; 및
    상기 승강축에 설치되는 제2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승강대와 상기 제4승강대 사이에는 받침부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부에는 상기 롤러를 지지하는 받침곡면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
KR1020110111059A 2011-10-28 2011-10-28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 KR101344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059A KR101344309B1 (ko) 2011-10-28 2011-10-28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1059A KR101344309B1 (ko) 2011-10-28 2011-10-28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589A KR20130046589A (ko) 2013-05-08
KR101344309B1 true KR101344309B1 (ko) 2013-12-23

Family

ID=48658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1059A KR101344309B1 (ko) 2011-10-28 2011-10-28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43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7588B1 (ko) * 2017-09-20 2019-03-13 현대제철 주식회사 벨트 컨베이어 승강 장치
KR101845966B1 (ko) * 2018-01-09 2018-04-05 (주)대한테크 박리롤러 체인지용 지그 시스템
KR102291636B1 (ko) * 2020-07-27 2021-08-19 대양롤랜트(주) 컨베이어 벨트용 리프팅 장치
CN113305552B (zh) * 2021-06-12 2022-04-19 山东新升实业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煤矿皮带输送机用托辊更换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144Y1 (ko) * 2001-01-19 2001-06-15 신홍기 공작물 고정용 바이스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28144Y1 (ko) * 2001-01-19 2001-06-15 신홍기 공작물 고정용 바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46589A (ko) 2013-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4309B1 (ko)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
KR101424429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20130047796A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435069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225780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388007B1 (ko) 연원료 이송장치용 이송롤러 교체장치
KR101225726B1 (ko) 코크스 불출장치
KR101355516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267607B1 (ko) 압연제품용 불량품 처리장치
KR101377514B1 (ko) 연원료 이송장치
CN202763026U (zh) 中间罐上铁芯拆卸车
KR101099682B1 (ko) 고로 출선구용 지지장치
KR101225727B1 (ko) 코크스 불출장치
KR20130046572A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0973906B1 (ko) 후판 유도장치
KR101424444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024587B1 (ko) 열간압연설비
CN205774648U (zh) 一种铁水脱硫扒渣装置
KR101424433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0954193B1 (ko) 연속주조설비의 가이드롤 간격 조정장치
KR101330551B1 (ko) 관상제품용 분리장치
JP5484275B2 (ja) 軽圧下装置のロール交換装置と方法
KR101277541B1 (ko) 압연제품용 이송장치
CN220304214U (zh) 一种熔炼炉倾倒调节机构
KR101424428B1 (ko) 연원료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