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3433Y1 - 겐트리 크레인의 전력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겐트리 크레인의 전력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3433Y1
KR200443433Y1 KR2020070016488U KR20070016488U KR200443433Y1 KR 200443433 Y1 KR200443433 Y1 KR 200443433Y1 KR 2020070016488 U KR2020070016488 U KR 2020070016488U KR 20070016488 U KR20070016488 U KR 20070016488U KR 200443433 Y1 KR200443433 Y1 KR 20044343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gantry crane
mover
horizontal mover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64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진수
김용택
권성범
Original Assignee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700164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343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34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343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66C13/14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to load-engaging elements or motors associated therewi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9/00Cranes comprising trolleys or crabs running on fixed or movable bridges or gant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겐트리 크레인이 작업장 간에 이동되더라도 전원케이블의 차단 및 재연결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작업장 간의 이동 시에도 외부전력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겐트리 크레인의 전력공급장치가 개시된다. 이 장치는 겐트리 크레인의 각 작업장의 선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겐트리 크레인과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이 연장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동으로 수평이동되는 수평이동기와; 상기 수평이동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이동기를 통과하는 전원케이블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케이블가이드부와; 상기 수평이동기에 설치되어 겐트리 크레인의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수평이동기가 이동되도록 겐트리 크레인의 위치를 감지한 후에 상기 수평이동기를 제어하는 위치제어부를; 포함한다.
겐트리 크레인, 전력, 공급, 작업장, 케이블

Description

겐트리 크레인의 전력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using a gantry crane}
본 고안은 겐트리 크레인에 외부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겐트리 크레인의 전력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겐트리 크레인이 작업장 간에 이동되더라도 전원케이블의 차단 및 재연결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작업장 간의 이동 시에도 외부전력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겐트리 크레인의 전력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겐트리 크레인은 수직부재인 지주와 수평부재인 빔으로 이루어진 문형의 형상을 갖는 크레인으로서, 트롤리가 빔의 상부에 형성된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컨테이너를 이적재하는 대형의 크레인이다.
이와 같은 겐트리 크레인은 전력을 사용하여 구동되는 바퀴를 달린 타입으로 엔진 및 발전기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는다.
그러나, 최근 고유가로 인한 운영비의 부담을 덜기 위해서 겐트리 크레인에 설치되어 있는 엔진 및 발전기 대신에 케이블릴(cable reel)을 추가로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컨테이너 터미널이 차츰 늘어가고 있는 추세다.
이와 같은 케이블릴 타입의 겐트리 크레인은 작업장 내에서는 케이블릴을 통해 외부의 전원을 공급받아 사용하고 작업장 간의 이동 시에는 케이블릴의 전원을 차단한 다음 자체에 설치된 엔진 및 발전기의 전원을 사용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작업장 이동 시마다 작업자가 배치되어 수동으로 케이블 분리 및 재연결 작업을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작업장 내에서 작업 중이던 겐트리 크레인이 인근의 다른 작업장으로 이동하여 작업하고자 할 경우에는 케이블릴의 케이블 끝단에 설치되어 있는 커넥터를 분리하여 연결이 끊어지도록 한 다음에 자체에 설치되어 있는 엔진 및 발전기를 가동하여 그 전원을 사용하여 이동한 후 다시 케이블릴의 케이블을 재연결해야 하는 등 번거움과 불필요하게 시간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케이블릴의 케이블이 커넥터에서 분리 및 연결하는 작업을 위해서는 별도의 작업자가 항상 작업장에 상주해야 하며, 이 작업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시간으로 인해 작업 효율이 상당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겐트리 크레인의 작업장 간의 이동을 위해 겐크리 크레인 자체의 전원에 대한 차단 및 연결이 수시로 수행됨으로써, 겐트리 크레인 자체에 설치된 전기 전장품의 수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겐트리 크레인이 작업장 간에 이동되더라도 전원케이블의 차단 및 재연결이 방지되도록 하면서 작업장 간의 이동 시에도 외부전력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겐트리 크레인의 전력공급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삭제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겐트리 크레인의 전력공급장치는 겐트리 크레인의 각 작업장의 선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겐트리 크레인과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이 연장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동으로 수평이동되는 수평이동기와; 상기 수평이동기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이동기를 통과하는 전원케이블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케이블가이드부와; 상기 수평이동기에 설치되어 겐트리 크레인의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수평이동기가 이동되도록 겐트리 크레인의 위치를 감지한 후에 상기 수평이동기를 제어하는 위치제어부를; 포함하는 겐트리 크레인의 전력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는, 작업장의 선단부를 따라 수평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칼럼과, 상기 칼럼의 상단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선단 하면을 따라 장착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원케이블이 연장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와, 상기 수평이동기가 수평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칼럼의 중앙부위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한 쌍의 수평레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평이동기는, 일측단에 위치된 상기 가이드롤러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이동기의 상단에 부착되는 연결부재와, 상기 수평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수평이동기의 배면에 설치되는 수평휠과, 상기 수평이동기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휠을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케이블가이드부는, 상기 수평이동기의 전방으로 각이동되도록 상기 수평이동기의 하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각이동부재와, 상기 각이동부재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원케이블이 감기는 가이드드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위치제어부는, 겐트리 크레인의 위치에 따라 상기 수평이동기를 제어하도록 상기 수평이동기의 전면에 설치되어 겐트리 크레인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은 겐트리 크레인이 작업장 간에 이동되더라도 전원케이블의 차단 및 재연결이 방지되고, 작업장 간의 이동 시에도 외부전력이 안정적으로 공급되며, 저렴한 외부전력을 손쉽게 사용할 수 있고, 외부전력의 연결을 위해 별도로 작업자가 번거로운 작업을 수행해야 되는 것이 미연에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어상태를 보인 구성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겐트리 크레인의 전력공급장치는 전원케이블(C)을 지지하는 프레임부(10)와, 상기 프레임부(10)에 설치되는 수평이동기(20)와, 상기 수평이동기(20)에 설치되는 케이블가이드부(30)와, 상기 수평이동기(20)에 설치되는 위치제어부(4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부(10)는 겐트리 크레인의 각 작업장의 선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겐트리 크레인과 연결되는 전원케이블(C)이 연장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도록 하는 것으로, 전원케이블(C) 및 수평이동기(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프레임부(10)는 작업장의 선단부를 따라 수평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칼럼(11)과, 상기 칼럼(11)의 상단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수평프레임(12)과, 상기 수평프레임(12)의 선단 하면을 따라 장착되는 가이드레일(13)과, 상기 가이드레일(1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원케이블(C)이 연장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14)와, 상기 칼럼(11)의 중앙부위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한 쌍의 수평레일(15)을 포함한다.
상기 칼럼(11)은 수평프레임(12)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고, 상기 수평프레임(12)은 하면에 장착되는 가이드레일(13)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가이 드레일(13)은 다수의 가이드롤러(14)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곳이고, 상기 가이드롤러(14)는 전원케이블(C)을 연장 가능한 상태로 고정하여 수평이동기(20)의 이동에 따라 전원케이블(C)이 연장 혹은 단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레일(15)은 이에 배치되는 수평이동기(20)가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평이동기(20)는 프레임부(10)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위치제어부(40)에 의해 제어되면서 겐트리 크레인의 작업장 간의 이동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되는 것이다.
상기 수평이동기(20)는 일측단에 위치된 가이드롤러(14)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그 상단에 부착되는 연결부재(21)와, 배면에 설치되는 수평휠(22)과,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휠(22)을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연결부재(21)는 수평이동기(20)의 이동과 함께 일측단에 위치된 가이드롤러(14)가 수평으로 이동되면서 다른 가이드롤러(14)를 당기거나 밀어 전원케이블(C)이 연장 혹은 단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수평휠(22)은 모터구동부(23)에 의해 구동되면서 수평이동기(20)를 수평레일(15)을 따라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케이블가이드부(30)는 수평이동기(20)의 하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수평이동기(20)를 통과하는 전원케이블(C)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케이블가이드부(30)는 수평으로 배치된 전원케이블(C)을 수평이동기(20)의 전방으로 겐트리 크레인을 향해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케이블가이드부(30)는 수평이동기(20)의 전방으로 각이동되도록 상기 수평이동기(20)의 하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각이동부재(31)와, 상기 각이동부재(31)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원케이블(C)이 감기는 가이드드럼(32)을 포함한다.
상기 각이동부재(31)는 겐트리 크레인의 이동에 따라 전원케이블(C)이 당겨지면서 각이동되어 전원케이블(C)의 이동이 부드럽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고, 상기 가이드드럼(32)은 전원케이블(C)의 당겨짐에 따라 회전되면서 상기 각이동부재(31)와 마찬가지로 전원케이브르이 이동을 부드럽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위치제어부(40)는 수평이동기(20)에 설치되는 것으로, 겐트리 크레인의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수평이동기(20)가 이동되도록 겐트리 크레인의 위치를 감지한 후에 상기 수평이동기(20)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위치제어부(40)는 겐트리 크레인의 위치에 따라 수평이동기(20)를 제어하도록 상기 수평이동기(20)의 전면에 설치되어 겐트리 크레인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41)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센서(41)에 의해 입력되는 겐트리 크레인의 위치정보에 따라 위치제어부(40)는 수평이동기(20)의 모터구동부(23)를 제어하여 상기 수평이동기(20)를 겐트리 크레인과 동일한 곳에 위치되도록 수평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작업장(B)의 일단부를 따라 프레임부(10)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부(10)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수평이동기(20)를 설치한 상태에서 겐트리 크레인(G)의 작업장(B) 간의 이동에 따라 상기 수평이동기(20)를 이동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겐트리 크레인(G)의 작업장(B) 간의 이동에 따라 상기 겐트리 크레인(G)의 위치와 동일하게 수평이동기(2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겐트리 크레인(G)에 외부전원을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제어상태를 보인 구성도,
도 4는 본 고안의 설치상태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프레임부
11 : 칼럼 12 : 수평프레임
13 : 가이드레일 14 : 가이드롤러
15 : 수평레일
20 : 수평이동기
21 : 연결부재 22 : 수평휠
23 : 모터구동부
30 : 케이블가이드부
31 :각이동부재 32 : 가이드드럼
40 : 위치제어부
41 : 위치센서

Claims (5)

  1. 삭제
  2. 겐트리 크레인의 각 작업장의 선단부에 수평으로 설치되고, 겐트리 크레인과 연결되는 전원케이블이 연장 가능한 상태로 배치되는 프레임부(10)와; 상기 프레임부(10)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자동으로 수평이동되는 수평이동기(20)와; 상기 수평이동기(20)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이동기(20)를 통과하는 전원케이블의 수직이동을 안내하는 케이블가이드부(30)와; 상기 수평이동기(20)에 설치되어 겐트리 크레인의 수평이동에 따라 상기 수평이동기(20)가 이동되도록 겐트리 크레인의 위치를 감지한 후에 상기 수평이동기(20)를 제어하는 위치제어부(40)를; 포함하는 겐트리 크레인의 전력공급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10)는,
    작업장의 선단부를 따라 수평으로 설치되는 다수의 칼럼(11)과,
    상기 칼럼(11)의 상단을 따라 전방으로 돌출되게 장착되는 수평프레임(12)과,
    상기 수평프레임(12)의 선단 하면을 따라 장착되는 가이드레일(13)과,
    상기 가이드레일(13)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전원케이블이 연장 가능한 상태로 장착되는 다수의 가이드롤러(14)와,
    상기 수평이동기(20)가 수평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칼럼(11)의 중앙부위에 수평으로 장착되는 한 쌍의 수평레일(1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의 전력공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동기(20)는,
    일측단에 위치된 상기 가이드롤러(14)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수평이동기(20)의 상단에 부착되는 연결부재(21)와,
    상기 수평레일(15)을 따라 이동되도록 상기 수평이동기(20)의 배면에 설치되는 수평휠(22)과,
    상기 수평이동기(2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수평휠(22)을 구동시키는 모터구동부(2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의 전력공급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가이드부(30)는,
    상기 수평이동기(20)의 전방으로 각이동되도록 상기 수평이동기(20)의 하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는 각이동부재(31)와,
    상기 각이동부재(31)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전원케이블이 감기는 가이드드럼(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의 전력공급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제어부(40)는,
    겐트리 크레인의 위치에 따라 상기 수평이동기(20)를 제어하도록 상기 수평이동기(20)의 전면에 설치되어 겐트리 크레인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4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겐트리 크레인의 전력공급장치.
KR2020070016488U 2007-10-10 2007-10-10 겐트리 크레인의 전력공급장치 KR20044343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488U KR200443433Y1 (ko) 2007-10-10 2007-10-10 겐트리 크레인의 전력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6488U KR200443433Y1 (ko) 2007-10-10 2007-10-10 겐트리 크레인의 전력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3433Y1 true KR200443433Y1 (ko) 2009-02-13

Family

ID=41648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6488U KR200443433Y1 (ko) 2007-10-10 2007-10-10 겐트리 크레인의 전력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343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947B1 (ko) 2010-06-04 2010-12-21 (주)지에프테크롤로지 이동표적용 레일 및 이송장치
CN102229405A (zh) * 2011-07-15 2011-11-02 高静静 用于龙门起重机的自动取电机构和自动取电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2947B1 (ko) 2010-06-04 2010-12-21 (주)지에프테크롤로지 이동표적용 레일 및 이송장치
CN102229405A (zh) * 2011-07-15 2011-11-02 高静静 用于龙门起重机的自动取电机构和自动取电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1238B1 (ko) 배전선의 배전위치 조정대
CN109396784B (zh) 一种舱段自动对接装置
CN106584052B (zh) 一种地下综合管廊安装机器人
CN109565169B (zh) 具有电缆管理单元的顶置式充电系统
CN109367825B (zh) 一种舱段自动对接方法
KR200443433Y1 (ko) 겐트리 크레인의 전력공급장치
CN103227434A (zh) 电缆自动铺设装置
CA2919235C (en) Truck and installation method for wires
CN216272446U (zh) 一种便捷型线缆放线装置
CN110606411A (zh) 一种线缆收放装置
CN210451662U (zh) 一种自动定位车桥安装装置
EP2257746B1 (en) Hose feed machine
KR200432062Y1 (ko)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CN207790366U (zh) 利用挡风玻璃的接点式电动汽车充电连接装置
KR200429751Y1 (ko)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JP5976394B2 (ja) 昇降式足場装置
CN104444963A (zh) 一种电池拣选机
KR100991404B1 (ko) 전력선용 무인감시 장치
CN204265411U (zh) 一种电池拣选机
JP3335943B2 (ja) タイヤマウント式クレーンの給電ケーブルガイド移動装置
CN218968449U (zh) 一种电力线路铺设线缆的自动输出装置
CN220264748U (zh) 换辊小车的走线机构
CN216238729U (zh) 动臂油缸的辅助安装小车及具有其的挖掘机装配线
CN108161316A (zh) 一种电动的配电环网柜夹持加工工装
CN113824050B (zh) 一种转动式船用收放电缆辅助工装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6

Year of fee payment: 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