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02779B1 -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02779B1
KR102002779B1 KR1020170034044A KR20170034044A KR102002779B1 KR 102002779 B1 KR102002779 B1 KR 102002779B1 KR 1020170034044 A KR1020170034044 A KR 1020170034044A KR 20170034044 A KR20170034044 A KR 20170034044A KR 102002779 B1 KR102002779 B1 KR 102002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cable
roller
length
unit
sen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0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230A (ko
Inventor
김기섭
황의지
서희훈
Original Assignee
김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섭 filed Critical 김기섭
Priority to KR10201700340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2779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2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2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2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2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30Sensors
    • B60Y2400/301Sensors for position or displac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02T90/121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정 또는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하여 전기자동차 상부에 설치되어 충전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로서, 천정 또는 전기자동차 상부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케이스, 케이스 내부에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충전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 롤러부, 케이스의 하단에 충전케이블의 승강위치를 일정하게 하도록 설치되는 제2 롤러부, 충전케이블에 형성되어 높낮이 길이를 표시하는 복수의 길이표시부, 길이표시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 및 제1 감지센서에서 수신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충전케이블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1 롤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CHARGING CABLE LENGTH CONTROL DEVICE FOR ELETRIC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정이나 차량의 상부 방향에서 수직으로 케이블이 이동할 경우 케이블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뿐만 아니라 충전케이블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충전방식은 충전기 내부에 와이어링된 충전케이블을 사용자가 자동차의 충전플러그에 접속하는 방식이 대부분으로 충전케이블의 외피훼손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특히, 전기자동차 충전기의 고장율은 통상적으로 충전케이블 고장이 약 80%를 차지하고 있다. 충전케이블 고장의 원인은 충전케이블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바닥에 깔려있는 충전케이블 마모에 의한 외피훼손이나, 자동차 또는 사람 등의 외부 물리력으로 인하여 훼손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최근까지 충전케이블의 외피훼손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은 개발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케이블의 높이를 자동으로 조절할 수 있고, 케이블 손상을 자동으로 계측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정 또는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하여 전기자동차 상부에 설치되어 충전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로서, 상기 천정 또는 전기자동차 상부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부에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충전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는 제1 롤러부; 상기 케이스의 하단에 상기 충전케이블의 승강위치를 일정하게 하도록 설치되는 제2 롤러부; 상기 충전케이블에 형성되어 높낮이 길이를 표시하는 복수의 길이표시부; 상기 길이표시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 및 상기 제1 감지센서에서 수신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케이블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1 롤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롤러부는 상기 충전케이블을 거치하며, 상기 충전케이블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1 회전롤러;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에 수평이동되게 거치되어 상기 제1 회전롤러가 삽입되어 회전도록 형성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롤러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송바; 및 상기 제어부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평이송바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는 상기 제1 롤러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 회전롤러의 회전수를 카운팅하는 제2 감지센서; 및 상기 제2 롤러부에 구비된 제2 회전롤러의 회전수를 카운팅하는 제3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및 제3 감지센서에서 카운팅된 회전수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충전케이블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상 발생시 상기 구동부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길이표시부는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태그, 바코드, 인식라인 및 인식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는 상기 충전케이블에 형성되어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케이블의 길이를 자동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는 충전케이블을 와이어링하지 않고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충전케이블의 외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전케이블이 이동하는 동안 꼬임 또는 마찰 등이 발생되는 요인을 미리 감지하여 충전케이블 외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는 제1 롤러부 또는 제2 롤러부의 회전수를 누적하여 누적회전수가 설정된 값을 초과할 경우 충전케이블의 교체시기를 알릴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상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의 내부를 도시한 상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는 케이스(110), 제1 롤러부(200), 제2 롤러부(300), 길이표시부(270), 제1 감지센서(190), 제2 감지센서(250) 및 제3 감지센서(33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케이스(110)는 주차장 또는 충전스테이션의 구조물 천정에 부착되도록 형성된다. 케이스(110)는 설치의 용이성 및 그 내부에 형성되는 구성부들의 설치 및 보수의 용이성을 위하여 상자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천정측에서 인입되는 충전케이블(160)이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케이블인입구(120)가 형성된다. 이때, 케이블인입구(120)는 충전케이블(160)이 이동하는 동안 케이스(110)와의 마찰에 의한 케이블파손 또는 마찰을 방지하도록 밴딩부(14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밴딩부(140)는 케이스(110) 내에 'ㄴ'자 형태의 관이 구비된다. 충전케이블(160)은 밴딩부(140) 내에 삽입되어 충전케이블(160)이 'ㄴ'자 형태로 밴딩되도록 할 수 있다. 밴딩부(140)는 충전케이블(160)을 고정하는 홀더(15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10)는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충전케이블(160)이 외부로 인출되도록 케이블유출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유출구(130)는 제2 롤러부(300)와 인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롤러부(200)는 케이스(110) 내부에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된다. 제1 롤러부(200)는 케이스(110) 내부를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외부로 유출된 충전케이블(16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롤러부(200)는 충전케이블(160)이 거치되며, 충전케이블(160)의 이동시 회전하는 제1 회전롤러(210)를 포함한다. 이때, 제1 회전롤러(210)는 제1 회전축(220)에 삽입되어 충전케이블(160)의 이동시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제1 회전축(220)은 케이스(110)의 내측벽에 수평이동되게 거치될 수 있다. 케이스(110)는 상기에서 설명되지 않았으나, 제1 회전축(220)이 거치되도록 거치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으며, 거치홈은 제1 회전축(220)이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케이스(11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롤러부(200)는 제1 회전축(220)에 연결되어 제1 회전롤러(210)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송바(23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롤러부(200)는 수평이송바(230)를 신축시키는 구동부(240)를 구비할 수 있다.
수평이송바(230)는 구동부(240)에 의해 케이스(110)의 길이방향으로 신축된다. 이를 위하여, 수평이송바(230)는 일정길이가 일정구간을 왕복하거나, 접철식으로 일정구간을 왕복할 수 있다. 수평이송바(230)는 제1 회전축(220)과 결합되어 제1 회전축(220)을 이동시켜 제1 회전롤러(210)가 이동되도록 한다.
구동부(240)는 케이스(110)의 일측단에 형성되어 수평이송바(230)를 신축시킬 수 있다. 구동부(240)는 통상의 모터 등을 포함하며, 유압 등의 수단으로 수평이송바(230)를 신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이송바(230)와 구동부(240)는 케이스(110) 내에 형성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케이스(110)의 바깥쪽에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롤러부(300)는 케이스(110)의 아래쪽 또는 하단에 위치하여 충전케이블(160)의 승강위치를 일정하게 하도록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제2 롤러부(300)는 제2 회전축(320) 및 제2 회전롤러(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회전축(320)은 케이스(110)의 내측벽에 고정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롤러(310)는 제2 회전축(320)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이때, 제2 회전롤러(310)는 제1 회전롤러(210)에 비해 하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회전롤러(310)는 케이블유출구(130)측에 형성된다. 제2 회전롤러(310)가 케이블유출구(130)측에 형성됨에 따라 충전케이블(160)이 일정한 위치에서 승강하도록 할 수 있다.
길이표시부(270)는 충전케이블(160)에 형성되어 충전케이블의 높낮이 길이를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길이표시부(270)는 충전케이블(160)의 외부로 노출된 길이를 측정하도록 할 수 있다. 길이표시부(270)는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태그, 바코드, 인식라인 및 인식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길이표시부(27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되는 인식라인일 수 있다. 인식라인은 제1 감지센서(190)에서 감지 가능한 색상 또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표시부(270)는 인식라인 이외에 태그 또는 바코드 등이 일정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감지센서(190)는 태그 또는 바코드 등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수단일 수 있다.
한편, 길이표시부(270)가 상기와 같이 태그 또는 바코드가 사용될 경우 위치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제1 감지센서(19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인식라인, 태그, 바코드 등을 인식할 수 있는 센서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감지센서(190)는 광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스캐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1 감지센서(190)는 충전케이블(160)이 승강하는 동안 길이표시부(270)의 개수를 카운팅하거나, 길이표시부(270)에 저장된 정보를 제어부(4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감지센서(190)는 분실 또는 외부의 물리적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되도록 케이스(11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제1 감지센서(190)는 케이블유출구(130) 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400)는 케이스(110)의 내측에 설치되거나, 전기자동차 충전기 본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1 감지센서(190)에서 수신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충전케이블(160)의 위치를 감지하여 제1 롤러부(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400)는 제1 감지센서(190)에서 수신된 카운팅 신호를 이용하여 설정된 값이 입력되면 구동부(240)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구동부(24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설정된 값이 10일 경우 제1 감지센서(190)에서 입력되는 카운팅 신호를 가산하여 10이 될 때까지 구동부(240)가 가동되도록 하고, 이후 10이 되면 구동부(240)를 정지시키도록 한다. 제어부(400)는 충전케이블(160)의 상승 또는 하강시 동일하게 작용한다.
또한, 제어부(400)는 제1 감지센서(190)에서 수신되는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구동부(240)를 정지시키도록 할 수 있다. 즉, 제어부(400)는 정지되어야 할 위치정보가 수신되면 구동부(240)를 정지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충전시작을 위하여 전기자동차 충전기에서 충전시작동작이 감지되면 구동부(240)에 동작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충전이 완료되면, 완료신호를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전송하여 과충전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충전케이블(160)을 자동차에서 분리하면 설정된 시간 이후, 충전케이블(160)이 상승하도록 구동부(240)에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는 제2 감지센서(250) 및 제2 감지센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감지센서(250)는 제1 롤러부(200)에 구비되어 제1 회전롤러(210)의 회전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제3 감지센서(330)는 제2 롤러부(300)에 구비되어 제2 회전롤러(310)의 회전수를 카운팅할 수 있다.
상기 제2 및 제3 감지센서(250, 330)는 통상의 회전수를 측정하는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제2 및 제3 감지센서(250, 330)는 카운팅된 회전수를 제어부(400)에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제2 및 제3 감지센서(250, 330)에서 입력되는 회전수의 비율(회전비)를 비교하여 회전비가 미리 설정된 비율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충전케이블(160)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구동부(240)의 동작을 정지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회전롤러(210)와 제2 회전롤러(310)의 회전비가 미리 설정된 비율(예를 들면 제1 회전롤러 회전수:제2 회전롤러 회전수 = 1:1)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케이스(110) 내부에 위치하는 충전케이블(160)이 꼬이거나, 회전롤러들이 회전하지 않아 충전케이블(160)과 회전롤러들간에 마찰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충전케이블(160)의 외피가 파손되어 누전 등의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400)는 제1 및 제2 회전롤러(210, 310)의 회전비를 비교하여 충전케이블(160)이 이동하는 동안 케이스(110)의 내측에서 발생되는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400)는 제1 회전롤러(210) 또는 제2 회전롤러(310)의 회전수를 누적하여 누적회전수가 설정된 값을 초과할 경우 충전케이블의 교체시기를 알릴 수 있다. 즉, 충전케이블(160)의 통상적인 사용연한이 지나거나, 충전케이블(160)의 이동에 따른 마모발생으로 충전케이블(160)의 교체가 필요하다. 특히, 충전케이블(160)의 이동에 따른 마모발생시 바로 충전케이블(160)의 교체가 필요하므로, 제어부(400)는 제1 또는 제2 회전롤러(310)의 누적회전수가 미리 설정된 값을 초과할 경우 이를 전기자동차 충전기에 표시하도록 제어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충전케이블(160)의 하단에 위치하는 표시등(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등(500)은 LED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표시등(500)은 제어부(400)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 또는 전기자동차 충전기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점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등(500)은 충전중인 경우 파란색으로 점등하여 표시하여 충전중임을 사용자 등에 알릴 수 있다. 또한, 표시등(500)은 충전되지 않을 경우 빨간색으로 점등하여 위치를 알리거나, 미충전 또는 충전완료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등(500)은 일정시간 주기적으로 반복되어 위험 또는 고장을 알릴 수 있다. 이때, 표시등(500)은 위험 또는 고장을 알리는 경우 빨간색으로 점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시등(500)의 표시 색상은 제어부(400) 또는 전기자동차 충전기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하여 충전케이블이 하강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전기자동차 충전후 충전케이블이 상승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에서 전기자동차의 충전포트까지 약 3m 이므로 충전케이블의 길이는 약 3m이상일 수 있다. 이때, 케이스(110)의 높이는 1m이고 충전케이블(160)의 최대 하강 거리는 2m인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자동차(10)를 충전하기 위하여 전기자동차 충전기에서 충전을 위한 제어신호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제어부(400)에 전송되면 제어부(400)는 구동부(240)를 동작시켜 수평이송바(230)를 구동시킨다. 이때, 수평이송바(230)의 동작에 따라, 제1 회전롤러(210)는 제2 회전롤러(31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충전케이블(160)을 하강시킨다. 제어부(400)는 제1 감지센서(190)에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설정된 값이 되면 상기 구동부(240)를 정지하도록 하여 충전케이블(160)이 전기자동차(10)의 충전 위치에 하강하도록 한다.
전기자동차(10)의 충전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에서 구동부(240)를 동작시켜 충전케이블(160)을 상승시키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400)는 제1 감지센서(190)에서 입력되는 감지신호에 따라 설정된 값이 되면 상기 구동부(240)를 정지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수평구동부(240)는 약 1m정도 수평으로 왕복이동한다. 이에 따라, 충전케이블(160)은 수직으로 약 2m 왕복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천정공간의 수직길이의 1/2만큼 수평공간만을 확보하여 충전케이블(160)을 동작시킬 수 있다.
상기의 예는 약 3m의 높이일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 것으로 실시 예에 의해 충전케이블의 수평이동거리 및 수직이동거리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는 전기자동차의 충전케이블의 길이를 자동으로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는 충전케이블을 와이어링하지 않고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충전케이블의 외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충전케이블이 이동하는 동안 꼬임 또는 마찰 등이 발생되는 요인을 미리 감지하여 충전케이블 외피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는 제1 롤러부 또는 제2 롤러부의 회전수를 누적하여 누적회전수가 설정된 값을 초과할 경우 충전케이블의 교체시기를 알릴 수 있다.
10: 자동차
100: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
110: 케이스
120: 케이블인입구
130: 케이블유출구
140: 밴딩부
150: 홀더
160: 충전케이블
190: 제1 감지센서
200: 제1 롤러부
210: 제1 회전롤러
220: 제1 회전축
230: 수평이송바
240: 구동부
250: 제2 감지센서
270: 길이표시부
300: 제2 롤러부
310: 제2 회전롤러
320: 제2 회전축
330: 제3 감지센서
400: 제어부
500: 표시등

Claims (5)

  1. 천정 또는 전기자동차 충전을 위하여 전기자동차 상부에 설치되어 충전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로서,
    상기 천정 또는 전기자동차 상부의 구조물에 설치되는 케이스;
    일단이 고정된 충전케이블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상기 케이스 내부를 수평으로 이동하도록 설치되며, 제1 회전롤러를 구비하는 제1 롤러부;
    상기 제1 롤러부의 하단에 상기 충전케이블의 승강위치를 일정하게 하도록 위치가 고정되어 설치되며 제2 회전롤러를 구비하는 제2 롤러부;
    상기 충전케이블에 형성되어 높낮이 길이를 표시하는 복수의 길이표시부;
    상기 길이표시부의 위치를 감지하는 제1 감지센서; 및
    상기 제1 감지센서에서 수신된 감지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충전케이블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제1 롤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회전롤러의 회전수를 카운팅하는 제2 감지센서; 및
    상기 제2 회전롤러의 회전수를 카운팅하는 제3 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및 제3 감지센서에서 카운팅된 회전수 비율이 미리 설정된 값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충전케이블에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하고, 이상 발생시 상기 제1 롤러부의 이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롤러부는
    상기 충전케이블을 거치하며, 상기 충전케이블의 이동에 따라 회전하는 제1 회전롤러;
    상기 케이스의 내측벽에 수평이동되게 거치되어 상기 제1 회전롤러가 삽입되어 회전도록 형성되는 제1 회전축;
    상기 제1 회전축에 연결되어 상기 제1 회전롤러를 수평이동시키는 수평이송바; 및
    상기 제어부의 동작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수평이송바에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표시부는 설정된 간격으로 형성되는 태그, 바코드, 인식라인 및 인식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케이블에 형성되어 충전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을 더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

KR1020170034044A 2017-03-17 2017-03-17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 KR102002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044A KR102002779B1 (ko) 2017-03-17 2017-03-17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044A KR102002779B1 (ko) 2017-03-17 2017-03-17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007A Division KR20180136423A (ko) 2018-12-14 2018-12-14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230A KR20180106230A (ko) 2018-10-01
KR102002779B1 true KR102002779B1 (ko) 2019-07-23

Family

ID=638779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044A KR102002779B1 (ko) 2017-03-17 2017-03-17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27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226B1 (ko) 2019-03-15 2021-01-25 대영채비(주) 충전케이블 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자동차 충전장치
KR102099759B1 (ko) * 2019-10-01 2020-04-10 대영채비(주) 전기자동차용 전자동 초급속충전장치
KR102335829B1 (ko) * 2020-03-11 2021-12-06 (주)클린일렉스 충전 케이블 자동인출 제어센서를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
WO2021066386A1 (ko) * 2019-10-04 2021-04-08 주식회사 클린일렉스 충전 케이블 자동인출 제어센서를 갖는 전기자동차 급속 충전기
KR102358252B1 (ko) 2020-02-28 2022-02-07 (주)멥카 전기 자동차 충전기의 충전케이블 제어장치
KR102337851B1 (ko) * 2020-03-26 2021-12-09 대영채비(주) 충전범위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
KR102366474B1 (ko) * 2020-04-07 2022-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CN112721717A (zh) * 2021-01-27 2021-04-30 郑州网知汇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远程智能充电控制系统
CN114194051B (zh) * 2021-11-29 2024-04-16 帷幄汽车咨询(南京)有限公司 一种新能源电动汽车动力电池充电用智能充电桩
KR20230113334A (ko) * 2022-01-13 2023-07-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블을 포함하는 충전 장치 및 충전 방법
CN114475299A (zh) * 2022-02-07 2022-05-13 高堆 汽车自动充电系统
KR102625602B1 (ko) * 2023-05-11 2024-01-16 은성화학(주) 인출길이를 증대시킨 천정형 전기차 충전케이블 인출장치
CN116409179B (zh) * 2023-05-19 2023-09-12 杭州孔盛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的新能源充电桩
CN117507887A (zh) * 2023-11-22 2024-02-06 江苏班德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电池包的充换电装置
KR102665016B1 (ko) * 2023-12-29 2024-05-13 주식회사 이브이루씨 전기차량 충전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062Y1 (ko) * 2006-08-04 2006-11-30 대영산전 주식회사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JP2012050288A (ja) * 2010-08-30 2012-03-0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両用給電装置
KR101605473B1 (ko) * 2015-03-17 2016-03-22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61224A (ja) * 1991-05-30 1993-06-25 Mitsubishi Electric Corp ケーブル布設管理方式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2062Y1 (ko) * 2006-08-04 2006-11-30 대영산전 주식회사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JP2012050288A (ja) * 2010-08-30 2012-03-0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車両用給電装置
KR101605473B1 (ko) * 2015-03-17 2016-03-22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230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2779B1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
CN112739641B (zh) 移动式提升柱、包括一个或更多个这种提升柱的提升系统及提升交通工具的方法
CN105377742A (zh) 包括一个或多个升降设备和释放系统的用于升降交通工具的升降系统,以及用于该系统的方法
EP2867150B1 (en) Position and load measurement system for an elevator
EP2867866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ed cellular parking with occupancy control
KR20180136423A (ko)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
KR101479697B1 (ko) Cctv 카메라 유지보수용 오토리프트 장치
JP5719978B1 (ja) ケーブルシステム
KR100997530B1 (ko) 주차설비용 차량이송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이송방법
KR101498645B1 (ko) 가로등 보수를 위한 등주와 결합구조를 갖는 등기구 승하강 리프트 장치
CN209455771U (zh) 无纺布收卷机及无纺布生产线
WO2017221207A1 (en) Overhead charging system with cable management unit
CN105000435B (zh) 电力设备自动收放线系统
CN106315096A (zh) 一种仓储系统的智能控制装置
CN112520299A (zh) 钢管仓库出入库管理引导系统及地面轨道式的巡查机器人
KR100938218B1 (ko) 무대에서의 바튼 승강 안전장치
CN104961006B (zh) 电力设备自动收放线控制方法
KR102421278B1 (ko) 배터리 구동형 교통수단의 지붕 충전 감시 장치
KR101339936B1 (ko) 무대장치
EP3552861A1 (en) Method for positioning an electric vehicle on a charging spot and related charging spot
KR100991404B1 (ko) 전력선용 무인감시 장치
KR20150087043A (ko) 케이블 꼬임 검출장치 및 그 방법
KR102485068B1 (ko) 무선 충전 장치 및 방법
CN220268915U (zh) 基于园区移动物体精准定位平台
JP4511379B2 (ja) 昇降装置の停止位置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