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93313Y1 -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93313Y1
KR200393313Y1 KR20-2005-0014497U KR20050014497U KR200393313Y1 KR 200393313 Y1 KR200393313 Y1 KR 200393313Y1 KR 20050014497 U KR20050014497 U KR 20050014497U KR 200393313 Y1 KR200393313 Y1 KR 2003933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pipe
installation structure
film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1449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명춘
Original Assignee
전명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명춘 filed Critical 전명춘
Priority to KR20-2005-001449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933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93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933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6Barriers therefor construed for applying processing agents or for collecting pollutants, e.g. absorb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4Seals,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하천, 해안 또는 해저에서의 매립준설공사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앵커로프의 길이를 종래에 사용하는 1/2정도 사용하여도 커튼 막체가 흔들리지 않게 함과 동시에 닻가지가 하나 또는 복수 개인 앵커를 앵커로프 오탁방지막에 사용하여 오탁방지막의 설치 작업을 간단히 함과 동시에 설치 후 홍수시나 태풍시에 담수 또는 해수의 유동이 심한 경우에 오탁방지막이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INSTALLATION STRUCTURE OF FLOAT FENCE USING ANCHORS}
본 고안은 하천, 해안 또는 해저에서의 매립준설공사시 발생되는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앵커로프의 길이를 종래에 사용하는 1/2정도 사용하여도 커튼 막체가 흔들리지 않게 함과 동시에 닻가지가 하나 또는 복수 개인 앵커를 앵커로프 오탁방지막에 사용하여 오탁방지막의 설치 작업을 간단히 함과 동시에 설치 후 홍수시나 태풍시에 담수 또는 해수의 유동이 심한 경우에 오탁방지막이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는 것을 차단하는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로는 등록특허 10-0188519, 공개특허공보 특2003-0063939, 일본공개특허공보 소56-48420가 공지되어 있다.
등록특허 10-0188519의 경우에는 오탁방지막(10, 20)의 상단과 하단을 각각 앵커(40)와 앵커로프(30)를 사용하여 연결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나, 이 특허의 경우 오탁방지막을 상부, 하부에서 고정시키므로 오탁방지막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앵커로프(30)가 그 만큼 소요되어 시공비가 올라가는 점, 해수면이 낮아질 경우 앵커로프(30)가 꼬이는 문제점, 오탁방지막이 너무 단단히 고정되어 해수의 속도가 빨라지거나 할 경우 수압을 이기지 못하여 오탁방지막의 커튼부가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특2003-0063939 및 일본공개특허공보 소56-48420는 명세서 및 도면에 기재된 것처럼 오탁방지막의 커튼부에 앵커로프를 사용하여 앵커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지만, 앵커를 하나 더 설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앵커가 고가인 점을 생각할 경우에 그리 효과적인 방법이 아니고, 또한, 앞선 경우와 마찬가지로 오탁방지막이 너무 단단히 고정되어 해수의 속도가 빨라지거나 할 경우 수압을 이기지 못하여 오탁방지막의 커튼부가 찢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앵커로프의 길이를 줄임으로서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음과 더불어 오탁방지막의 설치를 간단히 할 수 있는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수중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오탁방지막의 커튼부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과 더불어 오탁방지막 설치후 앵커로프가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플로트부, 상기 플로트부와 하단에 연결되어 오탁수가 공사장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하단에 무게중심수단이 장착되고 가로 20m, 세로 3m인 커튼부로 이루어진 오탁방지막을 사용하되,
상기 플로트부의 양 방향으로 대칭되게 앵커로프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앵커로프의 타단을 앵커에 연결하여 이루어진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무게중심수단은 일정간격으로 연결된 3.8Kg/m인 체인이고, 상기 커튼부와 체인은 와이어로 결속되고,
상기 앵커에 연결된 앵커로프는 해수면을 기준으로 30 내지 40도를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커는 하부가 만곡 연장된 닻채, 상기 닻채 하단에 구비되는 편편한 닻혀로 이루어지되,
상기 닻채에는 뒤창보강재가 구비되며, 닻장고정파이프에 삽설되는 닻장파이프가 부착되고, 앵커로프와 연결되기 위한 고리가 연결되고, 이송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수중에서 앵커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닻채와 닻채의 연결상태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용 띠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앵커는 좌우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그 중앙에는 닻장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닻장고정파이프를 포함하고, 바닥 중앙에는 앵커의 중심을 잡기위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닻혀,
상기 닻혀와 연결되는 닻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닻혀에는 닻장고정파이프에 삽설되는 닻장파이프가 더 구비되고,
상기 닻채의 양 측면에는 닻채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닻채보강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닻혀와 닻채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 2 내지 5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2b, 2c, 2d, 2e는 본 고안에 의한 외닻형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이고, 도 3a, 3b는 외닻형 앵커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a, 4b, 4c, 4d, 4e는 본 고안에 의한 양닻형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이고, 도 5a, 5b는 양닻형 앵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로트부(10), 가로 20m, 세로 3m인 커튼부(20)로 이루어진 오탁방지막을 사용하되; 상기 플로트부(10)의 양 방향으로 대칭되게 앵커로프(30)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앵커로프(30)의 타단을 앵커(60)에 연결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앵커(60)를 해수속으로 매설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커튼부(20)에는 플로트부(10) 하단에 연결되어 오탁수가 공사장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고, 하단에 일정간격으로 체인(50)이 설치된다.
상기 체인(50)은 오탁방지막이 해수면을 기준으로 90도로 서게 하는 역할을 하고, 해수의 급격한 변동이 있거나 태풍이 있는 경우에 수압의 방향에 따라 스윙운동했다가 원래 상태로 복귀되기 때문에 오탁방지막의 커튼부(20)가 찢어지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커튼부(20)의 폭은 설계조위(H.W.O.S.T.)를 감안한 총 소요수심이 10m 이상일때 커튼부(20) 폭은 총 소요수심의 1/3를 보고, 10m이하일 때 총 소요수심의 2/3를 커튼부(20) 폭으로 하는데,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그 폭을 3m로 한다.
상기 커튼부(20)와 체인(50)은 와이어(52)로 결속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른 결합수단을 써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체인(50)은 3.8Kg/m인 것을 쓰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단위 m당 Kg이 많이 나가는 경우에는 오탁방지막의 이송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고, 단위 m당 Kg이 적게 나가는 경우에는 오탁방지막의 커튼부(20)의 무게중심을 잡지 못하는 단점이 있기 때문이고, 그 임계점이 3.8Kg/m이다.
또한, 앵커(60)에 연결된 앵커로프(30)는 해수면을 기준으로 30 내지 40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본 고안은 오탁방지막의 플로트부(10)에만 앵커로프(30)를 연결시키므로 오탁방지막의 커튼부(20)에 장착되는 앵커로프(30)를 앵커(60)에 연결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앵커(60)는 하부가 만곡 연장된 닻채(64), 상기 닻채(64) 하단에 구비되는 편편한 닻혀(62)로 이루어지되, 상기 닻채(64)에는 뒤창보강재(65)가 구비되며, 닻장고정파이프(69)에 삽설되는 닻장파이프(69a)가 부착되고, 앵커로프(30)와 연결되기 위한 고리(66)가 연결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앵커(60)는 뒤창보강재(65)가 설치되어 있어 닻채(64)가 수압에 의하여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앵커(60)의 소정의 위치 즉 닻채(64)가 만곡 연장되게 설치되는 그 지점에 고리(66)를 설치하여 앵커(60)의 이송을 편리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수중에서 앵커(60)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닻채(64)와 닻채(64)의 연결상태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용 띠장(68)을 더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설치공법은 도 4 및 도 5에 도시되어 있고, 이 공법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실시예 중 앵커만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므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앵커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상기 앵커(70)는 좌우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그 중앙에는 닻장파이프(75)를 연결하기 위한 닻장고정파이프(74)가 삽입설치된 닻혀(72), 상기 닻혀(72)와 연결되는 닻채(7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닻혀(72)에는 닻장고정파이프(74)에 삽설되는 닻장파이프(75)가 더 구비케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닻혀(72)가 수중에서 고정되게 한다.
상기 닻채(76)의 양 측면에는 닻채(76)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닻채보강재(77)가 더 구비되고, 상기 닻혀(72)와 닻채(74)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부재(78)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닻혀(72)의 바닥 중앙에는 가이드(79)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수중에 있는 점토에 묻힐 때 앵커(70)의 중심을 잡게 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오탁방지막의 설치공법은 오탁방지막 하단에 앵커로프를 장착시키기 않아도 되므로 해수면이 내려가 커튼부가 해저면과 닿을 때 앵커로프가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강한 수력에 의하여 커튼부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오탁방지막 상단, 하단에 앵커로프를 사용하여 앵커에 연결하는 종래의 시공방법에서 오탁방지막 하단에 설치되는 앵커로프 대신에 오탁방지막 하단에 무게중심수단을 구비케 함으로서 앵커로프의 길이를 줄여 시공비용을 줄일 수 있음과 더불어 수중에 단단히 고정되어 있는 오탁방지막의 커튼부가 찢어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오탁방지막 하단에 앵커로프를 설치하지 않으므로 수심이 낮아질 때 오탁방지막 상단, 하단에 연결된 앵커로프가 설로 꼬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그 만큼 오탁방지막을 간단히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를 나타낸 개략도.
도 2a, 2b, 2c, 2d, 2e는 본 고안에 의한 외닻형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
도 3a, 3b는 외닻형 앵커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4b, 4c, 4d, 4e는 본 고안에 의한 양닻형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
도 5a, 5b는 양닻형 앵커를 나타내는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 플로트부 20: 커튼부 30: 앵커로프
40: 앵커 50: 체인 52: 와이어
60: 앵커 70: 앵커

Claims (3)

  1. 플로트부, 상기 플로트부와 하단에 연결되어 오탁수가 공사장 밖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 하단에 무게중심수단이 장착되고 가로 20m, 세로 3m인 커튼부로 이루어진 오탁방지막을 사용하되, 상기 플로트부 양 방향으로 대칭되게 앵커로프의 일단을 연결하고, 상기 앵커로프의 타단을 앵커에 연결하여 이루어진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무게중심수단은 일정간격으로 연결된 3.8Kg/m인 체인이고, 상기 커튼부와 체인은 와이어로 결속되고,
    상기 앵커에 연결된 앵커로프는 해수면을 기준으로 30 내지 40도를 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하부가 만곡 연장된 닻채, 상기 닻채 하단에 구비되는 편편한 닻혀로 이루어지되,
    상기 닻채에는 뒤창보강재가 구비되며, 닻장고정파이프에 삽설되는 닻장파이프가 부착되고, 앵커로프와 연결되기 위한 고리가 연결되고, 이송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고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수중에서 앵커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닻채와 닻채의 연결상태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용 띠장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좌우대칭을 이루고 있으며 그 중앙에는 닻장파이프를 연결하기 위한 닻장고정파이프를 포함하고, 바닥 중앙에는 앵커의 중심을 잡기위한 가이드를 포함하는 닻혀,
    상기 닻혀와 연결되는 닻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닻혀에는 닻장고정파이프에 삽설되는 닻장파이프가 더 구비되고,
    상기 닻채의 양 측면에는 닻채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닻채보강재가 더 구비되고,
    상기 닻혀와 닻채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
KR20-2005-0014497U 2005-05-23 2005-05-23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 KR2003933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497U KR200393313Y1 (ko) 2005-05-23 2005-05-23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14497U KR200393313Y1 (ko) 2005-05-23 2005-05-23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93313Y1 true KR200393313Y1 (ko) 2005-08-22

Family

ID=43694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14497U KR200393313Y1 (ko) 2005-05-23 2005-05-23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933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908B1 (ko) * 2013-10-28 2014-05-07 준백건설 주식회사 오탁방지장치
KR20220068352A (ko) 2020-11-19 2022-05-26 (주)오성엔에이치 수상 펜스용 표시등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1908B1 (ko) * 2013-10-28 2014-05-07 준백건설 주식회사 오탁방지장치
KR20220068352A (ko) 2020-11-19 2022-05-26 (주)오성엔에이치 수상 펜스용 표시등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61014A (en) Prefabricated civil engineering module,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 structure including said module and resulting structure
KR101291326B1 (ko) 쇄파능력이 향상된 콘크리트 부유식 방파제
KR101958907B1 (ko) 해안침식 방지용 파압 및 해빈류 완화 시스템
US8052348B2 (en) Erosion control system
KR100523238B1 (ko)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방법
KR200393313Y1 (ko)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
KR100740533B1 (ko) 부유식 방파제
KR100677898B1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설치방법
CN217536965U (zh) 土工管袋自浮装配式充灌操作平台
KR200398150Y1 (ko) 오탁 방지막용 앵커 구조물
EP4361350A1 (en) Breakwater
KR100615966B1 (ko) 혼성된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방법
KR101030258B1 (ko) 양닻가지형 앵커가 구비된 오탁방지막
KR20190081533A (ko)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KR101718213B1 (ko) 오탁방지막장치 및 이 오탁방지막장치의 앵커 제작 및 설치방법
JP2006249914A5 (ko)
CN211446845U (zh) 一种防污装置
KR100225025B1 (ko) 오탁방지장치
US5975796A (en) Vertical flow diversion mat system
KR100715146B1 (ko) 자중앵커
KR200391971Y1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
JP2881512B2 (ja) 自動遮水フェンス
KR200442717Y1 (ko) 오일 또는 오탁 방지막 지지용 앵커
KR200253068Y1 (ko) 부방파제(방파제 및 가두리 보호 방파시설)
KR102606363B1 (ko)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방지 가시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