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4141B1 -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4141B1
KR101064141B1 KR1020090048916A KR20090048916A KR101064141B1 KR 101064141 B1 KR101064141 B1 KR 101064141B1 KR 1020090048916 A KR1020090048916 A KR 1020090048916A KR 20090048916 A KR20090048916 A KR 20090048916A KR 101064141 B1 KR101064141 B1 KR 101064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wire
construction machine
lightning
electricity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8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0308A (ko
Inventor
이한기
Original Assignee
(주)세아이에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4350664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1064141(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아이에프 filed Critical (주)세아이에프
Priority to KR10200900489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141B1/ko
Publication of KR20100130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0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1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6Outer or upper end constru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8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cranes, winches, capstans or electrical hoists
    • B66C2700/087Electrical assemblies or electrical control devices for electrically actuated gr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면서 일정한 장소에서 고철, 파지 등을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건설기계가 사방으로 이동할 때 전선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구성된 붐대의 내구성과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낙뢰도 피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에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는 붐대의 기준이 되는 지주의 상단에 회전구에 설치되는데, 상기 붐대는 와이어 고정대와 횡지지간 및 경사지지간을 설치하여 터언버클이 구비된 와이어를 상부와 좌우측으로 연결하여 붐대가 구성되며,
또한, 붐대의 선단부에 피뢰침과 만곡부와 고리를 형성하고 와이어를 상기 고리와 건설기계의 송전탑에 연결하고, 와이어에는 전선을 전선고정구들을 이용하여 일체로 고정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발명에 의하면, 건설기계가 지주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할 때 붐대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면서 전선을 원활하게 보내주고 거둘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상기 작용시 붐대의 균형을 유지시켜 원활한 작용이 이루어지고 붐대의 내구성도 향상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낙뢰시 피뢰침에 의해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전선연결구의 구성도 간단하여 중량을 줄여 줌으로써, 붐대의 작동을 좀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지주, 회전구, 붐대, 횡지지간, 경사지지간, 원형관체, (ㄴ)형강재, 피뢰침.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Boom for electricity supply of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에 관한 것으로서,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면서 일정한 장소에서 고철, 파지 등을 처리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건설기계가 사방으로 이동할 때 전선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구성된 붐대의 내구성과 회전을 원활하게 할 수 있고 낙뢰도 피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건설기계는 이동을 위한 주행수단을 구비하고 있고, 경유와 같은 연료를 연소시켜 엔진을 구동하여 주행 또는 작업에 필요한 유압 펌프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건설기계를 주물공장 또는 폐기물 처리업소 내에서 고철을 절단기 또는 압축기로 운반할 때 사용하고 있다.
종래 상기와 같은 용도로 사용하는 건설기계는 엔진을 가동시 소음이 많이 발생하고, 또 연료가 비싸기 때문에 유지관리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특히 매연 가스 발생으로 대기를 오염시키게 되고, 기름 및 오일 누출로 지반을 오염시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상기와 같이 일정한 반경 내에서 작업하는 건설기계에 전기를 공급하여 모터로 유압펌프를 구동시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도록 개조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런데, 건설기계는 작업반경 내에서 사방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전기공급을 위하여 전선을 고정된 지주에서 붐대 및 전선연결구를 통해 건설기계에 연결하였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경우에 건설기계가 작업반경 내에서 사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붐대가 시소와 같이 상하로 이동하거나 회전을 하게 되는데, 봄대가 회전구를 기준으로 앞뒤로 일자형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시에는 균형이 맞지 않아서 회전구 및 붐대에 무리한 힘이 가해져서 회전구나 붐대를 손상시키는 단점이 있고, 또 파이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구성이 약한 단점이 있으며, 우천시 붐대가 세워진 상태에서 작업을 하게 되면 낙뢰를 맞을 수 있고, 전선연결구의 구성도 매우 복잡하여 중량이 많이 나가게 되어 붐대가 작동하는데 원활하지 못한 등 구조적으로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건설기계를 이용하여 일정한 장소에서 작업시 건설기계가 이동하는 거리에 따라서 필요한 전선이 쳐지지 않고 적당한 장력을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붐대가 상하로 또는 회전할 때 균형 유지와 붐대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며,
또한, 붐대의 낙뢰 방지로 안전성을 확보하고, 전선연결구의 구성도 매우 간단하게 제공하여 건설기계가 사방으로 이동할 때 붐대의 작동이 원활하도록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를 제공하는데 소기의 목적하는 바가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는 붐대의 기준이 되는 지주의 상단에 회전구에 설치되는데, 상기 붐대는 와이어 고정대와 횡지지간 및 경사지지간을 설치하여 터언버클이 구비된 와이어를 상부와 좌우측으로 연결하여 붐대가 구성되며,
또한, 붐대의 선단부에 피뢰침과 만곡부와 고리를 형성하고 와이어를 상기 고리와 건설기계의 송전탑에 연결하고, 와이어에는 전선을 전선고정구들을 이용하여 일체로 고정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건설기계가 지주를 중심으로 사방으로 이동하면서 작업을 할 때 붐대가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하면서 전선을 원활하게 보내주고 거둘 수 있게 됨은 물론이고, 상기 작용시 붐대의 균형을 유지시켜 원활한 작용이 이루어지고 붐대의 내구성도 향상되게 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낙뢰시 피뢰침에 의해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전선연결구의 구성도 간단하여 중량을 줄여 줌으로써, 붐대의 작동을 좀 더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를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전기공급용 붐대와 송전탑 사이에 와이어 및 전선을 연결하는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의 작용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는,
본 발명에 의한 붐대를 설치하기 위하여 지상에 설치되는 지주(1)의 상단에 회전구(2)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구의 브라켓(3)에는 붐대(10)가 설치되며,
상기 붐대(10)의 상부로는 와이어 고정대(11)를 수평으로는 횡지지간(12) 및 경사지지간(13)을 설치하여 터언버클(14)이 구비된 와이어(15)들을 연결하여 구성되며,
상기 붐대(10)는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원형관체(16)의 외부에 (ㄴ)자형 강재(17)들을 용접으로 고정하여 구성되며,
그리고, 붐대(10)의 선단부에 만곡부(18)와 고리(19)를 형성하고 전선고정을 위한 와이어(20)를 상기 고리(19)와 건설기계의 송전탑에 형성된 고리(21)에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20)에는 전선고정부(22)와 와이어고정부(23)로 구성된 전선고정구(24)들을 이용하여 와이어(20)와 전선(200)을 일체로 고정하며,
상기 붐대(10)의 선단부에는 피뢰침(30)을 설치하고 어스선(31)을 연결하여 붐대의 내부와 지주(1)의 내부를 통해 지면에 접지하여 구성된 것이다.
도면의 미설명부호 50은 건설기계, 51은 송전탑, 52는 중량체, 53은 축핀을 표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에 관한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전선(200)에 동력전기를 인가시켜줌으로써 공지의 작용에 의해서 건설기계(50)가 구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건설기계(50)가 소기에 작업을 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작업과정에서 주행을 하게 된다.
이러한 건설기계의 주행과 붐대(10)의 상호 작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건설기계가 지주(1)에 가까워지거나 멀어지게 되면 전선고정부(22)와 와이어고정부(23)로 구성된 전선고정구(24)들에 의해서 일체로 연결된 와이어(20)와 전선(200)이 느슨하게 또는 팽팽하게 된다.
그러면, 작동간(1)의 후미에 있는 중량체(52)의 무게에 의해서 붐대(10)의 축핀(53)을 중심으로 선단부가 들려지거나 내려가게 되므로 붐대(10)와 건설기계의 송전탑(51) 사이에 있는 와이어(20)와 전선(200)이 팽팽하게 유지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작용은 일반적인 작용과 동일하다.
상기와 같은 작용을 포함하고 지주(1)를 중심으로 좌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작 업을 하는 경우에는 붐대 및 회전구가 좌우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본 발명에 의한 붐(10)이 작용을 하는데, 본 발명에 의한 붐대(10)의 수평으로는 설치된 횡지지간(12) 및 경사지지간(13)에 의해서 건설기계(50)가 좌우측으로 회전시 붐대(10)의 무게 중심 및 수평균형이 잘 유지하는 작용을 하게 됨으로써 붐대의 좌우측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붐대(10)는 원형관체(16)의 외부에 (ㄴ)자형 강재(17)들을 용접으로 고정하여 구성되었기 때문에 상기 붐대의 상하 및 회전시 붐대에 작용하는 외력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특히 붐대가 시소와 같이 상하로 승강작용을 할 때 내구성을 확실하게 높여주는 높이는 작용을 한다.
상기 붐대(10)의 선단부에 만곡부(18)에 형성된 고리(19)에서 건설기계의 송전탑에 형성된 고리(21)에 연결된 와이어(2) 및 전선(200)을 고정하고 있는 전선고정구(24)의 구성이 간단하기 때문에 붐대가 상하로 이동하고 좌우측으로 회전할 때 무게에 따른 부담을 줄여 붐대가 원활한 작용을 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붐대(10)의 선단부에는 피뢰침(30)을 설치하고 어스선(31)을 붐대의 내부와 지주(1)의 내부를 통해 지면에 접지하였기 때문에 우천시 낙뢰에 피해로부터 건설기계 및 주변에 부속된 장비를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3은 전기공급용 붐대와 송전탑 사이에 와이어 및 전선을 연결하는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의 작용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중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지주
2: 회전구
10: 붐대
11: 와이어 고정대
12: 횡지지간
13: 경사지지간
16: 원형관체
17: (ㄴ)형강재
30: 피뢰침
31: 어스선

Claims (1)

  1. 지면에 설치되는 지주와 그 상부에는 회전구를 설치하고 여기에 붐대를 설치하여 상하 또는 좌우측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에 있어서,
    상기 붐대(10)는 내구성을 위하여 원형관체(16)의 외부에 (ㄴ)자형 강재(17)들을 용접하여 구성되고, 붐대(10)가 설치되는 회전구를 중심으로 균형유지를 위한 횡지지간(12)과 경사지지간(13)이 서로 연결되고, 회전구를 중심으로 상부에 와이어 고정대(11)를 고정하여 붐대(10)의 앞쪽과 횡지지간(12)에 와이어(15)들이 연결되며,
    상기 붐대의 만곡부(18)에 형성된 고리(19)와 건설기계의 송전탑에 형성된 고리(21)를 와이어(20)로 연결하고, 전선고정부(22)와 와이어고정부(23)로 구성된 전선고정구(24)들을 이용하여 전선(200)과 와이어(20)를 고정하고, 붐대(10)의 선단부에는 지면에 접지되어 지주(1)의 내부와 붐대의 내부를 통해 배선된 어스선(31)을 연결하기 위한 피뢰침(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
KR1020090048916A 2009-06-03 2009-06-03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 KR101064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916A KR101064141B1 (ko) 2009-06-03 2009-06-03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8916A KR101064141B1 (ko) 2009-06-03 2009-06-03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308A KR20100130308A (ko) 2010-12-13
KR101064141B1 true KR101064141B1 (ko) 2011-09-15

Family

ID=43506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8916A KR101064141B1 (ko) 2009-06-03 2009-06-03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1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4525B1 (ko) * 2021-09-24 2022-06-28 이문성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5355A (ja) 2003-01-22 2004-08-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電動式作業機械
KR100615071B1 (ko) 2006-03-28 2006-08-25 명진기업(주) 산업 재활용 및 폐기물 처리 전용 전동식 크레인
KR100730310B1 (ko) 2005-06-03 2007-06-22 황대연 폐기물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25355A (ja) 2003-01-22 2004-08-12 Hitachi Constr Mach Co Ltd 電動式作業機械
KR100730310B1 (ko) 2005-06-03 2007-06-22 황대연 폐기물 처리장치
KR100615071B1 (ko) 2006-03-28 2006-08-25 명진기업(주) 산업 재활용 및 폐기물 처리 전용 전동식 크레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0308A (ko) 2010-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4293455A (ja) ブレードのメンテナンスが容易な風車及び風力発電装置
CN204012118U (zh) 一种具有垂直导向功能的接地棒安装动力装置
KR100727305B1 (ko)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포크레인의 전원공급장치
KR101064141B1 (ko)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
CN106149723B (zh) 土木工程用打桩机
JP2017103995A (ja) 作業車の支持装置
CN104942564A (zh) 一种海上船载臂架型起重机臂架上的大吨位销轴的安装方法
CN111900670A (zh) 电缆沟内长距离、大直径电缆敷设施工装置及施工方法
JP5519170B2 (ja) 移動式ジブクレーン
CN207829820U (zh) 一种臂架及凿岩台车
KR101066891B1 (ko)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포크레인의 전원공급장치
CN202969381U (zh) 用于打入桩柱的桩工机
CN210210259U (zh) 一种土木工程用敲击设备
KR200468587Y1 (ko) 굴삭기의 전원공급용 케이블 리프팅장치
CN210735876U (zh) 一种万向重力式电缆收放线装置
CN205687503U (zh) 履带式汽车维修升降台
CN211774094U (zh) 一种隧道施工用电动挖掘机受电装置
KR20100012476A (ko) 모터 및 엔진 겸용 하이브리드 굴삭기 및 그 파워 연결 구조
CN204809813U (zh) 一种角钢塔高压电缆固定支架
CN204897249U (zh) 一种动臂塔式起重机
JP2011231540A (ja) 車両搭載型掘削装置及び掘削方法
KR200439119Y1 (ko) 중장비용 유압 및 전기 공급장치
CN207568620U (zh) 一种盾构机拼装机管片抓取机构
CN201151924Y (zh) 一种用于深基坑开挖的专用挖机
CN218479832U (zh) 一种矿山防落石安全防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705

Effective date: 20130215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2100001861; TRIAL DECISION FOR INVALIDATION REQUESTED 20120705

Effective date: 20130215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