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0310B1 - 폐기물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폐기물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0310B1
KR100730310B1 KR1020050047585A KR20050047585A KR100730310B1 KR 100730310 B1 KR100730310 B1 KR 100730310B1 KR 1020050047585 A KR1020050047585 A KR 1020050047585A KR 20050047585 A KR20050047585 A KR 20050047585A KR 100730310 B1 KR100730310 B1 KR 100730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rane
guide
guider
waste
guide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475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26017A (ko
Inventor
천정식
황대연
Original Assignee
황대연
천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대연, 천정식 filed Critical 황대연
Priority to KR10200500475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0310B1/ko
Publication of KR20060126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26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0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0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2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 B66C13/14Arrangements of means for transmitting pneumatic, hydraulic, or electric power to movable parts of devices to load-engaging elements or motors associated therewi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 작업이나 각종 기계작업시 발생되는 폐기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운반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적은 처리 비용으로 폐기물의 이동 운반이 가능함으로써 폐기물 처리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은, 다리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본체와, 이 본체를 중심으로 관절 연결되어 소정각도 경사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축부와, 이 축부의 일단에 문어발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동작을 통해 폐기물을 감싸는 척부로 이루어진 크레인과; 상기 크레인의 일측에 마련되며,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과; 상기 엔진상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원 전기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에 있다.

Description

폐기물 처리장치{A WASTE DISPOSAL DEVIC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전원 공급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가이드 탑을 발췌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
도 4는 메인 가이더와 서브 가이더 및 가이드 바아의 결합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적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폐기물 2 : 전선
10 : 크레인 11 : 다리부
12 : 본체 13 : 축부
14 : 척부 20 : 엔진
30 : 전원 공급수단 31 : 변압기
32 : 메인 가이더 32 : 가이드 구멍
33 : 단자부 34 : 서브 가이더
34a,34b : 브래킷쌍 35 : 가이드 바아
36 : 가이드 탑 37 : 서브 가이드 바아
38 : 무게추 39 : 밸런스 플레이트
B : 베어링
본 발명은 건축 작업이나 각종 기계작업시 발생되는 폐기물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운반수단으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특히 적은 처리 비용으로 폐기물의 이동 운반이 가능함으로써 폐기물 처리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폐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 작업이나 건축물의 분쇄 작업 그리고 기계장치를 통한 처리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서는 필연적으로 불필요한 폐기물이 발생된다.
이러한 폐기물들은 환경 오염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이고, 분리 수거의 필요성으로 인하여 일정한 장소에 다량으로 집하(集荷) 시킨뒤, 어느정도 저장된 상태에서 폐기물 처리장치를 통해 운반수단 예컨대 트럭등에 옮겨 실은뒤 후 처리공정인 분리 수거를 위한 장소 또는 매립(埋立) 시키기 위한 장소로 운반하는 것이 통상적인 폐기물 처리 방법이다.
한편, 상술한 운반수단으로 폐기물을 옮겨 실기 위한 처리장치로써는 통상적 으로 크레인(crane)이 사용되어지는 바, 즉, 크레인상에 문어발 형태의 척을 마련한뒤, 크레인의 회동 동작과 척의 반복적인 동작을 통해 폐기물을 운반수단 즉, 트럭에 옮겨 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크레인을 통한 폐기물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는 크레인을 작동시키고, 문어발 형상의 척을 연동시키기 위한 작동원 즉, 동력원이 경유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을 사용하게 되는 바, 환경오염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경유값 상승에 따른 역시 폐기물 처리 비용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내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한정된 지역에 적합한 크레인의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동력원을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를 사용함으로써 폐기물 처리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고, 환경오염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폐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장치는, 다리부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본체와, 이 본체를 중심으로 관절 연결되어 소정각도 경사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축부와, 이 축부의 일단에 문어발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동작을 통해 폐기물을 감싸는 척부로 이루어진 크레인과; 상기 크레인의 일측에 마련되며,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과; 상기 엔진상에 전 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원 전기 공급수단;을 포함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한 특징은, 상기 전기 공급수단은, 송전소로부터의 전압을 변압하여 공급하기 위한 변압기와; 상기 크레인과 인접된 장소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가이드 구멍이 관통 형성된 메인 가이더와; 상기 변압기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도록 메인 가이더의 내부에 마련되는 단자부와; 상기 메인 가이더상에 베어링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미끄럼지지되며, 상부 양측면에 브래킷쌍이 돌출 형성된 서브 가이더와; 상기 서브 가이더상의 브래킷쌍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면에 메인 가이더와 단자부를 통과한 전선이 안내되도록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크레인을 향해 길게 연장 형성된 가이드 바아와; 상기 크레인의 일측 상면에 마련되며, 가이드 바아의 가이드 홈을 통해 안내된 전선을 엔진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가이드 탑;을 포함하여 된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한 특징은, 상기 가이드 바아의 타측면에 일체로 서브 가이드 바아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는 가이드 바아와 무게 중심을 일치시키기 위한 무게추가 더 결합된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한 특징은, 상기 가이드 바아를 통해 가이드 탑으로 연결된 전선상에는 꼬임 방지와 처짐 방지를 위한 밸런스 플레이트가 소정간격으로 다수 고정 설치된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 및 이에 따른 작용효과는 후술하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장치를 전체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2는 전원 공급수단을 발췌하여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가이드 탑을 발췌하여 나타낸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메인 가이더와 서브 가이더 및 가이드 바아의 결합 상태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적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이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장치는, 크게 크레인(10)과 엔진(20) 그리고 전기 공급수단(30)으로 대별된다.
크레인(10)은 통상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서, 즉, 이동을 위한 다리부(11)와, 이 다리부(11)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 본체(12) 그리고 본체(12)를 중심으로 하여 경사 조절 가능하게 관절 연결된 축부(13)와, 이 축부(13)의 일단에 문어발 형상으로 설치되어 내측으로 오므림과 벌림 동작을 행하면서 폐기물(1)의 운반을 도모하는 척부(14)로 이루어진다.
엔진(20)은 크레인(10)의 일측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전기에 의해 구동되며, 실질적으로 크레인(10)의 전체를 즉, 도시되지 않은 실린더와 기타 구동수단을 통해 다리부(11)와 본체(12) 그리고 축부(13)와 척부(14)를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전기 공급수단(30)은 실질적으로 엔진(20)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엔진(20)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으로서, 그 상세 구조를 보면, 변압기(31)와 메인 가이더(32) 그리고 단자부(33)와 서브 가이더(34) 및 가이드 바아(35)와 가이드 탑(36)으로 이루어진다.
변압기(31)는 통상적인 것과 동일한 기능을 즉, 송전소(미도시)로 부터의 전압을 크레인(10)의 구동에 적절하게 전압을 변압시키기 위하여 마련된다.
이 변압기(31)는 별도로 마련되거나 후술하는 메인 가이더(32)상에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메인 가이더(32)는, 크레인(10)과 인접된 부위에 즉, 폐기물 처리를 위한 장소상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내부에는 가이드 구멍(32a)이 관통 형성된다.
단자부(33)는 메인 가이더(32)의 가이드 구멍(32a)상에 위치되는 것으로서, 변압기(31)로 부터의 전원이 인가되는 부분이다.
한편, 서브 가이더(34)는 메인 가이더(32)상에 회전 가능하게 축 지지되는 것으로서, 특히 도 4에 나타내 보인 바와 같이 회전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하여 베어링(B)을 통해 미끄럼 축 지지되며, 상면에는 서로 대응되도록 브래킷쌍(34a,34b)이 나란하게 설치된다.
가이드 바아(35)는, 서브 가이더(34)의 브래킷쌍(34a,34b)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는 것으로서, 크레인(10)을 향해 길게 연장 형성되며, 특히 상면에는 메인 가이더(32)와 단자부(33)를 통과한 전선(2)이 안내될 수 있도록 가이드 홈(35a)이 형성된다.
가이드 탑(36)은, 크레인(10)의 엔진(20)과 인접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전술한 가이드 바아(35)의 가이드 홈(35a)을 통해 안내되어진 전선(2)을 엔진(20)으로 연결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전술한 가이드 바아(35)는 크레인(10)을 향해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는 바, 무게중심이 크레인(10)을 향해 편중될 우려가 야기된다.
이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이드 바아(35)의 일측에는 즉, 서브 가이더(34)에 축 결합된 부위를 중심으로하여 타측 방향으로는 서브 가이드 바아(37)가 일체로 연결되며, 이 서브 가이드 바아(37)의 단부에는 무게 중심을 일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무게추(38)가 더 마련된다.
이에 더하여 가이드 바아(35)의 가이드 홈(35a)을 통해 가이드 탑(36)을 향해 안내된 전선(2)상에는 꼬임 방지와 길게 연장됨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처짐에 의한 단락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체 전선(2)의 무게 하중을 균일하게 분포시키기 위한 밸런스 플레이트(39)가 소정간격으로 다수 배열 설치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장치는, 변압기(31)로부터 적정 전압으로 변압된 전기를 메인 가이더(32)와 단자부(33)를 통과한채 가이드 바아(35)의 가이드 홈(35a)을 따라 가이드 탑(36)으로 안내되고, 동시에 가이드 탑(36)과 인접된 엔진(20)상으로 적정 전압의 전원이 공급되어 진다.
따라서 이 엔진(20)에 의해 구동되는 크레인(10) 즉, 다리부(11)와 본체(12) 및 축부(13)와 척부(14)에 의해 폐기물(1)을 도시되지 않은 운반수단 예컨대 트럭등으로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이때 전원 공급 과정에서 변압기(31)를 통해 적정 전압의 전원 공급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메인 가이더(32)와 서브 가이더(34)간의 베어링(B) 지지상태에 의해 크레인(10)의 동작시 전선(2)의 꼬임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된다.
또한 가이드 바아(35)의 타측에 일체로 마련된 서브 가이드 바아(37)와 무게추(38)를 통해 전체적으로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게됨으로써 만약에 발생될 수 있는 메인 가이더(32)의 휨 변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밸런스 플레이트(39)를 통해서는 길게 연장된 전선(2)의 꼬임 및 처짐에 따른 단락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질적으로 폐기물의 적재등을 행하는 크레인(10)을 전기로 동작시킬 수 있게됨으로써 종래 경유등과 같은 기름으로 크레인(10)을 구동시키는 것과 비교할 때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한 것 뿐만 아니라 크레인(10)의 작동에 따른 비용을 대폭적으로 절감시킬 수 있게됨으로써 폐기물 처리비용을 대폭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설명하였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폐기물 처리장치에 의하면, 폐기물의 운반을 행하는 크레인의 구동을 경유등과 같은 기름을 통해 행하지 않고,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을 통해 행함으로써 환경오염의 문제를 해결한 것 뿐만 아니라, 크레인 구동 비용의 감소에 따른 폐기물 처리비용의 대폭적인 감소를 도마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4)

  1. 다리부(11)를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한 본체(12)와, 이 본체(12)를 중심으로 관절 연결되어 소정각도 경사조절 가능하게 설치된 축부(13)와, 이 축부(13)의 일단에 문어발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측으로 오므려지는 동작을 통해 폐기물(1)을 감싸는 척부(14)로 이루어진 크레인(10)과;
    상기 크레인(10)의 일측에 마련되며,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20)과;
    상기 엔진(20)상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동원 전기 공급수단(30)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전기 공급수단(30)은,
    송전소로부터의 전압을 변압하여 공급하기 위한 변압기(31)와;
    상기 크레인(10)과 인접된 장소에 고정 설치되며, 내부에 가이드 구멍(32a)이 관통 형성된 메인 가이더(32)와;
    상기 변압기(31)로부터 전원이 인가되도록 메인 가이더(32)의 내부에 마련되는 단자부(33)와;
    상기 메인 가이더(32)상에 베어링(B)을 통해 회전 가능하게 미끄럼지지되며, 상부 양측면에 브래킷쌍(34a,34b)이 돌출 형성된 서브 가이더(34)와;
    상기 서브 가이더(34)상의 브래킷쌍(34a,34b)에 회동 가능하게 축 결합되며, 상면에 메인 가이더(32)와 단자부(33)를 통과한 전선(2)이 안내되도록 가이드 홈(35a)이 형성되고, 크레인(10)을 향해 길게 연장 형성된 가이드 바아(35)와;
    상기 크레인(10)의 일측 상면에 마련되며, 가이드 바아(35)의 가이드 홈(35a)을 통해 안내된 전선(2)을 엔진(20)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가이드 탑(36)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아(35)의 타측면에 일체로 서브 가이드 바아(37)가 대향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단부에는 가이드 바아(35)와 무게 중심을 일치시키기 위한 무게추(38)가 더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바아(35)를 통해 가이드 탑(36)으로 연결된 전선(2)상에는 꼬임 방지와 처짐 방지를 위한 밸런스 플레이트(39)가 소정간격으로 다수 고정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기물 처리장치.
KR1020050047585A 2005-06-03 2005-06-03 폐기물 처리장치 KR100730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585A KR100730310B1 (ko) 2005-06-03 2005-06-03 폐기물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47585A KR100730310B1 (ko) 2005-06-03 2005-06-03 폐기물 처리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5931U Division KR200394577Y1 (ko) 2005-06-03 2005-06-03 폐기물 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017A KR20060126017A (ko) 2006-12-07
KR100730310B1 true KR100730310B1 (ko) 2007-06-22

Family

ID=37730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47585A KR100730310B1 (ko) 2005-06-03 2005-06-03 폐기물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03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350B1 (ko) 2008-07-29 2010-08-20 정태현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
KR101064141B1 (ko) 2009-06-03 2011-09-15 (주)세아이에프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067A (ko) * 2002-01-16 2003-07-23 유선채 전기 동력의 건설 기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2067A (ko) * 2002-01-16 2003-07-23 유선채 전기 동력의 건설 기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350B1 (ko) 2008-07-29 2010-08-20 정태현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의 파워연결구조
KR101064141B1 (ko) 2009-06-03 2011-09-15 (주)세아이에프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26017A (ko) 2006-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10018992A1 (en) Transporting device
WO2002079071A3 (en) Cargo power drive unit
KR100730310B1 (ko) 폐기물 처리장치
KR200394577Y1 (ko) 폐기물 처리장치
US7032289B2 (en) Stator bar handler
BR0308177A (pt) Aparelho e método para levantar cabos aéreos
CN106882538A (zh) 一种物品移载分拣装置
KR101638293B1 (ko) 풍력 발전기용 나셀 플로어 폴딩장치
CN108847752B (zh) 电机转子穿轴装置
CN105565217A (zh) 升降旗装置
CN208560659U (zh) 一种管件送料装置
WO2003104127A3 (de) Hebevorrichtung, insbesondere aufzug oder hebebühne
CN215247688U (zh) 一种多方位送料机
CN219025772U (zh) 一种液压母线切断机
US6942196B1 (en) Electrical automobile car jack
KR200379544Y1 (ko) 유압기구에 의해 각도조절이 가능한 폐기물 선별장치
CN213568947U (zh) 一种可移动的电缆输送机
CN220277903U (zh) 一种梅花收线机用收线装置
CN202968606U (zh) 转炉捅风眼机
ATE300447T1 (de) Ladeboden
CN214268945U (zh) 成排矫直机用车式替换辊道
CN210313206U (zh) 一种移动式门机供电电缆易弯折处的导向、防护装置
JP6755496B2 (ja) 重量物移動装置及び重量物の移動方法
CN106984864A (zh) 一种用于钢材切割装置且便于拆卸维修的切割机构
KR20180011956A (ko) 실내작업용 전기 포크레인의 전기공급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