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61838B1 - 해양생물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해양생물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61838B1
KR101061838B1 KR1020100089102A KR20100089102A KR101061838B1 KR 101061838 B1 KR101061838 B1 KR 101061838B1 KR 1020100089102 A KR1020100089102 A KR 1020100089102A KR 20100089102 A KR20100089102 A KR 20100089102A KR 101061838 B1 KR101061838 B1 KR 101061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rine life
network
net
water
buoya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9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주
명정구
오승용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해양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한국해양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91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18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1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1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00Equipment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general hydraulic engineering, e.g. protection of constructions against ice-strains
    • E02B1/006Arresting, diverting or chasing away fish in water-courses or water intake ducts, seas or lakes, e.g. fish barrages, deterrent devices ; Devices for cleaning fish barri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는 해양생물의 취수지역으로의 유입을 차단하고 이동을 유도하거나, 상기 해양생물을 포집하고 제거하는 해양생물 제어장치로서,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양유닛으로 형성되는 유도망 부유체, 상기 유도망 부유체에 연결되어 위치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앵커 및 상기 유도망 부유체에 설치되어, 해양생물의 취수지역 유입을 차단하고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망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는 상기 유도망 부유체의 취수지역 바깥쪽에 연결되고,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양유닛으로 형성되며, 둘레가 폐쇄되도록 형성되는 수용망 부유체 및 상기 수용망 부유체에 설치되고, 둘레 면이 폐쇄되도록 형성되며,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해양생물의 유입구가 형성되는 수용망을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는 상기 수용망에 수용되는 해양생물을 잘게 분해하는 고속세절기와, 분해물을 끌어올리는 피쉬펌프와, 상기 피쉬펌프에 의해 끌어올려진 상기 분해물을 염처리하여 물을 분리시키는 수분리장치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에 의해 발전소 등의 취수지역에 해파리 등 해양생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물의 흐름에 따라 취수지역 바깥으로 이동을 유도하며, 해양생물을 포집하여 제거함으로써, 발전소 등의 피해를 줄이고, 작동 안정성 및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해양생물 제어장치{APPARATUS FOR CONTROLLING MARINE ORGANISMS}
본 발명은 해양생물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발전소 등의 취수지역에 해파리 등 해양생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물의 흐름에 따라 취수지역 바깥으로 이동을 유도하며, 해양생물을 포집하여 제거함으로써, 발전소 등의 작동 안정성 및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해양생물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에 건설된 각종 산업 시설, 예를 들어 원자력 또는 화력 발전소에서는 해수를 취수하여 발전소에서 필요한 냉각수로 사용한다. 이 때 해수에 포함되어 있는 해파리, 멸치, 새우 또는 해조류 등의 해양생물과 기타 이물질이 취수되지 않아야 정상적인 냉각수로 사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종래의 원자력 또는 화력 발전소의 취수구로 해수가 취수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수중에 설치된 취수구를 통해 해수를 유입하고, 발전소의 냉각장치로 해수가 유입되기 전에 스크린이 설치되어 해수에 포함된 상기의 해양생물이나 이물질 등을 스크린에 의해 거르게 되고, 걸러진 상기의 해양생물을 걷어내는 방식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근래 수온상승으로 인해 상기 해양생물 중 특히 다량의 해파리 떼가 국내 해역으로 유입되는 실정이고, 이 해파리 떼가 해수와 함께 취수구로 유입되어 스크린에 부착하여 이를 막아 발전소 전체의 가동이 중단되어 발전을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해파리 떼에 의한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폐쇄현상은 초당 60-70톤 정도의 냉각수를 필요로 하는 원자력 발전소를 정지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른 경제적 손실은 수백억원에 달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발전소 등의 취수지역에 해파리 등 해양생물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물의 흐름에 따라 취수지역 바깥으로 이동을 유도하며, 해양생물을 포집하여 제거함으로써, 발전소 등의 피해를 줄이고, 작동 안정성 및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해양생물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는 해양생물의 취수지역으로의 유입을 차단하고 이동을 유도하거나, 상기 해양생물을 포집하고 제거하는 해양생물 제어장치로서,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양유닛으로 형성되는 유도망 부유체, 상기 유도망 부유체에 연결되어 상기 유도망 부유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앵커 및 상기 유도망 부유체에 설치되어, 해양생물의 취수지역 유입을 차단하고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는 상기 유도망은 그물과, 상기 그물에 수면의 수직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복수의 체인과, 상기 그물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그물은 하단이 해저 바닥까지 내려오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는 상기 유동망 부유체의 취수지역 바깥쪽에 연결되고,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양유닛으로 형성되며, 둘레가 폐쇄되도록 형성되는 수용망 부유체 및 상기 수용망 부유체에 설치되고, 둘레 면이 폐쇄되도록 형성되며,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해양생물의 유입구가 형성되는 수용망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는 상기 수용망 부유체 및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는 상기 수용망으로 이루어지는 수용망 세트 두 개가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결합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수용망 세트 두 개가 결합한 상태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는 상기 수용망은 그물과, 상기 그물에 수면의 수직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복수의 체인과, 상기 그물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체인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는 상기 수용망에 수용되는 해양생물을 잘게 분해하는 고속세절기와, 분해물을 끌어올리는 피쉬펌프와, 상기 피쉬펌프에 의해 끌어올려진 상기 분해물을 염처리하여 물을 분리시키는 수분리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는 상기 부양유닛은 부력을 갖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복수의 부력파이프와, 상기 부력파이프가 삽입 결합되도록 파이프 구멍이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부력파이프가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되는 발판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는 상기 부력파이프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격벽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는 해양생물의 취수지역으로의 유입을 차단하고 이동을 유도하거나, 상기 해양생물을 포집하고 제거하는 해양생물 제어장치로서,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양유닛으로 형성되는 유도망 부유체와 상기 유도망 부유체에 연결되어 위치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앵커와 상기 유도망 부유체에 설치되어 해양생물의 취수지역 유입을 차단하고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망을 포함하는 해양생물 유입 차단 및 이동 유도 장치, 상기 유동망 부유체의 취수지역 바깥쪽에 연결되고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양유닛으로 형성되며 둘레가 폐쇄되도록 형성되는 수용망 부유체와 상기 수용망 부유체에 설치되고 둘레 면이 폐쇄되도록 형성되며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해양생물의 유입구가 형성되는 수요망을 포함하는 해양생물 포집장치 및 상기 수용망에 수용되는 해양생물을 잘게 분해하는 고속세절기와, 분해물을 끌어올리는 피쉬펌프와, 상기 피쉬펌프에 의해 끌어올려진 상기 분해물을 염처리하여 물을 분리시키는 수분리장치를 포함하는 해양생물 제거장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는 취수지역에 유도망 부유체와 유도망을 설치함으로써, 해파리 등 해양생물이 취수지역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물의 흐름에 따라 해양생물이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 유도하여 발전소 등 해안 산업 시설의 피해를 줄이고 작동 안정성 및 작동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용망 부유체와 수용망에 의해 해파리 등 해양생물을 수용하고, 수용된 해양생물을 고속세절기, 피쉬펌프, 수분리장치에 의해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발전소 등의 해안 산업 시설에 악영향을 미치는 해파리 등의 해양생물의 수를 제어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도망 및 수용망은 그물과 체인이 결합되는 구조로서, 해파리 등 해양생물의 충돌과 강한 유속에 영향을 많이 받지 않고, 수면에 거의 수직하게 위치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유도망 부유체와 수용망 부유체의 일 구성인 부력파이프는 큰 부력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상기 그물과 체인으로 이루어진 유도망과 수용망의 무게를 지탱할 수 있고, 유연성이 강한 소재를 선택하여 파도의 영향에 강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부력파이프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격벽이 형성되어 부력파이프 일부가 파손되는 경우에도 나머지 부분에는 여전히 부력이 남아 있어 쉽게 가라앉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응용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부양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부양유닛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성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해양생물의 취수지역으로의 유입을 차단하고 이동을 유도하거나, 상기 해양생물을 포집하고 제거하는 해양생물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는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양유닛(110)으로 형성되는 유도망 부유체(100), 상기 유도망 부유체(100)에 연결되어 위치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앵커(200) 및 상기 유도망 부유체(100)에 설치되어, 해양생물의 취수지역 유입을 차단하고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망(300)을 포함한다. 이하, 일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원자력 또는 화력 발전소 등 해안 산업시설의 취수구 부근의 해역을 취수지역이라고 정의한다. 도 1에서는 유도망 부유체(100)를 기준으로 위쪽이 취수지역이고, 아래쪽은 취수지역 바깥이 된다. 또한, 도 1을 기준으로 오른쪽 아래에서 왼쪽 위로 밀물이 흐르고, 왼쪽 위에서 오른쪽 아래로 썰물이 흐르는 것으로 한다. 또한, 해양생물에는 해파리, 새우, 해조류 등이 포함되고, 배경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파리가 특히 문제된다.
유도망 부유체(100)는 취수지역에 형성되어 있는 방파제 사이에 형성되고 유도망 부유체(100)에 유도망(300)이 설치된다. 유도망 부유체(100) 및 유도망(300)은 밀물과 썰물의 저항을 너무 받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유도망 부유체(100) 및 유도망(300)이 밀물 또는 썰물 방향과 나란하거나, 비스듬하게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만약, 유도망 부유체(100) 및 유도망(300)과 밀물 또는 썰물의 방향이 이루는 각도가 너무 커 밀물과 썰물의 저항을 많이 받게 되는 경우 경우에는 밀물과 썰물의 저항력과 해양생물의 충돌에 의해 유도망 부유체(100) 및 유도망(300)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또한, 이 경우에는 해양생물을 밀물 또는 썰물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따라서, 유도망 부유체(100) 및 유도망(300)을 밀물 또는 썰물 방향과 나란하거나, 비스듬하게 위치시킴으로써, 유도망(300)에 의해 해양생물의 취수지역에의 유입을 차단하고, 또한, 해양생물이 유도망(300)에 충돌하지 않고 밀물 또는 썰물을 따라 자연스럽게 이동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또한, 유도망 부유체(100)에는 복수의 앵커(200)가 계류되어 위치가 고정된다. 앵커(200)는 유도망 부유체(100)의 양단부에 기본적으로 각각 두 개씩 계류된다. 유속 및 해양생물의 영향에 따라 앵커(200)는 유도망 부유체(100) 여러 곳에 계류될 수 있다. 또한, 앵커(200)는 유도망 부유체(100)와 유도망(300)을 지탱할 수 있도록 충분한 무게를 가진다.
유도망(300)은 그물(310)과, 그물(310)에 수면의 수직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복수의 체인(320)을 포함한다. 또한, 그물(31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체인(330)을 더 포함한다. 또한, 그물(310)은 하단이 해저 바닥까지 내려오도록 형성된다.
유도망(300)이 단순 그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해양생물에 의해 쉽게 파손되거나, 해류에 의해 고정되지 못하고 기울어짐으로써 하부에 공간이 생겨 해양생물이 취수지역으로 유입될 염려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유도망(300)은 그물(310)에 체인(320)을 결합함으로써 강성을 향상시켜 해양생물에 의해 쉽게 파손되지 않는다. 또한, 결합된 체인(320)의 자중에 의해, 해양생물이나 해류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수면에 대해 거의 수직하는 위치를 유지하게 된다. 그럼으로써, 해양생물은 유도망(300)에 대항하지 못하고 유도망(300)을 따라 밀물과 썰물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또한, 그물(310)의 하단과 해저 바닥 사이에 공간이 생기지 않게 되므로 해양생물이 취수지역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된다.
체인(320)은 그물(310)에 전선 타이로 결합 고정된다. 그물(310)에 체인(320)을 결합하는 결합수단은 전선 타이 외에 끈, 철사 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는 유도망 부유체(100)의 취수지역 바깥쪽에 연결되고,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양유닛(110)으로 형성되며, 둘레가 폐쇄되도록 형성되는 수용망 부유체(500)와 상기 수용망 부유체(500)에 설치되고, 둘레 면이 폐쇄되도록 형성되며,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해양생물의 유입구(640)가 형성되는 수용망(600)을 더 포함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는 해양생물을 취수지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밀물과 썰물을 따라 이동하도록 유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해양생물 특히 해파리가 급증함에 따라 해양 생태계가 파괴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해양생물을 포집하여 제거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로서 해양생물을 포집하는 수용망 부유체(500) 및 수용망(600)을 도시한다.
수용망 부유체(500)는 해양생물이 존재하는 취수지역 바깥쪽에 형성되고, 작업자가 유도망 부유체(100) 및 수용망 부유체(500) 위에서 이동하면서 작업할 수 있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다. 또한, 유도망 부유체(100)와 마찬가지로 물 위에 떠 있도록 부력을 같는 부양유닛(110)으로 형성된다. 또한, 해양생물을 가두기 위해 둘레가 폐쇄되도록 형성된다. 도 2에서는 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는 수용망 부유체(500)가 도시된다. 둘레가 폐쇄되도록 형성되면 되므로 각형, 원형 등 다양항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용망(600)은 수용망 부유체(500)의 일측 또는 하단에 결합 설치된다. 또한, 수용망(600)은 수용망 부유체(500)에 대응되고 해양생물을 가두기 위해 둘레 면이 폐쇄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도망(300)을 따라 해양생물이 밀물과 썰물 흐름에 따라 이동하면서 상기 수용망(600)에 유입되도록 수용망(600)은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해양생물의 유입구(640)가 형성된다. 즉 밀물과 썰물에 대항하는 면에 유입구(640)가 형성된다. 도 2의 다른 실시예는 양측에 유입구(640)가 형성된 수용망(600)을 도시한다. 또한, 유입구(640)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나, 포집된 해양생물이 쉽게 빠져 나가지 못하도록 적정한 수로 형성되어야 한다. 또한, 유입된 해양생물이 유입 수용된 후 다시 밖으로 빠져 나가기 어렵도록 유입구(640)가 수용망(600) 내부로 점점 좁아지도록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도 2의 다른 실시예를 응용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에서는 유입구(640)가 양측에 형성되어 일측의 유입구(640)로 해양생물이 유입된 후 일부의 해양생물은 타측의 유입구(640)로 빠져 나가게 된다. 따라서, 해양생물의 포집 효율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 3의 해양생물 제어장치는 수용망 부유체(500) 및 일측에 유입구(640)가 형성되는 수용망(600)으로 이루어지는 수용망(600) 세트 두 개가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결합 설치되고, 유입구(640)는 수용망(600) 세트 두 개가 결합한 상태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다. 즉, 두 개의 수용망(600) 세트의 사이에는 유입구(640)가 마련되지 않고 막혀 있다. 따라서, 밀물과 썰물을 따라 유입된 해양생물은 수용망(600) 내부에 갇히게 된다. 그리고, 밀물과 썰물의 방향이 바뀌어 해양생물이 수용망(600)으로부터 빠져나가기 전에 후술할 해양생물 제거장치에 의해 해양생물을 제거한다. 또한, 양측에 유입구(640)가 마련된 수용망(600)을 포함하는 수용망(600) 세트 두 개가 결합 설치되더라도, 두 개의 수용망(600) 세트의 사이의 유입구(640)가 서로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수용망(600)은 그물(610)과, 상기 그물(610)에 수면의 수직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복수의 체인(620)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그물(610)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체인(6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물(610)에 체인(620)을 결합한 것에 관한 것은 상기 유도망(300)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다만, 유도망(300)은 해양생물이 취수지역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물(310)의 하단이 해저 바닥까지 내려오도록 형성되어야 하나, 수용망(600)의 경우에는 하단이 해저 바닥까지 내려오도록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급격히 늘어난 해파리와 같은 해양생물의 개체수를 줄이기 위해 상기 수용망(600)에 포집된 해양생물은 제거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수용망(600)에 수용되는 해양생물을 잘게 분해하는 고속세절기(800)와, 분해물을 끌어올리는 피쉬펌프(810)와, 상기 피쉬펌프(810)에 의해 끌어올려진 상기 분해물을 염처리하여 물을 분리시키는 수분리장치(820)를 포함된다. 상기의 장치들은 도 2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서는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이하, 해양생물 제거와 관련하여 해양생물 중 해파리를 예로 설명한다.
고속세절기(800)는 모터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를 포함한다. 작업자가 끌체 등으로 포집된 해파리를 모은 후, 고속세절기(800)의 블레이드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해파리를 분해하게 된다. 그런데, 해파리의 분해물을 물에 그대로 두는 경우에는 포자방출로 인한 2차 산란이 가능하고, 이에 따라 해파리가 다시 번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해파리의 분해물을 피쉬펌프(810)에 의해 수분리장치(820)로 끌어올려 염처리한다. 98%가 수분인 해파리는 수분리장치(820)에 의해 분해물로부터 물이 분리되고, 분리된 물은 수분리장치(820)의 하부에 마련된 망을 통해 빠져나가게 된다. 물이 분리되고 남은 분해물의 잔해는 염처리에 의해 완전히 제거된다.
또한, 피쉬펌프(810)와 수분리장치(820)는 수용망 부유체(500) 또는 가까이에 떠있는 바지선(700)에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부양유닛(110)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부양유닛(110)을 분해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 제어장치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다.
부양유닛(110)은 부력을 갖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복수의 부력파이프(120)와, 상기 부력파이프(120)가 삽입 결합되도록 파이프 구멍이 형성되어 복수의 상기 부력파이프(120)가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브라켓(130)과, 상기 브라켓(130)의 상부에 설치되는 발판(140)을 포함한다.
상기 유도망 부유체(100) 및 수용망 부유체(500)는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양유닛(110)을 임의의 형상으로 이어서 형성되므로, 바다의 수변의 형상에 알맞은 형상으로 쉽게 형상을 가변할 수 있다. 또한, 단일한 사출 금형을 이용하여 동일 구조의 부양유닛(110)을 제작하고 다수의 부양유닛(110)을 서로 이어서 유도망 부유체(100) 및 수용망 부유체(500)의 형상을 플렉시블하게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부력파이프(120)는 직선 형태를 갖는 것이 일반적이나 유도망 부유체(100) 및 수용망 부유체(500)의 말단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만곡된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부력파이프(120)는 충격에 의해 일부분이 깨지더라도 부력을 유지하기 위해서 부력파이프(120) 내부에 소정 간격의 격벽을 형성함으로써 부력파이프(120)의 강성과 내충격성을 보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력파이프(120)의 배열 형상, 개수, 직경 등을 조절함으로써 유도망 부유체(100) 및 수용망 부유체(500)에 발생하는 부력을 조절할 수 있다.
브라켓(130)은 부력파이프(120)를 고정시키는 것으로 부력파이프(120)에 수직으로 설치된다. 유도망 부유체(100) 및 수용망 부유체(500)의 부양을 위하여 부력파이프(120)는 물론 브라켓(130)도 물보다 비중이 작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부력파이브 및 브라켓(130)을 PE, PVC 등의 합성 수지 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부양성 및 양산성 확보를 위하여 바람직하다. 또한, 내마모성이 증가되며, 피로 파괴에 의한 환경 오염이 억제된다.
한편, 브라켓(130)은 물과의 저항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물이 통과할 수 있는 다수의 홀을 구비하며, 소정의 강성 확보를 위하여 리브 구조를 취한다. 리브 사이에는 부력파이프(120)가 끼워지는 파이프 구멍이 형성된다.
발판(140)은 유도망 부유체(100) 및 수용망 부유체(500)를 유지 보수하거나, 포집된 해양생물을 제거하는 작업을 하기 위한 작업자의 통로로 활용된다. 발판(140)의 표면에는 미끄럼 방지하도록 홈이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양유닛(110)은 브라켓(130)의 일측 또는 양측 상단에 설치되는 기둥(150)과 기둥 사이를 연결하도록 설치되는 난간봉(160)을 더 포함한다. 이는 작업자가 유도망 부유체(100) 및 수용망 부유체(500)에서 작업하거나 이동할 때 물에 빠지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해양생물의 취수지역으로의 유입을 차단하고 이동을 유도하거나, 상기 해양생물을 포집하고 제거하는 해양생물 제어장치로서,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양유닛(110)으로 형성되는 유도망 부유체(100)와, 상기 유도망 부유체(100)에 연결되어 위치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앵커(200)와, 상기 유도망 부유체(100)에 설치되어, 해양생물의 취수지역 유입을 차단하고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망(300)을 포함하는 해양생물 유입 차단 및 이동 유도 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유동망 부유체의 취수지역 바깥쪽에 연결되고,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양유닛(110)으로 형성되며, 둘레가 폐쇄되도록 형성되는 수용망 부유체(500)와, 상기 수용망 부유체(500)에 설치되고, 둘레 면이 폐쇄되도록 형성되며,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해양생물의 유입구(640)가 형성되는 수요망을 포함하는 해양생물 포집장치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수용망(600)에 수용되는 해양생물을 잘게 분해하는 고속세절기(800)와, 분해물을 끌어올리는 피쉬펌프(810)와, 상기 피쉬펌프(810)에 의해 끌어올려진 상기 분해물을 염처리하여 물을 분리시키는 수분리장치(820)를 포함하는 해양생물 제거장치를 더 포함한다. 피쉬펌프(810)와 수분리장치(820)는 수용망 부유체(500) 또는 가까이에 떠있는 바지선(700)에 설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유도망 부유체 110 ... 부양유닛
120 ... 부력파이프 130 ... 브라켓
140 ... 발판 150 ... 기둥
160 ... 난간봉 200 ... 앵커
300 ... 유도망 310, 610 ... 그물
320, 620 ... 체인 330, 630 ... 하부 체인
500 ... 수용망 부유체 600 ... 수용망
640 ... 유입구 700 ... 바지선
800 ... 고속세절기 810 ... 피쉬펌프
820 ... 수분리장치

Claims (9)

  1. 해양생물의 취수지역으로의 유입을 차단하고 이동을 유도하거나, 상기 해양생물을 포집하고 제거하는 해양생물 제어장치로서,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양유닛으로 형성되는 유도망 부유체;
    상기 유도망 부유체에 연결되어 상기 유도망 부유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앵커;
    상기 유도망 부유체에 설치되어, 해양생물의 취수지역 유입을 차단하고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망;
    상기 유도망 부유체의 취수지역 바깥쪽에 연결되어 배치되고,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양유닛으로 형성되며, 둘레가 폐쇄되도록 형성되는 수용망 부유체; 및
    상기 수용망 부유체에 설치되고, 둘레 면이 폐쇄되도록 형성되며,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해양생물의 유입구가 형성되는 수용망;을 포함하는 해양생물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망은,
    그물과, 상기 그물에 수면의 수직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복수의 체인과, 상기 그물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체인을 포함하고,
    상기 그물은 하단이 해저 바닥까지 내려오도록 형성되는 해양생물 제어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망 부유체 및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되는 상기 수용망으로 이루어지는 수용망 세트 두 개가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결합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수용망 세트 두 개가 결합한 상태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는 해양생물 제어장치.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망은,
    그물과, 상기 그물에 수면의 수직방향으로 고정 결합되는 복수의 체인과, 상기 그물의 하단에 결합되는 하부 체인을 포함하는 해양생물 제어장치.
  6.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망에 수용되는 해양생물을 잘게 분해하는 고속세절기와, 분해물을 끌어올리는 피쉬펌프와, 상기 피쉬펌프에 의해 끌어올려진 상기 분해물을 염처리하여 물을 분리시키는 수분리장치를 더 포함하는 해양생물 제어장치.
  7.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양유닛은,
    부력을 갖도록 내부가 비어있는 부력파이프와,
    상기 부력파이프가 삽입 결합되도록 파이프 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부력파이프가 고정 결합되도록 하는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상부에 설치되는 발판을 포함하는 해양생물 제어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파이프의 내부에 소정 간격으로 격벽이 형성되는 해양생물 제어장치.
  9. 해양생물의 취수지역으로의 유입을 차단하고 이동을 유도하거나, 상기 해양생물을 포집하고 제거하는 해양생물 제어장치로서,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양유닛으로 형성되는 유도망 부유체와, 상기 유도망 부유체에 연결되어 위치를 고정시키는 복수의 앵커와, 상기 유도망 부유체에 설치되어, 해양생물의 취수지역 유입을 차단하고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을 유도하는 유도망을 포함하는 해양생물 유입 차단 및 이동 유도 장치;
    상기 유동망 부유체의 취수지역 바깥쪽에 연결되고, 부력을 갖는 복수의 부양유닛으로 형성되며, 둘레가 폐쇄되도록 형성되는 수용망 부유체와, 상기 수용망 부유체에 설치되고, 둘레 면이 폐쇄되도록 형성되며, 물이 흐르는 방향으로 일측 또는 양측에 해양생물의 유입구가 형성되는 수요망을 포함하는 해양생물 포집장치; 및
    상기 수용망에 수용되는 해양생물을 잘게 분해하는 고속세절기와, 분해물을 끌어올리는 피쉬펌프와, 상기 피쉬펌프에 의해 끌어올려진 상기 분해물을 염처리하여 물을 분리시키는 수분리장치를 포함하는 해양생물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해양생물 제어장치.
KR1020100089102A 2010-09-10 2010-09-10 해양생물 제어장치 KR101061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102A KR101061838B1 (ko) 2010-09-10 2010-09-10 해양생물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9102A KR101061838B1 (ko) 2010-09-10 2010-09-10 해양생물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1838B1 true KR101061838B1 (ko) 2011-09-05

Family

ID=449568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9102A KR101061838B1 (ko) 2010-09-10 2010-09-10 해양생물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18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2704B1 (ko) 2013-03-06 2013-05-15 주식회사 세원리테크 해파리 차단막 장치
KR200475468Y1 (ko) * 2012-11-21 2014-12-03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해조류 제거장치
KR102020273B1 (ko) * 2018-09-19 2019-09-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 미세 플라스틱 및 부유 오염물질 대량 포집 시스템
KR102415756B1 (ko) 2021-07-20 2022-07-05 오션파트너즈 주식회사 해양 생물 제거 및 유지 관리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6317A (ja) * 1998-12-22 2000-07-04 Kaneko Tetsuya 取水口への浮遊物流入防止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86317A (ja) * 1998-12-22 2000-07-04 Kaneko Tetsuya 取水口への浮遊物流入防止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5468Y1 (ko) * 2012-11-21 2014-12-03 한국남부발전 주식회사 해조류 제거장치
KR101262704B1 (ko) 2013-03-06 2013-05-15 주식회사 세원리테크 해파리 차단막 장치
KR102020273B1 (ko) * 2018-09-19 2019-09-1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 미세 플라스틱 및 부유 오염물질 대량 포집 시스템
KR102415756B1 (ko) 2021-07-20 2022-07-05 오션파트너즈 주식회사 해양 생물 제거 및 유지 관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07059B2 (ja) 水面清掃船
KR100927474B1 (ko) 수면의 부유폐기물 수거장치
KR101061838B1 (ko) 해양생물 제어장치
KR101474066B1 (ko) 해파리 수집 및 절단장치
KR20140130656A (ko) 해파리 수집 및 절단장치
KR200436112Y1 (ko) 해양생물 유입방지용 어망
KR100541071B1 (ko) 부양걸름체에 의한 부유물 제거장치
KR200493504Y1 (ko) 해양 부유물 포집기
CN101768946A (zh) 蓝藻收集打捞装置
JP5752230B2 (ja) 異物洋上処理システム
KR101166338B1 (ko)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거방법
KR100886012B1 (ko)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어망의 구조
KR20090116872A (ko) 원자력 발전소 취수구의 해양생물 유입방지 및 모니터링장치
KR101182753B1 (ko) 부유식 고속스크린 장치
JP2009022834A (ja) 水中及び水底に浮遊又は堆積する不要藻類、浮泥等を回収する装置
JP4269310B2 (ja) クラゲ流入防止装置
NO20211093A1 (en) A fish farming facility comprising a water outlet cleaning device
JP4202226B2 (ja) 取水口への異物流入防止装置
JP2007205040A (ja) クラゲ捕集回収装置
CN201339180Y (zh) 蓝藻收集打捞装置
JP7274146B2 (ja) 漂流物移送装置
KR200172814Y1 (ko)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그물망
JP7092857B2 (ja) 生物流入抑制装置、生物流入抑制システム及び生物流入抑制方法
KR200475468Y1 (ko) 해조류 제거장치
KR200172812Y1 (ko) 해양생물 유입 방지용 어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