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5327B1 -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 Google Patents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5327B1
KR101885327B1 KR1020160075065A KR20160075065A KR101885327B1 KR 101885327 B1 KR101885327 B1 KR 101885327B1 KR 1020160075065 A KR1020160075065 A KR 1020160075065A KR 20160075065 A KR20160075065 A KR 20160075065A KR 101885327 B1 KR101885327 B1 KR 1018853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tical sensor
light
measuring
measuring member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5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41965A (ko
Inventor
이용우
Original Assignee
이용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우 filed Critical 이용우
Priority to KR1020160075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327B1/ko
Publication of KR20170141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419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3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3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20Slide gauges
    • G01B3/205Slide gauges provided with a counter for digital indication of the measured dimens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Arrangements or instruments for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3/0047Housings or packaging of magnetic sensors ; Hold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는 측정부재 와 상기 측정부재의 권취 길이를 조절하는 판 스프링이 고정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밀폐하되, 둘레의 일측에 상기 측정부재가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내외부를 관통하는 인입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회전판에 빛을 발광하고, 상기 회전판을 통과하거나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 및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측정부재가 인출되는 경우, 상기 광센서에 의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부재의 길이 값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DIGITAL MEASURE APPARATUS USING OPTICAL SENSO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계측기는 중량, 용량, 속도, 진동, 소음, 온도, 열량, 길이 등 양의 크기나 물리적 상태를 양적(수치)으로 포착하여 지시 또는 기록하는 도구이다.
이러한 계측기는 전기계기, 항공계기, 공업계기 등 그 용도에 따라 종류가 매우 많다.
전기계기는 전압, 전류, 전력, 주파수 등의 전기적인 양, 온도, 조도, 속도 등의 물리량을 전기적인 방법으로 측정하는 기기로서, 피측정량이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값을 지침, 표시관, 빛 등으로 나타내는 지시계기이다. 항공계기에는 다이어프램계기, 자이로계기, 자기계기 등이 있고, 공업계기는 주로 프로세스 공업 등에 있어서, 온도, 압력, 치수 등의 물리적인 변화량을 계측하는 기기에 해당한다.
그런데, 대부분의 계측기는 측정자가 계측을 하기 위해서 키나 버튼, 노브 등을 직접 조작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업무의 집중도가 떨어질 수가 있다.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일반적인 계측기를 이용하여 물리적 또는 화학적으로 변화하는 측정 대상을 측정하기에는 무리가 따를 수 있다.
따라서, 측정자가 보다 용이하게 계측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001-0019733호(출원일자: 2001년 06월 29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광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부재가 권취된 고정부에 결합된 회전판을 통과하거나 회전판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감지함으로써 측정부재의 길이 값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는 측정부재와 상기 측정부재의 권취 길이를 조절하는 판 스프링이 고정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밀폐하되, 둘레의 일측에 상기 측정부재가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내외부를 관통하는 인입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회전판에 빛을 발광하고, 상기 회전판을 통과하거나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 및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측정부재가 인출되는 경우, 상기 광센서에 의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부재의 길이 값을 측정하는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판은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구멍; 또는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으로 일정 크기로 연속하여 형성된 복수의 톱니를 구비하고, 상기 광센서는 상기 구멍 또는 톱니를 통과한 빛을 감지하거나, 상기 구멍 또는 톱니로부터 반사된 빛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는 상기 회전판에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회전판을 통과하거나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는 각각 상기 본체부의 베이스부로부터 상향 연장된 지지대의 양단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 부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센서는 상기 베이스부의 하단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상향 연장된 복수의 기둥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회전판을 향해 비스듬히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는 상기 회전판에 발광된 빛의 통과 횟수 또는 반사 횟수별로 미리 설정된 길이 값을 각각 매칭시켜 저장하는 매칭 테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매칭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부재의 길이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는 상기 하우징의 둘레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입출구로부터 인출된 측정부재의 앞단이 결합되는 홀; 및 상기 홀에 형성되고, 상기 측정부재의 앞단이 상기 홀에 결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홀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재는 앞단에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자성체로부터의 자기장 발생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부재의 앞단이 상기 홀에 결합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는 상기 홀 센서를 통해 상기 측정부재의 앞단과 상기 홀의 결합이 감지된 경우,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서 상기 인입출구가 위치한 일측으로부터 및 상기 홀이 위치한 타측까지의 길이 값을 상기 측정된 길이 값에 더하여 상기 측정부재의 길이 값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상기 회전판의 상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부에 상기 광센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부재가 형성된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센서는 상기 기판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는 상기 측정된 길이 값을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광센서를 이용하여 측정부재가 권취된 고정부에 결합된 회전판을 통과하거나 회전판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감지함으로써 측정부재의 길이 값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으로부터 인출된 측정부재가 하우징에 둘레에 형성된 홀에 결합되되, 홀 센서를 통해 측정부재의 길이 값을 보정함으로써, 사용자 스스로 자신의 신체 중 한 곳의 길이를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4는 도 1의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센서의 설치 구조에 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센서의 설치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센서의 설치 구조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복수의 구멍이 구비된 회전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복수의 톱니가 구비된 회전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부재와 홀의 결합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또는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본체부를 상세히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3 내지 4는 도 1의 하우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100)는 본체부(110), 하우징(120), 광센서(130), 측정부(140), 및 전송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110)는 상부에 회전판이 결합된 고정부(114)에 측정부재(101)가 권취된 상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부재(101)는 줄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측정부재(101) 및 상기 측정부재(101)의 권취 길이를 조절하는 판 스프링(115)이 고정된 고정부(114), 상기 고정부(114)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판(116)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14)는 내주의 둘레 방향으로 상기 판 스프링(115)이 권취될 수 있고, 외주의 둘레 방향으로 상기 측정부재(101)가 권취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114)는 원주의 둘레의 상측 및 하측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홈에 상기 판 스프링(115) 및 상기 측정부재(101)를 끼움으로써 상기 판 스프링(115) 및 상기 측정부재(101)를 고정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판 스프링(115)은 일단이 상기 본체부(110)의 하부에 형성된 베이스부(112)의 상부에 원기둥 모양의 가운데가 갈라진 모양으로 형성된 틀(112c) 사이에 감겨져 보다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측정부재(101)는 상기 고정부(114)의 바깥 둘레를 따라 권취될 수 있는데, 상기 회전판(116)이 회전 동력에 의해 회전함에 따라 감기거나 풀릴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부재(101)가 감기는 경우, 상기 고정부(114)는 상기 측정부재(101)가 감기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판 스프링(115)은 안으로 더 말리게 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상기 측정부재(101)가 풀리는 경우, 상기 고정부(114)는 상기 측정부재(101)가 풀리는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상기 판 스프링(115)은 바깥으로 벌어질 수 있다.
상기 회전판(116)은 중심에 일정 크기의 구멍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구멍이 상기 고정부(114)의 상부에 형성된 끼움부재(미도시)에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전판(116)은 상기 측정부재(101)의 권취 동작에 의해 상기 고정부(114)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고정부(114)의 회전 방향으로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판(116)은 상기 광센서(130)에 의해 발광된 빛을 감지할 수 있도록 가장자리에 일정한 패턴의 구멍 또는 톱니를 구비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116)은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구멍(116a)을 구비할 수 있다.
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판(116)은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으로 일정 크기로 연속하여 형성된 복수의 톱니(116b)를 구비할 수 있다.
참고로, 도 8은 복수의 구멍이 구비된 회전판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복수의 톱니가 구비된 회전판을 도시한 도면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전판(116)에 복수의 구멍 또는 톱니가 구비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빛을 통과 또는 반사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패턴이 상기 회전판(116)에 구비되어도 무방하다.
상기 하우징(120)은 상기 본체부(110)를 둘러싸되 외부로부터의 빛을 모두 차단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부(110)를 밀폐한다.
다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20)은 둘레의 일측에 내외부를 관통하는 인입출구(1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재(101)는 상기 인입출구(122)를 통해 상기 하우징(120)의 내부로 인입되거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20)은 둘레의 타측에 홀(124)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홀(124)에는 상기 인입출구(122)로부터 인출된 측정부재(101)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이에 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광센서(130)는 상기 회전판(116)에 빛을 발광하고, 상기 회전판(116)을 통과하거나 상기 회전판(116)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감지한다.
즉, 상기 광센서(130)는 상기 회전판(116)에 구비된 구멍(도 8의116a 참조) 또는 톱니(도 9의116b 참조)를 통과한 빛을 감지하거나, 상기 구멍 또는 톱니로부터 반사된 빛을 감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광센서(130)는 상기 인입출구(122)로부터 상기 측정부재(101)가 인출되는 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판(116)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구멍 또는 톱니를 통과하거나 상기 구멍 또는 톱니로부터 반사된 빛을 차례대로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광센서(130)는 발광부(132) 및 수광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132)는 상기 회전판(116)에 빛을 발광하고, 상기 수광부(134)는 상기 회전판(116)을 통과하거나 상기 회전판(116)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광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센서(130)는 상기 발광부(132) 및 상기 수광부(134)의 동작에 따라 상기 빛을 차례대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광센서(130)가 설치되는 구조에 관해서는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측정부(140)는 상기 하우징(120)으로부터 상기 측정부재(101)가 인출되는 경우, 상기 광센서(130)에 의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부재(101)의 길이 값을 측정한다.
이를 위해, 상기 측정부(140)는 매칭 테이블을 이용하여 상기 광센서(130)에 의한 감지 결과에 매칭되는 길이 값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매칭 테이블에는 상기 회전판(116)에 발광된 빛이 상기 회전판(116)의 구멍 또는 톱니 사이를 통과한 횟수를 나타내는 통과 횟수, 또는 상기 회전판(116)에 발광된 빛이 상기 회전판(116)의 구멍 또는 톱니로부터 반사된 횟수를 나타내는 반사 횟수별로 미리 설정된 길이 값이 각각 매칭되어 저장될 수 있다.
즉, 상기 측정부(140)는 상기 매칭 테이블로부터 상기 광센서(130)에 의한 감지 결과에 매칭되는 길이 값을 추출할 수 있고, 상기 추출된 길이 값을 상기 측정부재(101)의 길이 값으로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전송부(150)는 상기 측정된 길이 값을 휴대 단말기(미도시)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송부(150)는 블루투스, 무선랜, 3G 또는 4G, LTE 및 지그비와 같은 통신 수단을 이용하여 상기 측정된 길이 값을 외부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는 상기 전송부(150)로부터 상기 측정된 길이 값을 전송받아 화면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달리, 상기 디지털 측정기기(100)는 상기 측정된 길이 값을 그 외부면에 구비된 화면을 통해 직접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이로써, 사용자는 상기 휴대 단말기의 화면 또는 상기 디지털 측정기기(100)의 화면을 통해 상기 측정된 길이 값을 확인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센서의 설치 구조에 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광센서(130)는 상기 본체부(110)의 베이스부(112)로부터 상향 연장된 지지대(112a)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부(132) 및 상기 수광부(134)는 각각 상기 지지대(112a)의 양단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판(116)의 가장자리 부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발광부(132)는 상기 지지대(112a)의 윗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116)에 빛을 발광하고, 상기 수광부(134)는 상기 지지대(112a)의 아랫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판(116)에 형성된 구멍을 통과한 빛을 수광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센서의 설치 구조에 관한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광센서(130)는 상기 베이스부(112)의 하단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상향 연장된 복수의 기둥부재(112b) 중 적어도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센서(130)는 상기 회전판(116)에 빛을 발광하고 상기 회전판(116)을 통과하거나 상기 회전판(116)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감지하도록, 상기 회전판(116)을 향해 비스듬히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광센서(130)는 상기 복수의 기둥부재(112b) 중 한 곳에 설치되되, 발광부 및 수광부가 하나의 센서에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는 상기 회전판(116)에 빛을 발광하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회전판(116)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광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광센서(130)는 복수의 기둥부재(112b) 중 두 곳에 설치되되, 발광부 및 수광부가 각각 별개의 센서에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발광부는 상기 회전판(116)에 빛을 발광하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회전판(116)을 통과한 빛을 수광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광센서의 설치 구조에 관한 또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10)는 상기 회전판(116)의 상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는 기판(1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기판(118)은 PCB 기판의 형태로서, 상부에 상기 광센서(13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부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 부재는 MCU(Micro Controller Unit), 블루투스, 버튼, 배터리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광센서(130)는 상기 기판(118)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광센서(130)는 상기 기판(118)의 하부에 부착되어 상기 회전판(116)에 빛을 발광하고, 상기 회전판(116)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광센서(130)는 발광부 및 수광부가 하나의 센서에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측정부재와 홀의 결합에 관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4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하우징(120)은 홀(124) 및 홀 센서(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124)은 상기 하우징(120)의 둘레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입출구(122)로부터 인출된 측정부재(101)의 앞단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124)에는 상기 홀 센서(126)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126)는 상기 측정부재(101)의 앞단이 상기 홀(124)에 결합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측정부재(101)는 앞단에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성체(10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홀 센서(126)는 상기 자성체(102)로부터의 자기장 발생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부재(101)의 앞단이 상기 홀(124)에 결합되는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측정부(140)는 상기 홀 센서(126)에 의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부재(101)의 길이 값을 보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측정부(140)는 상기 홀 센서(126)를 통해 상기 측정부재(101)의 앞단과 상기 홀(124)의 결합이 감지된 경우, 상기 하우징(120)의 둘레에서 상기 인입출구가 위치한 일측으로부터 및 상기 홀(124)이 위치한 타측까지의 길이 값을 상기 측정된 길이 값에 더하여 상기 측정부재(101)의 길이 값을 보정할 수 있다.
상기 측정부재(101)의 길이 값을 보정하는 경우에 대한 일례로서, 사용자의 허리 둘레를 측정하는 경우가 있다.
이로써, 사용자가 타인의 도움 없이 상기 측정부재(101)를 이용하여 자신의 신체 중 한 곳의 길이를 측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 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1 : 측정부재
102 : 자성체
110 : 본체부
112 : 베이스부
112a : 지지대
112b : 기둥부재
112c : 틀
114 : 고정부
115 : 판 스프링
116 : 회전판
116a : 복수의 구멍
116b : 복수의 톱니
118 : 기판
120 : 하우징
122 : 인입출구
124 : 홀
126 : 홀 센서
130 : 광센서
132 : 발광부
134 : 수광부
140 : 측정부
150 : 전송부

Claims (10)

  1. 측정부재와 상기 측정부재의 권취 길이를 조절하는 판 스프링이 고정된 고정부 및 상기 고정부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를 밀폐하되, 둘레의 일측에 상기 측정부재가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내외부를 관통하는 인입출구를 구비하는 하우징;
    상기 회전판에 빛을 발광하고, 상기 회전판을 통과하거나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감지하는 광센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측정부재가 인출되는 경우, 상기 광센서에 의한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부재의 길이 값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하우징의 둘레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인입출구로부터 인출된 측정부재의 앞단이 결합되는 홀; 및
    상기 홀에 형성되고, 상기 측정부재의 앞단이 상기 홀에 결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홀 센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은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형성된 복수의 구멍; 또는
    가장자리에 둘레 방향으로 일정 크기로 연속하여 형성된 복수의 톱니
    를 구비하고,
    상기 광센서는
    상기 구멍 또는 톱니를 통과한 빛을 감지하거나, 상기 구멍 또는 톱니로부터 반사된 빛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상기 회전판에 빛을 발광하는 발광부; 및
    상기 회전판을 통과하거나 상기 회전판으로부터 반사된 빛을 수광하는 수광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 및 상기 수광부는
    각각 상기 본체부의 베이스부로부터 상향 연장된 지지대의 양단에 설치되되, 상기 회전판의 가장자리 부분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센서는
    상기 본체부의 베이스부의 하단 모서리 부분으로부터 상향 연장된 복수의 기둥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회전판을 향해 비스듬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에 발광된 빛의 통과 횟수 또는 반사 횟수별로 미리 설정된 길이 값을 각각 매칭시켜 저장하는 매칭 테이블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부는
    상기 매칭 테이블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부재의 길이 값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재는
    앞단에 자기장을 발생하는 자성체를 구비하고,
    상기 홀 센서는
    상기 자성체로부터의 자기장 발생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측정부재의 앞단이 상기 홀에 결합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홀 센서를 통해 상기 측정부재의 앞단과 상기 홀의 결합이 감지된 경우, 상기 하우징의 둘레에서 상기 인입출구가 위치한 일측으로부터 및 상기 홀이 위치한 타측까지의 길이 값을 상기 측정된 길이 값에 더하여 상기 측정부재의 길이 값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회전판의 상부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부에 상기 광센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부재가 형성된 기판
    을 더 포함하고,
    상기 광센서는
    상기 기판에 부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된 길이 값을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전송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KR1020160075065A 2016-06-16 2016-06-16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KR1018853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065A KR101885327B1 (ko) 2016-06-16 2016-06-16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5065A KR101885327B1 (ko) 2016-06-16 2016-06-16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965A KR20170141965A (ko) 2017-12-27
KR101885327B1 true KR101885327B1 (ko) 2018-08-06

Family

ID=60938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5065A KR101885327B1 (ko) 2016-06-16 2016-06-16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32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8497A (ja) * 2007-08-08 2009-03-19 Hosiden Corp 電子式巻尺
KR101605473B1 (ko) * 2015-03-17 2016-03-22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5036A (ja) * 1995-06-19 1997-01-10 Kenji Ono デジタル表示式測長器の検出装置と検出器
KR19990037565U (ko) * 1998-03-09 1999-10-15 윤종용 디지털 줄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58497A (ja) * 2007-08-08 2009-03-19 Hosiden Corp 電子式巻尺
KR101605473B1 (ko) * 2015-03-17 2016-03-22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41965A (ko) 2017-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7559B2 (en) Moving head light fixture with yoke and head position encoding means
US9689903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measuring current
JP4886805B2 (ja) 近接センサ及び回転操作検出装置
KR101605473B1 (ko)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KR101501141B1 (ko) 화상출력부를 구비하는 조절 노브
KR101070960B1 (ko) 휴대용 폐활량 측정장치
KR20200035054A (ko) 중심 신호 프로세서를 가지는 유도형 센서 모듈 조립체
JP2016038383A5 (ko)
KR101885327B1 (ko) 광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KR101822866B1 (ko) 자기 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KR20090001561U (ko) 압력측정장치용 게이지
US20180143128A1 (en) Residual toxicant detection device
KR101406239B1 (ko) 풍향 풍속계
JP5375541B2 (ja) 配管用厚さ測定装置
KR101822865B1 (ko) 적외선 센서를 이용한 디지털 측정기기
CN114616436A (zh) 测量装置
CN108680079B (zh) 一种柔性绳带式电子尺及其测量方法
KR20210115860A (ko) 카메라 모듈의 회전 위치를 센싱하는 포토 센서 어셈블리
CN106979792B (zh) 具可拆卸感知器模块的感知装置
TWM581195U (zh) Head monitoring device
KR101703226B1 (ko) 비접촉식 온도 및 동작 감지 장치와 감지 방법
US11650038B1 (en) Measurement device
JP5546001B2 (ja) 回転計
US20230266151A1 (en) Position-Determining Device for a Hand-Held Material Testing Apparatus, A Method for Operating the Position-Determining Device, and a Hand-Held Material Testing Apparatus with a Position-Determining Device
KR102118602B1 (ko) 식립된 치과용 물체의 중심을 찾는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