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6715Y1 -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 - Google Patents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6715Y1
KR200376715Y1 KR20-2004-0032952U KR20040032952U KR200376715Y1 KR 200376715 Y1 KR200376715 Y1 KR 200376715Y1 KR 20040032952 U KR20040032952 U KR 20040032952U KR 200376715 Y1 KR200376715 Y1 KR 20037671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pilled
skirt
discharge pipe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욱
Original Assignee
김인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욱 filed Critical 김인욱
Priority to KR20-2004-0032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671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671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671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41Devices for distributing materials, e.g. absorbed or magnetic particles over a surface of open water to remove the oil, with or without means for picking up the treated 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6Barriers therefor construed for applying processing agents or for collecting pollutants, e.g. absorb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07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stabilis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10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from the surface
    • E02B15/108Ejec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내수면에서나 해상에서 선박으로부터 유출된 오일의 오염면적에 따라 오일펜스를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포위전장 후에, 유출유를 포집함과 동시에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는 소정의 높이로 이루어져 해양에 부유하는 고점도의 유출유를 포위전장하는 스커트와, 스커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부력부로 이루어진 오일펜스에 있어서, 스커트와 부력부 사이에 입구가 연결되는 다수의 배출관과, 각 배출관의 출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거망과, 배출관 출구에 링이 구비되고, 수거망 입구는 링보다 크게 형성되고, 수거망 입구에 결속끈이 구비되어 수거망 입구의 크기가 조절되며, 배출관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고, 둘레를 따라 개폐수단이 형성되며, 배출관과 연결되는 스커트와 부력부 사이에 형성되어, 유출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개폐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 {OILFENCE FOR RECOVERING AND DIFUSION-PREVENTING SPILLAGE OIL}
본 고안은 유출유의 확산을 방지하며, 유출유 회수가 용이한 오일펜스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내수면에서나 해상에서 선박으로부터 유출된 오일의 오염면적에 따라 오일펜스를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포위전장 후에, 유출유를 포집함과 동시에 회수할 수 있도록 하는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좌초 또는 각종 해난사고 등으로 인하여 해상에 다량으로 유출되는 기름은 파도 등에 의해 해상 오염범위가 시간이 지날수록 더 넓게 퍼지게 되는 관계로, 상기 유출된 기름이 더 넓게 퍼지지 않도록 오일펜스를 설치하여, 상기 오일펜스 내부에 기름을 가둔 후, 유화제 등을 살포하거나 또는 기름 흡착포를 적당한 간격으로 뿌려주어 인위적으로 기름 제거 작업을 하였다.
상기와 같은 기름 제거 작업은 작업자의 손에 의해 기름 흡착포를 뿌려주고, 또한 기름이 흡착된 흡착포를 수작업에 의해 일일이 건져 올려야하므로 유출된 기름의 제거시 많은 노동력을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었다.
특히 해난사고 등에 의해 유출된 기름은 신속하게 제거해야 하는 반면에, 상기와 같이 오일펜스 내부의 기름 제거작업을 수작업에 의해 수행토록 하는 관계로, 기름 흡착 제거효율 및 처리효율이 크게 저하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 유출된 기름으로 인한 해양 오염은 해양의 생태계를 파괴함으로써 어족 자원의 소멸을 초래하고, 양어장 또는 양식장의 괴멸을 초래하여 수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입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관광 자원을 해침으로써 관광 산업에도 큰 피해를 주고 있는 상황이다.
또한, 현재 해양에 부유하는 고점도의 유출유를 포집하는 스커트와, 스커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부력부로 이루어진 오일펜스는 유출유의 확산 방지에 최선을 다하도록 유출유의 면적을 따라 둘러싸는 형태인 포위전장을 실시하고 있으나, 여전히 수작업으로 흡착포를 이용하여 유출유를 회수하거나, 유화제를 살포하여야 하므로 많은 노동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되풀이 되고 있다.
또한, 유속, 풍속, 파고, 기상불량 등의 해양조건 등에 의해 유출유가 상기 오일펜스 바깥으로 넘쳐 흘러가거나 상기 오일펜스 밑부분(스커트부분)으로 빠져 흘러 나가기 때문에 유출유를 포집 및 회수하는데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오일이 유출되었을 때 수면 하부를 통하여 이동하는 오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여 포집된 유출유가 흘러나가지 않도록 하고, 유출유가 수거망에 회수될 수 있도록 하는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의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는, 소정의 높이로 이루어져 해양에 부유하는 고점도의 유출유를 포위전장하는 스커트와, 스커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부력부로 이루어진 오일펜스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와 부력부 사이에 입구가 연결되는 다수의 배출관과, 상기 각 배출관의 출구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거망이 구비된다.
상기 배출관 출구에 링이 구비되고, 수거망 입구는 링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수거망 입구에 결속끈이 구비되어 수거망 입구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관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고, 둘레를 따라 개폐수단이 형성되며, 배출관과 연결되는 스커트와 부력부 사이에 형성되어, 유출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개폐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스커트 하단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스커트 하단의 둘레를 따라 오일차단망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일차단망 하단에 소정의 중량체로 이루어진 다수의 장력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오일펜스를 고정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닻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도 1에 있어서 개폐부와 배출관을 도시한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의 배출관과 수거망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배출관과 수거망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의 실시예를 도시한 상태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은 소정의 높이로 이루어져 해양에 부유하는 고점도의 유출유를 포위전장하는 스커트(2)와 스커트(2)의 상단에 결합되는 부력부(3)로 이루어진 오일펜스에 포집된 유출유(100)나 유출유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유흡착재(150)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다수의 배출관(8)과, 각 배출관의 출구(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출유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수거망(12)이 구비된다.
스커트(2)는 기름을 포집하거나 새어나가지 못하게 하기 위해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수면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스커트(2) 상단에 연결되어 소정의 높이를 갖는 부력부(3)에는 스티로폼, 공기챔버 등과 같은 부력체(4)가 등간격으로 구비되고, 스커트(2)의 재질 및 부력체(4)를 둘러싸는 외부의 재질은 유연성이 좋은 PVC 재질 및 방수재질인 합성수지 등과 같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커트(2)와 부력부(3) 사이에 반원의 형태로 절개된 개폐부(6)와 절개된 개폐부를 열고 닫을 수 있는 개폐수단(7)이 구비된다. 개폐부(6)는 세로 20cm ~ 50cm, 가로 30cm ~ 1m 정도의 크기를 가지며, 가로의 크기가 세로의 크기보다 크게 되어 있어서 유출유(100)의 범람을 최소화 시키면서 원활하게 유출유(100)나 유흡착재(150)가 원통형의 배출관(8)으로 유입되게 한다.
또한, 개폐부(6)의 둘레를 따라 파스너 등과 같은 개폐수단(7)을 부착함으로써 상기 유출유(100)가 수거망(12)에 가득 찼을 때, 개폐부(6)를 차단하여 수거망(12)으로 유출유(100)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상기 수거망(12)을 배출관(8)과 분리하여 수거망(12)으로 회수된 유출유를 선박(200)의 오일탱크에 버린 후, 다시 수거망(12)을 배출관(8)에 연결 하였을 때, 개폐부(6)를 열어 유출유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오일펜스(1) 내부에 포집된 유출유(100)나 유흡착재(150)가 외부로 배출되는 통로인 원통형의 배출관(8)은 스커트(2)와 부력부(3) 사이에 연결된다.
여기서, 개폐부(6)의 크기에 상응하는 배출관의 입구(9)가 스커트(2)와 부력부(3) 사이에 형성된 개폐부(6)에 위치하도록 배출관(8)을 연결시킨다.
배출관(8)은 유연성이 좋은 PVC 재질 및 방수재질인 합성수지 등과 같은 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배출관(8)을 통과한 유출유(100)나 유흡착재(150)를 일시적으로 수거하기 위해 자루형 그물로 구성된 수거망(12)은 배출관의 출구(10) 부분에 연결되고, 수거망의 입구(13) 부분에 결속끈(14)이 구비되어 조여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배출관(8)이 수거망(12)과 결합하기 위해, 배출관의 출구(10)에 스테인레스 재질 등 내식성이 강한 재질의 링(11)이 구비되고, 수거망 입구(13) 부분에 결속끈(14)이 구비되어 조여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배출관(8)과 수거망(12)의 결합 방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수거망(12) 내부로 배출관의 출구(10) 부분을 삽입시킨 후, 결속끈(14)을 묶게 되면, 배출관의 출구(10) 부분에 고정된 링(11)이 결속끈(14)에 의해 조여지게 되어 수거망의 입구(13)는 링(11)보다 작아지게 되고 배출관의 출구(10) 부분은 수거망(12)을 벗어날 수 없게 되어, 배출관(8)과 수거망(12)의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도 3, 도 4 참조).
또한, 유출유(100)나 유흡착재(150)가 수거된 수거망(12)의 회수가 용이하도록 수거망(12)에 회수줄(15)을 구비한다.
상기 스커트(2) 하단에는 고점도의 기름을 포집하고, 기름의 유출을 방지하는 오일차단망(5)이 연결된다. 스커트(2)가 길어지면 유출유(100)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파고와 조류의 영향으로 인해 스커트(2)의 하단이 들어 올려져 유출유(100)가 새어나간다.
따라서 스커트(2)의 길이를 적절하게 줄이고, 오일차단망(5)을 구비하여 유출된 기름은 포집되고, 해수는 빠져나감으로써 파고나 조류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되어 스커트(2)의 하단으로 새어나가는 유출유의 양을 최소화 시킬 수 있다.
여기서, 오일차단망(5)은 파스너, 단추, 후크 등과 같은 탈부착 수단을 이용하여 스커트(2)와 오일차단망(5)를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차단망(5) 하단에는 스커트(2)와 오일차단망(5)을 수직으로 유지시켜 주기 위해 체인, 추 등과 같은 비교적 무거운 중량체의 장력부재(16)가 구비되며, 장력부재로 될 수 있는 체인(16a)은 오일차단망(5) 하단에 오일차단망(5)의 둘레를 따라 설치되고, 납과 같은 재질인 추(16b)는 오일차단망(5) 하단에 오일차단망(5)의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오일펜스(1)가 파고, 조류에 의해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닻(17)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오일펜스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수면에서나 해상에서 선박으로부터 유출된 유출유(100)의 오염면적에 따라 오일펜스(1)를 연속적으로 연결시켜 포위전장 후, 오일펜스(1)내에 포집된 유출유(100)나 유흡착재(150)가 유속, 풍속, 파고 등과 같은 해상조건에 의해 움직이게 되어 상기 유출유(100)나 유흡착재(150)가 배출관(8)으로 흘러들어가 수거망(12)에 일시적으로 수거된다.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화살표로 표시된 A가 유속, 풍속, 파고의 방향이라면, 이에 영향을 받은 유출유(100)나 유흡착재(150)가 화살표 방향으로 유동하게 된다. 이때 오일펜스(1)도 같이 이동하려 하지만, 닻(17)으로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설치된 위치를 벗어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오일펜스(1)는 이동이 되지 않고, 유속, 풍속, 파고 등에 의해 유동하던 유출유(100)나 유흡착재(150)는 배출관(8)으로 인위적인 작업이 필요 없이 흘러 들어가게 된다.
오일펜스(1)를 전장하여 유출유(100)를 포위하였을 때, 유출유(100)나 유출유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된 유흡착재(150)가 유속, 풍속, 파고의 방향에 따라 유출유(100)나 유흡착재(150)의 흐름이 달라지더라도 오일펜스(1)에 다수 개의 배출관(8)을 구비하였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해상조건의 변화에 따라 유동하게 되는 유출유(100)나 유흡착재(150)를 수거망(12)으로 회수할 수 있다.
지속적인 작업으로 인해 수거망(12)이 가득 차게 되면, 수거망(12) 근방의 선박(200)이 회수줄(15)을 당겨 수거망(12)을 회수한 후, 배출관(8)과 수거망(12)을 분리하여 유출유(100)나 유흡착재(150)를 선박(200) 내부에 구비된 수거 탱크에 버린 후, 다시 또 수거망(12)을 배출관(8)에 연결하여 유출유(100) 회수 작업에 임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는 사고 발생시 해상 조건의 제약 없이 오일펜스만 설치함으로써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 없어 신속하게 유출유를 포집함과 동시에 유출유의 회수를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로써 작업인원을 대폭적으로 감소시켜 경제적인 이점이 있으며 해양 오염으로부터 수산 자원 및 관광 자원을 보호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도 1에 있어서 개폐부와 배출관을 도시한 상세도.
도 3은 본 고안의 배출관과 수거망의 결합 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배출관과 수거망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이 적용된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의 실시예를 도시한 상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오일펜스 2. 스커트
3. 부력부 4. 부력체
5. 오일차단망 6. 개폐부
7. 개폐수단 8. 배출관
9. 배출관의 입구 10. 배출관의 출구
11. 링 12. 수거망
13. 수거망의 입구 14. 결속끈
15. 회수줄 16. 장력부재
16a. 체인 16b. 추
17. 닻 100. 유출유
150. 유흡착재 200. 선박

Claims (6)

  1. 소정의 높이로 이루어져 해양에 부유하는 고점도의 유출유를 포위전장하는 스커트와, 스커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부력부로 이루어진 오일펜스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2)와 부력부(3) 사이에 입구(9)가 연결되는 다수의 배출관(8)과, 상기 각 배출관의 출구(10)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는 수거망(12)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
  2.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 출구(10)에 링(11)이 구비되고, 수거망 입구(13)는 링(11)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수거망 입구(13)에 결속끈(14)이 구비되어 수거망 입구(13)의 크기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8)에 상응하는 크기를 가지고, 둘레를 따라 개폐수단(7)이 형성되며, 배출관(8)과 연결되는 스커트(2)와 부력부(3) 사이에 형성되어, 유출유의 흐름을 제어하는 개폐부(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2) 하단에 소정의 높이를 가지며, 스커트(2) 하단의 둘레를 따라 오일차단망(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차단망(5) 하단에 소정의 중량체로 이루어진 다수의 장력부재(16)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
  6. 제 1항에 있어서,
    오일펜스(1)를 고정시키기 위해 하나 이상의 닻(17)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
KR20-2004-0032952U 2004-11-22 2004-11-22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 KR20037671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952U KR200376715Y1 (ko) 2004-11-22 2004-11-22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952U KR200376715Y1 (ko) 2004-11-22 2004-11-22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6715Y1 true KR200376715Y1 (ko) 2005-03-09

Family

ID=4367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952U KR200376715Y1 (ko) 2004-11-22 2004-11-22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6715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669B1 (ko) * 2008-02-28 2008-08-18 김주회 유출유 확산방지 및 회수장치
KR101272903B1 (ko) * 2012-12-27 2013-06-11 주식회사 삼안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
KR20190123973A (ko) 2018-04-25 2019-11-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유수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오일 회수 장치
KR102606363B1 (ko) 2023-07-31 2023-11-27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방지 가시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1669B1 (ko) * 2008-02-28 2008-08-18 김주회 유출유 확산방지 및 회수장치
KR101272903B1 (ko) * 2012-12-27 2013-06-11 주식회사 삼안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
KR20190123973A (ko) 2018-04-25 2019-11-04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유수 분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오일 회수 장치
KR102606363B1 (ko) 2023-07-31 2023-11-27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방지 가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05345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uspended particulates or marine life
KR101690180B1 (ko)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US6743367B2 (en) Boom curtain with expandable pleated panels, containment boom containing the same, and use thereof
KR100927474B1 (ko) 수면의 부유폐기물 수거장치
KR101690680B1 (ko) 부유식 유출유 제거장치
US6660170B2 (en) Containment/exclusion barrier system with infuser adaptation to water intake system
US11203849B2 (en) Buoyant containment and/or filtration
KR101611209B1 (ko) 오탁방지장치
KR100786450B1 (ko) 석유 유출물 방제 장치
KR200376715Y1 (ko) 유출유 회수 및 유출유 확산 방지 오일펜스
KR200377428Y1 (ko) 유출유 회수 네트
KR102332673B1 (ko) 유수분리 유출유 제거장치, 이를 이용한 오일펜스 및 이를 이용한 해파리 차단장치
JP6401138B2 (ja) 凍結防止機能付き取水口
KR200390494Y1 (ko) 트레쉬 펜스
US20080229995A1 (en) Boom system for encircling vessel
KR200199244Y1 (ko) 오일팬스에 의한 해상오일의 제거장치
RU2014380C1 (ru) Экран для защиты водной среды от загрязнения грунтом при подводных земляных работах
KR100414128B1 (ko) 담수호의 쓰레기 수거장치
JP3129106U (ja) 巨大水母類の漂着による、取水口スクリ−ン吸着閉塞防止装置。
US20040197149A1 (en) Boom system for water filtration in shallow water
KR19980044954A (ko) 오탁방지장치
JP2694358B2 (ja) 水中敷設用導水装置
JP3098569U (ja) 湖沼汚水の浄化処理装置
JPH11124834A (ja) 吊りネット
JPS58150610A (ja) 浚渫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