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86450B1 - 석유 유출물 방제 장치 - Google Patents

석유 유출물 방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86450B1
KR100786450B1 KR1020037001536A KR20037001536A KR100786450B1 KR 100786450 B1 KR100786450 B1 KR 100786450B1 KR 1020037001536 A KR1020037001536 A KR 1020037001536A KR 20037001536 A KR20037001536 A KR 20037001536A KR 100786450 B1 KR100786450 B1 KR 1007864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water surface
wedge
collector
shaped stru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1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3733A (ko
Inventor
다그 닐센
Original Assignee
노피 트롬쇠 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피 트롬쇠 에이에스 filed Critical 노피 트롬쇠 에이에스
Publication of KR200300237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37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864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864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42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adapted to be towed for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E02B15/0864Ai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 E02B15/0885Foa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10/00Liquid purification or separation
    • Y10S210/918Miscellaneous specific techniques
    • Y10S210/922Oil spill cleanup, e.g. bacterial
    • Y10S210/923Oil spill cleanup, e.g. bacterial using mechanical means, e.g. skimmers, pum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moval Of Floating Material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 Lubric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 Preparation Of Compounds By Using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좁은 내단부로부터 넓은 개구로 서로로부터 분할하는 두 측면 형성면(3, 4)에 의해 형성된 상당히 긴 채널을 포함하며, 상기 채널이 하나 이상의 선박의 도움으로 예인 등에 의해서 이동가능하며, 비강성 재료로 만들어지는, 물의 표면상에 부유하는 오일 등을 수거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두 측면 형성면(3, 4) 사이의 테이퍼형 채널부(1), 쐐기형 구조물(7)과 수집 수단 또는 분리기(2)를 포함하며, 상기 테이퍼형 채널부(1), 상기 쐐기형 구조물(7)과 수집 수단 또는 분리기(2)가 상호연결되거나 일체형의 유닛으로서 연달아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건현(12)을 가진 연속적인 "선체"를 형성하며, 길이방향 예인 장치(5, 6)가 제공되어 유닛(1, 7, 2)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예인 장치(5, 6)와 그러므로 예인력이 예인 방향에서 보면 상기 쐐기형 구조물(7)의 후단부에 있는 영역내에서 교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의 표면상에 부유하는 오일 등을 수거하기 위한 장치.

Description

석유 유출물 방제 장치{APPARATUS FOR THE CONTAINMENT OF OIL SPILLS}
본 발명은 청구범위 제1항의 전제부에 기술된 바와 같은 오일 유출물 등을 방제(containment)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물의 표면상에 부유해 있는 오일을 수거하는 많은 여러 방법들은 이미 알려져 있다. 이들 중 가장 흔한 것은 U 또는 J자 형상의 부유 붐(floating boom; 오일 펜스)을 배치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서 별개의 스키머(skimmer)를 사용해서 붐의 배후에 수집된 오일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복잡하지 않고 상당히 비용이 싸다. 그러나 오일이 붐 아래의 물로 끌려 내려가기 때문에, 부유 붐이 0.5 내지 1 노트 이상의 속도로 전방향으로 예인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공해상과 같은 보다 거친 날씨가 많은 상태의 해역에서는, 소위 V-스위프(sweep)가 사용된다. 이것은 시스템을 안정시키고 붐에 형상을 부여하도록 붐의 바닥에 설치되는 네트(net)의 도움으로 통상의 붐을 V형상으로 셋업하여 이루어진다. 시스템 뒤에 수집된 오일은 개별 스키머를 사용해서 퍼 올려진다. 방제는 오일이 붐 아래로 끌려 내려가기 전에 1 내지 1.6노트 만큼 높은 속도에서 일어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속도도 또한 너무 느려서 대부분의 경우에 해류가 더 빠르다. 더욱이, 종종 오일은 오일의 90%가 면적의 10%에 존재하는, 이른바 산재된 유막(scattered slicks)에 모이고, 이런 종류의 산재되 유막 사이에서 오일이 이동할 때, 기준 속도 이상의 이동으로 인해 오일이 유실되기도 한다.
노르웨이 특허 제176066호는 파도 에너지를 동력화하고, 오일을 함유하는 파도가 포획 유역(catch basin)을 통과할 때 씻겨지도록 형성된 엣지와 측면 엣지면(face)을 가지는 비교적 긴 채널의 형태를 하고 있는 오일 방제 시스템을 개시한다. 상기 특허는 긴 채널이 또한 바닥부를 가지고, 시스템이 비강성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음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시스템을 사용하는 실제 테스트에서, 시스템이 물에서 전방향으로 예인될 때, 비교적 긴 형상으로 인해, 시스템이 물 아래로 가라앉거나 또는 물 위로 떠오르는 것과 같이, 안정성에 상당한 문제가 생기는 것을 발견했다. 이런 시스템이 가변하는 높은 속도에서 만족스러운 방식으로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실질적인 조정 수단이 필요로 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장치 및 시스템의 문제점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서두에서 언급한 형태의 장치에 있어서, 독립항 제 1항의 특징부에서 설명한 특징적 구성에 따라서 달성된다.
양호한 실시예는 종속항에 개시되어 있다.
오일 층과 물 층 사이의 속도 차가 약 1노트 이상이라면, 일반적으로 오일은 물을 따라서 이동하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오일 또는 오일 유출물은 예를 들어, 부유 붐 아래에서 유실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와 같이, V형상 터널의 구조물은 아래에 놓인 물이, 표면이 가압되는 동안 개구내의 터널을 통과하는 속도로 이동하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오일이 수용가능한 속도 차에 노출되도록 하고 터널 아래로 끌려가지 않게 한다.
분리기 내측에서, 오일/물 혼합물은 들어오는 액체의 양이 분리기의 전체 체적에 비해서 아주 작기 때문에, 거의 움직이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하면, 오일은 4노트의 속도로 표면으로부터 효과적으로 제거될 수 있으며, 이는 이미 알려진 종래의 부유 붐(1 노트)보다 400% 이상이고 약 1.5노트의 속도로 사용될 수 있는 이미 알려진 종래의 고속 붐보다 260% 이상이다.
본 발명에서 얻어진 장점은 다음 사항을 포함한다:
* 강한 흐름이 있는 물 내에서 작동할 수 있음;
* 붐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허용;
* 흐름이 있는 강에서 보다 양호함;
* 고속에서 작동될 수 있는 예인선(tow vessel)의 보다 양호한 조작성을 제공;
* 펌프 및 스키머의 효율이 강화되도록 분리기내에 오일을 농축;
* 전체 구조가 비강성이므로 적은 부피의 저장 릴에 감겨질 수 있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물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을 수집하는 수집 장치로서, 두 개의 측면 형성면을 갖는 채널로서, 상기 측면 형성면이 상기 채널의 좁은 내측 단부로부터 채널의 더 넓은 유입 개구까지 서로 분기되는, 채널; 상기 채널의 좁은 내측 단부에 위치하는 쐐기형 구조물로서, 상기 구조물이 V-형 홈을 갖는 지붕부를 가지며, 상기 구조물의 변이 활주테를 형성하는, 쐐기형 구조물; 상기 쐐기형 구조물 하류의 수집기/분리기 유닛; 및 상기 채널, 상기 쐐기형 구조물 및 상기 수집기/분리기 유닛에 고정되며, 상기 수집 장치를 종방향으로 예인하는 예인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 상기 쐐기형 구조물 및 상기 수집기/분리기 유닛이 상측부에 건현을 갖는 연속적인 선체형 구조물을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활주테의 끝머리 영역이 각각의 상기 예인 장치 중 하나에 고정가능하여 상기 예인 장치가 상기 쐐기형 구조물의 하류 단부의 영역에서 교차하도록 예인력을 가하게 하며, 상기 활주테에 걸쳐 이동하여 상기 수집기/분리기 유닛 내에 예인되어 수집된 액체가 수집될 때, 상기 활주테가 상기 예인력에 의해 인장되거나 강성이 되는 물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을 수집하는 수집 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집 장치는 비강성 재료로 제조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예인 장치는 용접, 스티칭-인, 스티칭-온, 접착 본딩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부착 수단 및 결합 장치에 의해, 상기 채널, 상기 쐐기형 구조물 및 상기 수집기/분리기 유닛에 부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쐐기형 구조물이 상기 건현에 현수된 보강재의 높이 크기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측면벽과 바닥부에 의해 형성된 유입 영역을 갖는 터널을 형성하며, 상기 터널이 거의 교차 지점에 있는 활주테 아래에 위치된 출구 하부를 하류 단부에 가지며, 상기 터널의 출구의 횡단면적이 상기 터널 유입구의 횡단면적보다 더 작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집 장치는 예인되는 속도에 따라, 상기 활주 깊이(planing depth)가 조정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쐐기형 구조물에 연결 가능한 안정화 수단(ballast means)을 이용하여 활주 깊이가 조정 가능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집기/분리기 유닛은 상기 건현을 갖는 저장소(receptacle) 및 바닥 수문을 갖는 바닥 백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바닥 수문이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위치로 조정 가능한 개구를 가짐으로서, 상기 수집 장치가 예인될 때, "평탄화된" 액체가 상기 수집기/분리기 유닛 외부의 물의 표면 레벨 이상의 레벨에서 상기 수집기/분리기 유닛으로 수용되며, 그로 인하여 상기 바닥 백 내부의 과압이 상기 바닥 백을 팽창 상태에서 유지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 수문은 상기 백 자체의 바닥에 네팅부를 구비하는 개구상에 배치된 플랩으로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 수문의 전방 엣지는 상기 바닥 백의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수집 장치가 예인되는 속도에 따라 상기 바닥 수문 및 그에 따른 바닥 백의 바닥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탄성 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닥 백의 바닥은 안정화 수단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바닥 백의 적합한 침수 또는 안정화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집 장치가 정지 상태일 때 상기 안정화 수단이 상기 바닥 백의 적합한 침수 또는 안정화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안정화 수단은 하나 이상의 리드 케이블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건현은 안정화 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고로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리를 실시하는 오일 수집기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서 쐐기형 구조물을 상세히 도시하는 상세도.
도 3은 도 2의 쐐기형 구조물의 추가로 상세히 도시하는 상세도.
도 4는 전방에서 본 오일 수집기의 정면도.
도 5는 오일 수집기의 측면도.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본질적으로 릴 상에 저장될 수 있도록 적합한 비강성의 가요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적합한 재료 중 하나의 예는 튼튼하고, 내후성을 가지며 오일(및 화학품)에 강한 적합한 플라스틱의 시이트일 수 있다. 장치는 전방의 테이퍼형 채널부(tapered channel portion; 1), 후방의 수집기/분리기 유닛(2) 및 이들 사이에 있는 쐐기형 구조물(7)을 포함한다.
테이퍼형 채널부(1)는 쐐기형 구조물(7)로부터 연장하는 두 개의 측면 형성면(3, 4)의 형태로 만들어진다. 면(3, 4)은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현(freeboard; 12) 및 보강재(skirt; 13)와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입구 바닥(8)을 포함한다. 네트의 형태로 될 수 있는 상기 바닥(8)은 "분할선(divide)"을 형성하는 것 외에도, 쐐기형 구조물(7)의 터널(14)로의 입구와 테이퍼형 채널부(1)의 형상을 유지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장치가 전진할 때 일반적으로 건현(12)은 수압에 의해서 안정화(ballast)되지만, 필요시에는 적합한 기구(도시 생략)를 사용해서 안정화될 수도 있다.
오일 수집기는 적절한 방식으로 측면 형성면(3, 4), 쐐기형 구조물(7), 및 수집기/분리기 유닛(2)에 부착되어지는 로프, 코드 또는 이와 유사한 수단의 형태인 예인 장치(5, 6)(towing devices)를 구비하고 있다. 예인 장치(5, 6)는 면(3, 4)으로부터 임의 선택가능한 길이로 뻗어져 있으며, 바람직하기로 양 장치(5, 6)는 양호하게 적합한 크기의 종래의 부유 붐을 구비하거나 이런 붐(도시 생략)에 연결되어 있다. 예인 장치(5, 6) 또는 선택적으로 부유 붐의 자유 단부는 적합한 예인 수단, 예를 들어 예인선(tow vessels)에 고정되어질 수 있다.
예인 장치(5, 6)와 "오일 수집기 선체(oil collector hull)"사이의 부착은 예를 들어, 용접, 스티칭-인(stitching-in), 스티칭-온(stitching-on), 접착 본딩, 적합한 연결장치 또는 상술한 부착 방법 중 두 개 이상의 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수집기/분리기 유닛(2)이 예인될 때,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배열 형태가 얻어지도록 예인력이 장치의 테이퍼형 채널부(1) 및 쐐기형 구조물(7)에 전달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본 발명의 주요 특징은 쐐기형 구조물(7)이 활주테(planing edges; 9, 10)를 포함하는 것이며, 활주테(9, 10)는 활주테의 끝머리 영역(edge area)에 고정되는 예인 장치(5, 6)의 각 부분에 의해 형성되고, 수집기/분리기 유닛(2)이 예인될 때 활주테에 전달되는 예인력에 의해서 강성이 될 수 있다. 최상의 활주 깊이(planing depth)는, 활주 작용이 물과 거의 혼합되지 않은 모든 오일이 "평탄화(planed off)"되도록 보장해야 하기 때문에, 특히 오일의 예상 두께에 의존한다. 그 후, 액체는 수집기/분리기 유닛(2)으로 전달된다. 활주 깊이는 예인 속도를 조정함으로써 조정될 수 있지만, 또한 이 조정을 위해서 특별한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런 수단은 본 발명의 장치를 안정화시킬 수 있도록 테이퍼형 채널에 연결되는 도시하지 않은 보조 시스템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은 쐐기형 구조물(7)을 상세히 도시하는 도면이다. 구조물(7)은 채널부(1) 내의 입구, 출구(15)와 지붕부(20)를 가진 터널(14)을 포함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지붕부(20)는 V형상 홈을 가지며, 상기 홈의 변(legs)은 활주테(9, 10)의 상기 끝머리에 고정되는 장치(5, 6)의 일부분을 이루는 활주테(9, 10)를 형성한다. 화살표 A와 B는 제각기 오일/물 혼합물의 유입과 주로 물의 유출을 설명한다. 터널(14)의 출구(15)의 단면적이 터널(14)의 입구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이 주안점이다. 이러한 주안점은 오일이 물위에서 부유할 때, 터널에 들어가는 물의 일부가 제한된 유동으로 되기 쉬우며, 그에 따라 터널 입구에서의 물의 레벨은 상승되거나 상부로 가압되며, 대부분의 오일이 발견되는 물의 표면이 그에 따라서 또한 활주테(9, 10) 위로 상승되어 지붕부(20)를 가로질러서 수집기/분리기 유닛(2) 내부로 이송됨을 의미한다.
지붕부(20)의 영역 내에서, V-형 홈의 끝부분 또는 바람직하기로는 V-형 홈의 끝부분의 바로 하류, 즉, 예인 장치(5, 6 또는 9, 10) 사이의 교차점에, 오일 흐름을 수집기/분리기 유닛(2)으로 전송하는 동안 끌어올리고 또한 오일 수집기의 예인을 중단하는 동안 오일의 역흐름에 대해 보조 장벽(auxiliary barrier)으로서 작용할 수 있는 쐐기형 엣지(도시 생략)가 배치될 수 있다.
수집기/분리기 유닛(2)은 건현(12)과 바닥 백(11)을 가지는 저장소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기로는, 테이퍼형 채널부와 같이, 건현(12)은 적합한 수단을 사용하여 안정화될 수 있다. 건현의 엣지와 연관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인 장치(5, 6)에 부착부(16, 17)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바닥 백(11)은 바닥 수문(18)(bottom hatch)을 구비한다. 바닥 수문(18)은 백의 바닥 내의 네팅부를 구비하거나 보강될 수 있는 개구 위에 배치된 적합한 플랩(flap)일 수 있다. 바닥 수문(18)의 전방 엣지가 바닥 백(11)의 바닥에 적합한 방식으로 부착되어 있다. 전체 장치의 사용 조건, 예를 들면 상이한 속도에서 예인되는지, 또는 장치가 정지 상태에 있는지 여부에 따라, 수문(18) 및 그에 따른 바닥 백(11)의 개폐를 조절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면 탄성 코드와 같은 탄성 장치가 사용된다.
바닥 백의 바닥에는 하나 이상의 안정화 수단, 예를 들면 리드 케이블(도시 생략) 등이 제공될 수 있으며, 특히 본 발명의 장치가 정지되어 있을 때, 바닥 백의 적합한 침수 또는 안정화를 보장하여 바닥이 부유(floating up)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수집기/분리기 유닛(2)은 중간 저장 탱크로서 기능하며, 오일은 상기 중간 저장 탱크로부터 예를 들어 제거 작업에 적합한 장비가 조립된 하나 이상의 펌프 또는 스키머의 도움으로 제거될 수 있다.
삭제
서두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본질적으로 적합한 비강성 재료로 만들어진다. 상술한 건현(12)은 직물 조각으로 만들어진다. 이들은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선체형 구조물(hull like structure)을 형성하도록 서로 상호연결되거나 일체화되는, 기본적으로 원통체로 형성된다. 원통체는 팽창가능하고 적합한 물질, 예를 들어, 공기 또는 다른 적합한 가스, 거품(foam), 또는 다른 적합한 다소 단단하고 쉽게 다룰 수 있는 재료로 채워진다.
장치가 물의 표면상에 부유하는 오일 유출물 및 유사한 오염물을 방제하는데 사용되어질 때, 장치는 잡아당겨져, 예를 들어 두 개의 예인선(도시 생략)에 고정된 예인 장치(5, 6)에 의해서 종래의 부유 붐과 바람직하게 일체화되거나 연결되어진다.
예인선은 붐과 측면 형성면(3, 4)이 소해(掃海) 개구(sweep opening)를 형성하고, 장치의 추진력이 오일 유출물을 강제로 테이퍼형 채널부(1)의 집속형 개구를 향해서 가압하도록 이동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입구 개구 내의 네트는 다소 오염된 물이 통과될 수 있지만, 오일 유출물을 쐐기형 터널(14) 및 활주테(9, 10)를 가진 쐐기형 구조물(7)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들 엣지는 중간 저장 및 제거를 위해서 도 5에 화살표 C에 의해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기/분리기 유닛(2)을 지나는 오일/오일 유출물의 "평탄화"를 보장한다. 보다 적게 오염된 물/액체는 터널 개구(15)를 통해서 밖으로 나간다.
추진 속도 또는 예인 속도에 의해서, 물은 터널(14)로 가압되어진다. 이로 인해 도 5의 도면부호 19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집기/분리기 유닛(2) 내의 액체 레벨은 추진 압력과 조합하여 물의 표면보다 더 높아지게 된다. 오일이 물보다 가볍기 때문에, 물 내에 혼합되어 있는 오일의 방울은 수집기/분리기 유닛(2) 내의 액체 표면까지 매우 빠르게 상승할 것이다. 따라서, 수집기/분리기 유닛(2)의 깊이가 오일층에 비해서 더 깊은 점과 조합하여, 경사면(19)(superelevation)은 오염되지 않거나 약간 오염된 액체만이 화살표 D로 나타낸 바와 같이, 수집기/분리기 유닛(2)의 바닥(11) 내의 바닥 수문(18)을 통해서 밖으로 강제로 나가게 한다.
본 발명의 장치가 예를 들어 4노트의 속도로 이동할 때, 바닥 수문(18)의 개방이 너무 커서 수집기/분리기 유닛(2)의 내측에서 물이 쉽게 밖으로 가압되는 경우, 바닥이 안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수집기/분리기 유닛(2)의 비강성 바닥 백(11)의 전방 엣지는 후방 및 상향으로 가압될 것이다. 그러나 바닥 수문(18) 내의 개방이 적당한 교축현상(throttling)을 제공하면, 경사면(19) 및 그에 따라 증가된 내부 액체 압력때문에 바닥 백(11)은 강력히 외향으로 팽창할 것이고 강성 구조물, 예를 들어 강철과 같이 작용할 것이다. 30cm의 경사면(19)에서, 바닥 백(11)이 반경 1.9m의 소세지 형상 구조물로서 보여지는 특정 예를 제공하면, 이 구조물은 약 550kg/m의 인장력을 생성할 것이다. 이런 강성 구조물은 물을 헤치고 나아가는 보트의 선체와 같이 작용할 것이며, 수집기/분리기 유닛(2) 내측의 오일에 대해서 안정된 상태를 야기한다.
경사면(19)의 크기는 수집기/분리기 유닛(2)에 들어가는 오일/물의 양과 바닥 수문(18)의 개방을 통해서 나오는 물의 양에 의해 결정된다. 본 발명의 전체 장치가 예인되는 속도가 증가될 때, 유입하는 액체의 양은 증가하게 되고, 마찬가지로 바닥 백(11)의 외측에 대한 압력이 증가하게 될 것이다. 바닥 수문(18)의 출구 개방이 정확하게 조정된다면, 경사면(19)이 증가할 것이다. 그러므로 수집기/분리기 유닛(2)의 내부 압력은 상승할 것이며, 그에 따라 바닥 백(11)의 외측에 대한 압력의 증가가 보상되는 것보다 더 커서, 수집기/분리기 유닛(2)을 팽창된 상태로 유지하도록 보장한다. 이런 보상은 출구 개구, 즉 바닥 수문(18)의 영역과 수문 개구를 조정함으로써 경험적으로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최적의 수문 개방은 바닥 수문(18) 및 바닥 백(11)과 관련하여 적합한 개수의 탄성 장치(도시 생략), 예를 들면 탄성 코드를 사용함으로써 제공되어, 장치가 정지 상태일 때, 바닥 수문(18)이 거의 완전히 폐쇄되도록 하고, 장치가 예인될 때, 바닥 수문은 경사면(19)으로부터 기인하는 압력 증가의 영향하에서 탄성 장치로부터의 반력에 대해 요구되는 바대로 개방되며, 이러한 반력은 수문(18)을 향하는 흐름의 압력으로부터 기인한다. 도 5는 두 개의 위치에 있는 바닥 수문(18)의 개방을 도시한다.
예인력이 전체 장치에 전달되는 방식은 특히 수집기/분리기 유닛(2)의 형태로 인해, 수집기/분리기 유닛(2)의 내부에 얻어지는 경사면에 기여하며, 일반적으로 장치가 예인되거나 정지상태인지 여부에 따라 작동중에 장치가 원하는 형상을 유지하도록 보장하기에 충분할 것이다. 그러나 필요하다면 적합한 강화 또는 보강 수단(suitable bracing or rib means)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수단은 적소에 놓고 사용후 제거가 용이해야 하고 용이할 수 있다.

Claims (13)

  1. 물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을 수집하는 수집 장치로서,
    두 개의 측면 형성면(3, 4)을 갖는 채널(1)로서, 상기 측면 형성면(3, 4)이 상기 채널의 좁은 내측 단부로부터 채널의 더 넓은 유입 개구까지 서로 분기되는, 채널(1);
    상기 채널의 좁은 내측 단부에 위치하는 쐐기형 구조물(7)로서, 상기 구조물(7)이 V-형 홈을 갖는 지붕부(20)를 가지며, 상기 홈의 변이 활주테(9, 10)를 형성하는, 쐐기형 구조물(7);
    상기 쐐기형 구조물(7) 하류의 수집기/분리기 유닛(2); 및
    상기 채널(1), 상기 쐐기형 구조물(7) 및 상기 수집기/분리기 유닛(2)에 고정되며, 상기 수집 장치를 종방향으로 예인하는 예인 장치(5, 6);를 포함하며,
    상기 채널(1), 상기 쐐기형 구조물(7) 및 상기 수집기/분리기 유닛(2)이 상측부에 건현(12)을 갖는 연속적인 선체형 구조물을 형성하고,
    상기 각각의 활주테(9, 10)가 그 끝머리 영역에서 각각의 상기 예인 장치(5, 6) 중 하나에 고정가능하여 상기 예인 장치(5, 6)가 상기 쐐기형 구조물의 하류 단부의 영역에서 교차하도록 예인력을 가하게 하며,
    예인되어 수집되는 액체가 상기 수집기/분리기 유닛(2) 내에 수집되기 위하여 상기 활주테(9, 10)에 걸쳐 이동할 때, 상기 활주테(9, 10)가 상기 예인력에 의해 인장되거나 강성이 되는
    물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을 수집하는 수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장치가 비강성 재료로 제조되는
    물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을 수집하는 수집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예인 장치(5, 6)가 용접, 스티칭-인, 스티칭-온, 접착 본딩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선택된 부착 수단 및 결합 장치에 의해, 상기 채널(1), 상기 쐐기형 구조물(7) 및 상기 수집기/분리기 유닛(2)에 부착되는
    물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을 수집하는 수집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구조물(7)이 상기 건현(12)에 현수된 보강재(13)의 높이 크기에 대응하는 높이를 갖는 측면벽과 바닥부에 의해 형성된 유입 영역을 갖는 터널(14)을 형성하며, 상기 터널이 거의 교차 지점에 있는 활주테(9, 10) 아래에 위치된 출구 하부(15)를 하류 단부에 가지며, 상기 터널의 출구의 횡단면적이 상기 터널 유입구의 횡단면적보다 더 작은
    물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을 수집하는 수집 장치.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장치가 예인되는 속도에 따라, 상기 활주 깊이가 조정 가능한
    물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을 수집하는 수집 장치.
  6.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형 구조물(7)에 연결 가능한 안정화 수단을 이용하여 활주 깊이가 조정 가능한
    물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을 수집하는 수집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기/분리기 유닛(2)이 상기 건현(12)을 갖는 저장소 및 바닥 수문(18)을 갖는 바닥 백(11)으로서 형성되며, 상기 바닥 수문이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위치로 조정 가능한 개구를 가짐으로서, 상기 수집 장치가 예인될 때, "평탄화된" 액체가 상기 수집기/분리기 유닛(2) 외부의 물의 표면 레벨 이상의 레벨에서 상기 수집기/분리기 유닛(2)으로 수용되며, 그로 인하여 상기 바닥 백 내부의 과압이 상기 바닥 백을 팽창 상태에서 유지시킬 수 있는
    물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을 수집하는 수집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수문이 상기 백(11) 자체의 바닥에 네팅부를 구비하는 개구상에 배치된 플랩으로서 구성되는
    물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을 수집하는 수집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수문(18)의 전방 엣지가 상기 바닥 백의 바닥에 고정되며, 상기 수집 장치가 예인되는 속도에 따라 상기 바닥 수문 및 그에 따른 바닥 백(11)의 바닥의 개폐를 조절하도록 탄성 장치가 제공되는
    물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을 수집하는 수집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백(11)의 바닥이 안정화 수단을 갖도록 구성되어, 상기 바닥 백의 적합한 침수 또는 안정화를 제공하는
    물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을 수집하는 수집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장치가 정지 상태일 때 상기 안정화 수단이 상기 바닥 백의 적합한 침수 또는 안정화를 제공하는
    물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을 수집하는 장치.
  12. 제 10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화 수단이 하나 이상의 리드 케이블을 포함하는
    물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을 수집하는 수집 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현(12)이 안정화 수단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물 표면으로부터 오염물을 수집하는 수집 장치.
KR1020037001536A 2000-08-04 2001-07-26 석유 유출물 방제 장치 KR1007864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O20003952 2000-08-04
NO20003952A NO315619B1 (no) 2000-08-04 2000-08-04 Anordning og system for oppsamling av oljesöl og liknende
PCT/NO2001/000321 WO2002012636A1 (en) 2000-08-04 2001-07-26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containment of oil spil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3733A KR20030023733A (ko) 2003-03-19
KR100786450B1 true KR100786450B1 (ko) 2007-12-17

Family

ID=19911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1536A KR100786450B1 (ko) 2000-08-04 2001-07-26 석유 유출물 방제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6881335B2 (ko)
EP (1) EP1307619B1 (ko)
KR (1) KR100786450B1 (ko)
CN (1) CN1184384C (ko)
AT (1) ATE297487T1 (ko)
AU (1) AU2001280280A1 (ko)
BR (1) BR0112987B1 (ko)
CA (1) CA2417759C (ko)
DE (1) DE60111392D1 (ko)
DK (1) DK1307619T3 (ko)
ES (1) ES2243532T3 (ko)
NO (1) NO315619B1 (ko)
RU (1) RU2266367C2 (ko)
WO (1) WO20020126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692B1 (ko) 2012-03-30 2013-09-17 박용수 유출원유 제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O316900B1 (no) * 2002-10-18 2004-06-14 Nofi Tromso As Oljelense samt anvendelse av denne
FR2849659A1 (fr) * 2002-12-13 2004-07-09 Thierry Thomazeau Dispositif de ramassage de dechets flottants tels que des hydrocarbures, des containers, des macro-dechets et autres, flottant a la surface de la mer
US7550079B2 (en) 2007-02-02 2009-06-23 Matthew Hughes System and method for water restoration
US20110042324A1 (en) * 2007-02-02 2011-02-24 Matthew Hughes System and method for water restoration
US8972898B2 (en) * 2007-02-06 2015-03-03 Novell Intellectual Properties, Inc. Techniques for representing and navigating information in three dimensions
US20110188934A1 (en) * 2010-01-29 2011-08-04 Steinar Heimtun Device For Concentration Of Material On A Water Surface And Use Of The Device
US9068313B2 (en) 2010-06-11 2015-06-30 Pacific Petroleum Recovery Alaska, Llc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ing oil from water
FR2962741B1 (fr) * 2010-07-13 2013-11-01 Francois Regis Landreau Barrage flottant pour le controle et l'aspiration de nappe d'hydrocarbures, huiles et dechets similaires
RU2446248C1 (ru) * 2010-12-22 2012-03-27 Юлия Викторовна Денеко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чистки водоемов от загрязнений
RU2496941C2 (ru) * 2012-01-16 2013-10-27 Александр Леонидович Солдатов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сбора разлившейся по воде нефти
US10253470B2 (en) * 2015-08-14 2019-04-09 P-Pod Technologies, LLC Floatable apparatus for the collection, separation, containment and removal of solids from a water body
US10745879B2 (en) 2015-08-14 2020-08-18 P-Pod Technologies, LLC Floatable apparatus for the collection, separation, containment and removal of solids from a water body
KR101921626B1 (ko) * 2016-12-28 2018-11-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유회수 장치 및 유회수 장치를 포함한 유회수 시스템
ES2715293A1 (es) * 2019-03-18 2019-06-03 Ocean Cleaner Tech S L Sistema de disminución de la velocidad en la superficie del agua para recogida de materiales flotantes
CN110667793A (zh) * 2019-10-17 2020-01-10 嘉兴南洋职业技术学院 一种基于贯通流系统的溢油回收船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1210A (ko) * 1989-12-04 1991-08-07 원본미기재 고압 클리너
KR200214679Y1 (ko) 2000-08-25 2001-02-15 안익태 방제 정화선
KR20040072494A (ko) * 2004-06-24 2004-08-18 김수해 유수(油水)분리기용 오일자동배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061978A5 (ko) * 1969-10-07 1971-06-25 Millot Gabriel
US3688506A (en) * 1970-12-28 1972-09-05 Alphonso E Marcocchio Apparatus for removing oil slick from water surfaces
US3951810A (en) * 1973-02-06 1976-04-20 Crisafulli Angelo J Oil skimmer module with free floating weir trough
US3983034A (en) * 1973-11-26 1976-09-28 Chevron Research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of removing debris floating on a body of water
US4116833A (en) * 1977-03-21 1978-09-26 Oil Spill Recover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bodies of water
US4139470A (en) * 1977-03-21 1979-02-13 Oil Spill Recovery, Inc. System for separating, removing and recovering contaminant materials from a body of water
DE2936151A1 (de) * 1979-09-07 1981-03-19 Joachim 2000 Hamburg Hahnefeld System zur aufnahme von im wasser schwimmendem oel
HU181642B (en) * 1979-12-12 1983-10-28 Arvizvedelmi Es Belvizvedelmi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floating liquid contaminations particularly oil ones
US4388188A (en) * 1981-04-13 1983-06-14 Morris Robert D Oil spill recovery means
US4588501A (en) * 1983-08-25 1986-05-13 Chevron Research Company Apparatus for collecting an immiscible liquid from the surface of a body of higher density liquid
US4963272A (en) * 1989-04-26 1990-10-16 Garrett Joseph B Apparatus and method for concentrating materials
US5019277A (en) * 1990-05-22 1991-05-28 Andelin John B Oil skimming apparatus and method
NO176066C (no) 1991-04-24 1995-01-25 Norwave As Anordning for oppsamling av oljesöl
US5215654A (en) * 1992-03-06 1993-06-01 C. R. Lewis Co., Inc. Oil slick skimmer
US5409607A (en) 1993-10-06 1995-04-25 Karlberg; Douglas F. Oil spill collection and removal devic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10011210A (ko) * 1989-12-04 1991-08-07 원본미기재 고압 클리너
KR200214679Y1 (ko) 2000-08-25 2001-02-15 안익태 방제 정화선
KR20040072494A (ko) * 2004-06-24 2004-08-18 김수해 유수(油水)분리기용 오일자동배출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692B1 (ko) 2012-03-30 2013-09-17 박용수 유출원유 제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4384C (zh) 2005-01-12
CA2417759C (en) 2009-01-27
ATE297487T1 (de) 2005-06-15
EP1307619B1 (en) 2005-06-08
AU2001280280A1 (en) 2002-02-18
KR20030023733A (ko) 2003-03-19
US6881335B2 (en) 2005-04-19
NO20003952L (no) 2002-02-05
EP1307619A1 (en) 2003-05-07
ES2243532T3 (es) 2005-12-01
CN1444681A (zh) 2003-09-24
CA2417759A1 (en) 2002-02-14
NO315619B1 (no) 2003-09-29
DE60111392D1 (de) 2005-07-14
WO2002012636A1 (en) 2002-02-14
RU2266367C2 (ru) 2005-12-20
US20030141236A1 (en) 2003-07-31
NO20003952D0 (no) 2000-08-04
BR0112987A (pt) 2003-07-08
DK1307619T3 (da) 2005-10-10
BR0112987B1 (pt) 2010-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86450B1 (ko) 석유 유출물 방제 장치
US3653510A (en) Oil skimming method and apparatus
US485113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ing low density liquids in surface water
US3523611A (en) Oil skimming apparatus
US4610794A (en) High current diversionary oil-boom
US5043065A (en) Variable draft oil/debris skimming vessel
US3612280A (en) Oil-skimming apparatus
US5409607A (en) Oil spill collection and removal device
US5045216A (en) Method, system and collecting vessel for oil spill recovery
US7134807B2 (en) Submersible boom gate
US906831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covering oil from water
US4119541A (en) Arrangement for disposing of fluid floating matter
EP2569486B1 (en) Collector apparatus and related method
US3590584A (en) Floating oil confining apparatus
US4133765A (en) Device for retrieving floating pollutants on surface water
US2010027583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llecting material from water systems
WO200701269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llecting and regionally confining blue-green algae
US4054525A (en) Oil skimming apparatus
CA1084420A (en) Means and method for disposing of fluid floating matter
US3557960A (en) Oil skimming apparatus
KR102457093B1 (ko) 해파리 차단장치
GB2246981A (en) Oil spill barrier of air bubbles; Tubes
WO2011087368A1 (en) Sweeper for collecting impurities at sea
GB2274405A (en) Apparatus for removing oil from water
GB2088783A (en) Floating boo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3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6

Year of fee payment: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