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7851B1 - 충전범위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충전범위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7851B1
KR102337851B1 KR1020200037158A KR20200037158A KR102337851B1 KR 102337851 B1 KR102337851 B1 KR 102337851B1 KR 1020200037158 A KR1020200037158 A KR 1020200037158A KR 20200037158 A KR20200037158 A KR 20200037158A KR 102337851 B1 KR102337851 B1 KR 1023378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electric vehicle
charging cable
cable
extens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7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0449A (ko
Inventor
정민교
Original Assignee
대영채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채비(주) filed Critical 대영채비(주)
Priority to KR10202000371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7851B1/ko
Publication of KR20210120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04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78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78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충전범위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충전본체; 상기 충전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본체로부터 인출된 충전케이블이 거치되고, 전후방향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확장프레임이 구비된 슬라이드모듈; 및 상기 슬라이드모듈의 확장프레임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충전케이블이 수용되는 회전관을 갖는 회전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슬라이드모듈과 상기 회전모듈에 의하여 충전케이블을 전방위로 이송 및 방향 전환하여 충전범위를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충전케이블을 슬라이드모듈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송하고, 회전모듈에 의하여 충전케이블을 전방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전기차의 정차위치나, 전기차에 구비된 충전 소켓의 위치에 상관없이 충전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전기차의 충전범위를 최대 확장하여 사용편의성 뿐만 아니라, 충전장치의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충전범위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Description

충전범위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Electric vehicle charging device having an extended charging range structure}
본 발명은 충전케이블을 슬라이드모듈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송하고, 회전모듈에 의하여 충전케이블을 전방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전기차의 정차위치나, 전기차에 구비된 충전 소켓의 위치에 상관없이 충전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전기차의 충전범위를 최대 확장하여 사용편의성 뿐만 아니라, 충전장치의 운영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충전범위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자동차용 충전장치에 사용되는 충전케이블은 무게가 무겁고, 유연성이 떨어져 전기자동차의 충전 소켓 위치로 이동 시 충전케이블의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여 충전구 방향 및 높이를 맞추어 충전건을 충전 소켓에 삽입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 이에 의하여 일반인은 물론이고 장애인, 노약자 및 여성 등의 경우 충전케이블의 취급이 용이하지 않아 충전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충전케이블은 고전압, 고전류가 흐르는 케이블을 사용하기 때문에 취급이 어렵고, 무게가 무거워 층전케이블 및 충전건이 바닥에 쳐지거나, 떨어져 마모 및 손상될 염려가 있으며, 이로 인한 감전의 위험으로부터 사용자의 인체를 보호하기 위한 충전건 개발이 요구되어 왔다.
즉 기존의 충전장치에서 충전케이블은 자체 무게가 무거워 충전케이블의 길이가 긴 경우 거치위치로부터 바닥으로 떨어질 염려가 있다. 이렇게 충전케이블의 바닥에 떨어지는 경우 바닥과의 마찰로 인하여 마모나 손상될 수 있다. 충전케이블이 손상되는 경우 감전의 위험이 있어 안전에도 문제가 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충전장치에서 전기자동차의 충전 소켓 위치에 따라 사용자가 충전케이블을 운반하는 등 직접 취급하여야 하나, 충전케이블은 그 특성으로 취급이 쉽지 않기 때문에 사용자의 불편이 크다.
이러한 문제는 차량이 충전을 위해 정차하는 위치를 특정된 위치나 방향이 설정되어 있어 사용자에게 사용상 많은 불편함을 줄 뿐만 아니라, 차량마다 충전 소켓의 위치가 다른 경우 사용자의 많은 주의를 필요로 한다는 점에서 그 불편함으로 더욱 배가될 수 있다.
이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보장하기 위해 충전 차량의 정차 위치와 무관하고, 차량의 충전 소켓의 위치가 다르더라도 충분한 충전범위를 확보할 수 있는 충전장치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37818(2017.05.17. 공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충전케이블을 슬라이드모듈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송하고, 회전모듈에 의하여 충전케이블을 전방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전기차의 정차위치나, 전기차에 구비된 충전 소켓의 위치에 상관없이 충전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전기차의 충전범위를 최대 확장하여 사용편의성 뿐만 아니라, 충전장치의 운영 효율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범위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는 충전본체; 상기 충전본체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본체로부터 인출된 충전케이블이 거치되고, 전후방향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확장프레임이 구비된 슬라이드모듈; 및 상기 슬라이드모듈의 확장프레임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충전케이블이 수용되는 회전관을 갖는 회전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슬라이드모듈과 상기 회전모듈에 의하여 충전케이블을 전방위로 이송 및 방향 전환하여 충전범위를 확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회전모듈은 상기 슬라이드모듈의 확장프레임 전단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관의 회전 동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슬라이드모듈은 상기 충전본체 상부에 배치되고, 보강부재가 구비되는 설치프레임과, 상기 확장프레임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보강부재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블록과, 상기 설치프레임에 장착되고, 피니언기어가 구동축에 연결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확장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와 치합되는 랙기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충전케이블의 인출 길이는 상기 확장프레임의 최대 스토로크에 대응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설치프레임 후단부와 상기 확장프레임의 전단부에는 상기 충전케이블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탄성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는 상기 충전본체로부터 인출된 충전케이블이 일정한 배열형상을 갖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탄성부는 상기 충전케이블의 긴장 상태에서 탄성을 발휘하고, 상기 충전케이블이 느슨한 상태에서 복원되어 수직방향으로 직립되는 배치되어 상기 충전케이블의 배열형상을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2 탄성부는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충전케이블의 배열형상을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충전범위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는 전케이블을 슬라이드모듈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이송하고, 회전모듈에 의하여 충전케이블을 전방위로 회전시킴으로써 전기차의 정차위치나, 전기차에 구비된 충전 소켓의 위치에 상관없이 충전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전기차의 충전범위를 최대 확장하여 사용편의성 뿐만 아니라, 충전장치의 운영 효율성을 높일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충전범위 확장을 위한 슬라이드모듈과 회전모듈의 구성이 단순화되어 있어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을 절감하여 경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출된 충전케이블의 노출 시, 외관상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제1 및 제2 탄성부를 구비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충전케이블의 배열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충전케이블의 외관상 미관을 좋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전범위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장치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동작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모듈을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례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범위(CR1)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는 충전본체(10)와, 확장프레임(21)이 구비된 슬라이드모듈(20)과, 회전모듈(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충전본체(10)는 내부에 충전모듈이 탑재되어 있으며, 충전모듈로부터 공급되는 전기를 전기차로 전달하기 위한 충전케이블(CC)이 외부로 인출된다.
충전본체(10)를 충전모듈이 내장되는 충전함(11)과, 충전함(11) 전면에는 디스플레이(13)가 구비되고, 이 디스플레이(13)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터치 패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충전함(11) 전면에는 디스플레이(13) 하부에 결재를 위한 단말기(17)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충전함(11) 전면에는 충전건(CG)을 거치할 있도록 거치부(15)가 구비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에는 슬라이드모듈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부가 화면상에 표시되어 사용자가 조작부에 매뉴얼에 따라 조작 및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아울러 충전함(11)의 상부에는 후술할 슬라이드모듈(20)이 정착을 위해 받침부재(19)가 구비되고, 받침부재(19)의 상단에는 수평 형태의 설치프레임(22)이 구비된다.
이 경우 충전케이블(CC)은 충전함(11) 내부에서 받침부재(19)를 통하여 상방으로 인출되고, 인출된 충전케이블(CC)은 전방으로 배출되어 슬라이드모듈(20)의 확장프레임(21) 전단에 거치된 후, 회전모듈(30)을 통하여 하방으로 느슨하게 내려진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모듈(20)은 충전본체(10) 상부에 배치되어 충전케이블(CC)이 거치되고, 전후방향으로 미끄럼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확장프레임(21)이 구비된다.
즉 슬라이드모듈(20)은 확장프레임(21)의 전단부에 충전케이블(CC)이 거치되어 확장프레임(21)이 전후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충전범위(CR1)를 확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라이드모듈(20)은 충전본체(10)의 지지부재(33) 상단에 설치프레임(22)이 장착되고, 이 설치프레임(22)의 상면에는 확장프레임(21)의 이동방향을 따라 복수의 보강부재(22a)가 장착되어 설치프레임(22)의 강성을 보강하고, 보강부재(22a) 상부에는 LM가이드와 같은 가이드블록(27)이 장착 고정된다. 아울러 확장프레임(21)의 하부에는 가이드블록(27)에 결합되는 가이드레일(23)이 장착되어 확장프레임(21)의 이동 시, 가이드레일(23)이 가이드블록(27)을 타고 이동함으로써 확장프레임(21)의 거동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슬라이드모듈(20)은 설치프레임(22) 전방에 구동모터(24)가 장착되고, 이 구동모터(24)의 구동축(24a)에는 피니언기어(25)가 구비되며, 구동모터는 기어드모터나 AC 인덕션모터와, 감속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확장프레임(21)에는 피니언기어(25)에 치합되는 랙기어(26)가 장착되고, 랙기어(26)는 확장프레임(2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 경우 랙기어(26)의 전장길이는 확장프레임(21)의 최대 스트로크로 전후방향 충전범위(CR1)를 규정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슬라이드모듈(20)은 구동모터(24)가 일방향으로 회동하고, 이때 피니언기어(25)가 회전 구동된다. 회전 구동되는 피니언기어(25)에 치합된 랙기어(26)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을 하게 되어 확장프레임(21)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확장프레임의 가이드레일(23)은 가이드블록(27)을 타고 이동함으로써 확장프레임(21)의 원활한 주행이 가능하고, 안정적인 운행을 담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충전케이블(CC)은 충전본체(10)로부터 인출되는데, 이 경우 후술할 회전모듈(30)을 통하여 하방으로 배열되는 충전케이블(CC)의 길이를 제외한 충전케이블(CC)의 인출 길이는 슬라이드모듈(20)의 최대 스트로크 길이에 대응되도록, 즉 동일하거나,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슬라이드모듈(20)의 설치프레임(22)과 확장프레임(21)에는 충전케이블(CC)을 지지하기 위해 제1 탄성부(40)와 제2 탄성부(50)가 각각 구비된다.
제1 탄성부(40)는 설치프레임(22)의 후단부에 구비된 브래킷(60)에 연결되어 위치가 고정되고, 제2 탄성부(50)는 확장프레임(21)의 전단부에 구비된 브래킷(60)에 연결되어 확장프레임(21)과 함께 이동을 하게 된다. 제1 및 제2 탄성부(40)(50)는 리프스프링(leaf spring)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 제1 탄성부(40)는 텐션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직방향으로 직립하는 형태로 배치되고, 텐션이 작용하는 경우 전방으로 휘어져 탄성을 변형을 하게 된다. 아울러 제2 탄성부(50)는 텐션의 작용여부와 무관하게 상시 만곡지게 구부려진 상태로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즉 제1 탄성부(40)와 제2 탄성부(50)는 도 2의 도시와 같이 확장프레임(21)이 최초 지점에 위치하는 경우 충전케이블(CC)의 전단부는 제2 탄성부(50)에 의하여 지지되고, 충전케이블(CC)의 후단부는 제1 탄성부(40)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 경우 충전케이블(CC)은 확장프레임(21)에 의하여 전혀 이동되지 않은 상태로 느슨한 형태로 배치된다.
이때 제1 탄성부(40)는 충전케이블(CC)에 의한 텐션이 작용하지 않게 되므로 탄성을 발휘하여 수직방향으로 세워진 형태로 배치되고, 충전케이블(CC)은 제1 탄성부(40)에 접하는 부분은 제1 탄성부(40)에 의하여 상방으로 배치되어 자중에 의하여 전방으로 구부려지는 형태로 형상이 유지된다. 또한 제2 탄성부(50)에 접하는 충전케이블(CC)은 후방으로 만곡지게 휘어지다가 자중에 의하여 하방으로 처지는 형태로 형상이 유지된다.
한편 도 2의 도시와 같이 확장프레임(21)의 전진하여 최대로 이동하는 경우 충전케이블(CC)의 전단부도 함께 이동을 하게 되고, 이때 충전케이블(CC)은 팽팽한 상태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제1 탄성부(40)는 충전케이블(CC)에 의한 텐션으로 전방으로 휘어지면서 탄성변형을 하여 충전케이블(CC)을 지지하게 된다. 제2 탄성부(50)는 충전케이블(CC)에 의하여 가해지는 텐션에 무관하게 만곡진 형태로 충전케이블(CC)을 지지하게 된다. 이 경우 충전케이블(CC)은 팽팽하게 긴장되어 일직선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즉 확장프레임(21)의 이동 시, 충전케이블(CC)을 충전본체(10)로부터 인출되거나, 인입되는 경우 충전케이블(CC)의 인입출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여야 하므로 비용이 부담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충전케이블(CC)을 확장프레임(21)의 최대 스트로크에 대응되도록 인출시킨 후, 상대적으로 저렴한 제1 및 제2 탄성부(40)(50), 즉 샘플구조인 리프스프링을 도입하여 충전케이블(CC)의 정리 및 정렬을 통해 외관상의 미관을 좋게 할 뿐만 아니라 비용도 절감함으로써 경제성을 담보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회전모듈(30)은 슬라이모듈의 확장프레임(21)에 연결되고, 회전관(31)에 수용된 충전케이블(CC)을 전방위로 회전시켜 충점범위가 확장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모듈(30)은 학장프레임의 전단에 연결되는 지지부재(33)가 구비되고, 이 지지부재(33)에 회전관(31)이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이 경우 지지부재(33)에는 회전관(31)을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구조가 내장된다.
또한 회전관(31)은 회동이 가능하되, 충전범위(CR1)를 충분히 확보하기 일정 길이 이상으로 형성되어 수평방향으로 배치된다. 예컨대 차량의 폭을 고려할 때 회전관(31)의 길이를 1m 이상으로 제작하는 경우 회전관(31)의 회전반경은 2m 이상이 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차량의 충전 소켓의 위치가 다양하고, 차량의 정차 위치에 따라 충전 소켓을 위치가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커버리지 범위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회전관(31)에 수용된 충전케이블(CC)은 외부로 일정한 길이로 인출되어 있으며, 충전케이블(CC) 단부에는 충전건(CG)이 구비된다. 이 경우 충전건(CG)은 도 2의 도시와 같이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충전케이블(CC)은 두께가 일정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취급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에 충전건(CG)의 배열위치를 수평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차량의 충전 소켓에 충전건(CG)을 바로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전기차 충전장치는 슬라이드모듈(20)과 회전모듈(30)에 의하여 충전범위(CR1)를 확장할 수 있는데, 이하에서는 각 모듈의 동작과 이에 의하여 확장되는 충전범위(CR1)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상태, 즉 확장프레임(21)이 전방으로 인출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전후방향으로 충전범위(CR1)는 변화가 없으나, 도 3의 도시와 같이 회전관(31)의 회전에 의하여 충전범위(CR1)는 회전관(31)의 회전반경인 서클영역(CR2)이 된다.
도 5의 도시와 같이 확장프레임(21)이 구동모터(24)의 구동, 즉 피니언기어(25)의 회전에 의하여 랙기어(26)가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때 확장프레임(21)은 가이드블록(27)이 가이드(23)를 타고 전방으로 이동을 하게 된다. 이 경우 충전범위(CR1)는 도 3의 도시와 같이 전후방향으로 확장프레임(21)의 인출된 길이만큼 확장되고, 동시에 회전관(31)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관(31)의 회전반경 만큼 전방위로 충전범위(CR1)가 확장된다.
아울러 확장프레임(21)의 복귀를 하게 되면 도 4의 도시와 같이 최초 상태에 놓이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전기차 충전장치는 차량의 정차 위치, 충전 소켓의 설치 위치에 상관없이 슬라이드모듈(20)과 회전모듈(30)의 조작으로 충분한 충전범위(CR1)를 확보하여 충전을 수행함으로써 충전이 쉽고 용이하고,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줌으로써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례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례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C : 충전케이블 CG : 충전건
CR1 : 충전범위 CR2 : 서클영역
10 : 충전본체
11 : 충전함 13 : 디스플레이
15 : 거치부 17 : 단말기
19 : 받침부재
20 : 슬라이드모듈
21 : 확장프레임 22 : 설치프레임
22a : 보강부재 23 : 가이드레일
24 : 구동모터 24a : 구동축
25 : 피니언기어 26 : 랙기어
27 : 가이드블록
30 : 회전모듈
31 : 회전관 33 : 지지부재
40 : 제1 탄성부
50 : 제2 탄성부
60 : 브래킷

Claims (6)

  1. 충전본체(10);
    상기 충전본체(10)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충전본체(10)로부터 인출된 충전케이블(CC)이 거치되고, 전후방향 미끄럼이동이 가능한 확장프레임(21)이 구비된 슬라이드모듈(20); 및
    상기 슬라이드모듈(20)의 확장프레임(21) 전단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충전케이블(CC)이 수용되는 회전관(31)을 갖는 회전모듈(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슬라이드모듈(20)과 상기 회전모듈(30)에 의하여 충전케이블(CC)을 전방위로 이송 및 방향 전환하고,
    상기 충전케이블(CC)의 인출 길이는 상기 확장프레임(21)의 최대 스토로크에 대응되도록 구성되며,
    설치프레임(22) 후단부와 상기 확장프레임(21)의 전단부에는 상기 충전케이블(CC)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및 제2 탄성부(40)(50)가 구비되되,
    상기 제1 및 제2 탄성부(40)(50)는 상기 충전본체(10)로부터 인출된 충전케이블(CC)이 일정한 배열형상을 갖도록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범위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모듈(30)은 상기 슬라이드모듈(20)의 확장프레임(21) 전단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관(31)의 회전 동작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3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범위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드모듈(20)은
    상기 충전본체(10) 상부에 배치되고, 보강부재(22a)가 구비되는 설치프레임(22)과,
    상기 확장프레임(21)에 구비되는 가이드레일(23)과,
    상기 보강부재(22a)에 구비되고, 상기 가이드레일(23)의 주행이 가능하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블록(27)과,
    상기 설치프레임(22)에 장착되고, 피니언기어(25)가 구동축(24a)에 연결되는 구동모터(24)와,
    상기 확장프레임(21)에 장착되어 상기 피니언기어(25)와 치합되는 랙기어(2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범위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40)는 상기 충전케이블(CC)의 긴장 상태에서 탄성을 발휘하고, 상기 충전케이블(CC)이 느슨한 상태에서 복원되어 수직방향으로 직립되게 배치되어 상기 충전케이블(CC)의 배열형상을 변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범위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50)는 만곡지게 형성되어 상기 충전케이블(CC)의 배열형상을 동일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범위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
KR1020200037158A 2020-03-26 2020-03-26 충전범위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 KR1023378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158A KR102337851B1 (ko) 2020-03-26 2020-03-26 충전범위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7158A KR102337851B1 (ko) 2020-03-26 2020-03-26 충전범위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449A KR20210120449A (ko) 2021-10-07
KR102337851B1 true KR102337851B1 (ko) 2021-12-09

Family

ID=78114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7158A KR102337851B1 (ko) 2020-03-26 2020-03-26 충전범위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78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22800B (zh) * 2021-11-30 2024-02-27 宁波三星智能电气有限公司 一种充电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0408A (ja) * 2010-10-19 2012-05-10 Toyota Industries Corp 車両用充電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7826A1 (en) * 2014-06-27 2015-12-30 Easycharge.Me Gmbh Ceiling mounted charging station and parking structure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KR101737818B1 (ko) 2016-11-16 2017-05-22 보타리에너지 주식회사 전기차 충전장치
KR102002779B1 (ko) * 2017-03-17 2019-07-23 김기섭 전기자동차용 충전케이블 길이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090408A (ja) * 2010-10-19 2012-05-10 Toyota Industries Corp 車両用充電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0449A (ko) 2021-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81289B1 (ko) 차량용 에이브이엔 모니터 작동장치
KR102337851B1 (ko) 충전범위 확장구조를 갖는 전기차 충전장치
EP2196342A1 (en) Roll sunshade device
US10686310B2 (en) Power supply structure for movable body and extra part draw-in mechanism
CN106536276B (zh) 用于车辆的腿支托装置
CN112145018B (zh) 对象物移动装置
CN104512349A (zh) 用于遮阳板的显示设备固定装置
JP2012196093A (ja) 充電システム
KR100625351B1 (ko) 수납식 디스플레이장치
US9796250B2 (en) Vehicle window regulator, and vehicle door structure comprising the vehicle window regulator
CN113098995A (zh) 一种可滑动的柔性显示设备
JP5613923B1 (ja) 車両用テレビモニタ収納装置
CN109159701B (zh) 自动停止放线的充电桩
US5836256A (en) Apparatus for moving automatic teller machines between retracted and extended positions
CN106608162B (zh) 用于车辆的电动门帘
KR101417596B1 (ko) 도어용 글라스와 커튼 일체형 레귤레이터 장치
JP2014124079A (ja) 送電機器
CN114423923B (zh) 驱动装置及窗玻璃升降装置
KR102329170B1 (ko) 충전케이블의 높이 및 각도조절수단이 구비된 전기차 충전장치
US2253029A (en) Windshield wiper
KR100495216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크린 커버 장치
CN218257786U (zh) 充电桩
CN211480717U (zh) 一种抽出式开关
CN221137550U (zh) 一种汽车帘幕装置
KR101542723B1 (ko) 가변 팔을 갖는 평판 표시장치의 천장 수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