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2447B1 - 오탁방지막 파손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오탁방지막 파손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2447B1
KR101682447B1 KR1020160113816A KR20160113816A KR101682447B1 KR 101682447 B1 KR101682447 B1 KR 101682447B1 KR 1020160113816 A KR1020160113816 A KR 1020160113816A KR 20160113816 A KR20160113816 A KR 20160113816A KR 101682447 B1 KR101682447 B1 KR 101682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ire
end fixing
moving means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38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형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마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마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마스
Priority to KR10201601138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24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2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2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6Barriers therefor construed for applying processing agents or for collecting pollutants, e.g. absorb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14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with underwater curt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Details of connec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5/00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Apparatus therefor
    • E02B15/04Devices for cleaning or keeping clear the surface of open water from oil or like floating materials by separating or removing these materials
    • E02B15/08Devices for reducing the polluted area with or without additional devices for removing the material
    • E02B15/0857Buoyancy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탁방지막의 하단부가 조류에 순응하여 기능을 유지하는 범위내에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거센 조류에 의해서 오탁방지막이 찢어지게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개선되고 제조원가절감 및 시공비 절감이 도모되도록 개선된 오탁방지막 파손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부구체(1) 하부에 고정되는 오탁방지막(2) 하부에 웨이트부재(7)가 구비되고, 상기 오탁방지막(2)의 상단부(3) 양측과 해저면에 설치되는 바닥앙카(5,5') 사이에 기다란 한쌍의 상단부고정용 와이어로프(6,6')가 고정되게 연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보다 상부 쪽으로 높은 위치의 와이어로프(6,6')에 각각 고정되는 스톱퍼(10,10')와, 상기 스톱퍼(10,10') 하측에서 와이어로프(6,6')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각각 이동되는 이동수단(20,20') 및 상기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양측으로 각각의 이동수단(20,20')과 수평방향으로 직결되는 한쌍의 하단부고정와이어(30,3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오탁방지막 파손방지장치{Pollutant barrier to prevent damage to the device to be}
본 발명은 오탁방지막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오탁방지막의 하단부가 조류 흐름에 의해 움직일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거센 조류에 의해서 오탁방지막이 찢어지게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개선된 오탁방지막 파손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탁방지막은 물속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것으로서,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에 기재된 선행기술과 같이 오탁방지막의 상단부 및 하단부 양측으로 해저면에 고정되는 닻가지 앙카나 톤백앙카 또는 콘크리트블럭앙카와 같은 바닥앙카와 와이어로프로 연결시켜 고정되도록 설치되고 있다.
그러므로 오탁방지막으로 거센 조류가 흐르게 되면 그 조류 압력이 오탁방지막에 작용하는 상태가 되는데 오탁방지막은 상하방향으로 일자 상태로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움직일 수 없게 되므로 결국에는 오탁방지막이 찢어지게 되어 파손되기 때문에 새것의 오탁방지막으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불편이 있을 뿐만 아니라 많은 교체비용이 소요되므로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오탁방지막의 하단부가 바닥앙카와 앙카연결용 와이어로 길게 연결되므로 비교적 가격이 비싼 와이어로프를 사용해야 하므로 오탁방지막 제조원가 상승이 초래되는 문제점이 있다.
가령, 오탁방지막이 공사현장에서 500미터 길이로 설치되면 오탁방지막의 하단부를 고정시키기 위해 바닥앙카와 연결되는 앙카연결용 와이어로프가 10미터 간격으로 설치되기 때문에 비경제적이고 오탁방지막의 제조원가 상승과 설치비용(시공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KR 20-0391971 Y1 2005.08.09 도1, 도2
본 발명은 거센 조류가 오탁방지막 막체에 작용할 때 작용하는 방향으로 오탁방지막의 하단부가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거센 조류에 의해서 오탁방지막이 파손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될 수 있도록 개선된 오탁방지막 파손방지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탁방지막의 하단부를 예전과 같이 앙카연결용 와이어로프에 의해 바닥앙카와 연결시키지 않고도 오탁방지막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 가능하게 함으로써 오탁방지막의 제조 원가절감 및 시공비 절감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부구체 하부에 고정되는 오탁방지막 하부에 웨이트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오탁방지막의 상단부 양측과 해저면에 설치되는 바닥앙카 사이에 기다란 한쌍의 상단부고정용 와이어로프가 고정되게 연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오탁방지막의 하단부 보다 상부 쪽으로 높은 위치의 와이어로프에 각각 고정되는 스톱퍼와, 상기 스톱퍼 하측에서 와이어로프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각각 이동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오탁방지막의 하단부 양측으로 각각의 이동수단과 수평방향으로 직결되는 한쌍의 하단부고정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부구체 하부에 고정되는 오탁방지막 하부에 웨이트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오탁방지막의 상단부 양측과 해저면에 설치되는 바닥앙카 사이에 기다란 한쌍의 상단부고정용 와이어로프가 고정되게 연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오탁방지막의 하단부 보다 상부 쪽으로 높은 위치의 와이어로프에 각각 고정되는 스톱퍼와, 상기 스톱퍼 하측에서 와이어로프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각각 이동되는 이동수단과, 상기 오탁방지막의 하단부 양측으로 각각의 이동수단과 수평방향으로 직결되는 한쌍의 하단부고정와이어나 탄성체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스톱퍼와 이동수단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수단 방향으로 탄력이 작용되는 탄력부재가 구비되게 하거나, 상기 이동수단 하부 쪽으로 다른 하나의 스톱퍼가 와이어로프에 각각 구비되게 하고 상기 스톱퍼와 이동수단 사이에 다른 하나의 탄력부재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단부고정와이어 중간에 당김스프링이나 인장스프링이 일직선상으로 연결되게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하단부고정와이어가 수평방향으로 팽팽하게 하거나 또는 하부방향으로 늘어지게 구성하거나, 하단부고정와이어 중간에 다수의 롤러에 의해 구름운동되는 이동웨이트수단이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하단부고정와이어가 수평방향으로 팽팽하게 설치되거나 하부방향으로 늘어지게 설치되도록 구성되게 하거나, 탄성체 하부쪽으로 이동웨이트수단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하단부고정와이어가 늘어지게 설치되도록 구성되게 하는 것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와이어로프 외주연 사방으로 밀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롤러와, 상기 롤러를 관통하는 롤러축과, 상기 롤러축이 고정되게 지지되는 양측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 외측에 구비되어 하단부고정와이어가 고정되는 와이어고정구에 의해 구성되게 하거나, 와이어로프가 관통되는 관통공이 있고 일측에 와이어고정구가 있는 링체에 의해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부구체 하부에 고정되는 오탁방지막 하부에 웨이트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오탁방지막의 상단부 양측과 해저면에 설치되는 바닥앙카 사이에 기다란 한쌍의 상단부고정용 와이어로프가 고정되게 연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오탁방지막의 하단부보다 상부 쪽으로 높은 위치의 와이어로프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홀더와, 상기 고정홀더에 연결와이어로 각각 연결되고 내부에 태엽스프링이 내장된 롤러가 있는 권취수단과, 상기 권취수단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감김 및 풀림되고 오탁방지막 하단부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권취수단과 각각 연결되어 감김 및 풀림되는 한쌍의 하단부고정와이어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탁방지막의 하단부가 조류 흐름에 따라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거센 조류에 의해서 오탁방지막이 파손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오탁방지막의 하단부를 예전과 같이 앙카연결용 와이어에 의해 바닥앙카와 연결시키지 않아도 오탁방지막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 가능하게 됨으로써 가격이 비싼 앙카연결용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예전보다는 상대적으로 오탁방지막의 제조 원가절감 및 시공비 절감이 도모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가 채용된 오탁방지막의 전체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를 나타낸 구성도,
도 3의 (a)는 본 발명에 실시되는 이동수단의 평면도이고, (b)는 정면도이며, (c)는 일측면 구성도,
도 4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의 다른 실시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및 일측단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를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을 나타낸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를 나타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수단을 나타낸 일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5를 나타낸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6을 나타낸 구성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7를 나타낸 구성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8를 나타낸 구성도,
도 13의 (a),(b)는 본 발명에 실시되는 고정홀더의 정면도 및 일측단면도,
도 14의 (a),(b)는 본 발명에 실시되는 권취수단의 평면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수면(H)에 부력으로 떠 있게 되는 부구체(1) 하부에 고정되는 오탁방지막(2) 하부에 웨이트부재(7)가 구비되고, 상기 오탁방지막(2)의 상단부(3) 양측과 해저면(HG)에 설치되는 바닥앙카(5,5') 사이에 기다란 한쌍의 상단부고정용 와이어로프(6,6')가 고정되게 연결된다. 상기 상단부고정용 와이어로프(6,6')는 경우에 따라서는 와이어로프(6,6')라고 약칭되어 설명될 수도 있다.
오탁방지막(2)은 물이 통과될 수 있는 천이나 또는 그물망일 수 있고, 바닥앙카(5,5')는 닻가지 앙카나 톤백 앙카 또는 콘크리트블럭앙카와 같이 사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부구체(1)와 오탁방지막(2) 상단부(3)가 연결되는 구성 및 오탁방지막(2)의 상단부(3)와 한쌍의 상단부고정용 와이어로프(6,6')가 고정되게 연결되게 하는 것도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탁방지막(2)에 조류의 흐름력이 작용되면 조류가 흐르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오탁방지막 파손방지장치가 실시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보다 상부 쪽으로 높은 위치의 와이어로프(6,6')에 각각 고정되는 스톱퍼(10,10')를 구비한다.
상기 스톱퍼(10,10')는 와이어로프(6,6')에 완전히 고정되는 것으로서, 와이어로프(6,6')에 스톱퍼(10,10')가 고정되게 하는 것은 통상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구조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톱퍼(10,10') 하측에서 와이어로프(6,6')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이동수단(20,20')을 각각 구비한다.
상기 이동수단(20,2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6,6') 외주연 사방으로 밀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롤러(21)와, 상기 롤러(21)를 관통하는 롤러축(22)과, 상기 롤러축(22)이 고정되게 지지되는 양측 프레임(23)과, 상기 프레임(23) 외측에 구비되어 하단부고정와이어(30,30')가 고정되는 와이어고정구(24)에 의해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이동수단(20,20')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이어로프(6,6')가 관통되는 관통공(26)이 있고 일측에 와이어고정구(27)가 있는 링체(25)에 의해 구성되게 할 수도 있다, 상기 와이어고정구(27)에는 하단부고정와이어(30,30')가 고정되는 것이다.
즉, 상기 이동수단(20,20')은 와이어로프(6,6')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경우에 따라서는 와이어로프(6,6')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라면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이동수단(20,20') 구조 이외에 다른 형태나 구조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양측으로 각각의 이동수단(20,20')과 수평방향으로 팽팽하게 직결되는 한쌍의 하단부고정와이어(30,30')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오탁방지막(2) 하단부(4)와 하단부고정와이어(30,30')간에는 고정되게만 하면 되는 것이므로 가령 하단부고정와이어(30,30') 일단부를 오탁방지막(2) 하단부(4)에 묶어서 고정하거나 또는 다른 고정방법으로 고정되게 하는 것으로서, 상세한 고정구조와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하단부고정와이어(30,30')가 이동수단(20,20')과 팽팽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와이어로프(6,6')에 설치된 이동수단(20,20')이 자중에 의해서 하부방향으로 흘러 내러가지 않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령 도 2에서 오탁방지막(2)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거센 조류가 흐르게 되면 오탁방지막(2)에는 상당한 조류 흐름력이 받게 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이 경우 오탁방지막(2)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려는 상태가 됨에 따라 하단부(4)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되고, 그로 인해 도 2에서 오탁방지막(2) 좌측에 있는 하단부고정와이어(30)가 오탁방지막(2) 방향으로 당겨지는 상태가 됨에 따라 와이어로프(6)에 있는 이동수단(20)이 오탁방지막(2) 방향으로 당겨져서 스톱퍼(10)가 있는 방향인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됨에 따라 오탁방지막(2)은 도 2에서 가상선 도시와 같이 우측방향으로 기울어지는 상태로 유동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오탁방지막(2) 하단부(4)가 우측방향으로 이동되게 유동되므로 도 2에서 우측에 있는 하단부고정와이어(30')가 느슨하게 되므로 이와 연결된 우측에 있는 이동수단(20')이 자중에 의해서 와이어로프(6')를 따라 하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이동수단(20')이 하단부고정와이어(30')를 우측방향으로 당기는 상태가 됨으로써 오탁방지막(2)이 양호하게 유동 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는 반대로 조류 흐름이 오탁방지막(2)의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흐르게 되어 오탁방지막(2)의 우측면에 거센 조류 흐름력이 작용되는 상태가 되면 우측에 있는 하단부고정와이어(30')가 오탁방지막(2) 방향으로 당겨져서 우측에 있는 이동수단(20')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됨과 동시에 좌측에 있는 하단부고정와이어(30)가 느슨하게 되어 우측에 있는 이동수단(20)은 하부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하단부고정와이어(30)를 당겨서 오탁방지막(2) 하단부(4)를 좌측방향으로 당기게 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오탁방지막(2)은 도 2에서 가상선 도시와 같이 좌측방향으로 기울게 되는 상태로 유동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오탁방지막(2)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거센 조류 흐름력이 작용되면 그 조류 흐름력이 작용되는 방향으로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가 이동됨과 동시에 오탁방지막(2)이 기울기를 갖도록 유동 되기 때문에 거세게 흐르는 조류가 기울어진 오탁방지막(2)에 유도되어 흐르게 됨에 따라 오탁방지막(2)이 거센 조류 흐름력에 의해서 찢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조류 흐름이 거의 없는 경우에는 양측 하단부고정와이어(30')가 오탁방지막(2) 하단부(4)를 잡아 주는 상태가 되므로 항상 중앙부분에서 지지하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그로 인해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를 예전과 같이 앙카연결용 와이어에 의해 바닥앙카(5,5')와 연결시키지 않아도 오탁방지막(2)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 가능하게 됨으로써 예전과 같이 길이가 길고 가격이 비싼 앙카연결용 와이어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예전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탁방지막의 제조 원가절감이 도모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보다 상부 쪽으로 높은 위치의 와이어로프(6,6')에 각각 고정되는 스톱퍼(10,10') 및 상기 스톱퍼(10,10') 하측에서 와이어로프(6,6')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각각 이동되는 이동수단(20,20') 및 상기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양측으로 각각의 이동수단(20,20')과 수평방향으로 직결되는 한쌍의 하단부고정와이어(30,30')를 구성하는 것과 작용은 [실시예 1]과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스톱퍼(10,10')와 이동수단(20,2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수단(20,20') 방향으로 탄력이 작용되는 탄력부재(40,40')가 구비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발명은 탄력부재(40,40')가 이동수단(20,20') 방향으로 항상 작용되기 때문에 한쌍의 하단부고정와이어(30,30')가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상태에서 이미 [실시예 1]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오탁방지막(2)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거센 조류 흐름력이 작용되면 그 조류 흐름력이 작용되는 방향으로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가 이동됨과 동시에 오탁방지막(2)이 기울기를 갖도록 유동 되기 때문에 거세게 흐르는 조류가 기울어진 오탁방지막(2)에 유도되어 흐르게 됨에 따라 오탁방지막(2)이 거센 조류 흐름력에 의해서 찢어지지 않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오탁방지막(2)이 기울어지는 상태가 되더라도 탄력부재(40,40')의 탄력에 의해서 한쌍의 하단부고정와이어(30,30')가 항상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가령 밀물과 썰물이 있는 지역에서 오탁방지막(2)의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조류가 흐르게 되는 흐름력과, 반대로 우측에서 좌측에서 조류가 흐르게 되는 흐름력이 서로 상이할 경우에는 탄력부재(40,40')의 탄력이 서로 상이한 것이 채용되게 할 수도 있는 것으로서, 해안 공사시에 설치되는 오탁방지막에 채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을 참조하면,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보다 상부 쪽으로 높은 위치의 와이어로프(6,6')에 각각 고정되는 스톱퍼(10,10') 및 상기 스톱퍼(10,10') 하측에서 와이어로프(6,6')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각각 이동되는 이동수단(20,20') 및 상기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양측으로 각각의 이동수단(20,20')과 수평방향으로 직결되는 한쌍의 하단부고정와이어(30,30')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과, 스톱퍼(10,10')와 이동수단(20,2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수단(20,20') 방향으로 탄력이 작용되는 탄력부재(40,4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 및 이들의 작용은 [실시예 2]와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하단부고정와이어(30,30') 중간에 당김스프링(50,50')이 더 구비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 경우에는 가령 도 6에서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조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오탁방지막(2)의 좌측면쪽에 조류흐름력이 작용하게 되면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오탁방지막(2)이 경사지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먼저 좌측에 있는 당김스프링(50)이 늘어나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당김스프링(50)이 완전히 늘어난 상태가 되면 그때에는 오탁방지막(2) 좌측에 있는 하단부고정와이어(30)가 오탁방지막(2) 방향으로 당겨지는 상태가 됨에 따라 와이어로프(6)에 있는 이동수단(20)이 오탁방지막(2) 방향으로 당겨져서 스톱퍼(10)가 있는 방향인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탄력부재(40)를 압축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상기와 반대로 도 6에서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조류가 흐르게 되는 경우에는 우측에 있는 당김스프링(50')이 늘어나고 이동수단(20')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 탄력부재(40')를 압축하게 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작용되는 본 발명은 당김스프링(50,50')의 당김력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조류 흐름력이 오탁방지막(2)에 작용되면 오탁방지막(2)은 중앙에서 움직이지 않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오탁방지막(2)에 작용되는 조류 흐름력이 당김스프링(50,50')의 당김력보다 상대적으로 큰 반면에 탄력부재(40,40')보다는 작으면 이때는 당김스프링(50,50')만 늘어나게 되어 오탁방지막(2)이 양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움직이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오탁방지막(2)에 작용되는 조류 흐름력이 탄력부재(40,40')의 탄력보다 크게 되면 이때는 당김스프링(50,50')이 완전히 늘어난 다음에 이동수단(20,20')이 상부방향으로 와이어로프(6,6')를 따라 이동되는 상태가 되면서 오탁방지막(2)이 많이 기우는 상태로 유동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조류흐름력이 미약하다가 강한 조류흐름력으로 흐르게 되는 조류 흐름 기복이 심한 장소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경우에 적합한 오탁방지막을 제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보다 상부 쪽으로 높은 위치의 와이어로프(6,6')에 각각 고정되는 스톱퍼(10,10') 및 상기 스톱퍼(10,10') 하측에서 와이어로프(6,6')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각각 이동되는 이동수단(20,20') 및 상기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양측으로 각각의 이동수단(20,20')과 수평방향으로 직결되는 한쌍의 하단부고정와이어(30,30')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과, 스톱퍼(10,10')와 이동수단(20,2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수단(20,20') 방향으로 탄력이 작용되는 탄력부재(40,4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 및 이들의 작용은 [실시예 2]와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하단부고정와이어(30,30') 중간에 그 하단부고정와이어(30,30')르 따라 양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동웨이트수단(60,60')이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상기 이동웨이트수단(60,60')은,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부고정와이어(30,30') 상부쪽으로 다수의 롤러(61)가 구비되어 하단부고정와이어(30,30')를 따라 구름운동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미 [실시예 2]에서 설명되었지만 가령 도 7에서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조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오탁방지막(2)의 좌측면쪽에 조류흐름력이 작용하게 되면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오탁방지막(2)이 경사지는 상태가 되면서 하단부고정와이어(30)가 당겨지면서 이동수단(20)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어 탄력부재(40)를 압축하게 되는 상태가 되는 반면에 우측에 있는 하단부고정와이어(30')는 하부방향으로 쳐지는 상태가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이동웨이트수단(60')이 하부방향으로 축 쳐지는 하단부고정와이어(30')에 그 무게가 실리는 상태가 되므로 하부방향으로 처짐되는 하단부고정와이어(30')를 하부방향으로 당겨지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됨으로써 좌측으로 우측방향으로 경사지게 기울어지는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를 우측방향으로 당겨지게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므로 이동수단(20')이 더 이상 하부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는 경우에도 오탁방지막(2) 양호하게 기울어지게 유동 될 수 있게 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보다 상부 쪽으로 높은 위치의 와이어로프(6,6')에 각각 고정되는 스톱퍼(10,10') 및 상기 스톱퍼(10,10') 하측에서 와이어로프(6,6')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각각 이동되는 이동수단(20,20') 및 상기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양측으로 각각의 이동수단(20,20')과 수평방향으로 직결되는 한쌍의 하단부고정와이어(30,30')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는 것과, 스톱퍼(10,10')와 이동수단(20,2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수단(20,20') 방향으로 탄력이 작용되는 탄력부재(40,4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 및 하단부고정와이어(30,30') 중간에 그 하단부고정와이어(30,30')를 따라 양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동웨이트수단(60,60')이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 4]와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다만, 하단부고정와이어(30,30')가 하부방향으로 늘어지도록 설치되게 한 것이다.
이 경우, 본 발명은 이동수단(20,20')이 하부방향으로 흘러내리게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스톱퍼(10,10')와 탄력부재(40,40')와 이동수단(20,20')이 상효 연결되게 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동웨이트수단(60,60')이 하부방향으로 축 쳐지는 하단부고정와이어(30,30')에 그 무게가 실리는 상태가 되므로 하부방향으로 처짐된 상태에서 그 하단부고정와이어(30,30')를 하부방향으로 더 당겨지게 하는 작용을 하게 됨으로써 조류 흐름력이 매우 미약하거나 없는 경우에는 오탁방지막(2)이 도 9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에서 수직방향으로 일직선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가령, 도 9에서 이동웨이트수단(60)의 중량보다 상대적으로 큰 조류 흐름력을 가진 조류가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흐르게 됨에 따라 오탁방지막(2)의 좌측면쪽에 조류흐름력이 작용하게 되면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오탁방지막(2)이 경사지는 상태가 되면서 하단부고정와이어(30)가 당겨지게 되어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되고, 이때 타측에 있는 하단부고정와이어(30')는 하부방향으로 더 늘어지는 상태가 된다.
이때, 하부방향으로 더 늘어지는 하단부고정와이어(30')가 이동웨이트수단(60')의 무게가 실리는 상태이기 때문에 하부방향으로 하단부고정와이어(30')가 당겨지는 상태가 됨으로써 오탁방지막(2)은 하단부(4)가 우측방향으로 양호하게 이동되는 상태로 오탁방지막(2)이 기울어지게 유동 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것보다 더 거센 조류흐름력이 오탁방지막(2)에 작용되는 상태가 되면 이때는 오탁방지막(2)이 더욱 경사지게 기울어지면서 하단부고정와이어(30)가 팽팽한 상태가 되면서 이동수단(20)을 당기는 상태가 됨으로써 탄력부재(40)를 압축하면서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거센 조류흐름력이 오탁방지막(2)에 작용되어도 경사지게 기울어지게 되는 오탁방지막(2) 하단부(4) 하부 쪽으로 거센 조류가 통과됨에 따라 오탁방지막(2)이 거센 조류에 의해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보다 상부 쪽으로 높은 위치의 와이어로프(6,6')에 각각 고정되는 스톱퍼(10,10') 및 상기 스톱퍼(10,10') 하측에서 와이어로프(6,6')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각각 이동되는 이동수단(20,20') 및 상기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양측으로 각각의 이동수단(20,20')과 수평방향으로 직결되는 한쌍의 하단부고정와이어(30,30')를 구비하도록 하되, 하단부고정와이어(30,30')가 하부방향으로 늘어지도록 설치되게 구성하는 것과, 스톱퍼(10,10')와 이동수단(20,2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수단(20,20') 방향으로 탄력이 작용되는 탄력부재(40,40')가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 및 하단부고정와이어(30,30') 중간에 그 하단부고정와이어(30,30')를 따라 양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이동웨이트수단(60,60')이 각각 설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은 앞서 설명된 [실시예 5]와 동일하므로 여기서의 상세한 설명과 작용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와 이동수단(20,20') 사이를 탄성체(70,70')로 직결되게 연결되게 한 것이다.
상기 탄성체(70,70')는 고무줄이나 탄력밴드 또는 코일스프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류흐름력이 오탁방지막(2)의 좌측면에 작용할 경우에는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가 도 10에서 우측방향으로 유동되어 좌측에 있는 탄성체(70)가 늘어나는 상태가 되고, 반대로 조류흐름력이 오탁방지막(2)의 우측면에 작용할 경우에는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가 도 10에서 좌측방향으로 유동되어 우측에 있는 탄성체(70)가 늘어나는 상태가 됨에 따라 조류흐름력이 오탁방지막(2)에 작용되어도 경사지게 기울어지게 되는 오탁방지막(2) 하단부(4) 하부 쪽으로 조류가 통과됨에 따라 오탁방지막(2)이 조류흐름력에 의해 찢어지거나 파손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탄성체(70,70')는 그 재질이나 구조 특성상 늘어나고 줄어드는 길이가 한정적이므로 조류흐름력이 비교적 약한 장소에 설치되는 오탁방지막(2)에 실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성체(70,70')는 재질 특성상 질기지 못하므로 피로한도 누적으로 파단이나 절단될 수 있어서 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탄성체(70,70')가 그 기능을 수행하지 못할시에는 하단부고정와이어(30,30')가 그 탄성체(70,70')역할을 대신 수행하게 됨으로써 오탁방지막(2)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보다 상부 쪽으로 높은 위치의 와이어로프(6,6')에 각각 고정되는 스톱퍼(10,10') 및 상기 스톱퍼(10,10') 하측에서 와이어로프(6,6')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각각 이동되는 이동수단(20,20')을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은 이미 앞서 설명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작용을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양측으로 각각의 이동수단(20,20')과 수평방향으로 직결되는 한쌍의 하단부고정와이어(30,30')를 구비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한쌍의 하단부고정와이어(30,30')가 하부방향으로 약간 처짐되도록 느슨하게 연결되게 하면서 그 한쌍의 하단부고정와이어(30,30') 중간부에는 인장스프링(51,51')이 연결되게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동수단(20,20') 하부 쪽의 와이어로프(6,6')에 스톱퍼(11,11')가 각각 고정되게 하고, 상기 이동수단(20,20')과 스톱퍼(11,11') 사이에 탄력부재(41,41')가 게재되게 설치됨에 따라 상기 탄력부재(41,41')가 이동수단(20,20') 방향으로 탄력이 작용 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탄력부재(41,41')는 이동수단(20,20')이 흘러 내리지 않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가령 도 11에서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조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오탁방지막(2)의 좌측면쪽에 조류흐름력이 작용하게 되면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오탁방지막(2)이 경사지는 상태가 되는데, 이때 좌측에 있는 인장스프링(51)이 더 늘어나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당김스프링(51)이 완전히 늘어난 상태가 되면 그때에는 오탁방지막(2) 좌측에 있는 하단부고정와이어(30)가 오탁방지막(2) 방향으로 당겨지는 상태가 됨에 따라 와이어로프(6)에 있는 이동수단(20)이 오탁방지막(2) 방향으로 당겨져서 스톱퍼(10)가 있는 방향인 상부방향으로 이동되면서 탄력부재(40)를 압축하는 상태가 됨에 따라 오탁방지막(2)이 더욱 기울어지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매우 미약한 조류흐름력이 오탁방지막(2)에 작용 될 시에는 하단부고정와이어(30,30')가 느슨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팽팽한 상태까지 되면서 오탁방지막(2)이 경사지는 상태로 기울어지게 유동된다.
그리고 조류흐름력이 상기보다 조금 더욱 강한 조류흐름력이 작용되는 경우에는 이때에는 하단부고정와이어(30,30')가 느슨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팽팽한 상태가 되면서 인장스프링(51,51')이 더 늘어나는 상태가 되므로 오탁방지막(2)이 앞서 설명된 것보다는 더욱 경사지게 기울어지는 상태로 유동된다.
그리고 조류흐름력이 상기한 것보다 매우 강한 조류흐름력이 작용되는 경우에는 이때에는 하단부고정와이어(30,30')가 느슨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팽팽한 상태가 되면서 인장스프링(51,51')이 완전히 늘어나는 상태가 됨에 따라 이동수단(20,20')이 상부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오탁방지막(2)이 앞서 설명된 것보다는 매우 많이 경사지도록 기울어지는 상태로 유동 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조류흐름력의 강약에 따라서 오탁방지막(2)이 경사지게 기울어지게 되는 기울기가 다르게 되므로 오탁방지막(2) 하단부(4) 하부 쪽으로 통과되는 조류 양이 다르게 되기 때문에 조류흐름력의 변화가 심한 장소에 설치되는 오탁방지막(2)에 실시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보다 상부 쪽으로 높은 위치의 와이어로프(6,6')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홀더(12,12') 및 상기 고정홀더(12,12')에 연결와이어(31)로 각각 연결되고 내부에 태엽스프링(81)이 내장된 권취수단(80,80')을 구비한다.
상기 고정홀더(12,12')는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쌍의 분할홀더(121) 사이에 와이어로프(6,6')가 게재되게 한 상태에서 다수의 체결구(122)에 의해 고정되게 한 것으로서, 이러한 고정홀더(12,12')와 권취수단(80,80')이 연결와이어(31)에 의해 연결되게 한 것이다.
상기 고정홀더(12,12')는 도 13에 나타낸 구성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구성으로 고정되게 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태엽스프링(81)이 내장된 롤러(82)가 있는 권취수단(80,80')은 이미 알려진 부품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권취수단(80,80')의 롤러(82) 일단부가 고정되어 감김 및 풀림되는 각각의 하단부고정와이어(30,30')가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와 연결되게 구성된다.
그러므로 도 12에서 가령 좌측에서 우측방향으로 조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오탁방지막(2)의 좌측면쪽에 조류흐름력이 작용하게 되면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가 우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오탁방지막(2)이 경사지게 기울어지게 되는 상태가 됨에 따라 좌측에 있는 권취수단(80)에서 하단부고정와이어(30)가 풀림되는 반면에 우측에 있는 권취수단(80')으로는 하단부고정와이어(30')가 감김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고, 반대로 우측에서 좌측방향으로 조류가 흐르게 됨에 따라 오탁방지막(2)의 우측면쪽에 조류흐름력이 작용하게 되면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가 좌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오탁방지막(2)이 경사지게 기울어지게 되는 상태가 됨에 따라 우측에 있는 권취수단(80')에서 하단부고정와이어(30')가 풀림되는 반면에 좌측에 있는 권취수단(80)으로는 하단부고정와이어(30)가 감김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오탁방지막(2)이 조류가 흐르는 방향에 따라 양호하게 경사지게 기울게 되는 상태로 유동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조류 흐름에 따라 경사지게 기울어진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하부 쪽으로 조류가 통과하게 됨으로써 오탁방지막(2)이 과도한 조류 흐름력을 맞받지 않게 되므로 오탁방지막(2)이 찢어지지 않게 되어 파손 방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것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부구체 2:오탁방지막
3:상단부 4:하단부
5,5':바닥앙카 6,6':와이어로프
7:웨이트부재 10,10',11,11':스톱퍼
12,12':고정홀더 20,20':이동수단
21:홀더 22:롤러축
23:프레임 24:와이어고정구
25:링체 26:관통공
27:와이어고정구 30,30':하단부고정와이어
31:연결와이어 40,40',41,41':탄력부재
50,50':당김스프링 51,51':인장스프링
60,60':이동웨이트수단 61:롤러
70,70':탄성체 80,80':권취수단
81:태엽스프링 82:롤러

Claims (5)

  1. 부구체(1) 하부에 고정되는 오탁방지막(2) 하부에 웨이트부재(7)가 구비되고, 상기 오탁방지막(2)의 상단부(3) 양측과 해저면에 설치되는 바닥앙카(5,5') 사이에 기다란 한쌍의 상단부고정용 와이어로프(6,6')가 고정되게 연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보다 상부 쪽으로 높은 위치의 와이어로프(6,6')에 각각 고정되는 스톱퍼(10,10')와;
    상기 스톱퍼(10,10') 하측에서 와이어로프(6,6')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각각 이동되도록 하기 위해 와이어로프(6,6') 외주연 사방으로 밀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롤러(21)와, 상기 롤러(21)를 관통하는 롤러축(22)과, 상기 롤러축(22)이 고정되게 지지되는 양측 프레임(23)과, 상기 프레임(23) 외측에 구비되어 하단부고정와이어(30,30')가 고정되는 와이어고정구(24)에 의해 구성되게 하거나, 와이어로프(6,6')가 관통되는 관통공(26)이 있고 일측에 와이어고정구(27)가 있는 링체(25)에 의해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이동수단(20,20')과;
    상기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양측으로 각각의 이동수단(20,20')과 수평방향으로 직결되는 한쌍의 하단부고정와이어(30,3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막 파손방지장치.
  2. 부구체(1) 하부에 고정되는 오탁방지막(2) 하부에 웨이트부재(7)가 구비되고, 상기 오탁방지막(2)의의 상단부(3) 양측과 해저면에 설치되는 바닥앙카(5,5') 사이에 기다란 한쌍의 상단부고정용 와이어로프(6,6')가 고정되게 연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보다 상부 쪽으로 높은 위치의 와이어로프(6,6')에 각각 고정되는 스톱퍼(10,10')와;
    상기 스톱퍼(10,10') 하측에서 와이어로프(6,6')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각각 이동되는 이동수단(20,20')과;
    상기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양측으로 각각의 이동수단(20,20')과 수평방향으로 직결되는 한쌍의 하단부고정와이어(30,30')나 탄성체(70,70') 중에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스톱퍼(10,10')와 이동수단(20,2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수단(20,20') 방향으로 탄력이 작용되는 탄력부재(40,40')가 구비되게 하거나, 상기 이동수단(20,20') 하부쪽으로 다른 하나의 스톱퍼(11,11')가 와이어로프(6,6')에 각각 구비되게 하고 상기 스톱퍼(11,11')와 이동수단(20,20') 사이에 다른 하나의 탄력부재(41,41')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하는 것 중에 어느 하나로 구성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막 파손방지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단부고정와이어(30,30') 중간에 당김스프링(50,50')이나 인장스프링(51,51')이 일직선상으로 연결되게 구비되도록 하되 상기 하단부고정와이어(30,30')가 수평방향으로 팽팽하게 하거나 또는 하부방향으로 늘어지게 구성하거나, 하단부고정와이어(30,30') 중간에 다수의 롤러(61)에 의해 구름운동되는 이동웨이트수단(60,60')이 더 설치되도록 하되 상기 하단부고정와이어(30,30')가 수평방향으로 팽팽하게 설치되거나 하부방향으로 늘어지게 설치되도록 구성되게 하거나, 탄성체(70,70') 하부쪽으로 이동웨이트수단(60,60')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하단부고정와이어(30,30')가 늘어지게 설치되도록 구성되게 하는 것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막 파손방지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20,20')은, 와이어로프(6,6') 외주연 사방으로 밀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롤러(21)와, 상기 롤러(21)를 관통하는 롤러축(22)과, 상기 롤러축(22)이 고정되게 지지되는 양측 프레임(23)과, 상기 프레임(23) 외측에 구비되어 하단부고정와이어(30,30')가 고정되는 와이어고정구(24)에 의해 구성되게 하거나, 와이어로프(6,6')가 관통되는 관통공(26)이 있고 일측에 와이어고정구(27)가 있는 링체(25)에 의해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막 파손방지장치.
  5. 부구체(1) 하부에 고정되는 오탁방지막(2) 하부에 웨이트부재(7)가 구비되고, 상기 오탁방지막(2)의 상단부(3) 양측과 해저면에 설치되는 바닥앙카(5,5') 사이에 기다란 한쌍의 상단부고정용 와이어로프(6,6')가 고정되게 연결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오탁방지막(2)의 하단부(4) 보다 상부 쪽으로 높은 위치의 와이어로프(6,6')에 각각 고정되는 고정홀더(12,12')와;
    상기 고정홀더(12,12')에 연결와이어(31)로 각각 연결되고 내부에 태엽스프링(81)이 내장된 롤러(82)가 있는 권취수단(80,80')과;
    상기 권취수단(80,80')에 일단부가 고정되어 감김 및 풀림되고 오탁방지막(2) 하단부(4) 양측에서 수평방향으로 권취수단(80,80')과 각각 연결되어 감김 및 풀림되는 한쌍의 하단부고정와이어(30,30')를 포함하여 구성되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탁방지막 파손방지장치.
KR1020160113816A 2016-09-05 2016-09-05 오탁방지막 파손방지장치 KR101682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816A KR101682447B1 (ko) 2016-09-05 2016-09-05 오탁방지막 파손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3816A KR101682447B1 (ko) 2016-09-05 2016-09-05 오탁방지막 파손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2447B1 true KR101682447B1 (ko) 2016-12-05

Family

ID=57576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3816A KR101682447B1 (ko) 2016-09-05 2016-09-05 오탁방지막 파손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24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666B1 (ko) * 2023-04-19 2023-09-20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호롱말뚝형 앵커를 이용한 친환경 오탁방지시설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9123A (ja) * 1987-01-29 1988-12-16 Masami Shinozaki 浮沈式養殖装置
KR200391971Y1 (ko) 2005-05-10 2005-08-09 (주)조은아이엠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
KR20110034877A (ko) * 2009-09-29 2011-04-06 변재남 깊은 수심에서의 수중 설치 작업이 가능하도록 된 오탁방지막 및 그 오탁방지막과 닻가지형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 방법
KR20120027227A (ko) * 2009-06-29 2012-03-21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차양장치
KR101611209B1 (ko) * 2015-05-14 2016-04-26 나라해양 주식회사 오탁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309123A (ja) * 1987-01-29 1988-12-16 Masami Shinozaki 浮沈式養殖装置
KR200391971Y1 (ko) 2005-05-10 2005-08-09 (주)조은아이엠 오탁방지막 설치용 앵커
KR20120027227A (ko) * 2009-06-29 2012-03-21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차양장치
KR20110034877A (ko) * 2009-09-29 2011-04-06 변재남 깊은 수심에서의 수중 설치 작업이 가능하도록 된 오탁방지막 및 그 오탁방지막과 닻가지형 앵커를 이용한 오탁방지막의 설치 방법
KR101611209B1 (ko) * 2015-05-14 2016-04-26 나라해양 주식회사 오탁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0666B1 (ko) * 2023-04-19 2023-09-20 주식회사 대영엔지니어링 호롱말뚝형 앵커를 이용한 친환경 오탁방지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90959B2 (ja) 水上設置太陽光発電装置および浮体係留装置
US20110274502A1 (en) Dampening Pile Guide
US20080267712A1 (en) Wave power generator systems
US20140178130A1 (en) Wave dissipating device
KR20120021238A (ko) 부유지지선 압축구조를 가진 해상부유풍력발전장치
KR20140126022A (ko) 수상구조물의 계류장치
KR101682447B1 (ko) 오탁방지막 파손방지장치
US4797033A (en) Anchor line-stabilized system
US20090202303A1 (en) Enhanced wave power generators
KR20170059372A (ko) 설치와 회수가 용이한 오탁방지막
JP5782592B2 (ja) 海洋浮遊物回収フェンス
US3775787A (en) Buoy mooring device
KR101977110B1 (ko) 부유식 교량 구조
KR101763365B1 (ko) 앵커 장력 유지 장치
KR101292072B1 (ko) 부양식 매트 포설 공법 및 장비
JP2736108B2 (ja) 汚濁液拡散防止装置
KR101672032B1 (ko) 오탁 방지장치
US7618214B2 (en) Containment boom guide system and method
US6443086B1 (en) Boat mooring system
JP6005688B2 (ja) ワイヤ張力調整装置
WO2018197510A1 (en) Barrier structure assembly and method of construction
JP2815682B2 (ja) 汚濁防止膜
US20140328627A1 (en) Floating dock system and hoist
US20110094429A1 (en) Vertically varying nautical mooring device
KR20230060842A (ko) 부유식구조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