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350B1 -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 - Google Patents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350B1
KR100977350B1 KR1020080073883A KR20080073883A KR100977350B1 KR 100977350 B1 KR100977350 B1 KR 100977350B1 KR 1020080073883 A KR1020080073883 A KR 1020080073883A KR 20080073883 A KR20080073883 A KR 20080073883A KR 100977350 B1 KR100977350 B1 KR 1009773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power
power cable
post
connection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476A (ko
Inventor
정태현
Original Assignee
정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태현 filed Critical 정태현
Priority to KR10200800738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7350B1/ko
Publication of KR20100012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3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3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75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hybrid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07Type of prime mover
    • F15B2211/20515Electric mo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2211/00Circuit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2211/20Fluid pressure source, e.g. accumulator or variable axial piston pump
    • F15B2211/205Systems with pumps
    • F15B2211/20507Type of prime mover
    • F15B2211/20523Internal combustion eng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워연결구조는 적어도 작업동작부위가 유압실린더에 의해 동작되고 유압실린더는 유압펌프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유압펌프는 전기모터를 포함하는 전기장치에 의해 동작되는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와 전기파워소스를 연결하는 것으로서, 전기파워소스와 굴삭기 본체(10) 각각에 양단이 각기 연결된 전원케이블(230)과, 전원케이블을 지상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들어올려서 지지 및 안내하는 케이블 지지부(210) 및 전원케이블이 감겨지고 전기파워소스와 굴삭기 본체 사이의 전원케이블의 길이를 조정하도록 배치되는 케이블 릴부(220)로 구성된 파워연결부(20)를 포함한다. 따라서, 굴삭기 본체가 보다 넓은 이동 및 작업 범위를 가질 수 있고, 그 범위 내에서 안전하고 자유롭게 이동 및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하이브리드 굴삭기, 케이블 릴, 파워 연결 구조

Description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 {POWER CONNECTION STRUCTURE FOR HYBRID EXCAVATOR USING ELECTRICAL POWER}
본 발명은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전기를 이용하여 작동되는 굴삭기 본체가 보다 넓은 이동 및 작업 범위를 가질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그 범위 내에서 안전하고 자유롭게 이동 및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는 건설현장이나 폐기물 처리장 등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중장비는 일반적으로 장비 자체의 이동을 위한 엔진 및 바퀴 또는 궤도로 이루어지는 이동 동작 부위와 암이나 버켓과 이를 구동하기 위한 유압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지는 작업 동작 부위로 나누어진다. 작업 동작 부위는 모터 및 유압실린더로 구성되어 있고, 그 원천적인 동력은 유류를 이용하는 내연기관으로부터 나온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중장비는 주로 높은 부하가 걸리는 작업에 이용되기 때문에, 많은 연료를 소모하게 된다. 이는 현재와 같은 고유가 시대에서는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으며, 심지어는 비용이 수익을 초과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종래에 유선 케이블을 통해 공급되는 전기를 이용하여 작업 동작 부위가 동작하는 중장비가 개발되어 이용되고 있다. 전기를 이용한 장비가 유류를 이용하는 장비보다 월등히 효율이 좋다는 것은 이미 입증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전동 중장비는 전원케이블이 길이 제약으로 인해 그 활용에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전원케이블은 고압 전류이기 때문에 자체의 동작과의 간섭은 물론 다른 장비와의 간섭이 전혀 없어야 한다. 또한, 전원케이블은 최대한 긴 길이를 제공하여 전동 중장비의 넓은 이동 범위를 제공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동 중장비는 이러한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였고, 그에 따라 아주 제한된 장소 범위, 예를 들어 반경 20 내지 30m 범위 내에서만 이용되었다.
따라서 좀 더 넓은 이동 범위를 가질 수 있는 전동 중장비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상대적으로 넓은 이동 범위가 보장되는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작업 동작 부위가 유압 실린더에 의해 동작되고 유압 실린더는 유압펌프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유압펌프는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전기 장치에 의해 동작되는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가 제공되며, 이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는: 전기 장치를 구비하는 굴삭기 본체; 및 전기 파워 소스와 굴삭기 본체에 설치된 전기 장치를 연결하는 파워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연결부는, 상기 전기 파워 소스와 상기 굴삭기 본체에 설치된 전기 장치 각각에 양단이 각기 연결된 전원케이블, 상기 전원케이블을 지상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들어올려서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부, 및 상기 전원케이블이 감겨지고 상기 전기 파워 소스와 상기 굴삭기 본체 사이의 상기 전원케이블의 길이를 조정하도록 배치되는 케이블 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블 릴부는 자동 권취형 케이블 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블 지지부는: 지상에 세워진 포스트부; 및 상기 포스트부의 소정 높이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되, 결합된 상태에서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로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케이블이 상기 포스트부 및 상기 가로대부에 의해 상기 포스트부 및 상기 가로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적어도 작업 동작 부위가 유압 실린더에 의해 동작되고 유압 실린더는 유압펌프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유압펌프는 전기 모터를 포함하는 전기 장치에 의해 동작되는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와 전기 파워 소스를 연결하는 파워 연결 구조가 제공되며, 이 파워 연결 구조는: 상기 전기 파워 소스에 연결되어 상기 굴삭기의 전기 장치에 전기 파워를 전달하기 위한 전원케이블; 상기 전원케이블을 지상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들어올려서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부; 및 상기 전기 파워 소스와 상기 굴삭기 본체 사이의 상기 전원케이블의 길이를 조정하도록 배치되는 케이블 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블 지지부는: 지상에 세워진 포스트부; 및 상기 포스트부의 소정 높이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되, 결합된 상태에서 종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가로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케이블이 상기 포스트부 및 상기 가로대부에 의해 상기 포스트부 및 상기 가로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안내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포스트부는: 지상에 고정 설치되는 제1포스트; 및 상기 제1포스트의 상단에 횡방향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포스트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가로대부는: 상기 제2포스트의 상단 부위에 종방향의 회동이 가능하게 연결되는 가로대; 및 상기 제2포스트에 설치되어 상기 가로대를 종방향으로 회동시키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회동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회동 수단은 상 기 포스트부의 제2포스트에 지지되어 상기 가로대를 종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를 동작시키는 유압펌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블 릴부는, 자동 권취형 케이블 릴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 권취형 케이블 릴은, 상기 전원케이블에 가해진 당기는 힘이 기준 토르크 이상이면 상기 전원케이블이 인출되고, 상기 전원케이블에 가해지는 당기는 힘이 없거나 상기 기준 토르크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전원케이블을 권취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블 릴부는 상기 굴삭기 본체에 설치될 수 있다.이 경우에 상기 케이블 릴부는: 상기 굴삭기 본체에 횡방향의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케이블이 감겨지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을 회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모터와 드럼 간의 동력 전달 수단으로서, 상기 전원케이블에 가해진 당기는 힘이 기준 토르크 이상이면 상기 전원케이블이 인출되고, 상기 전원케이블에 가해지는 당기는 힘이 없거나 상기 기준 토르크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전원케이블을 권취하도록 동작하는 클러치를 구비하는 감속장치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로대부의 원단부 부위에 설치되는 연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기는 상기 가로대 측의 전원케이블과 상기 굴삭기 본체 측으로부터의 전원케이블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케이블 릴부는 상기 전원케이블이 감겨있는 드럼과, 상기 전원케이블이 인출될 때 상기 드럼의 회전에 대한 반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프링 구동형 자동 권취 케이블 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블 릴부는 상기 포스트부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는 보다 안전한 파워연결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기존보다 훨씬 길이가 긴 전원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장비의 이동 및 작업 범위가 크게 향상된다. 따라서, 고유가 시대에 비용절감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적으로 전체 도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가 적용되었다. 공지된 기술 부분에 대해서는 이해의 도움을 위해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 및 그를 위한 파워 연결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 및 그를 위한 파워 연결 구조의 전원케이블 착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 및 그를 위한 파워 연결 구조의 일부분에 대한 도면으로서, 포스트부와 가로대부의 결합 구조를 보여준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 및 그를 위한 파워 연결 구조의 일부분에 대한 도면으로서, 케이블 릴부를 보여준다. 도 5 도 1에 도시된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 및 그를 위한 파워 연결 구조의 일부분에 대한 도면으로서, 전원케이블의 연결기를 보여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는 굴삭기 본체(10)에 전기파워소스를 연결하는 파워연결부(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굴삭기 본체(10)는 적어도 작업동작부위, 예를 들어, 붐 실린더와 같은 유압실린더와, 유압실린더를 작동시키기 위한 유압펌프 등을 포함하고, 이 유압펌프를 전기모터에 의해 동작시키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작업동작부위 이외에 이동동작부위가 유압을 통해 구동되는 중장비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를 테면, 내연기관의 엔진을 유압을 이용하는 장치로 교체하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굴삭기 본체(10)의 몸통의 회전을 위한 모터에도 전기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의 굴삭기 본체(10)는 위의 예에 한정되지 않고 전기로 구동될 수 있는 중장비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중장비라함은 유선 케이블로 전기를 공급 받아서 구동될 수 있는 작업 장비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에 있어서 파워연결부(20)는 굴삭기 본체(10)에 설치된 전기모터(미도시)를 포함하는 전기장치(미도시)에 전원케이블(230)을 통해 전기파워소스로부터의전기파워를 전달하고, 굴삭기 본체(10)에 안전하고 충분한 이동 범위를 제공할 수 있도록 연결한다.
파워연결부(20)는 전기파워소스에 연결되어 굴삭기 본체(10)에 설치된 전기장치에 전기파워를 전달하기 위한 전원케이블(230)과, 전원케이블(230)을 지상으로부터 소정 높이로 들어올려서 지지하는 케이블 지지부(210)와, 전원케이블이 감겨지고 파워소스와 굴삭기 본체(10) 사이의 전원케이블(230)의 길이를 조정하도록 배치되는 케이블 릴부(220)를 포함한다.
케이블 지지부(210)는 지상에 고정되는 포스트부(211)와, 포스트부(211)에, 횡방향 및 수직방향의 회전 이동이 가능하게 가로방향으로 결합되는 가로대부(212)를 포함한다. 이 케이블 지지부(210) 즉, 포스트부(211)와 가로대부(212)에 의해 그들의 길이방향을 따라 전원케이블(230)이 지지된다. 지지되는 방식으로는 전원케이블(230)이 포스트부(211)와 가로대부(212)에 그들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부착 및 고정되거나, 포스트들을 중공형으로 설치하여 그 내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되는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가로대부(212)는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회동 가능하다. 이는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에 안전하고 넓은 이동 범위를 제공하기 위하고, 또한 후술되는 전원케이블(230)의 착탈을 위한 것이다. 따라서, 아래에 설명되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가로대부가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회동할 수 있는 구조라면 가능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가로대부(212)의 횡방향의 회동을 위해 포스트부(211)가 제1포스트(211-1)와 제2포스트(211-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포스트(211-1)는 지상에 고정 설치되는 포스트일 수 있다. 제2포스트(211-2)는 제1포스트(211-1)의 상단부에 단부를 맞대고 결합되며, 횡방향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포스트(211-1)와 제2포스트(211-2) 사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 베어링(214)을 포함하는 결합구조(213)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로대부(212)의 가로대는, 적어도 종방향의 회동을 가능하게 하는 힌지(215)를 통해, 포스트부(211)의 제2포스트(211-2)의 상단부에 결합된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가로대(219)의 근단부 부위가 제2포스트(211-2)의 상단부 부위에 힌지(215)를 통해 적어도 종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가로대부(212)는 가로대(219)의 종방향 회동을 위한 회동 수단(260)을 구비한다. 회동 수단(260)은 바람직하게는 제2포스트(211-2)에 설치되는 실린더(261)를 포함한다. 이 실린더(261)는 유압펌프(미도시)에 구동될 수 있고, 가로대(219)를 종방향, 즉 상하방향으로 회동 또는 승강시킨다. 따라서, 굴삭기 본체(10)가 작업 중에는 전원케이블(230)을 들어올리고, 전원케이블(230)을 착탈할 때는 가로대(219)를 아래로 내려서 가로대(219)의 원단부 부위에 전원케이블(230)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가로대부(212)는 포스트부(211)에 결합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원단부 부위의 반대 측에 무게추가 구비될 수 있다. 무게추의 중력 보다 전원케이블(230)에 가해지는 인력이 작을 경우에는 가로대(219)의 원단부 부위가 들어올려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외에, 가로대(219)가 종방향 및 횡방향의 회동이 가능한 구조라면, 가로대(219)의 결합 구조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로대(219)의 지지를 위해 보조 지지대(265)와 와이어(266)가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가로대부(212)는 횡방향으로 360도 또는 그 이하로 회전 가능하다. 따라서, 굴삭기 본체(10)가 전원케이블(230)의 길이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원케이블(230)은 다양한 방식으로 포스트부(211) 및 가로대부(212)에 안내 및 지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스트부(211) 및 가로대(219)의 내부를 통하여 안내 및 지지될 수 있고, 또한 그들의 외측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릴부(220)는 굴삭기 본체(10)에 설치된다. 케이블 릴부(22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굴삭기 본체(10)에 횡방향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턴테이블 베어링(225)이 이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릴부(220)는 바람직하게는 자동 권취형 케이블 릴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릴부(220)는, 전원케이블(230)에 가해진 당기는 힘이 기준 토르크 이상이면 전원케이블(230)이 인출되고, 전원케이블(230)에 가해지는 당기는 힘이 없거나 기준 토르크 이하일 경우에는 전원케이블(230)을 권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릴부(220)는 굴삭기 본체(10)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케이블 릴부(220)는 턴테이블 베어링(225)을 통해 굴삭기 본체(10)에 대하여 횡방향의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221)과, 하우징(221) 내에 배치되고 전원케이블(230)이 감겨지는 드럼(222)과, 드럼(222)을 회동시키기 위한 모터(223)와, 모터(223)와 드럼(222) 간의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된다. 동력전달수단은 전원케이블(230)에 가해진 당기는 힘이 기준 토르크 이상이면 전원케이블이 케이블 릴부(220)로부터 인출되고, 전원케이블(230)에 가해지는 당기는 힘이 없거나 기준 토르크 이하일 경우에는 전원케이블(230)을 권취하도록 동작하는 클러치를 구비하는 감속장치(224)를 포함한다.
이러한 기준 토르크는 현장 상황 및 전원케이블(230)의 길이 등을 고려하여 정하여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릴부(220)는 전원케이블(230)이 감겨있는 드럼과, 상기 전원케이블이 인출될 때 상기 드럼의 회전에 대한 반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프링 구동형 자동 권취 케이블 릴(미도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케이블 릴부(220)는 포스트부(211) 측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블 릴부(220)의 설치는 다른 구성요소 및 장비들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라면 특별히 제약이 있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굴삭기 본체(10)에 길이 조절이 가능한 케이블 지지 포스트(미도시)를 설치하여 굴삭기 본체(10) 측에 있는 전원케이블(230)이 불필요한 단락 등의 발생 없이 안전하게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전원케이블(230)은 그 길이에 특별한 제약이 있는 것은 아니나, 현장 상황이나 케이블 지지부(210)의 높이 등에 따라 적합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도면에서는, 전원 케이블이 95 square mm이고, 케이블 릴부(220)의 토르크는 10kg-m이며, 작업 반경 10 내지 50 m이며, 최대 높이는 13.9m이고, 전원 케이블의 착탈 높이는 대략 1.3m로 구성되었 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원케이블(230)은 케이블 지지부(210) 측과 굴삭기 본체(10) 측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이 전원케이블(230)은 가로대(219)의 원단부 부위에서 연결기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로대(219)의 원단부 부위에 구비되는 연결기(250)를 통해 가로대(219)에 안내 및 지지된 전원케이블 부위와 케이블 릴부(220)로부터 인출된 전원케이블 부위가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전원케이블(230)을 착탈할 경우에는 가로대(219)를 낮추어서 착탈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케이블(230)의 착탈을 위해서는 회동 수단(260)의 실린더(261)를 이용하여 가로대(219)를 허용된 높이까지 낮추고 나서(점선 도시), 전원케이블(230)을 탈부착한다. 이후에 작업을 진행할 경우에는 가로대(219)를 정해진 안전한 높이까지 들어올려서(실선 도시) 작업을 행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기(250)는 굴삭기 본체(10) 측에 설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시된 도면에서는, 전원 케이블이 95 square mm이고, 케이블 릴부(220)의 토르크는 10kg-m이며, 작업 반경 10 내지 50 m이며, 최대 높이는 13.9m이고, 전원 케이블의 착탈 높이는 대략 1.3m로 구성되었다.
또한,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는 작업 동작 부위 이외에 이동 동작 부위에도 전기를 이용하는 유압시스템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에 내연기관이 장착된 엔진을 제거한 뒤에 유압시스템을 마운팅하여 사용하는 전동 중장비나 애초에 내연기관 대신에 유압시스템을 마운팅한 장비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의 전원케이블 착탈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의 일부분에 대한 도면으로서, 포스트부와 가로대부의 결합구조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의 일부분에 대한 도면으로서, 케이블 릴부를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의 일부분에 대한 도면으로서, 전원케이블의 연결기를 보여준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굴삭기 본체 20 : 파워연결부
210 : 케이블 지지부 211 : 포스트부
211-1 : 제1포스트 211-2 : 제2포스트
212 : 가로대부 214 : 턴테이블 베어링
215 : 힌지 219 : 가로대
220 : 케이블 릴부 221 : 하우징
222 : 드럼 223 : 모터
224 : 감속장치 225 : 턴테이블 베어링
230 : 전원케이블 250 : 연결기
260 : 회동수단 261 : 실린더
265 : 보조지지대 266 : 와이어

Claims (13)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적어도 작업동작부위가 유압실린더에 의해 동작되고 상기 유압실린더는 유압펌프에 의해 동작되며 상기 유압펌프는 전기모터를 포함하는 전기장치에 의해 동작되는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에 있어서,
    상기 굴삭기 본체에 설치된 전기장치에 전기파워를 전달하도록 전기파워소스에 연결되는 전원케이블과;
    지상에 고정 설치되는 제1포스트 및 상기 제1포스트의 상단에 횡방향의 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포스트로 이루어진 포스트부와, 상기 포스트부의 소정 높이에 가로방향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회동 가능한 가로대부로 이루어져 상기 전원케이블을 지상으로부터 소정 높이에서 지지 및 안내하는 케이블 지지부; 및
    상기 전원케이블의 길이를 조정하도록 상기 굴삭기 본체와 전기파워소스 사이에 배치되는 케이블 릴부;로 구성된 파워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가로대부는 상기 제2포스트의 상단 부위에 종방향으로 회동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가로대; 및 상기 가로대를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상기 제2포스트에 설치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를 동작시키는 유압펌프를 포함하는 회동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릴부는, 자동 권취형 케이블 릴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 권취형 케이블 릴은, 상기 전원케이블에 가해진 당기는 힘이 기준 토르크 이상이면 상기 전원케이블이 인출되고, 상기 전원케이블에 가해지는 당기는 힘이 없거나 상기 기준 토르크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전원케이블을 권취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연결구조.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릴부는 상기 굴삭기 본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연결 구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릴부는:
    상기 굴삭기 본체에 횡방향의 회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전원케이블이 감겨지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을 회동시키기 위한 모터; 및
    상기 모터와 드럼 간의 동력 전달 수단으로서, 상기 전원케이블에 가해진 당기는 힘이 기준 토르크 이상이면 상기 전원케이블이 인출되고, 상기 전원케이블에 가해지는 당기는 힘이 없거나 상기 기준 토르크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전원케이블을 권취하도록 동작하는 클러치를 구비하는 감속장치를 포함하는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 연결 구조.
  11.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부의 원단부 부위에 설치되는 연결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기는 상기 가로대 측의 전원케이블과 상기 굴삭기 본체 측으로부터의 전원케이블을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연결구조.
  12.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릴부는 상기 전원케이블이 감겨있는 드럼과, 상기 전원케이블이 인출될 때 상기 드럼의 회전에 대한 반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된 스프링을 포함하는, 스프링 구동형 자동 권취 케이블 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연결구조.
  13.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릴부는 상기 포스트부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워연결구조.
KR1020080073883A 2008-07-29 2008-07-29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 KR1009773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883A KR100977350B1 (ko) 2008-07-29 2008-07-29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883A KR100977350B1 (ko) 2008-07-29 2008-07-29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476A KR20100012476A (ko) 2010-02-08
KR100977350B1 true KR100977350B1 (ko) 2010-08-20

Family

ID=420867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883A KR100977350B1 (ko) 2008-07-29 2008-07-29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735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880A (ko) * 2011-04-08 2012-10-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기 굴삭기 시스템
KR101889449B1 (ko) * 2017-12-19 2018-08-17 김경식 실내 전기중장비용 전원연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9138A (zh) * 2011-10-28 2012-02-22 岳中珩 一种供电式电动挖掘机装置
CN104674877B (zh) * 2015-02-12 2017-11-21 徐州徐工挖掘机械有限公司 一种电动液压挖掘机控制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5801A (en) * 1978-03-23 1979-09-29 Kawasaki Heavy Ind Ltd Power feeder for electromorive bulldozer
JPH08158403A (ja) * 1994-12-01 1996-06-18 Hitachi Constr Mach Co Ltd 旋回式掘削機のケーブル巻取り装置とその制御用油圧回路
KR200429497Y1 (ko) * 2006-08-04 2006-10-23 대영산전 주식회사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KR100730310B1 (ko) 2005-06-03 2007-06-22 황대연 폐기물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25801A (en) * 1978-03-23 1979-09-29 Kawasaki Heavy Ind Ltd Power feeder for electromorive bulldozer
JPH08158403A (ja) * 1994-12-01 1996-06-18 Hitachi Constr Mach Co Ltd 旋回式掘削機のケーブル巻取り装置とその制御用油圧回路
KR100730310B1 (ko) 2005-06-03 2007-06-22 황대연 폐기물 처리장치
KR200429497Y1 (ko) * 2006-08-04 2006-10-23 대영산전 주식회사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이동장치의 전원공급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14880A (ko) * 2011-04-08 2012-10-17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기 굴삭기 시스템
KR101635653B1 (ko) 2011-04-08 2016-07-0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전기 굴삭기 시스템
KR101889449B1 (ko) * 2017-12-19 2018-08-17 김경식 실내 전기중장비용 전원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476A (ko) 201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7350B1 (ko)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
CN218620225U (zh) 一种辅助杆上作业的电动旋转升降绝缘平台
CN103058075A (zh) 起重机的副臂回收方法和副臂回收装置
CN101786586B (zh) 一种大直径筒体外壁的爬升装置
JP2004084328A (ja) 車両用電源装置
CA2919235C (en) Truck and installation method for wires
CN203021220U (zh) 副臂回收装置和起重机
JP2008308328A (ja) 移動式クレーン
CN203359893U (zh) 一种便携式升降机
CN210884614U (zh) 一种电缆用放线车
CN210396699U (zh) 一种塔架式抽油机自驱动井口让位装置
CN201272664Y (zh) 伸缩臂起重机及其超起装置、拉绳收紧装置
CN115352948A (zh) 一种放缆方法及放缆装置
CN210735876U (zh) 一种万向重力式电缆收放线装置
CN109537661B (zh) 一种滑线式电动装载机
JP2006182506A (ja) 電気機器昇降装置及び電気機器昇降方法
KR200439119Y1 (ko) 중장비용 유압 및 전기 공급장치
CN220979431U (zh) 一种带有桅杆井架的测试井架车
CN218778507U (zh) 一种电缆放线车
CN210683009U (zh) 一种变电检修用起吊装置
CN216549360U (zh) 一种超起组件及起重机
CN208820366U (zh) 一种电力施工电缆铺设牵引设备
CN219974503U (zh) 一种双臂凿岩台车整机
CN214479500U (zh) 一种电动挖掘机车载式电缆旋转支撑结构
CN217106416U (zh) 一种用于单管塔抱管安装的辅助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