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30342B1 -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 - Google Patents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30342B1
KR101130342B1 KR1020090064316A KR20090064316A KR101130342B1 KR 101130342 B1 KR101130342 B1 KR 101130342B1 KR 1020090064316 A KR1020090064316 A KR 1020090064316A KR 20090064316 A KR20090064316 A KR 20090064316A KR 101130342 B1 KR101130342 B1 KR 101130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ediment
blade
float
transf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64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06775A (ko
Inventor
이창진
이병호
김성혁
Original Assignee
이창진
(주)미시간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진, (주)미시간기술 filed Critical 이창진
Priority to KR1020090064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30342B1/ko
Publication of KR201100067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067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30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30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02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 B01D21/04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 B01D21/06Settling tanks with single outlets for the separated liquid with moving scrapers with rotatin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18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183Construction of the scrapers or the driving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with multiple scrap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33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 B01D21/2438Discharge mechanisms for floating particles provided with scrapers on the liquid surface for removing floating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이동시키는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되는 이송유닛과, 이송유닛과 함께 이동함으로써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이동시키는 블레이드와, 이송유닛에 설치되어 블레이드를 지지하며, 전진과 후진 시 블레이드가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와 부유물 또는 침전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높이를 전환하도록 하는 승강유닛과, 승강유닛을 전후로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수, 오수, 폐수, 그 밖의 다양한 유체에 부유하는 부유물 또는 이러한 유체에 침전되는 침전물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처리수 등의 수질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부유물 및 침전물의 제거 동작에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부유물, 침전물, 폐수, 가이드부, 이송유닛, 블레이드, 승강유닛, 구동부

Description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APPARATUS FOR REMOVING FLOATING MATERIALS AND SEDIMENT}
본 발명은 하수, 오수, 폐수, 그 밖의 다양한 유체에 부유하는 부유물 또는 침전되는 침전물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처리수 등의 수질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부유물 및 침전물의 제거 동작에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공하는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의 발전과 풍요로운 소비로 인하여 산업 현장이나 가정 등에서 발생되는 폐기물로 인해 심각한 환경오염을 유발하여 자연 생태를 교란시켜서 복구가 불가능할 정도에 이르도록 하는데, 이러한 문제로 인해 정부는 물론 세계 각국에서도 환경 보존에 대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환경 오염 중에서 수질 오염의 경우 동.식물의 생존 및 생태계에 막대한 피해를 주며, 인류의 생존을 위협하게 된다. 특히, 산업 시설에서 발생하는 산업폐수와 가정에서 방류되는 생활폐수, 그리고, 농사 및 가축 사육에 따른 농축산폐수 등은 하천과 지하수를 오염시키고, 인류의 건강을 심각하게 위협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산업시설이나 가정 등지에서 배출되는 폐수를 처리하여 정화시키기 위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폐수의 정화 처리 방법으로는 화학약품을 투입하여 화학적으로 처리하는 방법과 폐수가 자갈, 모래, 숯 등을 통과하도록 하여 물리적으로 처리하는 방법 등이 있는데, 정화 처리 과정에서 폐수에 부유하는 물질의 효과적인 제거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종래의 폐수 정화 처리 과정에서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부유물 제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공개특허 10-2006-0042419호의 "전기응집을 이용한 폐수정화장치"로서, 전기응집 반응조(1)의 상측에 마련되는 부유물 제거수단(40)에 의해 폐수 표면상에 부유하는 부유물 등을 부유물 배출부(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데, 구동모터(41)의 구동축(41a)과 제 1 회전축(42)이 구동벨트(41b)에 의해 연결되고, 제 1 회전축(42)은 전기응집 반응조(1)의 양측에 설치되어 샤프트(42a)에 의해 연결되며, 컨베이어벨트(44)에 의해 제 1 및 제 2 회전축(42,43)이 연결되며, 컨베이어벨트(44) 상에는 익편(45)을 형성하여 구동모터(41)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컨베이어벨트(44)가 회전하게 되면, 컨베이어벨트(44) 상에 형성된 익편(45)에 의해 폐수의 표면 상의 부유물을 부유물 배출부(미도시)로 이동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부유물 제거 장치는 부유물을 이동시키는 익편이 컨베이어벨트에 직접 형성됨으로써 컨베이어벨트의 쳐짐과 진동을 유발할 뿐만 아니라 소음이 증가하고, 구동모터에 의해 익편의 양측을 지지하는 컨베이어벨트들을 동시에 구동시킴으로써 고출력의 구동모터를 요구하여 설비의 유지 및 동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증가시키며, 컨베이어벨트들의 텐션이 상이하여 뒤틀림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은 하수, 오수, 폐수의 정화 처리 과정에서 부유물을 제거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양한 유체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도 동일하게 발생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수, 오수, 폐수 그 밖의 유체의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처리수 등의 질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동작의 안정성 및 신뢰성을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는, 유체에 부유하는 부유물 또는 침전되는 침전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이동시키는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부와, 가이드부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되는 이송유닛과, 이송유닛과 함께 이동함으로써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이동시키는 블레이드와, 이송유닛에 설치되어 블레이드를 지지하며, 전진과 후진 시 블레이드가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와 부유물 또는 침전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높이를 전환하도록 하는 승강유닛과, 승강유닛을 전후로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하수, 오수, 폐수, 그 밖의 다양한 유체에 부유하는 부유물 또는 이러한 유체에 침전되는 침전물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처리수 등의 수질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부유물 및 침전물의 제거 동작에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100)는 가이드부(110)와, 가이드부(110)에 가이드되는 이송유닛(120)과, 이송유닛(120)과 함께 이동하여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이동시키는 블레이드(130)와, 블레이드(130)를 이송유닛(120)에 연결시킴과 아울러 블레이드(130)의 높이를 전환시키는 승강유닛(140)과, 승강유닛(140)을 전후로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100)는 수면 부근에 설치됨으로써 하수, 오수, 폐수 등의 정화 처리 과정에서 수면에 부유하거나, 정화 처리를 마친 처리수의 수면에 부유하거나, 그 밖의 다양한 유체의 수면에 부유하는 물질이나 거품 등을 포함하는 부유물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서 수집 내지 제거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 뿐만 아니라, 수중에 설치됨으로써 하수, 오수, 폐수 등의 다양한 유체에 침전되는 침전물을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서 수집 내지 제거되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부(110)는 부유물이나 침전물을 이동시키는 경로의 양측, 예를 들면 부유물 또는 침전물의 제거가 필요한 하수, 오수, 폐수, 처리수 등의 유체가 이동하는 경로의 양측에 각각 위치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부유물이나 침전물을 이동시키는 경로의 양측에 수직되게 각각 설치되고, 양단이 연결부(111)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설치 자세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한하지 않고, 부유물이나 침전물을 이동시키는 경로를 따라 이송유닛(120)의 이송을 가이드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송유닛(120)은 가이드부(110)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되는데, 일례로, 가이드부(110)에 양측이 가이드되는 한 쌍의 프레임(121)과, 프레임(121) 사이에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됨과 아울러 승강유닛(140)이 설치되는 이송축(122)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21)은 가이드부(110)에 각각 가이드되도록 가이드부(110)의 개수와 상응하는 개수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가이드부(110)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하도록 가 이드부(110)에 지지됨으로써 전후로 이동 시 가이드부(110)를 따라 회전하는 롤러(121a)를 가질 수 있다.
이송축(122)은 프레임(121) 사이에 이동 방향에 교차, 예를 들면 직교하도록 결합됨으로써 프레임(121)간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함과 아울러 승강유닛(140)에 의해 블레이드(130)를 지지할 수 있다.
블레이드(130)는 이송유닛(120)과 함께 이동함으로써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이동시키고, 일례로 직사각형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뿐만 아니라 부유물이나 침전물을 원활하게 이동시키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승강유닛(140)은 이송유닛(120)에 설치되어 블레이드(130)를 지지하고, 구동부(150)에 의해 직선 운동함으로써 가이드부(110)에 가이드되는 이송유닛(120)을 블레이드(130)와 함께 직선 운동시킴과 아울러 전진과 후진 시 블레이드(130)가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와 부유물 또는 침전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높이를 전환하도록 한다. 즉, 승강유닛(140)은 이송유닛(120)에 블레이드(130)를 연결시키되, 전진 시 블레이드(130)가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까지 하강되도록 하며, 후진 시 블레이드(130)가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로부터 이격되는 위치까지 상승되도록 한다.
승강유닛(140)은 일례로, 이송축(122)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아울러 블레이드(130)가 하부에 결합되는 회전부재(141)와, 회전부재(141)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어 구동부(150)에 의해 전후진 시 회전부재(141)를 이송축(122)으로부터 전후로 회전시킴으로써 블레이드(130)를 승강시키는 이송아암(142)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재(141)는 회전 중심으로부터 이격된 하부 및 상부에 블레이드(130)와 이송아암(142)이 각각 결합되고, 이송아암(142)의 전후진에 의해 이송축(122)으로부터 전후로 회전함으로써 블레이드(130)가 전진 시에만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블레이드(130)의 높이를 상하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이송아암(142)이 전후진 시 높이 변화가 크게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후로 회전 시 회전 각도의 범위가 제한됨으로써 블레이드(130)의 승강 높이를 정확하게 전환시킬 수 있다.
회전부재(141)는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이송축(12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회전결합부(141a)로부터 상방향으로 형성되는 아암연결부(141b)와 하방으로 형성되는 블레이드연결부(141c)를 가질 수 있으며, 블레이드(130)의 승강을 원활하게 하도록 아암연결부(141b)와 블레이드연결부(141c)가 60 내지 120도의 각도를 이룰 수 있으며, 블레이드연결부(141c)에 블레이드(130)가 힌지축(131)으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100)는 일회의 부유물 또는 침전물 이동량을 확대시키기 위하여 블레이드(130)가 나란하게 다수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일례로, 이송유닛(120)에서 이송축(122)이 프레임(121) 사이에 나란하게 다수로 설치됨과 아울러 이송축(122) 마다 회전부재(141)에 의해 블레이드(130)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승강유닛(140)은 블레이드(130)가 다수로 이루어짐으로써 다수로 이루어지는 이송축(122)마다 설치되는 회 전부재(141)가 이송아암(142)에 의해 서로 연결되도록 하여 이송아암(142)의 전후에 의해 회전부재(141)들이 동시에 전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한다.
승강유닛(140)은 회전부재(141)가 이송아암(142)에 직접 힌지 결합될 수 있으며, 블레이드(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블레이드(130) 각각이 다수의 회전부재(141)에 지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이송축(122)에 다수로 결합되는 회전부재(141)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축(143)이 이송아암(142)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이송아암(142)의 전후진 시 이송축(122)마다 설치된 다수의 회전부재(141)를 동시에 전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승강유닛(140)은 블레이드(130)가 회전부재(141)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부유물 또는 침전물이나 유체에 의한 저항에 의해 후방으로 젖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블레이드(130)가 전방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재(144)는 본 실시예에서처럼 코일스프링은 물론 판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단이 이송유닛(120), 예를 들면 이송축(122)에 지지되고, 타단이 블레이드(130)에 지지됨으로써 블레이드(130)가 탄성력에 의해 수직에 가까운 자세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으며, 블레이드(130)가 전방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다양한 방식으로 설치될 수 있다.
승강유닛(140)은 이송아암(142)의 하강 위치를 제한 및 조절하기 위하여, 가이드부(110)에 연결되어 이송아암(142)의 하측에 위치하는 연결부재(145)와, 연결부재(145)에 수직되게 나사 결합되어 이송아암(142)의 하부를 지지하는 높이조절나 사(1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높이조절나사(146)에 의한 이송아암(142)의 지지 높이를 조절함으로써 이송아암(142)에 회전부재(141)를 통해 연결되는 블레이드(130)의 하강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구동부(150)는 승강유닛(140)을 전후로 왕복 운동시키기 위하여, 일례로, 구동모터(151)와, 구동모터(15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무한 궤도 운동을 하도록 전후로 설치되는 벨트부재(152)와, 벨트부재(152)의 일측에 고정됨과 아울러 이송아암(142)을 지지하는 지지유닛(153)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50)는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처럼 단일로 이루어짐으로써 구동모터(151)의 회전력을 단일의 벨트부재(152)를 통해서 승강유닛(140)으로 전달할 수 있고, 이로 인해 구동력의 분산이나 양측간의 구동력 차이로 인한 블레이드(130)의 뒤틀어짐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며, 본 실시예와 달리 다수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블레이드(130)에 의해 부유물을 제거 시 수면 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수중에 위치하는 블레이드(130)에 의해 침전물을 이동시켜서 수집 내지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구동모터(151) 등과 같이 유체와 접해서는 아니되는 구성부재는 수면 위에 설치되도록 하거나, 방수챔버나 실링부재 등을 사용하여 방수가 되도록 하여 수중에 설치되도록 할 수도 있다.
구동모터(151)는 이송유닛(120)의 전측이나 후측 또는 측방향에 고정도록 설치될 있고, 본 실시예에서처럼 이송유닛(120)의 후측에서 연결부(111)로부터 연장되는 장착부(112)에 고정될 수 있으며, 감속기(151a)를 통해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벨트부재(152)는 이송유닛(120)의 상측에 설치되는데, 일례로 가이드부(110)에 고정대(154)를 사용하여 고정되는 고정판(155)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한 쌍의 제 1 스프로킷(152a,152b)에 양측이 결합되는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 1 스프로킷(152a,152b) 중 어느 하나의 제 1 스프로킷(152a)과 감속기(151a)의 회전축(미도시)에 각각 마련되는 제 2 스프로킷(151b,151c)에 연결된 체인(151d)을 통해서 구동모터(15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무한 궤도 운동을 하게 된다. 한편, 벨트부재(152)는 체인 형태뿐만 아니라 풀리 등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는 일반적인 벨트나 타이밍 벨트 등이 사용될 수도 있다.
지지유닛(153)은 전후로 설치되는 벨트부재(152)에 고정됨으로써 벨트부재(152)의 무한 궤도 운동에 의해 왕복 운동을 하게 되며, 이로 인해 이송아암(142)을 전후로 왕복 운동시키게 되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처럼 수직되게 설치되는 벨트부재(152), 즉 궤적이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벨트부재(152)에 고정됨과 아울러 이러한 궤적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53b)를 가지는 고정편(153a)과, 돌출부(153b)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편(153c)과, 힌지편(153c)과 이송아암(142)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153d)를 포함할 수 있다.
힌지편(153c)은 일측이 고정편(153a)에 힌지 결합됨과 아울러 타측이 링크부재(153d)에 힌지 결합됨으로써 벨트부재(152)의 무한 궤도 운동에 따라 고정편(153a)과 함께 이동하되, 링크부재(153d)가 연결된 측이 항상 하측에 위치하도록 하여 이송아암(142)의 안정적인 왕복 운동을 가능하도록 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편(153a)과의 힌지 결합 위치(h)가 벨트부재(152)의 상하 간격(H)의 중심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는 링크부재(153d)의 높이가 일정하도록 함으로써 이송아암(142)이 가능한 동일한 경로를 따라 전후로 이동하도록 한다.
링크부재(153d)는 이송아암(142)을 힌지편(153c)에 안정되게 지지되도록 하기 위하여 다수, 예컨대 2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고정편(153a)의 위치가 벨트부재(152)의 무한 궤도 운동에 의해 상하로 전환 시 이송아암(142)과 힌지편(153c)간의 부드러운 연결을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다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때, 각 단들은 서로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의 작동을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제거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B)을 제거하기 위하여 구동모터(151)를 동작시키면, 구동모터(151)의 회전력이 감속기(151a) 및 체인(151d)을 통해서 벨트부재(152)로 전달되어 벨트부재(152)가 무한 궤도 운동을 하게 된다.
벨트부재(152)가 무한 궤도 운동을 하게 되면, 벨트부재(152)에 고정된 지지유닛(153)이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게 됨으로써 이송아암(142)도 함께 전진과 후진을 반복하도록 하는데, 먼저, 이송아암(142)이 전진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아암(142)이 전진하면서 회전부재(141)를 전방으로 회전시킨 상태로 이송유닛(120)을 전진시키고, 이로 인해 블레이드(130)가 수면에 위치하는 부유물(B)을 이동시키기 위한 높이에 위치한 상태에서 가이드부(110)에 의해 가이드된 이송유닛(120)과 함께 전진하면서 수면에 위치하는 부유물(B)을 수집공간(200)으로 이동시켜서 제거되도록 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유닛(153)이 벨트부재(152)에 의해 후진하게 되면, 이송아암(142)도 함께 후진하면서 회전부재(141)를 후방으로 회전시켜서 블레이드(130)를 수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상승시켜서 후진시키며, 이로 인해 부유물(B)이 수집공간(200)으로부터 멀어지지 않고서 반복되는 이송아암(142)의 전진 및 후진에 의해 부유물(B)이 일방향, 예컨대 수집공간(200)으로만 이동하도록 한다.
한편, 지지유닛(153)의 고정편(153a)이 벨트부재(152)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위치하게 되더라도 고정편(153a)과의 힌지 결합 위치(h)가 벨트부재(152)의 상하 간격(H)의 중심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링크부재(153d)의 높이가 일정하도록 하여 이송아암(142)의 높이 변화를 제한하여 이송아암(142)의 전후진 시 회전부재(141)의 회전 각도를 한정하도록 하며, 이로 인해 브레이드(130)의 높이 전환이 가능한 일정한 범위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이송아암(142)이 회전부재(141)를 회전시킴으로써 발생되는 미비한 높이 변화는 링크부재(153a)의 기울기 변화에 의해 허용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물을 제거할 뿐만 아니라, 수중에 설치되어 수면 아래에 침전되는 침전물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하수, 오수, 폐수, 그 밖의 다양한 유체에 부유하는 부유물 또는 이러한 유체에 침전되는 침전물을 지속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처리수 등의 수질을 향상시키도록 하고, 부유물 및 침전물의 제거 동작에 안정성과 신뢰성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이 당업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변형 실시될 가능성이 자명하며, 이러한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기술사상에 포함된다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부유물 제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의 지지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가이드부 111 : 연결부
112 : 장착부 120 : 이송유닛
121 : 프레임 121a : 롤러
122 : 이송축 130 : 블레이드
131 : 힌지축 140 : 승강유닛
141 : 회전부재 141a : 회전결합부
141b : 아암연결부 141c : 블레이드연결부
142 : 이송아암 143 : 연결축
144 : 탄성부재 145 : 연결부재
146 : 높이조절나사 150 : 구동부
151 : 구동모터 151a : 감속기
151b,151c : 제 2 스프로킷 151d : 체인
152 : 벨트부재 152a,152b : 제 1 스프로킷
153 : 지지유닛 153a : 고정편
153b : 돌출부 153c : 힌지편
153d : 링크부재 154 : 고정대
155 : 고정판 200 : 수집공간

Claims (11)

  1. 유체에 부유하는 부유물 또는 침전되는 침전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있어서,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이동시키는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가이드되는 이송유닛과,
    상기 이송유닛과 함께 이동함으로써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이동시키는 블레이드와,
    상기 이송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블레이드를 지지하며, 전진과 후진 시 상기 블레이드가 부유물 또는 침전물을 이동시키기 위한 위치와 부유물 또는 침전물로부터 이격되는 위치로 높이를 전환하도록 하는 승강유닛과,
    상기 승강유닛을 전후로 왕복 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에 양측이 가이드되는 한 쌍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사이에 이동 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결합되며, 상기 승강유닛이 설치되는 이송축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이송축에 전후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블레이드가 하부에 결합되는 회전부재와,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구동부에 의해 전.후진 시 상기 회전부재를 전후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블레이드를 승강시키는 이송아암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무한 궤도 운동을 하도록 전후로 설치되는 벨트부재와,
    상기 벨트부재의 일측에 고정되며, 상기 이송아암을 지지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유닛은,
    궤적이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상기 벨트부재에 고정되며, 상기 궤적의 내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가지는 고정편과,
    상기 돌출부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편과,
    상기 힌지편과 상기 이송아암에 양단이 힌지 결합되는 링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편은,
    상기 고정편과의 힌지 결합 위치가 상기 벨트부재의 상하 간격의 중심에 위치하는,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부재에 힌지 결합되는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블레이드가 전방으로 복원력을 가지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를 더 포함하는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아암의 하측에 위치하는 연결부재와,
    상기 연결부재에 수직되게 나사 결합되어 상기 이송아암의 하부를 지지하는 높이조절나사
    를 더 포함하는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상기 이송축이 상기 프레임 사이에 나란하게 다수로 설치되며, 상기 이송축마다 상기 회전부재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가 연결되며,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회전부재 각각이 상기 이송아암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
  8. 제 1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이송축에 다수로 결합되는 상기 회전부재의 상부를 연결하며, 상기 이송아암에 힌지 결합되는 연결축
    을 더 포함하는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90064316A 2009-07-15 2009-07-15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 KR101130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316A KR101130342B1 (ko) 2009-07-15 2009-07-15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64316A KR101130342B1 (ko) 2009-07-15 2009-07-15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775A KR20110006775A (ko) 2011-01-21
KR101130342B1 true KR101130342B1 (ko) 2012-03-27

Family

ID=436134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64316A KR101130342B1 (ko) 2009-07-15 2009-07-15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303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172B1 (ko) * 2013-12-26 2014-05-02 (주)미시간기술 초기우수, 토양세척수,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를 포함하는 처리대상수에 대한 수처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5324B1 (ko) * 2013-09-03 2014-01-15 주식회사 거록 부유슬러지 제거장치
KR101659599B1 (ko) * 2015-01-12 2016-09-23 (주)미시간기술 하수처리장의 부상 슬러지 제거장치
KR101696079B1 (ko) * 2015-07-06 2017-01-13 주식회사 포스코 오물제거장비
KR101679641B1 (ko) * 2016-08-04 2016-12-02 에코이앤오주식회사 왕복식 스컴 포집형 수처리용 침전지
KR101679640B1 (ko) * 2016-08-04 2016-12-02 에코이앤오주식회사 왕복식 슬러지 이송형 수처리용 침전지
KR102292010B1 (ko) * 2021-02-03 2021-08-23 박길태 이동형 스컴 제거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6351A (ja) 1996-12-02 1998-06-16 Sumitomo Heavy Ind Ltd 走行式スカム掻寄機
KR200157552Y1 (ko) * 1997-10-20 1999-10-01 강준 스컴 및 이끼제거수단이 구비된 슬러지 제거장치
KR200331708Y1 (ko) * 2003-08-18 2003-11-01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가압부상조의 왕복동 부유물 제거장치
KR100787628B1 (ko) * 2007-08-28 2007-12-21 (주)덕성산업기계 스크레퍼형 스컴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6351A (ja) 1996-12-02 1998-06-16 Sumitomo Heavy Ind Ltd 走行式スカム掻寄機
KR200157552Y1 (ko) * 1997-10-20 1999-10-01 강준 스컴 및 이끼제거수단이 구비된 슬러지 제거장치
KR200331708Y1 (ko) * 2003-08-18 2003-11-01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가압부상조의 왕복동 부유물 제거장치
KR100787628B1 (ko) * 2007-08-28 2007-12-21 (주)덕성산업기계 스크레퍼형 스컴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172B1 (ko) * 2013-12-26 2014-05-02 (주)미시간기술 초기우수, 토양세척수,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를 포함하는 처리대상수에 대한 수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06775A (ko) 2011-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0342B1 (ko) 부유물 및 침전물 제거 장치
KR101057723B1 (ko) 콤비네이션 트래블링 워터 스크린장치
KR100787628B1 (ko) 스크레퍼형 스컴 제거장치
US7722762B2 (en) Horizontally traveling water screen
KR200472427Y1 (ko) 로터리 제진기
MX2012002314A (es) Aparato de placa delgada para remover desechos del agua.
KR20200053077A (ko) 하천의 부유물 수거장치
KR100709332B1 (ko) 오폐수처리시설용 스크린장치
KR101345324B1 (ko) 부유슬러지 제거장치
KR100406506B1 (ko) 하천의 부유물 제거를 위한 무동력 자동 스크린 시스템
KR101281001B1 (ko) 하수처리용 스크린 장치
KR101828335B1 (ko) 원형 침전지의 연속 스컴 제거장치
CN109220955A (zh) 一种生态养殖系统
JP2017515673A (ja) ベルト濾過システムを有する流体処理システム用支持構造
JP4496880B2 (ja) スカム掻寄装置
KR100746924B1 (ko) 협잡물 제거용 로타리 자동스크린
KR101025328B1 (ko) 원통형 슬러지 수집장치
CN102198342B (zh) 出水槽清洗刷
KR101391172B1 (ko) 초기우수, 토양세척수, 합류식 하수도 월류수를 포함하는 처리대상수에 대한 수처리장치
KR20120000823A (ko) 협잡물 분리장치
KR101920735B1 (ko) 조목 스크린용 레이크 클리너
JP4516468B2 (ja) フロキュレータ
KR20210122062A (ko) 제진기
KR102053687B1 (ko)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
CN106110755A (zh) 一种通沟污泥一体化处理站工艺水的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8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