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5473B1 -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473B1
KR101605473B1 KR1020150036499A KR20150036499A KR101605473B1 KR 101605473 B1 KR101605473 B1 KR 101605473B1 KR 1020150036499 A KR1020150036499 A KR 1020150036499A KR 20150036499 A KR20150036499 A KR 20150036499A KR 101605473 B1 KR101605473 B1 KR 101605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ength
rotating body
rotation
measur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6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수홍
최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Priority to KR1020150036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473B1/ko
Priority to EP16765260.1A priority patent/EP3130883A4/en
Priority to PCT/KR2016/002644 priority patent/WO2016148504A1/ko
Priority to CN201680001390.1A priority patent/CN106461365A/zh
Priority to JP2017512625A priority patent/JP6294567B2/ja
Priority to AU2016234081A priority patent/AU2016234081A1/en
Priority to CA2949205A priority patent/CA2949205A1/en
Priority to SG11201609542PA priority patent/SG11201609542PA/en
Priority to US15/311,516 priority patent/US10393490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4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84Tape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functions other than measuring length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61Means for displaying or assisting reading of length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71Separate means for supporting or affixing measuring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2Measuring whee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5/025Measuring of circumference; Measuring length of ring-shaped art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2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D5/3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attenuation or whole or partial obturation of beams of light
    • G01D5/3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attenuation or whole or partial obturation of beams of light the beams of light being detected by photo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26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D5/3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attenuation or whole or partial obturation of beams of light
    • G01D5/3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attenuation or whole or partial obturation of beams of light the beams of light being detected by photocells
    • G01D5/347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characterised by optical transfer means, i.e. usin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with attenuation or whole or partial obturation of beams of light the beams of light being detected by photocells using displacement encoding scales
    • G01D5/34707Scales; Discs, e.g. fixation, fabrication, compens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pe Meas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띠가 내부에서 감겨지도록 구비되고, 띠의 인입 또는 인출에 따라 회전되거나 둘레면의 일부가 측정 대상에 접촉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 회전부가 회전되는 정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그리고 감지부에서 감지된 회전 정도를 측정 길이로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회전부가 회전되는 정도를 감지하여 측정 대상의 직선 길이 및 곡선 길이를 모두 측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Apparatus for Measuring Length and System for Measuring Length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측정 대상물의 크기, 길이나 너비 등을 측정하는 길이 측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측정 대상물의 직선 길이 및 곡선 길이를 모두 측정할 수 있는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줄자는 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길이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서 일정한 공간의 폭이나 넓이를 측정하거나 측정 대상물의 크기, 길이나 너비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줄자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지만, 통상적인 줄자는 코일 형태로 감겨지고 표면에 눈금이 표시된 자와, 자를 보관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형성되고, 내부 공간에 보관되는 자의 인입과 인출을 안내하는 출입구가 구성된 케이스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눈금이 표시된 자를 길게 잡아 당겨 자의 끝 부분과 몸체 부근의 표기된 부분에 대해 측정 대상물의 끝에 이르는 눈금을 읽음으로써 측정 대상물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줄자는 자가 자유롭게 구부러지는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측정 대상물의 직선 길이는 측정할 수 있으나, 원통의 원주나 곡선 길이는 측정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자가 자유롭게 구부러지는 형태의 줄자는 직선 길이와 곡선 길이를 모두 측정할 수는 있었으나, 측정하고자 하는 길이가 길어지면 자가 휘어지기 때문에 정확한 길이를 측정할 수 없었다.
게다가, 종래의 줄자는 수동적으로 길이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눈금을 읽는 사람에 따라 오차가 발생하고, 일일이 길이를 측정한 뒤 수기 또는 별도의 타이핑 과정을 통하여 측정된 수치를 기입해야 하기 때문에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111136호 (등록일 1997. 10. 09.)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회전부가 회전되는 정도를 감지하여 측정 대상의 직선 길이 및 곡선 길이를 모두 측정할 수 있도록 하고, 측정 길이가 표시부에 표시되거나 사용자 단말에 전송되도록 하여 다양한 조건이나 상황에서도 측정 길이를 보다 용이하게 획득할 수 있는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명시적으로 언급된 목적 이외에도,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는 다른 목적도 포함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는 띠가 내부에서 감겨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띠의 인입 또는 인출에 따라 회전되거나 둘레면의 일부가 측정 대상에 접촉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는 정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그리고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회전 정도를 측정 길이로 변환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는 내측면 또는 내주면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패턴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패턴은 광을 반사하는 제1 패턴과 광을 비반사하는 제2 패턴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패턴의 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회전부의 내측면 또는 내주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 그리고 상기 패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는 광 검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내측면 또는 내주면에 N극 및 S극을 가지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N극 및 S극의 변화에 따른 상기 자석의 회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는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 회전 몸체 및 제2 회전 몸체, 그리고 상기 제1 회전 몸체 및 제2 회전 몸체와 결합되는 회전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 몸체는 상기 제2 회전 몸체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고, 상기 띠는 상기 회전축에 감겨지고, 상기 이격된 간격을 통해 상기 제1 회전 몸체 및 상기 제2 회전 몸체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띠는 단부에 후크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ㄱ”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후크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상기 제1 회전 몸체 및 제2 회전 몸체에 일부가 삽입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된 측정 길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된 측정 길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 받는 음성 입력부, 그리고 상기 입력 받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 및 상기 변환된 측정 길이를 맵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소정의 물체를 향해 광을 조사하고, 상기 소정의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여 상기 소정의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은 띠가 내부에서 감겨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띠의 인입 또는 인출에 따라 회전되거나 둘레면의 일부가 측정 대상에 접촉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는 정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회전 정도를 측정 길이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변환된 측정 길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길이 측정 장치, 그리고 상기 전송된 측정 길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한다.
상기 길이 측정 장치는 사용자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신호에 따라 미리 설치된 수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측정 길이가 상기 수치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길이 측정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 받는 음성 입력부, 그리고 상기 입력 받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 및 상기 변환된 측정 길이를 맵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 측정 장치는 상기 측정 대상의 측정 각도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길이 측정 장치는 소정의 물체를 향해 광을 조사하고, 상기 소정의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여 상기 소정의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에 따르면, 줄자의 용도를 다양화하여 긴 직선 길이의 측정은 물론이고 평면의 곡선과 입체면의 거리까지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줄자에 표시된 눈금으로 길이를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측정 길이가 표시부에 자동으로 표시되기 때문에 측정 조건이 다르더라도 정확하게 길이가 측정되어 안정된 측정 결과를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통신부가 내장되어 사용자가 버튼을 클릭하는 것만으로도 사용자 단말로 측정 길이를 바로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수기 또는 별도의 타이핑 과정을 통하여 측정된 길이를 기입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측정 길이의 전송 시 사용자 단말에 설치된 수치 어플리케이션이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른 효과도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에 구비된 복수의 패턴을 보여주는 예시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에 구비된 자석을 보여주는 예시도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대상의 직선 길이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대상의 곡선 길이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후크가 제1 및 제2 회전 몸체에 삽입 고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의 주요 구성요소의 분해 사시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길이 측정 장치(100)는 회전부(110), 감지부(130), 제어부(140), 표시부(150), 입력부(160), 통신부(170), 음성 입력부(175), 저장부(180) 및 스피커부(18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부(110)는 띠(111)가 내부에서 감겨지도록 구비되고, 띠(111)의 인입 또는 인출에 따라 회전되거나 둘레면의 일부가 측정 대상(50)에 접촉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회전부(110)는 케이스(120)에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와,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와 결합되는 회전축(11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는 원판 형상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t1)으로 이격되도록 회전축(115)에 고정될 수 있고, 회전축(115)에는 띠(111)가 감겨질 수 있다. 띠(111)는 이격된 간격(t1)을 통해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어 측정 대상(50)의 직선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띠(111)가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의 내부로 인입되는 경우,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의 둘레면의 일부가 측정 대상(50)에 접촉되면서 회전되도록 하여 측정 대상(50)의 곡선 길이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띠(111)의 단부에는 띠(111)가 인입되면서 띠(111)의 단부가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의 내부로 완전히 들어가 버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띠(111)의 수직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ㄱ” 형상의 후크(111a)가 체결될 수 있다.
케이스(120)는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를 수용하고,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의 둘레면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케이스(120)는 측정 대상(50)의 길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그립이 용이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특히, 케이스(120)의 둘레면이 사용자가 손으로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는 굴곡진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 몸체(113a) 또는 제2 회전 몸체(113b)의 외측면에는 손잡이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잡이부를 파지하면서 회전이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서는 회전부(110)의 전체 둘레면 중에서 대략 25% 정도에 해당되는 둘레면의 일부가 측정 대상(50)과 접촉 가능하도록 외부로 노출된 구조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 용도나 측정 조건에 따라 측정 대상(50)과 접촉되는 둘레면의 면적은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띠(111)가 회전축(115)에 감겨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띠(111)는 회전축(115)뿐만 아니라 회전축(115)에 장착되는 보빈(미도시)에 감겨질 수 있으며, 인장 스프링 또는 태엽과 같은 탄성 부재(미도시)를 통해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로부터 띠(111)가 인출되는 경우, 띠(111)의 인출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띠(111)는 복원력에 의해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의 내부로 감겨질 수 있다.
감지부(130)는 회전부(110)가 회전되는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감지부(130)는 띠(111)의 인출 또는 인입에 따른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가 회전되는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감지부(130)는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의 둘레면의 일부를 측정 대상(50)에 접촉시키고 밀거나 당기는 동작에 의한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의 회전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에 구비된 복수의 패턴을 보여주는 예시도들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감지부(130)는 광원(132) 및 광 검출기(134)를 포함하여 회전부(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패턴의 수를 카운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회전부(110)는 내측면 또는 내주면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패턴(117a~117n)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a는 회전부의 내측면에 복수의 패턴이 구비된 도면이고, 도 4b는 회전부의 내주면에 복수의 패턴이 구비된 도면으로,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 중 어느 하나의 내측면 또는 내주면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패턴(117a~117n)이 구비되고, 복수의 패턴(117a~117n)은 광을 반사하는 제1 패턴과 광을 비반사하는 제2 패턴이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패턴은 광을 반사하는 색상인 흰색이나 노란색 등의 색상을 가질 수 있고, 제2 패턴은 광을 비반사하는 색상인 검정색 등의 색상을 가질 수 있다.
광원(132)은 발광 다이오드나 발광 레이저 등으로 이루어지며, 회전부(110)의 내측면 또는 내주면을 향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그러면, 광원(132)에서 조사된 광은 회전부(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패턴(117a~117n)으로부터 반사되거나 통과하게 되고, 광 검출기(134)는 패턴(117a~117n)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에 구비된 자석을 보여주는 예시도들이다.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감지부(130)는 자석(118)에 구비된 N극 및 S극의 변화에 따른 회전 정도를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입력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회전부(110)의 내측면 또는 내주면에 N극 및 S극을 가지는 자석(118)이 구비될 수 있다. 도 5a는 회전부의 내측면에 N극 및 S극을 가지는 자석이 구비된 도면이고, 도 5b는 회전부의 내주면에 N극 및 S극을 가지는 자석이 구비된 도면으로, 회전부(110)가 회전되면, 회전부(110)에 구비된 자석(118)이 회전하게 되고, 감지부(130)는 자석(118)에서 발생하는 자계를 검출하여 검출 신호를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감지부(140)는 자계를 검출할 수 있는 자기 저항 센서나 홀 센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대상의 직선 길이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6a는 측정 대상의 직선 길이 측정 시 길이 측정 장치의 측면도로, 도 6a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측정 대상(50)의 직선 길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띠(111)를 손으로 파지한 채 잡아 당기면, 띠(111)는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로부터 인출된다. 그리고, 도 6b에서와 같이, 사용자가 후크(111a)를 측정 대상(50)의 모서리에 고정시킨 후 띠(111)를 손으로 파지한 채 더 잡아 당기면, 띠의 인출에 따라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가 회전되고,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가 회전되는 정도를 감지하여 측정 대상(50)의 직선 길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후크(111a)를 이용하여 별도의 고정 수단이 없이도 띠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 대상의 곡선 길이를 측정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예시도와,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후크가 제1 및 제2 회전 몸체에 삽입 고정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7a는 측정 대상의 곡선 길이 측정 시 길이 측정 장치의 측면도로, 도 7a에서와 같이, 측정 대상(50)의 곡선 길이를 측정하기 위하여 띠(111)를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의 내부로 인입시키면, 후크(111a)의 일부는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에 삽입 고정된다.
이때, 도 8a에서와 같이, 후크(111a)가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되지 않고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의 둘레면에 걸릴 수 있도록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의 둘레면과 접촉하는 후크(111a)의 일면(t2)은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가 이격된 간격(t1)보다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의 둘레면에는 안착홈(114)이 형성되어 후크(111a)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도 8b에서와 같이,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의 둘레면이 굴곡진 형상일 경우, 이와 대응되는 후크(111a)의 일면도 굴곡진 형상으로 형성되어 후크(111a)가 안착되면서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게 한다.
그런 후, 도 7b에서와 같이, 측정하고자 하는 측정 대상(50)의 시작 지점에서부터 끝 지점까지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의 둘레면 일부를 접촉시키고 밀거나 당기게 되면, 제1 회전 몸체(113a) 및 제2 회전 몸체(113b)가 회전되면서 회전 정도를 감지하여 곡선 길이를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제어부(140)는 광 검출기(134)의 검출 신호 또는 자석(118)의 회전 정도로부터 회전부(110)의 회전수를 측정하여 측정 길이로 변환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어부(140)는 감지부(130)에서 전달되는 검출 신호를 이용하여 회전부(110)의 회전 정도를 판단하고, 판단된 회전부(110)의 회전 정도를 디지털 숫자로 이루어진 측정 길이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측정 길이를 표시부(150)나 통신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케이스(120)의 표면이나 회전부(110)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LED(Light Emitting Diode) 패널, AM 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Emitting Diode) 패널 등으로 구현되어 제어부(140)에서 변환된 측정 길이를 표시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사용자로부터 기능키의 입력 신호인 사용자 신호를 입력 받아 제어부(140)로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다수의 문자키, 숫자키 또는 기능키를 포함한 버튼 조작부(키패드), 터치 스크린(touch screen)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버튼 하나를 클릭하는 것만으로도 측정 길이가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될 수 있다.
통신부(170)는 길이 측정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200)과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제어부(140)의 제어 하에 사용자 단말(200)과 유/무선 통신 방식을 통하여 통신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부(170)는 제어부(140)에서 변환된 측정 길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통신 방식은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 등을 이용한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이나 3G(3rd Generation), 4G(4th Generation)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입력부(175)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 받을 수 있는 마이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입력 받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는 저장부(180)에 저장되거나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될 수 있다.
저장부(180)는 제어부(140)에서 변환된 측정 길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저장부(180)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와 맵핑하여 측정 길이를 저장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어부(140)는 길이 측정 장치(100)와 사용자 단말(200)이 동기화되지 않은 경우, 측정 길이 및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맵핑되어 저장부(180)에 저장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길이 측정 장치(100)가 사용자 단말(200)과 동기화되면, 저장부(180)에 저장된 측정 길이 및 이와 맵핑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가 사용자 단말(200)에 함께 전송되게 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된 음성 인식 프로그램에 의하여 글자 데이터로 자동 변환될 수 있도록 하고, 측정 길이에 대한 태그로 자동 저장될 수 있다.
스피커부(185)는 측정 길이를 사운드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스피커부(185)는 측정 길이와 함께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사운드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이하, 도 1 내지 도 3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3에서 인용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며, 이전에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은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측정 시스템(1)은 길이 측정 장치(100) 및 사용자 단말(2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사용자 단말(200)은 개인용 컴퓨터(PC),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PC,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나 웹 패드(Web Pad) 등과 같이 메모리 수단을 구비하고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연산 능력을 갖춘 이동 통신 기능을 구비한 단말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00)은 길이 측정 장치(100)에서 전송된 사용자 신호에 따라 자동으로 실행되어 측정 길이를 수신할 수 있는 수치 어플리케이션(220)이 설치될 수 있다. 수신된 측정 길이는 수치 어플리케이션(220)에 자동으로 입력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길이 측정 장치(100)에 구비된 입력부(160)를 통해 측정 길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 요청하면, 사용자 단말(200)의 수치 어플리케이션(220)은 자동으로 실행되고 수치 어플리케이션(220)은 측정 길이를 입력 받을 수 있는 복수의 셀을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측정 길이가 입력되는 셀을 선택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길이 측정 장치(100)의 입력부(160)가 복수의 버튼으로 이루어진 경우, 각 버튼이 핫 키(Hot key)로 작용하여 수치 어플리케이션(220)이나 수치 어플리케이션(220)의 해당하는 셀에 측정 길이가 자동 입력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길이 측정 장치(100)는 측정 대상(50)의 측정 각도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부(1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길이 측정 장치(100)로부터 측정 길이와 함께 자이로 센서부(190)에서 감지된 측정 각도를 입력 받고, 측정 각도에 따라 측정 길이가 수치 어플리케이션(220)에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한다. 이때, 자이로 센서부(190)에서 감지된 측정 대상(50)의 측정 각도를 이용하여 직선과 곡선을 자동으로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신체 수치를 측정하고자 할 경우, 길이 측정 장치(100)를 통해 사용자의 목 둘레를 측정하여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면, 수치 어플리케이션(220)이 실행되어 사용자의 신체 수치를 측정하기 위한 화면인 사용자의 다리 길이, 목 둘레, 어깨 너비를 측정하기 위한 화면 및 측정된 길이를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셀이 표시되고, 자이로 센서부(180)에서 감지된 측정 각도(수평 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중 목 둘레의 수치인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목 둘레의 수치가 해당 셀에 자동으로 입력되어 표시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길이 측정 장치(100)로 사용자의 다리 길이를 측정하면, 자이로 센서부(180)에서 감지된 측정 각도(수직 방향)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중 다리 길이의 수치인 것을 자동으로 감지하여 다리 길이의 수치가 해당 셀에 자동으로 입력되어 표시되거나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측정된 길이 수치와 길이 측정 시의 각도 정보(길이 측정 장치(100)의 이동 궤적 정보 등)를 함께 저장함으로써 측정 대상의 길이 정보뿐만 아니라 둘레의 모양 정보도 획득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음성 입력부(175)에서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따라 수치 어플리케이션(220)에 측정 길이가 자동으로 입력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의 음성 신호에 따라 복수의 셀 중 해당 셀에 측정 길이가 자동으로 입력되어 표시되거나 저장되게 할 수 있다. 길이 측정 장치(100)에서 측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길이 측정 장치(100)에 구비된 전송 버튼을 누르면, 해당 측정 길이가 어느 위치에 해당되는 값인지를 사용자의 음성 신호로 태그할 수 있다. 예컨대, 측정 길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 시 “허리”라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함께 전송하면, 수치 어플리케이션(220)은 음성 인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허리를 인식하여 허리에 해당되는 셀에 측정 길이가 자동으로 입력되어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길이 측정 장치(100)는 소정의 물체를 향해 광을 조사하고, 소정의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여 소정의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19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레이저 등으로 이루어진 거리 측정부(195)를 이용하여 레이저 광을 소정의 물체로 발사한 후, 소정의 물체로부터 레이저 광이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길이 측정 장치(100)와 소정의 물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리 측정부(195)를 이용하면, 원거리의 측정 길이도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길이 측정 장치(100)는 GPS 송수신부나 압력 센서부(미도시) 등과 같은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GPS 송수신부는 측정된 장소에 대한 위치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180)에 저장되거나 사용자 단말(200)에 전송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측정 길이와 함께 측정 위치 정보를 확인 가능하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 길이 측정 장치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100: 길이 측정 장치
110: 회전부 120: 케이스
130: 감지부 140: 제어부
150: 표시부 160: 입력부
170: 통신부 175: 음성 입력부
180: 저장부 185: 스피커부
190: 자이로 센서부 195: 거리 측정부
200: 사용자 단말
220: 수치 어플리케이션

Claims (21)

  1. 띠가 내부에서 감겨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띠의 인입 또는 인출에 따라 회전되거나 둘레면의 일부가 측정 대상에 접촉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는 정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그리고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회전 정도를 측정 길이로 변환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가 수용되는 케이스의 외부로 상기 둘레면의 일부가 노출되는 길이 측정 장치.
  2. 제 1 항에서,
    상기 회전부는,
    내측면 또는 내주면에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패턴이 구비되는 길이 측정 장치.
  3. 제 2 항에서,
    상기 복수의 패턴은,
    광을 반사하는 제1 패턴과 광을 비반사하는 제2 패턴이 교대로 배치되는 길이 측정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따라 회전되는 패턴의 수를 카운트하는 길이 측정 장치.
  5. 제 4 항에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회전부의 내측면 또는 내주면을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 그리고
    상기 패턴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검출하는 광 검출기를 포함하는 길이 측정 장치.
  6. 제 1 항에서,
    상기 회전부는,
    내측면 또는 내주면에 N극 및 S극을 가지는 자석이 구비되는 길이 측정 장치.
  7. 제 6 항에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N극 및 S극의 변화에 따른 상기 자석의 회전 정도를 감지하는 길이 측정 장치.
  8. 제 1 항에서,
    상기 회전부는,
    케이스에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대향되게 설치되는 제1 회전 몸체 및 제2 회전 몸체, 그리고
    상기 제1 회전 몸체 및 제2 회전 몸체와 결합되는 회전축을 포함하는 길이 측정 장치.
  9. 제 8 항에서,
    상기 제1 회전 몸체는,
    상기 제2 회전 몸체와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되어 고정되고,
    상기 띠는,
    상기 회전축에 감겨지고, 상기 이격된 간격을 통해 상기 제1 회전 몸체 및 상기 제2 회전 몸체로부터 인입 또는 인출되는 길이 측정 장치.
  10.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서,
    상기 띠는,
    단부에 후크가 체결되는 길이 측정 장치.
  11. 제 10 항에서,
    상기 후크는,
    “ㄱ”으로 절곡 형성되는 길이 측정 장치.
  12. 제 11 항에서,
    상기 후크는,
    상기 회전부의 회전 시 상기 제1 회전 몸체 및 제2 회전 몸체에 일부가 삽입 고정되는 길이 측정 장치.
  13. 제 1 항에서,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된 측정 길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하는 길이 측정 장치.
  14. 제 1 항에서,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된 측정 길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길이 측정 장치.
  15. 제 1 항에서,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 받는 음성 입력부, 그리고
    상기 입력 받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 및 상기 변환된 측정 길이를 맵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길이 측정 장치.
  16. 제 1 항에서,
    소정의 물체를 향해 광을 조사하고, 상기 소정의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여 상기 소정의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길이 측정 장치.
  17. 띠가 내부에서 감겨지도록 구비되고, 상기 띠의 인입 또는 인출에 따라 회전되거나 둘레면의 일부가 측정 대상에 접촉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가 회전되는 정도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에서 감지된 회전 정도를 측정 길이로 변환하는 제어부와, 상기 변환된 측정 길이를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길이 측정 장치, 그리고
    상기 전송된 측정 길이를 수신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가 수용되는 케이스의 외부로 상기 둘레면의 일부가 노출되는 길이 측정 장치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18. 제 17 항에서,
    상기 길이 측정 장치는,
    사용자 신호를 입력 받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사용자 신호에 따라 미리 설치된 수치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어 상기 측정 길이가 상기 수치 어플리케이션에 입력되도록 하는 길이 측정 장치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19. 제 17 항에서,
    상기 길이 측정 장치는,
    사용자의 음성 신호를 입력 받는 음성 입력부, 그리고
    상기 입력 받은 사용자의 음성 신호 및 상기 변환된 측정 길이를 맵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길이 측정 장치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20. 제 17 항에서,
    상기 길이 측정 장치는,
    상기 측정 대상의 측정 각도를 감지하는 자이로 센서부를 더 포함하는 길이 측정 장치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21. 제 17 항에서,
    상기 길이 측정 장치는,
    소정의 물체를 향해 광을 조사하고, 상기 소정의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광을 수신하여 상기 소정의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거리 측정부를 더 포함하는 길이 측정 장치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KR1020150036499A 2015-03-17 2015-03-17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KR101605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499A KR101605473B1 (ko) 2015-03-17 2015-03-17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EP16765260.1A EP3130883A4 (en) 2015-03-17 2016-03-16 Length measuring device and length measuring system
PCT/KR2016/002644 WO2016148504A1 (ko) 2015-03-17 2016-03-16 길이 측정 장치 및 길이 측정 시스템
CN201680001390.1A CN106461365A (zh) 2015-03-17 2016-03-16 长度测量装置及长度测量系统
JP2017512625A JP6294567B2 (ja) 2015-03-17 2016-03-16 長さ測定装置及び長さ測定システム
AU2016234081A AU2016234081A1 (en) 2015-03-17 2016-03-16 Length measuring device and length measuring system
CA2949205A CA2949205A1 (en) 2015-03-17 2016-03-16 Length measuring device and length measuring system
SG11201609542PA SG11201609542PA (en) 2015-03-17 2016-03-16 Length measuring device and length measuring system
US15/311,516 US10393490B2 (en) 2015-03-17 2016-03-16 Length measuring device and length measuring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6499A KR101605473B1 (ko) 2015-03-17 2015-03-17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6185A Division KR101605452B1 (ko) 2015-05-29 2015-05-29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5473B1 true KR101605473B1 (ko) 2016-03-22

Family

ID=5564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6499A KR101605473B1 (ko) 2015-03-17 2015-03-17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473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141965A (ko) * 2016-06-16 2017-12-27 이용우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KR101822865B1 (ko) * 2016-05-09 2018-01-30 이용우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WO2018079993A1 (ko) * 2016-10-31 2018-05-03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KR20180106230A (ko) * 2017-03-17 2018-10-01 김기섭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
KR101934083B1 (ko) * 2016-10-31 2018-12-31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KR20190018360A (ko) * 2017-08-14 2019-02-22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443996B2 (en) 2016-09-13 2019-10-15 Bagel Labs Co., Ltd. Length measu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90130529A (ko) * 2019-11-11 2019-11-22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06667A (ko) * 2018-07-11 2020-01-21 최영호 산업용 길이측정장치
KR102069122B1 (ko) * 2019-09-04 2020-01-22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구조 안전진단용 균열길이 측정장치
KR20220007431A (ko) 2020-07-10 2022-01-18 한국전력공사 회전식 길이 측정장치
KR102550514B1 (ko) * 2022-08-17 2023-06-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파프리카 줄기측정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1530A (ja) * 2000-07-13 2002-01-31 Kyokuto Sanki Co Ltd 部屋の寸法測定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31530A (ja) * 2000-07-13 2002-01-31 Kyokuto Sanki Co Ltd 部屋の寸法測定装置

Cited B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2865B1 (ko) * 2016-05-09 2018-01-30 이용우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KR20170141965A (ko) * 2016-06-16 2017-12-27 이용우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KR101885327B1 (ko) * 2016-06-16 2018-08-06 이용우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US10443996B2 (en) 2016-09-13 2019-10-15 Bagel Labs Co., Ltd. Length measu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WO2018079993A1 (ko) * 2016-10-31 2018-05-03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CN108020152A (zh) * 2016-10-31 2018-05-11 贝果实验室有限公司 长度测量装置
KR101934083B1 (ko) * 2016-10-31 2018-12-31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KR102002779B1 (ko) * 2017-03-17 2019-07-23 김기섭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
KR20180106230A (ko) * 2017-03-17 2018-10-01 김기섭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
KR20190018360A (ko) * 2017-08-14 2019-02-22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0071B1 (ko) * 2017-08-14 2020-02-21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00006667A (ko) * 2018-07-11 2020-01-21 최영호 산업용 길이측정장치
KR102076640B1 (ko) 2018-07-11 2020-02-12 최영호 산업용 길이측정장치
KR102069122B1 (ko) * 2019-09-04 2020-01-22 주식회사 수성엔지니어링 구조 안전진단용 균열길이 측정장치
KR20190130529A (ko) * 2019-11-11 2019-11-22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9098B1 (ko) 2019-11-11 2020-04-09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220007431A (ko) 2020-07-10 2022-01-18 한국전력공사 회전식 길이 측정장치
KR102550514B1 (ko) * 2022-08-17 2023-06-30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파프리카 줄기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5473B1 (ko)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JP6294567B2 (ja) 長さ測定装置及び長さ測定システム
JP6496369B2 (ja) 長さ測定装置
US20190138116A1 (en) Smart Wand Device
KR101748628B1 (ko) 패턴 인식을 이용한 디지털 줄자
KR101605452B1 (ko)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KR101934081B1 (ko) 길이 측정 장치
KR101848313B1 (ko) 길이 측정 장치
KR101867989B1 (ko)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210131782A1 (en) Image capture measuring tape
KR101934083B1 (ko) 길이 측정 장치
KR20170136784A (ko) 패턴 인식을 이용한 스마트 줄자 및 그 작동 방법
US10443996B2 (en) Length measu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814091B1 (ko) 길이 측정 장치
KR20170102739A (ko)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KR102080071B1 (ko)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N207730100U (zh) 一种卷尺
KR20170142158A (ko) 길이 측정 시스템
TWI621828B (zh) 長度測量裝置及長度測量系統
JP2018081044A (ja) 長さ測定装置
KR20190130529A (ko)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70036370A (ko) 스마트 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