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3229B1 -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 Google Patents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3229B1
KR102123229B1 KR1020190037819A KR20190037819A KR102123229B1 KR 102123229 B1 KR102123229 B1 KR 102123229B1 KR 1020190037819 A KR1020190037819 A KR 1020190037819A KR 20190037819 A KR20190037819 A KR 20190037819A KR 102123229 B1 KR102123229 B1 KR 1021232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forated plate
screen
treatment tank
vortex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78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순
강치성
Original Assignee
그린로드(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린로드(주) filed Critical 그린로드(주)
Priority to KR10201900378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32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3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3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 우수에 포함된 조대협잡물 및 부유물을 스크린으로 걸러낼 때, 보다 효율적으로 미세 조대협잡물 및 부유물까지 걸러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스크린에 의해 걸러져 전처리조에 가라앉은 조대협잡물 및 부유물의 슬러지 수거가 용이하고, 우수에 포함된 오일이 전처리조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가지며 중간의 격벽에 의해 제1 전처리조 및 제2 전처리조로 구획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처리조와; 상기 제1 전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우수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Y"자형의 평단면 구조를 갖는 수직의 직진형 스크린과; 상기 제2 전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원형의 평단면 구조를 갖는 수직의 와류형 스크린과; 상기 제1 전처리조의 직진형 스크린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이동식 슬러지펌프와; 상기 격벽의 상.하부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1 전처리조와 제2 전처리조의 사이를 연통되게 하되,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상부연결구, 및 하부연결구와; 상기 전처리조의 유출구 외측, 및 격벽의 하부연결구 내측에 설치되는 제1 역류방지용 댐퍼, 및 제2 역류방지용 댐퍼와; 상기 전처리조의 유출구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일이 월류에 의해 유출구 측으로 유입되는 차단하는 배플;로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Screen type non-point contaminants purification apparatus }
본 발명은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 우수에 포함된 조대협잡물 및 부유물을 스크린으로 걸러낼 때, 보다 효율적으로 미세 조대협잡물 및 부유물까지 걸러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스크린에 의해 걸러져 전처리조에 가라앉은 조대협잡물 및 부유물의 슬러지 수거가 용이하고, 우수에 포함된 오일이 전처리조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이라 함은 도시, 도로, 농지, 산지, 공사장 등으로서 불특정장소에서 불특정하게 수질오염물질을 배출하는 배출원을 말한다.
이에 비하여 점오염원(點汚染源)은 오염물질의 유출경로가 명확하여 수집이 쉬운 오염물질 배출원을 의미하며, 계절에 따른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은 만큼 연중 발생량 예측이 가능하여 처리장 등 처리시설의 설계와 관리하기가 용이한데 비하여, 비점오염원(非點汚染源)은 오염물질의 유출 및 배출 경로가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아 수집이 어렵고 발생량이 강수량 등의 기상조건에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처리시설의 설계 및 유지관리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비점오염원은 강우와 더불어 특별한 처리 없이 바로 하천으로 유입됨으로써 수질을 오염시키고, 이에 따라 물고기의 집단폐사와 서식처 파괴, 수생 생태계 교란의 원인이 된다.
통상, 우수의 정화 및 정수공정 전에 우수에 포함된 조대협잡물을 미리 걸러내는 전처리 공정으로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가 설치된다. 상기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콘크리트 구조물로 된 전처리조로 구성되고, 상기 전처리조는 우수가 유입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전.후에 유입구 및 유출구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입구와 유출구의 사이에 격벽이 형성되어 전처리조를 제1 전처리조 및 제2 전처리조로 구획 형성하고, 상기 제1 전처리조와 제2 전처리조의 사이는 격벽의 하부에 형성된 통로에 의해 서로 연이어 통할 수 있게 형성되며, 제1 전처리조의 내부에는 수직의 타공판으로 된 스크린이 설치되어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부유물을 걸러 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통상, 제1 전처리조에 설치된 스크린은 초기 우수, 즉 유입구를 통해 전처리조의 내부로 유입된 초기 우수에 포함된 비교적 크기가 큰 협잡물 및 부유물을 걸러 내도록 되어 있어, 미세 협잡물 및 부유물은 걸러 내지 못하고 그대로 통과시킴으로써 협잡물 및 부유물 제거의 효율성이 떨어지고, 우수에 포함된 오일이 전처리조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는 장치 및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다음 처리 공정에서 미세 협잡물 및 부유물과 함께 오일을 별도로 처리해야만 되는 우수 처리작업의 비효율성 및 불편성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제1 전처리조에 설치된 스크린의 타공판은 우수가 통과하는 통공의 직경과 목간, 즉 통공과 통공 사이의 거리가 규정되어 있으나, 실제 현장에서는 협잡물 및 부유물의 크기와 우수의 흐름 및 양의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고, 이에 따라 규정된 타공판의 통공 직경 및 목간만으로는 효율적으로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부유물을 제거하는 것이 어려운 실정에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13113호(2011.02.14.공고.) "비점오염 저감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 우수에 포함된 조대협잡물 및 부유물을 스크린으로 걸러낼 때, 보다 효율적으로 미세 조대협잡물 및 부유물까지 걸러낼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스크린에 의해 걸러져 전처리조에 가라앉은 조대협잡물 및 부유물의 슬러지 수거가 용이하고, 우수에 포함된 오일이 전처리조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전처리조에 설치된 스크린을 이중 타공판 구조로 형성하여 협잡물 및 부유물의 크기와 우수의 흐름 및 양에 차이가 나는 실제 현장의 여건에 따라 스크린의 통공 직경 및 목간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해 보다 효율적으로 협잡물 및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한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한 형태는,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가지며 중간의 격벽에 의해 제1 전처리조 및 제2 전처리조로 구획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처리조와; 상기 제1 전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우수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Y"자형의 평단면 구조를 갖는 수직의 직진형 스크린과; 상기 제2 전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원형의 평단면 구조를 갖는 수직의 와류형 스크린과; 상기 제1 전처리조의 직진형 스크린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이동식 슬러지펌프와; 상기 격벽의 상.하부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1 전처리조와 제2 전처리조의 사이를 연통되게 하되,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상부연결구, 및 하부연결구와; 상기 전처리조의 유출구 외측, 및 격벽의 하부연결구 내측에 설치되는 제1 역류방지용 댐퍼, 및 제2 역류방지용 댐퍼와; 상기 전처리조의 유출구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일이 월류에 의해 유출구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배플;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류형 스크린은 원형의 와류형 타공판을 가지며, 상기 와류형 타공판(21)에 형성되는 통공B는 직진형 스크린의 고정타공판에 타공되는 통공A보다 직경이 작고,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진형 스크린은 전체적으로 "Y"자형의 평단면 구조를 갖는 함체 형상으로 수류 분산 각도가 40 ~ 60도이고,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며, 전.후면에 각각 다수의 통공A를 갖는 고정타공판이 구비되고, 상면에 타공판 관통홀이 형성된 스크린본체와; 상기 전면부 고정타공판의 배면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스크린본체의 타공판 관통홀을 수직으로 관통하고, 상기 고정타공판의 통공A와 동일한 형상 및 직경을 갖는 다수의 통공B를 갖는 가동타공판과; 상기 가동타공판을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하로 승강시키는 타공판 승강구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공판 승강구동수단은 스크린본체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수직의 고정너트와, 상기 고정너트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고정너트에 나선 결합되는 이송스크류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너트는 하부가 스크린본체의 전.후면에 고정된 지지브라켓트 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송스크류는 상단부에 핸들이 구비되고, 하단부는 연결부재에 의해 가동타공판의 상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이송스크류의 하단부에 이송스크류를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크류 고정링과, 상기 스크류 고정링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는 가동타공판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타공판 고정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스크류 고정링과 이송스크류는 이송스크류에 형성된 환형홈에 스크류 고정링의 내측에 형성된 환형돌기가 서로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공판 고정구는 하부측에 가동타공판의 외측에 삽입 및 고정되는 타공판 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진형 스크린은 평면 상에서 전체적으로 "Y"자 형태를 이루고, 전면부의 고정타공판이 상.하부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상부프레임은 상.하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상부지지플레이트 및 하부지지플레이트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지플레이트는 타공판 관통홀을 가지며, 상기 하부프레임은 상기 고정타공판 및 가동타공판의 하부를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개방형의 가이드홈을 포함하는 스크린본체와; 상기 고정타공판의 배면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타공판, 및 상기 가동타공판을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하로 승강시키는 타공판 승강구동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타공판 승강구동수단은 상부프레임의 상부지지플레이트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너트와, 상기 고정너트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나선 결합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핸들, 및 이송스크류의 하단부가 가동타공판의 상단에 연결 및 고정될 수 있게 가동타공판의 외측에 삽입 고정되는 타공판 연결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가지며 중간의 격벽에 의해 제1 전처리조 및 제2 전처리조로 구획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처리조와; 상기 제1 전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우수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Y"자형의 평단면 구조를 갖는 수직의 직진형 스크린과; 상기 제2 전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원형의 평단면 구조를 갖는 수직의 와류형 스크린과; 상기 제1 전처리조의 직진형 스크린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이동식 슬러지펌프와; 상기 격벽의 상.하부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1 전처리조와 제2 전처리조의 사이를 연통되게 하되,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상부연결구, 및 하부연결구와; 상기 전처리조의 유출구 외측, 및 격벽의 하부연결구 내측에 설치되는 제1 역류방지용 댐퍼, 및 제2 역류방지용 댐퍼와; 상기 전처리조의 유출구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일이 월류에 의해 유출구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배플;로 구성됨으로써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 우수에 포함된 조대협잡물 및 부유물을 스크린으로 걸러낼 때, 보다 효율적으로 미세 조대협잡물 및 부유물까지 걸러낼 수 있게 됨은 물론 우수에 포함된 오일이 전처리조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다음 처리공정에서 우수를 정수 및 정화하는 작업이 보다 간편하면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전처리조에 설치된 스크린을 이중 타공판 구조로 형성하여 협잡물 및 부유물의 크기와 우수의 흐름 및 양에 차이가 나는 실제 현장의 여건에 따라 스크린의 통공 직경 및 목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협잡물 및 부유물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스크린의 성능 및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는 효과도 갖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C-C선 단면도.
도 5 내지 도 10은 도 1의 직진형 스크린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5는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
도7은 도 5의 연결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단면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9는 작동전의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0은 작동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 11은 도 1의 직진형 스크린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종단면도.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의한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에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B-B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C-C선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유입구(104) 및 유출구(105)를 가지며 콘크리트 구조물로 형성된 전처리조(100)로 구성되고, 상기 전처리조(100)는 격벽(101)에 의해 유입구(104) 측의 제1 전처리조(102)와, 유출구(105) 측의 제2 전처리조(103)로 구획 형성된다.
상기 제1 전처리조(102)의 내부에는 우수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Y"자형의 평단면 구조를 갖는 수직의 직진형 스크린(1)이 설치되고, 상기 제2 전처리조(103)의 내부에는 원형의 평단면 구조를 갖는 수직의 와류형 스크린(2)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직진형 스크린(1)의 타공판에 형성된 통공은 직선방향의 구멍으로 형성되고, 상기 와류형 스크린(2)의 타공판에 형성된 통공은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와류형 스크린에 형성된 경사진 통공은 직진형 스크린에 형성된 통공보다 작은 직경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전처리조(102)는 직진형 스크린(1)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된 이동식 슬러지펌프(3)를 더 포함하고, 상기 격벽(101)의 상.하부측에는 각각 제1 전처리조(102)와 제2 전처리조(103)의 사이를 연통되게 하는 상부연결구(108) 및 하부연결구(109)가 형성된다.
이때, 상부연결구(108)는 제2 전처리조(103) 내부의 우수가 제1 전처리조(102)에서 제2 전처리조(103) 측으로 공급된 우수에 의해 제2 전처리조(103) 내부의 우수가 와류를 일으킬 수 있게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유출구(105)와 하부연결구(109)는 각각 제1 역류방지용 댐퍼(4)와 제2 역류방지용 댐퍼(5)를 더 포함하는 것으로, 상기 제1 역류방지용 댐퍼(4)는 유출구(105) 외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제1 역류방지용 댐퍼(4)는 유출구(105)를 통해 배출되는 우수의 압력이 유출구(105) 외부의 압력보다 크면 회전되어 열리고, 유출구(105)를 통해 배출되는 우수의 압력보다 유출구(105) 외부의 압력이 크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유출구(105)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또한, 상기 제2 역류방지용 댐퍼(5)는 하부연결구(109)의 일측, 즉 제1 전처리조(102) 측에 설치된다. 즉 제2 역류방지용 댐퍼(5)는 이동식 슬러지펌프(3)의 작동에 의해 제2 전처리조(103) 내부의 압력이 제1 전처리조(102) 내부의 압력보다 크면 제1 전처리조(102) 측으로 회전되어 열리고, 상기 이동식 슬러지펌프(3)의 작동 정지되어 제2 전처리조(103) 내부의 압력이 제1 전처리조(102) 내부의 압력보다 작으면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하부연결구(109)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유출구(105)의 내측에는 배플(baffle)(6)이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배플(6)은 유출구(105)의 하부측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이격된 "ㄱ"자 형태의 펜스로 형성되어 오일이 월류에 의해 유출구(105)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06은 맨홀이고, 107은 점검용 사다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는 먼저, 우수가 유입구(104)를 통해 제1 전처리조(102) 내부로 유입되고, 제1 전처리조(102) 내부의 우수가 "Y"자형의 평단면 구조를 갖는 수직의 직진형 스크린(1)의 타공판을 통해 흐르면서 조대협잡물이 걸러져 제1 전처리조(102)에 침전된다.
그리고, 제1 전처리조(102)의 직진형 스크린(1)을 통과한 우수는 다시 격벽(101)의 상부연결구(108)를 통해 제2 전처리조(103)의 내측으로 유입되는데, 이때 제1 전처리조(102) 내부의 우수는 일측으로 경사진 격벽(101)의 상부연결구(108)에 의해 직선방향으로 유입되지 않고 제2 전처리조(103) 내부의 와류형 스크린(2)의 일측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유입되고, 이로 인해 제2 전처리조(103) 내부의 우수가 와류를 일으키게 된다.
또한, 와류된 제2 전처리조(103)의 우수는, 일측으로 경사지게 타공된 와류형 스크린(2)의 와류형 타공판(21)을 통과하면서 상기 제1 전처리조(102)의 직진형 스크린(1)에서 미처 걸러지지 않은 조대협잡물이 걸러지고, 와류형 스크린(2)의 내부로 유입된 우수 역시 와류되면서 다시 와류형 스크린(2)의 와류형 타공판(21)을 통해 외부로 흐르는 과정에서 우수에 포함된 미세 조대협잡물이 제2 전처리조(103)의 바닥에 가라앉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와류형 스크린(2)을 통과한 우수가 유출구(105)의 수위에 도달하면 상기 유출구(105)를 통해 전처리조(100)의 외부로 배출되는데, 이때 유출구(105)의 외측에 설치된 제1 역류방지용 댐퍼(4)는 유출구(105)를 통해 배출되는 우수의 압력에 의해 열리게 된다. 그런 다음 제2 전처리조(103)의 수위가 유출구(105)보다 낮아지면 제1 역류방지용 댐퍼(4)에 작용했던 제2 전처리조(103)의 우수 압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제1 역류방지용 댐퍼(4)는 다시 원위치로 복귀되어 유출구(105)를 폐쇄하게 된다.
그리고, 제2 전처리조(103)의 바닥에 쌓인 슬러지는 제1 전처리조(102)에 설치된 이동식 슬러지펌프(3)의 작동에 의해서 제1 전처리조(102) 측으로 이동된 후, 제1 전처리조(102)의 바닥에 쌓인 슬러지와 함께 수거된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전처리조(102)의 내부는 이동식 슬러지펌프(3)가 작동에 의해 흡입압력이 작용해 격벽(101)의 하부연결구(109)에 설치된 제2 역류방지용 댐퍼(5)가 제1 전처리조(102) 측으로 열려 하부연결구(109)가 개방되고, 제2 전처리조(103)의 슬러지가 개방된 하부연결구(109)를 통해 제1 전처리조(102) 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제2 전처리조(103)의 슬러지를 제1 전처리조(102)의 슬러지와 함께 수거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한편, 상기 직진형 스크린(1)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Y"자형의 평단면 구조를 갖는 함체 형상으로 수류 분산 각도가 40 ~ 60도이고, 내부에 공간부(10b)를 갖는 스크린본체(10)로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류 분산 각도는 협잡물 및 부유물이 타공판에 의해 걸러질 때, 타공판에 머물지 않고 경사방향으로 흘러가도록 함으로써 협잡물 및 부유물에 의한 타공판의 통공 막힘 현상을 사전에 차단하는데 기인한다.
또한, 상기 스크린본체(10)는 협잡물 및 부유물의 크기와 우수의 흐름과 양을 고려한 협잡물 및 부유물의 제거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이중 타공판 구조로 형성한 것에 특징이 있고, 이중 타공판을 서로 엇갈리게 하거나 일치되게 함으로써 우수가 통과하는 통공의 직경과 목간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직진형 스크린(1)은 스크린본체(1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다수의 통공A(20a)를 갖는 고정타공판(20)이 구비되고, 상기 전면부 고정타공판(20)의 배면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가동타공판(30)이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가동타공판(30)은 고정타공판(20)의 통공A(20a)와 동일한 형상 및 직경을 갖는 다수의 통공B(30a)를 갖는다.
또한, 상기 가동타공판(30)은 타공판 승강구동수단(40)에 의해 상.하로 승강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으로서, 상기 타공판 승강구동수단(40)은 회전운동을 상.하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기구물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타공판 승강구동수단(40)은 스크린본체(1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수직의 고정너트(42)와, 상기 고정너트(42)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고정너트(42)에 나선 결합되는 이송스크류(43)로 구성된다. 여기서 미설명 부호 10a, 타공판 관통홀이다.
상기 고정너트(42)는 하부가 스크린본체(10)의 전.후면에 고정된 지지브라켓트(41) 상에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이송스크류(43)는 상단부에 핸들(44)이 구비되며, 하단부는 가동타공판(30)의 상단에 연결되는데, 이때, 상기 이송스크류(43)의 중심선과 가동타공판(30)은 서로 동일선 상에 위치하지 않고 이격된 상태가 되므로 이들의 사이를 연결해주기 위한 수단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별도의 연결부재(45)가 구비되고, 상기 연결부재(45)는 이송스크류(43)의 하단부에 이송스크류(43)를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크류 고정링(46)과, 상기 스크류 고정링(46)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는 가동타공판(3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타공판 고정구(47)로 구성된다.
또한, 스크류 고정링(46)과 이송스크류(43)는 이송스크류(43)에 형성된 환형홈(46a)에 스크류 고정링(46)의 내측에 형성된 환형돌기(46b)가 서로 맞물려 고정됨으로써 이송스크류(43)로부터 스크류 고정링(46)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스크류 고정링(46)이 이송스크류(43)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상기 타공판 고정구(47)는 하부측에 가동타공판(30)의 외측에 삽입되는 타공판 삽입홈(47a)을 포함하고, 상기 타공판 삽입홈(47a)에 삽입된 가동타공판(30)과 타공판 고정구(47)는 볼트 또는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 및 고정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직진형 스크린(1)은 작업자가 핸들(44)을 일측 방향으로 돌리면, 이송스크류(43)가 함께 회전하면서 고정너트(42)를 따라 상부측으로 나선 이동하게 되고, 연결부재(45)에 의해 이송스크류(43)에 연결된 가동타공판(30)도 함께 상부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타공판(20)의 통공A(20a)에 동일 형상과 직경으로 일치하고 있던 가동타공판(30)의 통공B(30a)가 상기 고정타공판(20)의 통공A(20a)로 부터 벗어나 통공A(20a)의 내경이 작아지게 된다.
그리고, 다시 핸들(44)을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상기 이송스크류(43)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고정너트(42)를 따라 하부측으로 나선 이동하게 되고, 가동타공판(30)도 연결부재(45)에 의해 함께 하강하면서 원위치로 복귀되어 고정타공판(20)의 통공A(20a)의 내경을 다시 원래의 직경으로 확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통상, 스크린 기능을 하는 타공판은 하나의 수직판체로 형성되고, 표면에는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통공을 통해 우수가 통과하면서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부유물이 걸러지게 되는 것으로서, 통공의 직경과 목간, 즉 통공과 통공 사이의 간격은 규정된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는 협잡물 및 부유물의 크기와 우수의 흐름 및 양의 차이가 발생될 수 밖에 없어 규정된 통공의 직경과 목간으로는 협잡물의 효율적인 제거가 어려운 실정에 있으나, 본 발명은 스크린을 이중 타공판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현장 여건에 따른 통공의 직경과 목간 조절이 가능해 보다 효율적으로 우수에 포함된 협잡물 및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을 갖게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직진형 스크린(1)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직진형 스크린(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평면 상에서 전체적으로 "Y"자 형태를 이루고 전면부의 고정타공판(113)이 상.하부프레임(111)(112)에 의해 지지되는 스크린본체(110)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타공판(113)의 배면에 가동타공판(120)이 구비된 이중 타공판 구조를 이룬다.
상기 상부프레임(111)은 상.하부에 각각 수평방향의 상부지지플레이트(111a), 및 상기 가동타공판(120)이 수직으로 관통하는 타공판 관통홀(111c)을 갖는 하부지지플레이트(111b)를 가지며, 상기 하부프레임(112)은 고정타공판(113), 및 가동타공판(120)의 하부를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개방형의 가이드홈(112a)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가동타공판(120)은 타공판 승강구동수단(13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 타공판 승강구동수단(130)은 상부프레임(111)의 상부지지플레이트(111a)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너트(131)와, 상기 고정너트(131)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나선 결합되는 이송스크류(132)와, 상기 이송스크류(132)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핸들(133), 및 이송스크류(132)의 하단부를 가동타공판(120)의 상단에 연결 및 고정되게 하는 타공판 연결구(134)로 구성된다.
상기 타공판 연결구(134)는 상부가 이송스크류(132)의 하단부에 일체로 연결되고, 하부는 가동타공판(120)의 상단부 외측에 삽입되는 하부 개방형의 삽입홈(134)을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삽입홈(134)에 삽입된 가동타공판(120)은 볼트 및 용접 등과 같은 통상의 고정수단에 의해 타공판 연결구(134)에 고정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핸들(133)의 회전조작에 의해 이송스크류(132)가 고정너트(131)를 따라 상.하로 나선 이동하고, 가동타공판(120)이 이송스크류(132)에 일체로 연결된 타공판 연결구(134)에 의해 함께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고정타공판(113)의 통공A(113a) 내경을 가동타공판(120)의 통공B(120a)가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같이 본 발명은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유입구 및 유출구를 가지며 중간의 격벽에 의해 제1 전처리조 및 제2 전처리조로 구획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처리조와; 상기 제1 전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우수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Y"자형의 평단면 구조를 갖는 수직의 직진형 스크린과; 상기 제2 전처리조의 내부에 설치되고, 원형의 평단면 구조를 갖는 수직의 와류형 스크린과; 상기 제1 전처리조의 직진형 스크린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이동식 슬러지펌프와; 상기 격벽의 상.하부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1 전처리조와 제2 전처리조의 사이를 연통되게 하되,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상부연결구, 및 하부연결구와; 상기 전처리조의 유출구 외측, 및 격벽의 하부연결구 내측에 설치되는 제1 역류방지용 댐퍼, 및 제2 역류방지용 댐퍼와; 상기 전처리조의 유출구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일이 월류에 의해 유출구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배플;로 구성됨으로써 비점오염원으로부터 배출되는 수질오염물질을 정화시키기 위한 전처리 과정으로 우수에 포함된 조대협잡물 및 부유물을 스크린으로 걸러낼 때, 보다 효율적으로 미세 조대협잡물 및 부유물까지 걸러낼 수 있게 됨은 물론 우수에 포함된 오일이 전처리조의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어 다음 처리공정에서 우수를 정수 및 정화하는 작업이 보다 간편하면서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전처리조에 설치된 스크린을 이중 타공판 구조로 형성하여 협잡물 및 부유물의 크기와 우수의 흐름 및 양에 차이가 나는 실제 현장의 여건에 따라 스크린의 통공 직경 및 목간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협잡물 및 부유물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스크린의 성능 및 신뢰성을 한층 증대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양태를 기재한 것일 뿐,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그 범위가 결정되어지고 한정되어진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명세서의 기재내용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을 행할 수 있을 것이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난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1: 직진형 스크린
10,110: 스크린본체 10a,111c: 타공판 관통홀
10b: 공간부 20,113: 고정타공판
20a,113a: 통공A 30,120: 가동타공판
30a,120a: 통공B 40,130: 타공판 승강구동수단
41: 지지브라켓트 42,131: 고정너트
43,132: 이송스크류 44,133: 핸들
45: 연결부재 46: 스크류 고정링
46a: 환형홈 46b: 환형돌기
47: 타공판 고정구 47a,134a: 삽입홈
2: 와류형 스크린
21: 와류형 타공판 22: 와류형 스크린통공
3: 이동식 슬러지 펌프 4,5: 제1 역류방지용 댐퍼
6: 배플(baffle) 100: 전처리조
101: 격벽 102,103: 제1,2 전처리조
104: 유입구 105: 유출구
106: 맨홀 107: 점검용 사다리
108,109: 상.하부연결구 111,112: 상.하부프레임
111a,111b: 상.하부지지플레이트 112a: 가이드홈

Claims (8)

  1.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유입구(104) 및 유출구(105)를 가지며 중간의 격벽(101)에 의해 제1 전처리조(102) 및 제2 전처리조(103)로 구획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전처리조(100)와;
    상기 제1 전처리조(102)의 내부에 설치되고, 우수의 흐름 방향에 대하여 "Y"자형의 평단면 구조를 갖는 수직의 직진형 스크린(1)과;
    상기 제2 전처리조(103)의 내부에 설치되고, 원형의 평단면 구조를 갖는 수직의 와류형 스크린(2)과;
    상기 제1 전처리조(102)의 직진형 스크린(1)의 내부 바닥면에 설치되는 이동식 슬러지펌프(3)와;
    상기 격벽(101)의 상.하부측에 각각 형성되어 제1 전처리조(102)와 제2 전처리조(103)의 사이를 연통되게 하되, 일측으로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 상부연결구(108), 및 하부연결구(109)와;
    상기 전처리조(100)의 유출구(105) 외측, 및 격벽(101)의 하부연결구(109) 내측에 설치되는 제1 역류방지용 댐퍼(4), 및 제2 역류방지용 댐퍼(5)와;
    상기 전처리조(100)의 유출구(105)의 내측에 설치되어 오일이 월류에 의해 유출구(105) 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배플(6);로 구성되고,
    상기 직진형 스크린(1)은 전체적으로 "Y"자형의 평단면 구조를 갖는 함체 형상으로 수류 분산 각도가 40 ~ 60도이고, 내부에 공간부(10b)를 가지며, 전.후면에 각각 다수의 통공A(20a)를 갖는 고정타공판(20)이 구비되고, 상면에 타공판 관통홀(10a)이 형성된 스크린본체(10)와;
    상기 전면부 고정타공판(20)의 배면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스크린본체(10)의 타공판 관통홀(10a)을 수직으로 관통하고, 상기 고정타공판(20)의 통공A(20a)와 동일한 형상 및 직경을 갖는 다수의 통공B(30a)를 갖는 가동타공판(30)과;
    상기 가동타공판(30)을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하로 승강시키는 타공판 승강구동수단(4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류형 스크린(2)은 원형의 와류형 타공판(21)을 가지며, 상기 와류형 타공판(21)에 형성되는 와류형 스크린통공(22)은 직진형 스크린(1)의 고정타공판(20)에 타공되는 통공A(20a)보다 직경이 작고, 일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 승강구동수단(40)은 스크린본체(10)의 상부측에 설치되는 수직의 고정너트(42)와, 상기 고정너트(42)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고정너트(42)에 나선 결합되는 이송스크류(43)로 구성되고, 상기 고정너트(42)는 하부가 스크린본체(10)의 전.후면에 고정된 지지브라켓트(41) 상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이송스크류(43)는 상단부에 핸들(44)이 구비되고, 하단부는 연결부재(45)에 의해 가동타공판(30)의 상단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45)는 이송스크류(43)의 하단부에 이송스크류(43)를 회전이 가능하게 지지하는 스크류 고정링(46)과, 상기 스크류 고정링(46)의 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하부는 가동타공판(30)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타공판 고정구(47)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고정링(46)과 이송스크류(43)는 이송스크류(43)에 형성된 환형홈(46a)에 스크류 고정링(46)의 내측에 형성된 환형돌기(46b)가 서로 맞물려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공판 고정구(47)는 하부측에 가동타공판(30)의 외측에 삽입 및 고정되는 타공판 삽입홈(47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진형 스크린(1)은 평면 상에서 전체적으로 "Y"자 형태를 이루고, 전면부의 고정타공판(20)이 상.하부프레임(111)(112)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상부프레임(111)은 상.하부에 각각 수평방향으로 상부지지플레이트(111a) 및 하부지지플레이트(111b)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하부지지플레이트(111b)는 타공판 관통홀(10a)을 가지며, 상기 하부프레임(112)은 상기 고정타공판(20) 및 가동타공판(30)의 하부를 상.하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지지하는 상부 개방형의 가이드홈(112a)을 포함하는 스크린본체(10)와;
    상기 고정타공판(20)의 배면에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구비되는 가동타공판(30), 및 상기 가동타공판(30)을 작업자의 조작에 의해 상.하로 승강시키는 타공판 승강구동수단(13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판 승강구동수단(130)은 상부프레임(111)의 상부지지플레이트(111a)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너트(131)와, 상기 고정너트(131)를 수직으로 관통하여 나선 결합되는 이송스크류(132)와, 상기 이송스크류(132)의 상단부에 구비되는 핸들(133), 및 이송스크류(132)의 하단부가 가동타공판(120)의 상단에 연결 및 고정될 수 있게 가동타공판(120)의 외측에 삽입 고정되는 타공판 연결구(13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20190037819A 2019-04-01 2019-04-01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2123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819A KR102123229B1 (ko) 2019-04-01 2019-04-01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7819A KR102123229B1 (ko) 2019-04-01 2019-04-01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3229B1 true KR102123229B1 (ko) 2020-06-17

Family

ID=71405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7819A KR102123229B1 (ko) 2019-04-01 2019-04-01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32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651B1 (ko) 2022-01-19 2022-07-27 그린로드(주) 비점오염 저감 기능을 갖는 와류 스크린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113B1 (ko) 2010-09-01 2011-02-14 (주) 젠폴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130579B1 (ko) * 2011-06-06 2012-03-30 (주)제이케이스톰파크 고분자필터와 부직포 섬유필터가 적용된 비점오염물 제거장치
KR20140042529A (ko) * 2012-09-28 2014-04-07 장영숙 초기우수 내 오염물 및 합류식 하수관 내 오염물 처리장치
KR101935506B1 (ko) * 2017-09-25 2019-04-03 우광티엔씨(주) 비점오염 처리시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113B1 (ko) 2010-09-01 2011-02-14 (주) 젠폴 비점오염 저감장치
KR101130579B1 (ko) * 2011-06-06 2012-03-30 (주)제이케이스톰파크 고분자필터와 부직포 섬유필터가 적용된 비점오염물 제거장치
KR20140042529A (ko) * 2012-09-28 2014-04-07 장영숙 초기우수 내 오염물 및 합류식 하수관 내 오염물 처리장치
KR101935506B1 (ko) * 2017-09-25 2019-04-03 우광티엔씨(주) 비점오염 처리시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5651B1 (ko) 2022-01-19 2022-07-27 그린로드(주) 비점오염 저감 기능을 갖는 와류 스크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4234B2 (en) Floating skimmer apparatus with up-flow filter
KR101004047B1 (ko) 스크린을 갖춘 와류형 우수분리기
KR101070989B1 (ko) 4개의 수로를 이용한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842653B1 (ko) 유수통공이 형성된 여과카트리지 및 이를 이용한 비점오염 처리시설
KR101729580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2123229B1 (ko) 와류 스크린형 비점오염 저감장치
CN111467844A (zh) 一种防堵塞的沉淀式污水处理装置
KR100807192B1 (ko) 와류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479462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846421B1 (ko) 비점오염 저감시설
KR102118557B1 (ko) 우수의 처리를 위한 여과 장치
KR101036944B1 (ko) 비점오염원 저감장치
KR20100122373A (ko)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846404B1 (ko) 지능형 분리장치가 추가된 교량형 비점오염 저감시설
SK154794A3 (en) Separator of sludge and oil
JP6475902B1 (ja) 液槽内における集液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る上向ろ過装置
KR102450237B1 (ko) 유충 여과시설을 갖춘 정수처리장치
KR101213444B1 (ko)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
KR100896056B1 (ko) 우수 처리장치
KR101185763B1 (ko) 월류수 처리장치
RU13938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сточных вод, монтируемое в канализационном колодце
KR101749320B1 (ko) 스크린 장치
KR102208611B1 (ko) 목간 조절이 가능한 이중 타공판 스크린챔버
KR101556183B1 (ko) 비점오염 처리시설
CN220779237U (zh) 一种污水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