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1209B1 - 오탁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오탁방지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1209B1 KR101611209B1 KR1020150067340A KR20150067340A KR101611209B1 KR 101611209 B1 KR101611209 B1 KR 101611209B1 KR 1020150067340 A KR1020150067340 A KR 1020150067340A KR 20150067340 A KR20150067340 A KR 20150067340A KR 101611209 B1 KR101611209 B1 KR 10161120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m
- wire
- state
- water
- preven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6—Barriers therefor construed for applying processing agents or for collecting pollutants, e.g. absorbent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Or Clearing Of The Surface Of Open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천이나 해안 또는 해저와 같은 수중에서의 준설공사, 축조공사, 간척공사, 매립준설공사 등의 공사현장에서 발생되는 오탁물질이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됨을 방지하면서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가 공사현장 쪽으로 유입됨을 허용하는 오탁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오탁방지장치는, 수중에 위치되어 부유하는 오탁물질의 이동을 방지하는 오탁방지막(10)과, 오탁방지막(10)의 상부가 수중에서 상승되도록 오탁방지막(10)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서 부유하는 부유체(20)와, 오탁방지막(10)의 하부가 수중에서 하강되도록 오탁방지막(10)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무게를 제공하여 오탁방지막(10)의 하부를 하강시키는 방지막웨이트(30)와, 오탁방지막(1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어 오탁방지막(10)의 일측으로 이동되는 오탁물질이 혼합된 하천수나 해수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오탁방지막(10)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일측방지막고정부(40)와, 오탁방지막(10)의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어 오탁방지막(10)의 타측으로 이동되는 하천수나 해수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오탁방지막(10)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타측방지막고정부(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오탁방지장치는, 수중에 위치되어 부유하는 오탁물질의 이동을 방지하는 오탁방지막(10)과, 오탁방지막(10)의 상부가 수중에서 상승되도록 오탁방지막(10)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서 부유하는 부유체(20)와, 오탁방지막(10)의 하부가 수중에서 하강되도록 오탁방지막(10)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무게를 제공하여 오탁방지막(10)의 하부를 하강시키는 방지막웨이트(30)와, 오탁방지막(1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어 오탁방지막(10)의 일측으로 이동되는 오탁물질이 혼합된 하천수나 해수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오탁방지막(10)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일측방지막고정부(40)와, 오탁방지막(10)의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어 오탁방지막(10)의 타측으로 이동되는 하천수나 해수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오탁방지막(10)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타측방지막고정부(5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탁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하천이나 해안 또는 해저와 같은 수중에서의 준설공사, 축조공사, 간척공사, 매립준설공사 등의 공사현장에서 발생되는 오탁물질이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됨을 방지하면서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가 공사현장 쪽으로 유입됨을 허용하는 오탁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천, 해안 또는 해저에서 공사를 할 때는 토사 또는 부유물질이 함유된 오탁수가 발생되어 공사지역의 생태계에 영향을 줌은 물론이고 주변 어장을 황폐화 시키거나 수자원을 오염시키므로, 오탁수가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되지 않도록 하기위하여 공사현장 주위의 수면에 오탁방지막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오탁방지막은 상부에 부레가 연결되고 하부에 앵커가 연결되어 수중에 수직상태를 유지하므로 수중작업시 발생되는 토사와 같은 해상 부유물이 격리될 수 있으나, 외부에서 작업장 쪽으로 해수가 유입되는 경우 고정된 오탁방지막으로 인하여 저면에 쌓인 부유물이 다시 교란되어 작업장 내부를 오염시키게 되어 오탁방지막 설치효율이 저감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10-1030258호(2011.04.13.)가 게재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하천이나 해안 또는 해저와 같은 수중에서의 준설공사, 축조공사, 간척공사, 매립준설공사 등의 공사현장에서 발생되는 오탁물질이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됨을 방지할 수 있는 오탁 방지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 부분에서는 구체적인 구성을 제외하면서 큰 목적을 기재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본 발명의 오탁방지장치는, 수중에 위치되어 부유하는 오탁물질의 이동을 방지하는 오탁방지막(10)과, 오탁방지막(10)의 상부가 수중에서 상승되도록 오탁방지막(10)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서 부유하는 부유체(20)와, 오탁방지막(10)의 하부가 수중에서 하강되도록 오탁방지막(10)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무게를 제공하여 오탁방지막(10)의 하부를 하강시키는 방지막웨이트(30)와, 오탁방지막(1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어 오탁방지막(10)의 일측으로 이동되는 오탁물질이 혼합된 하천수나 해수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오탁방지막(10)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일측방지막고정부(40)와, 오탁방지막(10)의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어 오탁방지막(10)의 타측으로 이동되는 하천수나 해수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오탁방지막(10)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타측방지막고정부(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오탁방지장치 시공방법은, 수중에서 부유하는 오탁물질의 이동을 방지하는 오탁방지막(10)을 부유시키는 부유체(20)를 오탁방지막(10)에 연결하는 제1단계(S1)와, 오탁방지막(10)의 일측으로 이동되는 하천수나 해수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오탁방지막(10)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일측방지막고정부(40)를 오탁방지막(10)의 일측에 연결하는 제2단계(S2)와, 오탁방지막(10)의 타측으로 이동되는 하천수나 해수의 이동을 허용하는 타측방지막고정부(50)를 오탁방지막(10)의 타측에 연결하는 제3단계(S3)와, 오탁방지막(10)이 부유체(20)에 의해 부유되면서 수중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측방지막고정부(40) 및 타측방지막고정부(50)를 강바닥이나 해저에 시공하는 제4단계(S4)와, 수중에서 부유하는 오탁물질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추가로 구비되는 오탁방지막(10)과 오탁방지막(10)을 부유시키도록 추가로 구비되는 부유체(20)를 소정간격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부재(200)를 오탁방지막(10) 및 부유체(20)의 사이에 연결시키는 제5단계(S5)와, 이격부재(200)가 연결된 오탁방지막(10)의 일측으로 이동되는 하천수나 해수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오탁방지막(10)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일측방지막고정부(40)를 오탁방지막(10)의 일측에 연결하는 제6단계(S6)와, 이격부재(200)가 연결된 오탁방지막(10)의 타측으로 이동되는 하천수나 해수의 이동을 허용하는 타측방지막고정부(50)를 오탁방지막(10)의 타측에 연결하는 제7단계(S7)와, 제4단계(S4)에서 시공된 오탁방지막(10)의 하부를 통과하는 오탁물질을 방지하기 위해, 제5단계(S5)의 오탁방지막(10)이 제4단계(S4)의 오탁방지막(1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제4단계(S4)의 오탁방지막(10)보다 낮은 위치에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측방지막고정부(40) 및 타측방지막고정부(50)를 강바닥이나 해저에 시공하는 제8단계(S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하천이나 해안 또는 해저와 같은 수중에서의 준설공사, 축조공사, 간척공사, 매립준설공사 등의 공사현장에서 발생되는 오탁물질이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됨을 방지하여, 오탁물질에 의해 하천수나 해수가 오염됨을 방지할 수 있고,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가 공사현장 쪽으로 유입됨을 허용하여, 공사현장 쪽의 하천수나 해수의 수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사현장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가 공사현장 쪽으로 유입될 때 오탁방지막으로 인해 물의 흐름이 하부로 향하게 되어 오탁방지막으로 인해 바닥으로 낙하된 오탁물질을 다시 혼탁시키는 요소를 사전에 차단하여 하천수나 해수의 수질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복수의 와이어로프로 오탁방지막의 펼쳐진 상태를 보강하여 오탁방지막의 설치효과를 최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오탁방지막을 고정하는 고정부에 그물주머니를 매달아 최대한 지지력을 확보하고 수중서식지 역할을 하여 환경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해저고정부와 부유체 하부와 오탁방지막 상부 사이에 이격부재를 설치하여 오탁방지막의 수중높이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어서, 해수의 저항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고, 오탁수의 방지범위가 상하로 광범위하게 설정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오탁물질이 저지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하부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지막보강부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지막보강부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지막보강부의 제3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지막보강부의 제4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오탁물질이 저지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하부가 개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지막보강부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지막보강부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지막보강부의 제3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지막보강부의 제4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하부가 개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텐션조절수단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텐션조절수단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텐션조절수단에 의해 오탁방지막이 조절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를 보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를 보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해저고정부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이격부재가 제1실시예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이격부재가 제2실시예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이격부재가 적용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가 중첩되어서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보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해 오탁물질이 저지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하부를 통해 해수가 유입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지막보강부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지막보강부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지막보강부의 제3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지막보강부의 제4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해 오탁물질이 저지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하부가 개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지막보강부의 제1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지막보강부의 제2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지막보강부의 제3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방지막보강부의 제4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5는 본 발명의 하부가 개방되는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6은 본 발명에 텐션조절수단이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7은 본 발명의 텐션조절수단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18은 본 발명의 텐션조절수단에 의해 오탁방지막이 조절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를 보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를 보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해저고정부의 사용상태를 보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의 이격부재가 제1실시예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의 이격부재가 제2실시예에 적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4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격부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확대도면.
도 25는 본 발명의 이격부재가 적용된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가 중첩되어서 설치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26은 본 발명의 시공방법을 보인 블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탁방지막(10)과, 부유체(20)와, 방지막웨이트(30)와, 일측방지막고정부(40)와, 타측방지막고정부(50)를 포함한다.
오탁방지막(10)은 수중에 위치되어 부유하는 오탁물질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으로, 물의 통과는 허용하면서 오탁물질을 투과는 방지하도록 폴리프로필렌 등의 재질로 제조되는 그물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그물망은 수중에 설치되어 수중의 침전물 등의 오탁물질의 이동을 차단하여 외부로 확산됨을 방지한다.
여기서, 오탁방지막(10)은 사각형태로 형성되면서 파도나 조류의 수압에 의해 배나옴 형상이 방지되도록 중간에 수직이나 수평으로 형성되는 띠 형태의 보강부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보강부가 오탁방지막(10)의 상단과 하단 또는 양측단에 고정된 상태이므로 조류의 강한 수압에도 오탁방지막(10)의 배나옴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부유체(20)는 오탁방지막(10)의 상부가 수중에서 상승되도록 오탁방지막(10)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서 부유하는 것으로, 스트로폼과 스트로폼을 감싸면서 설치되는 합성수지로 된 외피로 구성되거나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는 고무튜브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부유체(20)는 수면에 누워진 상태로 부유하도록 장방향으로 형성되어 오탁방지막(10)의 상부에 연결된다. 그리고, 부유체(20)는 수면에 부유하므로 육안으로 식별이 가능하여 부유체(20)에 설치된 오탁방지막(10)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부유체(20)가 수중에 부유하게 되면 오탁방지막(10)의 상단이 수중에서 상부를 향하게 된다.
방지막웨이트(30)는 오탁방지막(10)의 하부가 수중에서 하강되도록 오탁방지막(10)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무게를 제공하여 오탁방지막(10)의 하부를 하강시키는 것으로, 오탁방지막(10)의 하부의 하부를 따라 연결되는 체인이나 다수의 링 또는 장방형의 샤프트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방지막웨이트(30)는 방지막웨이트(30)에 의해 오탁방지막(10)의 하단이 펼쳐진 상태로 수중에서 하부를 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오탁방지막(10)은 부유체(20) 및 방지막웨이트(30)에 의해 수중에서 수직으로 펼쳐지게 되므로 넓은 범위로 이동하는 오탁물질을 용이하게 저지할 수 있다.
일측방지막고정부(40)는 오탁방지막(1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강바닥이나 해저에 고정되어 오탁방지막(10)의 일측으로 이동되는 오탁물질이 혼합된 하천수나 해수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오탁방지막(10)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러한, 일측방지막고정부(40)는 오탁방지막(10)의 일측에서 상부 양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는 일측상부와이어(41)와, 오탁방지막(10)의 일측에서 하부 양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는 일측하부와이어(42)와, 일측상부와이어(41) 및 일측하부와이어(42)의 단부 양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는 일측해저고정부(43)를 포함한다.
일측상부와이어(41)는 오탁방지막(10)의 일측에서 상부의 양측에 일단이 연결된다.
일측하부와이어(42)는 오탁방지막(10)의 일측에서 하부의 양측에 일단이 연결된다.
일측해저고정부(43)는 일측상부와이어(41) 및 일측하부와이어(42)의 단부에 연결된 상태로 강바닥이나 해저에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앵커나 콘크리트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앵커가 해저에 박히거나 콘크리트블록이 해저에 안착됨에 의해 일측상부와이어(41) 및 일측하부와이어(42)에 연결된 오탁방지막(10)이 수중에서 유실되지 않으면서 고정된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타측방지막고정부(50)는 오탁방지막(10)의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어 오탁방지막(10)의 타측으로 이동되는 하천수나 해수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오탁방지막(10)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이러한, 타측방지막고정부(50)는 오탁방지막(10)의 타측에서 상부 양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는 타측상부와이어(51)와, 오탁방지막(10)의 타측에서 하부 양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는 타측하부와이어(52)와, 타측상부와이어(51) 및 타측하부와이어(52)의 단부 양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는 타측해저고정부(53)를 포함한다.
그리고, 타측방지막고정부(50)는 전술한 일측방지막고정부(40)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부유체(20)에 의해 수중에서 수직으로 펼쳐진 상태로 부유하는 오탁방지막(10)의 양측에 대칭되게 연결되는 타측방지막고정부(50) 및 일측방지막고정부(40)가 연결됨에 의해 오탁방지막(10)이 펼쳐진 상태로 오탁물질을 저지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지막보강부(60)는 오탁방지막(10)과 일측방지막고정부(40)에 연결되거나, 오탁방지막(10)과 타측방지막고정부(50)에 연결되거나, 오탁방지막(10)과 일측방지막고정부(40) 및 타측방지막고정부(50)에 함께 연결되어, 오탁방지막(10)의 일측이나 타측으로 이동하는 조류에 대응하여 오탁방지막(10)의 펼쳐진 상태를 보강하는 하는 것으로 와이어로프로프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지막보강부(60)인 와이어로프로프는 복수로 구성되어 오탁방지막(10)과 일측상부와이어(41)에 연결되거나, 오탁방지막(10)과 일측하부와이어(42)에 연결되거나, 오탁방지막(10)과 일측상부와이어(41) 및 일측하부와이어(42)에 함께 연결되고, 오탁방지막(10)과 타측상부와이어(51)에 연결되거나, 오탁방지막(10)과 타측하부와이어(52)에 연결되거나, 오탁방지막(10)과 타측상부와이어(51) 및 타측하부와이어(52)에 함께 연결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와이어로프는 2개로 구성되는 경우 오탁방지막(10)의 양쪽에 1개씩 대칭된 상태에서 각각의 일단이 오탁방지막(10)에 연결되고 일측의 타단이 일측방지막고정부(40)의 일측상부와이어(41)나 일측하부와이어(42)에 연결되고, 타측의 타단이 타측방지막고정부(50)의 타측상부와이어(51)나 타측하부와이어(5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4개로 구성되는 경우 오탁방지막(10)의 양쪽에 2개씩 대칭된 상태에서 오탁방지막(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의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일측의 타단들이 일측방지막고정부(40)의 일측상부와이어(41)와 일측하부와이어(42)에 모두 연결되고, 타측의 타단들이 타측방지막고정부(50)에 각각의 타단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로프들이 오탁방지막(10)의 중앙에 연결되거나 상측과 하측에 이격되게 연결되면서 오탁방지막(10)의 양측에 대칭되면서 일측방지막고정부(40) 및 타측방지막고정부(50)에 연결되면, 오탁방지막(10)의 일측으로 오탁물질과 함께 이동하는 조류나 타측으로 이동하는 조류에 대응되어서 오탁방지막(10)의 펼쳐진 상태가 보강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방지막보강부(60)가 오탁방지막(10)의 양측과 일측상부와이어(41) 및 타측상부와이어(51)에 연결되는 경우 상부에서 하부로 하향되면서 이동하는 조류에 용이하게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방지막보강부(60)가 오탁방지막(10)의 양측과 일측하부와이어(42) 및 타측하부와이어(52)에 연결되는 경우 하부에서 상부로 상향되면서 이동하는 조류에 용이하게 대응될 수 있다. 물론, 방지막보강부(60)가 오탁방지막(10)의 양측과 일측하부와이어(42) 및 타측하부와이어(52)에 연결되고 일측하부와이어(42) 및 타측하부와이어(52)에 연결되는 하향 또는 상향되면서 이동하는 조류와 수평으로 이동하는 조류에 모두 용이하게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오탁방지막(10)은 수중에 수직된 상태에서 조류에 의해 부유되는 오탁물질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이때, 강한 조류가 오탁방지막(10)의 중앙에 집중됨에 의해 방지막보강부(60)에 의해 오탁방지막(10)의 배나오는 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오탁방지막(10)이 방지막보강부(60)에 의해 배나옴이 방지되므로 공사현장에서 발생되는 오탁물질이 오탁방지막(10)의 외측으로 배출되지 못하면서 공사현장의 해저에 쌓이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탁방지막(10)과, 부유체(20)와, 방지막웨이트(30)와, 일측방지막고정부(40)와, 타측방지막고정부(50)를 포함한다.
먼저, 오탁방지막(10)과, 부유체(20)와, 방지막웨이트(30)와, 일측방지막고정부(40)은 전술한 바와 같이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타측방지막고정부(50)는 오탁방지막(10)의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어 오탁방지막(10)의 타측으로 이동되는 하천수나 해수가 이동되도록 오탁방지막(10)의 개방을 허용한다. 이러한, 타측방지막고정부(50)는 오탁방지막(10)의 타측에서 상부 양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는 타측상부와이어(51)와, 타측상부와이어(51)의 단부 양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는 타측해저고정부(53)를 포함한다.
타측상부와이어(51)는 오탁방지막(10)의 타측에서 상부의 양측에 각각 고정된다.
타측해저고정부(53)는 전술한 일측해저고정부(43)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와이어로프들은 수중에서 장기간 사용되더라도 부식됨이 방지되도록 방식처리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로프의 무게를 증대시키기 위해 다수의 무게추들이 일정간격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오탁방지막(10)의 양측에 일측방지막고정부(40) 및 타측방지막고정부(50)이 비대칭으로 설치되므로, 공사현장 쪽에서 외부로 이동하는 조류가 오탁방지막(10)의 일측으로 이동하므로 오탁방지막(10)이 펼쳐져서 폐쇄된 상태가 유지되고, 공사현장의 외부에서 공사현장 쪽으로 이동하는 조류에 의해 오탁방지막(10)의 하단이 개방될 수 있다.
따라서, 오탁방지막(10)이 수중이나 해안가의 공사현장에 설치된 상태에서 공사현장에서 발생되는 오탁물질의 이동을 저지하여 해저로 이동되어 쌓이게 되고, 외부에서 공사현장 쪽으로 조류가 이동하는 경우 오탁방지막(10)으로 인하여 해저에 쌓인 부유물이 다시 교란되어 작업장 내부를 오염시키게 되어 오탁방지막 설치효율이 저감하게 되므로, 타측하부와이어(52)가 설치되지 않고 생략됨에 의해 오탁방지막(10)의 하부가 들려지게 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오탁방지막(10)의 하부를 통해 유입수가 원활히 통과할 수 있게 되어 해저에 쌓인 오탁물질의 교란이 최소화되어 오탁물질이 공사현장의 외부로 퍼져 나가지 못하므로 오탁물질에 의한 해양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오탁방지막(10)에 타측하부와이어(52)가 설치되지 않음에 따라 와이어로프 설치비가 절감되며 타측해저고정부(53)에 조류에 대한 부담이 크게 저감됨과 동시에 공사비 절감에도 크게 기여하게 된다.
한편, 도 1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탁방지막(10)에 연결된 상태로 일측방지막고정부(40)에 연결되어, 오탁방지막(10)의 일측으로 이동하는 조류에 대응하여 오탁방지막(10)의 펼쳐진 상태를 보강하는 방지막보강부(60)를 포함한다.
이러한, 방지막보강부(60)는 오탁방지막(10)과 일측상부와이어(41)에 연결되거나, 오탁방지막(10)과 일측하부와이어(42)에 연결되거나, 오탁방지막(10)과 일측상부와이어(41) 및 일측하부와이어(42)에 함께 연결되는 와이어로프로 구성된다.
따라서, 방지막보강부(60)인 와이어로프는 오탁방지막(10)의 일측으로 오탁물질과 함께 이동하는 조류에 의한 배나옴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방지막보강부(60)인 와이어로프는 복수로 구성되어 양단이 오탁방지막(10)의 중간이나 상측과 하측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일측상부와이어(41) 및 일측하부와이어(42)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오탁방지막(10)은 중간부분이 일측상부와이어(41)나 일측하부와이어(42)에 지지되므로 조류에 의해 오므려지지 않으면서 펼쳐진 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6 내지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방지막고정부(40)는 오탁방지막(10)의 일측과 일측상부와이어(41) 및 일측하부와이어(42)에 연결된 상태로 오탁방지막(10)의 긴장상태를 조절하는 텐션조절수단(44)을 포함한다. 이러한, 텐션조절수단(44)은 오탁방지막(10)에 구비되는 텐션조절링(45)과, 텐션조절링(45)에서 하부로 이격되어서 오탁방지막(10)에 구비되는 보강링(46)과, 일측상부와이어(41)에 구비되는 와이어링(47)과, 일측하부와이어(42)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타단이 보강링(46)을 관통하고 와이어링(47)을 관통한 후에 텐션조절링(45)에 결합되는 텐션조절와이어(48)를 포함한다.
따라서, 일측하부와이어(42)에 일단이 연결된 텐션조절와이어(48)가 보강링(442), 와이어링(47), 텐션조절링(45)을 관통한 상태로 텐션조절링(45)에 묶여져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텐션조절와이어(48)를 강하게 당겨지는 상태로 묶여서 고정하면 일측하부와이어(42)가 당겨지게 되므로 오탁방지막(10)의 하부가 일측상부와이어(41) 및 일측하부와이어(42)이 향하는 공사현장 쪽을 향해 휘어지게 된다. 즉, 오탁방지막(10)의 하부를 미리 휘어지게 설정한 상태로 오탁방지막(1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텐션조절와이어(48)를 이용하여 일측하부와이어(42)를 상부로 당겨서 고정하면 오탁방지막(10)의 하부가 상부로 들어 올려 지면서 일측으로 휘어진 상태로 고정될 수 있어서, 공사현장 쪽에서 밀려오는 오탁물질에 의해 오탁방지막(10)의 하부가 반대쪽인 타측으로 휘어짐을 미리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9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탁방지막(10)과, 부유체(20)와, 방지막웨이트(30)와, 연결부재(70)와, 해저고정부(80)를 포함한다.
먼저, 오탁방지막(10)과, 부유체(20)와, 방지막웨이트(30)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부재(70)는 복수로 구성되어 오탁방지막(10)의 양측에 각각 연결되어 오탁방지막(10)의 펼쳐진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것으로, 복수의 로프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오탁방지막(10)의 일측에 위치되는 2개의 와이어로프들의 일단이 오탁방지막(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각각의 타단이 일측의 해저고정부(80)에 연결되고, 오탁방지막(10)의 타측에 위치되는 2개의 와이어로프들의 일단이 오탁방지막(1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연결된 상태로 각각의 타단이 타측의 해저고정부(80)에 연결된다. 즉, 좌우로 대칭되는 연결부재(70)들에 의해 오탁방지막(10)은 일측이나 타측으로 조류가 이동되어도 펼쳐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해저고정부(80)는 다수의 웨이트들이 수용되고 물이 투과되는 그물주머니(81)와, 그물주머니(81)에서 웨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그물주머니(81)의 입구를 폐쇄하는 폐쇄부(82)와, 폐쇄부(82)를 일측상부와이어(41) 및 일측하부와이어(42)에 체결하는 체결부(83)를 포함한다.
여기서, 웨이트는 자연친화적인 자갈이나 금속블록 또는 콘크리트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물주머니(81)는 웨이트인 자갈들이 오탁방지막(10)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는 양만큼 적정하게 채워질 수 있다. 즉, 일측해저고정부(43)의 전체적인 무게를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그물주머니(81)는 수중에서 장기간 사용되더라도 부식됨이 방지되도록 방식처리 될 수 있다.
폐쇄부(82)는 그물주머니(81)의 입구측을 묶을 수 있는 와이어로프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폐쇄부(82)는 그물주머니(81)의 내구성을 보강하도록 그물주머니(81)의 외측을 'X'형태로 감싸면서 묶여질 수도 있다.,
체결부(83)는 폐쇄부(82)인 와이어로프의 단부에 구비되어 일측상부와이어(41) 및 일측하부와이어(42)의 단부에 체결되는 클립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갈이 채워지고 일측상부와이어(41) 및 일측하부와이어(42)에 연결된 그물주머니(81)를 수중에 투하하면 그물주머니(81)가 해저에 위치된 상태로 오탁방지막(10)을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아울러, 전술한 해저고정부(80)는 전술된 제1실시예나 제2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닻가지나 콘크리트 블록의 경우 제작기간이 많이 소요되고 별도의 보관장소가 필요하고 제작비가 많이 소요되나 본 발명에 의한 그물주머니(81)의 경우 바지선위에서 바로 돌과 같은 웨이트를 담아서 그물주머니(81)를 투하는 것으로 설치공정이 완료되므로, 공사비, 작업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어린 치어가 그물주머니(81) 내외부와 돌 등의 사이로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으므로 수중서식지 역할을 하게 되어 오탁방지막(10)의 설치로 인한 환경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오탁방지장치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탁방지막(10)과, 부유체(20)와, 방지막웨이트(30)와, 일측연결부재(90)와, 타측연결부재(100)와, 해저고정부(80)를 포함한다.
먼저, 오탁방지막(10)과, 부유체(20)와, 방지막웨이트(30)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측연결부재(90)는 오탁방지막(10)의 일측에서 상부와 하부에 연결되고, 타측연결부재(100)는 오탁방지막(10)의 타측에서 상부에 연결되는 와이어로프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와이어로프들이 오탁방지막(10)의 일측에서 상부 양측과 하부 양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고정부(80)에 연결되고, 오탁방지막(10)의 타측에서 상부 양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고정부(8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오탁방지막(10)의 양측에 일측연결부재(90)와 타측연결부재(100)가 연결되어 비대칭형태를 이루게 되므로, 일측으로 이동되는 조류의 이동은 저지하고 타측으로 이동되는 조류의 이동은 허용될 수 있다. 즉, 조류의 이동에 의해 오탁방지막(10)의 하부가 들어 올려 지므로 조류가 오탁방지막(10)의 하부를 통해 이동이 될 수 있다.
해저고정부(80)는 전술한 바와 동일하게 구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오탁방지막(10) 및 부유체(20)에 연결되어 오탁방지막(10)과 부유체(20)를 소정간격으로 이격시키는 이격부재(200)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격부재(200)는 와이어로프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격부재(80)의 양단이 오탁방지막(10)과 부유체(20)에 연결됨에 의해 오탁방지막(10)이 수면에 부유하는 부유체(20)의 하부로 이격되면서 수중에 깊이 잠긴 상태로 위치되게 된다.
그리고, 이격부재(200)는 부유체(20)에 형성되는 부유체링(210)과, 오탁방지막(10)에 형성되는 방지막링(220)과, 부유체링(210)에 일단이 고정된 상태로 방지막링(220)을 관통한 후에 다시 부유체링(210)에 연결되는 이격와이어(230)를 포함한다.
따라서, 이격와이어(230)의 일단이 부유체링(2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이격와이어(230)의 타단이 방지막링(220)을 관통한 후에 다시 부유체링(210)에 연결되어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방지막링(220)을 관통하고 부유체링(210)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의 이격와이어(230)의 타단을 당기면 오탁방지막(10)의 수중에서 상부로 상승될 수 있고, 이격와이어(230)의 타단을 풀면 오탁방지막(10)이 수중으로 더욱 깊이 잠길 수 있다. 즉, 이격와이어(230)를 이용하여 오탁방지막(10)이 수중에 잠기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어서 수중에서 부유하는 오탁물질의 이동을 저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이격부재(200)는 전술한 실시예들에 선택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오탁방지장치 시공방법은, 수중에서 부유하는 오탁물질의 이동을 방지하는 오탁방지막(10)을 부유시키는 부유체(20)를 오탁방지막(10)에 연결하는 제1단계(S1)와, 오탁방지막(10)의 일측으로 이동되는 하천수나 해수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오탁방지막(10)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일측방지막고정부(40)를 오탁방지막(10)의 일측에 연결하는 제2단계(S2)와, 오탁방지막(10)의 타측으로 이동되는 하천수나 해수의 이동을 허용하는 타측방지막고정부(50)를 오탁방지막(10)의 타측에 연결하는 제3단계(S3)와, 오탁방지막(10)이 부유체(20)에 의해 부유되면서 수중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일측방지막고정부(40) 및 타측방지막고정부(50)를 강바닥이나 해저에 시공하는 제4단계(S4)와, 수중에서 부유하는 오탁물질의 이동을 방지하도록 추가로 구비되는 오탁방지막(10)과 오탁방지막(10)을 부유시키도록 추가로 구비되는 부유체(20)를 소정간격으로 이격시키기 위한 이격부재(200)를 오탁방지막(10) 및 부유체(20)의 사이에 연결시키는 제5단계(S5)와, 이격부재(200)가 연결된 오탁방지막(10)의 일측으로 이동되는 하천수나 해수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오탁방지막(10)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일측방지막고정부(40)를 제5단계의 오탁방지막(10)의 일측에 연결하는 제6단계(S6)와, 이격부재(200)가 연결된 오탁방지막(10)의 타측으로 이동되는 하천수나 해수의 이동을 허용하는 타측방지막고정부(50)를 제5단계의 오탁방지막(10)의 타측에 연결하는 제7단계(S7)와, 제4단계(S4)에서 시공된 오탁방지막(10)의 하부를 통과하는 오탁물질을 방지하기 위해, 제5단계(S5)의 오탁방지막(10)이 제4단계(S4)의 오탁방지막(1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면서 제4단계(S4)의 오탁방지막(10)보다 낮은 위치에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도록, 제6단계의 일측방지막고정부(40) 및 제7단계의 타측방지막고정부(50)를 강바닥이나 해저에 시공하는 제8단계(S8)를 포함한다.
먼저, 오탁방지막(10), 부유체(20), 일측방지막고정부(40), 타측방지막고정부(5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이격부재(80)가 적용되지 않은 오탁방지막(10)을 공사현장에 가까이 설치하고, 이격부재(80)가 적용된 오탁방지막(10)은 공사현장에서 멀리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오탁방지막(10)들이 이중으로 중첩되면서 수중에서 높이가 다르게 설치됨에 의해 오탁물질이 수중에서 상부에 위치되는 오탁방지막(10)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면서 해저로 낙하된다. 이때, 오탁방지막(10)의 하부를 통과한 오탁물질이 수중에서 깊게 위치되는 오탁방지막(10)에 의해 이동이 저지되면서 해저로 낙하되게 된다. 즉, 이중으로 설치되는 오탁방지막(10)에 의해 오탁물질의 확산됨이 용이하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오탁방지막(10)의 폭을 크게 하는 경우 오탁방지막(10)에 작용되는 조류력이 커지게 되어 오탁방지막(10)의 찢김 현상이 발생하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5미터 이내로 한정하게 되어 오탁물질을 저지할 수 있는 깊이에 한계가 있으나, 본 발명의 경우 부유체(20)와 오탁방지막(10)의 사이에 와이어로프로프를 두어 원하는 수심에 오탁방지막(10)을 설치할 수 있게 되고 수심이 깊고 조류의 유속이 빠르더라도 오탁방지막(10)을 수심별로 설치할 수 있어 오탁방지막(10) 설치 조건이 좋지 않은 지역에서도 설치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하천이나 해안 또는 해저와 같은 수중에서의 준설공사, 축조공사, 간척공사, 매립준설공사 등의 공사현장에서 발생되는 오탁물질이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로 확산됨을 방지하면서 주변의 하천수나 해수가 공사현장 쪽으로 유입됨을 허용하는 것으로, 오탁방지막장치에 적용되어서 널리 사용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라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 할 수 있다.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기술 범위내에서 이루어지는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 된다.
10 : 오탁방지막 20 : 부유체
30 : 방지막웨이트 40 : 일측방지막고정부
41 : 일측상부와이어 42 : 일측하부와이어
43 : 일측해저고정부 44 : 텐션조절수단
45 : 텐션조절링 46 : 보강링
47 : 와이어링 48 : 텐션조절와이어
50 : 타측방지막고정부 51 : 타측상부와이어
52 : 타측하부와이어 53 : 타측해저고정부
60 : 방지막보강부 70 : 연결부재
80 : 해저고정부 81 : 그물주머니
82 : 폐쇄부 83 : 체결부
90 : 일측연결부재 100 : 타측연결부재
200 : 이격부재 210 : 부유체링
220 : 방지막링 230 : 이격와이어
30 : 방지막웨이트 40 : 일측방지막고정부
41 : 일측상부와이어 42 : 일측하부와이어
43 : 일측해저고정부 44 : 텐션조절수단
45 : 텐션조절링 46 : 보강링
47 : 와이어링 48 : 텐션조절와이어
50 : 타측방지막고정부 51 : 타측상부와이어
52 : 타측하부와이어 53 : 타측해저고정부
60 : 방지막보강부 70 : 연결부재
80 : 해저고정부 81 : 그물주머니
82 : 폐쇄부 83 : 체결부
90 : 일측연결부재 100 : 타측연결부재
200 : 이격부재 210 : 부유체링
220 : 방지막링 230 : 이격와이어
Claims (17)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수중에 위치되어 부유하는 오탁물질의 이동을 방지하는 오탁방지막(10)과,
오탁방지막(10)의 상부가 수중에서 상승되도록 오탁방지막(10)의 상부에 연결된 상태로 수중에서 부유하는 부유체(20)와,
오탁방지막(10)의 하부가 수중에서 하강되도록 오탁방지막(10)의 하부에 연결된 상태로 무게를 제공하여 오탁방지막(10)의 하부를 하강시키는 방지막웨이트(30)와,
오탁방지막(10)의 일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어 오탁방지막(10)의 일측으로 이동되는 오탁물질이 혼합된 하천수나 해수의 이동을 저지하도록 오탁방지막(10)의 폐쇄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일측방지막고정부(40)와,
오탁방지막(10)의 타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어 오탁방지막(10)의 타측으로 이동되는 하천수나 해수가 이동되도록 오탁방지막(10)의 개방을 허용하는 타측방지막고정부(50)를 포함하며,
일측방지막고정부(40)는
오탁방지막(10)의 일측에서 상부 양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는 일측상부와이어(41)와,
오탁방지막(10)의 일측에서 하부 양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는 일측하부와이어(42)와,
일측상부와이어(41) 및 일측하부와이어(42)의 단부 양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는 일측해저고정부(43)를 포함하고,
타측방지막고정부(50)는
오탁방지막(10)의 타측에서 상부 양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는 타측상부와이어(51)와,
타측상부와이어(51)의 단부 양측에 연결된 상태로 해저에 고정되는 타측해저고정부(53)를 포함하고,
일측방지막고정부(40)는 오탁방지막(10)의 일측과 일측상부와이어(41) 및 일측하부와이어(42)에 연결된 상태로 오탁방지막(10)의 긴장상태를 조절하는 텐션조절수단(44)을 포함하며,
텐션조절수단(44)은
오탁방지막(10)에 구비되는 텐션조절링(45)과,
텐션조절링(45)에서 하부로 이격되어서 오탁방지막(10)에 구비되는 보강링(46)과,
일측상부와이어(41)에 구비되는 와이어링(47)과,
일측하부와이어(42)에 일단이 연결된 상태로 타단이 보강링(46)을 관통하고 와이어링(47)을 관통한 후에 텐션조절링(45)에 결합되는 텐션조절와이어(4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장치. - 삭제
- 청구항 5에 있어서, 오탁방지막(10)에 연결된 상태로 일측방지막고정부(40)에 연결되어, 오탁방지막(10)의 일측으로 이동하는 조류에 대응하여 오탁방지막(10)의 펼쳐진 상태를 보강하는 방지막보강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방지막보강부(60)는 오탁방지막(10)과 일측상부와이어(41)에 연결되거나, 오탁방지막(10)과 일측하부와이어(42)에 연결되거나, 오탁방지막(10)과 일측상부와이어(41) 및 일측하부와이어(42)에 함께 연결되는 와이어로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장치.
- 청구항 7에 있어서, 방지막보강부(60)는 오탁방지막(10)과 일측상부와이어(41)에 연결되고, 오탁방지막(10)과 일측하부와이어(42)에 연결되는 복수의 와이어로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7340A KR101611209B1 (ko) | 2015-05-14 | 2015-05-14 | 오탁방지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67340A KR101611209B1 (ko) | 2015-05-14 | 2015-05-14 | 오탁방지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11209B1 true KR101611209B1 (ko) | 2016-04-26 |
Family
ID=55919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67340A KR101611209B1 (ko) | 2015-05-14 | 2015-05-14 | 오탁방지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1209B1 (ko)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2447B1 (ko) * | 2016-09-05 | 2016-12-05 | 주식회사 코마스 | 오탁방지막 파손방지장치 |
CN107165142A (zh) * | 2017-06-21 | 2017-09-15 | 温岭市太平高级职业中学 | 河道水面水中漂浮物清理自动化设备 |
CN107217655A (zh) * | 2017-07-19 | 2017-09-29 | 湖南农业大学 | 一种湖泊水面智能清洁装置 |
CN107386229A (zh) * | 2017-07-19 | 2017-11-24 | 湖南农业大学 | 一种湖泊水面智能清洁方法 |
CN107419711A (zh) * | 2017-07-19 | 2017-12-01 | 湖南农业大学 | 一种用于打捞作业的升降控制方法 |
KR101912576B1 (ko) * | 2018-03-12 | 2018-12-24 | 권태열 | 오탁방지막 수중 앵커용 섬유돌망태 |
KR102580666B1 (ko) * | 2023-04-19 | 2023-09-20 |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 호롱말뚝형 앵커를 이용한 친환경 오탁방지시설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01724A (ja) * | 2008-05-19 | 2010-01-07 | Kajima Corp | 汚濁拡散防止装置 |
JP2010159563A (ja) * | 2009-01-07 | 2010-07-22 | Maeda Kosen Co Ltd | オイルフェンス |
KR101030258B1 (ko) * | 2010-05-17 | 2011-04-22 | 창신개발(주) | 양닻가지형 앵커가 구비된 오탁방지막 |
KR101137560B1 (ko) * | 2009-09-29 | 2012-04-19 | 변재남 | 깊은 수심에서의 수중 설치 작업이 가능하도록 된 오탁방지막 및 그 오탁방지막과 닻가지형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 방법 |
-
2015
- 2015-05-14 KR KR1020150067340A patent/KR10161120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0001724A (ja) * | 2008-05-19 | 2010-01-07 | Kajima Corp | 汚濁拡散防止装置 |
JP2010159563A (ja) * | 2009-01-07 | 2010-07-22 | Maeda Kosen Co Ltd | オイルフェンス |
KR101137560B1 (ko) * | 2009-09-29 | 2012-04-19 | 변재남 | 깊은 수심에서의 수중 설치 작업이 가능하도록 된 오탁방지막 및 그 오탁방지막과 닻가지형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 방법 |
KR101030258B1 (ko) * | 2010-05-17 | 2011-04-22 | 창신개발(주) | 양닻가지형 앵커가 구비된 오탁방지막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2447B1 (ko) * | 2016-09-05 | 2016-12-05 | 주식회사 코마스 | 오탁방지막 파손방지장치 |
CN107165142A (zh) * | 2017-06-21 | 2017-09-15 | 温岭市太平高级职业中学 | 河道水面水中漂浮物清理自动化设备 |
CN107217655A (zh) * | 2017-07-19 | 2017-09-29 | 湖南农业大学 | 一种湖泊水面智能清洁装置 |
CN107386229A (zh) * | 2017-07-19 | 2017-11-24 | 湖南农业大学 | 一种湖泊水面智能清洁方法 |
CN107419711A (zh) * | 2017-07-19 | 2017-12-01 | 湖南农业大学 | 一种用于打捞作业的升降控制方法 |
KR101912576B1 (ko) * | 2018-03-12 | 2018-12-24 | 권태열 | 오탁방지막 수중 앵커용 섬유돌망태 |
KR102580666B1 (ko) * | 2023-04-19 | 2023-09-20 |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 호롱말뚝형 앵커를 이용한 친환경 오탁방지시설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1209B1 (ko) | 오탁방지장치 | |
US5102261A (en) | Floating containment boom | |
KR101272903B1 (ko) | 항만 개보수 공사와 해상 준설 및 매립을 위한 오탁확산 방지 가시설 | |
KR100624085B1 (ko) | 교량의 교각에 설치되는 하천 부유물 수거장치 | |
KR100927474B1 (ko) | 수면의 부유폐기물 수거장치 | |
US20110305517A1 (en) | Vertical barrier fencing for containing contaminated materials, and use thereof | |
JP5776083B2 (ja) | 非常用防護装置 | |
KR101166338B1 (ko) | 피이부잔교를 이용한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및 그를 이용한 수거방법 | |
KR101047996B1 (ko) | 부력에 의한 수위차를 이용한 부유물 수거장치 및 수거방법 | |
US10724195B2 (en) | Aquatic curtain device and uses thereof | |
US9279223B2 (en) | Sand retention system | |
Oglivie et al. | Silt curtains-a review of their role in dredging projects | |
KR20190081533A (ko) | 부유식 다중 오탁방지장치 | |
KR101147553B1 (ko) | 오탁 방지공법 | |
KR200423737Y1 (ko) | 오탁막 및 오일펜스 구조물 | |
JP2019112790A (ja) | 流入遮断装置 | |
CN100366825C (zh) | 悬浮式拦沙滤泥水质保护装置 | |
KR20220115377A (ko) | 수상 부유쓰레기 수거장치 | |
JP3165096U (ja) | 汚濁防止フェンス | |
KR101014950B1 (ko) | 수면 부유물을 포집하기 위한 용기 구조체 | |
KR101876831B1 (ko) | 인접 취수 펌프 시설의 수질 관리를 위한 오탁방지막, 오탁방지막 시설 및 그 시공방법 | |
JP3152606U (ja) | 汚濁防止フェンス | |
KR20120007093U (ko) | 오탁방지막 장치 | |
KR200308610Y1 (ko) | 이중 오탁방지막 | |
KR101831106B1 (ko) | 부유체 선형 흐트러짐 방지 브라켓을 이용한 수중막체 수직유지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