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7541B1 - 압연제품용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압연제품용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7541B1
KR101277541B1 KR1020110039384A KR20110039384A KR101277541B1 KR 101277541 B1 KR101277541 B1 KR 101277541B1 KR 1020110039384 A KR1020110039384 A KR 1020110039384A KR 20110039384 A KR20110039384 A KR 20110039384A KR 101277541 B1 KR101277541 B1 KR 1012775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rolled product
main body
trolley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9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21521A (ko
Inventor
한종기
최동신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39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7541B1/ko
Publication of KR20120121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21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75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75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5/00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35/06Mechanical convey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prising a load-carrier moving along a path, e.g. a closed path, and adapted to be engaged by any one of a series of traction elements spaced along the path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압연제품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거리의 이송을 행하는 대차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하며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압연제품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구동휠의 작동에 의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대차; 상기 구동휠의 동력을 제공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이 거치되고 상기 대차를 따라 이동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제품용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연제품용 이송장치 {CARRIER FOR ROLLING PRODUCT}
본 발명은 압연제품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장거리의 이송을 행하는 대차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하며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압연제품용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강제조는 용선을 생산하는 제선공정, 용선에서 불순물을 제거하는 제강공정, 액체상태의 철이 고체가 되는 연주공정, 철을 강판이나 선재로 만드는 압연공정으로 이루어진다.
연주공정은 액체생태인 용강을 주형(Mold)에 주입한 후 연속 주조기를 통과시키면서 냉각, 응고시켜 연속적으로 슬래브(Slab)나 블룸(Bloom) 등의 중간 소재로 만들어내는 공정이다.
이 과정에서 블룸은 다시 강편 압연기를 거쳐 빌릿(Billet)으로 변하며 선재 압연기를 통해 선재로 가공된다.
또한, 슬래브는 후판 압연기를 거쳐 후판으로 생산되거나 열간 압연장치를 통과하면서 열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으로 만들어진다.
연연코일이나 열연강판 등의 압연제품은 대차에 적층되어 다음 공정으로 송된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장거리의 이송을 행하는 대차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하며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압연제품용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동휠의 작동에 의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대차; 상기 구동휠의 동력을 제공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이 거치되고 상기 대차를 따라 이동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제품용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상기 레일이 설치되는 지면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롤러;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을 구속하는 거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상부패널; 상기 상부패널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이 거치되는 하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하부패널은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되는 곡면패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패널 사이에는 체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압연제품용 이송장치는 전원공급부와 대차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꼬이지 않도록 동일한 모양으로 절곡되어 보관되고, 대차의 이동 방향으로 펼쳐질 수 있으므로 장거리를 이동하는 대차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고, 케이블의 꼬임이나 절단에 의한 오작동 및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제품용 이송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제품용 이송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제품용 이송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제품용 이송장치의 연결부가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제품용 이송장치의 연결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압연제품용 이송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제품용 이송장치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제품용 이송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제품용 이송장치가 도시된 작동 상태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제품용 이송장치의 연결부가 도시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제품용 이송장치의 연결부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제품용 이송장치는 구동휠(12)의 작동에 의해 레일(14)을 따라 이동되는 대차(10)와, 구동휠(12)의 동력을 제공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30)과, 케이블(30)이 거치되고 대차(10)를 따라 이동되는 연결부(50)를 포함한다.
압연제품이 대차(10)에 안착되면 전원공급부로부터 케이블(30)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므로 대차(10)에 설치되는 구동부의 작동에 의해 구동휠(12)이 회전되면서 대차(10)가 이동하게 된다.
대차(10)는 지면에 설치되는 레일(14)을 따라 이동되므로 일정한 방향으로 설정된 거리만큼 이동되며, 대차(10)가 이동되는 방향으로 연결부(50)가 이동되면서 케이블(30)이 대차(10)의 이동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한다.
압연제품을 이송하는 제철소는 대형의 장치가 설치되므로 장치와 장치 사이의 이동거리가 장거리인 경우가 많기 때문에 대차(10)가 레일(14)을 따라 장거리를 이동할 때에 연결부(50)가 대차(10)를 따라 이동하면서 케이블(30)이 꼬이거나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50)는, 레일(14)이 설치되는 지면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이동되는 본체(52)와, 본체(52)에 설치되고 가이드레일(32)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롤러(54)와, 본체(52)에 설치되고 케이블(30)을 구속하는 거치부(56, 57)를 포함한다.
본체(52)는 측면 형상이 'ㄴ' 모양으로 절곡된 패널 모양으로 형성되고, 본체(52)의 내벽에 한 쌍의 롤러(54)가 설치되며, 롤러(54)가 가이드레일(32)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안착된다.
본체(52)의 저면에는 케이블(30)이 거치되는 거치부(56, 57)가 설치되므로 케이블(30)이 대차(10) 방향으로 연장될 때에 케이블(30)에 의해 형성되는 장력에 의해 롤러(54)가 회전되면서 본체(52)가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가이드레일(32)은 레일(14)이 설치되는 지면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설치되고, 거치부(56, 57)에 의해 거치되는 케이블(30)은 레일(14) 사이에 형성되는 통과홀부(16)를 따라 지면 외부로 돌출되어 대차(10)에 연결된다.
통과홀부(16)는 레일(14)을 따라 길게 형성되므로 대차(10)가 레일(14)을 따라 이동할 때에 케이블(30)은 관통홀부를 따라 대차(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연결부(50)는 케이블(30)의 장력에 의해 가이드레일(32)을 따라 대차(10)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케이블(30)이 거치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케이블(30)이 꼬이거나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거치부(56, 57)는, 본체(52)에 설치되는 상부패널(56)과, 상부패널(56)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케이블(30)이 거치되는 하부패널(57)을 포함한다.
상부패널(56)은 본체(52)의 저면에 설치되고 본체(52)와 직교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므로 케이블(30)이 대차(10)의 이동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30)이 상부패널(56)의 저면에 접촉된다.
하부패널(57)은 체결부재(58)에 의해 상부패널(56)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배치되므로 상부패널(56)과 하부패널(57) 사이의 간격에 케이블(30)이 개재되어 케이블(30)이 거치부(56, 57) 외부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하부패널(57)은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되는 곡면패널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대차(10)가 전원공급부 측으로 이동될 대에 케이블(30)이 접히면서 하부패널(57)의 상면에 안착된다.
이때, 하부패널(57)의 단부는 하측 방향으로 기울어지는 곡면패널 모양으로 형성되므로 케이블(30)의 절곡부는 하부패널(57)의 상면에 곡선 모양으로 안착된다.
따라서 대차(10)가 전원공급부 측으로 이동될 때에 다수 차례 접히는 케이블(30)이 서로 꼬이거나 절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연결부(50)는 복수 개가 설치되고, 하부패널(57) 사이에는 체인(59)이 설치되므로 대차(10)가 전원공급부로부터 먼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 복수 개의 연결부(50)가 체인(59)에 의해 더 이상 멀게 배치되지 않고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압연제품용 이송장치의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압연공정이 완료되어 압연제품이 대차(10)에 안착되면 전원공급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에 의해 구동부가 작동되어 구동휠(12)이 회전하게 되며, 구동휠(12)의 회전에 의해 대차(10)가 레일(14)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케이블(30)은 대차(10)에 의해 당겨지므로 절곡된 부분이 펼쳐지면서 대차(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케이블(30)의 장력에 의해 본체(52)가 가이드레일(31)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거치부(56, 57)에 의해 본체(52)에 거치된 케이블(30)은 가이드레일(32)을 따라 본체(52)를 이동시키면서 대차(10)의 이동 방향으로 펼쳐지게 되므로 직선 모양을 유지하게 된다.
압연제품의 이송이 완료된 후에 대차(10)가 전원공급부 측으로 복귀되면 케이블(30)의 전원공급부 측으로 이동되면서 본체(52)를 가이드레일(32)을 따라 이동시키게 된다.
이때, 케이블(30)을 하부패널(57)의 상면에 안착되면서 곡선 모양으로 절곡되어 일정한 모양을 이루면서 겹쳐지게 된다.
이로써, 장거리의 이송을 행하는 대차에 전원을 용이하게 공급하며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압연제품용 이송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압연제품용 이송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압연제품이 아닌 다른 제품에도 본 발명의 이송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대차 12 : 구동휠
14 : 레일 16 : 통과홀부
30 : 케이블 32 : 가이드레일
50 : 연결부 52 : 본체
54 : 롤러 56 : 상부패널
57 : 하부패널 58 : 체결부재
59 : 체인

Claims (5)

  1. 구동휠의 작동에 의해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대차;
    상기 구동휠의 동력을 제공하도록 전원을 공급하는 케이블; 및
    상기 케이블이 거치되고 상기 대차를 따라 이동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레일이 설치되는 지면의 내부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본체;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에 회전 가능하게 안착되는 롤러; 및
    상기 본체에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을 구속하는 거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되는 상부패널;
    상기 상부패널과 간격을 유지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케이블이 거치되는 하부패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제품용 이송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패널은 상측 방향으로 볼록하게 절곡되는 곡면패널 모양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제품용 이송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복수 개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패널 사이에는 체인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연제품용 이송장치.
KR1020110039384A 2011-04-27 2011-04-27 압연제품용 이송장치 KR1012775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384A KR101277541B1 (ko) 2011-04-27 2011-04-27 압연제품용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9384A KR101277541B1 (ko) 2011-04-27 2011-04-27 압연제품용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521A KR20120121521A (ko) 2012-11-06
KR101277541B1 true KR101277541B1 (ko) 2013-06-21

Family

ID=475079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9384A KR101277541B1 (ko) 2011-04-27 2011-04-27 압연제품용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75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200307B (zh) * 2021-04-05 2022-07-29 湖南蓝天智能物流装备有限公司 一种物流搬运用自动引导小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5617A (ja) * 1989-12-26 1991-08-27 Nissan Motor Co Ltd トランスファ式搬送装置のケーブル案内装置
JP2006036411A (ja) * 2004-07-23 2006-02-09 Jfe Steel Kk 金属帯コイル搬送用台車、金属帯コイルの搬送方法、及び金属帯コイルの貯留、搬送設備列
KR200432062Y1 (ko) 2006-08-04 2006-11-30 대영산전 주식회사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95617A (ja) * 1989-12-26 1991-08-27 Nissan Motor Co Ltd トランスファ式搬送装置のケーブル案内装置
JP2006036411A (ja) * 2004-07-23 2006-02-09 Jfe Steel Kk 金属帯コイル搬送用台車、金属帯コイルの搬送方法、及び金属帯コイルの貯留、搬送設備列
KR200432062Y1 (ko) 2006-08-04 2006-11-30 대영산전 주식회사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21521A (ko) 2012-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4429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277541B1 (ko) 압연제품용 이송장치
KR20130046573A (ko) 연원료 이송장치
CN207891000U (zh) 用于钢卷运输的垂直递卷装置
KR101225780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20130046589A (ko) 롤러 교체용 지그장치
KR101399877B1 (ko) 압연기용 냉각장치
KR101320119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KR101377514B1 (ko) 연원료 이송장치
CN202591461U (zh) 一种冷床用进料装置
KR101310830B1 (ko) 압연기용 이송장치
CN208275948U (zh) 用于钢卷运输的平行递卷装置
KR100973906B1 (ko) 후판 유도장치
KR101246315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522108B1 (ko) 열간압연 설비용 에지히터 장치
KR20130059878A (ko) 연원료 이송장치 및 그 제어방법
CN213169933U (zh) 一种中频炉用轨道式物料输送车
KR101424428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101051295B1 (ko) 열간압연설비
KR101377508B1 (ko) 연원료 불출장치
KR101225714B1 (ko) 연원료 불출장치
KR101225777B1 (ko) 소재 가이드 장치
KR101424438B1 (ko) 압연제품용 이송장치
KR101424444B1 (ko) 연원료 이송장치
KR20130088399A (ko) 연원료 이송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