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81533A -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 Google Patents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81533A
KR20190081533A KR1020170184140A KR20170184140A KR20190081533A KR 20190081533 A KR20190081533 A KR 20190081533A KR 1020170184140 A KR1020170184140 A KR 1020170184140A KR 20170184140 A KR20170184140 A KR 20170184140A KR 20190081533 A KR20190081533 A KR 20190081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oyant
bracket
buoyant body
present
memb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상호
서승남
김대경
Original Assignee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주식회사 건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주식회사 건일 filed Critical 한국해양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70184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81533A/ko
Publication of KR20190081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15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Details of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ve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막은 수면에 부유 가능한 복수의 부력체와, 복수의 부력체를 병렬로 연결하는 브라켓과, 부력체의 하부에 구비된 막체를 포함하는 오탁방지막과 상기 오탁방지막을 계류시키는 계류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부력체의 상부에는 파랑에너지를 저감시키는 파랑저감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다중 부력체 및 막체가 구비되어 파도 등에 저항하므로 구조적 안정성이 확보되며 파랑저감부재로 파랑에너지가 저감되어 수중 공사에 유리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MULTIPLE-LAYERED FLOATING SILT PROTECTOR}
본 발명은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 토목공사 시 발생되는 각종 오염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해안 또는 해저에서 준설공사, 축조공사 또는 간척공사를 할 때는 토사 또는 부유물질이 함유된 오 탁수가 발생되어 공사장 인근의 수중으로 확산되므로 공사지역의 생태계에 영향을 줌은 물론이고, 주변 어장을 황폐화 시키거나 수자원을 황폐화시키므로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지 않고 일정한 구역내에 격리되도록 공사장 주위에 오탁방지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상기 오탁방지장치는 토사와 같은 해상 부유물을 격리하는 막체 등의 상단에 부유체를 부착하고, 이를 해저면에 계류시키도록 한다.
통상 오탁방지막의 부유체는 스티로폼이 많이 이용되는데 파도에 대한 저항력이 부족하기 때문에 잔잔한 바다에서의 사용에는 문제가 없으나 거친 파도가 치는 해상 환경에서는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수면에 부유한 날카로운 물체가 오탁방지막 부력체에 충돌하는 경우 파손되어 오탁방지막으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고 스티로폼이 외부로 노출되어 환경오염을 유발하게 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328633호에서는 파도 충격으로부터 파손 방지가 되는 오탁방지막이 개시된다. 상기 오탁방지막에서는 공기부력튜브가 내장된 부력부와 하부에 웨이트부재가 결합된 막체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오탁방지막은 부력체 자체의 내구성이 향상될 뿐 거친 파도가 치는 해상 환경에서 파도에 의해 막체 및 부유체의 유동이 심하고 막체가 파손될 수 있으며, 파도가 부유체를 월류하게 되는 경우 부유체가 손상될 수 있고, 오탁물이 역류하여 오탁방지막의 오탁방지 기능의 확보가 어렵다.
(문헌 0001) 대한민국등록특허 제 10-1328633호 (문헌 0002) 대한민국공개특허 제 10-2015-0091711호
위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본 발명의 목적은, 파도 등에 대한 저항력을 확보하고 거친 파도가 치는 해상환경에서도 오탁방지 기능이 확보되는 오탁방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는 수면에 부유 가능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공형상을 갖는 복수의 부력체, 복수의 부력체를 병렬로 연결하는 브라켓 및 복수의 부력체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연결되고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막체를 포함하는 오탁방지막 및 상기 오탁방지막과 연결되는 계류라인 및 계류라인과 연결되며 수중으로 침강되는 엥커를 포함하는 계류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오탁방지막은 복수의 막체 하부를 병렬로 연결하는 막체웨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오탁방지막은 부력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브라켓 또는 부력체와 연결된 파랑저감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파랑저감부재는 복수개의 부력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부력체의 상부에 연결되며, 최상단의 높이가 부력체의 상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오탁방지막은, 복수의 막체를 병렬로 연결하며, 막체웨이트 상부에 구비된 크로스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계류라인은 상기 막체의 하단 양 단부 또는 상기 막체웨이트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계류라인은 브라켓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부력체는 폴리에틸렌(P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부력체의 내부에는 부유체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에 따르면 중공 형상의 부력체가 구비되어 부유체의 보호가 용이하며, 다중으로 구성된 막체가 서로 연결되어 파도 등이 치더라도 오탁방지기능이 안정적으로 확보된다.
또한, 파랑저감부재가 구비되어 파도의 파랑에너지를 저감시키므로 수중 토목공사가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120)을 나타낸 상세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는 오탁방지막(100)과 계류장치(200)를 포함한다.
상기 오탁방지막(100)은 수면에 부유 가능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공형상을 갖는 복수의 부력체(110), 상기 복수의 부력체(110)를 병렬로 연결하는 브라켓(120) 및 상기 복수의 부력체(110)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연결되고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막체(130)를 포함하고, 상기 계류장치(200)는 상기 오탁방지막(100)과 연결되는 계류라인(210) 및 상기 계류라인(210)과 연결되며 수중으로 침강되는 엥커(220)를 포함한다.
수중 토목공사 등에서 상기 오탁방지막(100)은 수면 위에 부유되거나 수중에 위치되어 오탁물의 유동을 방지한다.
상기 부력체(110)는 중공형상을 갖는 파이프일 수 있고, 폴리에틸렌(PE)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110)는 강성이 확보되는 플라스틱 또는 금속일 수 있다. 상기 부력체(110)는 부유력 증가를 위하여 물보다 비중이 낮은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부력체(110)는 폴리에틸렌 소재로 형성된다. 상기 부력체(110)는 용융되어 현장 여건에 맞게 자유롭게 길이를 조절할 수 있고, 부식에 강하고 일정 강도의 내구성이 확보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부력체(110)는 중공형상을 갖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공간에는 부유체(111)가 내장된다. 상기 부유체(111)는 물보다 비중이 낮으며, 상기 부력체(110) 및 상기 브라켓(120)을 수면에 부유시킨다. 상기 부유체(111)는 공기가 유입된 에어튜브일 수 있고, 스티로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유체(111)는 공지의 기술에 따라 본 발명의 목적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부력체(110) 또는 상기 브라켓(120)에는 상기 부유체(11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판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110)의 단부에는 상기 부유체(111)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마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부력체(110)는 복수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부력체(110)는 상기 브라켓(120)으로 병렬연결된다. 병렬연결된 복수의 부력체(110)는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부력체(110) 간의 이격거리는 설계 및 현장 여건 등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상기 브라켓(120)은 상기 복수의 부력체(110)를 병렬연결시키며, 상기 브라켓(120)에는 상기 복수의 부력체(110)가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구(121)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연결구(121)에 상기 복수의 부력체(110)가 각각 안착되며, 상기 부력체(110)의 안착이 용이하도록 상기 브라켓(120)은 상부와 하부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브라켓(120)의 상부와 하부의 결합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일예로서 상기 결합 방법은 상기 브라켓(120)의 상부와 하부가 일측에서 힌지결합되고 타측에서 상기 브라켓(120)의 상부 또는 하부에 결합된 잠금쇠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일예로서 상기 결합 방법은 고정볼트와 고정너트가 체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브라켓(120)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브라켓(120)으로 상기 부력체(110)가 병렬로 연결되어 파도 등에 따른 상기 부력체(110)의 과도한 휨을 방지하고 파도 등에 대한 저항력이 확보된다.
공사의 규모, 현장 여건에 따라 상기 브라켓(120)은 상기 부력체(110)를 직렬로 연결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브라켓(120)에 구비된 상기 하나의 연결구(121)에는 두 개의 부력체(110)가 직렬로 안착되어 상기 브라켓(12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공사 규모에 맞춰 상기 오탁방지막(100)의 규모 조절이 용이해진다.
상기 브라켓(120)은 복수일 수 있으며, 상기 부력체(110)의 과도한 휨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 거리마다 이격되어 등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막체(130)는 부력체(1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수중의 오탁물의 유동을 방지하며, 부력체(110) 또는 브라켓(120)과 연결된다. 상기 막체(130)의 높이는 공사 시 발생할 수 있는 오탁물의 종류, 유동, 현장 여건 등에 따라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막체(130)는 상기 부력체(110) 또는 브라켓(12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부력체(110) 또는 브라켓(120)에는 와이어 또는 연결재 등이 결합되고 상기 와이어 또는 연결재의 말단에 상기 막체(130)가 결합된다. 상기 오탁물이 수중 바닥면에서부터 발생되는 경우 오탁물의 확산 높이에 따라 상기 막체(130)의 높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막체(130)는 물의 투수를 차단하는 차수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일정 범위의 투수계수를 갖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일정 범위의 투수계수를 갖는 막체(130)는 물살에 대한 저항력이 크게 작용되지 않으나 오탁물의 통과는 차단된다. 상기 막체(130)의 소재 및 투수계수는 공지의 기술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상기 막체(130)는 복수로, 상기 병렬로 위치된 복수의 부력체(110) 각각에 길이방향으로 연결되거나 상기 브라켓(120)에 일정거리 이격되어 병렬배치를 이루며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막체(130) 하부는 막체웨이트(140)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막체웨이트(140)는 상기 복수의 막체(130)가 부력체(110) 또는 브라켓(120)과 연결되어 병렬배치를 이루는 경우 상기 복수의 막체(130)를 하부에서 병렬로 연결시킨다. 또한, 상기 막체웨이트(140)는 상기 막체(130)에 중력방향 하중을 가하여 상기 막체(130) 하부의 유동을 방지하고 상기 막체(130)가 수중에서 접히거나 과도하게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막체웨이트(140)는 자중이 확보되도록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중에서 물살의 저항력 감소를 위하여 복수의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오탁방지막(100)에는 상기 병렬배치를 갖는 복수의 막체(130)를 병렬로 연결하는 크로스플레이트(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플레이트(150)는 상기 막체웨이트(140)의 상부에 상기 막체웨이트(140)와 일정거리 이격되어 구비되며, 상기 막체(130)의 수중 물살에 의한 구조적 변형을 감소시킨다.
상기 크로스플레이트(150)는 복수일 수 있으며, 강성이 확보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크로스플레이트(150)는 상기 부력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병렬배치되는 막체(130)를 서로 연결 및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부력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오탁방지막(100)과 연결된 파랑저감부재(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파랑저감부재(160)는 파도 등의 파랑에너지를 저감시키고 부유물 등이 상기 부력체(110)를 월류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부력체(110)를 월류하는 파도 등을 차단하도록 상기 파랑저감부재(160)는 상기 부력체(110)의 상단보다 높은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파랑저감부재(160)는 상기 복수개의 부력체(11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부력체(110)의 상부에 연결된다. 상기 부력체(110)와 파랑저감부재(160)의 연결은 상기 부력체(110)가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되고 상기 파랑저감부재(160)가 폴리에틸렌으로 형성되어 상기 부력체(110)와 상기 파랑저감부재(160)가 용융되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부력체(110)에 결합구가 구비되고 상기 파랑저감부재(160)의 하부에 상기 결합구가 삽입되는 결합홈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연결수단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일 뿐이므로 공지의 기술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파랑저감부재(160)는 상기 브라켓(120)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브라켓(120)은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부력체(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위치되며, 상기 파랑저감부재(160)는 상기 복수개의 브라켓(120) 각각에 연결되거나 상기 복수개의 브라켓(120) 중 둘 이상의 브라켓(120)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브라켓(120)과 파랑저감부재(160)의 연결방법은 공지의 기술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상기 파랑저감부재(160)는 바람 및 수면상의 물 등이 통과되도록 다수의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부력체(110) 또는 상기 브라켓(120)과 경사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파랑저감부재(160)의 형상, 구성, 연결 등은 본 발명의 목적범위 내에서 다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계류장치(200)는 계류라인(210)과 엥커(220)를 포함하며, 상기 오탁방지막(100)을 계류시킨다.
상기 계류라인(210)은 상기 오탁방지막(100)과 상기 엥커(220)를 연결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계류라인(210)은 와이어일 수 있고 상기 막체(130)의 하단 양 단부 또는 상기 막체웨이트(14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서 상기 계류라인(210)은 상기 브라켓(12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계류라인(210)이 브라켓(120)과 연결되는 경우 상기 계류라인(210)과 상기 브라켓(120)의 연결위치에는 윈치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윈치는 상기 계류라인(210)을 감거나 풀어 상기 계류라인(210)과 연결된 상기 엥커(220)의 침강 높이를 조절한다. 상기 윈치는 공지의 기술에 따라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엥커(220)는 자중을 갖고 천연암석, 모래, 자갈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콘크리트 블록, 금속재 등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엥커(220)는 상기 오탁방지막(100)을 계류시키는 목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100 : 오탁방지막 110 : 부력체
111 : 부유체
120 : 브라켓 121 : 연결구
130 : 막체
140 : 막체웨이트 150 : 크로스플레이트
160 : 파랑저감부재
200 : 계류장치 210 : 계류라인
220 : 엥커

Claims (9)

  1. 수면에 부유 가능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중공형상을 갖는 복수의 부력체, 상기 복수의 부력체를 병렬로 연결하는 브라켓 및 상기 복수의 부력체 하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연결되고 높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복수의 막체를 포함하는 오탁방지막; 및
    상기 오탁방지막과 연결되는 계류라인 및 상기 계류라인과 연결되며 수중으로 침강되는 엥커를 포함하는 계류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탁방지막은 상기 복수의 막체 하부를 병렬로 연결하는 막체웨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오탁방지막은 상기 부력체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 또는 상기 부력체와 연결된 파랑저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파랑저감부재는 상기 복수의 부력체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부력체의 상부에 연결되며, 최상단의 높이가 상기 부력체의 상단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오탁방지막은 상기 복수의 막체를 병렬로 연결하며, 상기 막체웨이트 상부에 구비된 크로스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라인은 상기 막체의 하단 양 단부 또는 상기 막체웨이트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계류라인은 상기 브라켓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는 폴리에틸렌(PE)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력체의 내부에는 부유체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KR1020170184140A 2017-12-29 2017-12-29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KR20190081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140A KR20190081533A (ko) 2017-12-29 2017-12-29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140A KR20190081533A (ko) 2017-12-29 2017-12-29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1533A true KR20190081533A (ko) 2019-07-09

Family

ID=672609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140A KR20190081533A (ko) 2017-12-29 2017-12-29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815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5368A (zh) * 2021-09-26 2021-10-29 江苏善徕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海滩清洁用的自动围栏
KR102606363B1 (ko) * 2023-07-31 2023-11-27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방지 가시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633B1 (ko) 2013-06-14 2013-11-14 이현화 파도 충격으로부터 파손 방지가 되는 오탁방지막
KR20150091711A (ko) 2014-02-03 2015-08-12 이현화 오탁방지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8633B1 (ko) 2013-06-14 2013-11-14 이현화 파도 충격으로부터 파손 방지가 되는 오탁방지막
KR20150091711A (ko) 2014-02-03 2015-08-12 이현화 오탁방지막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65368A (zh) * 2021-09-26 2021-10-29 江苏善徕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海滩清洁用的自动围栏
KR102606363B1 (ko) * 2023-07-31 2023-11-27 주식회사 세광종합기술단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방지 가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2650B2 (en) Multi-purpose rotational barrier unit
KR101272903B1 (ko)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
KR101611209B1 (ko) 오탁방지장치
US20170233966A1 (en) Integrated marine barrier
KR20190081533A (ko)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KR101727011B1 (ko) 수위 변화에 대응하는 부유식 수상 시설물 조립체
US7785036B2 (en) Installation method for a preventative booming for oil containment boom with a spiral configuration
KR100633018B1 (ko) 오탁방지장치
KR101066118B1 (ko) 앵커 및 이를 갖는 오탁방지막
KR100677898B1 (ko)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 및 이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설치방법
KR101030258B1 (ko) 양닻가지형 앵커가 구비된 오탁방지막
CN100366825C (zh) 悬浮式拦沙滤泥水质保护装置
KR100225025B1 (ko) 오탁방지장치
KR101030259B1 (ko) 오탁방지막에 설치된 양닻가지형 앵커
WO2007065203A1 (en) Floating containment boom
KR200393313Y1 (ko) 오탁방지막의 설치구조
KR101978400B1 (ko) 부유체 선형 흐트러짐 방지 브라켓과 그를 이용한 수중막체 수직유지 장치
KR102606363B1 (ko)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방지 가시설
JP6202676B2 (ja) 汚濁防止膜装置
KR101831106B1 (ko) 부유체 선형 흐트러짐 방지 브라켓을 이용한 수중막체 수직유지 장치
KR102084406B1 (ko) 강관파이프 및 고무슬리브를 이용한 오탁방지막
JP6202675B2 (ja) 汚濁防止膜装置
JP2002013117A (ja) 海生物等の除去装置
KR20120007093U (ko) 오탁방지막 장치
KR200448292Y1 (ko) 오탁 방지막용 앵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