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72903B1 -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 - Google Patents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72903B1
KR101272903B1 KR1020120155265A KR20120155265A KR101272903B1 KR 101272903 B1 KR101272903 B1 KR 101272903B1 KR 1020120155265 A KR1020120155265 A KR 1020120155265A KR 20120155265 A KR20120155265 A KR 20120155265A KR 101272903 B1 KR101272903 B1 KR 101272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twork
diffusion prevention
contaminants
unit
col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5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식
김주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안
Priority to KR1020120155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72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72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72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Details of conn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에 관한 것으로, 해안, 호수, 하천 등의 매립 및 준설공사 등 토목공사 시 발생하는 오염물의 확산을 차단하고 오염물의 수거가 용이하며 앵커의 정착력을 증대함과 아울러 앵커가 완충력을 발휘하여 파손을 방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은, 내부에 부력재가 채워지는 통 구조이며 해수 또는 하천수에 부유하는 부구(111), 상기 부구의 저부에 연결되며 수면으로부터 일정 수심에 부유하는 오염물을 거르는 오탁확산 방지망(112)과, 상기 오탁확산 방지망의 저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오탁확산 방지망이 수중에서 펼쳐지도록 하는 웨이트(113), 상기 오탁확산 방지망에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오탁확산 방지망에 걸린 오염물이 담기는 수거낭(114)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단위 오탁수거망(110)이 연결수단(120)을 통해 조립되어 이루어진 수거망 조립체(100)와; 상기 수거망 조립체의 길이방향의 좌우 양측의 단부를 포함하는 2개소 이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수거망 조립체를 수중 바닥에 정착하는 앵커수단(200)을 포함하고, 상기 앵커수단은 각각 상기 수거망 조립체에 연결되는 로프(210), 상기 로프의 저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체인(220,230), 상기 한 쌍의 체인에 각각 연결되며 수중 바닥에 정착되는 제1,2앵커(221,231)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SILT PREVENT THE SPREAD OF TEMPORARY FOR HARBOR RENOVATION AND, MARINE DREDGING AND RECLAMATION}
본 발명은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해안, 호수, 하천 등의 매립 및 준설공사 등 토목공사 시 발생하는 오염물의 확산을 차단하는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해안, 호수, 하천 등의 매립 및 준설공사 등 토목공사를 시행할 경우에 해안, 호수, 하천 등에서 토사, 각종 오염물에 의해 오탁수가 발생하는 것은 물론이고, 해안, 호수, 하천의 밑바닥에 존재하던 침전물(silt)들이 부유하면서 오탁수가 발생되고, 오탁수는 공사장 주변의 호수, 하천으로 확산되어 주변해역이나 호수, 하천을 오염시키기 때문에 오탁수에 의해 주변지역으로 오염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공사장 주변으로 오탁방지장치를 설치하여 공사장을 주변지역과 격리시키게 한다.
상기 오탁방지장치는 토사 또는 부유물질이 함유된 오탁수의 수중확산을 방지하는 오탁방지막과, 오탁방지막의 상단에 결합되어 오탁방지막이 수중으로 늘어지게 설치되도록 하는 부유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유수단은 바람이나 파도 등에 의해 떠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오탁방지막과 함께 로프를 이용해 수중바닥에 설치된 고정블록 또는 닻(앵커) 등의 고정수단에 각각 고정되게 설치된다.
상기 오탁방지장치의 부유수단과 관련한 선행기술로, 예를 들면,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33018호에 오탁방지막과 부유체를 내장한 한 쌍의 케이스에 발광체를 부착하여 야간에 오탁방지장치의 설치상태를 식별할수 있도록 구성한 오탁방지막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이는 오탁방지장치의 부유수단에 있어서 분리형(커버형)부유수단과 관련된 기술이며, 또 국내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01264호에 플라스틱망에 부유체를 억지끼움으로 삽입한 부유체를 오탁방지막의 상부에 일체형으로 형성된 부유몸체에 끼워 고정시킨 부유장치를 개시하고 있으며, 일본공개특허공보 특개2003-184060호에는 경량이면서도 작업성이 우수하고 소각할 때 다이옥신의 발생이 적은 폴리에스테르를 원착사로 편직한 것으로 부유체를 감싸는 포장재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 기술에 의한 오탁방지장치는 대개 그물의 오탁방지망에 의해 부유물 등의 확산을 방지하는 것으로, 부유물이 오탁방지망에 전체적으로 걸리기 때문에 부유물의 수거가 어려운 실정이며, 하나의 앵커가 로프만으로 설치되어 오탁방지망의 정착력이 약하고 해수나 하천수의 흐름에 의한 유동성(완충)이 약하여 앵커가 끊어져 분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 오탁방지망은 길이 가변이 불가능한 일체형이기 때문에 공사현장의 여건에 맞는 크기의 제작과 재사용이 어렵고 취급(설치, 수거)이 불편한 문제점도 있다.
공개특허 제10-1998-44956호 등록특허 제10-0225025호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해안, 호수, 하천 등의 매립 및 준설공사 등 토목공사 시 발생하는 오염물의 확산을 차단하고 오염물의 수거가 용이하며 앵커의 정착력을 증대함과 아울러 앵커가 끊어지지 않으면서 유동성 있게 움직일 수 있는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사 현장의 여건에 맞는 크기의 제작이 용이하고 설치 등이 용이하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은, 내부에 부력재가 채워지는 통 구조이며, 해수 또는 하천수에 부유하는 부구, 상기 부구의 저부에 연결되며 수면으로부터 일정 수심에 부유하는 오염물을 거르는 오탁확산 방지망과, 상기 오탁확산 방지망의 저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오탁확산 방지망이 수중에서 펼쳐지도록 하는 웨이트, 상기 오탁확산 방지망에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오탁확산 방지망에 걸린 오염물이 담기는 수거낭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단위 오탁수거망이 연결수단을 통해 조립되어 이루어진 수거망 조립체와; 상기 수거망 조립체의 길이방향의 좌우 양측의 단부를 포함하는 2개소 이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수거망 조립체를 수중 바닥에 정착하는 앵커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앵커수단은 각각 상기 수거망 조립체에 연결되는 로프, 상기 로프의 저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체인, 상기 한 쌍의 체인에 각각 연결되며 수중 바닥에 정착되는 제1,2앵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에 의하면, 오탁확산 방지망을 통해 오염물의 확산을 차단함과 아울러 수거망을 이용하여 오염물을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고, 체인으로 연결된 한 쌍의 앵커를 통해 자재의 파손을 방지하면서 수거망 조립체를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오탁방지망의 조립을 통해 설치 현장에 맞는 크기의 오탁방지 가시설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에 적용된 수거낭의 분리 상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에 적용된 단위 오탁수거망의 분리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에 적용된 오탁수거낭의 작용을 보인 측면도.
도 1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은, 수거망 조립체(100), 수거망 조립체(100)를 수중 바닥에 정착하는 앵커수단(200)으로 구성된다.
수거망 조립체(100)는, 다수의 단위 오탁수거망(110)이 연결수단(120)을 통해 조립되어 이루어지며, 즉 단위 오탁수거망(110)의 수량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으므로 설치 현장의 여건에 맞는 크기의 수거망 조립체(100)를 용이하고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단위 오탁수거망(110)은 해수 또는 하천수(이하 '해수'를 예를 들어 설명함)에 부유하는 부구(111), 부구의 저부에 연결되며 수면으로부터 일정 수심에 부유하는 오염물을 거르는 오탁확산 방지망과(112), 오탁확산 방지망(112)의 저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오탁확산 방지망(112)이 수중에서 펼쳐지도록 하는 웨이트(113), 오탁확산 방지망(112)에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어 오탁확산 방지망(112)에 걸린 오염물이 담기는 수거낭(114)으로 이루어진다.
부구(111)는 내부에 공기 등의 부력재가 충진되는 통 구조이며 둘레부에는 오탁확산 방지망(112)을 고정(밴드, 로프 등)하기 위한 걸이봉(111a)(길이가 긴 봉, 구멍이 있는 고리 등)이 형성된다.
오탁확산 방지망(112)은 오염물의 진행을 막아 오염물이 확산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그물코의 크기는 오염물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며 찢어짐을 막기 위한 강도로서 1개 또는 2개 이상이 겹쳐지게 구성될 수 있고, 상부가 부구(111)의 걸이봉(111a)에 고정된다.
웨이트(113)는 오탁확산 방지망(112)이 오염물의 진행을 막기 위한 면적이 넓도록[오탁확산 방지망(112)이 펼쳐지지 않고 접히게 되면 그만큼 면적이 적어지게 되어 오염물의 확산 방지 효율이 저하됨] 자중에 의해 오탁확산 방지망(112)이 펼쳐지게 하는 것이며 밴드나 로프 등을 통해 오탁확산 방지망(112)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면에서는 부구(111)와 웨이트(113)가 길이가 긴 형태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부구(111)와 웨이트(113)는 도면에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과 수량으로 적용 가능하다.
수거낭(114)은 오탁확산 방지망(112)에 의해 흐름이 차단된 오염물, 오탁수거망(114)에 직접 들어오는 오염물을 담아 오염물이 다른 곳으로 흐를지 않도록 하고, 오탁확산 방지망(112)으로부터 분리되어 오염물의 수거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도 2와 도 4에서 보이는 것처럼, 수거낭(114)은, 오탁확산 방지망(112)에 다수의 밴드(115)로 고정되는 틀(114a), 틀(114a)에 연결되며 내부에 오탁이 담기는 낭(114b)으로 이루어진다.
틀(114a)은 오염물의 유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밴드(115)를 통해 오탁확산 방지망(112)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된다.
낭(114b)은 일반적인 그물로 이루어진 주머니 형태이며 틀(114b)에 밴드나 로프 등을 통해 고정되며 내부에 오염물을 담아 수거하며, 단 해수의 흐름에 의해 틀(114a)의 양쪽으로 이동하여 모든 곳에서 사용이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즉, 가시설의 설치 낭(114b)의 방향을 고려하지 않고 자유롭게 설치하여도 낭(114b)이 해수의 흐름에 의해 자연적으로 위치가 설정된다.
수거낭(114)은 수거된 오염물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의 이탈방지망(114c)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한편, 해수는 밀물과 썰물이 있으며, 낭(114b)이 밀물과 썰물에 따라 수시로 이동하게 되면 내부에 수거된 오염물이 외부로 확산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지역에서는 수거낭(114)이 해수의 흐름에 의해 이동하지 않도록 구성되고, 이탈방지망(114c)이 적용되지 않는다.
연결수단(120)은 단위 오탁수거망(110)들을 연결하는 것이며, 상측의 부구(111)와 하측의 웨이트(113)를 이웃하는 것들과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부구(111)와 웨이트(113)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핀공이 구비된 연결브래킷(121,122), 이웃하는 단위 오탁수거망(110)의 연결브래킷(121,122)의 핀공들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연결핀(123,124)으로 구성된다.
연결핀(123,124)은 볼트와 너트의 조립체일 수 있고, 이하는 단위 오탁수거망(110)의 각도 조정이 가능하도록 상기 볼트는 나사부와 무나사부가 구비된다.
수거망 조립체(100)는 이와 같은 구성의 단위 오탁수거망(110)들이 공사 현장의 면적에 따라 연결되어 구성된다.
수거망 조립체(100)는 원거리에서 확인이 가능하도록 부구(111)에 인디케이터(116)(깃발 등)가 갖추어질 수 있다.
앵커수단(200)은 수거망 조립체(100)를 해저 바닥에 정착하는 것이며, 수거망 조립체(100)의 길이방향의 좌우 양측의 단부를 포함하는 2개소 이상에 각각 설치된다.
앵커수단(200)은 각각 수거망 조립체(100)[오탁확산 방지망(112), 웨이트(113) 등]에 연결되는 로프(210), 로프(210)의 저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체인(220,230), 한 쌍의 체인에(220,230) 각각 연결되며 수중 바닥에 정착되는 제1,2앵커(221,231)(닻)로 구성된다.
제1,2체인(221,231)은 쇠사슬로서 거동이 자유롭기 때문에 완충력을 발휘하며, 따라서, 수거망 조립체(100)의 거동시 완충력을 통해 수거망 조립체(100)의 거동을 간섭하지 않기 때문에 끊어짐을 일으키지 않는다.
또한, 하나의 로프(210)에 한 쌍의 제1,2앵커(221,231)이 설치되고 제1,2앵커(221,231)가 수거망 조립체(100)의 양측에 각각 정착되어 수거망 조립체(100)를 더욱 견고하게 정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의 시공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수거망 조립체 제작.
공사 현장의 크기에 맞도록 수거망 조립체(100)를 제작하며, 다수의 단위 오탁수거망(110)을 연결수단(120)을 통해 조립함으로써 원하는 크기의 수거망 조립체(100)를 제작한다. 수거망 조립체(100)의 제작을 완료한 후 앵커수단(200)을 수거망 조립체(100)에 연결 설치한다. 앵커수단(200)은 수거망 조립체(100)를 해상에 설치하기 직전에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위 오탁수거망(110)과 연결수단(120)의 연결작업이 용이하므로 설치 지역으로 운반한 후 현장에서 제작할 수도 있다. 즉, 단위 오탁수거망(110)의 구조 상 선박의 갑판 등에 다단으로 적층하여 수납할 수 있으므로 공장에서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선박에서도 제작이 가능하다.
2. 설치.
수거망 조립체(100)를 선박에 수납하여 설치 지역으로 운반하며, 설치 지역의 일측에서부터 타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수거망 조립체(100)를 일측에서부터 해상에 투척하며, 웨이트(113)의 중량과 부구(111)의 부력에 의해 수거망 조립체(100)가 해수에 세워지게 되고 앵커수단(200)이 해저 바닥에 정착되어 수거망 조립체(100)에 의해 확산방지 벽이 형성된다.
본 발명 가시설의 사용이 완료되면 수거망 조립체(100)를 일측에서부터 선박으로 인양하여 단위 오탁수거망(110)을 접으면서 적층할 수 있고, 또는 선박에서 바로 연결수단(120)을 풀어 단위 오탁수거망(110)을 분리하여 수납할 수도 있다.
100 : 수거망 조립체, 110 : 단위 오탁수거망
111 : 부구, 112 : 오탁확산 방지망
113 : 웨이트, 114 : 수거낭
115 : 밴드, 116 : 이탈방지망
120 : 연결수단, 121,122 : 연결브래킷
123,124 : 연결핀, 200 : 앵커수단
210 : 로프, 220,230 : 제1,2체인
221,231 : 제1,2앵커,

Claims (4)

  1. 내부에 부력재가 채워지는 통 구조이며 해수 또는 하천수에 부유하는 부구(111), 상기 부구의 저부에 연결되며 수면으로부터 일정 수심에 부유하는 오염물을 거르는 오탁확산 방지망(112)과, 상기 오탁확산 방지망의 저부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오탁확산 방지망이 수중에서 펼쳐지도록 하는 웨이트(113), 상기 오탁확산 방지망에 주머니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오탁확산 방지망에 걸린 오염물이 담기는 수거낭(114)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단위 오탁수거망(110)이 연결수단(120)을 통해 조립되어 이루어진 수거망 조립체(100)와;
    상기 수거망 조립체에 연결되는 로프(210), 상기 로프의 저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체인(220,230), 상기 한 쌍의 체인에 각각 연결되며 수중 바닥에 정착되는 제1,2앵커(221,231)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거망 조립체의 길이방향의 좌우 양측의 단부를 포함하는 2개소 이상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수거망 조립체를 수중 바닥에 정착하는 앵커수단(200)을 포함하고,
    상기 단위 오탁수거망을 연결하는 연결수단은, 상기 부구와 웨이트의 길이방향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핀공이 구비된 연결브래킷(121,122), 상기 이웃하는 단위 오탁수거망의 연결브래킷의 핀공들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어 상기 이웃하는 단위 오탁수거망을 각도 조정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연결핀(123,124)을 포함하며,
    상기 수거낭은, 상기 오탁확산 방지망에 다수의 밴드로 고정되는 틀(114a), 상기 틀에 연결되며 내부에 오탁이 담기는 낭(114b), 일측으로 가면서 단면적이 좁아지는 형태이며 상기 낭(114b)의 입구측에 설치되어 상기 낭(114b)에 유입된 오염물이 외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망(114c)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20155265A 2012-12-27 2012-12-27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 KR101272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265A KR101272903B1 (ko) 2012-12-27 2012-12-27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5265A KR101272903B1 (ko) 2012-12-27 2012-12-27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72903B1 true KR101272903B1 (ko) 2013-06-11

Family

ID=4886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5265A KR101272903B1 (ko) 2012-12-27 2012-12-27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72903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4340A (ko) * 2015-04-17 2016-10-27 덴버코리아이엔씨 주식회사 해양오염방지시스템
CN106223298A (zh) * 2016-09-21 2016-12-14 北京星河园林景观工程有限公司 一种自动清理河道垃圾的装置
CN106245611A (zh) * 2016-09-21 2016-12-21 北京星河园林景观工程有限公司 一种河道垃圾自动清理装置
KR101690680B1 (ko) * 2016-11-16 2016-12-28 장운성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CN106337405A (zh) * 2016-09-21 2017-01-18 北京星河园林景观工程有限公司 一种自动清理河道垃圾的方法
CN106436668A (zh) * 2016-09-21 2017-02-22 北京星河园林景观工程有限公司 一种河道垃圾自动清理方法
KR101775222B1 (ko) * 2015-07-07 2017-09-05 우도영 수상 회전식 태양광 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KR101865388B1 (ko) * 2017-08-22 2018-06-07 박재민 해양쓰레기 수거장치
CN108193656A (zh) * 2018-03-26 2018-06-22 北京紫光新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橡胶坝工程河面专用的除污装置及其使用方法
KR101885521B1 (ko) * 2017-09-27 2018-08-06 조경수 오탁방지막과 그 설치방법
KR102444071B1 (ko) * 2022-04-25 2022-09-16 주식회사 에이치디이앤씨 항만 오염방지를 위한 오탁방지망
KR102606363B1 (ko) * 2023-07-31 2023-11-27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방지 가시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715Y1 (ko) * 2004-11-22 2005-03-09 김인욱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
KR101106876B1 (ko) * 2010-03-31 2012-01-2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질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오탁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6715Y1 (ko) * 2004-11-22 2005-03-09 김인욱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
KR101106876B1 (ko) * 2010-03-31 2012-01-2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수질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오탁방지장치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8960B1 (ko) * 2015-04-17 2017-02-02 덴버코리아이엔씨 주식회사 해양오염방지시스템
KR20160124340A (ko) * 2015-04-17 2016-10-27 덴버코리아이엔씨 주식회사 해양오염방지시스템
KR101775222B1 (ko) * 2015-07-07 2017-09-05 우도영 수상 회전식 태양광 발전장치를 이용한 수질정화장치
CN106337405B (zh) * 2016-09-21 2018-08-31 北京星河园林景观工程有限公司 一种自动清理河道垃圾的方法
CN106245611B (zh) * 2016-09-21 2019-03-19 北京星河园林景观工程有限公司 一种河道垃圾自动清理装置
CN106337405A (zh) * 2016-09-21 2017-01-18 北京星河园林景观工程有限公司 一种自动清理河道垃圾的方法
CN106436668A (zh) * 2016-09-21 2017-02-22 北京星河园林景观工程有限公司 一种河道垃圾自动清理方法
CN106245611A (zh) * 2016-09-21 2016-12-21 北京星河园林景观工程有限公司 一种河道垃圾自动清理装置
CN106223298A (zh) * 2016-09-21 2016-12-14 北京星河园林景观工程有限公司 一种自动清理河道垃圾的装置
CN106436668B (zh) * 2016-09-21 2018-08-31 北京星河园林景观工程有限公司 一种河道垃圾自动清理方法
KR101690680B1 (ko) * 2016-11-16 2016-12-28 장운성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KR101865388B1 (ko) * 2017-08-22 2018-06-07 박재민 해양쓰레기 수거장치
KR101885521B1 (ko) * 2017-09-27 2018-08-06 조경수 오탁방지막과 그 설치방법
CN108193656A (zh) * 2018-03-26 2018-06-22 北京紫光新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橡胶坝工程河面专用的除污装置及其使用方法
CN108193656B (zh) * 2018-03-26 2024-03-19 北京紫光新锐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橡胶坝工程河面专用的除污装置及其使用方法
KR102444071B1 (ko) * 2022-04-25 2022-09-16 주식회사 에이치디이앤씨 항만 오염방지를 위한 오탁방지망
KR102606363B1 (ko) * 2023-07-31 2023-11-27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방지 가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2903B1 (ko)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
KR100624085B1 (ko)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는 하천 부유물 수거장치
US5102261A (en) Floating containment boom
JP3983675B2 (ja) 永久・半永久防波堤構造体および海岸部および陸地部再生方法
US834854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bsorptive boom
KR101611209B1 (ko) 오탁방지장치
US20170233966A1 (en) Integrated marine barrier
KR20010099750A (ko) 기름의 회수방법 및 회수장치
CN103174117A (zh) 一种深度自动调节式抗风浪柔性围隔
IT201900017105A1 (it) Macchinario per il recupero e la rimozione di rifiuti o detriti galleggianti da corsi d’acqua
KR101689630B1 (ko) 에어버블을 이용한 이동식 소음,진동 오탁 방지 장치
JP5776083B2 (ja) 非常用防護装置
KR100541071B1 (ko) 부양걸름체에 의한 부유물 제거장치
JP2010159563A (ja) オイルフェンス
US20120087730A1 (en) Sorbent boom
US20190153685A1 (en) Wave-energy absorption system
KR101147553B1 (ko) 오탁 방지공법
KR101251602B1 (ko) 돌망태를 이용한 오탁방지망 고정장치
KR20190081533A (ko)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KR101066118B1 (ko) 앵커 및 이를 갖는 오탁방지막
CN100366825C (zh) 悬浮式拦沙滤泥水质保护装置
KR200423737Y1 (ko) 오탁막 및 오일펜스 구조물
WO2007065203A1 (en) Floating containment boom
KR102606363B1 (ko)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방지 가시설
KR20120007093U (ko) 오탁방지막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