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3300B1 -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3300B1
KR100953300B1 KR1020090049594A KR20090049594A KR100953300B1 KR 100953300 B1 KR100953300 B1 KR 100953300B1 KR 1020090049594 A KR1020090049594 A KR 1020090049594A KR 20090049594 A KR20090049594 A KR 20090049594A KR 100953300 B1 KR100953300 B1 KR 1009533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float
wire
guid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9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재현
문영현
Original Assignee
문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재현 filed Critical 문재현
Priority to KR10200900495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330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33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33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07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stabilis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Details of conne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판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하천의 일측에 배치되어 부유물을 수거하는 부유물 수거부; 상기 하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부유물을 상기 부유물 수거부로 유도하며,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의 몇 개는 수면 위로 배치되고 나머지는 물 속에 배치되는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 상기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를 경사지게 고정하되 수량에 따라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들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와이어 고정 및 높이 조절 유닛; 및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에 텐션을 부여하는 다수의 버클 스프링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천을 따라 떠내려 올 수 있는 부유물이 담수에 도달하기 이전에 처리함으로써 수질 악화와 더불어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설치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하여 부유물 유도 처리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수상, 쓰레기, 이물질, 부유물, 유도, 처리, 포집, 제거

Description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FLOATING MATTER REMOVE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천을 따라 떠내려 올 수 있는 부유물이 담수에 도달하기 이전에 처리함으로써 수질 악화와 더불어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설치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하여 부유물 유도 처리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홍수나 기타 여건으로 인해 예컨대 나무, 페트병, 캔, 농약병, 플라스틱, 스티로폼 등의 부유물이 강이나 하천을 따라 떠내려 와 댐, 식수원, 농업용수, 공업용수, 습지 등의 소하천에 유입되면, 수질 악화와 더불어 환경오염의 주범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댐, 식수원, 농업용수, 공업용수, 습지 등의 소하천 쪽으로 유입된 부유물이 담수에 도달하기 이전에 부유물을 제거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는 하나의 와이어(wire)에 부유통이 일직선 수평으로 고정된 상태로 연결된 구조를 가지며 이러한 구조에 의해 부유물을 안 내시킨 다음에 부유물을 처리하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기술의 경우에는 하나의 와이어에 부유통이 일직선 수평으로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부유물이 조금만 쌓이더라도 하중과 수압을 견디지 못하여 절단 및 파손될 소지가 높으며, 또한 그 구조상 하천에 회오리가 발생되면 수거된 부유물이 다시 떠내려가면서 소하천 쪽으로 유입될 수 있기 때문에 수질 악화와 더불어 환경오염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을 따라 떠내려 올 수 있는 부유물이 담수에 도달하기 이전에 처리함으로써 수질 악화와 더불어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설치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하여 부유물 유도 처리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판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하천의 일측에 배치되어 부유물을 수거하는 부유물 수거부; 상기 하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부유물을 상기 부유물 수거부로 유도하며,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의 몇 개는 수면 위로 배치되고 나머지는 물 속에 배치되는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 상기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를 경사지게 고정하되 수량에 따라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들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와이어 고정 및 높이 조절 유닛; 및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 어에 텐션을 부여하는 다수의 버클 스프링 실린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다수의 와이어 고정 및 높이 조절 유닛 각각은, 지상 또는 하천 내의 바닥에 고정되는 유닛 블록; 하단부가 상기 유닛 블록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고정 포스트; 상기 고정 포스트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서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가 연결되는 상하 이동 튜브; 상기 고정 포스트와 상기 상하 이동 튜브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 수면 위에 배치되는 부력체; 및 상기 부력체와 상기 상하 이동 튜브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버클 스프링 실린더 각각은, 턴버클; 제1 너트에 의해 상기 턴버클의 일단부에 거리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 로드; 제2 너트에 의해 상기 턴버클의 타단부에 거리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프링 하우징; 일단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가 형성된 영역은 상기 스프링 하우징에 수용되고 나머지 영역은 상기 스프링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프링 로드; 및 상기 스프링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스프링 로드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 로드가 상기 스프링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가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부유물과의 표면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다수의 와이어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하 이동 튜브에 결합되어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 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에 결합되어 상기 부유물을 상기 부유물 수거부 쪽으로 유도시키는 부유물 보조 유도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유물 보조 유도 유닛은, 상기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를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와이어 이동부; 상기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에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와 함께 이동되는 다수의 와이어 파이프; 및 상기 다수의 와이어 파이프에 결합되어 상기 부유물을 이송시키는 부유물 이송 고리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천을 따라 떠내려 올 수 있는 부유물이 담수에 도달하기 이전에 처리함으로써 수질 악화와 더불어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설치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하여 부유물 유도 처리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의 설치 상태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와이어 고정 및 높이 조절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동작 상태도, 도 5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 영역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버클 스프링 실린더의 단면 구조도, 그리고 도 8은 도 7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는 하천을 따라 떠내려 올 수 있는 부유물이 담수에 도달하기 이전에 수거하여 처리하는 장치로서 수질 악화와 더불어 환경오염을 예방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는 종래기술보다 설치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하여 부유물 유도 처리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참고로, 부유물이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무, 페트병, 캔, 농약병, 플라스틱, 스티로폼 등을 비롯하여 각종 쓰레기가 될 수 있는데, 이러한 부유물에 대해서는 편의상 도면 참조부호를 생략하도록 한다.
이러한 역할을 수행하는 본 실시예의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는, 부유물 수거부(110),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 다수의 와이어 고정 및 높이 조절 유닛(130a~130d) 및 다수의 버클 스프링 실린더(140)를 구비하고 있다.
우선, 부유물 수거부(110)는 하천의 일측에 배치되어 부유물이 수거되는 장소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된 울타리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판면에는 물이 통과될 수 있는 다수의 통공(111)이 형성된다.
통공(111)의 사이즈는 물은 통과하되 부유물은 통과될 수 없는 정도면 그것으로 충분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사각 형태일 필요는 없다.
이러한 부유물 수거부(110)는 부유물이 모이는 장소이기 때문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천의 일 영역에 설치된 후에는 물에 의해 쉽게 떠내려가지 않을 정도로 단 단히 고정되어야 한다.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는 하천을 따라 떠내려 오는 부유물을 부유물 수거부(110) 쪽으로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1과 같이,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는 하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도 1의 다수의 화살표 참조)에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하천을 따라 떠내려 오는 부유물을 부유물 수거부(110) 쪽으로 안내한다.
이러한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는 높이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일렬로 배치되어 설치되는데, 이 경우,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의 몇 개는 수면 위로 배치되고 나머지는 물 속에 배치된다.
예컨대, 도 1의 확대 부분과 같이, 5개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가 마련될 경우, 상측의 2개는 수면 위로 배치되고 나머지 3개는 물 속에 배치될 수 있다.
이처럼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들이 물의 표면에 대해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됨으로써 수면 위를 따라 떠내려 오는 부유물과, 약간 잠긴 상태에서 떠내려 오는 부유물 모두를 부유물 수거부(110) 쪽으로 안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이러한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를 마련함에 있어 단순히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를 설치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의 외측에 다수의 와이어 하우징(121)을 더 마련하여 사용하고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의 외측으로 다수의 와이어 하우징(121)을 끼우고, 와이어 하우징(121)들의 돌출부(121a)가 인접된 것 의 홈부(121b)에 끼워지도록 하여 와이어 하우징(121)을 결합시키면 된다. 도 1의 확대도를 보면, 와이어 하우징(121)들 내에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가 도시되어 있다.
이처럼 단순히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만을 사용하지 않고, 그 외측에 와이어 하우징(121)들을 더 설치하여 사용하게 되면 부유물과의 표면 접촉 면적을 증가되기 때문에 부유물 수거부(110) 쪽으로 부유물을 유도 및 안내하는데 보다 효과적일 수 있다.
이때, 와이어 하우징(121)들은 반드시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의 전 구간에 모두 마련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한 부분에만 마련해도 무방할 것이다.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가 단독으로 설치되든지, 아니면 본 실시예와 같이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의 외측에 와이어 하우징(121)들이 더 설치되든지 간에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들은 하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부유물을 부유물 수거부(110)로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들을 경사지게 설치하기 위한 수단이 요구되는데, 이를 위해 다수의 와이어 고정 및 높이 조절 유닛(130a~130d)이 마련된다. 참고로,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들의 경사 각도는 40도에서 70도 사이일 수 있지만 현장 상황에 맞게 설치되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위치에 4개의 와이어 고정 및 높이 조절 유닛(130a~130d)을 마련하여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들을 경사지게 설치 및 고정하고 있다.
이때, 와이어 고정 및 높이 조절 유닛(130a~130d)들은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들을 경사지게 고정하는 역할 외에도 수량에 따라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들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겸한다.
이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4개의 와이어 고정 및 높이 조절 유닛(130a~130d)의 구조는 모두 동일할 수 있으므로, 이들에 대한 세부 구조는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한번에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와이어 고정 및 높이 조절 유닛(130a~130d)들 각각은, 유닛 블록(131)과, 하단부가 유닛 블록(131)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고정 포스트(132)와, 고정 포스트(132)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서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들이 연결되는 상하 이동 튜브(133)와, 고정 포스트(132)와 상하 이동 튜브(133)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134)과, 수면 위에 배치되는 부력체(135)와, 부력체(135)와 상하 이동 튜브(133)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136)를 구비한다.
유닛 블록(131)은 지상 또는 하천 내의 바닥에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콘크리트 덩어리로 마련된다. 이러한 유닛 블록(131)은 중량이 큰 거대한 구조물이므로 물에 떠내려가지 않고 해당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고정 포스트(132)는 유닛 블록(131)의 제작 시 유닛 블록(131)과 일체로 제작된다. 따라서 고정 포스트(132) 역시 유닛 블록(131)에 의해 해당 위치에 고정되는 부분이다. 고정 포스트(132)의 길이는 하천의 수심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하 이동 튜브(133)는 고정 포스트(132)와의 사이에 마련된 도 5의 베어링(134)에 의해 고정 포스트(132)에 대해 상하로 이동되는 구성이며, 이러한 상하 이동 튜브(133)에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들이 결합된다. 상하 이동 튜브(133)는 다수의 연결부(136)에 의해 부력체(135)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수량이 적어 수심이 얕아지면 도 3과 같이 부력체(135)가 얕아진 수심에 따라 하방으로 내려가게 되는데 이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 튜브(133) 역시 고정 포스트(132)를 축으로 하방으로 내려간다.
하지만 수량이 많아져서 수심이 깊어지면 도 4와 같이 부력체(135)가 깊어진 수심에 따라 상방으로 올라가게 되며, 이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 튜브(133) 역시 고정 포스트(132)를 축으로 하여 상방으로 올라가게 된다.
이처럼 수량 또는 수심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는 부력체(135)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하 이동 튜브(133)가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상하 이동 튜브(133)에 결합되는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들 역시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됨으로써,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들은 늘 일정한 위치에서 부유물을 부유물 수거부(110) 쪽으로 유도 및 안내할 수 있기 때문에 부유물 유도 및 안내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들은 상하 이동 튜브(133)의 외측에 결합될 수 있는데, 만약 상하 이동 튜브(133)의 외측에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들을 결합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을 경우라면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 9와 같이 상하 이동 튜브(233)에 별도의 와이어 연결 리브(237)를 더 설치하고, 이 와이어 연결 리 브(237)에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들을 연결하면 된다.
와이어 연결 리브(237)에는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들이 통과되거나 고정될 수 있는 홀(236a)이 형성될 수 있다. 도 9의 구성은 도 3 및 도 4와 동일하므로 참조부호만 달리 부여하고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하천에 물이 흐르는 방향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들은 항상 일정한 텐션을 가져야 한다. 만약,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들이 처지게 되면 부유물을 유도 및 안내하는데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들을 팽팽하게 당겨 재설치하는 작업을 작업자가 주기적으로 빈번하게 수행해야 한다면 이는 번거롭고 불편할 수밖에 없으므로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의 버클 스프링 실린더(140)를 마련하고 있다.
이러한 버클 스프링 실린더(140)는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들과 연결되는 어떠한 위치에 마련되어도 좋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첫 번째 와이어 고정 및 높이 조절 유닛(130a)에 설치하여 이 곳에서부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들이 팽팽하게 당겨지면서 연결되도록 하고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총 5개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가 마련되므로 이에 대응되도록 버클 스프링 실린더(140) 역시 5개가 마련되며, 각각의 구조는 모두 동일하다.
버클 스프링 실린더(140)들 각각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버클(141)과, 제1 너트(142)에 의해 턴버클(141)의 일단부에 거리 조절 가능하게 고 정되는 고정 로드(143)와, 제2 너트(144)에 의해 턴버클(141)의 타단부에 거리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프링 하우징(145)과, 일단부에 플랜지부(146)가 형성되며 플랜지부(146)가 형성된 영역은 스프링 하우징(145)에 수용되고 나머지 영역은 스프링 하우징(145)의 외측으로 노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프링 로드(147)와, 스프링 하우징(145)의 내부에서 스프링 로드(147)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스프링 로드(147)가 스프링 하우징(145)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스프링(148)을 구비한다.
턴버클(141)의 양단부에는 너트(141a,141b)가 구비되며, 고정 로드(143)와 스프링 로드(147)의 단부에는 각각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가 결합되기 위한 고리(143a,147a)가 형성된다.
이에, 고정 로드(143)와 스프링 로드(147)의 단부에 형성된 고리(143a,147a)에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를 연결해 놓은 상태에서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가 팽팽하게 당겨지도록 제1 너트(142)와 제2 너트(144)를 체결한다.
이 상태가 도 7의 구조일 수 있는데, 도 7의 구조에서 만약 하천의 물살이 세져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가 물에 약간 밀리게 되면 도 8과 같이 스프링(148)이 압축되면서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의 길이가 늘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하천의 물살이 다시 원상태로 약해지면 스프링(148)에 의해 다시 원상태인 도 7과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이처럼 버클 스프링 실린더(140)를 사용하게 되면 물살에 기초하여 언제든지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가 팽팽하게 설치될 수 있기 때문에 부유물 처리에의 효율이 높아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부유물 수거부(110),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 다수의 와이어 고정 및 높이 조절 유닛(130a~130d) 및 다수의 버클 스프링 실린더(140)를 이용하여 하천에 도 1과 같은 형태로 설치하게 되면, 하천을 따라 흐르는 부유물들은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120) 또는 그 외측에 결합된 다수의 와이어 하우징(121)에 접촉되어 유도 및 안내되면서 부유물 수거부(110)에 수거되며, 일정량이 수거되면 작업자가 부유물 수거부(110) 내의 부유물을 수거하면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천을 따라 떠내려 올 수 있는 부유물이 담수에 도달하기 이전에 처리함으로써 수질 악화와 더불어 환경오염을 예방할 수 있으며, 또한 설치가 간단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이 우수하여 부유물 유도 처리에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에서 부유물 보조 유도 유닛에 대한 구조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할 때,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320)에는 부유물을 부유물 수거부(110, 도 1 참조) 쪽으로 유도시키는 부유물 보조 유도 유닛(350)이 더 마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부유물 보조 유도 유닛(350)은,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320)를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와이어 이동부(351)와,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320)에 결합되어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320)와 함께 이동되는 다수의 와이어 파이프(352)와, 다수의 와이어 파이프(352)에 결합되어 부유물을 이송시키는 부유물 이송 고리부재(353)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 이동부(351)는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320)를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모터(351a), 모터(351a)에 연결되는 구동 기어(351b),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320)가 감긴 와이어 권취부(321)에 연결되는 피동 기어(351c), 그리고 구동 기어(351b)와 구동 기어(351b)를 연결하는 체인(351d)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부유물 이송 고리부재(353)는 와이어 파이프(352)에 결합되어 접혀지거나 펼쳐지면서 부유물을 유도 및 안내하는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가 적용되어 모터(351a)가 회전하면, 이에 연동하여 구동 기어(351b), 체인(351d) 및 피동 기어(351c)가 회전하면서 와이어 권취부(321)를 회전시키게 됨으로써 와이어 권취부(321)에 권취된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320)는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다수의 와이어 파이프(352)가 이동되면서 부유물 이송 고리부재(353)로 하여금 부유물을 유도 및 안내하도록 할 수 있기 때문에 또 다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의 설치 상태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와이어 고정 및 높이 조절 유닛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동작 상태도,
도 5는 도 4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 영역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버클 스프링 실린더의 단면 구조도,
도 8은 도 7의 동작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의 와이어 고정 및 높이 조절 유닛에 대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에서 부유물 보조 유도 유닛에 대한 구조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부유물 수거부 120 :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
130a~130d : 와이어 고정 및 높이 조절 유닛 131 : 유닛 블록
132 : 고정 포스트 133 : 상하 이동 튜브
134 : 베어링 135 : 부력체
136 : 연결부 140 : 버클 스프링 실린더
141 : 턴버클 142 : 제1 너트
143 : 고정 로드 144 : 제2 너트
145 : 스프링 하우징 146 : 플랜지부
147 : 스프링 로드 148 : 스프링

Claims (6)

  1. 판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하천의 일측에 배치되어 부유물을 수거하는 부유물 수거부와, 상기 하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부유물을 상기 부유물 수거부로 유도하며,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의 몇 개는 수면 위로 배치되고 나머지는 물 속에 배치되는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와, 상기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를 경사지게 고정하되 수량에 따라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들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와이어 고정 및 높이 조절 유닛, 및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에 텐션을 부여하는 다수의 버클 스프링 실린더를 포함하는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와이어 고정 및 높이 조절 유닛 각각은,
    지상 또는 하천 내의 바닥에 고정되는 유닛 블록;
    하단부가 상기 유닛 블록에 고정되어 상하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고정 포스트;
    상기 고정 포스트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일측에서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가 연결되는 상하 이동 튜브;
    상기 고정 포스트와 상기 상하 이동 튜브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
    수면 위에 배치되는 부력체; 및
    상기 부력체와 상기 상하 이동 튜브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
  2. 삭제
  3. 판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하천의 일측에 배치되어 부유물을 수거하는 부유물 수거부와, 상기 하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부유물을 상기 부유물 수거부로 유도하며,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의 몇 개는 수면 위로 배치되고 나머지는 물 속에 배치되는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와, 상기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를 경사지게 고정하되 수량에 따라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들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와이어 고정 및 높이 조절 유닛, 및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에 텐션을 부여하는 다수의 버클 스프링 실린더를 포함하는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버클 스프링 실린더 각각은,
    턴버클;
    제1 너트에 의해 상기 턴버클의 일단부에 거리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 로드;
    제2 너트에 의해 상기 턴버클의 타단부에 거리 조절 가능하게 고정되는 스프링 하우징;
    일단부에 플랜지부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가 형성된 영역은 상기 스프링 하우징에 수용되고 나머지 영역은 상기 스프링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 가능하게 배치되는 스프링 로드; 및
    상기 스프링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스프링 로드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상기 스프링 로드가 상기 스프링 하우징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탄성바이어스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
  4. 판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하천의 일측에 배치되어 부유물을 수거하는 부유물 수거부와, 상기 하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부유물을 상기 부유물 수거부로 유도하며,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의 몇 개는 수면 위로 배치되고 나머지는 물 속에 배치되는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와, 상기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를 경사지게 고정하되 수량에 따라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들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와이어 고정 및 높이 조절 유닛, 및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에 텐션을 부여하는 다수의 버클 스프링 실린더를 포함하는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가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간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부유물과의 표면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는 다수의 와이어 하우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동 튜브에 결합되어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연결 리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
  6. 판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하천의 일측에 배치되어 부유물을 수거하는 부유물 수거부와, 상기 하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부유물을 상기 부유물 수거부로 유도하며,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의 몇 개는 수면 위로 배치되고 나머지는 물 속에 배치되는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와, 상기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를 경사지게 고정하되 수량에 따라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들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와이어 고정 및 높이 조절 유닛, 및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에 텐션을 부여하는 다수의 버클 스프링 실린더를 포함하는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에 결합되어 상기 부유물을 상기 부유물 수거부 쪽으로 유도시키는 부유물 보조 유도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부유물 보조 유도 유닛은,
    상기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를 적어도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와이어 이동부;
    상기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에 결합되어 상기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와 함께 이동되는 다수의 와이어 파이프; 및
    상기 다수의 와이어 파이프에 결합되어 상기 부유물을 이송시키는 부유물 이송 고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
KR1020090049594A 2009-06-04 2009-06-04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 KR1009533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594A KR100953300B1 (ko) 2009-06-04 2009-06-04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9594A KR100953300B1 (ko) 2009-06-04 2009-06-04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53300B1 true KR100953300B1 (ko) 2010-04-20

Family

ID=42220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9594A KR100953300B1 (ko) 2009-06-04 2009-06-04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53300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338B1 (ko) 2011-10-12 2012-07-18 김은숙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거방법
CN104195998A (zh) * 2014-09-05 2014-12-10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一种湖泊污染物机动拦截与导流装置及方法
CN106223297A (zh) * 2016-09-12 2016-12-14 成都创慧科达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型漂浮物打捞设备
CN107059818A (zh) * 2017-05-12 2017-08-18 三峡大学 水动力自净式拦污栅系统
IT201900017105A1 (it) * 2019-09-24 2021-03-24 Earthfront S R L Macchinario per il recupero e la rimozione di rifiuti o detriti galleggianti da corsi d’acqua
KR102614302B1 (ko) * 2022-06-10 2023-12-15 김정판 하천과 연결되는 해양의 해양 쓰레기 포집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4551A (ja) 1998-09-10 2000-03-28 Hitachi Kiden Kogyo Ltd 流下ごみの除去装置
KR100532247B1 (ko) * 2005-03-24 2005-12-09 진명건설(주) 수면 및 수중의 부유물 제거장치
KR100541071B1 (ko) 2005-03-24 2006-01-10 진명건설(주) 부양걸름체에 의한 부유물 제거장치
KR100899572B1 (ko) * 2008-11-14 2009-05-26 (주)보원엔지니어링 하천 제방의 이동식 부유물 수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4551A (ja) 1998-09-10 2000-03-28 Hitachi Kiden Kogyo Ltd 流下ごみの除去装置
KR100532247B1 (ko) * 2005-03-24 2005-12-09 진명건설(주) 수면 및 수중의 부유물 제거장치
KR100541071B1 (ko) 2005-03-24 2006-01-10 진명건설(주) 부양걸름체에 의한 부유물 제거장치
KR100899572B1 (ko) * 2008-11-14 2009-05-26 (주)보원엔지니어링 하천 제방의 이동식 부유물 수거장치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66338B1 (ko) 2011-10-12 2012-07-18 김은숙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거방법
CN104195998A (zh) * 2014-09-05 2014-12-10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一种湖泊污染物机动拦截与导流装置及方法
CN104195998B (zh) * 2014-09-05 2016-03-16 中国科学院南京地理与湖泊研究所 一种湖泊污染物机动拦截与导流装置及方法
CN106223297A (zh) * 2016-09-12 2016-12-14 成都创慧科达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型漂浮物打捞设备
CN106223297B (zh) * 2016-09-12 2018-07-27 成都创慧科达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型漂浮物打捞设备
CN107059818A (zh) * 2017-05-12 2017-08-18 三峡大学 水动力自净式拦污栅系统
IT201900017105A1 (it) * 2019-09-24 2021-03-24 Earthfront S R L Macchinario per il recupero e la rimozione di rifiuti o detriti galleggianti da corsi d’acqua
EP3798364A1 (en) * 2019-09-24 2021-03-31 Earthfront S.r.l. Machinery for the recovery and removal of waste or floating debris from watercourses
KR102614302B1 (ko) * 2022-06-10 2023-12-15 김정판 하천과 연결되는 해양의 해양 쓰레기 포집 장치
KR102614298B1 (ko) * 2022-06-10 2023-12-15 김정판 해안가로 유입되는 해양 쓰레기 포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3300B1 (ko)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
KR100624085B1 (ko)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는 하천 부유물 수거장치
US20110064522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ducing the downstream environmental impact of water extracted from a hydraulic dam
JP2010248785A (ja) 河川浮遊塵自動回収装置
KR10165806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JP5787787B2 (ja) 水力発電装置
KR100980723B1 (ko) 무언체 전도 수문
KR101538322B1 (ko) 호이스트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용 제진기
KR20080004608U (ko) 하천 쓰레기 수거 장치
KR100541071B1 (ko) 부양걸름체에 의한 부유물 제거장치
KR20050032090A (ko) 환경보호를 위한 이동식 오염물질제거장치
US789243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or removing sludge
US5851448A (en) Single guide member retrievable aeration system
KR101345324B1 (ko) 부유슬러지 제거장치
KR101047996B1 (ko)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JP5366633B2 (ja) 網場設備
KR20170118311A (ko) 하수관로의 협잡물처리 스크린장치
CN107503431B (zh) 捞渣装置及设有捞渣装置的弃流或分流井
KR100468438B1 (ko) 강물의 부유 쓰레기 차단 유도장치 및 그 방법
KR101030951B1 (ko) 로타리식 제진기의 스크린 장치
CN208441072U (zh) 河道漂浮污染物自动收集装置
KR20050077178A (ko) 부력 부상수문 및 수문부상형 유수분리시스템
FI102307B (fi) Menetelmä ja laitteisto veden ottamiseksi vesistöstä
KR20150046596A (ko) 부유물 제거장치
JP5022321B2 (ja) 海水循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