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4525B1 -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4525B1
KR102414525B1 KR1020210126750A KR20210126750A KR102414525B1 KR 102414525 B1 KR102414525 B1 KR 102414525B1 KR 1020210126750 A KR1020210126750 A KR 1020210126750A KR 20210126750 A KR20210126750 A KR 20210126750A KR 102414525 B1 KR102414525 B1 KR 1024145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
tension
unit
frame
skim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7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문성
Original Assignee
이문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문성 filed Critical 이문성
Priority to KR10202101267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45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45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45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058Electric or electro-mechanical or mechanical control devices of vehicle sub-units
    • E02F9/2062Control of propulsion units
    • E02F9/207Control of propulsion units of the type electric propulsion units, e.g. electric motors or genera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포크레인에 구비되는 전원타워, 세워진 기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암부, 상기 암부를 통해 전원타워로 설치되어 전기포크레인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케이블, 및 이동하는 전기포크레인의 위치에 따른 상기 암부의 위치를 안정적이게 유지시켜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유지시키기 위한 텐션유지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전기포크레인으로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되, 암부와 전원타워의 간격을 유지시켜 충돌에 의해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전기포크레인의 원활한 작동을 유지시킬 수 있음에 따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for electric fork crane}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암부와 전원타워의 간격을 유지시켜 충돌에 의해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전기포크레인의 원활한 작동을 유지시킬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먼거리의 이동이 필요하지 않고 제한된 공간 내에서 포크레인과 같은 중장비를 사용하여야 하는 작업장(예: 고철, 파지 등 상업폐기물을 처리하는 공장 등)에서는, 경유 등과 같은 연료를 연소하는 엔진 을 동력원으로 사용하는 일반적인 중장비를 사용하기에는 연료비가 많이 소요되는 것은 물론이고, 배기가스에 의해 공기오염으로 작업자의 건강에 위해를 주는 등 많은 문제가 있었다.
이에, 근래에는 포크레인을 개조하여 모터를 이용하여 작동토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우 포크레인이 움직이는 중에도 전기를 원활하게 공급받을 수 있도록 전선이 연결된 송전탑을 포크레인에 설치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개조된 종래 포크레인은 등록실용 20-0387784호에서 개진된 바와 같이, 작동간의 타워의 단부에 힌지 결합된 작동바의 단부를 통해 전기배선의 타측 단부가 송전탑의 전원부와 연결되어 모터가 구동됨에 따라, 포크레인을 전기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포크레인은 작업반경 내에서 지속적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전기배선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전원이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종래 전기배선을 제공하는 장치는 포크레인의 이동에 의해 전기배선이 당겨지며 따라다니는 구성임에 따라, 포크레인의 갑작스러운 이동이나 방향전환 등에 의해 전기배선이 당겨져 파손되거나 꼬이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포크레인의 작업반경 내에서 전기배선이 꼬이거난 파손되는 것을 최소화시키며, 갑작스러운 방향전환에도 당겨짐 없이 안정적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술에에 대한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전기포크레인에 구비되는 전원타워, 세워진 기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암부, 상기 암부를 통해 전원타워로 설치되어 전기포크레인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케이블, 및 이동하는 전기포크레인의 위치에 따른 상기 암부의 위치를 안정적이게 유지시켜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유지시키기 위한 텐션유지부,를 포함하여 전기포크레인으로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되, 암부와 전원타워의 간격을 유지시켜 충돌에 의해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전기포크레인의 원활한 작동을 유지시킬 수 있음에 따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발명은, 전기포크레인에 구비되는 전원타워, 세워진 기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암부, 상기 암부를 통해 전원타워로 설치되어 전기포크레인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케이블, 및 이동하는 전기포크레인의 위치에 따른 상기 암부의 위치를 안정적이게 유지시켜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유지시키기 위한 텐션유지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암부는, 상기 세워진 기본프레임에 고정되는 암고정프레임, 일정 길이를 갖고, 상기 암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암회전프레임부, 및 상기 암회전프레임부와 전원타워에 연결되어 일정 간격 이상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전원케이블을 유동 가능하도록 거치시키기 위한 간격유지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암회전프레임부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상기 암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암일단회전프레임, 상기 암일단회전프레임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암타단회전프레임, 상기 암일단회전프레임과 암타단회전프레임의 각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1암, 상기 암일단회전프레임과 암타단회전프레임의 각 중간부를 연결하는 제2암, 및 상기 암타단회전프레임, 제1암, 제2암이 하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암텐션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암텐션부는, 상기 암일단회전프레임의 상단부와 암타단회전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텐션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1암텐션부, 상기 암일단회전프레임의 상단부와 제2암의 타단부를 연결하여 텐션을 텐션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2암텐션부, 상기 제2암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복수 연결하여 텐션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3암텐션부, 및 상기 제1암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복수 연결하여 텐션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4암텐션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간격유지부는, 유연성을 갖고, 상기 암회전프레임부의 타단부와 전원타워에 연결되는 연결와이어, 및 상기 연결와이어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 구비되어 암회전프레임부를 거친 전원케이블이 설치되는 이동클램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텐션유지부는, 텐션유지프레임, 일단부가 상기 암회전프레임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텐션와이어, 상기 텐션와이어를 가이드하도록 내부에 이동로를 갖고, 상기 텐션유지프레임에 구비되는 텐션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텐션와이어를 타단측으로 당겨 전기포크레인의 위치에 따른 상기 암회전프레임부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텐션원위치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텐션원위치부는, 일정 중량을 갖는 무게추이다.
또한, 상기 텐션원위치부는, 권취부로, 상기 텐션와이어를 감아 텐션을 유지함에 따라, 전기포크레인의 위치에 따른 상기 암회전프레임부의 위치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텐션유지프레임은 세워진 다른 기본프레임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텐션유지부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텐션이동부,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텐션이동부는, 세워진 복수의 기본프레임과 직교되도록 수평방향으로 구비되는 수평고정프레임, 상기 텐션유지프레임이 설치되며, 상기 수평고정프레임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이동프레임, 및 상기 수평이동프레임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평이동구동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원타워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1위치센서, 상기 암회전프레임부의 타단부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제2위치센서, 및 상기 제1위치센서와 제2위치센서의 각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수평이동구동부를 제어함에 따라, 텐션유지프레임을 전원타워와 암회전프레임부의 타단부를 지나는 연장선상에 위치시키기 위한 위치제어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에 의하면, 전기포크레인으로 전원을 지속적으로 공급하되, 암부와 전원타워의 간격을 유지시켜 충돌에 의해 파손을 방지할 수 있어 전기포크레인의 원활한 작동을 유지시킬 수 있음에 따른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암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이동부가 더 구비된 텐션유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스키머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핑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스키머부에 높이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오일스키머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크레이핑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크레이핑부에 제2높이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수저장부와 PH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구체적 세부사항을 포함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이러한 구체적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음을 안다.
몇몇 경우, 본 발명의 개념이 모호해지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조 및 장치는 생략되거나, 각 구조 및 장치의 핵심기능을 중심으로 한 블록도 형식으로 도시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comprising 또는 including)"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한다. 또한, "일(a 또는 an)", "하나(one)", "그(the)" 및 유사 관련어는 본 발명을 기술하는 문맥에 있어서(특히, 이하의 청구항의 문맥에서) 본 명세서에 달리 지시되거나 문맥에 의해 분명하게 반박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의 평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텐션이동부가 더 구비된 텐션유지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일스키머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스크레이핑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오일스키머부에 높이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오일스키머부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크레이핑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스크레이핑부에 제2높이조절부가 더 구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처리수저장부와 PH조절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900)는 전원타워(910)와 암부(920), 전원케이블(930) 및 텐션유지부(940)를 포함한다.
전원타워(910)는 전기포크레인(30)에 구비된다.
그리고 암부(920)는 세워진 기본프레임(1)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이 세워진 기본프레임(1)은 지중에 설치되거나 건물의 구조물이다.
전원케이블(930)은 암부(920)를 통해 전원타워(910)로 설치되어 전기포크레인(3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텐션유지부(940)는 이동하는 전기포크레인(30)의 위치에 따른 암부(200)의 위치를 안정적이게 유지시켜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900)의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전기포크레인(30)이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전원타워(910)가 이동되어도 암부(920)에 의해 전원케이블(930)이 연결된 상태로 이동될 수 있어 전원공급을 지속적으로 할 수 있다.
반대로, 전기포크레인(30)이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암부(920)의 단부와 가까워질 경우, 텐션유지부(940)에 의해 암부(920)를 이동시킬 수 있어 전원타워(910)가 암부(920)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전원케이블(930)이 꼬이는 것도 방지할 수 있어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한, 암부(920)는 암고정프레임(921)과 암회전프레임부(922) 및 간격유지부(923)를 포함한다.
암고정프레임(921)은 세워진 기본프레임(1)에 고정된다.
그리고 암회전프레임부(922)는 일정 길이를 갖고, 암고정프레임(92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간격유지부(923)는 암회전프레임부(922)와 전원타워(910)에 연결되어 일정 간격 이상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전원케이블(930)을 유동 가능하도록 거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암회전프레임부(922)는 암일단회전프레임(9221)과 암타단회전프레임(9222), 제1암(9223), 제2암(9224) 및 암텐션부(924)를 포함한다.
암일단회전프레임(9221)은 상단부와 하단부가 암고정프레임(92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그리고 암타단회전프레임(9222)은 암일단회전프레임(9221)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된다.
제1암(9223)은 암일단회전프레임(9221)과 암타단회전프레임(9222)의 각 하단부를 연결한다.
또한 제2암(9224)은 암일단회전프레임(9221)과 암타단회전프레임(9222)의 각 중간부를 연결한다.
암텐션부(924)는 암타단회전프레임(9222), 제1암(9223), 제2암(9224)이 하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암텐션부(924)는 제1암텐션부(9242)와 제2암텐션부(9244), 제3암텐션부(9246) 및 제4암텐션부(9248)를 포함한다.
제1암텐션부(9242)는 암일단회전프레임(9221)의 상단부와 암타단회전프레임(9222)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텐션을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암텐션부(9244)는 암일단회전프레임(9221)의 상단부와 제2암(9224)의 타단부를 연결하여 텐션을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제3암텐션부(9246)는 제2암(9224)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복수 연결하여 텐션을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4암텐션부(9248)는 제1암(9223)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복수 연결하여 텐션을 유지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간격유지부(923)는 연결와이어(9232)와 이동클램프(9234)를 포함한다.
연결와이어(9232)는 유연성을 갖고, 암회전프레임부(922)의 타단부와 전원타워(910)에 연결된다.
그리고 이동클램프(9234)는 연결와이어(232)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 구비되어 암회전프레임부(922)를 거친 전원케이블(930)이 설치된다.
텐션유지부(940)는 텐션유지프레임(942)과 텐션와이어(944), 텐션가이드프레임(946) 및 텐션원위치부(948)를 포함한다.
텐션유지프레임(942)은 세워진 다른 기본프레임(2)에 구비된다.
이 세워진 다른 기본프레임(2)은 지중에 설치되거나 건물의 구조물로, 암고정프레임(921)이 설치되는 세워진 기본프레임(1)과는 이격되거나 건물의 다른 면에 위치된다.
그리고 텐션와이어(944)는 일단부가 암회전프레임부(922)의 타단부에 연결된다.
텐션가이드프레임(946)은 텐션와이어(944)를 가이드하도록 내부에 이동로를 갖고, 텐션유지프레임(942)에 구비된다.
또한 텐션원위치부(948)는 텐션와이어(944)을 타단측으로 당겨 전기포크레인(30)의 위치에 따른 암회전프레임부(922)의 위치를 유지시킨다.
일 실시 예의 텐션원위치부(948)는 일정 중량을 갖는 무게추로 텐션와이어(944)을 타단측으로 당기는 힘을 지속적으로 유지시켜 텐션을 유지시킨다.
다른 실시 예의 텐션원위치부(948)는 권취부로, 텐션와이어(944)를 감아 텐션을 유지함에 따라, 전기포크레인(30)의 위치에 따른 암회전프레임부(922)의 위치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900)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텐션이동부(950)를 더 포함한다.
이 텐션이동부(950)는 텐션유지부(94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텐션이동부(950)는 수평고정프레임(952)과 수평이동프레임(954) 및 수평이동구동부(956)를 포함한다.
수평고정프레임(952)은 세워진 복수의 기본프레임(2)과 직교되도록 수평방향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수평이동프레임(954)은 텐션유지프레임(942)이 설치되며, 수평고정프레임(952)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수평이동구동부(956)는 수평이동프레임(954)을 이동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여기서,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900)는 제1위치센서(960)와 제2위치센서(970) 및 위치제어부(980)를 더 포함한다.
제1위치센서(960)는 전원타워(910)의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위치센서(970)는 암회전프레임부(922)의 타단부 위치를 감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위치제어부(980)는 제1위치센서(960)와 제2위치센서(970)의 각 신호를 수신하여 수평이동구동부(956)를 제어함에 따라, 텐션유지프레임(942)을 전원타워(910)와 암회전프레임부(922)의 타단부를 지나는 연장선상에 위치시킨다.
이에, 전기포크레인(30)의 이동거리가 길어져도 텐션을 용이하게 유지시킬 수 있어 전기포크레인(30)의 활동반경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전기포크레인(30)의 작업과정에서 발생되는 물과 오일 등은 수처리시스템을 통해 처리된다.
이 수처리시스템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폐수저장부(100)와 오일스키머부(200), 유수분리부(300), 처리수저장부(400) 및 PH조절부(500)를 포함한다.
폐수저장부(100)는 배출되는 물과 오일이 저장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오일스키머부(200)는 폐수저장부(100)에 저장된 오일을 스키밍하기 위해 구비된다.
유수분리부(300)는 오일스키머부(200)에서 스키밍된 오일에서 물을 분리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처리수저장부(400)는 유수분리부(300)에서 분리된 처리수가 저장되기 위해 구비된다.
PH조절부(500)는 처리수저장부(400)의 PH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수처리시스템에 의하면, 폐오일을 포함한 폐수를 저수시켜 오일을 단계별로 분리시킴에 따라, 오일 분리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오일이 분리된 처리수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을 정도로 PH를 조절함에 따라, 주변 환경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폐수저장부(100)는 폐수저장조(110)와 폐수저장조덮개(120), 폐수유입부(130) 및 폐수배출부(140)를 포함한다.
폐수저장조(110)는 지중에 설치되며, 상측으로 개방된다.
그리고 폐수저장조덮개(120)는 다공을 갖고, 폐수저장조(110)를 덮도록 구비된다.
폐수유입부(130)는 폐수저장조(110)로 오일이 포함된 폐수가 유입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폐수배출부(140)는 오일스키머부(200)에 의해 오일이 분리된 처리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폐수배출부(140)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폐수배출관(142)으로, 하단부가 폐수저장조(110)의 저면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단부가 처리수저장부(400)의 상단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단부는 개방된 방향이 하단부의 개방된 방향과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폐수저장조(110)의 수위가 상단부 이상일 경우, 처리수를 처리수저장부(400)로 배출시킨다.
이는, 폐수저장조(110)에 저수된 수위가 폐수배출관(142)의 상단부보다 높게 채워질 경우, 수압에 의해 자동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오일스키머부(200)는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스키머몸체(210)와 스키머상단롤러(220), 스키머하단롤러(230), 스키머벨트(240), 스키머구동모터(250), 스크레이핑부(260) 및 기포유도부(270)를 포함한다.
스키머몸체(210)는 폐수조장조덮개(120)에 구비되는 것으로, 폐수조장조덮개(120) 상측에 구비되거나 관통되도록 구비된다.
또한 스키머상단롤러(220)는 스키머몸체(21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스키머하단롤러(230)는 폐수저장조(110)의 액체에 담기도록 스키머상단롤러(220)의 하측으로 위치된다.
그리고 스키머벨트(240)는 스키머하단롤러(230)와 스키머상단롤러(220)에 연결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폐수저장조(110)의 오일을 스키밍하기 위해 구비된다.
스키머구동모터(250)는 스키머상단롤러(22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스크레이핑부(260)는 스키머벨트(240)의 면을 스크레이핑하여 스키밍된 액체를 유수분리부(300)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기포유도부(270)는 압축기체를 폐수저장조(110)의 수중에서 분사하여 유동시킴에 따라, 오일을 물과 분리시켜 부유되며, 부유하는 오일을 스키머벨트(240)로 유도한다.
이러한 기포유도부(270)는 압축기(272)와 기체공급관(274) 및 기체공급밸브(276)를 포함한다.
압축기(272)는 산소를 압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기체공급관(274)은 일단부가 폐수저장조(110)의 수중에 위치되고, 타단부가 압축기(272)에 연결된다.
기체공급밸브(276)는 압축기(272)에서 압축된 기체를 기체공급관(274)으로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압축산소를 수중에서 분사하여 기포를 발생시킴에 따라, 수중에서 오일을 물과 분리시키며 유동시킨다.
여기서, 폐수가 폐차장에서 발생될 경우, 먼지 등의 이물질도 포함되는 것으로, 기포유도부(270)에 의해 이물질을 부상시킬 수 있어 폐수저장조(110)의 저면에 쌓이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기포유도부(270)는 기체저장탱크(278)를 더 포함한다.
이 기체저장탱크(278)는 압축기(272)에서 압축된 기체를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기체저장탱크(278)의 압축 기체는 기체공급밸브(276)에 의해 기체공급관(274)으로 공급된다.
오일스키머부(200)는 폐수저장조(110)의 일측 모서리에 위치되고, 기체공급관(274)의 일단부는 오일스키머부(200)와 대각선 방향인 폐수저장조(110)의 타측 모서리에 위치된다.
이에, 폐수저장조(110)에 저수된 폐수가 오일스키머부(200)방향으로 가이드된다.
그리고 오일스키머부(200)는 스키머이탈방지부(280)를 더 포함한다.
이 스키머이탈방지부(280)는 자중에 의해 스키머상단롤러(220)를 지나는 스키머벨트(24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스키머벨트(240)의 회전력을 향상시키며, 스키머상단롤러(2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스키머이탈방지부(280)는 이탈방지가이드프레임(282)과 이탈방지샤프트(284), 이탈방지승강롤러(286) 및 이탈방지가압롤러(288)를 포함한다.
이탈방지가이드프레임(282)은 한 쌍으로,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공(283)을 갖고, 스키머몸체(210)의 대면되는 양면에 각각 구비된다.
또한 이탈방지샤프트(284)는 스키머상단롤러(220)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탈방지승강롤러(286)는 이탈방지샤프트(284)의 각 단부를 해당 이탈방지가이드프레임(282)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그리고 이탈방지가압롤러(288)는 일정 중량을 갖고, 스키머벨트(240)의 양측단부를 스키머상단롤러(220)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이탈방지샤프트(284)에 구비된다.
이러한 이탈방지가압롤러(288)에 의해 스키머벨트(240)와 스키머상단롤러(220)의 압착력이 증가되어 일정한 회전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스크레이핑부(26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측스크레이퍼(262)와 내측스크레이퍼(264) 및 스크레이핑저장부(266)를 포함한다.
외측스크레이퍼(262)는 스키머벨트(240)의 외측면을 스크레이핑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내측스크레이퍼(264)는 스키머벨트(240)의 내측면을 스크레이핑하기 위해 구비된다.
스크레이핑저장부(266)는 외측스크레이퍼(262)와 내측스크레이퍼(264)에 의해 스크레이핑된 오일이 임시저장되도록 스키머몸체(210)에 구비된다.
여기서, 내측스크레이퍼(264)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은 외측스크레이퍼(262)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보다 상측에 위치되되, 스키머상단롤러(220)보다 외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외측스크레이퍼(262)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은 내측스크레이퍼(264)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보다 내측에 위치되어 회전되는 스키머벨트(240)가 내측스크레이퍼(264)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과 외측스크레이퍼(262)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에서 변곡되며 스크레이핑된다.
여기서, 오일스키머부(200)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높이조절부(290)를 더 포함한다.
이 높이조절부(290)는 폐수저장조(110)의 수위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높이조절부(290)는 조절이동몸체(292)와 조절구동부(294)를 포함한다.
조절이동몸체(292)는 스키머상단롤러(220), 스키머하단롤러(230), 스키머벨트(240), 스키머구동모터(250)가 구비되며, 스키머몸체(210)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조절구동부(294)는 조절이동몸체(292)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높이조절부(290)는 폐수수위센서(296)와 높이조절제어부(298)를 더 포함한다.
폐수수위센서(296)는 폐수저장조(110)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높이조절제어부(298)는 폐수수위센서(296)의 신호를 수신하여 조절구동부(294)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오일스키머부(200)는 폐수저장조(110)의 수위에 대응하여 위치가 조절되어 오일을 스키밍할 수 있다.
그리고 폐수저장조(110)의 폐수는 폐수배출부(140)의 배출 수위까지 저수되어야 배출됨에 따라, 그 전까지 반복적으로 오일을 스키밍할 수 있어 폐수의 오일 스키밍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유수분리부(300)는 스크레이핑저장부(266)에 저장된 오일이 공급되되, 공급된 오일에서 물이 하측으로 분리되며, 분리된 물은 일정 수위 이상될 경우, 폐수저장조(210)로 유입된다.
이에, 분리된 오일에 존재하는 물이 다시 분리되어 폐수저장조(210)로 순환됨에 따라, 폐수저장조(210)에 저수된 페수를 희석시켜 오일 스키밍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수처리시스템에는 제2폐수저장부(600)와 제2오일스키머부(700)를 더 포함한다.
이 제2폐수저장부(600)와 제2오일스키머부(700)는 폐수저장부(100)와 처리수저장부(400) 사이에 구비된다.
먼저, 제2폐수저장부(600)는 폐수저장부(100)에서 1차 스키밍된 액체를 저장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오일스키머부(700)는 제2폐수저장부(600)에 저장된 액체에서 오일을 스키밍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2폐수저장부(600)는 제2폐수저장조(610)와 제2폐수저장조덮개(620) 및 제2폐수배출부(630)를 포함한다.
제2폐수저장조(610)는 지중에 설치되며, 폐수저장부(100)의 폐수배출부(140)에서 배출되는 액체가 저장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폐수저장조덮개(620)는 다공을 갖고, 제2폐수저장조(610)를 덮도록 구비된다.
제2폐수배출부(630)는 제2오일스키머부(700)에 의해 오일이 분리된 처리수를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제2폐수배출부(630)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제2폐수배출관(632)으로, 하단부가 제2폐수저장조(610)의 저면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단부가 처리수저장부(300)의 상단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2폐수배출관(632)의 상단부 개방된 방향이 하단부의 개방된 방향과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제2폐수저장조(610)의 수위가 상단부 이상일 경우, 처리수를 처리수저장부(300)로 배출시킨다.
제2오일스키머부(700)는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스키머몸체(710)와 제2스키머상단롤러(720), 제2스키머하단롤러(730), 제2스키머벨트(740), 제2스키머구동모터(750) 및 제2스크레이핑부(760)를 포함한다.
제2스키머몸체(710)는 제2폐수조장조덮개(620)에 구비되는 것으로, 제2폐수조장조덮개(620) 상측에 구비되거나 관통되도록 구비된다.
그리고 제2스키머상단롤러(720)는 제2스키머몸체(71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제2스키머하단롤러(730)는 제2폐수저장조(610)의 액체에 담기도록 제2스키머상단롤러(720)의 하측으로 위치된다.
또한 제2스키머벨트(740)는 제2스키머하단롤러(730)와 제2스키머상단롤러(720)에 연결되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제2폐수저장조(610)의 오일을 스키밍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2스키머구동모터(750)는 제2스키머상단롤러(720)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스크레이핑부(760)는 제2스키머벨트(740)의 면을 스크레이핑하여 스키밍된 액체를 유수분리부(200)로 이송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2오일스키머부(700)는 기포유도부(270)에 의해 압축기체가 공급되어 물과 오일을 분리하여 가이드한다.
이 기포유도부(270)는 압축기체를 제2폐수저장조(610)의 수중에서 분사하여 유동시킴에 따라, 오일을 물과 분리시켜 부유되며, 부유하는 오일을 제2스키머벨트(740)로 유도한다.
그리고 제2오일스키머부(700)는 제2스키머이탈방지부(780)를 더 포함한다.
이 제2스키머이탈방지부(780)는 자중에 의해 제2스키머상단롤러(720)를 지나는 제2스키머벨트(740)를 하측으로 가압하여 제2스키머벨트(740)의 회전력을 향상시키며, 제2스키머상단롤러(72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제2스키머이탈방지부(780)는 제2이탈방지가이드프레임(782)과 제2이탈방지샤프트(784), 제2이탈방지승강롤러(786) 및 제2이탈방지가압롤러(788)를 포함한다.
제2이탈방지가이드프레임(782)은 한 쌍으로,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가이드공을 갖고, 제2스키머몸체(710)의 대면되는 양면에 각각 구비된다.
그리고 제2이탈방지샤프트(784)는 제2스키머상단롤러(620)의 회전축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제2이탈방지승강롤러(786)는 제2이탈방지샤프트(784)의 각 단부를 해당 제2이탈방지가이드프레임(782)에서 이동 가능하게 연결시킨다.
또한 제2이탈방지가압롤러(788)는 일정 중량을 갖고, 제2스키머벨트(740)의 양측단부를 제2스키머상단롤러(620)방향으로 가압하도록 제2이탈방지샤프트(784)에 구비된다.
이러한 제2이탈방지가압롤러(788)에 의해 제2스키머벨트(740)와 제2스키머상단롤러(620)의 압착력이 증가되어 일정한 회전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스크레이핑부(760)는 제2외측스크레이퍼(762)와 제2내측스크레이퍼(764) 및 제2스크레이핑저장부(766)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2외측스크레이퍼(762)는 제2스키머벨트(740)의 외측면을 스크레이핑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2내측스크레이퍼(764)는 제2스키머벨트(740)의 내측면을 스크레이핑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2스크레이핑저장부(766)는 제2외측스크레이퍼(762)와 제2내측스크레이퍼(764)에 의해 스크레이핑된 오일이 임시저장되도록 제2스키머몸체(710)에 구비된다.
여기서, 제2내측스크레이퍼(764)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은 제2외측스크레이퍼(762)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보다 상측에 위치되되, 제2스키머상단롤러(720)보다 외측에 위치된다.
그리고 제2외측스크레이퍼(762)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은 제2내측스크레이퍼(764)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보다 내측에 위치되어 회전되는 제2스키머벨트(740)가 제2내측스크레이퍼(764)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과 제2외측스크레이퍼(762)에 의해 스크레이핑되는 부분에서 변곡되며 스크레이핑된다.
여기서,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오일스키머부(700)는 제2높이조절부(790)를 더 포함한다.
이 제2높이조절부(790)는 제2폐수저장조(610)의 수위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제2높이조절부(790)는 제2조절이동몸체(792)와 제2조절구동부(794)를 포함한다.
제2조절이동몸체(792)는 제2스키머상단롤러(720), 제2스키머하단롤러(730), 제2스키머벨트(740), 제2스키머구동모터(750)가 구비되며, 제2스키머몸체(710)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또한 제2조절구동부(794)는 제2조절이동몸체(792)를 승강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높이조절부(790)는 제2폐수수위센서(796)와 제2높이조절제어부(798)를 더 포함한다.
제2폐수수위센서(796)는 제2폐수저장조(610)의 수위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제2높이조절제어부(798)는 제2폐수수위센서(796)의 신호를 수신하여 제2조절구동부(794)를 제어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제2오일스키머부(700)는 제2폐수저장조(610)의 수위에 대응하여 위치가 조절되어 오일을 스키밍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폐수저장조(610)의 폐수는 제2폐수배출부(630)의 배출 수위까지 저수되어야 배출됨에 따라, 그 전까지 반복적으로 오일을 스키밍할 수 있어 폐수의 오일 스키밍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처리수저장부(400)는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처리수저장부(410)와 제2처리수저장부(420)를 포함한다.
제1처리수저장부(410)는 폐수저장부(100)을 통해 오일이 분리된 처리수가 저수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처리수저장부(420)는 제1처리수저장부(410)에서 이송되는 처리수가 저수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1처리수저장부(410)는 제1처리수저장조(412)와 제1처리수저장조덮개(414) 및 제1처리수배출부(416)를 포함한다.
제1처리수저장조(412)는 폐수저장부(100)에서 이송되는 처리수가 저장되기 위해 구비된다.
물론, 제2폐수저장부(600)가 포함될 경우, 제2폐수저장부(600)에서 이송되는 처리수가 저장되기 위해 구비됨이 당연하다.
또한 제1처리수저장조덮개(414)는 다공을 갖고, 제1처리수저장조(412)를 덮도록 구비된다.
제1처리수배출부(416)는 제1처리수저장조(412)에 저수된 처리수가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제1처리수배출부(416)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제1처리수배출관(4162)으로, 하단부가 제1처리수저장조(412)의 저면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단부가 제2처리수저장부(420)의 상단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1처리수배출관(4162)의 상단부 개방된 방향이 하단부의 개방된 방향과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제2폐수저장조(610)의 수위가 상기 상단부 이상일 경우, 처리수를 제2처리수저장부(420)로 배출시킨다.
제2처리수저장부(420)는 제2처리수저장조(422)와 제2처리수저장조덮개(424) 및 제2처리수배출부(426)를 포함한다.
제2처리수저장조(422)는 제1처리수저장조(412)에서 이송되는 처리수가 저장되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제2처리수저장조덮개(424)는 다공을 갖고, 제2처리수저장조(422)를 덮도록 구비된다.
제2처리수배출부(426)는 제2처리수저장조(422)에 저수된 처리수가 일정 수위 이상일 경우,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이 제2처리수배출부(426)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제2처리수배출관(4262)으로, 하단부가 제2처리수저장조(422)의 저면부에 인접하게 위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제2처리수저장조의 상단면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제2처리수배출관(4262)의 상단부 개방된 방향이 하단부의 개방된 방향과 직교되도록 형성되어 제2폐수저장조(610)의 수위가 상기 상단부 이상일 경우, 처리수를 배출시킨다.
그리고 PH조절부(500)는 PH측정부(510)와 조절흡입부(520), 조절배출부(530) 및 약액공급부(540)를 포함한다.
PH측정부(510)는 처리수의 PH를 측정하기 위해 구비된다.
또한 조절흡입부(520)는 PH측정부(510)로 제1처리수저장조(412)에 저수된 처리수를 흡입하기 위해 구비된다.
조절배출부(530)는 PH측정부(510)를 거친 처리수를 제2처리수저장조(422)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그리고 약액공급부(540)는 PH측정부(510)에 의해 측정된 PH가 배출 기준범위에 속하도록 약액을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에, 처리수저장부(400)에 저수된 PH를 하수로 배출할 수 있는 정도로 유지시킬 수 있어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900 : 전원공급장치 910 : 전원타워
920 : 암부 930 : 전원케이블
940 : 텐션유지부 950 : 텐션이동부

Claims (10)

  1. 전기포크레인에 구비되는 전원타워;
    세워진 기본프레임에 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암부;
    상기 암부를 통해 전원타워로 설치되어 전기포크레인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케이블; 및
    이동하는 전기포크레인의 위치에 따른 상기 암부의 위치를 안정적이게 유지시켜 안정적인 전원공급을 유지시키기 위한 텐션유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암부는,
    상기 세워진 기본프레임에 고정되는 암고정프레임;
    일정 길이를 갖고, 상기 암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암회전프레임부; 및
    상기 암회전프레임부와 전원타워에 연결되어 일정 간격 이상 멀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상기 전원케이블을 유동 가능하도록 거치시키기 위한 간격유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텐션유지부는,
    텐션유지프레임;
    일단부가 상기 암회전프레임부의 타단부에 연결되는 텐션와이어;
    상기 텐션와이어를 가이드하도록 내부에 이동로를 갖고, 상기 텐션유지프레임에 구비되는 텐션가이드프레임; 및
    상기 텐션와이어를 타단측으로 당겨 전기포크레인의 위치에 따른 상기 암회전프레임부의 위치를 유지시키는 텐션원위치부;를 포함하는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회전프레임부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상기 암고정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암일단회전프레임;
    상기 암일단회전프레임과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는 암타단회전프레임;
    상기 암일단회전프레임과 암타단회전프레임의 각 하단부를 연결하는 제1암;
    상기 암일단회전프레임과 암타단회전프레임의 각 중간부를 연결하는 제2암; 및
    상기 암타단회전프레임, 제1암, 제2암이 하측으로 쳐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암텐션부;를 포함하는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암텐션부는,
    상기 암일단회전프레임의 상단부와 암타단회전프레임의 상단부를 연결하여 텐션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1암텐션부;
    상기 암일단회전프레임의 상단부와 제2암의 타단부를 연결하여 텐션을 텐션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2암텐션부;
    상기 제2암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복수 연결하여 텐션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3암텐션부; 및
    상기 제1암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복수 연결하여 텐션을 유지시키기 위한 제4암텐션부;를 포함하는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유지부는,
    유연성을 갖고, 상기 암회전프레임부의 타단부와 전원타워에 연결되는 연결와이어; 및
    상기 연결와이어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복수 구비되어 암회전프레임부를 거친 전원케이블이 설치되는 이동클램프;를 포함하는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26750A 2021-09-24 2021-09-24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 KR1024145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750A KR102414525B1 (ko) 2021-09-24 2021-09-24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750A KR102414525B1 (ko) 2021-09-24 2021-09-24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4525B1 true KR102414525B1 (ko) 2022-06-28

Family

ID=82268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750A KR102414525B1 (ko) 2021-09-24 2021-09-24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452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305B1 (ko) * 2006-12-08 2007-06-12 안은삼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포크레인의 전원공급장치
KR20100130308A (ko) * 2009-06-03 2010-12-13 이한기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
KR101031027B1 (ko) * 2011-01-31 2011-04-25 주식회사 3국산업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전력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작업기계
KR20130131978A (ko) * 2012-05-25 2013-12-04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굴삭기 기반의 자동 장력 조절형 집재 장치
KR20150000416A (ko) * 2013-06-21 2015-01-02 주식회사 코릴 실내작업용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
KR20180011956A (ko) * 2016-07-26 2018-02-05 안은삼 실내작업용 전기 포크레인의 전기공급시스템
KR102183526B1 (ko) * 2020-04-29 2020-11-26 권영욱 2단 굴절식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305B1 (ko) * 2006-12-08 2007-06-12 안은삼 전기를 동력원으로 하는 포크레인의 전원공급장치
KR20100130308A (ko) * 2009-06-03 2010-12-13 이한기 건설기계의 전기공급용 붐대
KR101031027B1 (ko) * 2011-01-31 2011-04-25 주식회사 3국산업 길이 조절이 가능한 전력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작업기계
KR20130131978A (ko) * 2012-05-25 2013-12-04 대한민국(관리부서 :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장) 굴삭기 기반의 자동 장력 조절형 집재 장치
KR20150000416A (ko) * 2013-06-21 2015-01-02 주식회사 코릴 실내작업용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
KR20180011956A (ko) * 2016-07-26 2018-02-05 안은삼 실내작업용 전기 포크레인의 전기공급시스템
KR102183526B1 (ko) * 2020-04-29 2020-11-26 권영욱 2단 굴절식 중장비용 전력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4525B1 (ko) 전기포크레인용 전원공급장치
KR100953300B1 (ko)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
CN116559402B (zh) 一种工业废水检测装置
JP3863114B2 (ja) 取水又は排水装置
KR102390494B1 (ko) 기포 오일스키머
CN114291771B (zh) 建筑机电设备的安装升降装置
KR102414528B1 (ko)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유수분리시스템
KR102390495B1 (ko) 기포 오일스키머를 이용한 수처리시스템
JP4352184B2 (ja) ポンプ及びこれに使用される基礎台
KR101733109B1 (ko) 제어기 보호용 리프터를 구비한 배수펌프
CN104340944A (zh) 大型机械四季上水装置
CN219058394U (zh) 一种用于热浸镀锌环形生产线的电动葫芦
KR101568676B1 (ko) 실내작업용 건설중장비의 전력공급장치
CN219606666U (zh) 一种适用于岸桥起重机的可移动集装箱识别装置
KR20050077178A (ko) 부력 부상수문 및 수문부상형 유수분리시스템
CN219091200U (zh) 一种行车式刮污泥设备
CN220105569U (zh) 污水池池内液位控制装置
CN221074580U (zh) 一种卧式浮球液位开关控制装置
JP4048984B2 (ja) 地下設置型制御盤の設置装置
CN217139331U (zh) 一种刮吸泥机撇渣机构
CN216766085U (zh) 一种带有报警功能的一体化泵站
CN118073996B (zh) 一种地下变电站
JPH1015581A (ja) 浮体式水域浄化装置
JP2016128153A (ja) 浮上油回収装置
CN213870221U (zh) 一种水泵填料函漏水量大小实时在线监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