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9497Y1 -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9497Y1
KR200429497Y1 KR2020060020962U KR20060020962U KR200429497Y1 KR 200429497 Y1 KR200429497 Y1 KR 200429497Y1 KR 2020060020962 U KR2020060020962 U KR 2020060020962U KR 20060020962 U KR20060020962 U KR 20060020962U KR 200429497 Y1 KR200429497 Y1 KR 20042949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cable
case
boom
pull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209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재훈
Original Assignee
대영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영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영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209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949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94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94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7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electric motors or gener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Abstract

본 고안은 일단이 상용전원에 접속되고 타단이 자주식 작업기계에 접속된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자주식 작업기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주(10), 상기 지주(10)의 상하 선반부(10a)에 선회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케이블(C) 및 와이어(C)를 감고 풀 수 있는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의 상단 선단에 일단지지되어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붐대(40), 상기 붐대(40)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20)에서 인출된 케이블(C) 및 와이어(W)와 함께 전진 및 후진하는 캐리어(50)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캐리어(50)는, 상부선단에 구비된 철편(50a), 하부선단에 구비된 자성을 지닌 스톱편(50b), 상기 붐대(40)의 플랜지 상을 구름운동하는 롤러(51), 그리고 전원 케이블(C) 및 한쌍의 와이어(W)을 매달아 지지하는 롤러(52)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붐대(40)의 선단에는 상기 캐리어(50)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하는 자성을 지닌 스톱편(41)이 고정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50)와 상기 자주식 작업기계(200) 사이에 배선되는 상기 한쌍의 와이어(W)의 도중에는 상기 자성을 지닌 스톱편(50b)에 자력에 의해 붙을 수 있는 한쌍의 철편(42)이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지주, 케이스, 캐리어, 붐대

Description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apparatus for supplying power to a vehicle driven by electric}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의 전체 개략도.
도 2는 도 1의 캐리어에 대한 상세도.
본 고안은, 건물 내에서 작업을 실시하는 자주식 작업 기계의 급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에 전기를 공급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내에서 작업하는 자주식 작업 기계는, 하부 주행체와 이 하부 주행체 상에 선회 자재로 탑재된 상부 선회체와 이 상부 선회체의 선회 중심 부근에 기단이 장착된 상하 방향으로 요동 가능한 붐과 이 붐의 첨단 측에 암을 개입시켜 장착된 클램프 장치 등을 갖추고서 하부 주행체로 주행하면서, 상부 선회체를 선회시키켜서 클램프 장치 등을 조작해 작업을 실시하게 되어 있다.
이런 종류의 자주식 작업 기계는, 통상, 유압 펌프의 원동기로서는 엔진이 상부 선회체에 장비되어 있다. 그러나, 근년, 유류파동에 영향을 받는 일 없이 그 리고 주변환경에 소음을 제공함 없이 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엔진 대신에 전동기를 상부 선회체에 장비함과 함께, 이 전동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급전장치를 장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자주식 작업 기계의 급전장치가 본 출원인에 의해 출원된 한국등록실용공보 제20-0387785호(이하, '제1공보'라 함)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제1공보의 급전장치는 상단 고정형 도르레와 하단 이동형 도르레(무게추가 고정됨)에 케이블을 감아서 작은 힘으로 케이블의 텐션과 케이블의 인입/인출을 가능하게 하는 케이블 길이 조절 장치를 구비한 한국등록실용공보 제20-0237497호(이하, '제2공보'라 함)의 작업차용 전원공급장치를 개선한 것으로서, 자주식 작업 기계와 케이블 길이 조절 장치 사이의 거리가 멀어지면, 케이블이 그만큼 길어지게 되어 케이블이 처지게 되고 케이블의 단선위험도 있고, 상당한 길이의 케이블을 감고 있는 케이블 길이 조절 장치가 케이블이 지니는 무게(약 1톤)로 인하여 자주식 작업 기계의 주행부의 선회운동에 따라 원할하게 선회운동되지 못하여 케이블이 부하를 받게 하여 결국 케이블이 단선되는 상기 제2공보의 전원공급장치를 개선하여, 붐대를 이용하여 케이블의 처짐을 방지함과 동시에 붐대의 큰 모우멘트를 이용하여 자주식 작업 기계의 주행부의 선회운동에 따라 케이블 길이 조절 장치가 원할하게 선회운동할 수 있게 하였다.
하지만, 상기 제1공보의 급전장치에서는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와 케이블 길이 조절 장치 사이의 거리를 멀리할 수 있는 데 한계가 있고, 순간적으로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가 이동하게 되면, 붐대의 선단 측에 배치되어 중량체(제1공보에 부 호 15호서 지시됨)에 인장되고 있는 지지구(제1공보에 부호 14a로서 지시됨)가 케이블에 큰 충격을 주어 케이블이 단선될 수 있다.
본 고안은 상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기 제1공보의 장점과 상기 제2공보의 장점을 가질 수 있는 자주식 작업기계의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일단이 상용전원에 접속되고 타단이 자주식 작업기계에 접속된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자주식 작업기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지주, 상기 지주의 상하 선반부에 선회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케이블 및 와이어를 감고 풀 수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상단 선단에 일단지지되어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붐대, 상기 붐대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에서 인출된 케이블 및 와이어와 함께 전진 및 후진하는 캐리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캐리어는, 상부선단에 구비된 철편, 하부선단에 구비된 자성을 지닌 스톱편, 상기 붐대(40)의 플랜지 상을 구름운동하는 롤러, 그리고 전원 케이블 및 한쌍의 와이어을 매달아 지지하는 롤러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붐대의 선단에는 상기 캐리어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하는 자성을 지닌 스톱편이 고정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와 상기 자주식 작업기계 사이에 배선되는 상기 한쌍의 와이어의 도중에는 상기 자성을 지닌 스톱편에 자력에 의해 붙을 수 있는 한쌍의 철편이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에는 본 실시예의 자주식 작업기계의 전원공급장치가 부호 100로서 지시되어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100)는 지주(10), 상기 지주(10)의 상하 선반부(10a)에 선회운동가능하게 지지된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의 상단 선단에 일단지지되어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붐대(40), 상기 붐대(40)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케이블(C)과 함께 전진 및 후진하는 캐리어(5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지주(10)에는 배선반(4)이 구비되어 있고, 이 배선반(4)에는 케이블(C)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케이블(C)의 타단에는 자주식 작업기계(200)의 카본블러쉬(슬립링; 210))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카본블러쉬는 회전체에 전기적으로 접속시킬 때 이용되는 공지의 부품이다.
상기 케이스(20)에는 상단에 복수개의 고정형 도르레(21) 쌍들이 배치되어 있고, 하단에 복수개의 이동형 도르레(22) 쌍들이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 도르레(22)쌍들 각각에는 무게추(P)가 구비되어 상기 도르레(22)쌍과 무게추(P)가 함께 이동하게 된다.
상기 배선반(4)에 일단이 접속된 케이블(C)이 상기 케이스(20)의 입구(23)를 경유하여 상기 도르레(21)쌍들 중 가운데 배치된 도르레(21) 및 상기 도르레(22)쌍들 중 가운데 배치된 도르레(22)에 번갈아 감겨져 케이스(20) 밖으로 해서 카본블러쉬(210)에 배선되어 있고, 케이스의 상단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고정된 한쌍의 와이어(W)가 상기 도르레(21)쌍들 중 양측에 배치된 도르레(21)들 및 상기 도르 레(22)쌍들 중 양측에 배치된 도르레(22)에 번갈아 감겨져 케이스(20) 밖으로 해서 카본블로쉬 부근에 타단측이 배선되어 있다.
상기 붐대(40)에는 캐리어(50)를 개입시켜 케이블(C)이 매달린 상태에서 지지를 받고 있다.
상기 붐대(40)은, 단면 I자 모양으로 되어 있으며, 자주식 작업 기계(200)가 주로 전진·후퇴 주행할 방향과 대략 일치하여 직선 모양으로 그리고 대략 수평으로 뻗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50)는 상기 붐대(40)를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부선단에 제 1철편(50a)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캐리어(50)는 상기 붐대(40)의 상단/하단 플랜지(40a)상을 구름운동하는 8개의 롤러(51), 그리고 전원 케이블(C) 및 한쌍의 와이어(W)을 매달아 지지하는 3개의 롤러(52)를 가지고서, 상기 롤러(52)로 전원 케이블(C) 및 한쌍의 와이어(W)을 유지하면서 8개의 롤러(51)가 붐대(40)의 상단/하단 플랜지(40a)상을 구름운동해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붐대(40)의 선단에는 상기 제 1철편(50a)과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상기 캐리어(50)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하는 자성을 지닌 제 1스톱편(41)이 고정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50)와 상기 자주식 작업기계(200) 사이에 배선되는 상기 한쌍의 와이어(W)의 도중에는 상기 캐리어(50)의 하부선단에 구비된 자성을 지닌 제 2스톱편(50b)에 자력에 의해 붙을 수 있는 한쌍의 제 2철편(42)이 고정되어 있다.
상기 자주식 작업기계(200)가 상기 붐대(40)의 기단 부근에 위치된 상태에서 전진 이동하게 되면, 상기 붐대(40)의 기단부근에 배치된 캐리어(50)가 상기 붐대(40)를 따라 전진하게 되고, 계속해서 상기 자주식 작업기계(200)가 전진하게 되면, 상기 제 1스톱편(41)과 상기 제1철편 간의 자성 결합에 의해 상기 캐리어(50)가 그 전진운동을 멈추게 되면서, 상기 제 2스톱편(50b)에 자력에 의해 붙어 있던 상기 한쌍의 제 2철편(42)이 이탈되게 되어, 상기 케이블(C)과 상기 한쌍의 와이어(W)가 풀리면서 상기 캐리어(50)로부터 멀리 연장되기 시작한다.
또한, 상기 자주식 작업기계(200)가 상기 붐대(40)의 선단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상기 붐대(40)의 기단 부근으로 후진 이동하게 되면, 상기 제 1철편(50a)과 상기 제 1스톱편(41)이 자력에 의해 결합되어 있어서, 상기 붐대(40)의 선단부근에 캐리어(50)가 배치된 상태로 유지되면서, 상기 무게추(P)에 의해 상기 케이블(C)과 상기 한쌍의 와이어(W)가 상기 케이스(20) 내로 권취되게 되고, 계속해서 상기 자주식 작업기계(200)가 후진하게 되면, 상기 제 2스톱편(50b)과 상기 한쌍의 제 2철편(42)이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되게 되면서, 상기 제 2철편(42)과 상기 자주식 작업기계(200) 사이에 배선되는 상기 케이블(C)과 상기 한쌍의 와이어(W)이 더 이상 권취되지 못하게 되고, 계속해서 상기 자주식 작업기계(200)가 후진하게 되면,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어 있는 상기 제 1철편(50a)과 상기 제 1스톱편(41)이 분리되어, 상기 붐대(40)의 선단부근에 배치된 캐리어(50)가 상기 붐대(40)를 따라 상기 붐대(40)의 기단부근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설명에서 자성편(42)이 와이어(W)의 도중에 고정되어 있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케이블(C)의 도중에 고정되어 있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본 고안은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와 전원공급장치 사이의 거리를 멀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순간적으로 상기 자주식 작업 기계가 이동하게 되어도, 케이블에 큰 충격을 주지 않아 케이블이 단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상당한 길이의 케이블을 감고 있는 케이스가 케이블이 지니는 무게(약 1톤)로 인하여 고중량이어도, 케이스를 선회운동시키는 작용점이 케이스의 회전중심과 멀리 있어, 작은 힘으로도 케이스가 선회운동가능하게 하여, 자주식 작업 기계의 주행부의 선회운동에 따라 원할하게 선회운동될 수 있다.

Claims (2)

  1. 일단이 상용전원에 접속되고 타단이 자주식 작업기계에 접속된 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면서 자주식 작업기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에 있어서,
    지주(10),
    상기 지주(10)의 상하 선반부(10a)에 선회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케이블(C) 및 와이어(C)를 감고 풀 수 있는 케이스(20),
    상기 케이스(20)의 상단 선단에 일단지지되어 수평방향으로 돌출된 붐대(40),
    상기 붐대(40)에 이동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케이스(20)에서 인출된 케이블(C) 및 와이어(W)와 함께 전진 및 후진하는 캐리어(50)를 포함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상기 캐리어(50)는, 상부선단에 구비된 철편(50a), 하부선단에 구비된 자성을 지닌 스톱편(50b), 상기 붐대(40)의 플랜지 상을 구름운동하는 롤러(51), 그리고 전원 케이블(C) 및 한쌍의 와이어(W)을 매달아 지지하는 롤러(52)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붐대(40)의 선단에는 상기 캐리어(50)가 더 이상 전진하지 못하게 하는 자성을 지닌 스톱편(41)이 고정적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캐리어(50)와 상기 자주식 작업기계(200) 사이에 배선되는 상기 한쌍의 와이어(W)의 도중에는 상기 자성을 지닌 스톱편(50b)에 자력에 의해 붙을 수 있는 한쌍의 철편(42)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20)에는 상단에 복수개의 고정형 도르레(21) 쌍들이 배치되어 있고, 하단에 복수개의 이동형 도르레(22) 쌍들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이동형 도르레(22)쌍들 각각에는 무게추(P)가 구비되어 상기 도르레(22)쌍과 무게추(P)가 함께 이동하게 되며,
    전원에 일단이 접속된 케이블(C)이 상기 케이스(20)의 입구(23)를 경유하여 상기 도르레(21)쌍들 중 가운데 배치된 도르레(21) 및 상기 도르레(22)쌍들 중 가운데 배치된 도르레(22)에 번갈아 감겨져 케이스(20) 밖으로 해서 카본블러쉬(210)에 타단측이 배선되어 있고, 케이스의 상단에 일단이 고정적으로 고정된 한쌍의 와이어(W)가 상기 도르레(21)쌍들운 양측에 배치된 도르레(21)들 및 상기 도르레(22)쌍들 중 양측에 배치된 도르레(22)에 번갈아 감겨져 케이스(20) 밖으로 해서 카본블러쉬(210) 부근에 타단측이 배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KR2020060020962U 2006-08-04 2006-08-04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KR2004294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962U KR200429497Y1 (ko) 2006-08-04 2006-08-04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20962U KR200429497Y1 (ko) 2006-08-04 2006-08-04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73611A Division KR100843355B1 (ko) 2006-08-04 2006-08-04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9497Y1 true KR200429497Y1 (ko) 2006-10-23

Family

ID=4177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20962U KR200429497Y1 (ko) 2006-08-04 2006-08-04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9497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782B1 (ko) 2009-10-28 2010-04-02 주식회사 3국산업 포크레인 시스템
KR100955519B1 (ko) 2009-01-19 2010-04-30 주식회사 경원이엔지 승하강 작동간을 이용한 전기식 건설기계의 전선 보호 장치 및 방법
KR100965381B1 (ko) 2008-06-13 2010-06-22 이한준 굴삭기용 전원 공급장치
KR100977350B1 (ko) * 2008-07-29 2010-08-20 정태현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
KR101025319B1 (ko) * 2008-12-22 2011-03-29 주식회사 경원이엔지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기식 건설기계의 전원 케이블 보호 장치 및 방법
CN108487363A (zh) * 2018-06-14 2018-09-04 山东永弘工程设备有限公司 一种电缆式电动挖掘机的供电系统
CN114908822A (zh) * 2022-06-30 2022-08-16 常州市力烨重型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滑线式电动装载机
US11975625B2 (en) 2019-09-03 2024-05-07 Nodum Industries Ltd. Cable support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5381B1 (ko) 2008-06-13 2010-06-22 이한준 굴삭기용 전원 공급장치
KR100977350B1 (ko) * 2008-07-29 2010-08-20 정태현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
KR101025319B1 (ko) * 2008-12-22 2011-03-29 주식회사 경원이엔지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전기식 건설기계의 전원 케이블 보호 장치 및 방법
KR100955519B1 (ko) 2009-01-19 2010-04-30 주식회사 경원이엔지 승하강 작동간을 이용한 전기식 건설기계의 전선 보호 장치 및 방법
KR100950782B1 (ko) 2009-10-28 2010-04-02 주식회사 3국산업 포크레인 시스템
CN108487363A (zh) * 2018-06-14 2018-09-04 山东永弘工程设备有限公司 一种电缆式电动挖掘机的供电系统
US11975625B2 (en) 2019-09-03 2024-05-07 Nodum Industries Ltd. Cable support
CN114908822A (zh) * 2022-06-30 2022-08-16 常州市力烨重型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滑线式电动装载机
CN114908822B (zh) * 2022-06-30 2023-09-12 常州市力烨重型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滑线式电动装载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29497Y1 (ko)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CN204090613U (zh) 自走式球形树木修剪机
KR102149670B1 (ko) 송전용 지중케이블 와인딩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송전용 지중케이블 설치시스템
CN203273010U (zh) 滑轮支架、滑轮支架组件和采矿车辆
CN109835819A (zh) 隧道用移动式吊机
CN115425577A (zh) 一种用于竖直桥架大直径电缆线铺设辅助系统及方法
KR100843355B1 (ko)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CN104274987A (zh) 能实现三维空间自由运动的单点装备
KR200429751Y1 (ko)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JP2002211388A (ja) トロリ線を架設するための装置と方法
CN212614751U (zh) 一种移动臂架及一种隧道施工台车
JP5688934B2 (ja) 油圧ユニット
CN210505309U (zh) 一种岸电电缆取电系统
CN203469490U (zh) 能实现三维空间自由运动的单点装备
KR200432062Y1 (ko)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CN208209402U (zh) 一种通信工程用吊旋安装辅助装置
CN218493613U (zh) 一种隧道防水板铺挂台车
KR100829193B1 (ko) 단선방지형 전동 중장비
KR20190130320A (ko) 선박용 접안장치
CN212355974U (zh) 一种电缆放线车
CN203806977U (zh) 钢丝绳缠绕机构
CN107963553A (zh) 一种多自由度夹爪
JP2015145314A (ja) 建設機械
CN215827700U (zh) 一种煤矿煤机电缆机械自移装置
KR200468587Y1 (ko) 굴삭기의 전원공급용 케이블 리프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30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