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4954A - 오탁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오탁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4954A
KR19980044954A KR1019960063109A KR19960063109A KR19980044954A KR 19980044954 A KR19980044954 A KR 19980044954A KR 1019960063109 A KR1019960063109 A KR 1019960063109A KR 19960063109 A KR19960063109 A KR 19960063109A KR 19980044954 A KR19980044954 A KR 199800449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venting means
buoy
fouling
tension
tens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3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25025B1 (ko
Inventor
김정림
Original Assignee
김승취
삼원실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승취, 삼원실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승취
Priority to KR1019960063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5025B1/ko
Publication of KR19980044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4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0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2015/005Tent-like structures for dealing with pollutant emissions below the water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 Y02A20/20Controlling water pollution; Waste water treatment
    • Y02A20/204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spi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해안이나 하천의 준설공사장에서 발생하는 부유물의 확산을 방지하기 위하여 수중에 설치하는 오탁방지장치에 관한 것임. 본 발명의 오탁 방지장치는 포지로된 오탁 방지막(1)과 오탁 방지막 상단에 두개의 반쪽 부이부분(10), (10')을 결합시켜서된 다수의 부이(2)를 포함하고 있으며 직접 부이에 결합된 밴드(19)와 체인(20)을 포함하는 제1인장방지수단(9)과 체인으로 형성된 제2인장방지수단(23)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하고 있음. 본 발명에 따르면 인장방지수단이 오탁방지막에 가하여지는 조류등에 의한 압력을 완충시키므로 오탁방지막의 파손이 방지됨.

Description

오탁방지장치
본 고안은 오탁 방지장치에 관계되는 것으로서, 특히 하천, 해안 또는 해저에서의 준설공사, 축조공사, 간척공사등 매립 준설공사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사용되는 오탁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천, 해안 또는 해저에서 준설공사, 축조공사 또는 간척공사를 할 때는 토사 또는 부유물질이 함유된 오탁수가 발생되어 공사장 인근의 수중으로 확산되므로 공사지역의 생태계에 영향을 줌은 물론이고 주변 어장을 황폐화 시키거나 수자원을 황폐하시키므로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지 않고 일정한 구역내에 격리되도록 하기 위하여 공사장 주위에 수면에 오탁 방지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오탁 방지장치는 토사와 같은 해상 부유물을 격리하는 포지등으로 제작된 오탁 방지막의 상단에 부이를 부착하고 오탁 방지막 하단을 수저면에 고정시키게 되었다. 이러한 오탁 방지 장치에 사용되는 오탁 방지막은 공사 현장의 자연 환경 조건에 따라 높이, 길이등의 규격을 조절하여야함은 물론이고 오탁 방지막을 구성하는 포지의 재질을 선택 사용하여야 한다. 예를들면 강이나 바다에서 공사가 진행되는 경우에는 비중이 1.1 이상이고 내수성이 강한 폴리프로필렌 포지를 오탁 방지막으로 사용하는바, 물의 유속, 풍향, 조류의 방향등을 고려하여 오탁 방지막을 지지하는 보조 수단을 부설하여야 한다.
해안에서의 공사시 해수중에 오탁 방지막을 설치하는 경우 조류가 막체의 단위 면적에 미치는 힘 또는 압력은 다음 식으로 표시된다.
식중, P는 압력, F는 조류가 막체에 미치는 힘, A는 막체의 면적, p는 조류의 비중, W는 조량, v는 유속, θ는 막체와 조류 방향사이의 각도이다.
따라서 조류의 흐름이 빠지지 않고 방향이 일정하며 바람의 영향을 받지 아니하는 공사 현장에는 오탁 방지막에 부이만을 부착하여 설치할 수 있으나, 파도가 심하고 조류의 속도가 빠르며 조류의 방향의 수시로 변하고 바람의 영향을 크게 받는 해안공사현장, 예를들면 외항에 설치하는 오탁 방지막은 전술한 압력 P를 견딜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예를들면 대한민국 서해안 영종도에 건설하는 수도권 공항건설 공사장 주변의 해역에서는 유속의 51.7-226.6cm/s이고, 조량은 137.8×106-1207.3×106m3이며, 조향은 31°-278°로 나타나므로 이 지역에 2.2m×20m의 포지 150개를 연결하여 오탁 방지막을 설치하는 경우 오탁 방지막이 받는 최대 압력은 426.94MPa, 즉 426.94×106N/m2으로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지역에 설치되는 오탁 방지막은 최소한 전술한 압력에 유지될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그러나 태풍과 같은 최악의 해상 조건에서는 전술한 압력보다 더 큰 압력을 받게되므로 실제적으로 이러한 기상조건하에서는 오탁 방지막에 부이만 부착된 오탁 방지 장치로는 전술한 큰 압력에 견딜수 없게 된다. 특히 해안 공사에서는 오탁 방지막을 설치하는 길이가 수 km정도로 길어질수도 있는바, 이와같은 긴 단일 오탁 방지막을 제작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불가능하므로 수 10개 내지 수백개의 오탁 방지막을 연결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이와같은 여러개의 오탁 방지막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오탁 방지막의 측단부에 아일렛등으로된 연결공을 형성하여 로프로 연결하는바, 이 경우 오탁 방지막에 가하여지는 압력이 크면 오탁 방지막을 서로 연결하는 부위가 파손될 수도 있다.
종래의 오탁 방지장치는 오탁 방지막 양측에 대향되는 두 반쪽부이를 대고 부이의 외주를 둘러싸는 금속밴드를 볼트로 고정시켜 구성하고, 이러한 오탁방지장치를 여러개 연결하여 사용할 때는 막체끼리만 연결하여 사용하도록 되었다. 따라서 종래의 오탁방지막은 조류, 파랑, 파고, 유각, 풍향, 풍속등 자연의 변화 무쌍한 외력에 의하여 오탁 방지막이 큰 압력을 받으면 좌우로 인장되면서 연결 부위의 마모에 의한 보강금구의 파손, 엮음 로프의 절단, 외피의 파손등이 나타남은 물론이고 부력이 큰 부이가 파도의 영향으로 상하로 움직이는 힘을 받게되므로 포지와 부이의 연결부위가 쉽게 파손되는 경우가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오탁 방지막에 가하여지는 압력이 큰 기상 조건하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오탁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포지로된 오탁 방지막, 오탁 방지막 상단에 부착되는 두 반쪽 부분으로된 부이 및 부이 하방에 오탁 방지막의 전체길이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는 인장 방지 수단을 갖는 본 발명의 오탁 방지 장치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은 포지로 구성된 오탁 방지막의 상단에 두개의 반쪽 부이부분을 결합시켜서된 다수의 부이를 부착하고 최소한 일측 연부에 연결금구를 부착하여서된 오탁 방지 장치에 있어서, 부이 하방에 부이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결합된 인장방지수단을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 방지장치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이는 두 반쪽 부이부분을 오탁 방지막의 양측에서 대접되게 결합시켜 구성하는바, 이러한 부이의 구성은 이미 공지되었다. 각개 부이의 반쪽부분은 부양력이 큰 스티로폴등의 발포성 재질로된 부구체와 부구체 외표면에 씨워지는 합성수지제 외피로 구성되고, 두 반쪽 부이부분은 합성수지 외피의 양 단부에 형성된 고정 홈에서 고정 밴드로 결합, 고정된다. 고정밴드는 금속 또는 합성 수지로 제조되며 양단부에 고정용 볼트가 삽입되는 결합공을 갖고있다. 오탁 방지막은 상단부 양 면에 전술한 두 반쪽 부이 부분을 대향되게 접합시키고 고정 홈내에 고정밴드를 삽입하여 양측 밴드를 오탁 방지막을 관통하는 볼트로 고정시키므로서 부이와 결합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인장 방지수단은 오탁 방지막의 전체길이에 걸쳐지도록 설치된다. 이 인장 방지수단은 그 양단부를 오탁 방지막의 양단부에 형성된 보강부에 고정시킬수도 있고 인접 오탁 방지장치에 설치된 인장 방치 수단과 직접 연결되게 할수도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는 제2인장방지 수단을 결합시켜 사용할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는 인장방지수단이 부이 하단 내부에 결합된 연결용 밴드와 전술한 연결용 밴두를 연결하는 체인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인장 방지수단을 구성하는 밴드가 인장력이 없는 강인한 재질의 직포로 구성될 수도 있고 금속 합성수지 밴드로 구성될수도 있는바, 이 밴드는 포지로된 경우에는 오탁 방지막의 전체 길이에 걸쳐지는 단일 밴드로 구성될수도 있으나, 금속 또는 합성수지 밴드인 경우에는 밴드를 부이보다 약간 길게 형성하여 부이 내부에 결합시키고 각개 부이에 결합된 연결용 밴드의 단부를 체인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좋다. 전술한 밴드를 포함하는 인장 방지수단은 두 반쪽 부이부분을 결합시켜 부이를 구성할 때 두 반쪽 부이부분 사이에 밴드를 삽입하여 부이결합과 동시에 두반쪽부이를 결합시키는 볼트등에 의하여 부이 내부에 고정되게 하는 것이 좋다.
전술한 밴드는 부이 외측으로 돌출된 외단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고리로 체인과 연결시키는 것이 좋다. 그러나 밴드와 체인이 모두 금속으로 형성된 경우에는 용접에 의하여 연결할수도 있다. 전술한바와 같이 밴드와 체인을 고리로 연결하는 것은 연결작업이 용이하고 사용중 부이 또는 체인이 파손되었을 때 수리하기 용이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서는 인장 방지수단이 부이에 직접 결합된 전술한 인장 방지수단, 즉 제1인장 방지수단과 부이에 직접 결합되지 않고 전술한 제1인장 방지수단에 연결된 제2보조 인장 방지수단을 포함한다. 전술한 제2인장 방지수단은 로프나 체인으로 구성하되 전술한 제1인장 방지수단을 통하여 부이와 간접적으로 결합되게 하는 것이 좋다. 이 경우 부이와의 간접 결합방법으로는 제2인장방지 수단을 구성하는 로프나 체인을 부이와 직접 결합된 제1인장방지 수단에 카라비나 또는 금속고리와 같은 연결구로 분리할수 있게 결합시키거나 또는 철사등으로 고정시키는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전술한 제1인장방지 수단과 제2인장방지 수단을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 제1인장방지 수단은 오탁 방지막의 보강된 양단부에 고정시키고 제2인장 방지수단을 구성하는 로프나 체인은 샤클등의 연결구나 또는 볼트/너트 연결구를 사용하여 인접 오탁 방지 장치의 제2인장장치 수단을 구성하는 로프나 체인에 직접 연결하는 것이 좋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오탁 방지막이 큰 힘을 받을 때 두 오탁 방지막의 연결부위에 가하여지는 벌어지려는 압력이 제2인장 방지수단에 의하여 해소되므로 연결부위의 파손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오탁방지장치의 일부분을 보인 정면도,
제2도는 제1도 부이 부분의 단면도.
제3도는 제2인장 방지수단이 금속 로프로 구성된 본 발명의 다른 형태를 보인 일부 절취 확대사시도.
제4도는 연결금구를 통한 인접오탁 방지장치와의 연결상태를 보인 정면도.
제5도는 제2인장방지수단의 다른 연결방식을 보인 확대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오탁방지막2:부이
3, 4;보강부5:보강금구
5':연결공6:연결공
7:연결구8:로프
9:인장방지수단10, 10':반쪽부이부분
11:부구체12:외피
13, 14:고정홈15, 16:고정밴드
17, 18:볼트19:밴드
20:체인21:보강금구
22:연결구23:제2인장방지수단
24:연결구25:연결구
30:체인31:로프
32:볼트/너트 연결구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오탁 방지 장치는 폴리프로필렌 직포와 같은 포지로 구성된 오탁 방지막(1)과 부이(2)를 포함하고 있다.
오탁 방지막(1)은 주연부에 직포를 접어서 중첩되게 봉착한 보강부(3), (4)를 갖고 있으며 양측단부의 보강부(3)에는 인접 오탁 방지장치의 오탁 방지막과 연결하기위한 연결공(5')이 형성된 연결용 보강 금구(5)와 아이렛 형태로 형성된 연결공(6)을 갖고 있다. 보강금구(5)는 연결할 인접 연결 금구와 연결공(5')에서 샤클등의 연결구(7)를 사용하여 연결하며 연결공(6)은 인접 오탁 방지막의 연결공과 로프(8)로 연결한다. 그리고 오탁 방지막의 하단부는 앵커등으로 해저에 고정시킬 수 있게 되었다.(도시하지 않았음)
부이(2)는 제2도에 도시된바와같이 두 반쪽 부이 부분(10), (10')을 오탁 방지막(1)의 양측에서 대접, 결합시켜 구성한다. 각개 반쪽 부분(10), (10')은 각각 발포체로된 반원형 단면의 부구체(11)와 합성수지로된 외피(12)로 구성되며,양측 단부에는 밴드 고정홈(13), (14)을 갖고 있다. 전술한 밴드 고정홈(13), (14)에는 각각 부이 결합에 사용되는 고정밴드(15), (16)가 삽입된다. 제2도에 따르면 부이(2)는 전술한 두 반쪽 부이부분(10), (10')을 오탁방지막(1)의 상단 양측에 서로 대접되게 설치하고 결합밴드(15), (16)의 상하단부에서 볼트(17), (18)로 결합시켜 구성한다. 이와같은 오탁 방지막과 부이로된 오탁 방지장치는 이미 알려졌다.
본 발명에 따르면 오탁 방지장치는 부이(2)의 하단에 결합된 제1인장방지수단(9)을 포함한다. 제1도에 따르면 제1인장 방지수단(9)은 부이(2)의 하단부 내부에 삽입 고정된 연결용 금속밴드(19)와 인접된 부이의 금속밴드를 서로 연결하는 금속체인(20)으로 구성되어있다. 전술한 금속 밴드(19)는 두 부이 반쪽 부분(10), (10')을 결합시킬때 두 부이반쪽 부분(10), (10')사이에 삽입되어 부이(2)가 형성될때 동시에 구멍(19')을 관통하는 볼트(18)에 의하여 고정된다.
금속 체인(20)은 밴드(19)의 단부에 용접 고정되었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고리등의 연결구로 연결할수도 있다. 오탁 방지막(1)의 측단부에 위치하는 부이(2)에 연결된 밴드(19)와 결합된 체인(20)은 오탁 방지막의 측단 보강부(3)에 결합된 보강 금구(21)에 용접 고정된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체인(20)이 결합된 보강금구(21)를 인접 오탁 방지막의 보강금구와 연결공(21')를 통하여 샤클등의 연결구(22)로 연결하면 연결부의 보강금구(21)와 연결구(22)를 통하여 양측 인장 방지수단(9)이 서로 연결되므로 연결부에서 오탁 방지막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또한 형태에서는 오탁 방지수단이 제1오탁 방지수단(9)과 함께 제2오탁 방지수단(23)을 포함하고 있다. 제1도에서는 이 제2오탁 방지수단(23)이 금속체인(30)을 형성되었다. 그러나 이 제2오탁 방지수단(23)은 제3도에서와 같이 금속 로프(31)로 구성될수도 있다. 전술한 제2오탁 방지수단(23)은 사용중 중앙부가 늘어지지 않도록 제1오탁 방지수단(9)을 구성하는 체인(20)에 카라비아같은 연결구(24)로 연결되었다. 이 제2오탁 방지수단은 인접된 오탁 방지장치의 제2인장 방지수단과 샤클등의 연결구(25)로 직접 연결되었다. 그러나 제5도에서와 같이 볼트/너트 연결구(32)로 연결할수도 있다. 이와같은 구성에 의하면 오탁 방지막에 가하여지는 압력에 의한 오탁 방지막의 인장이 제2인장방지 수단(23)에 의하여 해소되므로 제1인장 방지수단(9)만을 사용한 경우보다 두 오탁 방지막의 연결부위가 덜 파손되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오탁 방지장치는 10-20m 길이로 형성되고, 공사장 주변의 하천이나 해안에 공사자을 둘러싸도록 설치 길이에 따라서 수개 내지 수백개연결하여 사용한다. 설치할때는 오탁방지막 하단에 부착된 앵커나 닷을 요구하는 장소에 고정시키고 인접된 오탁 방지막의 연접 단부에 있는 보강 금구(5), (21)를 샤클등의 연결구(7), (22)로 연결하고 연결공(6)을 로프(8)로 연결하여 설치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포지에 가하여지는 압력에 의하여 포지가 늘어나려는 힘이 인장 방지수단(9)에 의하여 억제되므로 부이(2)결합부위의 파손이 억제될뿐아니라 서로 연결된 전체 오탁 방지장치가 금구(21)에서 연결구(22)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었으므로 일측 오탁 방지막에 큰 압력이 가하여져도 그 압력은 인장 방지수단(9)을 통하여 전체 오탁 방지막에 전달되게 되어 오탁 방지막의 파손 위험성이 감소되게 된다.
더구나 제2인장 방지수단(23)이 설치된 경우에는 이 인장 방지수단(23)이 인접된 인장 방지수단과 오탁 방지막을 통하여 연결되지 않고 샤클(25) 또는 볼트/너트(32)에 의하여 직접 연결되므로 두 오탁 방지막의 연결부위에서 벌어지려는 힘이 제2오탁 방지 수단(23)에 의하여 해소되므로 로프(8)에 의한 연결부와 연결금구(5), (21)에 의한 연결부위가 힘을 적게 받게 되어 연결부위의 파손이 감소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천이나 해안에서 토목공사할 때 발생하는 토사 등을 포함하는 오탁수가 본류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오탁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6)

  1. 양단부에 보강금구(7)가 부착된 포지로된 오탁방지막(1)과 전술한 오탁방지막의 상단에 두개의 반쪽부이부분(10), (10')을 양쪽에서 결합시켜 형성한 다수의 부이(2)를 포함하는 오탁 방지장치에 있어서, 이 오탁 방지장치가 오탁방지막(1)의 전체길이에 걸쳐지도록 설치되는 부이(2)와 결합된 인장방지수단(9, 23)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장치.
  2. 제1항에서, 인장방지수단이 각개 부이(2)내부에 삽입 결합된 연결용 밴드(19)와 인접된 부이의 밴드(19)들을 서로 연결하는 체인(20)으로 구성된 제1인장 방지수단(9)과 제2인장 방지수단(23)중의 최소한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장치.
  3. 제2항에서, 밴드(19)와 체인(20)중의 최소한 하나가 금속과 합성수지중에서 선택된 재질로 구성된 것이고, 두 반쪽 부이부분(10), (10') 사이에 삽입되어 볼트(18)로 고정되었음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장치.
  4. 제2항에서, 제2인장방지수단(23)이 체인(30)과 로프(31)중에서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장치.
  5. 제4항에서, 체인(30)이 금속과 합성수지중에서 선택된 재질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장치.
  6. 제1항에서, 인장 방지수단이 부이(2)에 결합된 제1인장방지수단(9)과 전술한 제1인장 방지수단에 연결구(24)로 연결되고 부이(2)와 직접 결합되지 아니한 제2인장방지수단(23)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 방지장치.
KR1019960063109A 1996-12-09 1996-12-09 오탁방지장치 KR100225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109A KR100225025B1 (ko) 1996-12-09 1996-12-09 오탁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3109A KR100225025B1 (ko) 1996-12-09 1996-12-09 오탁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4954A true KR19980044954A (ko) 1998-09-15
KR100225025B1 KR100225025B1 (ko) 1999-10-15

Family

ID=19486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3109A KR100225025B1 (ko) 1996-12-09 1996-12-09 오탁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50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0259B1 (ko) * 2011-01-24 2011-04-22 창신개발(주) 오탁방지막에 설치된 양닻가지형 앵커
KR101053493B1 (ko) * 2008-07-25 2011-08-05 이례기업(주) 부유물 제거용 스크린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86076B1 (ko) * 2019-10-18 2020-03-06 안덕테크 주식회사 막체의 보강구조를 포함하는 오탁방지막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194B1 (ko) * 2002-01-24 2005-04-22 김현철 오탁방지장치의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493B1 (ko) * 2008-07-25 2011-08-05 이례기업(주) 부유물 제거용 스크린 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30259B1 (ko) * 2011-01-24 2011-04-22 창신개발(주) 오탁방지막에 설치된 양닻가지형 앵커
KR102086076B1 (ko) * 2019-10-18 2020-03-06 안덕테크 주식회사 막체의 보강구조를 포함하는 오탁방지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25025B1 (ko) 1999-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2261A (en) Floating containment boom
US20120057935A1 (en) Multi-Purpose Rotational Barrier Unit
US20170233966A1 (en) Integrated marine barrier
JP2010159563A (ja) オイルフェンス
KR100225025B1 (ko) 오탁방지장치
KR100633018B1 (ko) 오탁방지장치
KR100523238B1 (ko)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방법
KR20190081533A (ko)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KR19980044955A (ko) 오탁방지장치
KR100677898B1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설치방법
KR100485194B1 (ko) 오탁방지장치의 시공방법
KR101030258B1 (ko) 양닻가지형 앵커가 구비된 오탁방지막
Francingues et al. Silt curtains as a dredging project management practice
KR200390494Y1 (ko) 트레쉬 펜스
KR200393313Y1 (ko)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
KR101030259B1 (ko) 오탁방지막에 설치된 양닻가지형 앵커
US5975796A (en) Vertical flow diversion mat system
GB2065205A (en) Protection of underwater structures
KR20130024657A (ko) 오탁방지장치
JPH11222838A (ja) 汚濁防止膜
KR20050104522A (ko) 혼성된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방법
KR102606363B1 (ko)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방지 가시설
JP3175243U (ja) オイルフェンスの展張構造
KR200442717Y1 (ko) 오일 또는 오탁 방지막 지지용 앵커
RU2247809C2 (ru) Стационарное боновое заграждение постоянной плавуче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