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2062Y1 -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2062Y1
KR200432062Y1 KR2020060020956U KR20060020956U KR200432062Y1 KR 200432062 Y1 KR200432062 Y1 KR 200432062Y1 KR 2020060020956 U KR2020060020956 U KR 2020060020956U KR 20060020956 U KR20060020956 U KR 20060020956U KR 200432062 Y1 KR200432062 Y1 KR 20043206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ulleys
rail
cable
pull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95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훈
Original Assignee
대영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095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206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206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206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07Type of prime mover
    • F15B2211/20515Electric motor

Abstract

본 고안은 일단이 상용전원에 접속되고 타단이 자주식 작업기계에 접속된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자주식 작업기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건물 내에 일정 간격 떨어져 2열로 설치된 복수개의 지주(10), 상기 복수개의 지주(10)의 각각의 열에 고정적으로 지지된 2개의 세로방향 천정레일(15), 상기 세로방향 천정레일(15)에 양단이 전진 및 후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2개의 레일캐리어(80)를 개재하여 지지된 가로방향 천정레일(20), 상기 가로방향 천정레일(20)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케이블(C)과 함께 전진 및 후진하는 복수의 전원 케이블캐리어(30), 상기 천정레일(2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밸런스캐리어(40)를 포함하고 있는 전원공급장치로 되어 있다.
지주, 케이스, 케이블캐리어, 천정레일, 레일캐리어, 밸런스캐리어

Description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a vehicle driven by electric}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전체 개략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레일캐리어 부근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케이블캐리어에 대한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밸런스캐리어에 대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레일캐리어에 대한 단면도.
본 고안은 건물 내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자주식 작업 기계의 급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에서 작업하는 자주식 작업 기계는, 하부 주행체와 이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자재로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이 상부 선회체의 선회 중심 부근에 기단이 장착된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붐과 이 붐의 첨단 측에 암을 개 입시켜 장착된 클램프 장치 등을 갖추고서 하부 주행체로 주행하면서, 상부 선회체를 선회시키켜서 클램프 장치 등을 조작해 작업을 실시하게 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자주식 작업 기계는, 통상, 유압 펌프의 원동기로서는 엔진이 상부 선회체에 장비되어 있다. 그러나, 근년, 유류파동에 영향을 받는 일 없이 그리고 주변환경에 소음을 제공함 없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엔진 대신에 전동기를 상부 선회체에 장비함과 함께, 이 전동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전장치를 장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자주식 작업 기계의 급전장치는 아직까지 큰 작업영역에서 작업하는 자주식 작업기계에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큰 작업영역에서 작업하여야 하는 자주식 작업기계에 전기적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순간적으로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가 이동하게 되어도, 케이블에 큰 충격을 주지 않아 케이블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자주식 작업기계의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단이 상용전원에 접속되고 타단이 자주식 작업기계에 접속된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자주식 작업기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건물 내에 일정 간격 떨어져 2열로 설치된 복수개의 지주, 상기 복수개의 지주의 각각의 열에 고정적으로 지지된 2개의 세로방향 천정레일, 상기 세로방향 천정레일에 양단이 전진 및 후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2개의 레일캐리어를 개재하여 지지된 가로방향 천정레일, 상기 가로방향 천정레일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케이블과 함께 전진 및 후진하는 복수의 전원 케이블캐리어, 상기 천정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밸런스캐리어를 포함하고 있는 전원공급장치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자주식 작업기계의 전원공급장치가 부호 100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자주식 작업기계의 전원공급장치(100)는 건물 내에 일정 간격 떨어져 2열로 설치된 복수개의 지주(10), 상기 복수개의 지주(10)의 각각의 열에 고정적으로 지지된 2개의 세로방향 천정레일(15), 상기 세로방향 천정레일(15)에 양단이 전진 및 후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2개의 레일캐리어(80)를 개재하여 지지된 가로방향 천정레일(20), 상기 가로방향 천정레일(20)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케이블(C)과 함께 전진 및 후진하는 복수의 전원 케이블캐리어(30, 30, 30....) 및 밸런스캐리어(40)를 포함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세로방향 천정레일(15)중 하나의 천정레일(15)에는 건물 내의 배선반(도시되지 않음)에 접속된 비피복된 전선(16)이 상기 하나의 세로방향 천정레일(15)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선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레일캐리어(80)에는 상기 전선(16)과 미끄럼접촉하는 공지의 카본브러시(81) 및 이 카본브러시(81)에 접속된 부배전반(82)이 구비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2개의 레일캐리어(80) 각각은 상기 부배전반(8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동모터(M1), 이 전동모터(M1)에 구동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전동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시계방향/반시계방향으로 상기 세로방향 천정레일(15)의 상단 플랜지(15a) 상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한쌍의 롤러(83)가 탑재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2개의 레일캐리어(80) 각각에 구비된 전동모터(M1)들은 서로 동기적으로 작동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배선반(82)에는 또한 전원 케이블(C)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상기 전원 케이블(C)의 타단에는 자주식 작업 기계(200)의 카본블러쉬(슬립링; 21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카본블러쉬는 회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때 이용되는 공지의 부품이다.
상기 밸런스캐리어(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정레일(20)의 하단 플랜지(20a)상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복수개의 롤러(41)가 탑재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42)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프레임(42)에는 힌지축(43)을 개재하여 상기 천정레일(20)과 평행하게 배치된 케이스(50)가 탑재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50)는 선단에 배치되어 회전은 가능하지만 위치이동은 불가능한 고정형 선단도르레(51)쌍, 상기 선단도르레(51)쌍 보다 기단측에 배치되어 자전과 수평으로 위치이동가능한 이동형 기단도르레(52)쌍, 그리고 상기 선단도르레(51)와 상기 기단도르레(52)쌍을 연결하여, 상기 기단도르레(52)쌍이 탄성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링크(5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링크(53)에는 상기 기단도르레(52)쌍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쇽업서버(56)가 개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50)에는 케이블 입구/출구(50a)측 상하단에 상/하가이드도르레(54, 55)쌍이 자전은 가능하지만, 위치이동은 불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선단도르레(51)쌍 및 상/하가이드로르레(54, 55)쌍은 서로 협력하여 전원케이블(C) 및 와이어(W)를 이탈되지 않게 유지하고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캐리어(3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천정레일(20)의 하단 플랜지(20a)상을 구름운동하는 복수개의 롤러(31), 및 전원 케이블(C)을 매달아 지지하는 링(32)을 가지고서, 상기 롤러(31)가 천정레일(20)의 하단 플랜지(20a)상을 구름운동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일단이 상기 부배전반(82)에 접속된 상기 전원 케이블(C)은 도중에 복수의 상기 케이블 캐리어(30)에 현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50)의 상기 상가이드도르레(54)쌍중 가운데 배치된 상가이드도르레(54), 상기 고정형 선단도르레(51)쌍중 가운데 배치된 선단도르레(51), 상기 기단도르레(52)쌍중 가운데 배치된 기단도르레(52), 상기 고정형 선단도르레(51)쌍중 가운데 배치된 선단도르레(51), 및 상기 하가이드도르레(55)쌍중 가운데 배치된 하가이드도르레(55)에 순차적으로 감겨져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200)의 카본블러쉬(210)에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스(50)의 상단 선단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고정된 한쌍의 와이어(W)는 상기 상가이드도르레(54)쌍중 양측에 배치된 상가이드도르레(54), 상기 고 정형 선단도르레(51)쌍중 양측에 배치된 선단도르레(51), 상기 기단도르레(52)쌍중 양측에 배치된 기단도르레(52), 상기 고정형 선단도르레(51)쌍중 양측에 배치된 선단도르레(51), 및 상기 하가이드도르레(55)쌍중 양측에 배치된 하가이드도르레(55)에 순차적으로 감겨져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200)의 카본블러쉬(210) 부근에 타단이 접속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42)의 하단 양측에는 접촉센서(S1, S2)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센서들중 하나의 센서(S1)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를 통하여 모터(M1)를 구동시켜 가로방향 천정레일(20)을 좌로 이동시키게 하고, 다른 하나의 센서(S2)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를 통하여 모터(M1)를 구동시켜 가로방향 천정레일(20)을 우로 이동시키게 한다.
따라서, 상기 케이스(50)가 상기 힌지축(43)을 중심으로 좌우로 선회할 시 상기 케이스(50)의 좌측상단이 상기 센서(S1)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가로방향 천정레일(20)이 좌로 이동하게 되어 자주식 작업기계(200)의 좌측 주행운동에 동조하게 되고, 그리고 상기 케이스(50)의 우측상단이 상기 센서(S2)에 접촉하게 되면, 상기 가로방향 천정레일(20)이 우로 이동하게 되어 자주식 작업기계(200)의 우측 주행운동에 동조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된 전원공급장치는 상기 자주식 작업기계(200)에 안정적으로 상기 케이블(C)을 다음과 같이 공급할 수 있다.
먼저, 자주식 작업기계(200)가 세로방향 천정레일(15)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레일캐리어(80)에 탑재된 전동모터(M1)를 구동시켜서, 상기 자주식 작업기 계(200)가 작업하여야 할 영역 부근 중심까지 상기 자주식 작업기계(200)와 동기하여 상기 가로방향 천정레일(20), 상기 레일캐리어(80) 및 상기 밸런스캐리어(40)를 이동시킨다.
그 다음, 상기 자주식 작업기계(200)가 가로방향 천정레일(20)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상기 복수의 전원케이블 캐리어(30)도 상기 밸런스캐리어(40)와 함께 이동하게 하여 상기 복수의 전원케이블 캐리어(30)가 지지하고 있는 여유분의 케이블(C)을 상기 자주식 작업기계(200)에 공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 다음, 상기 자주식 작업기계(200)가 전원케이블 캐리어(30)가 가지고 있는 케이블 여유분 이상으로 상기 가로방향 천정레일(20)과 평행한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자주식 작업기계(200)가 상기 케이블(C)을 당기게 되고, 이때, 케이블(C)과 와이어(W)는 상기 기단도르레(52)쌍을 당기게 되어, 상기 기단도르레(52)쌍이 상기 케이스(50)의 선단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아울러 상기 링크(53)에 개재된 쇽업소버(56)도 탄성적으로 수축되어, 상기 자주식 작업기계(200)의 주행에 동기하여 상기 케이스(50)에 수용된 여유분의 케이블(C)을 적절한 길이로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반대로, 상기 자주식 작업기계(200)가 상기 밸런스캐리어(40) 쪽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자주식 작업기계(200)가 상기 케이블(C)을 느슨하게 하고, 이때, 쇽업소버(56)는 탄성적으로 신장하여, 상기 기단도르레(52)쌍을 함께 상기 케이스(50)의 기단측으로 이동하게 하여서, 상기 느슨하게 되는 케이블(C)을 상기 케이스(50) 내에 수용되게 한다.
본 고안은 큰 작업영역에서 작업하여야 하는 자주식 작업기계에 전기적 전원을 공급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순간적으로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가 이동하게 되어도, 케이블에 큰 충격을 주지 않아 케이블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5)

  1. 일단이 상용전원에 접속되고 타단이 자주식 작업기계에 접속된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자주식 작업기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건물 내에 일정 간격 떨어져 2열로 설치된 복수개의 지주(10), 상기 복수개의 지주(10)의 각각의 열에 고정적으로 지지된 2개의 세로방향 천정레일(15), 상기 세로방향 천정레일(15)에 양단이 전진 및 후진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2개의 레일캐리어(80)를 개재하여 지지된 가로방향 천정레일(20), 상기 가로방향 천정레일(20)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케이블(C)과 함께 전진 및 후진하는 복수의 전원 케이블캐리어(30), 상기 천정레일(20)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는 밸런스캐리어(4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세로방향 천정레일(15)중 하나의 천정레일(15)에는 건물 내의 배선반에 접속된 비피복된 전선(16)이 상기 하나의 세로방향 천정레일(15)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선되어 있고, 상기 하나의 레일캐리어(80)에는 상기 전선(16)과 미끄럼접촉하는 공지의 카본브러시(81) 및 이 카본브러시(81)에 접속된 부배전반(82)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레일캐리어(80) 각각은 상기 부배전반(8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전동모터(M1), 및 이 전동모터(M1)에 구동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전동모터(M1)의 구동에 의해 시계방향/반시계방향으로 상기 세로방향 천정레일(15)의 하단 플랜지(15a) 상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구동측 한 쌍의 롤러(83)가 탑재되어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2개의 레일캐리어(80) 각각에 구비된 전동모터(M1)들은 서로 동기적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밸런스캐리어(40)는 상기 천정레일(20)의 하단 플랜지(20a)상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복수개의 롤러(41)가 탑재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42)을 구비하고 있고,
    상기 베이스프레임(42)에는 힌지축(43)을 개재하여 상기 천정레일(20)과 평행하게 배치된 케이스(50)가 탑재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50)는 선단에 배치되어 회전은 가능하지만 위치이동은 불가능한 고정형 선단도르레(51)쌍, 상기 선단도르레(51)쌍 보다 기단측에 배치되어 자전과 수평으로 위치이동가능한 이동형 기단도르레(52)쌍, 그리고 상기 선단도르레(51)와 상기 기단도르레(52)쌍을 연결하여, 상기 기단도르레(52)쌍이 탄성적으로 전후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하는 링크(53)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링크(53)에는 상기 기단도르레(52)쌍을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쇽업서버(56)가 개재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50)에는 케이블 입구/출구(50a)측 상하단에 상/하가이드도르레(54, 55)쌍이 자전은 가능하지만, 위치이동은 불가능하게 구비되어 있고,
    상기 선단도르레(51)쌍 및 상/하가이드로르레(54, 55)쌍은 서로 협력하여 전원케이블(C) 및 와이어(W)를 이탈되지 않게 유지하고 있고,
    상기 베이스 프레임(42)의 하단 양측에는 접촉센서(S1, S2)들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센서들중 하나의 센서(S1)는 제어부를 통하여 모터(M1)를 구동시켜 가로방향 천정레일(20)을 좌로 이동시키게 하고, 다른 하나의 센서(S2)는 제어부를 통하여 모터(M1)를 구동시켜 가로방향 천정레일(20)을 우로 이동시키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캐리어(30)는 상기 천정레일(20)의 하단 플랜지(20a) 상을 구름운동하는 복수개의 롤러(31), 및 전원 케이블(C)을 매달아 지지하는 링(32)을 가지고서, 상기 롤러(31)가 천정레일(20)의 하단 플랜지(20a)상을 구름운동해 이동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일단이 상기 부배전반(82)에 접속된 상기 전원 케이블(C)은 도중에 복수의 상기 케이블 캐리어(30)에 현수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50)의 상기 상가이드도르레(54)쌍중 가운데 배치된 상가이드도르레(54), 상기 고정형 선단도르레(51)쌍중 가운데 배치된 선단도르레(51), 상기 기단도르레(52)쌍중 가운데 배치된 기단도르레(52), 상기 고정형 선단도르레(51)쌍중 가운데 배치된 선단도르레(51), 및 상기 하가이드도르레(55)쌍중 가운데 배치된 하가이드도르레(55)에 순차적으로 감겨져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200)의 카본블러쉬(210)에 타단이 접속되어 있고,
    케이스(50)의 상단 선단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고정된 한쌍의 와이어(W)는 상기 상가이드도르레(54)쌍중 양측에 배치된 상가이드도르레(54), 상기 고정형 선단도르레(51)쌍중 양측에 배치된 선단도르레(51), 상기 기단도르레(52)쌍중 양측에 배치된 기단도르레(52), 상기 고정형 선단도르레(51)쌍중 양측에 배치된 선단도르레(51), 및 상기 하가이드도르레(55)쌍중 양측에 배치된 하가이드도르레(55)에 순차적으로 감겨져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200)의 카본블러쉬(210) 부근에 타단이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KR2020060020956U 2006-08-04 2006-08-04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KR20043206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956U KR200432062Y1 (ko) 2006-08-04 2006-08-04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956U KR200432062Y1 (ko) 2006-08-04 2006-08-04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2062Y1 true KR200432062Y1 (ko) 2006-11-30

Family

ID=41780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956U KR200432062Y1 (ko) 2006-08-04 2006-08-04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206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381B1 (ko) * 2008-06-13 2010-06-22 이한준 굴삭기용 전원 공급장치
KR101025319B1 (ko) * 2008-12-22 2011-03-29 주식회사 경원이엔지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기식 건설기계의 전원 케이블 보호 장치 및 방법
KR101277541B1 (ko) 2011-04-27 2013-06-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제품용 이송장치
KR20180106230A (ko) * 2017-03-17 2018-10-01 김기섭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381B1 (ko) * 2008-06-13 2010-06-22 이한준 굴삭기용 전원 공급장치
KR101025319B1 (ko) * 2008-12-22 2011-03-29 주식회사 경원이엔지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기식 건설기계의 전원 케이블 보호 장치 및 방법
KR101277541B1 (ko) 2011-04-27 2013-06-21 현대제철 주식회사 압연제품용 이송장치
KR20180106230A (ko) * 2017-03-17 2018-10-01 김기섭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
KR102002779B1 (ko) * 2017-03-17 2019-07-23 김기섭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32062Y1 (ko)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CN106164563B (zh) 用于将集电器接触部竖直地引入到路径的汇流排中的用于路径的定位区域
KR200429497Y1 (ko)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KR200429751Y1 (ko)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KR101490337B1 (ko) 위치 이동 가능한 구동 롤러를 구비한 와이어 이동형 로봇
JP4474444B2 (ja) 送出し台車
CA2113007C (en) Watering system for connection to a water supply and an electrical supply for use in watering plants and the like
CN213801568U (zh) 水平安装皮带连接带支撑结构的椭圆底板循环线
CN101016119A (zh) 用于产品供给线的转换器和配备有该转换器的机器
CN212614751U (zh) 一种移动臂架及一种隧道施工台车
KR101713008B1 (ko) 배터리 충전이 가능한 퍼스널 모노레일 운용 장치
CN108963854A (zh) 一种高压线巡检机器人
CN215681544U (zh) 一种输电线路检修机器人
JP2019198318A (ja) 農作業システム
EP2257746B1 (en) Hose feed machine
JP4474445B2 (ja) 送出し工法
JP6173149B2 (ja) ワイヤソー及びワイヤによるワークの切断方法
CN215145963U (zh) 机器人焊接站及机器人多工位焊接站
KR101194762B1 (ko) 회전모듈, 이동플랫폼 및 이를 포함하는 자율이동장치
JP4057362B2 (ja) 軌道作業装置
JP2023034231A (ja) 床版切断分離システム、及びコンクリート床版と主桁の切断分離方法
CN108622591B (zh) 传料装置
CN103002609B (zh) 柔性发热器具自动布线机及布线方法
JP2001090499A (ja) トンネル掘削用のテール装置
KR200443433Y1 (ko) 겐트리 크레인의 전력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