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45324B1 - 부유슬러지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슬러지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45324B1
KR101345324B1 KR1020130105578A KR20130105578A KR101345324B1 KR 101345324 B1 KR101345324 B1 KR 101345324B1 KR 1020130105578 A KR1020130105578 A KR 1020130105578A KR 20130105578 A KR20130105578 A KR 20130105578A KR 101345324 B1 KR101345324 B1 KR 101345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rame
sludge
moving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5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규운
조인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거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거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거록
Priority to KR1020130105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453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45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45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부유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 본 발명은 처리조의 상부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블레이드를 설치하되 블레이드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자바라를 설치하여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기존의 장치보다 상대적으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가 설치된 블레이드바가 부유슬러지 및 수압에 의해 뒤로 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부유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유슬러지 제거장치{removing apparatus for floating sludge}
본 발명은 부유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구성이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유지보수를 쉽게 할 수 있는 부유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처리조의 상부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블레이드를 설치하되 블레이드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자바라를 설치하여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기존의 장치보다 상대적으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부유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가 설치된 블레이드바가 부유슬러지 및 말단부의 수평 부하에 의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부유슬러지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생활이 편리해진 반면에 다양한 종류의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점 중 하나로 많은 양의 폐기물이다. 이러한 폐기물은 주위 환경을 오염시켜 자연생태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므로 폐기물에 의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폐기물 처리 장치나 설비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폐기물에는 다양한 것이 있고, 이들 중 산업 시설에서 배출되는 산업폐수와 가정에서 배출되는 생활폐수, 그리고, 농사 및 가축 사육에 따른 농축산폐수 등은 하천과 지하수는 물론 토양을 오염시켜 인류는 물론 동식물을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하수 및 오폐수를 정화 처리하는 방법으로는 화학약품을 투입하여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방법과, 하수 및 오폐수가 자갈, 모래, 숯 등의 여과재를 통과하게 하는 물리적인 방법 등이 있으며, 이러한 정화 처리 시설에서는 하수 및 오폐수에 부유하는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부유 슬러지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와 관련된 기술로는 특허문헌 1 내지 3을 포함하여 다양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은 구동모터의 작동에 따라 가이드 트렉을 타고 전, 후 이동하는 작동바와, 상기 작동바에 지지되어 전, 후 이동하는 연결봉과, 상기 연결봉에 끼워져 회동하는 작동아암과, 상기 작동아암에 설치되어 승, 하강하며 부유물을 제거하는 스크레퍼로 구성된 제1 캐리지는 상기 가압부상조내의 부유물을 제거하며, 상기 제1캐리지와 연결바로 연결 설치되고, 상기 제1 캐리지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캐리지의 작동에 따라 왕복 이동하며 상기 가압부상조내의 부유물을 상기 제1 캐리지쪽으로 이동시키는 제 2, 3, 4캐리지들로 구성된 것이고,
특허문헌 2는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 1, 2레일과; 상기 제 1, 2레일의 상면에서 일정 거리 이격 설치되는 제 1, 2스프로켓과; 상기 제 1, 2스프로켓에 권취되어 회전되고, 상기 제 1, 2레일 상면에서 지지 브라켓에 의해 인장력을 유지하는 체인과; 상기, 제1, 2스프로켓 및 체인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 전달 부재와; 상기 제 1, 2레일에서 좌우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상기 체인과 링크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체인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반복 이동되는 이동 부재와; 직사각형태의 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링크의 저면에 부착되는 스크레퍼와; 상기 제 1, 2레일의 일단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크레퍼에 의해 이송되는 스컴을 배출하는 배출수로; 및 상기 이동 부재의 이동에 따라 상기 배출수로의 전면을 개폐시키는 개폐 부재로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부유 슬러지 제거장치들은 하수 및 오폐수가 저장된 처리조의 상부에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판체 형상의 블레이드(또는 스크레퍼)를 설치하여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 슬러지를 일측으로 밀어낼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블레이드를 구비한 부유 슬러지 제거장치들은 블레이드가 보다 효율적으로 부유 슬러지를 밀어낼 수 있게 하는 것이 주요 기술로서 보다 효과적으로 블레이드를 이동시키되,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유지 보수를 쉽게 할 수 있게 한 블레이드 구동수단과 관련된 기술에 관심이 집중되어 있으며, 이러한 기술의 하나로 특허문헌 3이 있다.
특허문헌 3은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이동시키는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되는 이송유닛과, 이송유닛과 함께 이동함으로써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이동시키는 블레이드와, 이송유닛에 설치되어 블레이드를 지지하며, 전진과 후진 시 블레이드가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와 부유물 또는 침전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높이를 전환하도록 하는 승강유닛과, 승강유닛을 전후로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부로 이루어지되, 이송유닛은 가이드부에 양측이 가이드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프레임 사이에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어 승강유닛이 설치되는 이송축을 포함하고, 승강유닛은 이송축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블레이드가 하부에 결합되는 회전부재와, 회전부재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고 구동부에 의해 전, 후진 시 회전부재를 전후로 회전시킴으로써 블레이드를 승강시키는 이송아암을 포함하고,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무한궤도 운동을 하도록 전후로 설치되는 벨트부재와 상기 벨트부재의 일측에 고정되고 이송아암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지지유닛은 궤적이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상기 벨트부재에 고정되고 궤적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고정편과 상기 돌출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편과, 힌지편과 이송아암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힌지편은 고정편과의 힌지 결합 위치가 벨트부재의 상하 간격의 중심에 위치되게 설치된 것이다.
이렇게 구성된 특허문헌 3의 슬러지 제거장치는 특허문헌 2의 단점 즉, 부유물을 이동시키는 익편이 컨베이어벨트에 직접 형성됨으로써 컨베이어벨트의 쳐짐과 진동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를 줄이고, 구동모터에 의해 익편의 양측을 지지하는 컨베이어벨트들을 동시에 구동시킴으로써 발생되는 고출력의 구동모터를 요구하여 설비의 유지 및 동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증가시키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고, 컨베이어벨트들의 텐션이 상이하여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또한 체인을 사용하고 있어 체인의 처짐 형상에 의해 발생될 수 있고 이러한 체인의 처짐은 블레이드의 원활한 이동에 연향을 주어 부유슬러지의 제거 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에 많은 비용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유지 부수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33170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87628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13034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 처리조의 상부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블레이드를 설치하되 블레이드를 구동시키는 구동수단으로 자바라를 설치하여 구조를 단순화시킴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하고, 기존의 장치보다 상대적으로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한 부유슬러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블레이드가 설치된 블레이드바가 부유슬러지 및 말단부 수평 부하에 의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한 부유슬러지 제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부유슬러지 제거장치는 하수 및 오폐수가 저장된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하수 및 오폐수의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 슬러지를 어느 일측으로 밀어내는 부유슬러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프레임;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측으로 이동함에 의해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 슬러지를 일측으로 밀어내는 다수의 블레이드)를 구비한 슬러지스크레이퍼; 상기 슬러지스크레이퍼의 일단에 연결되어 신축됨에 의해 슬러지스크레이퍼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자바라; 상기 자바라를 신축시키는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러지스크레이퍼는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이동프레임;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프레임; 중간의 힌지축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에 힌지 고정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을 이루고 블레이드연결부와 축연결부가 형성되며, 블레이드연결부에 상기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회동함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가 승강되게 하는 회동판; 상기 축연결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스토퍼프레임에 힌지 고정된 연결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블레이드연결부에는 수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바가 더 설치되고, 상기 승강바의 하단에 상기 블레이드가 설치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승강바가 수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승강가이드를 이동프레임에 더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에는 수평으로 장공이 형성된 가이드판이 더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프레임에는 상기 가이드판의 장공 내부에서 수평으로 이동되는 가이드핀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전단과 후단에는 상기 스토퍼프레임의 이동을 제한하여 상기 이동프레임이 끝까지 당겨지거나 밀린 상태에서 스토퍼프레임이 정지되게 하여 회동판이 회동되어 블레이드가 승강하게 할 수 있다.
상기 구동수단은 모터이고, 모터의 회전축에는 상기 자바라를 구성하는 연결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크랭크가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크랭크가 회동됨에 의해 자바라가 신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부유슬러지 제거장치에 의하면, 블레이드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구동수단을 자바라로 구성하여 구조가 단순화됨에 따라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블레이드가 설치된 블레이드바를 이동프레임에 설치된 승강가이드로 지지하여 부유슬러지 및 수압에 의해 블레이드가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유슬러지 제거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A 부분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유슬러지 제거장치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B 부분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유슬러지 제거장치의 자라바라 접힌 상태의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유슬러지 제거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부유슬러지 제거장치를 구성하는 슬러지스크레이퍼의 분해사시도
도 8은 슬러지스크레이퍼의 일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부유슬러지 제거장치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구조가 단순하여 제작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는 가이드프레임(10)의 위에, 부유슬러지를 일측으로 밀어내는 블레이드(20b)와, 상기 블레이드를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자바라(30)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자바라(30)는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막대를 서로 접혀질 수 있도록 연결핀으로 힌지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이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 중 하나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자바라(30)의 일단은 가이드프레임(10)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블레이드(20b)가 설치된 슬러지스크레이퍼(20)가 연결되어 있으며, 자바라를 구성하는 연결핀 중 어느 하나에 구동수단(40)을 연결하여 구동수단의 구동에 의해 자바라가 접혀지거나 펼쳐지게 하였다.
상기 자바라(30)를 신축시키는 구동수단은 모터가 사용될 수 있고, 모터의 회전축에는 상기 자바라를 구성하는 연결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크랭크(40c)가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크랭크가 회동됨에 의해 자바라가 신축하게 된다. 물론, 모터와 크랭크의 위치에 따라 모터축에는 동력전달수단을 더 설치할 수 있고 동력전달수단은 모터 회전축과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전달하거나 회전축의 회전속도를 가속 또는 감속하여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자바라(30)의 신축에 의해 이동하는 블레이드(20b)는 도 2에 확대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하단이 부유슬러지를 밀어내는 방향으로 굽혀진 긴 판체 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이 블레이드(20b)의 수평 이동을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여 상기 슬러지스크레이퍼(20)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자바라(30)의 하부에는 자바라레일(30g)이 설치되어 있어 자바라의 아래로 처짐과 이탈을 방지하였다.
즉, 상기 슬러지스크레이퍼(2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0) 위에서 수평으로 이동할 수 있게 설치된 이동프레임(21)과, 상기 이동프레임 위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하부에 상기 블레이드(20b)가 설치된 스토퍼프레임(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렇게 구성된 슬러지스크레이퍼(20)는 상기 이동프레임(21)에 상기 자바라(30)의 일단이 연결되어 자바라가 신축됨에 의해 이동프레임이 이동하여 블레이드(20b)가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슬러지를 어느 일측으로 밀어내는 것이다.
이렇게 부유슬러지를 밀어내는 블레이드(20b)를 수평으로만 이동시킬 경우, 블레이드가 입구 측(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할 때 배출구 측으로 밀린 부유슬러지가 다시 입구 측으로 밀릴 수 있다. 따라서 배출구로 밀린 슬러지가 다시 입구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블레이드(20b)가 배출구 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그 하단이 수면에 잠긴 상태를 유지하고, 입구 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하단이 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되어야 한다.
이렇게 수평으로 이동되는 블레이드(20b)를 상하 방향으로 높이 조절되게 하기 위한 수단으로 회동판(23)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회동판(23)은 도시한 바와 같이 중간의 힌지축(24)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21)에 힌지 고정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을 이루고 블레이드연결부(23b)와 축연결부(23s)가 형성되며, 블레이드연결부에 상기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회동함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20b)가 승강되게 한다.
즉, 도 6 (a) 및 도 6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슬러지를 배출구 측으로 밀어낼 때에는 상기 회동판(23)이 회동하여 블레이드연결부(23b)가 하강하여 블레이드(20b)가 수면에 잠긴 상태가 되고, 도 6 (c) 및 도 6 (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20b)가 입구 측으로 이동할 때에는 회동판(23)이 회동하여 블레이드연결부(23b)가 위쪽으로 승강하여 블레이드(20b)의 하단이 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가 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동판(23)의 상단 즉, 축연결부(23s)는 힌지핀에 의해 상기 스토퍼프레임(22)에 힌지 고정되고, 상기 중간 부분은 힌지축(24)에 의해 이동프레임(21)에 힌지 고정되어 있어 힌지축(24)을 중심으로 회동하면 하단의 블레이드연결부(23b)가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회동판(23)은 도 2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연결부(23b)와 축연결부(23s)가 힌지축(24)을 중심으로 소정의 각을 이루고 있고, 블레이드연결부(23b)와 축연결부(23s)에는 장공이 형성되어 있어 회동판의 회동이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였다.
이렇게 회동판(23)을 회동시키는 수단은 상기 이동프레임(21), 스토퍼프레임(22), 자바라(30) 및 스토퍼(10s)이다.
즉, 상기 가이드프레임(10)의 전단과 후단에는 스토퍼(10s)를 설치하여 상기 스토퍼프레임(22)의 이동을 제한함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21)이 끝까지 당겨지거나 밀린 상태에서 스토퍼프레임(22)이 정지되게 하여 회동판(23)이 회동되어 블레이드(20b)가 승강하는 것이다.
도 6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바라(30)가 수축되어 이동프레임(21)일 입구 측으로 당기면 이동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된 스토퍼프레임(22)도 같이 이동하고, 스토퍼(10s)에 스토퍼프레임(22)의 일단이 접촉되어 스토퍼프레임이 더 이상 입구 측으로 당겨질 수 없는 상태에서 자바라가 더욱 수축하여 이동프레임이 이동하면 힌지축(24)은 입구 측으로 당겨지지만 스토퍼프레임에 연결된 축연결부(23s)는 당겨지지 않음으로 회동판(2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렇게 회동판(23)이 회전하면 하단의 블레이드연결부(23b)는 아래로 하강하여 블레이드(20b)가 수면이 잠기게 된다.
이렇게 블레이드(20b)가 수면에 잠긴 상태에서 자바라(30)를 신장시키면 이동프레임(21)이 배출구 측(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며, 이렇게 이동프레임의 이동에 의해 블레이드(20b)가 이동하면서 수면 상의 부유슬러지를 배출구 측으로 밀어내게 된다.
이동프레임(21)이 배출구 측으로 이동하여 스토퍼프레임(22)의 배출구 측 단부가 스토퍼(10s)와 마주치면 위와는 반대로 이동프레임은 배출구 측으로 이동하지면 스토퍼프레임(22)은 스토퍼에 의해 고정되어 회동판(23)이 상기와는 반대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이에 따라 회동판 하단의 블레이드연결부(23b)가 상승하여 블레이드(20b)가 수면으로부터 이격되는 것이다.
이렇게 블레이드(20b)가 수면으로부터 이격된 상태에서 자바라가 수축되면 이동프레임(21)이 다시 입구 측으로 이동하고 좌측 스토퍼와 스토퍼프레임이 만나면 위와 같은 과정에 의해 블레이드가 수면에 잠기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블레이드(20b)는 이동시 부유슬러지의 무게와 수압에 의해 빌려 기울어질 수 있으므로 블레이드가 기울어지지 않게 하기 위해 상기 블레이드연결부(23b)에는 수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바(23e)가 더 설치되고, 상기 승강바(23e)의 하단에 상기 블레이드(20b)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이동프레임(21)에는 상기 승강바(23e)가 수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승강가이드(23g)를 더 설치하였다.
즉, 상기 승강가이드(23g)에 의해 지지되는 상태에서 상기 승강바(23e)가 승강함으로 블레이드(20b)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유슬러지 제거장치를 구비한 처리조는 상기 블레이드(20b)에 의해 밀려 이동된 부유슬러지가 넘어가는 턱이 배출구 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 턱에는 슬러지가 보다 쉽게 넘어 갈수 있도록 오름 각도의 금속판을 설치한다.
이렇게 구성된 처리조에 설치되는 부유슬러지 제거장치의 다수의 블레이드 중 배출구 측(도 1의 우측단부)에 설치된 후단의 블레이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턱을 넘어 이동되어야 하므로, 블레이드는 상기 금속판과 접하여 금속판의 오름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상승 이동하면서 부유슬러지를 제거한다.
이렇게 이동되는 후단의 블레이드는 부유슬러지를 완벽하게 제거하기 위해 금속판에 밀착되어야 하므로, 도 2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바(23e)에 스프링(20s)을 설치하여 스프링이 탄성력에 의해 금속판에 밀착되어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21)의 상부에는 수평으로 장공(25h)이 형성된 가이드판(25)이 더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프레임(22)에는 상기 가이드판의 장공 내부에서 수평으로 이동되는 가이드핀(22p)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스토퍼프레임(22)은 이동프레임(21)의 상부에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이렇게 설치된 스토퍼프레임(22)은 회동판(23)이 회동하는 과정에서 이동프레임으로부터 벗어나거나 위치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상기 가이드판(25)과 가이드핀(22p)을 설치하여 스토퍼프레임이 이동프레임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할 수는 있으나 승강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가이드프레임 10s: 스토퍼
20: 슬러지스크레이퍼 20b: 블레이드 20s: 스프링
21: 이동프레임
22: 스토퍼프레임 22p: 가이드핀
23: 회동판
23h: 힌지축
23b: 블레이드연결부 23s: 축연결부
23e: 승강바 23g: 승강가이드
24: 연결축
25: 가이드판 25h: 장공
30: 자바라 30g: 자바라레일
40: 구동수단

Claims (7)

  1. 하수 및 오폐수가 저장된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되어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 슬러지를 어느 일측으로 밀어내는 부유슬러지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처리조의 상부에 설치된 가이드프레임(10); 상기 가이드프레임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일측으로 이동함에 의해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 슬러지를 일측으로 밀어내는 다수의 블레이드(20b)를 구비한 슬러지스크레이퍼(20); 상기 슬러지스크레이퍼의 일단에 연결되어 신축됨에 의해 슬러지스크레이퍼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는 자바라(30); 상기 자바라를 신축시키는 구동수단(40)을 포함하고,
    상기 슬러지스크레이퍼(20)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0)을 따라 수평으로 이동하는 이동프레임(21); 상기 이동프레임의 상부에 수평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스토퍼프레임(22); 중간의 힌지축(23h)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에 힌지 고정되고, 힌지축을 중심으로 소정 각을 이루고 블레이드연결부(23b)와 축연결부(23s)가 형성되며, 블레이드연결부에 상기 블레이드가 설치되어 회동함에 따라 상기 블레이드(20b)가 승강되게 하는 회동판(23); 및 상기 축연결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양단이 상기 스토퍼프레임에 힌지 고정된 연결축(2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슬러지 제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연결부(23b)에는 수직으로 승강할 수 있도록 승강바(23e)가 더 설치되고, 상기 승강바(23e)의 하단에 상기 블레이드(20b)가 설치되고,
    상기 승강바(23e)가 수직으로 승강될 수 있도록 지지하는 승강가이드(23g)가 이동프레임(21)에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슬러지 제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바(23e) 중 부유슬러지가 배출되는 배출구 측 단부에 설치되는 블레이드(20b)가 설치되는 승강바(23e)에는 스프링(20s)를 설치하여 블레이드가 탄성적으로 지지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슬러지 제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21)의 상부에는 수평으로 장공(25h)이 형성된 가이드판(25)이 더 설치되고, 상기 스토퍼프레임(22)에는 상기 가이드판의 장공 내부에서 수평으로 이동되는 가이드핀(22p)이 더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슬러지 제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프레임(10)의 전단과 후단에는 스토퍼(10s)를 설치하여 상기 스토퍼프레임(22)의 이동을 제한함에 의해 상기 이동프레임이 끝까지 당겨지거나 밀린 상태에서 스토퍼프레임(22)이 정지되게 하여 회동판(23)이 회동되어 블레이드(20b)가 승강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슬러지 제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40)은 모터이고, 모터의 회전축에는 상기 자바라를 구성하는 연결핀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크랭크(40c)가 설치되어 모터의 구동에 의해 크랭크가 회동됨에 의해 자바라가 신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슬러지 제거장치.
KR1020130105578A 2013-09-03 2013-09-03 부유슬러지 제거장치 KR101345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578A KR101345324B1 (ko) 2013-09-03 2013-09-03 부유슬러지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5578A KR101345324B1 (ko) 2013-09-03 2013-09-03 부유슬러지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45324B1 true KR101345324B1 (ko) 2014-01-15

Family

ID=50144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5578A KR101345324B1 (ko) 2013-09-03 2013-09-03 부유슬러지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4532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744B1 (ko) * 2016-05-23 2017-12-01 김정수 부유물 제거장치
KR20180041534A (ko) * 2016-10-14 2018-04-24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습식 정제 장치 일체형 타르 회수 장치
CN115006886A (zh) * 2022-06-30 2022-09-06 河南环华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污水处理后泥渣收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5682B2 (ja) 2000-06-14 2002-08-19 株式会社丸島アクアシステム 汚泥掻き寄せ機
KR200416997Y1 (ko) * 2006-01-20 2006-05-24 삼삼환경(주) 침전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JP2008114172A (ja) 2006-11-06 2008-05-22 Sumitomo Heavy Industries Environment Co Ltd 掻寄装置
KR20110006775A (ko) * 2009-07-15 2011-01-21 (주)미시간기술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5682B2 (ja) 2000-06-14 2002-08-19 株式会社丸島アクアシステム 汚泥掻き寄せ機
KR200416997Y1 (ko) * 2006-01-20 2006-05-24 삼삼환경(주) 침전조의 부유물 제거장치
JP2008114172A (ja) 2006-11-06 2008-05-22 Sumitomo Heavy Industries Environment Co Ltd 掻寄装置
KR20110006775A (ko) * 2009-07-15 2011-01-21 (주)미시간기술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744B1 (ko) * 2016-05-23 2017-12-01 김정수 부유물 제거장치
KR20180041534A (ko) * 2016-10-14 2018-04-24 고등기술연구원연구조합 습식 정제 장치 일체형 타르 회수 장치
CN115006886A (zh) * 2022-06-30 2022-09-06 河南环华生态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污水处理后泥渣收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5324B1 (ko) 부유슬러지 제거장치
KR101130342B1 (ko)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
KR200472427Y1 (ko) 로터리 제진기
KR100944815B1 (ko) 하수 및 배수 처리용 기계식 제진기
KR100953300B1 (ko)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
KR101520633B1 (ko)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
KR101425778B1 (ko) 제진기
KR101406712B1 (ko) 이중 스크린 제진기
KR100406506B1 (ko) 하천의 부유물 제거를 위한 무동력 자동 스크린 시스템
KR100896740B1 (ko) 유압식 더블암 제진기
KR101281001B1 (ko) 하수처리용 스크린 장치
CN113123309A (zh) 一种河道表面垃圾自动拦截收集装置
KR101594101B1 (ko) 인/아웃 자동 제진기
KR101332278B1 (ko) 동조기어장치를 가지는 상승개폐식 로터리 제진기
JP2008073599A (ja) 堆積物及び浮上物の掻寄装置
CN210127464U (zh) 一种河道清理用的漂浮物拦截清理装置
KR20110092024A (ko) 게이트 펌프용 로터리 제진기
KR20100135470A (ko) 제진기
KR20130034091A (ko) 상하식 제진기
KR102291857B1 (ko) 제진성이 향상된 이동형 레벨 제진기
KR101299787B1 (ko) 수로에 설치되는 부유물질 제거용 승강식 인양기의 이중 접이식 스크린장치
KR101642244B1 (ko) 슬러지 수집장치
KR102033128B1 (ko) 슬러지 수집 장치
KR100924176B1 (ko) 유압식 씨저형 제진기
KR101616674B1 (ko) 슬러지 및 스컴 수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