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3687B1 -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 - Google Patents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3687B1
KR102053687B1 KR1020180041487A KR20180041487A KR102053687B1 KR 102053687 B1 KR102053687 B1 KR 102053687B1 KR 1020180041487 A KR1020180041487 A KR 1020180041487A KR 20180041487 A KR20180041487 A KR 20180041487A KR 102053687 B1 KR102053687 B1 KR 102053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valve body
guide
suction hole
flo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14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18308A (ko
Inventor
국중창
오권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레넥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레넥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레넥스
Priority to KR10201800414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3687B1/ko
Publication of KR20190118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18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3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3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1/00Separation of suspended solid particles from liquids by sedimentation
    • B01D21/24Feed or discharge mechanisms for settling tanks
    • B01D21/2444Discharge mechanisms for the classified liqui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eparation Of Suspended Particles By Flocculating Ag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펌프를 이용하여 강제로 처리수를 방류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처리수를 신속하게 방류할 수 있게 한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강제 방류를 통해 신속하게 방류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더 많은 오폐수 등을 처리할 수 있어 오페수처리시설 등의 크기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처리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중력과 무게 추를 이용하여 방류할 때 처리수의 흐름 차단과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펌프 가동으로 쉽게 처리수를 강제로 방류하고 펌프 가동을 멈춤에 따라 쉽게 처리수 흐름을 차단할 수 있게 한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FLOATING DECANTER FOR WASTEWATER TREATMENT SYSTEM}
본 발명은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력으로 밸브 부재가 아래로 움직이면서 밸브 보디의 흡입 구멍을 막아 처리수 흐름을 차단하고, 반대로 펌프 구동으로 밸브 부재가 반대 방향으로 움직이면서 흡입 구멍에서 떨어져서 처리수 흐름이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중력과 펌프를 이용하여 강제 배수 방식으로 방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화조와 같은 수조에는 정화한 물로 상등수로 잘 알려진 상징수(上澄水)를 방류할 수 있도록 디캔터(Decanter)를 장착한다. 디캔터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다양한 구조로 정화한 상징수를 수조 밖으로 방류하게 한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244122호
외부로부터 초기우수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하는 유입관과 연결되며 내측에 타공스크린을 설치하여 우수 중 협잡물, 침전물 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도록 하는 전처리조와, 상기 전처리조로부터 유입된 우수와 정체수가 합해져 수위가 상승되면서 재여과된 정체수를 제1배출관을 통해 자연방류될 수 있도록 하는 제1여과조와, 상기 제1여과조에 연결된 제1배출관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하강되는 정체수를 유입하는 제2여과조와, 상기 제2여과조의 내측에 구비되며 제1여과조에서 유입되는 세척수의 유량에 따라 부유되어 3차 여과된 세척수를 제2배출관을 통해 자연방류할 수 있도록 하는 디캔터를 포함하며; 역세하여 제1여과층을 세척한 세척수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여과 및 흡착하여 수위에 따라 부유하는 디캔터를 통해 자연방류할 수 있도록 하는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을 제공한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694103호
상하향식 상등수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모터에 연결된 감속기로부터 동력을 공급받아 상하로 움직이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 연결되어 샤프트와 함께 상하로 움직이고, 하측으로 내려갈 때 하폐수 처리조의 상등수가 내부공간에 유입되며, 유입된 상등수가 배출되는 배출홀이 바닥면에 형성된 웨어(Weir)와; 상기 웨어의 바닥면에 상기 배출홀과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등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안내관과; 상기 안내관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안내관 내부로 유입된 상등수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등수를 배출하는 구조가 단순하기 때문에 제작설치와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 제1791066호
반응조에 설치되어 상등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디캔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응조 내에 설치되는 가이드 바;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 바에 결합되고,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유입구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상등수를 유입시키고, 유입된 상등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구를 갖는 디캔터 플루트; 및 상기 유출구에 결합되어 상등수를 상기 디캔터 플루트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유입구 및 유출구는 상기 디캔터 플루트의 하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출관은 적어도 일부가 플렉서블 재료를 포함하는, 디캔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반응조에 설치되어 상등수를 배출시키기 위한 디캔터 장치, 센서부, 및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캔터 장치는, 상기 반응조 내에 설치되는 가이드 바;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상기 가이드 바에 결합되고,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유입구를 통해 내부 공간으로 상등수를 유입시키고, 유입된 상등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유출구를 갖는 디캔터 플루트; 및 상기 유출구에 결합되어 상등수를 상기 디캔터 플루트 외부로 배출시키는 유출관;을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는, 상기 반응조에 설치되어 원수의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센서; 상기 반응조에 저장된 원수의 수질을 검출하는 수질센서; 및 상기 유출관에 장착되어 상기 유출관을 따라 배출되는 상등수의 유속을 검출하는 유속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서부에 의해 수집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체크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지능형 원격 제어 디캔터 장치를 제공한다.
하지만, 기존 디캔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1) 정화한 물 등을 자연방류 형태로 수조에서 외부로 방류한다.
(2) 이처럼 자연방류 방식으로 방류하므로, 하루에 방류하는 방류량에 한계가 있다.
(3) 즉, 자연방류는 오폐수처리시설 등에서 오폐수를 처리하여 오폐수처리시설 밖으로 방류할 때 오폐수를 처리한 처리수가 자연스럽게 흐르면서 방류가 이루어지므로 그만큼 방류 속도가 늦어 방류량에 한계가 있다.
(4) 이처럼 자연방류 속도가 느리면, 그만큼 오폐수 등을 처리할 수 있는 속도도 늦어져서 처리 효율이 떨어진다.
(5) 이는 충분한 양의 오폐수를 처리하려면 오폐수 등을 처리하는 시설의 크기가 커져야 한다. 또한, 처리 시설이 커짐에 따라 시공해야 할 면적이 커질 뿐만 아니라 초기 시공 비용과 유지 비용이 많아지게 된다.
(6) 자연방류하는 속도가 느려 그만큼 처리수가 처리시설에 오랫동안 머물러야 하므로, 처리수가 다시 오폐수 등에 오염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244122호 (등록일 : 2013.03.08) 한국등록특허 제1694103호 (등록일 : 2017.01.02) 한국등록특허 제1791066호 (등록일 : 2017.10.23)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펌프를 이용하여 강제로 처리수를 방류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처리수를 신속하게 방류할 수 있게 한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강제 방류를 통해 신속하게 방류할 수 있으므로, 그만큼 더 많은 오폐수 등을 처리할 수 있어 오페수처리시설 등의 크기를 늘리지 않으면서도 처리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한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중력과 무게 추를 이용하여 방류할 때 처리수의 흐름 차단과 공급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펌프 가동으로 쉽게 처리수를 강제로 방류하고 펌프 가동을 멈춤에 따라 쉽게 처리수 흐름을 차단할 수 있게 한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는, 수조(T)에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100); 수조(T)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기 가이드(100) 안내를 받아 수조(T) 안에서 위아래로 움직이는 플로우트(200); 상기 플로우트(200)에 일부가 수조(T)의 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설치하며, 내부에는 수면에 잠긴 바닥에 관통 성형한 흡입 구멍(310)과 내부의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출 구멍(320)을 관통 성형한 밸브 보디(300); 상기 밸브 보디(300) 안에서 이 밸브 보디(300)에 장착한 내부 가이드(311)의 안내를 받아 움직이는 밸브 부재(400); 상기 밸브 보디(300) 밖으로 돌출한 밸브 부재(400) 부분에 장착하여 중력을 받아 상기 밸브 부재(400)가 상기 흡입 구멍(310)을 막아주게 하는 무게 추(500); 및 상기 플로우트(200)에 흡입 부분이 상기 배출 구멍(320)에 연결하여 상기 밸브 보디(300) 내부에 있는 물을 흡입하여 수조(T) 밖으로 배출함에 따라 상기 흡입 구멍(310)에서 밸브 부재(400)를 개방하여 처리수 흐름이 이루어지게 하는 펌프(6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가이드(100)는, 2~8개를 같은 간격으로 나란하게 설치하거나 미리 정한 간격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흡입 구멍(310)은, 원, 사각형, 타원, 폐곡선,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관통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 부재(400)는, 상기 밸브 보디(300)의 바닥면에 밀착하여 흡입 구멍(310)을 막아주고, 상기 흡입 구멍(310)의 가장자리와 접하는 부분에 돌기를 돌출 성형하여 흡입 구멍(310) 안으로 끼워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게 추(500)에는, 상기 흡입 구멍(310)보다 넓은 크기로 이루어진 이물차단 판(510)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 부재(400)에는, 상기 내부 가이드(311)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안내를 받게 하며, 상기 배출 구멍(320)과 마주하는 면으로 한쪽이 돌출하도록 스토퍼(410)를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100)는, 한쪽을 수조(T)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다른 한쪽을 플로우트(200) 또는 밸브 보디(30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회전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가이드(100)는,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펌프를 이용하여 강제로 처리수를 수조 밖으로 방류하므로, 방류량을 늘릴 수 있다.
(2) 방류량이 많아짐에 따라 같은 크기의 수조에서 처리할 수 있는 처리수량을 늘릴 수 있다.
(3) 이에, 처리시설의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처리시설을 시공하는 데 드는 초기 시설비용을 줄이면서도 충분한 방류량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시공 후에는 시설 크기가 작아 유지보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4) 한편, 펌프를 구동하지 않을 때는 무게 추를 이용하여 밸브 부재가 처리수의 흡입 구멍을 막아 처리수 흐름을 차단하게 하므로, 처리수의 흐름 차단을 위해 별도의 밸브를 갖추지 않고서도 쉽게 처리수 흐름을 차단하거나 공급할 수 있다.
(5) 또한, 무게 추에는 이물차단 판을 갖춤으로, 펌프가 구동할 때 슬러지와 같은 이물이 밸브 보디 안으로 유입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밸브 부재가 동작하지 않거나 잘못 동작하는 것을 미리 막아 안전하면서도 청소 시기를 늘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6) 처리수를 배출함에 따라 수위가 낮아질 때 플로우트를 지지하는 가이드를 바(Bar)나 회전하는 암 또는 와이어 등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수조의 모양이나 형태, 그리고 디캔터의 전체 중량 등을 고려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다.
(7) 밸브 부재에는 배출 구멍과 마주하는 면에 스토퍼를 돌출 형성하므로, 펌프의 구동으로 밸브 보디 안의 처리수가 배출 구멍을 통해 배출되면서 밸브 부재가 배출 구멍 쪽으로 슬라이딩하더라도 이 스토퍼가 밸브 부재와 배출 구멍 사이에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여 밸브 부재가 배출 구멍을 막지 않게 하므로, 밸브 보디 내부의 처리수를 쉽게 배출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캔터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려고 단면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캔터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로, (a)는 두 개의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로 지지하는 플로우트를, (b)는 4개의 가이드로 지지하는 플로우트를 각각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캔터로 처리수를 방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한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캔터로 처리수를 방류하기 전 상태(a)와 방류할 때의 상태(b)를 보여주는 작동 상태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우트가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하는 암 형태의 가이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우트가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하는 4개의 와이어 형태의 가이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플로우트가 수위에 따라 상하로 이동하게 하는 3개의 와이어 형태의 가이드를 보여주는 도면으로, (a)는 평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한가지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는, [도 1] 내지 [도 7]과 같이, 가이드(100), 플로우트(200), 밸브 보디(300), 밸브 부재(400), 무게 추(500), 그리고 펌프(60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펌프(600)는 오폐수를 처리한 처리수를 강제로 방류시켜 줌으로, 많은 양의 처리수를 신속하게 방류하여 처리수 방출 속도를 높일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밸브 부재(400)는 무게 추(500)가 받는 중력을 이용하여 항상 밸브 보디(300) 안에서 처리수가 유동하지 않게 차단하고, 상기 펌프(600) 구동으로 이 밸브 부재(400)가 움직이게 하여 처리수가 밸브 보디(300)를 통해 펌프(600)를 거쳐 방류가 이루어지게 구성하므로, 처리수의 공급/차단에 필요한 밸브 수단의 구성이 간단하면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동하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가이드(100)는 바 형태로 제작하여 플로우트(200)가 처리수의 수위 변화에 따라 움직이게 하거나, 회전 암이나 와이어 형태로 수위 변화에 따라 움직일 수 있게 구성하므로, 다양한 방식으로 플로우트(200)가 수위 변화에 따라 안정적으로 처리수를 방류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T"는 오폐수 처리장치에서 오폐수를 공급받아 처리하는 수조를 나타낸다. 또한, 화살표는 수조에서 처리한 처리수가 펌프(600)를 통해 방류할 수 있게 밸브 보디(300)를 통과하는 흐름을 나타낸다.
<가이드>
가이드(1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수조(T)에 장착하여 후술할 플로우트(200)가 수조(T)에서 처리한 처리수(또는 오폐수)의 수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때 안정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러한 가이드(100)는 바(Bar) 형태로 제작할 수도 있고, [도 5]와 같이 회전 암 형태의 가이드(100')나, [도 6] 및 [도 7]과 같이 와이어 형태의 가이드(100")로 제작할 수도 있다.
즉, [도 5]와 같이, 플로우트(200)의 상하 높이 조절을 위해 사용하는 가이드(100')는 양단을 각각 수조(T)와 플로우트(200) 사이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수조(T)의 수위 변화에 따라 이 가이드(100')가 소정의 호 형태로 움직이면서 플로우트(200)가 변하는 수위에 따라 안정적으로 승하강할 수 있게 안내한다. 이때, 플로우트(200)에 장착하는 가이드(100')의 한쪽은 후술할 밸브 보디(300)에 장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5]에서 미설명 부호 "210"은 플로우트(200)에 장착하여 플로우트(200)가 아래로 하강할 때 수조(T) 바닥에 닿게 하여 플로우트(200)가 더는 내려가지 않도록 최저 수위를 제한하는 스토퍼를 나타낸다.
또한, [도 6] 및 [도 7]과 같이, 플로우트(200)의 상하 높이 조절을 위해 사용하는 가이드(100")는 와이어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와이어로 이루어진 가이드(100")는 미리 정한 길이로 제작하므로, 플로우트(200)에 별도의 스토퍼를 장착하지 않더라도 수위 변화에 따라 와이어 길이만큼 플로우트(200)가 하강하면서 최저 수위를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 타입의 가이드(100")는, [도 6]에서 예시적으로 4개의 와이어를 같은 간격으로 배치한 예를 보여주고, [도 7]에서 예시적 3개의 와이어를 이웃한 두 개의 간격을 같거나 다른 간격으로 배치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가이드(100, 100', 100")는 후술할 플로우트(200)와 다른 구성을 포함한 전체 중량이 순조롭게 수위 변화에 따라 움직일 수 있게 안내할 수 있다면 여러 개를 설치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2~8개를 이웃한 두 개의 가이드가 같은 간격이나 다른 간격 등 미리 정한 간격으로 배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 미설명부호 "110"은 바 형식의 상기 가이드(100)를 따라 슬라이당하는 플로우트(200)가 아래로 내려갈 수 있는 최저 높이를 제어하는 스토퍼를 나타낸다.
< 플로우트 >
플로우트(2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수조(T) 안에서 떠 있을 수 있는 재질로 제작한다. 이때, 플로우트(200)는 다른 구성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수조(T) 안에 떠서 수위 변화에 따라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크기와 넓이로 제작한다.
이러한 플로우트(200)는, 다양한 형상과 모양으로 제작할 수 있으나, 수면 위에서 수위 변화에 따라 수면과 함께 위아래로 움직여야 하므로, 이처럼 위아래로의 움직임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1] 및 [도 2]와 같이 원판 형태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플로우트(20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가이드(100) 안내를 받아 수면의 높낮이에 알맞게 상하로 움직인다. 도면에서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 가이드(100)에 끼워진 플로우트(200)가 상하로 슬라이딩 안내를 받는 예를 보여준다. 이때, 가이드(100)는 중력 방향과 나란하게 설치한 예를 보여준다.
<밸브 보디>
밸브 보디(300)는, [도 1]·[도 3] 및 [도 4]와 같이, 상술한 플로우트(200)에 장착하는 데, 특히 수조(T)에 채운 수면에 일부가 잠기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이처럼 잠김 밸브 보디(300)에는 수조(T)에서 처리한 처리수가 밸브 보디(300) 안으로 들어올 수 있도록 흡입 구멍(310)과 밸브 보디(300) 안으로 들어온 처리수가 후술할 펌프(600) 구동을 통해 밸브 보디(300) 밖으로 방류할 수 있도록 배출 구멍(320)을 관통 성형한다.
이때, 상기 흡입 구멍(310)은, [도 1]·[도 3] 및 [도 4]와 같이, 밸브 보디(300)의 바닥 면에 수면과 나란하게 위치하도록 관통 성형함으로써, 후술할 밸브 부재(400)가 밸브 보디(300) 안에 채워진 처리수에 부유하여 상하로 움직이면서 이 흡입 구멍(310)을 막거나 개방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흡입 구멍(310)은 다양한 형태로 관통 성형할 수 있으나, 예시적으로, 원, 사각형, 타원, 폐곡선이나 다각형 형상 등으로 관통 성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 구멍(320)은, [도 1]·[도 3] 및 [도 4]와 같이, 상술한 흡입 구멍(310)과 마주하는 면에 형성함으로써, 흡입 구멍(310)으로 들어온 처리수가 이 배출 구멍(320)을 통해 밸브 보디(300) 밖으로 쉽게 빠져나갈 수 있게 안내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밸브 보디(300)에는, [도 1]·[도 3] 및 [도 4]와 같이, 내부에 내부 가이드(311)를 구성한다. 내부 가이드(311)는 밸브 보디(300) 안에 장착하는 후술할 밸브 부재(400)를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이다. 이때, 상기 밸브 부재(400)는 내부 가이드(311)의 안내를 받아 상하로 움직이면서 흡입 구멍(310)을 막거나 개방하여 밸브 기능을 해야 하므로, 이 밸브 부재(400)가 중력을 받아 상하로 쉽게 움직일 수 있도록 내부 가이드(311)도 중력 방향과 나란하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서, 내부 가이드(311)는 두 개를 중력 방향과 나란하게 설치한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중력 방향이 아니더라도 밸브 부재(400)가 중력 방향으로 안내를 받아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구성이라면 어떠한 구성도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한 기술 분야의 종사자라면 누구든지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밸브 부재>
밸브 부재(400)는, [도 1]·[도 3] 및 [도 4]와 같이, 상술한 밸브 보디(300) 내부에 장착한다. 이때, 밸브 부재(400)는 밸브 보디(300)에 형성한 내부 가이드(311)의 안내를 받아 움직이고, 특히 밸브 부재(400)의 자중으로 이 밸브 보디(300)에 형성한 흡입 구멍(310) 위로 겹쳐져서 처리수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게 구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밸브 부재(400)는 상술한 흡입 구멍(310)과 마주하는 면에, 이 흡입 구멍(310)에 끼워지는 돌기를 돌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밸브 부재(400)가 흡입 구멍(310)을 형성한 밸브 보디(300)에 밀착할 때, 이 돌기 부분이 흡입 구멍(310)에 끼워지면서 차단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흡입 구멍(310)은 원 형상으로 관통 성형하고, 상기 돌기는 구 형상으로 돌출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잦은 밸브 작동으로 흡입 구멍(310)이 약간 변형되거나 넓어지거나, 흡입 구멍(310)을 관통 성형할 때 약간의 오차가 있더라도 이 돌기가 조금 더 깊게 밀착함에 따라 흡입 구멍(310)을 통해 처리수가 새는 것을 막을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밸브 부재(400)에는, [도 4]와 같이, 상술한 배출 구멍(320)과 마주하는 면에 스토퍼(410)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스토퍼(410)는 상술한 내부 가이드(311)에 끼워져서 슬라이딩할 할 수 있게 장착하고, 특히 배출 구멍(320)을 향하는 면에 소정의 길이만큼 돌출하게 구성한다. 이처럼 구성한 스토퍼(410)는 펌프(600)가 구동함에 따라 밸브 부재(400)가 내부 가이드(311)를 따라 배출 구멍(320) 쪽으로 슬라이딩할 때, 이 밸브 부재(400)가 배출 구멍(320)과 소정의 간격을 유지하게 함으로써, 밸브 부재(400)가 배출 구멍(320)을 막지 않게 하여 흡입 구멍(310)으로 들어온 처리수가 배출 구멍(320)을 통해 쉽게 방류할 수 있게 한다.
<무게 추>
무게 추(500)는, [도 1]·[도 3] 및 [도 4]와 같이, 상술한 밸브 부재(400)에 장착한다. 이때, 밸브 부재(400)는 상술한 흡입 구멍(310)을 통해 일부가 밸브 보디(300) 밖으로 돌출하게 하고, 이 돌출 부분에 무게 추(500)를 장착한다.
특히, 이처럼 밸브 보디(300) 밖으로 돌출하는 밸브 부재(400) 부분은 상기 흡입 구멍(310)을 통해 중력 방향으로 돌출하게 구성하므로, 이 돌출 부분에 무게 추(500)를 장착함에 따라 밸브 부재(400)가 무게 추(500)의 하중으로 흡입 구멍(310)을 긴밀하게 밀착시켜 주게 한다.
또한, 상기 무게 추(500)에는, [도 1]·[도 3] 및 [도 4]와 같이, 이물차단 판(510)을 장착한다. 이물차단 판(510)은 흡입 구멍(310)을 통해 처리수를 밸브 보디(300) 안으로 흡입할 때, 처리수에 함유될 수 있는 슬러지와 같은 이물이 이 이물차단 판(510)을 통해 걸러지게 막아주는 판을 말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이물차단 판(510)은, [도 4]와 같이, 상술한 흡입 구멍(310)보다 넓은 크기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후술할 펌프(600) 구동으로 처리수가 흡입 구멍(310)을 통해 밸브 보디(300) 안으로 들어오게 되므로, 이물차단 판(510)을 흡입 구멍(310)보다 넓게 구성해야 흡입 구멍(310) 안으로 들어오는 처리수에 함유한 이물을 걸러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이물차단 판(510)은, [도 4(b)]와 같이, 펌프(600) 구동으로 밸브 부재(400)가 내부 가이드(311)를 따라 위로 올라갔을 때, 밸브 보디(300) 바닥과 밸브 부재(400) 사이의 간격이 너무 넓지 않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펌프(600) 구동으로 처리수가 밸브 보디(300) 바닥과 밸브 부재(400) 사이를 통해 밸브 보디(300) 안으로 들어가므로, 밸브 보디(300) 안으로 들어가는 처리수에 함유한 이물 등이 처리수와 함께 밸브 보디(300)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펌프>
펌프(600)는, [도 1]·[도 3] 및 [도 4]와 같이, 상술한 플로우트(200)에 장착한다. 이때, 펌프(600)는 흡입구가 상술한 밸브 보디(300)의 배출 구멍(320)에 맞춰 끼워서 밸브 보디(300) 내부의 처리수를 흡입할 수 있게 장착한다.
이때, [도 4(a)]와 같이 펌프(600)가 구동하지 않을 때는 밸브 부재(400)가 무게 추(500)의 중량을 받아 흡입 구멍(310)을 막아 처리수 흐름을 차단하게 되나, [도 4(b)]와 같이 펌프(600)가 구동하면 밸브 보디(300) 내부의 처리수를 수조(T) 밖으로 방류함에 따라 무게 추(500)를 장착한 밸브 부재(400)를 위로 들어올리면서 수조(T) 내의 처리수가 밸브 보디(300)를 거쳐 수조(T) 밖으로 방류할 수 있을 정도의 용량을 가진 펌프를 사용한다.
이처럼 이루어진 본 발명은 펌프 구동으로 중력을 받아 흡입 구멍을 막고 있는 밸브 부재를 들어올려 수조 안의 처리수를 강제로 방류하므로, 방류량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방류할 수 있어 처리 용량을 늘릴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같은 규모의 디캔터로 방류량을 늘릴 수 있으므로, 기존 수조보다 더 큰 수조에 장착하더라도 처리수를 처리할 수 있고, 또한 이처럼 처리 용량이 커지므로 같은 규모의 처리시설과 비교하여 처리시설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100, 100", 100" : 가이드 200 : 플로우트
300 : 밸브 보디 310 : 흡입 구멍
311 : 내부 가이드 320 : 배출 구멍
400 : 밸브 부재 500 : 무게 추
510 : 이물차단 판 T : 수조

Claims (8)

  1. 수조(T)에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100);
    수조(T)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기 가이드(100) 안내를 받아 수조(T) 안에서 위아래로 움직이는 플로우트(200);
    상기 플로우트(200)에 일부가 수조(T)의 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설치하며, 내부에는 수면에 잠긴 바닥에 관통 성형한 흡입 구멍(310)과 내부의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출 구멍(320)을 관통 성형한 밸브 보디(300);
    상기 밸브 보디(300) 안에서 이 밸브 보디(300)에 장착한 내부 가이드(311)의 안내를 받아 움직이는 밸브 부재(400);
    상기 밸브 보디(300) 밖으로 돌출한 밸브 부재(400) 부분에 장착하여 중력을 받아 상기 밸브 부재(400)가 상기 흡입 구멍(310)을 막아주게 하는 무게 추(500); 및
    상기 플로우트(200)에 흡입 부분이 상기 배출 구멍(320)에 연결하여 상기 밸브 보디(300) 내부에 있는 물을 흡입하여 수조(T) 밖으로 배출함에 따라 상기 흡입 구멍(310)에서 밸브 부재(400)를 개방하여 처리수 흐름이 이루어지게 하는 펌프(600);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100)는,
    한쪽을 수조(T)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다른 한쪽을 플로우트(200) 또는 밸브 보디(30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회전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
  2. 제1항에서,
    상기 가이드(100)는,
    2~8개를 같은 간격으로 나란하게 설치하거나 미리 정한 간격으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
  3. 제1항에서,
    상기 흡입 구멍(310)은,
    원, 사각형, 타원, 폐곡선, 또는 다각형 형상으로 관통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
  4. 제1항에서,
    상기 밸브 부재(400)는,
    상기 밸브 보디(300)의 바닥면에 밀착하여 흡입 구멍(310)을 막아주고,
    상기 흡입 구멍(310)의 가장자리와 접하는 부분에 돌기를 돌출 성형하여 흡입 구멍(310) 안으로 끼워지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
  5. 제1항에서,
    상기 무게 추(500)에는,
    상기 흡입 구멍(310)보다 넓은 크기로 이루어진 이물차단 판(510)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
  6. 수조(T)에 설치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100);
    수조(T)의 수위 변화에 따라 상기 가이드(100) 안내를 받아 수조(T) 안에서 위아래로 움직이는 플로우트(200);
    상기 플로우트(200)에 일부가 수조(T)의 수면 아래에 잠기도록 설치하며, 내부에는 수면에 잠긴 바닥에 관통 성형한 흡입 구멍(310)과 내부의 처리수를 배출하는 배출 구멍(320)을 관통 성형한 밸브 보디(300);
    상기 밸브 보디(300) 안에서 이 밸브 보디(300)에 장착한 내부 가이드(311)의 안내를 받아 움직이는 밸브 부재(400);
    상기 밸브 보디(300) 밖으로 돌출한 밸브 부재(400) 부분에 장착하여 중력을 받아 상기 밸브 부재(400)가 상기 흡입 구멍(310)을 막아주게 하는 무게 추(500); 및
    상기 플로우트(200)에 흡입 부분이 상기 배출 구멍(320)에 연결하여 상기 밸브 보디(300) 내부에 있는 물을 흡입하여 수조(T) 밖으로 배출함에 따라 상기 흡입 구멍(310)에서 밸브 부재(400)를 개방하여 처리수 흐름이 이루어지게 하는 펌프(600);를 포함하고,
    상기 밸브 부재(400)에는,
    상기 내부 가이드(311)에 끼워져서 슬라이딩 안내를 받게 하며, 상기 배출 구멍(320)과 마주하는 면으로 한쪽이 돌출하도록 스토퍼(410)를 돌출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
  7. 제6항에서,
    상기 가이드(100)는,
    한쪽을 수조(T)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하고 다른 한쪽을 플로우트(200) 또는 밸브 보디(300)에 회전할 수 있게 장착한 회전 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
  8.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가이드(100)는,
    와이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
KR1020180041487A 2018-04-10 2018-04-10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 KR102053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487A KR102053687B1 (ko) 2018-04-10 2018-04-10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1487A KR102053687B1 (ko) 2018-04-10 2018-04-10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308A KR20190118308A (ko) 2019-10-18
KR102053687B1 true KR102053687B1 (ko) 2019-12-09

Family

ID=68462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1487A KR102053687B1 (ko) 2018-04-10 2018-04-10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368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41415B1 (ko) * 2020-12-30 2021-12-21 (주)상원이엔씨 표면 포기장치를 포함하는 생물학적 수처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379B1 (ko) * 2005-04-12 2005-12-09 주식회사 조은환경 디켄터 및 이를 사용한 다단계 회분식 처리시스템
KR101709269B1 (ko) * 2016-09-09 2017-02-22 주식회사 한일이엔지 연속회분식 반응조의 상등수 배출장치
KR101791066B1 (ko) * 2016-12-21 2017-10-27 주식회사 그리너스 디켄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원격 제어 디켄터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4122B1 (ko) 2012-11-29 2013-03-15 (주)이앤씨 부유식 디캔터를 이용한 정체수 배출 및 자동역세가 가능한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1694103B1 (ko) 2016-06-20 2017-01-06 김승제 상하향식 상등수 배출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5379B1 (ko) * 2005-04-12 2005-12-09 주식회사 조은환경 디켄터 및 이를 사용한 다단계 회분식 처리시스템
KR101709269B1 (ko) * 2016-09-09 2017-02-22 주식회사 한일이엔지 연속회분식 반응조의 상등수 배출장치
KR101791066B1 (ko) * 2016-12-21 2017-10-27 주식회사 그리너스 디켄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지능형 원격 제어 디켄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18308A (ko)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55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vertical lift decanter system in a water treatment system
US8398864B2 (en) Screened decanter assembly for a settling tank
EP2929942B1 (en) Apparatus for removal of floatables and scum in a waste water treatment system
KR100714178B1 (ko) 유동형 처리수 배출장치
KR100885928B1 (ko) 원형침전지 스컴 제거장치
KR101694103B1 (ko) 상하향식 상등수 배출장치
KR101386427B1 (ko) 자동 세정형 수처리 필터
KR101729580B1 (ko) 초기 우수 처리장치
KR102053687B1 (ko)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
KR101535083B1 (ko) 개방형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2060459B1 (ko)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
KR102373598B1 (ko) 처리수를 활용한 역세척 기능이 구비되는 여과형 비점오염저감시설
KR100856851B1 (ko) 침전지의 스컴배출장치
KR100457657B1 (ko) 슬러지 농축저류 장치
KR101921447B1 (ko) 수중 펌프 구동식 상등수 배출장치
KR102067998B1 (ko) 부력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수위추적 및 스컴수집이 가능한 스컴수집장치
JP4393807B2 (ja) 濾過ユニット、およびその設置方法、ならびに該濾過ユニットを設置した濾過装置
KR200289913Y1 (ko) 하·폐수 연속유입 및 상징수 이류 처리장치
JP2020007905A (ja) 夾雑物除去スクリーン装置の運転方法
JPS6327832Y2 (ko)
JP6185382B2 (ja) スローダウン洗浄ろ過装置及びそのろ過方法
RU21737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загрязнений с поверхности воды
KR200156938Y1 (ko) 심정 공기 양수관을 이용한 담수호 수질 개선장치
JP2012040564A (ja) 揚砂方法
KR20190118312A (ko) 오폐수 처리장치용 부유식 디캔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