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2427Y1 - 로터리 제진기 - Google Patents

로터리 제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2427Y1
KR200472427Y1 KR2020130010271U KR20130010271U KR200472427Y1 KR 200472427 Y1 KR200472427 Y1 KR 200472427Y1 KR 2020130010271 U KR2020130010271 U KR 2020130010271U KR 20130010271 U KR20130010271 U KR 20130010271U KR 200472427 Y1 KR200472427 Y1 KR 20047242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potential
screen
drive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102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재선
Original Assignee
덕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102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242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42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427Y1/ko
Priority to CN201410742291.1A priority patent/CN104692474A/zh
Priority to US14/564,398 priority patent/US9783945B2/en
Priority to PH12014000374A priority patent/PH12014000374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02F1/004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using large scale industrial sized fil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E02B5/085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e.g.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44Edge filtering elements, i.e. using contiguous impervious surfaces
    • B01D29/445Bar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62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29/6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29/6469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 B01D29/648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 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scrapers with a translatory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filter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56Construction of filtering bands or supporting belts, e.g. devices for centering, mounting or sealing the filtering bands or the supporting be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15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plane filte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333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individual filtering elements moving along a closed path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8/00Details of barrages or weirs ; Energy dissipating devices carried by lock or dry-dock gates
    • E02B8/02Sediment base gates; Sand sluices; Structures for retaining arresting waterborne material
    • E02B8/023Arresting devices for waterborne materials
    • E02B8/026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bined Means For Separation Of Solid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 Separation Of Solids By Using Liquids Or Pneumatic Pow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로터리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펌프장, 상수도취수장, 관계용수로, 하수처리장 및 댐 등의 개수로에 설치되어 협잡물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로터리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로터리 제진기{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본 고안은 로터리 제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배수펌프장, 상수도취수장, 관계용수로, 하수처리장 및 댐 등의 개수로에 설치되어 협잡물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로터리 제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타리 제진기는 배수펌프장, 상수도취수장, 관계용수로, 하수처리장 및 댐 등의 개수로에 설치되어 배수펌프의 운전에 지장을 주는 목재, 비닐, 가정폐기물, 잡초, 등의 협잡물을 연속적으로 걸러내어 제거하는 장치이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92765호에는 이와 같은 로타리 제진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로타리 재진기는 수처리 시설을 이루는 바닥면과의 사이로 유입되는 협잡물을 원활하게 제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2-92765호(2002.12.12.)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배수펌프장, 상수도취수장, 관계용수로, 하수처리장 및 댐 등의 개수로에 설치되어 협잡물의 제거가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로터리 제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대향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전방에 위치되는 다수의 전위스크린유닛을 포함하는 전위스크린;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구동부;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피동부; 상기 구동부와 상기 피동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체인벨트를 포함하는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와 함께 회전되는 다수의 레이크를 포함하는 로터리 제진기로서, 상기 다수의 전위스크린유닛은, 각각 상,하단부를 가지며, 그 상,하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1전위유닛; 및 일단부가 상기 제1전위유닛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벨트부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전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제진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대향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전위스크린유닛을 포함하는 전위스크린;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구동부;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피동부; 상기 구동부와 상기 피동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체인벨트를 포함하는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와 함께 회전되는 다수의 레이크를 포함하는 로터리 제진기로서, 상기 피동부는,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피동축;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피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체인벨트의 하부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스프로켓이 구비되는 복수의 피동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제진기를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다수의 전위스크린유닛은, 각각 상,하단부를 가지며, 그 상,하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1전위유닛; 및 일단부가 상기 제1전위유닛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벨트부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전위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다수의 전위스크린유닛은, 각각 상기 제2전위유닛의 타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전위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상기 피동모듈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면서 서로 인접하는 피동모듈 간의 사이로 직선구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복수의 피동모듈에 의해 직선구간이 형성됨으로써 그 직선구간을 통과하는 레이크가 직선이동되면서 전위스크린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협잡물을 용이하게 끌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 쌍의 체인벨트의 하부가 복수의 피동모듈에 의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구동시, 피동부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에서 전위스크린과 피동부를 나타낸 측면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본 고안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대향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0),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0)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는 스크린(20), 상기 스크린(20)의 하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전위스크린유닛(31)을 포함하는 전위스크린(30),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0)의 상부에 장착되는 구동부(40),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0)의 하부에 장착되는 피동부(50) 및 상기 구동부(40)와 상기 피동부(50)를 연결하는 한 쌍의 체인벨트(61)를 포함하는 벨트부(60) 및 상기 벨트부(60)와 함께 회전되는 다수의 레이크(70)를 포함하는 로터리 제진기(1)로서, 상기 다수의 전위스크린유닛(31)은 각각 상,하단부를 가지며, 상기 스크린(20)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1전위유닛(32) 및 양단부를 가지며 일단부가 상기 제1전위유닛(32)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2전위유닛(33)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로터리 제진기는 배수펌프장, 상수도취수장, 관계용수로, 하수처리장 및 댐 등의 개수로에 설치되어 유수와 함께 부유하는 목재, 비닐, 가정폐기물, 잡초, 등의 협잡물을 제거한다.
상기 스크린(20)은 유수와 함께 떠내려오는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하여 개수로의 바닥면(100)과 일정각으로 경사지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0) 사이에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스크린유닛(21)을 포함한다. 이와 같은 스크린(20)은 이미 공지되어 사용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전위스크린(30)은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위치되며, 별개의 다른 구조물 예를 들면, 개수로의 바닥면(10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전위스크린유닛(31)은 상기 다수의 스크린유닛(21)과 동일한 형태로 배치되며, 개스로의 바닥면(100)과 상기 스크린(20)과의 사이로 협잡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상기 제1전위유닛(32)은 하단부가 개수로의 바닥면(100)에 안착되며, 상단부는 상기 가이드프레임(10)의 후방으로 기울어져 일정 경사를 이룬다.
상기 제2전위유닛(33)은 양단부가 상기 제1전위유닛(32)의 하단부로부터 상기 가이드프레임(10)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하부는 개수로의 바닥면(100)에 안착되고 상부는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피동부(50) 및 상기 벨트부(60)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형태를 이룬다.
상기 제2전위유닛(33)은 상기 피동부(50)를 감싸면서 상기 레이크(70)의 궤적구간과 개수로의 바닥면(100)과의 이격거리를 줄여 상기 레이크(70)에 의한 협잡물의 이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전위스크린유닛(32)은 각각 상기 제2전위유닛(33)의 타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전위유닛(34)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전위유닛(34)은 상기 스크린(20)과 상기 전위스크린(30) 사이로 인입되는 협잡물이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0)의 후방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적체되도록 하는 한편, 상기 레이크(70)의 궤적구간과 개수로의 바닥면(100)과의 이격거리를 줄여 상기 레이크(70)에 의한 협잡물의 이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다수의 전위스크린유닛(31)은 각각 상기 제1,2전위유닛(32,33)이 접하는 상부면 및 상기 제2,3전위유닛(33,34)이 접하는 상부면이 곡면 형태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다수의 전위스크린유닛(31)은 각각 상기 제1,2,3전위유닛(32,33,34)이 일체로 연결되면서 상부가 개구되는 'U'자 형태를 이룬다.
상기 로터리 제진기(1)는 상기 다수의 전위스크린유닛(31)의 각 상부면이 곡면 형태를 이루면서 상기 레이크(70)의 이동에 따라 협잡물의 배출이 유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리 제진기(1)는 상기 다수의 전위스크린유닛(31)이 각각 상기 레이크(70)의 궤적구간을 따라 곡면 형태를 이룸으로써 협잡물의 유입 및 인양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동부(40)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구동축(41),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0)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구동축(41)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체인벨트(61)의 상부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스프로켓(42) 및 상기 구동축(4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43)를 포함한다.
상기 다수의 레이크(70)는 상기 구동부(40)의 구동에 따라 상기 벨트부(60)와 함께 회동되면서 상기 스크린(20)에 걸러지는 협잡물을 인양하여 운반한다.
상기 로터리 제진기(1)는 상기 다수의 레이크(70)에 의해 인양되어 낙하되는 협잡물을 받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컨베이어(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동부(50)는 양단부를 가지며, 그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0)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피동축(52)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10)의 내측에 위치되며 상기 피동축(52)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체인벨트(61)의 하부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스프로켓(53)이 구비되는 복수의 피동모듈(51)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로터리 제진기는 피동부의 하부가 단수로 이루어지는 피동모듈에 의해 결합되면서 구동시 그 피동모듈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빈번히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피동모듈(51)은 상기 가이드프레임(10)의 전,후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면서 서로 인접하는 피동모듈(51) 간의 사이로 상기 다수의 전위스크린유닛(31)과 평행을 이루는 직선구간(A)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피동모듈(51)은 상기 로터리 제진기(1)를 측면에서 바라볼 때, 상기 제2전위유닛(33)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직선구간(A)과 상기 제2전위스크린유닛(33)은 대략 평행을 이루며, 상기 레이크(70)는 상기 직선구간(A)을 직선으로 이동되면서 그 직선구간(A)과 상기 전위스크린(30) 간에 적체되는 협잡물을 끌어낸다.
이로 인해, 로터리 제진기(1)는 상기 복수의 피동모듈(51)에 의해 상기 직선구간(A)이 형성됨으로써 그 직선구간(A)을 통과하는 상기 레이크(70)가 직선이동되면서 상기 전위스크린(33)과의 사이에 위치되는 협잡물을 용이하게 끌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터리 제진기(1)는 상기 한 쌍의 체인벨트(61)의 하부가 상기 복수의 피동모듈(51)에 의해 안정적인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음으로써 구동시, 상기 피동부(50)로부터 상기 벨트부(60)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고안에 따른 로터리 제진기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고안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 : 로터리 제진기 10 : 가이드프레임
20 : 스크린 21 : 스크린유닛
30 : 전위스크린 31 : 전위스크린유닛
40 : 구동부 41 : 구동축
42 : 제1스프로켓 43 : 구동모터
50 : 피동부 51 : 피동모듈
52 : 피동축 53 : 제2스프로켓
60 : 벨트부 70 : 레이크
80 : 컨베이어 A : 직선구간

Claims (5)

  1.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대향되는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의 하부 사이에 구비되는 스크린; 상기 스크린의 하부에 위치되는 다수의 전위스크린유닛을 포함하는 전위스크린;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의 상부에 장착되는 구동부;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피동부; 상기 구동부와 상기 피동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체인벨트를 포함하는 벨트부; 및 상기 벨트부와 함께 회전되는 다수의 레이크를 포함하는 로터리 제진기로서,
    상기 다수의 전위스크린유닛은,
    각각 상,하단부를 가지며, 그 상,하단부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스크린의 전방에 위치되는 제1전위유닛;
    일단부가 상기 제1전위유닛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후방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벨트부와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제2전위유닛; 및
    상기 제2전위유닛의 타단부로부터 상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3전위유닛이 일체로 연결되면서 상부가 개구되는 'U'자 형태를 이루며,
    상기 피동부는,
    양단부가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피동축; 및
    상기 한 쌍의 가이드프레임의 사이에 위치되며, 상기 피동축에 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체인벨트의 하부가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스프로켓이 구비되는 한 쌍의 피동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한 쌍의 피동모듈은,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전,후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면서 서로 인접하는 피동모듈 간의 사이로 직선구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2전위유닛은,
    상부면이 상기 직선구간과 평행을 이루고,
    상기 제1,2전위유닛이 접하는 상부면 및 상기 제2,3전위유닛이 접하는 상부면은,
    곡면을 이루면서 상기 한 쌍의 피동모듈과 인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제진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2020130010271U 2013-12-10 2013-12-10 로터리 제진기 KR200472427Y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271U KR200472427Y1 (ko) 2013-12-10 2013-12-10 로터리 제진기
CN201410742291.1A CN104692474A (zh) 2013-12-10 2014-12-08 旋转式除尘器
US14/564,398 US9783945B2 (en) 2013-12-10 2014-12-09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PH12014000374A PH12014000374A1 (en) 2013-12-10 2014-12-10 Rotary type dust removing mach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10271U KR200472427Y1 (ko) 2013-12-10 2013-12-10 로터리 제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427Y1 true KR200472427Y1 (ko) 2014-04-28

Family

ID=51489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10271U KR200472427Y1 (ko) 2013-12-10 2013-12-10 로터리 제진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783945B2 (ko)
KR (1) KR200472427Y1 (ko)
CN (1) CN104692474A (ko)
PH (1) PH12014000374A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220A (ko) * 2014-06-16 2015-12-24 황명회 수직밴드형 스크린용 협잡물 통과 방지구조
KR101767872B1 (ko) * 2017-03-24 2017-08-11 김재선 모래 제거를 위한 버킷이 구비된 로터리 제진기
KR20180096269A (ko) 2017-02-21 2018-08-29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수로형 협잡물 제거장치
KR102096805B1 (ko) * 2019-11-26 2020-04-03 주식회사 신명엔텍 레이크의 구동력 절감이 가능한 로터리 제진기
KR102314680B1 (ko) 2020-12-11 2021-10-18 김재선 로터리 제진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001411A1 (de) * 2015-02-06 2016-08-11 Guido Frankenberger Förderband-Filtereinrichtung
CN106582151A (zh) * 2016-12-08 2017-04-26 王淑彩 一种可调城市雾霾扫除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0913A (ja) * 1984-07-31 1986-02-27 Marusei Jukogyo Kk 自動除塵機
JPH0660623U (ja) * 1993-01-27 1994-08-23 株式会社丸島アクアシステム 背面降下式除塵機
JPH0742131A (ja) * 1993-07-28 1995-02-10 Endo Koki Kk 除塵機
KR200194039Y1 (ko) * 2000-02-09 2000-09-01 주식회사무진기연 수문 스트레이너의 자동세척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2702A (en) * 1891-05-19 grabill
US2128348A (en) * 1936-04-04 1938-08-30 Jeffrey Mfg Co Bar screen scraper
US2291121A (en) * 1938-11-01 1942-07-28 Jeffrey Mfg Co Sewage apparatus
US3190448A (en) * 1962-01-08 1965-06-22 Rex Chainbelt Inc Bar screen with velocity-control baffles
US3856678A (en) * 1974-01-17 1974-12-24 T Hagihara Self-reconditioning filter apparatus for continuous removal of solids from a stream of liquid
EP0676226A1 (de) * 1994-04-08 1995-10-11 Dieter Frankenberger Förderband-Filtereinrichtung
KR20020092765A (ko) 2001-06-05 2002-12-12 주식회사 월드이노텍 로터리식 제진기
SE525381C2 (sv) * 2004-04-26 2005-02-08 Mellegaard & Naij Ab Bottentätning
FR2874334B1 (fr) * 2004-08-20 2006-11-24 Beaudrey Et Cie Sa E Tamis rotatif pour prise d'eau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40913A (ja) * 1984-07-31 1986-02-27 Marusei Jukogyo Kk 自動除塵機
JPH0660623U (ja) * 1993-01-27 1994-08-23 株式会社丸島アクアシステム 背面降下式除塵機
JPH0742131A (ja) * 1993-07-28 1995-02-10 Endo Koki Kk 除塵機
KR200194039Y1 (ko) * 2000-02-09 2000-09-01 주식회사무진기연 수문 스트레이너의 자동세척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4220A (ko) * 2014-06-16 2015-12-24 황명회 수직밴드형 스크린용 협잡물 통과 방지구조
KR101675524B1 (ko) * 2014-06-16 2016-11-11 황명회 수직밴드형 스크린용 협잡물 통과 방지구조
KR20180096269A (ko) 2017-02-21 2018-08-29 주식회사 덕진엔지니어링 수로형 협잡물 제거장치
KR101767872B1 (ko) * 2017-03-24 2017-08-11 김재선 모래 제거를 위한 버킷이 구비된 로터리 제진기
KR102096805B1 (ko) * 2019-11-26 2020-04-03 주식회사 신명엔텍 레이크의 구동력 절감이 가능한 로터리 제진기
KR102314680B1 (ko) 2020-12-11 2021-10-18 김재선 로터리 제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692474A (zh) 2015-06-10
US9783945B2 (en) 2017-10-10
US20150157966A1 (en) 2015-06-11
PH12014000374A1 (en) 2016-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2427Y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642238B1 (ko) 협잡물 이송을 위한 로타리식 제진기
KR101767872B1 (ko) 모래 제거를 위한 버킷이 구비된 로터리 제진기
KR100987812B1 (ko) 로타리식 자동 제진기
CN110485391B (zh) 河道垃圾清理装置
KR101084319B1 (ko) 제진기의 잔류 진개물 제거장치
CN204934119U (zh) 废旧地膜回收清洗装置
KR101969529B1 (ko) 레이크 플레이트 회전반경 축소구조를 갖는 제진기
KR102314680B1 (ko) 로터리 제진기
KR101735693B1 (ko) 목 메임 방지용 로터리식 제진기
KR101110668B1 (ko) 로타리 제진기
KR101234049B1 (ko) 게이트 펌프용 로터리 제진기
KR20140017965A (ko) 하천의 부유물 수거 장치
KR200175037Y1 (ko) 제진기
KR200332449Y1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1738635B1 (ko) 제진기에 마련된 전위 스크린의 전, 후 왕복 장치
KR20020092765A (ko) 로터리식 제진기
KR101403773B1 (ko) 제진기 틈새로 유입되는 잔존협잡물 차단기능을 구비한 자동제진기.
KR101887831B1 (ko) 협잡물 퇴적방지구조가 적용된 계단식 여과기
KR101931526B1 (ko) 각종 협잡물 및 부유물을 제거하도록 제공되는 로타리 제진기 및 이의 운전방법
KR101254694B1 (ko) 제진기
KR102328807B1 (ko) 제진기의 거대협잡물 제거장치
KR101044248B1 (ko) 수 처리용 회전식 플레이트형 제진기
KR200406021Y1 (ko) 개폐식 전위스크린이 구비된 제진기
KR101317391B1 (ko) 긴급 상황용 강제배수 기능을 갖는 제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