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6338B1 -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거방법 - Google Patents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66338B1
KR101166338B1 KR1020110103857A KR20110103857A KR101166338B1 KR 101166338 B1 KR101166338 B1 KR 101166338B1 KR 1020110103857 A KR1020110103857 A KR 1020110103857A KR 20110103857 A KR20110103857 A KR 20110103857A KR 101166338 B1 KR101166338 B1 KR 101166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ating
pipe
guide
fence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3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숙
Original Assignee
김은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숙 filed Critical 김은숙
Priority to KR1020110103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66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66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66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Details of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6Collection of oil using vessels, i.e. boats, bar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지선(1)의 바지선개선주(11)에 와이어로프피복관(72)에 의해 연결되는 수거펜스(2)와, 상기 수거펜스(2)에 연결된 와이어로프피복관(72)의 다른 일측은 부잔교(3)에 연결되며, 상기 바지선개선주(11)에 와이어로프피복관(72)과 PP로프(73)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는 부잔교(3)와, 상기 부잔교(3)의 다른 일측은 와이어로프피복관(72)과 PP로프(73)에 의해 연결되는 부표(4,5)와, 상기 부잔교(3)의 전면에 독립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안내펜스(6)로 구성된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거방법{Device for collecting of floating gargbage and collecting method using the same }
본 발명은 수질환경오염을 유발하는 강, 바다에 유입되는 부유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홍수나 기타 여건으로 인해 예컨대 나무, 페트병, 캔, 농약병, 플라스틱, 스티로폼 등의 부유물이 강이나 하천을 따라 떠내려 와 댐, 식수원, 농업용수, 공업용수, 습지 등의 소하천에 유입되면, 수질 악화와 더불어 환경오염의 주범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수상 부유물은 가벼워서 처리하기 쉬운 것도 있지만 인력으로는 감당하기 곤란해 중장비를 동원해야만 수거할 수 있는 중량 부유물도 있다. 집중 호우 때나 홍수 시에는 수상 부유물의 양이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엄청나게 발생한다. 특히 댐의 경우에는 엄청난 양의 수상 부유물로 인해 겪는 정신적 육체적 고통과 경제적 손실이 크다.
따라서 댐, 식수원, 농업용수, 공업용수, 습지 등의 소하천 쪽으로 유입된 부유물을 제거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하천 쓰레기 수거는 사람이 잠수하여 쓰레기를 수거할 경우에는 수중에 작용하는 수압에 의하여 오랫동안 쓰레기 수거작업을 수행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쓰레기 수거작업을 하더라도 쓰레기 수거량이 적어 별 실효성을 못 거두고 있는 형편으로 현재는 별로 사용하지 않고 있다.
이에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해상 폐류 및 쓰레기처리장치가 개발되어 있다.
예를 들면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4084550000(20031124)호에는 소정의 폭과 높이 및 두께를 가지며 격자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그물망과 상기 그물망의 상단부와 중간부에 부착되며, 압축공기가 유입되어 팽창되는 부구와 상기 부구의 하단부에 인접되게 수평으로 배치되며, 그 내에 인장재가 내장된 제1수평관과 상기 그물망의 하단부에 인접되게 배치되며, 위치를 잡아주도록 그 내에 중량재가 내장된 제2수평관과 상기 그물망의 가로방향으로 일정한 간격마다 가로로 배치된 제1수평관과 제2수평관에 교차되게 수직으로 배치되며, 그 내에 압축부재가 내장된 수직관과 상기 그물망의 좌우단부에는 각각의 그물망를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로 구성된 해상 쓰레기 수거장치가 공개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470306호에는 강, 하천, 댐 등의 상류에서 유입되는 물에 떠내려 오는 부유물을 걷는 제진판과 이 제진판의 뒤를 받쳐주면서 부유물을 걷는 제진봉을 무한궤도형 벨트에 등간격으로 설치하여 부유식 컨베이어를 구성하고, 이 부유식 컨베이어를 상류쪽 둔치와 하류쪽 둔치에 세운 축기둥에 대각선으로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제진판과 제진봉에 걸려 떠밀려 가는 부유물의 압력에 의해 부유식 컨베이어가 궤도를 선회하여 하류쪽 둔치로 부유물을 이동시켜 뭍에서 안전하고 신속 간편하게 부유물을 제거할 수 있도록 구성한 부유물 제거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3716160000(20030127)호에는 모선(a)의 선수 양측에 힌지회동부(12)를 축으로 절첩 가능하게 설치되는 가이드판(11)으로 되어 부유물 포집량을 늘리기 위한 포집수단(1)과, 모선(a) 상면의 부유물 저장조(21)에 대해오일을 제외한 각종 이물질을 수거 공급하도록 중간부가 절첩되어 구동모터(23)에 의해 구동되는 메쉬벨트(22)로 되는 이물질수거수단(2)과, 상기 포집수단(1)의 힌지회동부(12) 안안쪽의 모선(a) 선수 중앙에 형성된 유로(31) 상부에 설치되는 압축 공기 공급관(33)과 연결되는 다수의 압축 공기 분사구(32)와, 상기 유로(31) 말단에 설치되어 이송수단(36)과 분리기(34)를 갖는 유수분리기(35)로 되는 오일수거수단(3)과 상기 오일수거수단(3)에 의해 수거된 오일과 물을 분리하기 위해 서로 그 높낮이를 달리하는 다수의 격벽(41)에 의해 구획 형성되는 다수의 저장실(42)로 되는 유수분리수단(4)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부유물 수거처리장치가 공개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9533000000(20100409)호에는 판면에 다수의 통공이 형성되며, 하천의 일측에 배치되어 부유물을 수거하는 부유물 수거부; 상기 하천에서 물이 흐르는 방향에 경사진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부유물을 상기 부유물 수거부로 유도하며, 높이 방향을 따라 상측의 몇 개는 수면 위로 배치되고 나머지는 물속에 배치되는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 상기 다수의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를 경사지게 고정하되 수량에 따라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들의 높이가 조절되도록 지지하는 다수의 와이어 고정 및 높이 조절 유닛; 및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에 연결되어 상기 부유물 유도용 와이어에 텐션을 부여하는 다수의 버클 스프링 실린더를 포함하는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가 기술되어 있으며,
동 공보 등록번호 제1004684380000(20050119)호에는 부유쓰레기를 차단하여 한 곳으로 유도하기 위한 장치로서, 타워 크레인 본체와 같은 트러스(truss) 구조의 철구조물(=틀,frame)에 부자(浮子)를 내장하고, 강물의 흐름을 받는 전면(前面)에 망(網)으로 된 휀스판(fence plate)을 부착한 땟목식의 부유쓰레기 차단 유도막을 형성하고;
그 방법에는 상기 차단 유도막을 따라 부유쓰레기가 잘 떠내려가도록, 강물이 흐르는 방향을 따라 이를 일정한 경사 및 상ㆍ하에 다수를 연속으로 이격 설치하여 강을 가로 막아, 부유쓰레기를 차단과 동시에 강의 일측으로 유도하여 집진 통과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물의 부유쓰레기 차단 유도장치 및 그 방법이 공개되어 있고,
국내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092540(20100823)호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한 쌍의 부체(2)로 이루어진 부력장치(b)와, 와이어로 연결 구성되는 다수개의 부유물차단막(3)과, 상기 다수개의 부유물차단막(3)을 강이나 하천 등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콘크리트부설물(5)로 부유물쓰레기 차단장치(a)를 구성하되,
상기 부력장치(b)는 그 한 쌍의 부체(2) 사이로 상부가 비스듬히 절곡되고 양측면에는 각각 대칭되게 부구체(1')가 볼트 결합되어져 있는 한 쌍의 개폐용부유물차단막(1)을 위치시킨 다음 상기 한 쌍의 개폐용부유물차단막(1)의 일측면에 각기 돌출 구성된 제1,2,3 연결대(11)(12)(13) 상,하로 개폐용상,하부 와이어(14)(14')를 개별적으로 관통시켜, 개폐용하부와이어(14')는 그 일측단이 상기 개폐용부유물차단막(1)의 제1연결대(11) 하부에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그 타측단이 제2,3연결대(12)(13) 하부를 관통후 상향 절곡되어, 상기 부력장치(b)의 부체(2)에 마련된 고정대(22)에 각각 연결되도록 하고, 상기 개폐용상부와이어(14)는 일측단이 개폐용부유물차단막(1)의 제1연결대(11) 상부에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그 타측단이 제2,3연결대(12)(13) 상부를 관통후, 상향절곡된 개폐용하부와이어(14') 일측부에 고정되도록 하여, 상기 한 쌍의 개폐용부유물차단막(1)이 개폐용상,하부와이어(14)(14')에 의해 그 일측부로 경첩구조를 가짐과 동시에 일측방향으로 개폐되도록 구성하고,
또 상기 한 쌍의 개폐용부유물차단막(1) 양측 일직선상으로는, 각각 상부가 비스듬히 절곡되고 양측면에는 각각 대칭되게 부구체(1')가 볼트 결합되어져 있는 다수개의 부유물차단막(3)을 반복 위치시켜 상,하부 와어이(31)(32)로 각각 부유물차단막(3) 일측에 마련된 제1,2,3연결대(11)(12)(13)로 관통시켜 상호 연결 구성되도록 하되,
상기 다수개의 부유물차단막(3)의 제1,2,3연결대(11)(12)(13)를 관통하여 상호 연결 구성시키고 있는 상,하부 와이어(31)(32)는 그 일측단을 상기 개폐용부유물차단막(1)이 부체(2)의 고정대(22)에 고정 및 개폐될 수 있도록 연결고정하고 있는 개폐용하부와이어(14')의 상향절곡부위에 고정하여 연결 구성토록 하고, 상기 상,하부와이어(31)(32)의 타측단은 다수개의 부유물차단막(3)이 강이나 하천 등에 고정 위치될 수 있도록 컨크리트부설물(5)의 설치조절대(51)에 선택적으로 고정하여 구성된 부유물쓰레기 차단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며,
동 공보 공개번호 제1020110057611(20110601)호에는 부유 체와, 지지부재 사이에 부유체들 상호간이 열을 지어 배열되게 연결하는 연결부와, 부유체를 상하로 관통되게 설치되되 부유체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축과, 부유체의 저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된 회전축에 결합되어 유속에 의해 회전되는 하부 회전날개와, 부유체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된 회전축에 결합되어 하부 회전날개에 연동되어 회전되면서 수상에 부유되는 부유물을 간섭에 의해 이동시키는 상부 회전날개를 구비한 수상 부유물 수거장치가 공개되어 있고,
동 공보 공개번호 제1020100131255(20101215)호에는 복수의 바닥부재가 평행하게 배치된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저면에 고정된 복수의 부자(float); 및 상기 베이스부의 상면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복수의 기둥 및 상기 복수의 기둥을 따라 설치된 벽체를 가진 울타리부;를 포함한 해양폐기물 집하장치가 기재되어 있으며,
국내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제2003904940000(20050712)호에는 부력을 제공하는 원통형의 부력부재, 상기 부력부재가 배치되어 내부로 구속되고 양측부로 홀이 형성된 보호막, 상기 보호막의 내측으로 구속되는 걸림부를 구비하고, 상기 걸림부에 연결되어 외부로 연장되는 중심추를 구비한 추결합부, 상기 보호막의 양측 단부를 따라 제공되고 홀이 소정간격으로 형성된 다수개의 고정패널 및 상기 고정패널의 홀에 삽입되고 너트에 체결되어 상기 보호막의 양측을 결합하는 볼트로 구성된 부력부재가 공개되어 있고,
동 공보 등록번호 제2002592480000(20011218)호에는 소정 폭의 고장력 고무피복원단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부유물차단막(10)과; 상기 부유물차단막(10)을 수면 위로 띄우도록 그 양측면 중앙에 적정 간격으로 배열되어 조립되는 다수의 상기 부구체(20)와; 상기 부유물차단막(10)의 상단부가 수면 밑으로 처지지 않도록 팽팽하게 당겨 지면에 고정하기 위하여 원단 상단부에 감겨져 일체로 고정되는 와이어고정로프(41)와; 상기 부유물차단막(10)이 물의 유속과 부유물쓰레기(50)의 장력에 의해서 수면 밑으로 처지거나 떠내려가지 않도록 그 양단을 지면의 고정물에 고정시키기 위한 'ㄷ'채널형고정프레임(44)과; 상기 부유물차단막(10)의 하단부에 적정간격으로 조립되어 있는 다수의 체결고리부재(13)와; 상기 부유물차단막(10)에 걸린 부유물쓰레기(50)가 밑으로 통과하지 못하게 걸리도록 망사구조로 이루어진 그물망(31)이 구비되고, 상기 그물망(31)의 상,하단부에는 한 쌍의 와이어웨이트로프(42),(43)가 각각 감싸져 고정되며, 그 상측 와이어웨이트로프(42)는 상기 체결고리부재(13)에 끼워져 매달리도록 연결되며, 상기 와이어웨이트로프(42)(43)의 각 양단부는 상기 'ㄷ'채널형고정프레임(44)에 고정되므로서 상기 부유물차단막(10)의 하부에 조립되어 이루어진 스커트부(30)로 이루어진 부유물 차단장치가 공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호우나 홍수 때마다 몰려드는 그 많은 수상 부유물을 제거하려면 우선은 연안까지 부유물을 이동시켜야 한다. 지금까지는 이러한 부유물 이동을 고작 인력이나 수상 쓰레기 수거선 등을 활용하는 구태의연한 것인 데, 그러기에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들고 비용도 막대하며,
수중과 해상의 파도가 심하거나, 해류에 의하여 부유물의 부하를 감당하기 어려워 종래의 장치인 부유물용 펜스만으로는 쓰레기들이 장치들을 넘어 확산될 우려가 있고, 부유물이 조금만 쌓이더라도 하중과 수압을 견디지 못하여 절단 및 파손될 소지가 높으며, 또한 그 구조상 하천에 회오리가 발생되면 수거된 부유물이 다시 떠내려가면서 수질 악화와 더불어 환경오염을 예방하는데 크게 기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인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및 방법으로서, 다수개의 안내펜스(6)를 이용하여 일차 부유쓰레기를 안내한 다음, 2차로 안내펜스(6)의 후면에 설치되며 바지선(1)과 부표(4) 사이에 와이어로프피복관(72)에 의해 연결된 피이 재질의 부잔교(3)와 부잔교(3)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된 안내가이드(30)를 이용하여 부유쓰레기를 수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를 이용한 수거방법인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바지선(1)의 바지선개선주(11)에 와이어로프피복관(72)에 의해 연결되는 수거펜스(2)와, 상기 수거펜스(2)에 연결된 와이어로프피복관(72)의 다른 일측은 부잔교(3)에 연결되며, 상기 바지선개선주(11)에 와이어로프피복관(72)과 PP로프(73)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는 부잔교(3)와, 상기 부잔교(3)의 다른 일측은 와이어로프피복관(72)과 PP로프(73)에 의해 연결되는 부표(4,5)와, 상기 부잔교(3)의 전면에 독립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안내펜스(6)로 구성된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과제해결 수단인 것이다.
본 발명은 와류와 태풍등 폭풍을 동반한 파도에 실려 오는 강한 압력이 수반된 부유물을 피이부잔교에 의해 수거하기 전에 피이부잔교 전방에 설치된 안내펜스로 부유물을 바지선으로 유도하고, 피이부잔교의 안내가이드에 의해 부유물을 원활하게 바지선으로 유도 하여 처리함으로서, 부유물을 수위변동에 관계없이 원하는 위치로 이동시켜 제거할 수 있으므로 위험한 수상 작업을 통하여 부유물을 수거하지 않고도 간편 용이하고 안전하게 수거할 수가 있으며, 설치비를 제외하고는 운영비와 관리비도 그다지 들지 않으므로 경제 운용이 가능하며, 홍수와 같이 급격히 불어난 물에 떠내려오는 부유물을 수거할 때 대단히 유익하며, 해상에서 설치 및 이동이 용이하여 부유쓰레기의 확산방지에 최적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며, 부유쓰레기 수거장치는 강한 파도에서도 안정적으로 쓰레기의 확산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며, 해상에 널린 쓰레기를 적은 면적으로 모아서 쓰레기 전체를 용이하게 수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1 본 발명의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전체도
평면도(1A), 측면도(1B)
도2 본 발명의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일측 상세도
평면도(2A), 측면도(2B)
도3 본 발명의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중간부 측면도
도4 본 발명의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중간부 정면도
도5 본 발명의 안내가이드 상세도
도6 본 발명의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다른 일측 상세도
평면도(6A), 측면도(6B)
도7 본 발명의 수거펜스 상세도
도8 본 발명의 안내펜스 상세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및 방법으로서, 다수개의 안내펜스(6)를 이용하여 일차 부유쓰레기를 안내한 다음, 2차로 안내펜스(6)의 후면에 설치되며 바지선(1)과 부표(4) 사이에 와이어로프피복관(72)에 의해 연결된 피이 재질의 부잔교(3)와 부잔교(3)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된 안내가이드(30)를 이용하여 부유쓰레기를 수거하는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를 이용한 수거방법인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바지선(1)의 바지선개선주(11)에 와이어로프피복관(72)에 의해 연결되는 수거펜스(2)와, 상기 수거펜스(2)에 연결된 와이어로프피복관(72)의 다른 일측은 부잔교(3)에 연결되며, 상기 바지선개선주(11)에 와이어로프피복관(72)과 PP로프(73)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는 부잔교(3)와, 상기 부잔교(3)의 다른 일측은 와이어로프피복관(72)과 PP로프(73)에 의해 연결되는 부표(4,5)와, 상기 부잔교(3)의 전면에 독립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안내펜스(6)로 구성된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부잔교를 이용하여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를 수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바지선과 부표에 와이어로프피복관(72)과 PP로프(73)를 연결하고, 부잔교 전방에 다수개의 안내펜스를 설치하여 부유쓰레기를 원활하게 원하는 장소로 수집하고,
또 부잔교에 설치된 안내가이드에 의해 원하는 장소로 부유쓰레기를 원활하게 유도하도록 장치를 개선하였으며,
부잔교의 재질은 PE재질을 사용하였으며, 부표의 하부와, 부잔교의 중간 중간에 침추연결체인로프를 연결시켜 강이나, 해저 바닥에 위치되는 침추(8)에 고정시켜 안정성을 높이도록 구조를 개선하였다.
본 발명의 수거펜스(2)는 각각의 직경이 다른 3개의 파이프가 내장된 형태로 구성되며, 각각의 직경이 다른 파이프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양단끝을 밀봉시켰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거펜스외부파이프(21)에 중앙에 수거펜스중간파이프(22)를 위치시키되, 수거펜스외부파이프(21)와 수거펜스중간파이프(22)사이와 수거펜스중간파이프(22)와 수거펜스내부파이프(23)의 사이의 양단끝은 밀봉시켜 그 각각의 파이프 내부에 공간부를 설치하여 부력을 제공하였으며,
수거펜스중간파이프(22)의 내부 중앙에 수거펜스내부파이프(23)를 내장시키고, 상기 수거펜스내부파이프(23)에 체인로프(74)를 관통시켜 설치하도록 구조를 개선하였고,
본 발명의 안내펜스(6)는 도1 및 도8과 같이, 직경이 다른 두 개의 파이프가 내장된 형태로 구성되며, 각각의 직경이 다른 파이프 사이에 공간부를 형성하도록, 양단끝을 밀봉시켰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안내펜스외부파이프(61)의 중앙에 안내펜스내부파이프(62)를 위치시킨 다음, 안내펜스외부파이프(61)와 안내펜스내부파이프(62)사이의 양단끝은 밀봉시켜 내부에 공간부를 형성하여 부력을 제공하였으며, 안내펜스내부파이프(62)의 내부에 체인로프(74)를 관통시킨 다음, 관통된 상기 체인로프(74)의 끝단부에 침추(8)에 연결시킨 구조로 개선하여 별도의 부유체가 필요 없게 하였다.
본 발명을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본 발명의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전체도, 평면도(1A), 측면도(1B), 도2 본 발명의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일측 상세도, 평면도(2A), 측면도(2B), 도3 본 발명의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중간부 측면도, 도4 본 발명의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중간부 정면도, 도5 본 발명의 안내가이드 상세도, 도6 본 발명의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다른 일측 상세도, 평면도(6A), 측면도(6B), 도7 본 발명의 수거펜스 상세도, 도8 본 발명의 안내펜스 상세도를 도시한 것이며, 바지선(1), 수거펜스(2), 부잔교(3), 부표(4,5), 안내펜스(6), 침추(8), 바지선개선주(11), 수거펜스외부파이프(21), 수거펜스중간파이프(22), 수거펜스내부파이프(23), 안내가이드(30),안내펜스외부파이프(61), 안내펜스내부파이프(62), 와이어로프피복관(72), PP로프(73), 체인로프(74), 브라켓(310), 부유파이프(330), 엘보부유파이프(331), 발판(340), 난간지지대(341), 난간가로대(342), 부잔교표시등(348), 부표연결고리(401), 부표몸체(402), 부표하부연결고리(403), 완충돌부(406), 부표보조연결고리(405), 부표표시등(408),부표표시등지지대(409)를 나타낸 것임을 알 수 있다.
구조를 살펴보면, 본 발명의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는 도1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지선(1)의 바지선개선주(11)에 와이어로프피복관(72)에 의해 연결되는 수거펜스(2)와,
상기 수거펜스(2)에 연결된 와이어로프피복관(72)의 다른 일측은 부잔교(3)에 연결되며,
상기 바지선개선주(11)에 와이어로프피복관(72)과 PP로프(73)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는 부잔교(3)와,
상기 부잔교(3)의 다른 일측은 와이어로프피복관(72)과 PP로프(73)에 의해 연결되는 부표(4,5)와,
상기 부잔교(3)의 전면에 독립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안내펜스(6)로 구성된 구조이며,
상기 부잔교는 도2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브라켓(310)의 하부에 설치된 부유파이프안내통공부(미도시)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부유파이프(330)와, 상기 부유파이프안내통공부 (미도시)외측에 열융착 고정된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된 안내가이드(30)와,
상기 부유파이프안내통공부(미도시)에 삽입되어 연결된 부유파이프(330)의 양단 끝에 설치되어 마감 처리되는 다수개의 엘보부유파이프(331)와, 상기 브라켓(3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발판(340)과, 상기 발판(340)의 양단 끝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난간지지대(341)와, 상기 다수개의 난간지지대(341) 의 상부이며 난간지지대(341)를 연결 설치되는 난간가로대(342)와, 상기 난간가로대(342)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부잔교 표시등(348)과,
상기 브라켓(310)의 중간 하부 통공부에 삽입되어 부잔교 전체에 걸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피복관(72)과 PP로프(73)와,
상기 부잔교에 설치된 다수개의 브라켓(310)에 연결된 다수개의 체인로프(74)와, 상기 체인로프(74)의 끝단부에 고정된 침추(8)로 구성되며,
상기 부표(4)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표몸체(402)와, 상기 부표몸체(402)의 상부중앙에 설치된 부표연결고리(401)와, 상기 부표몸체(402)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4곳에 설치된 4개의 부표보조연결고리(405)와,
상기 부표몸체(402)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부표표시등지지대(409)및 부표표시등(408)과,
상기 부표몸체(402)의 중간 테두리부에 설치되는 완충돌부(406)와, 상기 부표몸체(402)의 하부에 설치되는 부표하부연결고리(403)와, 상기 부표하부연결고리(403)의 하부에 연결되는 체인로프(74)와, 상기 체인로프(74)의 최하부에 설치된 침추(8)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수거펜스(2)는 도1, 도2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에 설치된 직경 600mm의 수거펜스외부파이프(21)와, 상기 수거펜스외부파이프(21)의 내부중앙에 내장되는 직경 400mm의 수거펜스중간파이프(22)와, 상기 수거펜스중간파이프(22)에 내부 중앙에 내장되는 직경 100mm의 수거펜스내부파이프(23)와, 상기 수거펜스외부파이프(21)와 수거펜스중간파이프(22) 및 수거펜스내부파이프(23)사이의 양단끝을 밀봉시켜 상기 수거펜스외부파이프(21)와 수거펜스중간파이프(22)사이와 수거펜스중간파이프(22)와 수거펜스내부파이프(23)사이에 설치된 공간부(미도시)와, 상기 수거펜스내부파이프(23) 내부에 관통되는 체인로프(74)로 구성되며,
상기 안내펜스(6)는 도1,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경 400mm의 안내펜스외부파이프(61)와, 상기 안내펜스외부파이프(61)의 내측에 중앙부에 내장되는 직경 100mm의 안내펜스내부파이프(62)와, 상기 안내펜스외부파이프(61)와 안내펜스내부파이프(62)사이의 양단끝은 밀봉시켜 생성된 공간부(미도시)와, 안내펜스내부파이프(62)의 내부에 관통되는 체인로프(74)와, 상기 체인로프(74)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침추(8)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설치방법은 도1및 도2와 같이,
바지선(1)의 바지선개선주(11)에 와이어로프피복관(72)으로 수거펜스(2)를 연결시키고,
상기 수거펜스(2)의 다른 일측은 와이어로프피복관(72)에 의해 부잔교(3)에 연결되며,
상기 바지선개선주(11)에 와이어로프피복관(72)과 PP로프(73)로 부잔교(3)를 고정시키고,
상기 부잔교(3)의 다른 일측은 와이어로프피복관(72)과 PP로프(73)로 부표(4,5)의 부표연결고리(401) 및 4개의 부표보조연결고리(405)에 연결시킨 다음, 부잔교(3)의 중간 일측에 일정간격 이격시켜 다수개의 체인로프(74)를 물속으로 하강시켜 체인로프(74)의 끝단부에 침추(8)에 고정시켜 설치하고, 부잔교(3)의 전면에 별도로 다수개의 안내펜스(6)를 설치하는 방법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부잔교(3)의 설치는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브라켓(310)의 하부에 설치된 부유파이프안내통공부(미도시)에 다수개의 부유파이프(330)를 연결시켜 원하는 길이로 위치시켜 이웃하는 부유파이프(330)끼리 열융착시켜 결합시키고,
상기와 같이 설치한 브라켓(310)에 연결된 부유파이프(330)를 2열 3열 4열 원하는 넓이와 갈이로 위치한 후, 부유파이프(330)의 양단 끝을 다수개의 엘보부유파이프(331)로 밀봉 처리하여 설치하고,
상기 부유파이프안내통공부(미도시)외측에 30~300m 길이의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된 안내가이드(30)를 열융착 시켜 고정시킨 다음,
상기 브라켓(310)의 상부에 다수개의 발판(340)을 설치하고, 발판(340)의 양단 끝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의 난간지지대(341)를 설치하고, 다수개의 난간지지대(341)에 난간지지대(341)를 연결하여 설치하고, 상기 난간가로대(342)의 중간부에 부잔교표시등(348)을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310)의 중간 하부 통공부(미도시)에 와이어로프피복관(72)과 PP로프(73)를 삽입하여 부잔교 전체에 걸쳐 연결시켜 고정시킨 다음,
부잔교(3)의 중간 일측에 일정간격 이격시켜 다수개의 체인로프(74)를 물속으로 하강시켜 체인로프(74)의 끝단부에 침추(8)에 고정시켜 설치하였다.
상기 부표(4)의 설치는 부잔교의 다른 일측에 위치되어 부잔교에 연결된 와이어로프피복관(72)과 PP로프(73)를 상부중앙에 설치된 부표연결고리(401)와 4개의 부표보조연결고리(405)에 연결하고,
(필요시에는 다른 부표(5)를 설치하여 부잔교에 연결된 와이어로프피복관(72)과 PP로프(73)를 동일하게 연장하여 연결하고)
상기 부표몸체(402)의 하부의 부표하부연결고리(403)에 체인로프(74)를 고정하여 해상이나 강의 바닥에 위치한 침추(8)에 고정 설치하며,
상기 수거펜스(2)의 설치는 수거펜스외부파이프(21)에 중앙에 수거펜스중간파이프(22)를 위치시키고, 상기 수거펜스중간파이프(22)에 내부 중앙에 직경 100mm의 수거펜스내부파이프(23)를 내장 시킨 다음, 상기 수거펜스외부파이프(21)와 수거펜스중간파이프(22) 및 수거펜스내부파이프(23)사이의 양단끝을 밀봉시켜 상기 수거펜스외부파이프(21)와 수거펜스중간파이프(22)사이와 수거펜스중간파이프(22)와 수거펜스내부파이프(23)사이에 설치된 공간부(미도시)를 형성하여 공간부에 의해 부력을 부여하고, 상기 수거펜스내부파이프(23)에 체인로프(74)를 관통시켜 설치하고,
상기 안내펜스(6)는 도1 및 도8과 같이, 안내펜스외부파이프(61)의 중앙에 안내펜스내부파이프(62)를 위치시킨 다음, 안내펜스외부파이프(61)와 안내펜스내부파이프(62)사이의 양단끝은 밀봉시켜 양단끝은 밀봉시켜 생성된 공간부(미도시)를 형성하여 부력을 부여하여 별도의 부력체가 필요없이 물위에 부유되도록 하고, 안내펜스내부파이프(62)의 내부에 체인로프(74)를 관통시킨 다음, 관통된 상기 체인로프(74)의 끝단부에 침추(8)에 연결시켜 설치를 하였다.
사용방법은 도1과 같이 와류나 파도, 물의 흐름을 고려하여 설치된 부잔교(3)로 부유쓰레기가 유입되면, 부잔교(3)전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안내펜스(6)에 유입된 부유쓰레기가 부딪쳐 안내펜스(6)의 안내에 의해 부잔교(3)에 연결된 수거펜스(2)로 수집되도록 하고, 안내펜스(6)사이로 유입된 부유쓰레기는 부잔교(3)의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된 안내가이드(30)에 의해 바지선(1)과 부잔교(3) 사이의 수거펜스(2)로 부유쓰레기가 수집되면 바지선(1)에서 크레인 또는 자동수거장치(콘베어형식)를 이용하여 부유쓰레기를 수거하며, 부표와 부잔교는 하부에 체인로프(74)의 끝단부에 침추(8)에 연결에 의해 와류나, 파도 및 부유쓰레기의 저항을 이겨내면서 부유쓰레기를 수거하여 처리 하였다.
바지선(1), 수거펜스(2), 부잔교(3), 부표(4,5), 안내펜스(6), 침추(8), 바지선개선주(11), 수거펜스외부파이프(21), 수거펜스중간파이프(22), 수거펜스내부파이프(23), 안내가이드(30), 안내펜스외부파이프(61), 안내펜스내부파이프(62),
와이어로프피복관(72), PP로프(73), 체인로프(74), 브라켓(310), 부유파이프(330), 엘보부유파이프(331), 발판(340), 난간지지대(341), 난간가로대(342), 부잔교표시등(348), 부표연결고리(401), 부표몸체(402), 부표하부연결고리(403), 완충돌부(406), 부표보조연결고리(405), 부표표시등(408),부표표시등지지대(409),

Claims (8)

  1.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에 있어서,
    바지선(1)의 바지선개선주(11)에 와이어로프피복관(72)에 의해 연결되는 수거펜스(2)와, 상기 수거펜스(2)에 연결된 와이어로프피복관(72)의 다른 일측은 부잔교(3)에 연결되며,
    상기 바지선개선주(11)에 와이어로프피복관(72)과 PP로프(73)에 의해 일측이 연결되는 부잔교(3)와,
    상기 부잔교(3)의 다른 일측은 와이어로프피복관(72)과 PP로프(73)에 의해 연결되는 부표(4,5)와,
    상기 부잔교(3)의 전면에 독립되어 설치된 다수개의 안내펜스(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잔교(3)는 일정간격 이격된 다수개의 브라켓(310)의 하부에 설치된 부유파이프안내통공부(미도시)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부유파이프(330)와, 상기 부유파이프안내통공부(미도시) 외측에 열융착 고정된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된 안내가이드(30)와, 상기 부유파이프안내통공부(미도시)에 삽입되어 연결된 부유파이프(330)의 양단 끝에 설치되어 마감 처리되는 다수개의 엘보부유파이프(331)와, 상기 브라켓(310)의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발판(340)과, 상기 발판(340)의 양단 끝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다수개의 난간지지대(341)와, 상기 다수개의 난간지지대(341) 의 상부이며 난간지지대(341)에 연결 설치되는 난간가로대(342)와, 상기 난간가로대(342)의 중간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설치되는 부잔교 표시등(348)과, 상기 브라켓(310)의 중간 하부 통공부에 삽입되어 부잔교(3) 전체에 걸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피복관(72)과 PP로프(73)와,
    상기 부잔교(3)에 설치된 다수개의 브라켓(310)에 연결된 다수개의 체인로프(74)와, 상기 체인로프(74)의 끝단부에 고정된 침추(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표(4)는 부표몸체(402)와, 상기 부표몸체(402)의 상부중앙에 설치된 부표연결고리(401)와, 상기 부표몸체(402)의 상부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4곳에 설치된 4개의 부표보조연결고리(405)와,
    상기 부표몸체(402)의 상부 일측에 설치된 부표표시등지지대(409)및 부표표시등(408)과, 상기 부표몸체(402)의 중간 테두리부에 설치되는 완충돌부(406)와, 상기 부표몸체(402)의 하부에 설치되는 부표하부연결고리(403)와, 상기 부표하부연결고리(403)의 하부에 연결되는 체인로프(74)와, 상기 체인로프(74)의 최하부에 설치된 침추(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거펜스(2)는 외부에 설치된 직경 600mm의 수거펜스외부파이프(21)와, 상기 수거펜스외부파이프(21)의 내부중앙에 내장되는 직경 400mm의 수거펜스중간파이프(22)와, 상기 수거펜스중간파이프(22)에 내부 중앙에 내장되는 직경 100mm의 수거펜스내부파이프(23)와, 상기 수거펜스외부파이프(21)와 수거펜스중간파이프(22) 및 수거펜스내부파이프(23)사이의 양단끝을 밀봉시켜 상기 수거펜스외부파이프(21)와 수거펜스중간파이프(22)사이와 수거펜스중간파이프(22)와 수거펜스내부파이프(23)사이에 설치된 공간부(미도시)와, 상기 수거펜스내부파이프(23) 내부에 관통되는 체인로프(74)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내펜스(6)는 직경 400mm의 안내펜스외부파이프(61)와, 상기 안내펜스외부파이프(61)의 내측에 중앙부에 내장되는 직경 100mm의 안내펜스내부파이프(62)와, 상기 안내펜스외부파이프(61)와 안내펜스내부파이프(62)사이의 양단끝은 밀봉시켜 생성된 공간부(미도시)와, 안내펜스내부파이프(62)의 내부에 관통되는 체인로프(74)와, 상기 체인로프(74)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침추(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6.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를 이용한 수거방법에 있어서,
    바지선(1)과 부표(4) 사이에 와이어로프피복관(72)에 의해 연결된 피이 재질의 부잔교(3)와 부잔교(3)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된 안내가이드(30)를 이용하여 부유쓰레기를 수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를 이용한 수거방법.
  7.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를 이용한 수거방법에 있어서,
    다수개의 안내펜스(6)를 이용하여 일차 부유쓰레기를 안내한 다음, 2차로 안내펜스(6)의 후면에 설치되며 바지선(1)과 부표(4) 사이에 와이어로프피복관(72)에 의해 연결된 피이 재질의 부잔교(3)와 부잔교(3)의 하부에 설치된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된 안내가이드(30)를 이용하여 부유쓰레기를 수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를 이용한 수거방법.
  8.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를 이용한 수거방법에 있어서,
    바지선(1)의 바지선개선주(11)에 와이어로프피복관(72)으로 수거펜스(2)를 연결시키고,
    상기 수거펜스(2)의 다른 일측은 와이어로프피복관(72)에 의해 부잔교(3)에 연결되며,
    상기 바지선개선주(11)에 와이어로프피복관(72)과 PP로프(73)로 부잔교(3)를 고정시키고,
    상기 부잔교(3)의 다른 일측은 와이어로프피복관(72)과 PP로프(73)로 부표(4,5)의 부표연결고리(401) 및 4개의 부표보조연결고리(405)에 연결시킨 다음, 부잔교(3)의 중간 일측에 일정간격 이격시킨 다수개의 체인로프(74)를 물속으로 하강시켜 체인로프(74)의 끝단부에 침추(8)에 고정시켜 설치하고, 부잔교(3)의 전면에 별도로 다수개의 안내펜스(6)를 설치한 다음,
    상기 부잔교(3)로 부유쓰레기가 유입되면, 부잔교(3)전면에 설치된 다수개의 안내펜스(6)에 부유쓰레기가 부딪쳐 안내펜스(6)의 안내에 의해 부잔교(3)에 연결된 수거펜스(2)로 수집되도록 하고,
    안내펜스(6)사이로 유입된 부유쓰레기는 부잔교(3)의 다수개의 통공이 구비된 안내가이드(30)에 의해 바지선(1)과 부잔교(3) 사이의 수거펜스(2)로 부유쓰레기가 수집되면 바지선(1)에서 크레인 또는 자동수거장치(콘베어형식)를 이용하여 부유쓰레기를 수거하며, 부표와 부잔교는 하부에 체인로프(74)의 끝단부에 침추(8)에 연결에 의해 와류나, 파도 및 부유쓰레기의 저항을 이겨내면서 부유쓰레기를 수거함을 특징으로 하는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를 이용한 수거방법.
KR1020110103857A 2011-10-12 2011-10-12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거방법 KR101166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857A KR101166338B1 (ko) 2011-10-12 2011-10-12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3857A KR101166338B1 (ko) 2011-10-12 2011-10-12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66338B1 true KR101166338B1 (ko) 2012-07-18

Family

ID=46716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3857A KR101166338B1 (ko) 2011-10-12 2011-10-12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663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1021A (zh) * 2018-06-12 2018-10-16 国家海洋局第三海洋研究所 江海近岸入海口源头垃圾拦截及收集系列控制系统
KR102422825B1 (ko) 2021-11-09 2022-07-19 이종택 IoT 센싱 수상펜스
CN115053037A (zh) * 2020-01-29 2022-09-13 倾力护绿私人有限责任公司 垃圾收集装置
CN116062918A (zh) * 2023-03-07 2023-05-05 安徽泛湖生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湖泊治理的移动曝气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751A (ja) 2000-09-12 2002-03-27 Kaiwa Tec Kk ゴミ用フェンス
KR100468438B1 (ko) 2004-02-10 2005-01-31 강막동 강물의 부유 쓰레기 차단 유도장치 및 그 방법
KR100899572B1 (ko) 2008-11-14 2009-05-26 (주)보원엔지니어링 하천 제방의 이동식 부유물 수거장치
KR100953300B1 (ko) 2009-06-04 2010-04-20 문재현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88751A (ja) 2000-09-12 2002-03-27 Kaiwa Tec Kk ゴミ用フェンス
KR100468438B1 (ko) 2004-02-10 2005-01-31 강막동 강물의 부유 쓰레기 차단 유도장치 및 그 방법
KR100899572B1 (ko) 2008-11-14 2009-05-26 (주)보원엔지니어링 하천 제방의 이동식 부유물 수거장치
KR100953300B1 (ko) 2009-06-04 2010-04-20 문재현 수상 부유물 유도 처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61021A (zh) * 2018-06-12 2018-10-16 国家海洋局第三海洋研究所 江海近岸入海口源头垃圾拦截及收集系列控制系统
CN108661021B (zh) * 2018-06-12 2024-03-01 自然资源部第三海洋研究所 江海近岸入海口源头垃圾拦截及收集系列控制系统
CN115053037A (zh) * 2020-01-29 2022-09-13 倾力护绿私人有限责任公司 垃圾收集装置
US20230143559A1 (en) * 2020-01-29 2023-05-11 All In On Green Aps Garbage Collection Apparatus
KR102422825B1 (ko) 2021-11-09 2022-07-19 이종택 IoT 센싱 수상펜스
CN116062918A (zh) * 2023-03-07 2023-05-05 安徽泛湖生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湖泊治理的移动曝气装置
CN116062918B (zh) * 2023-03-07 2023-08-08 安徽泛湖生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湖泊治理的移动曝气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24085B1 (ko)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는 하천 부유물 수거장치
US6478954B1 (en) Debris collecting apparatus
KR101166338B1 (ko)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거방법
KR101611209B1 (ko) 오탁방지장치
CN107859016B (zh) 一种水华藻类拦挡富集收集除藻系统
KR101272903B1 (ko)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
KR100694606B1 (ko) 인공부도와 차수막을 이용한 저수지 유입부 오염물질 정화장치
KR20090011975A (ko) 수면의 부유폐기물 수거장치
WO2012074240A2 (ko) 하천의 부유물 수거장치
US3884810A (en) Anti pollution waterway device and process
US65761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floating debris
JP5776083B2 (ja) 非常用防護装置
EP1401774A1 (en) Method of controlling contaminant flow into water reservoir
KR100541071B1 (ko) 부양걸름체에 의한 부유물 제거장치
JP6521199B2 (ja) 浮桟橋式の網場
KR200407931Y1 (ko) 저수기능을 갖는 하천의 자연정화구조물
KR20070061500A (ko) 부유형 오물수거장치에 의한 하천정화공법
KR101061838B1 (ko) 해양생물 제어장치
KR20100133159A (ko)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CN208618373U (zh) 自清洁拦污导污系统
KR101147553B1 (ko) 오탁 방지공법
KR20000036265A (ko) 수변 식물을 이용한 하천의 수질 정화 시스템
JP2008196263A (ja) 汚濁防止装置
JPS58526B2 (ja) レンゾクキホウヘキニヨル オダクカクサンボウシコウホウ
CN208561760U (zh) 清污隔离反应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