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46596A - 부유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부유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46596A
KR20150046596A KR20130126033A KR20130126033A KR20150046596A KR 20150046596 A KR20150046596 A KR 20150046596A KR 20130126033 A KR20130126033 A KR 20130126033A KR 20130126033 A KR20130126033 A KR 20130126033A KR 20150046596 A KR20150046596 A KR 201500465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pipe
buoyancy
support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6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79750B1 (ko
Inventor
송형근
김상철
Original Assignee
송형근
김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형근, 김상철 filed Critical 송형근
Priority to KR1020130126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9750B1/ko
Publication of KR201500465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65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9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97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력을 갖도록 호퍼를 형성하여 수면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승하강하고,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부유물 제거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고, 전력 손실 및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는 부유물 제거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수면 위에 떠다니는 부유물 제거를 위해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된 호퍼(10)는 그 자체가 부력을 갖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외부 처리 시설과 연결된 배관 파이프(60)에 일측이 인출가능하게 삽입된 지지부(12)와 상기 지지부(12)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2)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121)으로 부유물을 수집하는 유입부(14)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14)는, 부유물이 상기 지지부(12)의 구멍(121)을 향해 흘러 들어가도록 구멍(121)의 가장자리와 연결된 일측보다 타측이 더 높은 위치를 갖도록 형성된 내판(14a); 및 일측은 상기 내판(14a)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12)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14)가 부력을 갖도록 상기 내판(14a)과의 사이에 공간(14c)을 형성하는 외판(14b)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부유물 제거장치{Apparatus for Removing Suspended Solid}
본 발명은 부유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부력을 갖도록 호퍼를 형성하여 수면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승하강하고,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부유물 제거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고, 전력 손실 및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는 부유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수장 및 하수처리장은 오수 또는 폐수가 유입되어 일정기간 저장되며, 각종 약품처리 등에 의해 오염물질을 제거한 후 상수도나 하수천으로 방류하게 된다.
한편, 오·폐수의 처리 시 부피가 큰 각종 이물질들은 별도의 처리장치를 통해 제거되며, 부피가 작은 스컴(scum), 오일류 및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꽃가루, 비닐 등의 부유물은 작업자가 뜰채를 이용하여 직접 제거하거나 부표식 제거기로 부유물을 제거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뜰채나 부표식 제거기를 이용하여 부유물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일부 부유물만이 간헐적으로 제거되므로 오·폐수의 처리과정 중 수면으로 부상된 부유물을 지속적으로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해, 부유물에 각종 미생물이 서식하게 되면서 정수환경을 오염시키게 되고, 공기와 수면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수질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되며, 뜰채를 이용한 부유물 제거시에는 작업자의 피로도가 증가되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등록특허공보 제10-0922174호와 같이 거품흡입구의 양단에 부구를 설치하여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부유물 제거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부유물 제거장치는 바람이나 물의 흐름에 거품흡입구와 부구가 별도로 작용하여 흔들리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부유물을 제거하는 게 어렵고, 기존의 배수관로를 사용하지 않고 별도로 펌프 등을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설치비가 증가함과 아울러 펌프의 사용에 따라 많은 전력 소모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0922174호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부력을 갖도록 호퍼를 형성하여 수면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승하강하고,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부유물 제거를 안정적으로 행할 수 있고, 전력 손실 및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는 부유물 제거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는 수면 위에 떠다니는 부유물 제거를 위해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자체가 부력을 갖도록 형성된 호퍼(10)를 포함하며, 상기 호퍼(10)는 외부 처리 시설과 연결된 배관 파이프(60)에 일측이 인출가능하게 삽입된 지지부(12); 및 상기 지지부(12)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2)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121)으로 부유물을 수집하는 유입부(14)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14)는, 부유물이 상기 지지부(12)의 구멍(121)을 향해 흘러 들어가도록 구멍(121)의 가장자리와 연결된 일측보다 타측이 더 높은 위치를 갖도록 형성된 내판(14a); 및 일측은 상기 내판(14a)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12)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14)가 부력을 갖도록 상기 내판(14a)과의 사이에 공간(14c)을 형성하는 외판(1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호퍼(10)는 부유물 수거를 위해 필요한 최소높이보다 높게 수면 위에 돌출되게 과부력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판(14a)과 외판(14b)의 기울기 조절에 의해 부력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호퍼(10)는 상기 내판(14a)과 외판(1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울기가 커지면 부력의 크기가 커지고, 상기 내판(14a)과 외판(1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울기가 작아지면 부력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호퍼(10)가 수위변동 시 자체부력에 의해 상하로 움직일 때 상기 지지부(12)와 배관 파이프(60)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부(12)와 상기 배관 파이프(60) 사이의 공간을 통해 많은 양의 물이 한꺼번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12)와 상기 배관 파이프(60) 사이에 배치되게 상기 배관 파이프(60) 내부에 설치되는 부싱(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부(12)는 상기 부싱(30)과 지지부(12) 사이의 유격 조절을 위해 상기 배관 파이프(60)에 삽입된 부분의 외면에 산(122a)과 골(122b)이 교대로 배치된 패턴(1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일 측이 상기 호퍼(10)의 윗면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구멍(121) 중앙에서 서로 결합된 복수개의 지지봉(5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봉(55)에는 상기 호퍼(1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무게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호퍼(10)에 부가된 부력의 오차 발생 시 상기 호퍼(10)와 수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보조 플로트(40); 및 상기 보조 플로트(4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호퍼(10)에 부력을 제공하거나 제공된 부력을 제거하여 상기 호퍼(10)의 높이를 미세조절하는 승하강 조절수단(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하강 조절수단(50)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 일부에 나사선이 형성된 안내관(51); 일 측은 상기 안내관(51)의 일 측과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보조 플로트(40)에 연결된 복수개의 연결대(52); 일 측에는 조절핸들(53)이 부착되고, 상기 안내관(51)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선이 외측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관(51)을 관통하도록 상기 안내관(51)에 삽입된 조절대(54); 및 일 측은 상기 호퍼(10)의 윗면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호퍼(10)의 중앙에서 상기 조절대(54)의 타 측과 결합된 복수개의 지지봉(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지지봉(55)과 상기 안내관(51) 사이에 노출된 조절대(54)에는 상기 호퍼(1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무게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승하강 조절수단(50)은 상기 보조 플로트(40)와 상기 연결대(5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플로트(4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봉(5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봉(56)의 외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52)의 타 측은 상기 조절봉(56)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결합하는 나사선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호퍼에 제공된 부력으로 인해 수면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승하강되면서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므로 항상 자동으로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어 부유물 제거를 위한 인력 투입을 줄일 수 있고, 호퍼의 높낮이 조절 시 전력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정수장이나 하수처리장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 파이프에 설치가 가능하므로 설치비를 저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호퍼가 자체 부력을 갖도록 형성되고, 호퍼 하부에 설치된 지지부가 배관 파이프에 삽입되어 호퍼를 지지하기 때문에 바람이나 유속의 흐름에 의해 호퍼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부유물의 수집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에 도시된 호퍼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는 구성요소의 명확한 구분을 위해 도면을 컬러(Color)로 표현했을 뿐 상술한 컬러 색상으로 구성요소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은 도 1에 도시된 호퍼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지지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력을 갖는 부유물 제거장치는 호퍼(10); 부싱(30); 보조 플로트(40); 및 승하강 조절수단(50)으로 구성된다.
상기 호퍼(10)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되 물 위에 뜰 수 있게 자체부력을 갖도록 형성되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자체가 부력을 갖도록 중공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배관 파이프(60)에 인출 가능하게 삽입된 지지부(12)와 상기 지지부(12)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2)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121)으로 정수장, 하수처리장, 양식장, 강, 또는 호수 등의 수면에 떠다니는 부유물을 수집하는 유입부(14)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12)는 상기 호퍼(10)가 바람 또는 유속의 흐름(즉, 정수장, 하수처리장, 양식장, 강 또는 호수에서의 물의 흐름)에 의해 좌우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고, 수위변동에 의해 상기 호퍼(10)가 제자리에서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상기 호퍼(10)를 지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지지부(12)는 상기 유입부(14)가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이 외부 처리 시설과 연결된 배관 파이프(60)에 삽입되고, 상기 배관 파이프(60)에 삽입된 부분의 외면에는 후술하는 부싱(30)과 상기 지지부(12) 사이의 유격조절을 위해 산(122a)과 골(122b)이 교대로 배치된 패턴(122)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정수장, 하수처리장, 양식장, 강 또는 호수의 물속에 있는 찌꺼기가 상기 지지부(12)의 외면이나 상기 부싱(30)의 내면에 부착되거나 상기 지지부(12)의 외면이나 상기 부싱(30)의 내면에 물때가 끼게 되는 경우 상기 지지부(12)와 부싱(30) 사이의 유격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호퍼(10)의 부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12)가 상기 배관 파이프(60)에서 상하로 움직이는게 불가능해지므로 상기 지지부(12)의 외면에는 상기 부싱(30)과 상기 지지부(12) 사이의 유격 조절을 위한 패턴(122)이 형성된다.
이때, 패턴(122)은 그 단면이 삼각형, 사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과 반원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지지부(12)의 외면에 링 형태 또는 나사선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유입부(14)는 상기 부유물이 상기 지지부(12)의 구멍(121)을 향해 흘러 들어가도록 구멍(121)의 가장자리와 연결된 일측보다 타측이 더 높은 위치를 갖도록 형성된 내판(14a) 및 일측은 상기 내판(14a)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12)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14)가 부력을 갖도록 상기 내판(14a)과의 사이에 공간(14c)을 형성하는 외판(14b)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기 호퍼(10)는 유입부(14)의 내판(14a)과 외판(14b) 사이의 공간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자체 부력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상기 내판(14a)과 외판(1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울기(즉, 3사분면에서의 기울기 각도)를 크게 하면 상기 내판(14a)과 외판(14b) 사이의 공간 크기가 커지므로 상기 호퍼(10)의 부력이 증가하게 되고, 상기 내판(14a)과 외판(1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울기를 작게 하면, 상기 내판(14a)과 외판(14b) 사이의 공간 크기가 작아지게 되므로 상기 호퍼(10)의 부력은 감소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호퍼(10)의 부력을 크게하면, 상기 호퍼(10)의 윗면 즉, 정수장, 하수처리장, 양식장, 강 또는 호수에서의 수면 위로 노출되는 면이 수면보다 훨씬 높은 곳에 위치할 수도 있고, 호퍼(10)의 부력을 작게하면, 상기 호퍼(10)가 물속으로 가라 앉을 수도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내판(14a)과 외판(1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울기를 조절하여 상기 내판(14a)과 외판(14b) 사이의 공간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호퍼(10)의 부력을 조절하여 상기 호퍼(10)의 윗면과 수면의 높이 차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유입부(14)는 윗면이 사각형이나 삼각형 등과 같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원형이나 타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수면과의 접촉면을 최대한 크게 하기 위해 원형 형상으로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구성된 호퍼(10)는 상기 유입부(14)와 지지부(12)가 일체로 형성되거나 상기 유입부(14)와 지지부(12)가 별도로 형성된 후 용접이나 별도의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내판(14a)과 외판(14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이 호퍼(10)에 부력을 제공해야 하므로 상기 내판(14a)과 외판(14b) 사이에 형성된 공간은 항상 밀폐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호퍼(10)는 단순한 구성으로 호퍼(10)의 높낮이 조절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수면 위로 일정 높이 돌출되도록 과부력을 갖게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부싱(30)은 상기 지지부(12)가 수위변동에 의해 상기 배관 파이프(60) 내에서 상하로 움직일 때 상기 지지부(12)와 배관 파이프(60) 사이의 마찰에 의해 상기 지지부(12)와 배관 파이프(6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부(12)와 상기 배관 파이프(60) 사이의 공간을 통해 정수장, 하수처리장, 양식장, 강 또는 호수 내의 많은 양의 물이 상기 배관 파이프(60)를 통해 한꺼번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배관 파이프(60)와 상기 지지부(12) 사이에 배치되게 상기 배관 파이프(60)의 내측에 설치된다.
이러한, 부싱(30)은 상기 배관 파이프(60) 내로 삽입된 지지부(12)의 길이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데, 이런 이유는 수위변동(또는 물결) 발생 시 상기 호퍼(10)의 부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12)가 상기 배관 파이프(60) 내에서 상하로 움직일 때 상기 지지부(12)의 외면에 형성된 패턴(122)으로 유입된 물이 상기 배관 파이프(60)로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지지부(12)가 상하로 움직일 때 정수장, 하수처리장, 양식장, 강 또는 호수에 저장된 물이 부싱(30)과 지지부(12) 사이로 들어와 조금씩 배관 파이프(60)로 빠져나갈 수 있도록 상기 부싱(30)은 지지부(12)보다 작은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호퍼(10)에 의해 수집된 부유물과 상기 부싱(30)과 지지부(12) 사이를 통해 유입된 물이 상기 배관 파이프(60)로 전달되므로 배관 파이프(60)를 통한 부유물의 배출이 용이해지게 된다.
상기 보조 플로트(40)는 상기 호퍼(10)의 높낮이를 미세조절하기 위한 부력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부유물 제거 시 배관 파이프(60) 내에서 발생된 와류로 인해 상기 호퍼(10)가 물속으로 갑작스럽게 빨려들어가는 것을 방지하는 스토퍼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승하강 조절수단(50)은 상기 보조 플로트(4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호퍼(10)에 부력을 제공하거나 제공된 부력을 제거하여 상기 호퍼(10)의 높이를 미세조절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승하강 조절수단(50)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내측 일부에 나사선이 형성된 안내관(51); 일 측은 상기 안내관(51)의 일 측과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보조 플로트(40)에 연결된 복수개의 연결대(52); 일 측에는 조절핸들(53)이 부착되고, 상기 안내관(51)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선이 외면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관(51)을 관통하도록 상기 안내관(51)에 삽입된 조절대(54); 일 측은 상기 유입부(14)의 윗면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구멍(121)의 중앙에서 상기 조절대(54)의 타 측과 결합된 복수개의 지지봉(55)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승하강 조절수단(50)은 조절핸들(53)을 회전시키면 상기 조절대(54)가 상기 안내관(51)을 따라 상하로 움직이게 되고, 상기 조절대(54)가 상승하면 상기 보조 플로트(40)가 하강하여 상기 호퍼(10)를 상승시키며, 상기 조절대(54)가 하강하면 상기 보조 플로트(40)가 상승하여 상기 호퍼(10)를 하강시키게 된다.
즉, 상기 보조 플로트(40)가 하강하면 상기 보조 플로트(40)가 수면 위에 밀착되므로 상기 호퍼(10)와 보조 플로트(40)의 부력에 의해 상기 호퍼(10)가 상승하게 되고, 상기 보조 플로트(40)가 상승하면 상기 보조 플로트(40)의 무게가 상기 호퍼(10)에 가해지므로 상기 호퍼(10)는 하강하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봉(55)은 상기 승하강 조절수단(50)의 설치유무와 관계없이 상기 호퍼(10)(즉, 유입부(14))에 설치될 수 있고, 상기 호퍼(1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무게추가 상기 지지봉(55)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호퍼(10)는 부유물 수거를 위해 필요한 최소높이보다 높게 수면 위에 돌출되게 과부력 상태로 제작되기 때문에 부유물 제거량의 과소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상기 호퍼(10)의 높낮이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지지봉(55)에 무게추를 설치하여 상기 호퍼(10)의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승하강 조절수단(50)이 별도로 구비되지 않을 경우 상기 지지봉(55)이 교차되는 구멍(121)의 중앙에는 무게추 설치를 위한 별도의 설치봉이 설치될 수 있고, 상기 승하강 조절수단(50)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지지봉(55)과 상기 안내관(51) 사이에 노출된 조절대(54)에 무게추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봉(55)은 상기 호퍼(10) 윗면에 2~4개가 설치될 수 있고, 2개가 설치될 경우에는 상기 호퍼(10)의 윗면에서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일자 형태로 설치되고, 3개가 설치될 경우에는 각각이 120°의 각도로 이격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4개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호퍼(10)의 윗면에서 열십자 모양을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지지봉(55)은 일 측이 상기 호퍼(10)의 윗면 가장자리에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구멍(121)의 중앙에서 서로 결합된다.
한편, 상기 승하강 조절수단(50)은 상기 보조 플로트(4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조절봉(5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절봉(56)은 상기 보조 플로트(40)와 상기 연결대(52) 사이에 설치되는데, 상기 조절봉(56)의 외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52)의 타 측은 상기 조절봉(56)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결합하는 나사선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게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상기 호퍼(10)에 부가된 부력에 오차가 발생되어 상기 호퍼(10)와 수면의 균형을 맞출 수 없는 경우 상기 조절봉(56)으로 보조 플로트(40)의 높낮이를 조절하여 호퍼(10)의 수면 균형을 맞출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호퍼(10)에 부가된 부력에 오차가 발생하여 상기 호퍼(10)가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경우 기울어진쪽 방향에 있는 보조 플로트(40)를 수면쪽으로 하강시키고, 기울어진쪽과 반대 방향에 있는 보조 플로트(40)를 고정시키거나 상승시켜 상기 호퍼(10)의 균형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는 내판(14a)과 외판(14b)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인해 호퍼(10)가 자체 부력을 갖으므로 수면수위에 따라 자동으로 승하강되어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시키므로 항상 자동으로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어 부유물 제거를 위한 인력 투입을 줄일 수 있고, 호퍼(10)의 높낮이 조절 시 전력이 사용되지 않으므로 전력 손실을 줄일 수 있으며, 정수장, 하수처리장, 양식장, 강 또는 호수에 설치되어 있는 배관 파이프(60)에 설치가 가능하므로 설치비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부유물 제거장치는 호퍼(10)가 자체 부력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호퍼(10) 하부에 설치된 지지부(12)가 상기 배관 파이프(60)에 삽입되어 상기 호퍼(10)를 지지하기 때문에 바람이나 유속의 흐름에 의해 호퍼(10)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부유물의 수집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가장 양호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호퍼 12 : 지지부
121 : 구멍 122 : 패턴
122a : 산 122b : 골
14 : 유입부 14a : 내판
14b : 외판 14c : 공간
30 : 부싱 40 : 보조 플로트
50 : 승하강 조절수단 51 : 안내관
52 : 연결대 53 : 조절핸들
54 : 조절대 55 : 지지봉
56 : 조절봉 60 : 배관 파이프

Claims (10)

  1. 수면 위에 떠다니는 부유물 제거를 위해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자체가 부력을 갖도록 형성된 호퍼(10)를 포함하며,
    상기 호퍼(10)는 외부 처리 시설과 연결된 배관 파이프(60)에 일측이 인출가능하게 삽입된 지지부(12); 및 상기 지지부(12)의 타측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12)의 중앙에 형성된 구멍(121)으로 부유물을 수집하는 유입부(14)를 포함하고,
    상기 유입부(14)는,
    부유물이 상기 지지부(12)의 구멍(121)을 향해 흘러 들어가도록 구멍(121)의 가장자리와 연결된 일측보다 타측이 더 높은 위치를 갖도록 형성된 내판(14a); 및
    일측은 상기 내판(14a)의 타측과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부(12)의 외면에 연결되어 상기 유입부(14)가 부력을 갖도록 상기 내판(14a)과의 사이에 공간(14c)을 형성하는 외판(1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제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퍼(10)는 부유물 수거를 위해 필요한 최소높이보다 높게 수면 위에 돌출되게 과부력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내판(14a)과 외판(14b)의 기울기 조절에 의해 부력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제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호퍼(10)는 상기 내판(14a)과 외판(1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울기가 커지면 부력의 크기가 커지고, 상기 내판(14a)과 외판(14b)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울기가 작아지면 부력의 크기가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제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호퍼(10)가 수위변동 시 자체부력에 의해 상하로 움직일 때 상기 지지부(12)와 배관 파이프(60) 사이의 마찰을 방지하고, 상기 지지부(12)와 상기 배관 파이프(60) 사이의 공간을 통해 많은 양의 물이 한꺼번에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12)와 상기 배관 파이프(60) 사이에 배치되게 상기 배관 파이프(60) 내부에 설치되는 부싱(3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제거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12)는 상기 부싱(30)과 지지부(12) 사이의 유격 조절을 위해 상기 배관 파이프(60)에 삽입된 부분의 외면에 산(122a)과 골(122b)이 교대로 배치된 패턴(1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제거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일 측이 상기 호퍼(10)의 윗면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구멍(121) 중앙에서 서로 결합된 복수개의 지지봉(5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지지봉(55)에는 상기 호퍼(1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무게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제거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호퍼(10)에 부가된 부력의 오차 발생 시 상기 호퍼(10)와 수면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보조 플로트(40); 및
    상기 보조 플로트(40)의 높이를 조절하여 상기 호퍼(10)에 부력을 제공하거나 제공된 부력을 제거하여 상기 호퍼(10)의 높이를 미세조절하는 승하강 조절수단(5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제거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조절수단(50)은,
    중공형으로 형성되고, 내부 일부에 나사선이 형성된 안내관(51);
    일 측은 상기 안내관(51)의 일 측과 연결되고, 타 측은 상기 보조 플로트(40)에 연결된 복수개의 연결대(52);
    일 측에는 조절핸들(53)이 부착되고, 상기 안내관(51)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결합되는 나사선이 외측 일부에 형성되며, 상기 안내관(51)을 관통하도록 상기 안내관(51)에 삽입된 조절대(54); 및
    일 측은 상기 호퍼(10)의 윗면 가장자리에 결합되고, 타 측은 상기 호퍼(10)의 중앙에서 상기 조절대(54)의 타 측과 결합된 복수개의 지지봉(5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제거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지지봉(55)과 상기 안내관(51) 사이에 노출된 조절대(54)에는 상기 호퍼(10)의 높낮이 조절을 위한 무게추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제거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 조절수단(50)은 상기 보조 플로트(40)와 상기 연결대(52)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보조 플로트(40)의 높낮이를 조절하는 조절봉(56)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절봉(56)의 외면에는 나사선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대(52)의 타 측은 상기 조절봉(56)의 외면에 형성된 나사선과 나사결합하는 나사선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너트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물 제거장치.
KR1020130126033A 2013-10-22 2013-10-22 부유물 제거장치 KR101579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033A KR101579750B1 (ko) 2013-10-22 2013-10-22 부유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6033A KR101579750B1 (ko) 2013-10-22 2013-10-22 부유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6596A true KR20150046596A (ko) 2015-04-30
KR101579750B1 KR101579750B1 (ko) 2015-12-23

Family

ID=53037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6033A KR101579750B1 (ko) 2013-10-22 2013-10-22 부유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975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0704A (zh) * 2019-08-09 2019-11-29 中国石化销售有限公司广东石油分公司 一种浮油收集器、浮油收集设备及回收水面浮油的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3078B1 (ko) * 2017-12-20 2018-05-31 브니엘 네이처 주식회사 부유식 스컴 제거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2413A (ko) * 1999-12-03 2000-03-06 이승호 기계가공품 세척기의 부상유 분리장치
KR200230049Y1 (ko) * 1998-07-09 2001-08-07 송점원 자동부유물제거기
JP3369537B2 (ja) * 2000-06-23 2003-01-20 三協レイジャック株式会社 表層液採取装置
KR100922174B1 (ko) 2009-04-23 2009-10-19 정삼규 수조의 거품 및 부유물질 제거장치
KR20130077343A (ko) * 2011-12-29 2013-07-09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부유식 오일 방제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30049Y1 (ko) * 1998-07-09 2001-08-07 송점원 자동부유물제거기
KR20000012413A (ko) * 1999-12-03 2000-03-06 이승호 기계가공품 세척기의 부상유 분리장치
JP3369537B2 (ja) * 2000-06-23 2003-01-20 三協レイジャック株式会社 表層液採取装置
KR100922174B1 (ko) 2009-04-23 2009-10-19 정삼규 수조의 거품 및 부유물질 제거장치
KR20130077343A (ko) * 2011-12-29 2013-07-09 주식회사대한송유관공사 부유식 오일 방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10704A (zh) * 2019-08-09 2019-11-29 中国石化销售有限公司广东石油分公司 一种浮油收集器、浮油收集设备及回收水面浮油的方法
CN110510704B (zh) * 2019-08-09 2022-01-11 中国石化销售有限公司广东石油分公司 一种浮油收集器、浮油收集设备及回收水面浮油的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9750B1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62066B1 (ko) 부력에 의해 개폐상태 조절이 이루어지는 배수구
US7985035B2 (en) Flow control system for a detention pond
US20220134260A1 (en) Enclosed media fluid filtration device
US20110076101A1 (en) Flow control system for a detention pond with tapered plunger
US4607399A (en) Automatic pool water regulator apparatus
KR101202889B1 (ko) 오일스키머
KR101579750B1 (ko) 부유물 제거장치
US20110176869A1 (en) Multi-rate flow control system for a detention pond
KR100938411B1 (ko) 부유물 흡입기
KR100953300B1 (ko)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
KR101632287B1 (ko) 무동력 빗물 집수 장치 및 집수 장치를 이용한 이동식 간이 화장실
KR101461223B1 (ko) 부유식 부유물 제거장치
KR101902615B1 (ko) 하수관로의 협잡물처리 스크린장치
KR200230049Y1 (ko) 자동부유물제거기
KR101321389B1 (ko) 부유식 오일 방제장치
CN114506921A (zh) 一种顶阀式滗水器
KR102123229B1 (ko)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JP2006316493A (ja) 樋装置
KR101529143B1 (ko) 협작물의 부상을 방지하는 초기우수 처리장치
JP4537917B2 (ja) 沈殿池設備
KR20050077178A (ko) 부력 부상수문 및 수문부상형 유수분리시스템
CN210562549U (zh) 一种防雨水溢流装置
KR102575241B1 (ko) 수처리 시설용 승강식 여과장치
SE519439C2 (sv) Vattenreningsanordning för avloppsbrunnar
JP3125175U (ja) 排水装置用浮上式浮遊きょう雑物流出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