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0529A -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0529A
KR20190130529A KR1020190143521A KR20190143521A KR20190130529A KR 20190130529 A KR20190130529 A KR 20190130529A KR 1020190143521 A KR1020190143521 A KR 1020190143521A KR 20190143521 A KR20190143521 A KR 20190143521A KR 20190130529 A KR20190130529 A KR 201901305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on
unit
measuring device
length measuring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9098B1 (ko
Inventor
박수홍
함성식
손민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Priority to KR10201901435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9098B1/ko
Publication of KR20190130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0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9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9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61Means for displaying or assisting reading of length measuremen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05Means for controlling winding or unwinding of ta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41Measuring tapes characterised by casing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10Measuring tapes
    • G01B3/1056Tape end arrangements, e.g. end-hooks
    • G01B2003/1069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ape Measure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영점 조정 기능(AUTOMATIC ZERO-POINT ADJUSTMENT FUNCTION)을 가지는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는 일단에 후크부가 부착되는 줄, 인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줄이 인출구를 통해 케이스로부터 인출되거나 케이스 내로 인입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 회전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그리고 회전부의 회전량을 길이 측정값으로 환산하고, 길이 측정 장치가 제1 상태이면 환산된 길이 측정값을 미리 정해진 값으로 리셋(reset)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LENGTH MEASUR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자동 영점 조정 기능(AUTOMATIC ZERO-POINT ADJUSTMENT FUNCTION)을 가지는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줄자는 테이프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표면에 길이를 나타내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어서 일정한 공간의 폭이나 넓이를 측정하거나 측정 대상물의 크기, 길이나 너비 등을 측정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인 줄자와 달리 줄의 인출 길이를 자동으로 계산하여 디스플레이 수단에 표시하는 전자 줄자도 개시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전자 줄자는 인출된 줄이 모두 되감기더라도, 줄이 되감기는 상태에 따라 측정 길이가 정확하게 '0'으로 줄어들지 않는 경우가 발생하였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자가 리셋 버튼을 누르면 측정 길이를 '0'으로 리셋(reset)시키는 수동 영점 조정 기능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인출된 줄이 모두 되감기면 길이 측정값을 자동으로 리셋시키는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는 일단에 후크부가 부착되는 줄, 인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줄이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케이스 내로 인입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 그리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량을 길이 측정값으로 환산하고, 상기 길이 측정 장치가 제1 상태이면 상기 환산된 길이 측정값을 미리 정해진 값으로 리셋(reset)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길이 측정 장치는 상기 후크부를 감지하는 후크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가 상기 후크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길이 측정 장치가 제1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감지부는, 상기 후크부가 상기 인출구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후크부에 의해 눌려지는 물리적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 감지부는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는 자기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크부는 자성(magnetism)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자석이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기준 자기장 세기 이상이면 상기 길이 측정 장치가 제1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기준 자기장 세기 이상이고, 상기 환산된 길이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면 상기 길이 측정 장치가 제1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길이 측정 장치의 전원이 온(on) 될 때 상기 자기 센서에서 측정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상기 기준 자기장 세기로 설정할 수 있다.
기준 회전 속도보다 빠르게 상기 줄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가 회전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길이 측정 장치가 제1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준 회전 속도보다 빠르게 상기 줄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가 회전한 후, 상기 회전부가 기준 시간 이상 멈춘 상태를 유지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길이 측정 장치가 제1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줄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가 회전한 후, 상기 환산된 길이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길이 측정 장치가 제1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기준 회전 속도보다 빠르게 상기 줄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부가 회전한 후, 상기 회전부가 기준 시간 이상 멈춘 상태에서 상기 환산된 길이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길이 측정 장치가 제1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길이 측정 장치는, 상기 길이 측정 장치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관성 센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길이 측정 장치의 움직임이 미리 정해진 조건을 만족하면 상기 길이 측정 장치가 제1 상태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은, 회전부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단계, 상기 회전부의 회전량을 길이 측정값으로 환산하는 단계, 상기 길이 측정 장치가 제1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길이 측정 장치가 제1 상태면, 상기 환산된 길이 측정값을 미리 정해진 값으로 리셋(reset)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인출된 줄이 모두 되감기면 길이 측정값을 자동으로 리셋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의 전자적 구성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와 회전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와 회전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와 회전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길이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의 전자적 구성 요소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100)는 케이스(110), 줄(121), 후크부(123), 회전 감지부(141), 후크 감지부(143), 관성 센서부(145), 저장부(150), 전원부(160), 제어부(170), 입출력부(180), 통신부(190) 및 하나 이상의 회전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길이 측정 장치(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일부 구성 요소를 포함하지 않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100)는 레이저, 적외선 또는 초음파 등을 이용한 원격 거리 측정과 관련된 구성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길이 측정 장치(100)는 측정 대상과 접촉하여 회전하는 회전체의 회전량을 기초로 길이 측정값을 구하는 기능과 관련된 구성 요소를 추가로 포함할 수도 있다.
케이스(110)는 길이 측정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를 내부에 수용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케이스(110)는 줄(121)이 외부로 인출될 수 있는 인출구(110h)가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10)의 형태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줄(121)은 끈(string), 테이프(tape)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줄(121)은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줄(121)은 강철(steel), 스테인레스 강(stainless steel), 폴리에틸렌 섬유(Polyethylene fiber), 파라 아라미드 합성 섬유(para-aramid synthetic fiber) 등과 같은 소재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후크부(123)는 인출구(110h)에 걸릴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예컨대 후크부(123)는 "ㄱ" 또는 "ㅜ" 등과 같이 일부가 수직으로 절곡된 고리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줄(121)은 인출구(110h)를 통해 케이스(110)로부터 인출되거나 케이스(110) 내로 인입되면서 하나 이상의 회전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사용자가 줄(121)의 일단에 부착된 후크부(123)를 잡아당기면, 회전부는 줄(121)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이하 '정회전'이라 함)할 수 있다. 반대로 줄(121)이 인출구(110h)를 통해 케이스(110) 내부로 인입되면, 회전부는 줄(121)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회전(이하 '역회전'이라 함)할 수 있다.
회전 감지부(141)는 포텐시오미터 센서(potentiometer sensor), 로터리 인코더(rotary encorder), 마그네틱 회전 감지 센서 등과 같은 회전 감지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회전 감지부(141)는 회전부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와 회전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100)는 줄(121)이 여러 번 감겼다가 풀릴 수 있는 제1 회전부(13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줄(121)을 잡아당기면, 제1 회전부(131)는 줄(121)이 인출되는 방향으로 회전(이하 '정회전'이라 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회전부(131)는 인장 스프링 또는 태엽과 같은 탄성 부재(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여, 줄(121)의 인출을 저지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길이 측정을 마치고 후크부(123)를 놓으면, 제1 회전부(131)는 줄(121)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회전(이하 '역회전'이라 함)하면서 줄(121)이 다시 되감기게 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회전 감지부(141)는 제1 회전부(131)의 회전량, 회전속도, 회전 방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회전 감지부(141)는 제1 회전부(131)의 회전축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와 회전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100)는 제1 회전부(131)와 별도로 제2 회전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줄(121)은 도 4에 예시한 것과 같이 제2 회전부(133)에 1회 이상 감길 수 있다. 줄(121)은 인입되거나 인출되면서 제1 회전부(131)와 제2 회전부(133)를 동시에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회전부(131)는 도 3에서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회전 감지부(141)는 제2 회전부(133)의 회전축 상에 설치되어, 제2 회전부(133)의 회전량, 회전속도, 회전 방향 등을 감지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회전부와 회전 감지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길이 측정 장치(100)는 제2 실시예와 제1 회전부(131), 제2 회전부(133) 및 회전 감지부(141)의 구성이나 동작은 동일하다.
다만 줄(121)은 도 5에 예시한 것과 같이 제2 회전부(133)의 둘레 중 일부에만 접촉되는 점이 제2 실시예에서와 다르다. 그리고 길이 측정 장치(100)는 줄 가이드부(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줄 가이드부(135)는 줄(121)이 제2 회전부(133)에 밀착되게 이동하도록 가이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5에서 줄 가이드부(135)가 제2 회전부(133)의 둘레 일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고, 줄 가이드부(135)와 제2 회전부(133) 사이에 이격된 공간에 줄(121)이 끼워진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줄 가이드부(135)는 줄(121)이 인입 또는 인출될 때 발생하는 마찰력에 의해 제2 회전부(133)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가이드하면 어떠한 구조를 가져도 무방하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저장부(150)는 길이 측정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전원부(160)는 길이 측정 장치(100)의 각 구성 요소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배터리로 구현될 수 있다.
입출력부(180)는 길이 측정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거나, 길이 측정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를 사용자에게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입출력부(180)는 디스플레이부(181), 버튼부(183), 스피커부(185) 및 마이크부(187)를 모두 포함하거나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81)는 길이 측정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예컨대 길이 측정값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를 위해 LED, LCD, OLED 등의 디스플레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버튼부(183)는 사용자로부터 길이 측정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명령을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부(185)는 길이 측정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예컨대 길이 측정값을 소리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이크부(187)는 사용자로부터 길이 측정 장치(100)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명령이나 정보를 음성으로 입력받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190)는 길이 측정 장치(100)와 외부 장치 사이에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을 통해 각종 정보 및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유선 통신 방식은 USB(Universal Serial Bus) 케이블 등을 이용한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방식은 와이파이(Wi-Fi),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NFC 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식이나 3G(3rd Generation), 4G(4th Generation) 또는 LTE(Long Term Evolution) 등과 같은 이동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길이 측정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줄(121)의 인출 정도에 대응하는 길이 측정값을 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70)는 회전 감지부(143)에서 감지된 제1 회전부(131) 또는 제2 회전부(133)의 회전량을 길이 측정값으로 환산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회전 감지부(143)에서 감지된 회전량을 미리 정해진 알고리즘에 따라 길이 측정값으로 환산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70)는 회전량과 길이 측정값을 대응시켜 놓은 테이블을 이용하여, 회전 감지부(143)에서 감지된 회전량을 길이 측정값으로 환산하게 할 수도 있다.
제어부(170)는, 길이 측정 장치(100)가 줄(121)이 모두 되감긴 상태가 되면, 길이 측정값을 미리 정해진 값, 예컨대 '0'으로 리셋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후크 감지부(143)를 이용하여 줄(121)이 모두 되감긴 상태인지 판단할 수 있다.
줄(121)이 모두 되감기면, 후크부(123)는 인출구(110h)에 걸리게 된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후크 감지부(143)에서 후크부(123)를 감지하면, 줄(121)이 모두 되감긴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후크부(123)가 인출구(110h)에 접근한 것을 감지할 수 있도록, 후크 감지부(143)를 인출구(110h) 주변에 배치할 수 있다. 후크 감지부(143)는 물리 스위치 또는 자기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후크 감지부(143)가 물리 스위치로 이루어진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어부(170)는 후크부(123)에 의해 물리 스위치가 눌려지면, 줄(121)이 모두 되감긴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길이 측정값을 '0'으로 자동 리셋할 수 있다. 물리 스위치는 후크부(123)와 접촉하는 부분에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탄성 부재 또는 댐퍼(damper) 부재를 구비할 수도 있다.
후크 감지부(143)가 자기 센서로 이루어진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후크부(123)는, 후크 감지부(143)에 의해 감지될 수 있도록, 자성(magnetism)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자석이 부착될 수 있다. 자기 센서는 자기 저항 센서나 홀 센서(hall sensor) 등과 같은 자기장을 감지하는 센서로 구현될 수 있다. 후크부(123)가 인출구(110h)에 접근함에 따라, 자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세기는 커진다. 따라서 제어부(170)는 후크 감지부(143)에서 기준 자기장 세기 이상의 자기장이 감지되면, 줄(121)이 모두 되감긴 상태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길이 측정값을 '0'으로 자동 리셋할 수 있다. 기준 자기장 세기는 줄(121)이 모두 되감긴 상태로 판단하기에 충분할 정도의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기준 자기장 세기는 길이 측정 장치(100)의 전원이 온(on) 될 때 후크 감지부(143)에서 측정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기초로 매번 재설정될 수도 있다. 전원이 온 될 때 측정된 자기장 세기를 그대로 기준 자기장 세기로 설정하거나, 측정된 자기장 세기보다 약간 작은 값을 기준 자기장 세기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후크부(123)에서 발생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시간에 따라 자석 열화 등으로 약해지더라도, 후크부(123)가 미리 정해진 범위에 위치하는 것을 정확하게 감지해낼 수 있다.
한편 물리 스위치는 후크부(123)가 아닌 다른 요인에 의해 눌려질 수도 있다. 그리고 길이 측정 장치(100)의 주변에 다른 자석이 있으면 실제 후크부(123)가 인출구(110h)에 걸리지 않아도 기준 자기장 세기 이상의 자기장이 감지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실제로는 줄(121)이 모두 되감기지 않았는데도 제어부(170)에서 길이 측정값을 리셋시키는 오작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길이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인 상태에서, 물리 스위치가 눌리거나 기준 자기장 세기 이상 감지되면, 제어부(170)가 길이 측정값을 리셋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회전 감지부(141)에서 감지되는 제1 회전부(131) 또는 제2 회전부(133)의 회전 속도와 회전 방향을 기초로, 길이 측정 장치(100)가 줄(121)이 모두 되감긴 상태인지 판단하는 것도 가능하다.
사용자가 인출된 줄(121)을 놓으면, 제1 회전부(131)는 줄(121)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빠르게 회전하면서 줄(121)을 자동으로 되감을 수 있다. 그리고 줄(121)이 모두 되감기면, 제1 회전부(131)는 회전을 멈추고 정지한다. 따라서 제1 회전부(131)의 회전 속도, 회전 방향 등과 같은 회전 정보를 이용하여 줄(121)이 모두 되감겼는지 판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출된 줄(121)을 놓았을 때 되감기는 속도는 매우 빠르기 때문에, 되감기고 있는 줄(121)을 다시 잡아서 제1 회전부(131)를 멈추도록 하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따라서 제1 회전부(131)가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르게 줄이 인입되면(조건 1), 줄(121)이 모두 되감긴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정해진 속도는 사용자가 줄(121)을 놓았을 때 자동으로 되감기고 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는 정도로 설정되면 된다.
한편 제1 회전부(131)가 미리 정해진 속도보다 빠르게 줄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회전한 후 기준 시간 이상 멈춘 상태를 유지하면(조건 2), 줄(121)이 모두 되감긴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회전부(131)가 줄(121)이 인입되는 방향으로 회전한 후 환산된 길이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면(조건 3), 줄(121)이 모두 되감긴 것으로 판단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조건 2와 조건 3이 모두 만족되면(조건 4), 줄(121)이 모두 되감긴 것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마찬가지로 제2 회전부(133)의 회전 속도와 회전 방향을 이용하여, 줄(121)이 모두 되감긴 상태를 판단할 수도 있다.
관성 센서부(145)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물체의 움직임 또는 자세를 측정할 수 있다. 관성 센서부(145)는 길이 측정 장치(100)의 움직임, 자세 및 이동 궤적 등을 측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서 제어부(170)는 관성 센서부(145)에서 감지된 길이 측정 장치(100)의 움직임에 따라 길이 측정값을 리셋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예컨대 사용자가 길이 측정 장치(100)를 들고 일정 강도 이상으로 흔들면, 제어부(170)가 길이 측정값을 리셋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줄(121)이 모두 되감긴 상태로 판단된 시점에, 길이 측정값을 바로 '0'으로 리셋하면 사용자가 부자연스럽게 인식할 수도 있다. 따라서 길이 측정값을 판단 시점에 디스플레이부(181)에 표시된 값부터 순차적으로 '0'까지 줄어들게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길이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먼저 회전 감지부(141)는 줄(121)의 인입 또는 인출에 따라 회전하는 제1 회전부(131) 또는 제2 회전부(133)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다(S610).
다음으로 제어부(170)는 회전 감지부(141)에서 감지된 회전량을 길이 측정값으로 환산할 수 있다(S620). 제어부(170)는 단계(S620)에서 환산된 길이 측정값을 디스플레이부(181)에 표시할 수 있다(S630).
제어부(170)는 단계(S610) 내지 단계(S630)를 반복하다가, 길이 측정 장치(100)가 줄(121)이 모두 되감긴 상태인 것으로 판단되면(S640-Y), 단계(S620)에서 회전량을 기초로 환산된 길이 측정값을 미리 정해진 값(예컨대 '0')으로 리셋할 수 있다(S650).
그리고 제어부(170)는 단계(S650)에서 리셋된 길이 측정값을 디스플레이부(181)에 표시할 수 있다(S66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길이 측정 장치
110: 케이스
121: 줄 123: 후크부
131: 제1 회전부 133: 제2 회전부
135: 줄 가이드부
141: 회전 감지부 143: 후크 감지부
145: 관성 센서부
150: 저장부
160; 전원부
170: 제어부
180: 입출력부
190: 통신부

Claims (4)

  1. 길이 측정 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후크부(123)가 부착되는 줄(121),
    인출구(110h)가 형성되는 케이스(110),
    상기 줄이 상기 인출구를 통해 상기 케이스로부터 인출되거나 상기 케이스 내로 인입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131, 133),
    상기 회전부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 감지부(141),
    상기 회전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상기 회전부의 회전량을 길이 측정값으로 환산하는 제어부(170),
    상기 후크부를 감지하는 후크 감지부(143)
    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감지부는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는 자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자성(magnetism)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후크부에 자석이 부착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기준 자기장 세기 이상이고, 상기 환산된 길이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면, 상기 환산된 길이 측정값을 리셋(reset)하는 길이 측정 장치.
  2. 제 1 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길이 측정 장치의 전원이 온(on) 될 때 상기 자기 센서에서 측정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상기 기준 자기장 세기로 설정하는 길이 측정 장치.
  3. 줄(121)이 인출구(110h)를 통해 케이스(110)로부터 인출되거나 케이스 내로 인입됨에 따라 회전하는 회전부(131, 133)와 상기 줄의 일단에 부착된 후크부(123)를 감지하는 후크 감지부(143)를 포함하는 길이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의 회전량을 감지하는 단계,
    감지된 상기 회전부의 회전량을 길이 측정값으로 환산하는 단계,
    상기 줄이 모두 되감긴 상태인지 판단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줄이 모두 되감긴 상태이면, 상기 환산된 길이 측정값을 리셋(reset)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 감지부는 자기장의 세기를 감지하는 자기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후크부는 자성(magnetism)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후크부에 자석이 부착되며,
    상기 자기 센서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세기가 기준 자기장 세기 이상이고, 상기 환산된 길이 측정값이 미리 정해진 기준 이하면, 상기 줄이 모두 되감긴 상태인 것으로 판단하는 길이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
  4. 제 3 항에서,
    상기 길이 측정 장치의 전원이 온(on) 될 때 상기 후크 감지부에서 측정되는 자기장의 세기를 상기 기준 자기장 세기로 설정하는 길이 측정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90143521A 2019-11-11 2019-11-11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099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521A KR102099098B1 (ko) 2019-11-11 2019-11-11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521A KR102099098B1 (ko) 2019-11-11 2019-11-11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3239A Division KR102080071B1 (ko) 2016-09-13 2017-08-14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0529A true KR20190130529A (ko) 2019-11-22
KR102099098B1 KR102099098B1 (ko) 2020-04-09

Family

ID=687310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521A KR102099098B1 (ko) 2019-11-11 2019-11-11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9098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5064A (en) * 1986-07-19 1991-07-30 Care Ronald J Linear measuring devices
US5743021A (en) * 1996-02-06 1998-04-28 Corcoran; Bradley H. Digital length gauge
JP3383229B2 (ja) * 1998-11-11 2003-03-04 株式会社ミツトヨ マイクロメータ
JP2010267580A (ja) * 2009-05-18 2010-11-25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式近接センサ
CN105258587A (zh) * 2015-11-25 2016-01-20 重庆段氏服饰实业有限公司 一种卷尺
KR101605473B1 (ko) * 2015-03-17 2016-03-22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423837B (zh) 2015-11-23 2018-11-20 重庆段氏服饰实业有限公司 一种电子卷尺的零点复位方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35064A (en) * 1986-07-19 1991-07-30 Care Ronald J Linear measuring devices
US5743021A (en) * 1996-02-06 1998-04-28 Corcoran; Bradley H. Digital length gauge
JP3383229B2 (ja) * 1998-11-11 2003-03-04 株式会社ミツトヨ マイクロメータ
JP2010267580A (ja) * 2009-05-18 2010-11-25 Mitsubishi Electric Corp 磁気式近接センサ
KR101605473B1 (ko) * 2015-03-17 2016-03-22 주식회사 베이글랩스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CN105258587A (zh) * 2015-11-25 2016-01-20 重庆段氏服饰实业有限公司 一种卷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9098B1 (ko) 202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93490B2 (en) Length measuring device and length measuring system
JP6496369B2 (ja) 長さ測定装置
KR101605473B1 (ko) 길이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측정 시스템
KR100948944B1 (ko) 신장 측정기 및 신장 측정 방법
KR101915135B1 (ko) 길이측정장치
KR20190081311A (ko) 길이 측정 장치 및 시스템
KR102080071B1 (ko)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67989B1 (ko)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6714754B2 (ja) 長さ測定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934081B1 (ko) 길이 측정 장치
KR102099098B1 (ko)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66011A (ko) 길이 측정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934083B1 (ko) 길이 측정 장치
WO2019195893A1 (en) Measuring device
KR20190074159A (ko) 길이 측정 장치
TW201732215A (zh) 長度測量裝置及長度測量系統
KR20240072913A (ko) 줄 길이 계측 장치 및 이것을 구비한 낚시용 릴
JP2020203772A (ja) テーピング装置および張力検出装置
KR20040096123A (ko) 자동 키재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