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3444B1 -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 - Google Patents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3444B1
KR101213444B1 KR1020090021234A KR20090021234A KR101213444B1 KR 101213444 B1 KR101213444 B1 KR 101213444B1 KR 1020090021234 A KR1020090021234 A KR 1020090021234A KR 20090021234 A KR20090021234 A KR 20090021234A KR 101213444 B1 KR101213444 B1 KR 1012134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ainwater
discharge
water
discharg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1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7606A (ko
Inventor
김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승개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승개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승개발
Publication of KR200901176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76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3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3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1Dedicated additional structures, interposed or parallel to the sewer system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E03F5/105Accessories, e.g. flow regulators or cleaning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가 내리기 시작하여 노면의 각종 오염물질이 혼입되어 배수되는 초기우수로부터 각종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도로변에 설치하는 노면배수로에 집수관(10)을 연결설치하여 노면의 우수를 배수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집수관의 상부 측면에는 방류관(20)의 상단을 연결설치하며, 상기 집수관의 하단은 정류부재를 장착하는 침전박스(30)에 연결하여 집수관을 통해 낙하유입되는 우수에 혼입되어 있는 부유물이 침전제거되게 한 다음 제1-3 여과부재가 장착된 여과기(40)를 통과하면서 각종 오염물질이 여과된 후 정수관(50)을 통해 방류관(20)으로 배출되게 하고, 여과용량을 초과하는 우수가 유입되면 상기 방류관(20)의 상단을 통해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우수배관, 집수관, 비점오염물질,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

Description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Removal apparatus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for rainwater drain pipe}
본 발명은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비가 내리기 시작하여 노면의 각종 오염물질이 혼입되어 배수되는 초기우수로부터 각종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여 수질오염을 방지하도록 하는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효율적인 공공수역의 환경보전을 위해서는 점 오염원의 관리와 함께 비점오염원에 대한 관리가 반드시 필요하며, 현재 국가차원에서 비점오염원에 대한 최적 관리기법에 대한 연구개발을 장려하고 있으며 수질보전차원에서도 비점오염원에 대한 대책을 법규화하고 있다.
특히, 비점오염원 중의 하나인 도로노면의 초기우수에는 다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의 유기계 오염물질이나 카드뮴 등의 중금속류 외에도 박테리아와 기름성분 및 질소나 인과 같은 부영양화염류 등 다양한 물질이 함유되어 있음은 물론 생태계에 악영향을 주는 환경호르몬과 같은 내분비계 교란작용을 일으킬 가능성이 있는 물질도 존재하는데, 이러한 오염물질은 우수에 의해 도로변의 배수시설을 따라 흘 러서 하수도와 합류하는 경우도 있으나 교량이나 하천변의 도로에 내린 우수는 집수하여 바로 하천으로 방류되게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상기의 각종 오염물질로 인하여 하천이 심각하게 오염되는 문제점이 있으므로 도로노면의 초기우수에 의한 다양한 수질오염을 낮추기 위한 다양한 법적인 규제 및 최적관리 대책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그런데, 도로노면의 우수로 인한 유출수는 일정하게 배출되는 하?폐수와는 달리 강우시에만 배출되는 것임은 물론 계절에 따른 유량의 차이가 크고, 또한 초기우수의 오염물질농도는 지역특성이나 강우농도 등에 큰 영향을 받으며, 특히 초기 세척효과로 강우 초기에는 고농도의 오염물질을 함유한 유출수가 발생하지만 강우가 지속함에 따라 오염원의 농도가 줄어들어 아주 낮거나 검출한계 이하가 된다.
따라서, 초기우수의 유출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대용량의 오염물질제거장치보다는 고농도의 오염물질을 함유한 초기우수만을 선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소형의 제거장치가 효과적일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본원 출원인은, 집수관에는 충격방지망을 설치하여 집수관으로 유입되는 초기우수가 완충된 후 여과필터 또는 여과망을 거쳐 여과필터를 통과하도록 하고, 유입부가 넓고 유출부가 좁은 하나 이상의 흡착부재를 구비하여 유입되는 유수가 흡착포에 접촉된 후 낙하하도록 함과 동시에 수위 상승시에는 부유물이 역류하는 것이 차단되도록 하며, 일체형 여과장치내에는 초기우수의 부유물을 침전시키는 침전박스와 오염물질을 여과하는 여과필터를 장착하고, 집수관의 상부 일측에 연결되는 방류관의 입구에는 회전개폐되는 흐름조절판을 설치하여 초기 우수가 방류관을 통해 배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 우수배관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를 발명하여 특허(제834352호)를 받았다.
그러나, 상기의 선 발명 우수배관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는 집수관으로 유입되는 초기우수가 여과필터 또는 여과망을 거쳐 여과필터를 통과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므로, 부유물이 제거되지 않은 상태의 초기우수가 여과필터나 여과망을 통과하기 때문에 부유물이 여과필터나 여과망에 흡착되어 오염물질의 제거효율이 크게 낮아지게 하는 요인이 되었음은 물론 심한 경우에는 여과필터나 여과망이 부유물에 의해 막혀서 초기우수의 흐름이 차단되는 현상도 발생하여 그 수명이 단축되거나 수시로 교체를 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여과필터나 여과망이 부유물에 의해 막혀서 초기우수의 흐름이 차단되면 그 여과기능이 상실됨은 물론 유입되는 초기우수의 수위가 급속하게 높아져 방류관을 통해 그대로 배출되기 때문에 제거되지 않은 각종 오염물질이 하천으로 방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선 발명 우수배관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각종 비점오염물질의 여과효율을 극대화시켜 줌과 동시에 여과필터를 수시로 교체하지 않아도 되는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침전된 부유물을 제거하는 것은 물론 여과재의 교체 및 분리청소를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들은 집수관을 통해 유입되는 초기우수의 유속을 정류시켜 혼입된 부유물이 순조롭게 침전되도록 하고 침전과정을 거친 초기우수가 3단계의 여과과정을 거치면서 각종 비점오염물질이 여과된 후 배출되게 하는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데, 상기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는 도로변에 설치되는 노면배수로에 연결설치하여 노면의 우수를 배수처리하는 집수관과, 상단을 상기 집수관의 상 측면에 연결설치하는 방류관과, 상기 집수관을 통해 낙하하여 유입되는 우수의 유속을 정류시켜 부유물이 순조롭게 침전되도록 하는 정류부재를 구비하는 침전박스와, 상기 침전박스를 거쳐 유입되는 초기우수는 3단계의 여과과정을 거치면서 각종 비점오염물질이 효율적으로 제거되게 하는 제1-3 여과부재를 구비하는 여과기(40) 및 상기 여과기를 통과한 상등수가 방 류관의 하부로 배출되게 하는 정수관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에 의하면, 초기우수가 침전박스로 유입되면 정류부재에 의해 유속이 정류되기 때문에 혼입된 부유물이 순조롭게 침전 제거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여과기가 부유물에 의해 막혀서 초기우수의 흐름이 차단되거나 여과효율의 저하 또는 그 수명단축 등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부유물이 제거된 초기우수는 여과기의 제1-3 여과부재를 차례로 통과하는 3단계의 여과과정을 거치게 되므로 각종 비점오염물질이 더욱 효과적으로 제거되는 특징도 있으며, 이에 따라 방류관으로는 비점오염물질이 제거된 상등수만 배출되는 장점도 있다.
이하,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에서 여과기를 발췌하여 확대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서 침전박스를 발췌하여 확대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서 퇴수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2에서 흡착부재를 발췌하여 확대한 분리 사시도이다.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는 도로변에 설치하는 노면배수로에 연결설치하여 노면의 우수를 배수처리하는 집수관(10)과, 상단을 상기 집수관의 상부 측면에 연결설치하는 방류관(20)과, 상면 일측에 상기 집수관의 하단을 결합설치하여 낙하유입되는 우수를 수용하는 침전박스(30)와, 상기 침전박스에서 부유물이 침전제거된 우수가 통과하는 과정에서 혼입되어 있는 비점오염물질을 걸러주는 여과기(40)와, 상기 여과기와 방류관을 연결하여 여과기를 통과한 상등수가 방류관으로 배출되게 하는 정수관(5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집수관(10)의 상부 측면에 상단을 연결설치하는 방류관(20)의 입구에는 상기 집수관의 중심부를 향해 하향경사지게 제어판(11)을 부설하여 유입되는 초기우수가 상기 방류관으로 배출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또한, 집수관(10)의 하부에는 투시창(12)과 밸브(13)를 부설하여 관의 내부상태를 외부에서 수시로 점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필요시에는 언제나 유입된 우수의 샘플을 간단히 채취할 수 있도록 하였다
침전박스(30)는, 상면의 집수관(10)의 하단이 관통하는 부분과 여과기(40)의 개방된 하면과 연통하는 부분을 제외한 다른 부분은 봉합되게 상단 테두리를 상기 집수관의 투시창(12)과 밸브(13)가 부설된 하부를 수용하며 도어(141)로 여닫는 함체(14)와 상기 여과기의 하단 테두리에 볼트와 너트로 고정하여 설치한다.
따라서, 볼트와 너트를 풀면 침전박스(30)는 간단히 분리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서, 설치된 상태에서는 집수관(10)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를 수용하게 되며 그 수위가 점차 높아지면 우수는 여과기(40)를 통과한 다음 정수관(50)을 통해 방류 관(20)의 하부로 배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침전박스(30)의 내부에는 다수의 유통공(312)이 형성된 복수의 다공성 정류판(311)을 종?횡으로 교차하게 결속형성되는 정류부재(31)를 장착한다.
이와 같은 정류부재(31)는 유입되는 우수가 종?횡으로 교차하게 결속된 복수의 정류판(311)에 의해 흐름이 1차적으로 차단된 후에 상기 정류판에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유통공(312)을 통과하여 흐르게 하는 것이므로, 그 유속이 정류되어 정상흐름으로 바뀌게 함으로써 부유물이 원활히 침전되게 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작용에 의해, 강우 초기에 유입되는 초기우수에 혼입되어 있는 많은 부유물이 원활하게 침전제거되기 때문에 부유물이 여과기(40)를 막아주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하는 것이며, 이후 우수가 계속하여 유입되어 그 수위가 점차 상승하게 되면 부유물이 제거된 우수는 상기 여과기의 개방된 하면을 통해 상승하면서 그 내부를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침전박스(30)의 하면 일측에 배수구(32)를 형성하고, 상기 배수구에는 주면에는 수개의 퇴수공(331)이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되고 봉합된 상면에는 소공(332)들이 형성된 퇴수관(33)의 개방된 하단을 결합하여 수직설치한다.
퇴수관(33)은 강우량이 적어 침전박스(30)로 유입되는 초기우수의 수량이 여과기(40)를 넘어가지 않을 정도이거나 또는 그 이하인 경우에는 물론이고 비가 그쳐서 잔류하는 우수의 수량이 위와 같은 경우에도 침전박스(30)의 내부에 그대로 잔류하지 않고 외부로 배출되게 하기 위한 것이며, 이를 위해 배수구(32)는 배출관(35)으로 방류관(20)의 하부에 연결한다.
물론, 이렇게 설치하는 경우에 침전박스(30)로 유입되는 초기우수의 수량이 많을 때에도 일부가 퇴수관(33)을 통해 배출되기도 하지만, 상기 퇴수관에 형성되어 있는 퇴수공(331)들은 그 폭이 비교적 좁기 때문에 유입량에 비하여 상기 퇴수공을 통해 배출되는 량은 극히 한정적이기 때문에 오염물질이 배출된다고 하여도 되어도 그 농도는 하천을 오염시킬 정도가 되지는 않는 것이다.
또한, 침전박스(30)의 바닥에 쌓이는 침전물의 높이나 수위의 변동 등에 따른 부유물의 유동에 의해 퇴수공(311)들이 부분적으로 막히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퇴수관(33)의 내부에는 각 외단이 상기 퇴수공을 내부에서 외측으로 각각 관통하게 결합하는 수개의 커터(341)가 외면에 부설된 부구체(34)를 장착한다
이러한 부구체(34)는 침전박스(30)에 유입되는 우수의 수위 변동에 따라 퇴수관(33)의 내부에서 승강하게 되는 것이며, 이에 따라 상기 부구체의 외면에 부설된 커터(341)들은 퇴수공(311)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함께 승강하기 때문에 상기 승강과정에서 상기 퇴수공을 막아주고 있는 부유물을 제거하여 주므로 퇴수관의기능이 유지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는 퇴수관(33)이 단 일체로 형성된 것을 그 예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길이에 비례하여 2개체 또는 3개체로 분할되게 형성한 것을 조립설치하여도 된다.
일 예로 퇴수관(33)을 3개체로 분할형성하는 경우에는, 개방된 하단을 상기 배수구(32)에 결합하여 수직설치하며 주면에는 수개의 퇴수공(331)이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된 제1 관부재(33a)와, 개방된 하단은 상기 제1 관부재(33a)의 개방된 상단에 결합하며 주면에는 수개의 퇴수공(331)이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된 제2 관부재(33b)와, 개방된 하단은 상기 제2 관부재(33b)의 개방된 상단에 결합하며 주면에는 수개의 퇴수공(331)이 일정간격으로 수직형성된 제3 관부재(33c)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1-3 퇴수관(33a)(33b)(33c)의 각 내부에는, 외면에 각 외단이 퇴수공(331)을 내부에서 외측으로 각각 관통하게 결합하는 수개의 커터(341)가 일정간격 부설된 부구체(34)를 각각 장착하면 된다.
이와 같이 퇴수관(33)을 3개체로 형성하면, 제1-3 퇴수관(33a)(33b)(33c)의 각 퇴수공(331)들 중 어느 한 퇴수관의 퇴수공이 막히게 되어도 다른 퇴수관의 퇴수공을 통해서 잔류하는 우수가 배출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과기(40)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면은 망판 또는 다공성으로 판재로 되는 박스형태로 되며 내부에는 활성탄을 충전하는 제1 여과부재(41)와, 상부는 개방되고 하면은 망판 또는 다공성의 판재로 되는 박스형태로 되며 내부에는 여과사를 충전하는 제2 여과부재(42) 및 상?하면이 개방된 박스형태로 되고 내부에는 흡착포를 가로막게 부착한 제3 여과부재(43)를 내부에 하측으로부터 차례로 적층되게 장착하여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제3 여과부재(43)의 개방된 상면의 중간에는 받침대(431)를 가로지르게 부착하고 개방된 상면을 봉해주게 덮는 덮개(44)의 중앙에 형성하는 나사공에는 나사봉(45)을 체결하여 상기 나사봉의 하단이 받침대의 상면을 눌러줌으로써, 내부에 차례로 장착한 제1-3 여과부재(41)(42)(43)들이 수위의 상승으로 인한 부력에 의해 들뜨게 되는 현상 등이 발생하지 않게 한다.
그리고, 덮개(44)는 일반적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잠금장치(도시하지 않음)를 설치하여 덮은 다음 잠그게 하므로, 임의로 열리거나 누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정수관(50)은 제3 여과부재(43)의 상면과 덮개(44)의 하면 사이의 공간에 해당하는 여과기(40)의 상부 측면과 이에 대응하는 방류관(20)의 하부에 양 단을 연결하여 설치하는 것으로서, 집수관(10)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수위상승으로 제1-3 여과기(41)(42)(43)를 차례로 통과하면서 3단계의 여과과정을 거쳐 상기 기통의 상부 공간으로 넘쳐나오는 상등수가 방류관으로 배출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집수관(10)의 중간부분에는 우수에 혼입되어 있는 오일을 흡착하는 흡착부재(60)를 장착한다.
흡착부재(60)는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단에 플랜지부(611)가 형성된 지지틀(61)과, 상단부를 상기 플랜지부의 상면에 걸쳐지게 지지틀의 내부에 결합하는 관 형태의 흡착포(62)로 구성된다.
이러한 흡착부재(60)는, 집수관(10)의 해당부위에 결속하는 연결관(63)의 내면 상단에 형성한 걸이턱에 플랜지부(611)가 걸어지게 삽입한 다음 상기 연결관을 집수관이나 방류관에 볼트와 너트로 결착하여 장착하는 것이다.
그리고, 흡착부재(60)를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점차 좁아지게 형성하는 것은 유입되는 우수가 중앙으로 모이면서 통과하게 하므로 그 흐르는 속도가 제어되게 함과 동시에 혼입된 오일이 흡착포(62)에 충분히 흡착제거될 수 있게 하는 것임은 물론이며, 아울러 집수관(10)에 유입되는 우수의 수위가 점차 높아져 상기 흡착부재를 넘치게 되는 경우에는 그 하부에 유입되어 있는 부유물이 역류하지 못하게 차단하는 작용도 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흡착부재(60)는 방류관(20)에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는 것은 강우량이 많아 계속 유입되는 우수의 수위가 점차 높아져 집수관(10)의 상측에 연결된 방류관(20)의 입구를 넘어가서 그대로 방류되는 경우에는 혼입된 오일이 상기 방류관에서도 흡착제거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우수의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는 노면배수로에 집수관(10)의 상단을 직교하게 배관하여 연결설치하는 것으로서, 강우시 노면배수로를 거쳐 집수관(10)으로 유입되는 초기우수는 제어판(11)에 의해 방류관(20)으로 방류되지 않고 낙하하여 흡착부재(60)를 통과하면서 오일류가 흡착제거된 다음 침전박스(31)로 유입되어 바닥으로부터 차오르게 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정류판(311)에 부딪치면서 다수의 유통공(312)을 통과하기 때문에 많은 량의 초기우수가 유입되어도 유속이 정류되므로 부유물은 원활하게 침전된다.
이러한 과정에서도 우수가 계속하여 유입되어 수위가 지속적으로 상승하면 유물이 침전제거된 초기우수는 여과기(40)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제1-3 여과부재(41)(42)(43)를 하부로부터 차례로 통과하게 되면서 혼입되어 있는 각종 비점오염물질들이 제거되는 것이며, 이후 상기 제3 여과기를 통과하여 그 상부의 공간으로 흘러나오는 상등수는 정수관(50)을 통해 방류관(20)으로 배출된다.
한편, 강우가 지속하거나 강우량이 많아 집수관(10)으로 유입되는 우수의 수 량이 계속 증가하여 그 수위가 방류관(20)의 입구까지 차오르면 상기 방류관을 통해 방류되는데, 이렇게 방류되는 우수는 침전박스(30)와 여과기(40)를 통과하면서 부유물과 각종 오염물질이 제거된 후 배출되는 초기우수에 비하여 부유물이나 오염물질이 거의 혼입되어 있지 않게 되므로 그대로 방류되어도 하천을 오염시키지는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의 전체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에 따른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여과기를 발췌하여 확대한 단면도
도 4는 도 2에서 침전박스를 발췌하여 확대한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3에서 퇴수관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2에서 흡착부재를 발췌하여 확대한 분리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집수관 11 : 제어판
20 : 방류관 30 : 침전박스
31 : 정류부재 32 : 배수구
33 : 퇴수관 34 : 부구체
35 : 배출관 33a : 제1 관부재
33b : 제2 관부재 33c : 제3 관부재
311 : 정류판 312 : 유통공
341 : 커터 40 : 여과기
41 : 제1 여과부재 42 : 제2 여과부재
43 : 제3 여과부재 44 : 덮개
45 : 나사봉 431 : 받침대
50 : 정수관 60 ; 흡착부재
61 : 지지틀 62 : 흡착포
611 : 플랜지부

Claims (10)

  1. 도로변에 설치하는 노면배수로에 집수관(10)을 연결설치하여 노면의 우수를 배수처리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집수관(10)의 상부 측면에는 방류관(20)의 상단을 연결설치하며, 상기 집수관(10)의 하단은 침전박스(30)에 연결하여 집수관(10)을 통해 낙하하는 우수가 침전박스(30)를 거쳐 여과기(40)를 통과하면서 오염물질이 여과된 다음 정수관(50)을 통해 방류관(20)으로 배출되게 하고, 여과용량을 초과하는 우수가 유입되면 상기 방류관(20)의 상단을 통해 배출되게 하는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수관(10)과 방류관(20)에 흡착부재(60)를 창작하고,
    상기 침전박스(30)는;
    다수의 유통공(312)이 형성된 복수의 다공성 정류판(311)으로 되며,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집수관(10)을 통해 유입되는 우수의 유속은 정류시켜 주고 슬러지는 원활히 침전되게 하는 정류부재(31)와 주면에 일정간격으로 퇴수공(331)을 수직 형성한 퇴수관(33)을 하면 배수구(32)에 결합하고,
    상기 여과기(40)는;
    상부는 개방되고 하면은 다공성으로 되는 박스형태로 되며 내부에는 활성탄을 충전하는 제1 여과부재(41)와, 상기 제1 여과부재(41)의 상측에 적층하며 상부는 개방되고 하면은 다공성으로 되는 박스 형태로 되며 내부에는 여과사를 충전하는 제2 여과부재(42) 및 상기 제2 여과부재(42)의 상측에 적층하며 상ㆍ하면이 개방되는 박스 형태로 되고 내부에는 여과포를 가로막게 장착한 제3 여과부재(4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전박스(30)는;
    하면에 형성하는 배수구(32)와, 개방된 하단을 상기 배수구(32)에 결합하여 수직설치하며 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퇴수공(331)을 수직형성한 제1 관부재(33a)와 개방된 하단은 상기 제1 관부재(33a)의 개방된 상단에 결합하며 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퇴수공(331)을 수직형성한 제2 관부재(33b)와 상단은 봉합되고 개방된 하단은 상기 제2 관부재(33b)의 개방된 상단에 결합하며 주면에는 일정간격으로 퇴수공(331)을 수직형성한 제3 관부재(33c)로 이루어지는 퇴수관(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지 제3 관부재(33a)(33b)(33c)은;
    각 내부에 장착되며, 외면에는 각 외단이 상기 퇴수공(331)을 내부에서 외측으로 각각 관통하게 결합하는 수개의 커터(341)가 일정간격 부설된 부구체(3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 제거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기(40)는;
    상기 제3 여과부재(43)의 개방된 상부 중간을 가로지르게 부착하는 받침대(431)와, 상기 여과기(40)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주는 덮개(44)의 중앙에 형성하는 나사공을 관통하게 체결하여 하단이 상기 받침대(431)의 중간을 눌러주게 하는 나사봉(4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재(60)는;
    상단에는 플랜지부(611)가 형성되고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는 지지틀(61)과, 상단부가 상기 플랜지부(611)의 상단면에 걸쳐지게 지지틀(61)의 내부에 결합하며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좁아지는 관 형태의 흡착포(6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 제거장치.
  10. 삭제
KR1020090021234A 2008-05-09 2009-03-12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 KR1012134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3154 2008-05-09
KR20080043154 2008-05-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606A KR20090117606A (ko) 2009-11-12
KR101213444B1 true KR101213444B1 (ko) 2012-12-18

Family

ID=416020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1234A KR101213444B1 (ko) 2008-05-09 2009-03-12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34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8415A (zh) * 2013-09-06 2014-01-08 株式会社智承开发 非点污染源清除装置
KR101601488B1 (ko) * 2014-09-19 2016-03-08 주식회사 지승개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04300B2 (ja) * 2018-04-20 2021-07-14 オムロン株式会社 噴流式はんだ付け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957B1 (ko) * 2004-12-20 2006-04-13 채경희 도로 배수 시설의 오염물질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0957B1 (ko) * 2004-12-20 2006-04-13 채경희 도로 배수 시설의 오염물질 처리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8415A (zh) * 2013-09-06 2014-01-08 株式会社智承开发 非点污染源清除装置
KR101601488B1 (ko) * 2014-09-19 2016-03-08 주식회사 지승개발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7606A (ko) 200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4352B1 (ko) 우수배관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100706269B1 (ko) 초기강우유출수의 비점오염물질 정화장치
KR100911819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0949325B1 (ko) 저류지 전단 설치용 자연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332781B1 (ko)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1235008B1 (ko) 비점 오염 저감 시설
KR100987316B1 (ko) 유수분리 및 상향여과 복합방식의 비점 오염물질 처리장치 및 정화 방법
KR100896015B1 (ko)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100486105B1 (ko) 교량용 강우수 정화장치
KR100562168B1 (ko) 초기우수 비점오염물 정화장치
KR102624472B1 (ko) 교량 및 우수맨홀 초기우수처리장치
KR100577535B1 (ko) 초기우수분리장치를 구비한 비점오염물질 처리시설
KR101244122B1 (ko)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799251B1 (ko) 우수배수로용 비점오염원 제거장치
KR100741409B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1479462B1 (ko)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213444B1 (ko) 우수배관용 비점오염물질제거장치
KR100713591B1 (ko) 맨홀 장착용 정화장치
KR100690380B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1137443B1 (ko) 관로형 초기우수처리장치
KR20090033680A (ko) 우수처리시스템 및 우수처리방법
KR200393332Y1 (ko) 교량의 초기우수 유출수 정화처리장치
KR101177714B1 (ko) 노면 초기우수의 비점오염물질 저감장치
KR101195091B1 (ko) 지중침투형 비점오염원 저감시설
KR100923632B1 (ko) 초기 우수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