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27227A -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차양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27227A KR20120027227A KR1020117026613A KR20117026613A KR20120027227A KR 20120027227 A KR20120027227 A KR 20120027227A KR 1020117026613 A KR1020117026613 A KR 1020117026613A KR 20117026613 A KR20117026613 A KR 20117026613A KR 20120027227 A KR20120027227 A KR 2012002722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nshade
- pair
- guide rails
- guide rail
- winding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60J1/2025—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with flexible actuating elements connected to the draw bar for pulling only, e.g. cords, wires or cab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52—Guid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58—Gui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linds (AREA)
- Building Awnings And Sunshades (AREA)
- Arrangements Of Lighting Devices For Vehicle Interiors, Mounting And Supporting Thereof, Circuits Therefore (AREA)
Abstract
권취장치와 권취장치에 대해서 인출 수납 가능하게 설치된 차양과, 차양의 인출측 단부에 설치된 스테이와, 스테이의 양단부에 각각 제1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된 한 쌍의 러너와, 한 쌍의 러너를 각각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과를 갖추고 있다. 제1 연결부는, 각 가이드 레일을 권취장치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접힘 가능한 형태로, 스테이와 각 러너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출 수납되는 차양(shade)의 선단부(先端部)가 가이드 레일에 따라서 안내되는 차양장치(遮陽裝置)에 관한 것이다.
차양의 선단부가 가이드 레일에 따라서 안내되는 차양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특허문헌 1에 기재의 것이 있다. 이 특허문헌 1에는, 차양(블라인드 차양)을 확장(展張)?수납하기 위해서 차양의 인출측 단부에 설치된 스테이(견인 봉(traction rod))의 양단부를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갖추는 차양장치(창 블라인드)가 개시되어 있다. 각 가이드 레일은, 차양의 수납 상태로 스테이를 지지하는 기부측 레일(제1의 부분)과 차양의 확장(extend)시에 스테이를 지지하는 확장측 레일(제2의 부분)로 분할된다. 이것에 의해, 차양장치 전체를 콤팩트하게 하여 수송 효율을 향상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차양장치는, 차량에 장착하기 직전에 확장측 레일을 기부측 레일에 연결하여 차량에 설치된다.
그러나 특허문헌 1과 같은 구성은, 차양장치를 차량에 부착할 때, 확장측 레일을 기부측 레일에 연결할 때, 조립 오차에 의해 양 레일과의 사이에 단차 또는 굴곡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스테이에 연결되어 가이드 레일 내를 이동하는 러너가 단차를 넘어가는 저항이 커지게 되고, 러너와 가이드 레일의 내벽과의 사이에 접동 저항이 커지게 되어 이음(異音)이 발생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 러너를 모터에 의해 미끄럼 구동하는 경우, 모터에 가하는 부하가 증대하여, 모터가 내구성 열화에 의해 작동하지 않게 될 우려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차양의 부드러운 인출 수납을 가능하게 하여, 콤팩트하게 수송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는, 윈도우를 차폐(遮蔽) 가능한 차양장치에서, 권취장치(卷取裝置), 상기 권취장치에 대해서 인출 수납 가능하게 설치된 차양(遮陽), 상기 차양의 인출측 단부에 설치된 스테이, 상기 스테이의 양단부에 각각 제1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된 한 쌍의 러너(a pair of runners), 상기 한 쌍의 러너를 각각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연결부는, 상기 각 가이드 레일을 상기 권취장치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접힘 가능인 형태로, 상기 스테이와 상기 각 러너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제2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는, 제1의 태양과 관련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차양의 인출 수납 방향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로부터 상기 제1 연결부 중 한쪽의 제1 연결부의 회전축까지의 거리와, 타방의 제1 연결부의 회전축까지의 거리가 다른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제3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는, 제1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와 상기 각 가이드 레일과는 제2 연결부를 통하여 상대 회전 가능으로 연결되어, 상기 차양을 상기 권취장치에 수납한 상태로, 상기 제1 연결부의 회전축과 상기 제2 연결부의 회전축이 대략 같은 축이 된다.
제4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는, 제3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연결부는, 상기 권취장치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적어도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전개한 상태로, 상기 권취장치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에 대한 상기 각 가이드 레일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제5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는, 제1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는, 상기 차양의 인출측 단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대하여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제1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각 러너에 대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있는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를 갖추고 있다.
제6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는, 제1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전개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의 전개 방향에의 회전을 규제 가능한 스톱퍼를 갖추고 있다.
제7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는, 제1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접은 상태로 유지 가능한 유지부재를 갖추고 있다.
제8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는, 제1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 레일에 따라서 배열 설치되어 상기 각 러너가 연결된 가요성(可撓性) 선상부재(線狀部材)와, 상기 가요성 선상부재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를 갖추고 있다.
제1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스테이와 러너가 상대 회전 가능에 연결되고 있기 때문에, 러너를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로, 가이드 레일을 전개, 접을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러너를 하나의 가이드 레일에 의하여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러너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가이드 레일을 접는 것에 의해, 포장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차양의 부드러운 인출 수납을 가능하게 하고, 콤팩트하게 수송할 수 있다.
제2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의 접는 시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병렬 형상으로 겹쳐지도록 하여 접을 수 있다. 이 때문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권취장치의 길이 방향의 대략 절반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서도, 접는 상태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형태의 창에 적용하는 경우 등, 윈도우 형상에 따라 인출측 단부가 권취장치에 대해서 경사를 이루는 차양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접을 수 있어 콤팩트하게 수송할 수 있다.
제3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권취장치와 가이드 레일을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제1 연결부에 가하는 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가이드 레일의 접음, 전개시의 형태가 각각 거의 일정이 되어, 포장이 쉬움과 함께, 차량에의 설치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게다가 제1 연결부의 회전축과 제2 연결부의 회전축을 대략 같은 축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의 접음을 부드럽게 실시할 수 있다.
제4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차량 설치시에 가이드 레일 전개 시간의 조립 폭 치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 오차 혹은 설치 개소의 치수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제5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한 쌍의 가이드 레일 간의 거리가 다른 경우 또는 차량 설치시, 설치 후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 간의 거리가 변화하는 경우에도, 그 거리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고, 차양을 부드럽게 인출 수납할 수 있다. 또, 제1 연결부의 회전축과 제2 연결부의 회전축이 대략 같은 축 상에 없는 상태로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이 접어졌다고 해도,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의 회전에 맞추어 슬라이드 부재가 지지부재에 대해서 접동(摺動)하는 것에 의해, 가이드 레일의 접음이 가능으로 되고, 스테이 및 러너에 가하는 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제6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차량 설치시에 가이드 레일이 전개를 넘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드 부재 및 러너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가이드 레일이 차량에 충돌하는 것에 의한 차체의 손상,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제7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반송시에, 가이드 레일의 덜커덩거림을 억제하여 차양장치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제8의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구동장치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되는 가요성 선상부재를 통하여 러너를 임의의 위치에 이동, 정지시키는 것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차양을 자동으로 소망한 위치에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 하나의 러너가 하나의 가이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부드럽게 이동하기 때문에, 구동장치에 여분의 부하가 더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내구성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 가이드 레일 전개시의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가이드 레일 접는 시의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 부근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4 스테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도 3의 V-V선 단면에 있어서 러너와 가이드 레일과의 관계도이다.
도 6 도 3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7 가이드 레일 접음 시의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 부근의 사시도이다.
도 8 구동장치에 의한 와이어 이동의 개념도이다.
도 9 변형예 1에 관련되는 가이드 레일 전개시의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변형예 1에 관련되는 가이드 레일 접음 시의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변형예 2와 관련되는 가이드 레일 전개시의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변형예 2와 관련되는 가이드 레일 접을 때의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가이드 레일 접는 시의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 부근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4 스테이의 구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 도 3의 V-V선 단면에 있어서 러너와 가이드 레일과의 관계도이다.
도 6 도 3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7 가이드 레일 접음 시의 제1 연결부 및 제2 연결부 부근의 사시도이다.
도 8 구동장치에 의한 와이어 이동의 개념도이다.
도 9 변형예 1에 관련되는 가이드 레일 전개시의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변형예 1에 관련되는 가이드 레일 접음 시의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변형예 2와 관련되는 가이드 레일 전개시의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변형예 2와 관련되는 가이드 레일 접을 때의 차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본 차양장치는, 차량의 윈도우, 선루프 등을 그 차 내측의 위치에서 차양에 의해 차폐하는 장치이다. 이하, 본 차양장치를 차량의 윈도우에 적용하는 예로 설명한다. 또, 본 차양장치는, 차양의 인출 수납 조작을 가이드 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가지고 있어, 이 가이드 레일을 접은 상태로 콤팩트하게 수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수송 후의 차량 설치에, 접은 가이드 레일을 전개하여 설치하고, 차양의 부드러운 인출 수납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1. 차양장치의 구성>
본 차양장치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가이드 레일(60) 전개시의 차양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가이드 레일(60) 접을 때의 차양장치(10)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제1 연결부(C1) 및 제2 연결부(C2) 부근의 확대 평면도, 도 4는 스테이(4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3의 V-V선 단면에 있어서 러너(50)와 가이드 레일(60)과의 관계도, 도 6은 도 3의 VI-VI선 단면도, 도 7은 가이드 레일(60) 접는 시의 제1 연결부(C1) 및 제2 연결부(C2) 부근의 사시도, 도 8은 구동장치(80)에 의한 와이어(86) 이동의 개념도이다.
본 차양장치(10)는, 권취장치(20), 차양(30), 스테이(40), 한 쌍의 러너(50),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을 갖추고 있다. 이 차양장치(10)에서는, 권취장치(20)에 대해서 인출 및 수납 가능한 차양(30)에 인출용의 스테이(40)가 설치되어 있어, 이 스테이(40)가 한 쌍의 러너(50)에 상대 회전 자재로 연결되고 있다. 또, 이 한 쌍의 러너(50)가 각각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이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이 권취장치(20)에 상대 회전 자재로 연결되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에 따라서 한 쌍의 러너(50)가 이동하는 것에 의해 차양(30)이 인출 수납된다. 또, 이 차양(30)의 수납시에, 한 쌍의 러너(50)를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에 지지한 상태로, 각 연결부를 통하여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을 접음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권취장치(20)는, 권취 샤프트(22)로 권취 지지부재(24)를 갖추고 있다. 권취 샤프트(22)는, 권취 지지부재(24)에 대해서, 그 중심축 주위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음과 동시에, 도시 생략의 가압부재(付勢部材)에 의해 회전 가압되어 있다. 또, 권취 지지부재(24)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을 연결 가능한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8) 및 후술하는 유지부재(90)를 설치 가능한 2개의 유지편부(26)를 가지고 있다. 이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8) 및 유지편부(26)에 대해서는 다음에 상술한다.
차양(30)은, 설치 대상이 되는 차량의 윈도우의 형상, 크기에 대응하여 천 등의 재료를 재단, 봉제 등으로 형성된 시트(sheet) 부재이다. 이 차양(30)은, 차량의 윈도우를 차폐 가능한 차광성을 가지는 포장재를 이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여기에서는, 차양(30)은,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되고 있고, 그 일단측 부분(후술하는 인출측 단부(32))이 다른 부분보다 폭이 좁게 형성되어 있다. 무엇보다, 차양(30)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사다리꼴 등의 형상이라도 좋다.
이 차양(30)은, 권취장치(20)에 대해서 인출 및 수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권취장치(20)의 길이 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출 수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차양(30)은, 그 일단부가 권취장치(20)의 권취 샤프트(22)에 대해서 그 축 방향에 따르도록 그 외주면(外周面)에 설치되고 있다. 또, 권취 샤프트(22)에 설치된 차양(30)은, 수납 상태와 최대 인출상태와의 사이의 영역에서 인출 수납 방향 수납 측에 끌려간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차양(30)의 인출측 단부(32)는, 권취장치(20)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이다(도 1 또는 도 2 참조).
상기 차양(30)의 인출측 단부(32)(권취장치(20)에 설치된 일단부와 대향하는 타단부)에는 스테이(40)가 설치되고 있어, 이 스테이(40)의 양단부에는 제1 연결부(C1)를 통하여 한 쌍의 러너(50)가 각각 연결되어 있다(도 3 참조).
상기 스테이(40)는, 차양(30)의 인출측 단부(32)에 설치되는 지지부재(42)와 일단부가 지지부재(42)에 대해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음과 동시에, 타단부가 제1 연결부(C1)를 통하여 각 러너(50)에 대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있는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44)를 갖추고 있다(도 4 참조).
여기에서는, 지지부재(42)는, 단면이 대략 직방체의 삽입통과 구멍부(43)를 가지는 길이방향 중공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 지지부재(42)는, 차양(30)의 인출측 단부(32)의 폭 치수와 대략 같은 치수로 설정되어, 이 인출측 단부(32)의 폭 방향 전체에 걸쳐서 설치되고 있다. 또, 여기에서는, 지지부재(42)는, 권취장치(20)의 길이 방향과 대략 평행이다(도 1 또는 도 2 참조).
또, 슬라이드 부재(44)는, 수지 등의 재료에 의해 형성되고, 그 일단 측에 지지부재(42)의 삽입통과 구멍부(43)보다 작은(여기에서는 근소하게 작다) 단면적을 가지는 대략 직방체의 길이 방향 봉 형상에 형성된 슬라이드부(46)를 가짐과 동시에, 타단측에 후술하는 슬라이드 부재측 연결단부(48)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지지부재(42)의 양단측으로부터 그 삽입통과 구멍부(43) 내에 각 슬라이드 부재(44)의 슬라이드부(46)가 삽입되는 것에 의해, 슬라이드 부재(44)가 지지부재(42)에 대해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도 4 참조). 즉, 슬라이드 부재측 연결단부(48)가 지지부재(42)에 대해서 그 폭 방향 위치를 변경 가능하기 때문에, 스테이(40) 전체의 설치 폭 치수를 변경할 수 있다.
또, 지지부재(42)가 슬라이드 부재(44)를 지지하는 구성은 상기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부재(42)에 대해서 슬라이드 부재(44)가 그 길이 방향에 이동 가능으로 지지되고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슬라이드 부재 및 지지부재에는 끼워 맞춤(嵌合)한 홈부 혹은 돌출부가 각각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홈부와 돌출부가 끼워 맞춤된 상태로, 슬라이드 부재가 지지부재에 대해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 한 쌍의 러너(50)는, 그 일단 측에 슬라이드 부재(44)(여기에서는 슬라이드 부재측 연결단부(48))에 대해서 연결 가능한 러너측 연결단부(58)를 가짐과 동시에, 타단측에 가이드 레일(6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이동부(54)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는, 러너(50)와, 슬라이드 부재(44)와, 상기 러너측 연결단부(58)와 슬라이드 부재측 연결단부(48)가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으로 유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러너측 연결단부(58) 및 슬라이드 부재측 연결단부(48)에는, 각각, 제1 연결 구멍부분(58h, 48h)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러너측 연결단부(58) 및 슬라이드 부재측 연결단부(48)는, 제1 연결 구멍부분(58h, 48h)에 대해서, 원주상의 삽입 통과부를 가지는 연결부재가 삽입 통과한 상태로 연결된다.
즉, 러너(50)로 슬라이드 부재(44)와는, 러너측 연결단부(58) 및 슬라이드 부재측 연결단부(48)를 겹쳐서 제1 연결 구멍부분(58h, 48h)의 중심을 대략 일치시킨 상태로, 상기 연결 부재를 삽입 통과하는 것에 의해, 그 중심축 주위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러너(50)로 슬라이드 부재(44)와, 연결 부재에 의해, 그 서로 겹칠 방향에 있어서 덜커덩거림이 없게 연결되어 있으면 좋다. 이와 같이 연결된 러너(50)로 슬라이드 부재(44)의 연결부가 제1 연결부(C1)이다.
환언하면, 이 제1 연결부(C1)는, 후술하는 각 가이드 레일(60)을 권취장치(20)에 대해서 근접하는 방향으로 접힘 가능한 형태로, 스테이(40)로 각 러너(50)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제1 연결부(C1)는, 각 러너(50)와 슬라이드 부재(44)를, 차양(30)의 인출 수납시에 스테이(40)가 이동하는 평면과 대략 동일 평면상에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며 있다. 또, 제1 연결부(C1)를 통한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의 접힘에 관해서는 다음에 상술한다.
또, 러너(50)의 이동부(54)에는, 후술하는 러너(50)를 이동시키기 위한 와이어(86)와 이것에 설치된 계지부재(87)를 끼워 넣음 가능한 끼워 넣음 오목부(55)가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끼워 넣음 오목부(55)는, 계지부재(87)로부터 양측으로 늘어나는 와이어(86)가 러너(50)의 이동 방향에 따르도록, 와이어(86) 및 계지부재(87)를 끼워 넣는 것이 가능하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은, 차양(30)을 그 인출 수납 방향으로 가이드 가능하도록, 스테이(40)의 양단부에 연결되고 있는 한 쌍의 러너(50)를 각각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여기서, 차양(30)의 수납시에 한 쌍의 러너(50)가 위치하는 측의 가이드 레일(60)의 단부를 가이드 레일(60)의 기단부(60a), 최대 인출시에 한 쌍의 러너(50)가 위치하는 측의 가이드 레일(60)의 단부를 가이드 레일(60)의 선단부(60b)로서 설명한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은, 각각, 길이가 긴 판 형상 금속 부재를 굴곡, 용접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가이드 레일(60)의 재료에는 알루미늄재를 채용하고 있다.
각 가이드 레일(60)은,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각 러너(50)를 이동 가능하도록, 러너(50)의 이동부(54)를 지지하는 가이드 홈부(62)를 가지고 있다. 가이드 홈부(62)는, 그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단면에서, 러너(50)의 이동부(54)보다 큰(여기에서는 근소하게 크다) 홈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도 5 참조). 또, 가이드 홈부(62)에는, 러너(50)의 러너측 연결단부(58)를 돌출시키는 개구(開口)가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 홈부(62)는, 그 개구로부터 바깥쪽에 러너(50)의 러너측 연결단부(58)의 부분을 도출시킨 상태로 이동부(54)를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 이 가이드 홈부(62)는, 그 개구로부터 이동부(54)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측보다 개구측이 폭이 좁게 형성되고 있다. 더구나, 가이드 홈부(62)는, 그 개구 부근의 내벽에서 안쪽으로 향해서 돌출 형상으로 연장하여 설치된 맞물림 돌출편(63)을 가이드 레일(60)의 길이 방향에 따라 가지고 있다(도 5 참조).
러너(50)에는, 이 맞물림 돌출편(63)에 맞물림 가능한 홈 형상의 맞물림 홈부(56)가 형성되어 있다. 이 맞물림 홈부(56)는, 이동부(54)를 가이드 홈부(62) 내에 배열 설치된 상태로 가이드 레일(6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있음과 동시에, 이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 방향에서, 맞물림 돌출편(63)보다 큰(여기에서는 근소하게 크다)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5 참조).
그리고 러너(50)는, 이동부(54)가 가이드 홈부(62) 내에 배열 설치되는 이것에 의해, 가이드 레일(60)에 대해서 그 길이 방향 이외의 방향에 있어서 덜커덩거림 없이 지지되어 있다. 무엇보다, 러너(50)는, 가이드 레일(60)에 대하여 그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면 좋고, 해당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간극을 설치해도 좋다. 그 밖에도, 러너(50)는, 러너측 연결단부(58)측의 부분의 가이드 레일(60)로부터의 돌출량을 변화 가능하도록, 가이드 홈부(62)의 개구와 내측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또, 가이드 레일(60)은, 그 기단부(60a)에 기단측 규제부(72)를 갖추고 있다. 여기에서는, 기단측 규제부(72)는, 가이드 홈부(62)와 대략 같은 크기의 단면적에 형성된 기단 끼워맞춤부(72a)를 가지며, 이 기단 끼워맞춤부(72a)가 가이드 레일의 기단부(60a)로 가이드 홈부(62) 내에 끼워 맞춤되는 것에 의해 배열 설치되어 있다(도 6 참조). 또, 기단측 규제부(72)에는, 후술하는 와이어(86)를 삽입 통과 가능한 와이어 삽입통과 구멍부(72b)가 형성되어 있다(도 3 또는 도 6 참조). 또, 각 가이드 레일(60)은, 그 선단부(60b)에 도시 생략의 선단측 규제부를 갖추고 있다. 이 선단측 규제부는, 기단측 규제부(72)와 같고,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은, 이 기단측 규제부(72)로 선단측 규제부와의 사이에 러너(50)를 이동 가능하게 구성하고 있다.
무엇보다, 기단측 규제부(72) 및 선단측 규제부는, 상기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러너(50)가 차양(30)의 수납 위치와 최대 인출 위치와의 사이에 이동하도록 규제 가능으로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기단측 규제부(72) 및 선단측 규제부는, 가이드 홈부(62)에 내장되는 내장 부재를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고정하는 것으로 있어도 좋다.
더구나,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에는, 후술하는 와이어(86) 중 바깥쪽에 임하는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60)을 따라서 배열 설치 가능한 와이어 배열 설치 홈부(66)와, 가이드 레일(60)을 접은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부재(90)의 유지부(94)를 배열 설치 가능한 유지용 홈부(67)가 형성되어 있다.
와이어 배열 설치 홈부(66)와 유지용 홈부(67)는, 가이드 홈부(62)를 끼워 양측에, 가이드 레일(6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고 있다. 와이어 배열 설치 홈부(66)와 유지용 홈부(67)는,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개구하고 있다. 와이어 배열 설치 홈부(66)는, 후술하는 와이어(86)를 보호하는 와이어 튜브(89)의 단면적보다 큰(여기에서는 근소하게 크다)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유지용 홈부(67)는, 유지부재(90)의 유지부(94)보다 큰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도 5 또는 도 6 참조). 이 와이어 배열 설치 홈부(66)와 와이어(86)의 관계, 및 유지용 홈부(67)와 유지부재(90)의 관계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또,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은, 권취장치(20)에, 제2 연결부(C2)를 통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은, 각각, 권취장치(20)에 연결 가능한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과 권취장치(20)는, 상기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와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8)가 연결되는 것에 의해 상대 회전 가능하게 유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 및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8)에는, 각각, 제2 연결 구멍부(68h, 28h)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 및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8)는, 제2 연결 구멍부(68h, 28h)에 대해서, 원주상의 삽입통과부를 가지는 연결 부재가 삽입 통과한 상태로 연결된다.
즉,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과 권취장치(20)는,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 및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8)를 겹쳐서 제2 연결 구멍부(68h, 28h)를 대략 일치시킨 상태로, 연결 부재를 삽입 통과하는 것에 의해, 연결 부재의 중심축 주위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 각 가이드 레일(60)과 권취장치(20)는, 연결 부재에 의해, 그 서로 겹치는 방향에 대해 덜커덩거림이 없게 연결되고 있으면 좋다. 이와 같이 연결된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과 권취장치(20)의 연결부가 제2 연결부(C2)이다(도 7 참조).
이 제2 연결부(C2)는, 차양(30)을 권취장치(20)에 수납한 상태로, 제1 연결부(C1)의 회전축과 제2 연결부(C2)의 회전축이 대략 같은 축이 되는 위치에서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과 권취장치(20)를 연결하고 있다. 즉,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과 권취장치(20)는, 제2 연결부(C2)의 회전축과, 한 쌍의 러너(50)의 쌍방이 기단측 규제부(72)에 당접한 상태에서 제1 연결부(C1)의 회전축이, 대략 같은 축이 되는 위치에서 제2 연결부(C2)를 통하여 연결되고 있다(도 3 참조).
또, 제2 연결부(C2)는, 권취장치(20)와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을, 적어도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을 전개한 상태로, 권취장치(20)의 폭 방향에서 권취장치(20)에 대한 각 가이드 레일(60)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즉, 제2 연결부(C2)는, 차양장치(10)의 차량 설치시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 간의 거리, 즉, 차양장치(10)의 설치 폭 치수를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가이드 레일(60)의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의 제2 연결 구멍부(68h)가, 가이드 레일(60) 전개시(차량 설치시)에 있어 권취장치(20)의 길이 방향에 폭 넓은 대략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이 제2 연결 구멍부(68h)의 범위에서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8)에 대한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의 위치를 변화시키고,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와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8)를 연결 부재에 의해 연결하면 좋다. 무엇보다, 권취장치(20)의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8)의 제2 연결 구멍부(28h)가 대략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스테이(40)와 한 쌍의 러너(50)의 관계에서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의 전개시에 그 사이의 거리를 조절했을 경우, 가이드 레일(60)과 함께 권취장치(20)의 폭 방향으로 이동한 러너(50)에 슬라이드 부재(44)가 추종하여 스테이(40)의 길이 방향 치수도 변화한다. 이 때문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 간의 거리를 조절했을 경우에서도, 부드럽게 차양(30)의 인출 수납 조작을 실시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 간의 거리를 조절한 상태에서는, 제1 연결부(C1)의 회전축과 제2 연결부(C2)의 회전축이 같은 축 위치로부터 빗나가는 경우도 있지만, 상기 동축으로 있는 이점은 전개, 접는 회전시의 조작성 등에 있기 때문에, 차량 설치 후의 형태는 다르게 되어 있어도 좋다.
또, 여기에서는, 상기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 및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8)는, 가이드 레일(60) 및 권취장치(20)는 각각 별도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 각각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 권취 지지부재(24)에 대해 나사 고정 등에 의해 고정되고 있다.
또, 이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 및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8)는, 판 형상 금속 부재를 펀칭, 굴곡 등에 의해 형성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 및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8)의 재료에는, 강철재(steel)를 이용하고 있다.
또, 본 차양장치(10)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을 전개한 상태로,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의 전개 방향에의 회전을 규제 가능한 스톱퍼부(29)를 갖추고 있다. 여기에서는, 권취장치(20)의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8)에 스톱퍼부(29)가 형성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스톱퍼부(29)는,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8)와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를 겹쳐서 연결한 상태에서,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 측으로 향하여 돌출하도록, 금속 판 형상 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있는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8)의 일부를 굴곡하여 형성하고 있다. 즉, 스톱퍼부(29)는, 가이드 레일(60) 전개시에, 가이드 레일(60)의 전개 방향으로 회전 이동하는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의 측 테두리부의 일부에 당접 가능하게 형성되고 있다. 이 스톱퍼부(29)의 위치는, 예를 들면, 가이드 레일(60) 전개시에,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의 제2 연결 구멍부(68h)보다 권취장치(20)측에서 한편 권취장치(20)의 폭 방향 중심 측의 측 테두리부에 당접하는 위치이다(도 3 또는 도 7 참조).
여기서,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의 전개 방향의 회전이 규제되는 위치는, 차양장치(10)가 설치되는 차량의 윈도우 형상에 대응한 위치이면 좋다. 예를 들면, 이 위치는, 윈도우의 측 테두리부 가운데, 권취장치(20)가 배열 설치되는 측 테두리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측 테두리부를 따라서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이 배열 설치되는 위치이다.
무엇보다, 스톱퍼부(29)는 상기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가이드 레일(60)의 전개시에 가이드 레일(60)의 외측 부분에 당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본 차양장치(10)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을 접은 상태로 유지 가능한 유지부재(90)를 갖추고 있다. 유지부재(90)는, 권취 지지부재(24)의 양단부측 부분으로부터 차양(30)의 인출 방향 전방으로 향해서 연장하는 2개의 유지편부(26)에 각각 설치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이 유지부재(90)는, 유지편부(26)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유지편부(26)에 설치된 상태로,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을 접은 상태로 유지 가능하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지부재(90)는, 수지 등의 가소성(可塑性) 재료에 의해 대략 L자형으로 성형되어 있고, 그 일단 측에 권취장치(20)의 유지편부(26)에 설치 가능한 부착부(92)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타단측에 가이드 레일(60)을 유지 가능한 유지부(94)를 가지고 있다(도 7 참조).
부착부(92)는, 권취 지지부재(24)로부터 차양(30)의 인출 방향으로 연장하는 유지편부(26)에 대해서 협지 상태로 설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부착부(92)는, 단면이 대략 U자형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대향하는 2편의 선단부의 간격이 기단부측보다 폭이 좁게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부착부(92)의 대항하는 2편의 선단부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탄성 변형시킨 상태로 유지편부(26)를 그 사이에 끼워 넣어, 그 후 상기 대항하는 2편을 탄성 복귀시키면, 부착부(92)의 탄성 복귀력으로 유지편부(26)를 끼워두도록 하여 유지부재(90)가 설치된다.
또, 유지부(94)는, 그 선단측 부분이 가이드 레일(60)의 유지용 홈부(67)에 수용 가능하게 형성되고 있다. 즉, 유지부(94)는, 부착부(92)를 유지편부(26)에 설치한 상태로, 접은 가이드 레일(60)의 유지용 홈부(67) 내에 삽입 가능한 크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유지부(94)는, 단면이 대략 삼각형 형상으로, 그 선단측의 일부분이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에 향하여 부착부(92)의 선단측에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있다.
또, 이 형상은,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10)에서는, 수송시의 콤팩트화 때문에 후술하는 구동장치(80)를 권취장치(20)의 길이 방향 중도부에서 한편 권취장치(20)보다 차양(30) 인출측에 설치하고 있어, 이 구동장치(80)와 간섭하지 않는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60)을 유지하는 것을 고려한 것이다. 즉, 유지부재(90)는, 차양장치(10)의 수송에 적절한 형태로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을 접은 상태로 유지 가능하게 형성되고 있으면 좋다.
그리고 유지부재(90)의 부착부(92)를 각각의 유지편부(26)에 설치하고, 유지부(94)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을 각각 한 개씩 지지하면, 차양장치(10)는, 각 가이드 레일(60)의 선단부(60b)가 마주보도록 접은 상태로 보관 유지된다. 여기에서는, 차양장치(10)의 반송시에, 각 가이드 레일(60)은, 상기와 같이 구동장치(80)의 위치와의 관계에 의해 구동장치(80)를 피하도록 하고, 권취장치(20)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이루는 자세로 유지된다(도 7 참조).
또, 본 차양장치(10)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이, 그 자중(自重)만에 의해 전개, 접는 동작을 하지 않도록 회전 규제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즉,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은, 외부로부터 힘을 가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전개, 접는 동작을 하지 않고, 작업자 등에 의해 전개, 접는 조작력이 가해진 때에, 전개, 접는 동작을 하도록 회전 규제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제2 연결부(C2)에 대해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와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8)가 그 사이에 O링 등의 탄성부재를 사이에 둔 상태로 연결되어, 그 사이의 접동 저항에 의해 가이드 레일(60)의 회전 규제를 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 밖에도,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와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8)가 서로 마주 보는 면상에 각각 방사상에 복수의 요철(凹凸)이 형성되어, 이 요철이 일정 각도마다 서로 맞물려 가이드 레일(60)의 회전 규제를 하는 것이어도 좋다.
본 차양장치(10)는, 또, 각 가이드 레일(60)을 따라서 배열 설치되어, 각 러너(50)가 연결된 와이어(86)와, 이 와이어(86)를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80)를 갖추고 있다.
이 와이어(86)에는 러너(50) 연결용의 계지부재(87)가 설치되어 있다. 이 계지부재(87)는, 와이어(86)의 지름보다 큰 지름의 대략 원주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축과 와이어(86)의 중심축이 대략 일치하도록 와이어(86)에 장착되고 있다. 그리고 이 계지부재(87)가 러너(50)의 이동부(54)에 형성되고 있는 끼워 넣음 오목부(55)에 끼워 넣어지는 것에 의해, 와이어(86)와 러너(50)가 연결되어(도 3 또는 도 5 참조), 와이어(86)의 이동에 따라서 러너(50)가 가이드 레일(60) 내를 이동한다.
여기에서는, 와이어(86)는 환상(環狀)으로 형성되어, 하나의 와이어(86)가 구동장치(80)에 대하여 순환 이동 가능하게 배열 설치됨과 동시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을 따라서 배열 설치되고 있다. 이 와이어(86)는, 연결되고 있는 한 쌍의 러너(50)를 차양(30)의 인출 수납 방향 중 한쪽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배열 설치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와이어(86)는, 구동장치(80)로부터 일방의 가이드 레일(60)의 가이드 홈부(62) 내에 그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으로 향하여 한쪽 러너(50)가 연결된 부분이 배열 설치됨과 동시에, 그 선단측에서 되접어 꺾이고, 가이드 레일(60)의 외측에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으로 향하여 배열 설치된다. 또, 한쪽 가이드 레일(60)의 기단부(60a)로 돌아온 와이어(86)는, 따른 쪽 가이드 레일(60)의 기단부(60a)를 향해서 배열 설치된다. 그리고 와이어(86)는, 다른 쪽 가이드 레일(60)의 가이드 홈부(62) 내에 그 기단측으로부터 선단측으로 향하여 다른 쪽 러너(50)가 연결된 부분이 배열 설치됨과 동시에, 그 선단측에서 되접어 꺾이고, 가이드 레일(60)의 외측에 그 선단측으로부터 기단측으로 향하여 배열 설치되어, 구동장치(80)로 돌아온다(도 8 참조).
상기와 같이 배열 설치된 와이어(86)는, 각 가이드 레일(60)의 기단부(60a)에 있어서, 기단측 규제부(72)의 와이어 삽입통과 구멍부(72b)를 지나 가이드 홈부(62)로부터 그 기단측의 바깥쪽으로 연장하고 있다.
또, 와이어(86)는, 각 가이드 레일(60)의 선단측의 위치에서 안내용 풀리(88)에 의해 안내되어 가이드 레일(60)의 기단측으로 향하여 되접어 꺾여있다. 이 안내용 풀리(88)는, 도시 생략의 풀리 지지부재에 의해 지지되어 와이어(86)를 가이드 레일(60)의 가이드 홈부(62) 내와 그 외측에 배열 설치하도록 되접어 꺾이는 것이 가능한 자세로, 회전 가능하게 각 가이드 레일(60)에 대해 지지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상기 풀리 지지부재는, 가이드 레일(60)의 선단측 규제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와이어(86)는, 각 가이드 레일(60)의 선단부(60b)에 있어서, 선단측 규제부의 와이어 삽입통과 구멍부(72b) 내를 통하여 가이드 홈부(62)로부터 안내용 풀리(88) 측에 연장하고 있다.
또, 여기서, 와이어(86) 중 각 가이드 레일(60)의 외부에 배열 설치되어 있는 부분 및 각 가이드 레일(60)의 기단부(60a) 사이에 배열 설치되고 있는 부분은, 가요성 부재에 의해 중공 형상으로 형성된 와이어 튜브(89) 내를 통하여 배열 설치되고 있다. 즉, 각 가이드 레일의 와이어 배열 설치 홈부(66)와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의 각 기단부(60a) 간에는 와이어 튜브(89)가 배열 설치되어 있다.
구동장치(80)는, 환상으로 형성되어 배열 설치된 와이어(86)를 그 순환 방향 양방향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구동장치(80)는, 와이어(86)에 장력(tension)을 건 상태로, 도시 생략의 모터에 의해 구동용 풀리(82)를 회전 구동시켜, 와이어(86)를 보내 이동시키고 있다. 즉, 구동장치(80)는, 상기 모터의 정회전, 역전에 의해 와이어(86)를 그 순환 방향 양방향에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구동장치(80)는, 한 쌍의 러너(50)가 기단측 규제부(72) 또는 선단측 규제부에 당접한 때에, 자동적으로 모터가 정지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이러한 구성으로서는, 각 러너(50)가 각 기단측 규제부(72) 또는 각 선단측 규제부에 당접하고, 구동장치(80)에 기준 이상의 부하가 더해지면 모터가 정지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 각 러너(50)가 각 기단측 규제부(72) 또는 각 선단측 규제부에 당접할 때에 러너(50)에 의해 가압 가능한 위치에, 가압조작에 의해 모터를 정지 가능한 스위치를 설치한 구성이어도 좋다.
또, 여기에서는, 구동장치(80)는, 도 1 또는 도 2와 같이, 권취장치(20)의 뒤측(차양장치(10)의 차량 설치시에 있어서의 권취장치(20)의 차 바깥측)의 위치에서, 한편, 권취장치(20)의 길이 방향 중도부의 위치에 배열 설치되고 있다. 예를 들면, 구동장치(80)는, 권취 지지부재(24)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면 좋다. 그리고 와이어(86)는, 구동장치(80)가 상기 위치에 배열 설치된 차양장치(10)에 있어서, 각 가이드 레일(60)을 접은 상태로 버팀대가 없는 정도로, 길이에 여유를 갖게 하여 배열 설치되고 있으면 좋다(도 2 참조).
무엇보다, 구동장치(80)에 의해 와이어(86)를 이동시키는 구성은 상기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한 쌍의 러너(50)를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을 따라서 이동시킬 수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구동장치는, 단부를 가지는 와이어의 각 단부를 감아 꺼내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 본 차양장치(10)에는, 상기 구동장치(80)의 모터의 정회전, 역회전, 정지를 전환 조작 가능한 전환 스위치(84)를 가지고 있으면 좋다. 그리고 이 전환 스위치(84)는, 차양장치(10)의 차량 설치시에, 차량 이용자가 조작 가능한 개소에 배열 설치되면 좋다.
<2. 차양장치의 조작에 대해>
이하, 본 차양장치(10)의 조작에 대해 설명한다.
본 차양장치(10)는, 반송시에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을 권취장치(20)에 대해서 근접하도록 접은 상태로 반송된다(도 2 참조). 즉, 차양(30)을 수납 상태로,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이, 대략 동축 위치로 되어 있는 제1 연결부(C1)와 제2 연결부(C2)의 회전축 주위에 꺾어 접어져 있다. 그리고 유지부재(90)를 각 유지편부(26)에 설치해 이 유지부재(90)에 의해 각 가이드 레일(60)을 각각 유지해 각 가이드 레일(60)의 꺾어 접어지는 상태를 유지한다(도 7 참조).
그리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을 접은 상태로, 차양장치(10)는, 포장 등이 되어 차량 설치 작업장 등에 수송된다.
차량 설치시에는, 우선, 각 가이드 레일(60)에 대해 유지부재(90)에 의해 유지를 해제함과 동시에, 유지부재(90)를 유지편부(26)로부터 떼어낸다. 그리고 권취장치(20)를 차량의 윈도우의 하나의 측 테두리부를 따라서 배열 설치함과 동시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을 전개한다. 이 가이드 레일(60)의 전개는, 각 가이드 레일(60)이 상기 윈도우의 측 테두리부의 양측의 측 테두리부를 따라서 배열 설치하도록 행해진다. 무엇보다,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은, 차량 설치 위치까지 전개하면, 스톱퍼부(29)가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의 측 테두리부에 당접하는 것에 의해 전개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그 위치에서는 전개 이동되지 않는다. 또, 이 전개시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의 간격이 차량 부착 개소에 대해서 좁은 혹은 넓은 경우, 각 가이드 레일(60)을,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의 제2 연결 구멍부(68h)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권취장치(20)에 대하여 이동시켜 소망의 위치에 배열 설치하면 좋다.
그리고 차양장치(10)가 차량에 설치된 상태로, 전환 스위치(84)의 조작에 의해 차양(30)을 임의의 위치에 이동시켜 사용한다.
즉, 차양(30) 인출 조작시에는, 전환 스위치(84)에 대해서 인출의 조작을 실시하면, 구동장치(80)에 의해 와이어(86)가 이동되어, 이 와이어(86)에 설치된 한 쌍의 러너(50)가 각 가이드 레일(60)을 따라서 동시에 차양(30)을 인출하는 측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한 쌍의 러너(50)에 연결된 스테이(40)가 인출 방향으로 이동되어, 이 스테이(40)에 장착된 차양(30)이 인출되어 진다. 가이드 레일(60)의 중도부에서 전환 스위치(84)에 대해서 정지의 조작을 실시하면, 와이어(86)의 이동이 정지되어 차양(30)은 정지 조작까지 인출된 위치에 유지된다. 또, 차양(30)이 최대 인출 위치까지 인출되면, 그 위치에서 차양(30)의 인출 조작이 정지된다.
차양(30) 수납 조작시에는, 전환 스위치(84)에 대해서 수납의 조작을 행하면, 구동장치(80)에 의해 차양(30) 인출 조작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와이어(86)가 이동되어, 한 쌍의 러너(50)가 각 가이드 레일(60)을 따라서 동시에 차양(30)을 수납하는 측으로 이동된다. 이것에 의해 차양(30)이 수납 방향으로 이동된다. 가이드 레일(60)의 중도부에서 전환 스위치(84)에 의해 정지 조작을 실시하면, 상기와 같은 형태로 차양(30)은 정지 조작까지 수납된 위치에 유지된다. 또, 차양(30)이 수납 위치까지 수납되면, 그 위치로 차양(30)의 수납 조작이 정지된다.
본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10)에 의하면, 스테이(40)와 한 쌍의 러너(50)가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있기 때문에, 러너(50)를 가이드 레일(6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 상태로, 가이드 레일(60)을 전개, 접는 것을 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러너(50)를 하나의 가이드 레일(60)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에, 러너(50)를 부드럽게 이동시킬 수 있다. 또, 가이드 레일(60)을 접는 것에 의해, 포장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차양(30)의 부드러운 인출 수납을 가능하게 하고, 콤팩트하게 수송할 수 있다.
또, 본 차양장치(10)에서는, 권취장치(20)와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을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8)와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의 사이에 직접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반송시 또는 가이드 레일(60)의 접고, 전개시에 제1 연결부(C1)에 가하는 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 연결부(C1)의 회전축과 제2 연결부(C2)의 회전축을 대략 동축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가이드 레일의 접음을 부드럽게 실시할 수 있다. 더구나 권취장치(20)에 대해 각각 대략 일정 위치의 제2 연결부(C2)의 회전축 주위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을 전개, 접기 위해, 그 전개, 접는 조작을 안정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이것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을 접을 때에 차양장치(10)의 형태를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수송시에 차양장치(10)를 취급하기 쉽고 용이하게 포장할 수 있다. 또,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의 전개시에 차양장치(10)의 형태를 대략 동일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 설치시에 차양장치(10)를 취급하기 쉬움과 함께 차량에의 설치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차양장치(10)의 차량 설치시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을 전개한 상태의 조립 폭 치수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제품마다의 치수 오차 혹은 설치 개소의 치수 오차를 흡수할 수 있다.
또, 가이드 레일(60)의 길이 방향에 대해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 사이의 거리가 다른 경우, 또는, 차량 설치시, 설치 후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 사이의 거리가 변화한 경우에도, 그 거리의 변화에 대응하여, 차양(30)을 부드럽게 인출 수납할 수 있다. 또, 제1 연결부(C1)의 회전축과 제2 연결부(C)2의 회전축이 대략 같은 축 상에 없는 상태로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이 접어졌다고 하여도,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의 회전에 맞추어 슬라이드 부재(44)가 지지부재(42)에 대해서 접동하는 것에 의해, 가이드 레일(60)의 접음이 가능해지고, 스테이(40) 및 러너(50)에 가하는 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차량 설치시에 가이드 레일(60)이 전개가 지나가는 것을 방지하고, 슬라이드 부재(44) 및 러너(5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가이드 레일(60)이 차량에 충돌하는 것에 의한 차량의 손상,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유지부재(90)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 레일(60)을 접은 상태에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차양장치(10)의 반송시에, 가이드 레일(60)의 덜커덩거림을 억제해 차양장치(1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구동장치(80)에 의해 자동으로 이동되는 와이어(86)를 통하여 러너(50)를 임의의 위치에 이동, 정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차양(30)을 자동으로 소망한 위치에 이동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 본 차양장치(10)는, 하나의 러너(50)가 하나의 가이드 레일(60)에 대해서 이동 가능으로 지지되어, 부드럽게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동장치(80)에 여분인 부하가 가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구동장치(80)의 내구성의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변형예}
이하,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10)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 또, 변형예의 설명에 있어서, 상기 실시 형태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변형예와 관련되는 차양장치(100, 200)는, 차양(30, 230)의 인출 수납 방향에 있어서, 권취장치(20)로부터 제1 연결부(C1) 중 일방의 제1 연결부(C1)의 회전축까지의 거리와 타방의 제1 연결부(C1)의 회전축까지의 거리가 다른 거리로 설정되어 있다. 이하, 2개의 변형예와 관련되는 차양장치(100, 200)에 대해 설명한다.
<1. 변형예 1>
먼저, 변형예 1에 대해 설명한다. 도 9는 변형예 1과 관련되는 가이드 레일(160) 전개시의 차양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변형예 1과 관련되는 가이드 레일(160) 접을 때의 차양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변형예 1과 관련되는 차양장치(100)는, 길이 방향의 길이가 권취장치(20)의 대략 절반의 길이보다 긴 한 쌍의 가이드 레일(160)을 가지고 있어, 이 한 쌍의 가이드 레일(160)의 접을 때의 형태를 콤팩트하게 하는 것이다.
이 차양장치(100)에 대해서는, 스테이(40)는, 각각 형상이 다른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144, 44)를 가지고 있다. 이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144, 44) 가운데, 일방의 슬라이드 부재(144)와 일방의 러너(50)가 연결되고 있는 제1 연결부(C1)의 회전축의 위치와 타방의 제1 연결부(C1)의 회전축의 위치가, 차양(30)의 인출 방향에 있어서 다르게 되어 있다. 즉, 각 제1 연결부(C1)에 의해서, 차양(30)의 인출 방향에 있어서의 권취장치(20)에 대한 회전축의 위치가 다르게 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일방의 슬라이드 부재(144)는, 지지부재(42)에 대해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를 받고 있는 일단측 부분에 대해서, 타단측 부분이 차양(30)의 인출 방향 전방으로 향해서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어, 전체적으로 대략 L자 모양에 형성되고 있다. 그리고 일방의 슬라이드 부재(144)는, 그 굴곡 된 타단측에 슬라이드 부재측 연결단부(148)를 가지고 있고, 이 슬라이드 부재측 연결단부(148)에 있어서 일방의 러너(50)와 제1 연결부(C1)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즉, 이 일방의 제1 연결부(C1)의 회전축은, 타방의 제1 연결부(C1)의 회전축에 대해서 인출 방향 전방에 위치한다.
이 일방의 슬라이드 부재(144)의 그 외 형상, 러너(50)와의 연결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 차양장치(100)에 있어서는, 각 제2 연결부(C2)에 관해서도, 차양(30)의 인출 방향에 있어서 권취장치(20)에 대한 회전축의 위치가 다르게 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양 제2 연결부(C2)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형태로, 차양(30)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 제1 연결부(C1)의 회전축과 제2 연결부(C2)의 회전축이 대략 동축이 되는 위치에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60)로 권취장치(20)를 연결하고 있다. 즉, 상기 일방의 슬라이드 부재(144)와 일방의 러너(50)가 연결되어 있는 제1 연결부(C1)의 회전축과 일방의 제2 연결부의 회전축이 대략 동일로 되기 때문에, 차양(30)의 수납 상태에 있어서, 타방의 제2 연결부(C2)의 회전축에 대해서 일방의 제2 연결부(C2)의 회전축이 인출 방향전방에 위치한다.
여기에서는, 권취장치(20)의 일방의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128)가, 차양(30)의 인출 방향에 있어서 타방의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8)보다 길게 형성되어 있다. 즉,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128)는,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8)의 제2 연결구멍(28h)보다 차양(30)의 인출 방향 전방으로 제2 연결구멍(128h)을 가지고 있어, 그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에 연결되어 있다. 이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128)의 형상,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와의 연결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형태로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구성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 레일(160)을 전개, 접을 때에는, 각 제1 연결부(C1) 및 제2 연결부(C2)의 회전축 주위에 한 쌍의 가이드 레일(160)이 회전된다. 그리고 한 쌍의 가이드 레일(160)의 접는 상태로는, 일방의 가이드 레일(160)이 타방의 가이드 레일(160)의 차양(30)의 인출 방향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여, 한 쌍의 가이드 레일(160)이 차양(30)의 인출 방향으로 병렬 상태로 배열 설치된다.
또, 차양(30)의 인출 수납 조작시에는, 한 쌍의 러너(50)는, 차양(30)의 인출 수납 방향에 있어서 어긋난 위치 관계인 상태로 한 쌍의 가이드 레일(160)을 따라서 이동된다. 또, 차양(30)은, 그 인출측 단부(32)가 권취장치(20)의 길이 방향에 대략 평행으로 되는 자세로 인출 수납 조작된다.
이와 같이, 변형예 1과 관련되는 차양장치(10)0에 의하면, 한 쌍의 가이드 레일(160)을 길이 방향의 길이가 권취장치(20)의 대략 절반의 길이보다 긴 경우에도, 접는 상태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2. 변형예 2>
다음에, 변형예 2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변형예 2와 관련되는 가이드 레일(260) 전개시의 차양장치(200)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변형예 2와 관련되는 가이드 레일(260) 접을 때의 차양장치(2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변형예 2와 관련되는 차양장치(200)는, 권취장치(20)에 대해서 인출 수납 조작되는 차양(230)이 권취장치(20)(권취 지지부재(24))의 길이 방향에 대하여 경사(傾斜)를 이루는 인출측 단부(23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 차양장치(200)는, 이러한 인출측 단부(232)를 가지는 차양(230)을 인출 수납 방향으로 가이드 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260)의 접을 때의 형태를 콤팩트하게 하는 것이다.
이 차양장치(200)에 있어서는, 권취장치(2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인출측 단부(232)에 따라서 스테이(240)가 설치되어 있다. 즉, 스테이(240)(지지부재(242))는, 권취장치(2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경사를 이루도록 하여 차양(230)에 설치되고 있다. 이 스테이(240)의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244, 44)는, 권취장치(20)에 대해서 경사를 이루고 있는 지지부재(242)를 따라서 그 양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244, 44)는, 그 슬라이드 부재측 연결단부(248, 48)의 위치가 서로 차양(230)의 인출 수납 방향에 있어서 다르게 되어 있다. 즉, 슬라이드 부재(244, 44)와 러너(50)를 연결하고 있는 각 제1 연결부(C1)의 회전축의 위치가 차양(230)의 인출 수납 방향에 있어서 다르게 되어 있다.
스테이(240)의 그 외 구성, 러너(50)와의 연결에 관해서는, 상기 실시 형태와 관련되는 차양장치(10)와 같은 형태로 있기 때문에 설명을 생략한다.
또, 각 제2 연결부(C2)는,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은 형태로, 차양(230)의 수납상태에 있어서, 그 회전축이 제1 연결부(C1)의 회전축과 대략 동축이 되는 위치에서 한 쌍의 가이드 레일(260)과 권취장치(20)를 연결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변형예 1과 관련되는 차양장치(100)와 같은 형태로, 권취장치(20)의 일방의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28)는, 타방의 권취 지지부재측 연결편부(28)의 제2 연결구멍(28h)보다 차양(230)의 인출 방향 전방으로 제2 연결구멍(228h)을 가지고 있어, 그 위치에서 가이드 레일측 연결편부(68)에 연결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해, 한 쌍의 가이드 레일(260)을 전개, 접을 때에는, 각 제1 연결부(C1) 및 제2 연결부(C2)의 회전축 주위에 각 가이드 레일(260)이 회전된다. 그리고 한 쌍의 가이드 레일(260)의 접는 상태에서는, 일방의 가이드 레일(260)이 타방의 가이드 레일(260)의 차양(230)의 인출 방향 전방에 위치하도록 하고, 한 쌍의 가이드 레일(260)이 차양(230)의 인출 방향으로 병렬 상태로 배열 설치된다. 또, 이 상태에서도, 차양(230)은, 인출측 단부(232)를 권취장치(20)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경사시킨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이, 변형예 2와 관련되는 차양장치(200)에 의하면, 예를 들면, 대향하는 측 테두리부가 평행이 아닌 다른 형태의 창에 적용하는 경우 등, 윈도우 형상에 따라 인출측 단부가 권취장치에 대해서 경사를 이루는 차양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접을 수 있어, 콤팩트하게 수송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이 차양장치(10, 100, 200)는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 있어서 예시이며, 이 발명이 거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이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10 차양장치
20 권취장치
29 스톱퍼부
30 차양
32 인출측 단부
40 스테이
42 지지부재
44 슬라이드 부재
50 러너
60 가이드 레일
80 구동장치
86 와이어
90 유지부재
20 권취장치
29 스톱퍼부
30 차양
32 인출측 단부
40 스테이
42 지지부재
44 슬라이드 부재
50 러너
60 가이드 레일
80 구동장치
86 와이어
90 유지부재
Claims (8)
- 윈도우를 차폐 가능한 차양장치로서,
권취장치와,
상기 권취장치에 대해서 인출 수납 가능하게 설치된 차양과, 상기 차양의 인출측 단부에 설치된 스테이와,
상기 스테이의 양단부에 각각 제1 연결부를 통하여 연결된 한 쌍의 러너와,
상기 한 쌍의 러너를 각각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갖추고,
상기 제 1 연결부는, 상기 각 가이드 레일을 상기 권취장치에 대해 근접하는 방향으로 접힘 가능한 형태로, 상기 스테이와 상기 각 러너를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차양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양의 인출 수납 방향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로부터 상기 제1 연결부 중 일방의 제1 연결부의 회전축까지의 거리와, 타방의 제1 연결부의 회전축까지의 거리가 다른 거리로 설정되어 있는 차양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와 상기 각 가이드 레일은 제2 연결부를 통하여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차양을 상기 권취장치에 수납한 상태로, 상기 제 1 연결부의 회전축과 상기 제 2 연결부의 회전축이 대략 동축으로 되는 차양장치.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연결부는, 상기 권취장치와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적어도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전개한 상태로, 상기 권취장치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에 대한 상기 각 가이드 레일의 위치를 조절 가능하게 연결하고 있는 차양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는,
상기 차양의 인출측 단부에 설치되는 지지부재와,
일단부가 상기 지지부재에 대해서 그 길이 방향을 따라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있음과 동시에, 타단부가 상기 제 1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각 러너에 대해서 상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있는 한 쌍의 슬라이드 부재,
를 갖추고 있는 차양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전개한 상태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의 전개 방향에의 회전을 규제 가능한 스톱퍼를 갖추고 있는 차양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접은 상태로 유지 가능한 유지부재를 갖추고 있는 차양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가이드 레일에 따라서 배열 설치되어, 상기 각 러너가 연결된 가요성 선상부재와,
상기 가요성 선상 부재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의 길이 방향에 따라서 이동시키는 구동장치,
를 갖추고 있는 차양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09153371A JP5356128B2 (ja) | 2009-06-29 | 2009-06-29 | シェード装置 |
JPJP-P-2009-153371 | 2009-06-29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27227A true KR20120027227A (ko) | 2012-03-21 |
Family
ID=434109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7026613A KR20120027227A (ko) | 2009-06-29 | 2010-06-25 | 차양장치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120048483A1 (ko) |
EP (1) | EP2450206B1 (ko) |
JP (1) | JP5356128B2 (ko) |
KR (1) | KR20120027227A (ko) |
CN (1) | CN102470732B (ko) |
WO (1) | WO2011001915A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9653B1 (ko) * | 2010-08-26 | 2013-01-09 |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 자동차용 윈도우 차광조립체 |
KR101682447B1 (ko) * | 2016-09-05 | 2016-12-05 | 주식회사 코마스 | 오탁방지막 파손방지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708028B2 (en) * | 2010-08-26 | 2014-04-29 | Korea Fuel-Tech Corporation | Window blind assembly for vehicle |
US20120048488A1 (en) * | 2010-08-26 | 2012-03-01 | Korea Fuel-Tech Corporation | Window blind assembly for vehicle |
DE102015101934A1 (de) * | 2014-02-12 | 2015-08-13 | Inteva Products, Llc | Heckscheibensonnenblende für Fahrzeug und Verfahren zum Betrieb |
DE102014225895A1 (de) * | 2014-12-15 | 2016-06-16 | Bos Gmbh & Co. Kg |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
DE102014225902A1 (de) * | 2014-12-15 | 2016-06-16 | Bos Gmbh & Co. Kg |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
DE102015106527A1 (de) * | 2015-04-28 | 2016-11-03 | Lisa Dräxlmaier GmbH | Klappbare Fahrzeugscheibenbeschattung |
DE102015106528A1 (de) * | 2015-04-28 | 2016-11-03 | Lisa Dräxlmaier GmbH | Fahrzeugscheibenbeschattung mit Seilzugkonzept und Antrieb des Seilzugs über Zahnriemen |
DE102018206046A1 (de) * | 2018-04-20 | 2019-10-24 | Hs Products Engineering Gmbh | Rollovorrichtung für ein fahrzeugfenster |
DE102018212136A1 (de) * | 2018-07-20 | 2020-01-23 | Bos Gmbh & Co. Kg | Schutz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
Family Cites Families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3608927A1 (de) * | 1986-03-18 | 1987-09-24 | Ieper Ind Nv | Blendschutzeinrichtung fuer ein fahrzeug |
DE3612165A1 (de) * | 1986-04-11 | 1987-10-22 | Baumeister & Ostler | Fuehrungsloses fensterrollo,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
US5560668A (en) * | 1995-09-27 | 1996-10-01 | Li; Ming-Te | Sun filtering and shading device for autos |
US6086133A (en) * | 1998-04-06 | 2000-07-11 | Alonso; Miguel | Vehicle window shade arrangement |
DE10055949C2 (de) * | 2000-11-10 | 2003-09-18 | Bos Gmbh | Fensterrollo oder Trenngitter mit zwei Winkelgetrieben |
DE10062690A1 (de) * | 2000-12-16 | 2002-07-04 | Bos Gmbh | Fensterrollo mit vereinfachter Montage |
US6983786B2 (en) * | 2003-09-24 | 2006-01-10 | Ing-Wen Chen | Height-adjustable car curtain |
US7228884B2 (en) * | 2004-09-28 | 2007-06-12 | Ing-Wen Chen | Rear window car curtain |
JP5125838B2 (ja) * | 2008-07-15 | 2013-01-23 | トヨタ紡織株式会社 | 自動車用サンシェード装置 |
US8708028B2 (en) * | 2010-08-26 | 2014-04-29 | Korea Fuel-Tech Corporation | Window blind assembly for vehicle |
-
2009
- 2009-06-29 JP JP2009153371A patent/JP535612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
- 2010-06-25 WO PCT/JP2010/060879 patent/WO2011001915A1/ja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0-06-25 KR KR1020117026613A patent/KR2012002722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10-06-25 CN CN201080029363.8A patent/CN102470732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0-06-25 EP EP10794084.3A patent/EP2450206B1/en active Active
- 2010-06-25 US US13/318,791 patent/US20120048483A1/en not_active Abandoned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19653B1 (ko) * | 2010-08-26 | 2013-01-09 |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 자동차용 윈도우 차광조립체 |
KR101682447B1 (ko) * | 2016-09-05 | 2016-12-05 | 주식회사 코마스 | 오탁방지막 파손방지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5356128B2 (ja) | 2013-12-04 |
EP2450206A4 (en) | 2012-11-07 |
EP2450206B1 (en) | 2014-10-01 |
CN102470732B (zh) | 2014-04-16 |
EP2450206A1 (en) | 2012-05-09 |
US20120048483A1 (en) | 2012-03-01 |
JP2011006013A (ja) | 2011-01-13 |
WO2011001915A1 (ja) | 2011-01-06 |
CN102470732A (zh) | 2012-05-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20027227A (ko) | 차양장치 | |
JP5125838B2 (ja) | 自動車用サンシェード装置 | |
US7413000B2 (en) | Sun screen device | |
JP5410266B2 (ja) | サンシェード装置 | |
US20070023152A1 (en) | Roller blind with smooth pusher elements | |
JP6276225B2 (ja) | ワイヤハーネス巻取装置 | |
KR101757012B1 (ko) |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 |
WO2011155301A1 (ja) | シェード装置 | |
JP5431838B2 (ja) | サンシェード装置 | |
JP6204010B2 (ja) | 自動車のためのルーフアセンブリ | |
JP5468443B2 (ja) | シェード装置 | |
JP5840981B2 (ja) | シェード装置 | |
JP2010201956A (ja) | 自動車用サンシェード装置 | |
JP2009062021A (ja) | トノボード装置 | |
WO2011122153A1 (ja) | シェード装置 | |
JP5662091B2 (ja) | サンシェード装置 | |
KR20230070458A (ko) | 차량용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유닛 | |
JP7010123B2 (ja) | シェード装置 | |
KR20220040739A (ko) | 자동차용 선루프 선쉐이드 | |
JP4876961B2 (ja) | サンバイザ | |
KR20210001653A (ko) | 쉐이드 바 및 이를 갖는 윈도우 차광 장치 | |
JP2018134947A (ja) | ロールシェード装置 | |
WO2013133065A1 (ja) | シェード装置 | |
JP2009073405A (ja) | サンシェード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