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70458A - 차량용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유닛 - Google Patents

차량용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70458A
KR20230070458A KR1020237009467A KR20237009467A KR20230070458A KR 20230070458 A KR20230070458 A KR 20230070458A KR 1020237009467 A KR1020237009467 A KR 1020237009467A KR 20237009467 A KR20237009467 A KR 20237009467A KR 20230070458 A KR20230070458 A KR 202300704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display foil
foil carrier
carrie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094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산더 베슈니트
비외른 란트그래베르
Original Assignee
베르-헬라 테르모콘트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르-헬라 테르모콘트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르-헬라 테르모콘트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2300704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704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20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0K35/21Output arrangements, i.e. from vehicle to user,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using visual output, e.g. blinking lights or matrix displays
    • B60K35/22Display screens
    • B60K35/223Flexible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50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eans of attachment to or integration in the vehicle
    • B60K35/53Movable instruments, e.g. slidable
    • B60K37/04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88Frames or decorative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360/0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groups B60K35/00 or B60K37/00 relating to details of instruments or dashboards
    • B60K2360/60Structural details of dashboards or instruments
    • B60K2360/68Features of instruments
    • B60K2360/691Housings
    • B60K2370/1533
    • B60K2370/67
    • B60K2370/688
    • B60K2370/691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호일(18)을 갖고, 호일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에 의해 보강된다. 디스플레이 호일(18)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는 휘어지면서 하우징(12) 안으로 들어갈 수 있고 하우징(12) 밖으로 다시 나올 수 있다. 이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36)에 의해 구현되는데, 액추에이터의 하단(48)은 하우징(12) 안에서 지지되고 상단은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다. 하우징(12)은 가이드 수단(52)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16)를 인입하고 인출할때 가이드 수단은 디스플레이 호일(18)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를 편향시킨다.

Description

차량용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유닛
본 발명은 차량용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감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갖는 TV가 소비자 영역에 제공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OLED 기술을 갖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호일이 사용되며, 이 호일은 개별 핀을 갖는 세그먼트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로 부분적으로 단단하게 보강되어 있다.
자동차 섹터에서, 때때로 사용하지 않을 때에 요즘의 일반적인 디스플레이를 집어넣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가요성 디스플레이 호일도 자동차 섹터에 적합하다. 인출되고 인입될 수 있는 차량용 디스플레이는 이전에 출원된 후 공개된 독일특허출원 DE-A-10 2019 127 570에서 볼 수 있고, EP-A-1 637 387 뿐만 아니라 US-A-2017/0217290에서도 볼 수 있다.
차량에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호일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특별한 문제점은 충격이 차량 내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작용한다는 것이고, 이러한 충격은 인출된 상태에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호일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에 결코 이롭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요성 디스플레이를 갖고 인출되고 인입되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운행중에 발생할 수 있는 진동이 있는 경우 인출된 상태에서 안정성도 갖는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용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 디스플레이면을 갖는 전방면과 후방면을 포함하는 OLED 기술의 가요성 디스플레이 호일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의 주요부는 상단부와 인접하여 붙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의 하단부로 이어지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호일,
- 상기 후방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에 부착되거나 특히 탄성 물질의 중간층에 의해 연결되고 상단부를 갖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로서, 상기 상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주요부와 인접하여 붙어있고, 상기 주요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하단부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상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의 상단부와 맞붙어 보강되거나 보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
-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이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와 함께 인입되고 인출되는 하우징,
- 상기 하우징 내에 및/또는 상에 지지되는 제1 단부와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상단부가 부착되는 제2 단부를 갖고, 모터로 구동되는 길이-가변형의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의 길이를 변경하여 상기 하우징 안팎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주요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인입하고 인출하는 동안, 적어도 주요부의 부분 영역에서 180도 미만 또는 135 미만 또는 90도 미만으로 곡률 라인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를 가이드 하는, 상기 하우징 내의 가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터로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가변형 액추에이터를 사용하여 디스플레이 호일을 인출하고 인입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호일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와 같은 것을 통해 보강될 수 있고, 이 캐리어는 예를 들어 금속 호일을 가질 수 있다. OLED 기술로 실현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호일은 전방면과 후방면에 디스플레이 면을 갖는다. 상부 엣지에서, 디스플레이 호일은 또한 상부 엣지와 인접하여 붙어 있는 상단부를 갖고, 디스플레이 호일의 하부 엣지로 이어지는 주요부가 상단부와 인접하여 결합되어 있다. 비슷하게,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는 (이론적으로) 상단부와 주요부로 나누어진다.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는 상단부에서 보강된다. 적어도 하나의 모터로 구동되는 길이-가변형 액추에이터는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후방면에 상단부 섹션에서 부착되어 있는데, 이 영역에서 결합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또한 하우징을 포함하고, 하우징 안으로 디스플레이 호일이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와 함께 인입될 수 있고, 하우징 밖으로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가 인출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가 완전히 인입될 때, 둘다 여전히 상단부의 일부가 하우징으로부터 밖으로 튀어나와 있을 수 있다.
180도 미만, 135도 미만 또는 90도 미만으로 곡률반경을 따라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는 곡률라인을 따라, 주요부의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수단이 하우징 안에 있다. 이 가이드 수단은 단지 하우징 내에서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주요부를 편향시킬 뿐, 감는 작업을 하는 것은 아니고, 이로써 디스플레이 장치가 인입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에 가해지는 곡률이 더 커지도록 디자인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약 90도로 편향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는 휘어진 후 직선으로 계속 이어지는데, 이를 위해서는 하우징에 소정의 깊이가 있어야 하지만, 보통 설치공간의 조건 측면에서는 특히 차량의 패널의 영역에서 허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금속으로 만들어지 호일에 가요성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를 제공함으로써, 가요성 디스플레이 호일의 표면 전체를 안정시킬 수 있다. 복수의 길이-가변형 액추에이터들이 나란히 배열되고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폭을 따라 분포되면, 가요성 디스플레이 호일을 추가적으로 지지하여 안정화시키는 결과를 얻을 수 있고, 이로써 구동시 발생하는 충격이 디스플레이 호일의 진동 형태로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는 두 단부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액추에이터 요소를 갖고, 이웃하는 액추에이터 요소는 서로에 대하여 및/또는 서로의 내부로 슬라이딩하도록 각각 가이드된다.
여기에서, 예를 들어 스핀들 드라이브를 갖는 신축자재식 액추에이터를 사용할수 있다. 그러나, 연장 드라이브를 갖는 다른 길이-가변형 액추에이터 디자인도 사용할 수 있다.
가능한 한 평평한 길이-가변형 액추에이터를 달성하기 위해, 액추에이터는 폐쇄면과 개방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C-형상의 제1 액추에이터 프로파일 요소; 제1 액추에이터 프로파일 요소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가이드되고 실질적으로 C-형상이면서 폐쇄면과 개방면을 갖고, 폐쇄면이 제1 액추에이터 프로파일 요소의 폐쇄면과 마주하는 제2 액추에이터 프로파일 요소; 및 제2 액추에이터 프로파일 요소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가이드되고 실질적으로 C-형상이면서 폐쇄면과 개방면을 갖고, 폐쇄면이 제2 액추에이터 프로파일 요소의 개방면을 덮는 제3 액추에이터 프로파일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별 액추에이터 요소의 C-형상의 프로파일은 실질적으로 직선의 스트립-형상의 후방벽을 갖고, 반대편에 있는 상부 엣지와 하부 엣지는 단면이 "평평한 C" 형상을 이루도록 휘어져 있다. 상술한 것처럼 세 개의 요소들을 포개어 넣음으로써, 자동차 섹터에서 직면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반적으로 필요한 인출 스트로크가 가능해지고, 이는 바람직하게 자동차 섹터에서 사용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크기에 관련된다.
복수의 모터식으로 구동할 수 있는 액추에이터를 사용하는 대신, 인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다 단단하게 하면서 안정성을 제공하는 것은, 하우징 내에 지지되는 제1 단부와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상단 영역이 부착되는 제2 단부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가변형 지지부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지지부는 구동부를 갖고 있지 않고, 즉 예를 들어 신축자재식(telescopic)이거나, 서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다른 방식으로 가이드되는 지지 요소를 갖는다.
또한, 길이-가변형 지지부의 구조와 관련하여, 지지부는 폐쇄면과 개방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C-형상의 제1 지지 프로파일 요소; 제1 지지 프로파일 요소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가이드되고 실질적으로 C-형상이면서 폐쇄면과 개방면을 갖고, 폐쇄면이 제1 지지 프로파일 요소의 폐쇄면과 마주하는 제2 지지 프로파일 요소; 및 제2 지지 프로파일 요소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가이드되고 실질적으로 C-형상이면서 폐쇄면과 개방면을 갖고, 폐쇄면이 제2 지지 프로파일 요소의 개방면을 덮는 제3 지지 프로파일 요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모터-구동 액추에이터의 도움으로 그리고 존재할 경우 지지부의 도움으로, 디스플레이 호일은 인출된 상태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액추에이터 또는 지지부는 각각, 디스플레이 캐리어의 후방면에 기대어 디스플레이 면에 작용하는 힘과 관련하여 디스플레이 호일을 지지한다. 또한 디스플레이 호일이 "풀-오프(pull-off) 힘"에 대하여 고정되도록,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또는 그 지지 요소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존재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또는 그 지지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와 마주하는 내부면을 갖고, 내부면에 수용 홈이 형성되거나 배열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가 인출하고 인입할 때,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주요부 내에, 특히 수용홈 맞은편의 가상의 선에, 디스플레이 호일의 반대편에서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후방면으로부터 튀어 나와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 요소가 배열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 요소는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가 인출될 때 수용홈 안으로 들어가고,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가 인입할 때 수용홈 밖으로 이동한다. 여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 요소는, 수용홈의 수용 슬롯 뒤에서 결합하도록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반대편으로 확대되거나 경사진 단부를 구비하는 것이 적절하다.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 상의 수용홈은 하우징 쪽으로 아래로 향하는 단부가 개방되어 있어서, 리테이너 요소가 그 개구로 들어갈 수 있고, 이로써 수용홈의 수용 슬롯으로부터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데, 이는 수용홈 안으로 들어간 단부에서 확장되기 때문이다. 이런 식으로 디스플레이 호일에 토크가 작용하는 경우에도 디스플레이 호일은 액추에이터에 또는 지지부에 각각 고정되어 유지되며, 만일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는 액추에이터로부터 또는 지지부로부터 각각 분리될 것이다.
이미 상술한 것처럼,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는 인입된 상태에 있을 때 하우징으로부터 약간 튀어 나올 수 있다. 만약 이것이 바람직하지 않다면, 즉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와 함께 디스플레이 호일 전체가 하우징 내에 집어넣어질 수 있어야 하는 경우에는, 하우징 안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상단부에서 피봇회전하기 위해,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 및 존재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가 하우징 내의 각각의 제1 단부에 피봇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액추에이터 또는 지지부 각각의 피봇 장착때문에, 액추에이터의 제2 단부 및, 존재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의 제2 단부가 관절연결식으로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 및/또는 지지부의 피봇회전에 의해, 디스플레이 호일 및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상단부는 하우징 안으로 휘어져서 들어간다. 그러나, 지지부와 액추에이터는 디스플레이 호일과 함께 인출될때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에 가능한한 가깝게 배치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열구조는 상단부에서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굴곡에 이롭지 않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성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의 제1 단부 및, 존재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의 제1 단부는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가 인입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후방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리고 멀어지는 방향으로 하우징 안으로 피봇회전되어 들어갈 수 있고, 특히 피봇회전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상단부에 인접하여 붙어 있는 주요부의 부분 영역이 갖는 곡률의 정도는 하우징에 배열된 접촉 요소에 의해 정해진다.
간략하게 이미 상술한 것처럼, 복수의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양측에 배열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상단부)에 연결되어 있는 두 개의 액추에이터를 고려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들이 배열된 구성 또는 하나의 액추에이터와 하나의 지지부가 배열된 구성을 통해, 두 개의 액추에이터 또는 하나의 지지부와 하나의 액추에이터는 각각, 인입된 상태에서 계속 있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돌출부를, 하우징 밖으로 그리고 하우징 안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인입된 상태에서 피봇회전할 수 있다. 액추에이터와 지지부의 하단은 상술한 것처럼 피봇회전될 수 있어야 하지만, 부가적으로 병진운동까지 할수 있을 필요는 없다.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상단부가 피봇회전되어 하우징 안으로 들어갈 때, 상단부는 굴곡을 따라 집어넣어 진다. 굴곡된 정도를 정의하고 결정하기 위해, 스플레이 호일이나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 각각에 대하여 측면에 배열된 접촉 요소들을 하우징 내에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촉 요소들은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통상적으로 단단하게 되어 있는 단부에 미리정해진 최소의 허용가능한 곡률을 부여한다. 이것은, 디스플레이 장치를 집어 넣을 때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를 가이드하는 경우, 곡률 반경이 미리정해진 최소값 밑으로 되지 않는다면, 재료의 피로도 및 이로 인해 디스플레이 호일의 기능에 손상을 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면에서 매우 이로운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조로서, 가이드 수단은 서로 반대편에 있는 두 개의 가이드 슬롯을 갖고,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는 주요부를 따라 연장하는 측면 엣지를 갖고,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를 가이드하도록 가이드 슬롯과 협력하는 가이드 핀이 측면방향으로 측면 엣지로부터 튀어나오거나 돌출한다. 가이드 슬롯은 링크로 작용하여, 링크에서 가이드 핀이 가이드되고, 그 결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로부터 측면 엣지 측에서 튀어나온다.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상단부가 보강되는 것처럼, 주요부는 또한 상단부의 반대편에 있는 하단 영역에 보강 구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보강 구역을 사용하여 캐리어 요소를 고정시키거나 부착할 수 있고, 캐리어 요소는 단단한 강성의 또는 가요성의 프린트 회로 보드를 갖고 있을 수 있다. 이것은, 가요성 케이블 연결을 방지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를 인출하고 인입할 때 디스플레이 호일의 OLED 요소의 제어부가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와 함께 이동되어야만 하기 때문이다.
또한, 가이드 수단은 반대편에 있는 두 개의 가이드 본체를 갖고, 가이드 본체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각각 굽은 외측 엣지를 갖고, 가이드 본체는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가 인출되고 인입될 때 피봇회전하여, 측면 엣지 측에서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를 지지한다. 가이드 본체는 측면 엣지 측에서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를 지지하고, 가이드 핀과 가이드 수단의 가이드 슬롯에 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가 인입될 때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를 구동하기 위해 가이드 본체가 기계적으로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에 결합되어 있다.
가이드 본체는 180도 미만, 135도 미만, 또는 90도 미만의 각도로 연장되는 부분 디스크 본체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적합할 것이다. 따라서 가이드 본체는 소위 반원형 디스크 또는 1/4 원형 디스크로 구성될 수 있다.
부분 디스크 본체에 대한 다른 예로서, 가이드 본체는 180도 미만, 135도 미만, 또는 90도 미만의 각도로 연장되는 부분 링 본체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인입되는 동안 그리고 필요한 경우에는 인출되는 경우에도, 가이드 본체가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와 기계적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적절히 구동 단부가 제공되고, 구동 단부에서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와 상호작용한다. 각각의 가이드 본체의 구동 단부에 구동 핀이 배치되어 있고, 구동 핀은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측면 엣지 측에서 돌출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 상에서 핀 수용부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이 때, 가이드 본체(78)의 구동 핀은 가이드 핀(76)으로서 가이드 수단(52)의 가이드 슬롯(77) 안으로 들어가는 것도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와 관련하여, 구동핀은 가이드 기능을 갖고,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는 추가 가이드 핀을 가질 수 있고, 추가 가이드 핀은 주요부의 측면 엣지를 따라 배열될 수 있다.
이미 앞서 설명한 것처럼,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가 인입될 때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도 디스플레이 호일을 인입하는 것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강성은 하우징에서 휘어지는데 필요한 가요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존재하는데, 이를 적절한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가이드 수단이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러어를 자동으로 인입시키는 바이어스 유닛을 갖는 경우 훨씬 더 안전하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바이어스 유닛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가 인출될때 인장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가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를 인입시키기 위해 인입될 때 해제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바이어스 유닛은 피봇 베어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레버와, 피봇 베어링에 예를 들어 레그 스프링, 코일 스프링 또는 헬리컬 스프링을 갖는 스프링 텐션 메커니즘을 갖고, 적어도 하나의 구동 레버는 가이드 본체 중 하나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바이어스 유닛은 두 개의 구동 레버를 갖고, 구동 레버는 각각 가이드 본체들 중에서 다른 가이드 본체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출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 호일을 더욱 강화하기 위해, 또한, 보강 핀을 포함하는 보강 캐리어가 디스플레이 호일의 반대편에 있는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후방면에 배열되어 있고,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인출 및 인입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어지는 보강 핀이 스트립 형상의 영역을 따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에 고정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 요소가 존재할 경우 보강 핀들 중 하나에 배열되어 있거나, 복수의 리테이너 요소가 존재할 경우 보강 핀들 중 다른 보강 핀에 배열되어 있을 수 있다. 각각의 보강핀은 길이 및/또는 폭 전체에 걸쳐서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후방면에 연결될 수 있고, 이는 편리하게 가요성 중간층을 통해 그리고 접착하는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보강 핀은 금속과 같이 굽힘 저항성을 갖는 물질의 플라스틱 오버몰딩 코어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리빙 힌지나 다른 구조의 조인트로 가요성있게 연결될 수 있다. 리테이너 요소가 인출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와 지지부에 디스플레이 호일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를 유지하도록 제공되는 경우, 리테이너 요소는 핀에 배열될 수 있다. 가이드 수단의 가이드 핀에도 똑같이 적용된다. 앞서 설명한 가이드 본체도, 앞서 설명한 것처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에 기대어 있는 대신, 측면 엣지 측에서 보강 핀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고하여 여러 실시예를 통해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면에서:
도 1 내지 도 6은 인출되고 인입될 수 있는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7은 인출되고 인입될 수 있는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11은 인출되고 인입될 수 있는 차량용 디스플레이의 제3 실시예에 대하여 인입하고 인출하는 메커니즘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2와 도 13은 각각 길이-가변형 액추에이터 또는 길이-가변형 지지부의 단면도와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 내지 도 25는 디스플레이를 넣고 빼고 할 때, 가요성 디스플레이를 가이드하는 여러 디자인을 갖는 인출 인입식 디스플레이에 대한 추가 실시예의 세부구성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6은 차량용 인출 인입식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제1 실시예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는 폐쇄된 상부면(14)(도면에 도시 안됨)을 갖는 하우징(12)을 포함하고, 상부면은 슬롯 개구를 갖고, 디스플레이(16)가 슬롯 개구로부터 나와서 거의 직선으로 인출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16)가 슬롯 개구 안으로 들어갈 수 있다. 디스플레이(16)는 OLED 디스플레이 호일(18)을 포함하고, 이는 보호필름으로 덮힌 디스플레이면(20)을 형성한다. 디스플레이 호일(18)과 커버필름(22)은 하우징(12) 내의 곡률라인을 따라 휘어지고 방향이 바뀔수 있다. 얇은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는 디스플레이 호일(18)의 후방면에 위치하고, 호일 캐리어는 예를 들어 접착제로 접합하여 특히 디스플레이 호일(18)의 후방면에 전체 면에 걸쳐서 연결되어 있고, 추가적으로 예를 들어 플레이트(28)에 의해 상단부(26)가 단단하게 강화되어 있다.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주요부(30)는 상단부(26)에 인접하여 붙어 있다. 디스플레이 호일(18)은 또한 상단부(32) 및 인접하여 붙어 있는 주요부(34)를 포함하다.
이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뒷면에 길이-가변형 액추에이터(36)가 중앙에 위치하고, 두 개의 지지부(38)가 액추에이터(36)의 양측에 위치하며 이 또한 길이-가변형이다. 길이-가변형 액추에이터(36)는 모터로 구동된다; 모터(40)와 변속기(42)가 도 5에 표시되어 있다. 지지부(38)는 길이가 변하고, 액추에이터(36)가 인출될 때 확장되고 액추에이터(36)가 인입될때 수축된다. 이 실시예에서, 액추에이터(36)와 지지부(38)는 끼워넣는 신축자재방식이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요소들의 길이를 변경하는 다른 방법들도 구현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36)의 상측 단부(44)와 지지부(38)의 상측 단부(46)는 보강 플레이트(28)에 장착되어 있다. 액추에이터와 지지부는 각각 하측 단부(48, 50)가 하우징(12) 내에서 지지되며, 이는 도면에 간단히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요소들은 하우징 내에서 디스플레이(16)에 평행하는 크로스바에서 지지될 수 있다.
하우징(12) 내에 가이드 수단(52)이 있는데, 가이드 수단은 디스플레이(16)의 측면 엣지(54)의 각각의 사이드에 배치되어, 가요성 디스플레이(16)가 안으로 들어가는 동안 그리고 인출되는 동안 가요성 디스플레이(16)가 곡률 라인(56)을 따라 약 90도의 각도로 꺽일 수 있게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디스플레이(16)가 완전히 인출된 상태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10)를 여러가지 다른 시점으로 나타내며, 도 4와 도 5는 디스플레이(16)가 완전히 안으로 들어가 있는 상태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10)를 보여주고 있다. 디스플레이(16)는 안으로 들어가 있을 때 하우징(12) 내에 완전히 매몰되어 있는 것이 아니고, 디스플레이(16)의 상부(14)에서 도시되지 않은 개구로부터 튀어나와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1은 인출 인입식 디스플레이 장치(10a, 10b)에 대한 두 개의 추가 실시예를 일부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 실시예의 디자인에 의해 디스플레이(16)를 하우징(12) 내에 완전히 집어넣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7에 따르면, 디스플레이(16)는 디스플레이(16)의 측면 엣지(54)를 따라 배열된 두 개의 운동적으로(motorically) 인출될 수 있는 액추에이터(36)들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선형 이중 화살표는 액추에이터(36)가 인출되고 인입되는 것을 나타내고, 액추에이터는 하우징(12) 내에 피봇축(58)을 중심으로 하단부에서 피봇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6)가 최대로 인입된 상태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것과 비슷한 상황이 초래된다. 디스플레이(16)의 상단은 여전히 위로 튀어 나와 있는데, 수축된 액추에이터(36)를 피봇회전시킴으로써 하우징(12) 안쪽으로 틸트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11은 액추에이터(36)와 지지부(38)(존재할 경우)가 디스플레이(16)의 뒤에 위치할 때, 어떻게 접는 것이 실현될 수 있는지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며, 이는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10)의 실시예에서 볼 수 있다. 도 8은 완전히 인출된 상태의 디스플레이를 보여준다. 액추에이터(36)는 상징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9는 액추에이터(36)가 최대로 인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디스플레이(16)의 튀어나온 영역을 하우징(12) 안으로 접어 넣을 수 있도록, 액추에이터(36)의 하단(48)은 우선 디스플레이(16)로부터 멀어져야만 하고(화살표 59a 참고), 만약에 이렇게 되지 않으면 액추에이터(36)가 피봇회전할 때 디스플레이(16)가 휘어질 위험이 있다. 하단(48)이 멀어진 후, 도 10에 도시된 상황이 된다. 이제 액추에이터(36)는 하우징(12) 안으로 피봇회전될 수 있고, 이를 위해 블라인드 구조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의해 상부면(14)이 개방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상황이 된다. 인접 요소(60)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16)가 완전히 접혀져서 하우징(12) 안으로 들어갈 때 그 상부 영역에서 디스플레이는 정해진 곡률을 경험하게 된다.
도 12와 도 13은 각각 액추에이터(36)와 지지부(38) 모두에 대하여 신축자재식 디자인 또는 길이가 변하는 디자인과 관련하여 두 개의 도면을 보여준다(도 13은 이러한 디자인을 개략적으로만 보여준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서, 두 요소는 세 개의 지지부재 요소 또는 지지요소(62, 64, 66)를 갖고, 이는 도 12에서 볼 수 있듯이 각각 프로파일 요소로서 거의 C 형상으로 되어 있거나 서로에 대하여 가이드되고, 선형 가이드는 볼 베어링에 의해 이루어진다. 도 12에 따른 디자인이 제공하는 이점은, 디자인이 평면적이라는 것이다. 도 13에서 슬롯(68)은 각각의 프로파일 요소(62, 64, 66)에 도시되어 있고, 인출되는 동안 버섯-머리(mushroom-head)와 같은 리테이너 요소(69)가 슬롯 안으로 들어가서 잠겨 있고, 리테이너 요소는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후방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16)는 인출된 상태에서 액추에이터(36)나 지지부(38)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이 요소들로부터 의도치 않게 멀어지는 것을 막는다.
도 14는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다른 구조를 나타내고, 이 캐리어는 그 하부 영역에 보강 구역(70)을 갖고, 보강 구역으로부터 플레이트 형상의 캐리어 요소(72)가 튀어 나오고, 캐리어 요소에는 회로보드(74)가 고정되어 있고, 회로보드는 디스플레이 호일(18)의 픽셀을 제어하는 전자기기를 갖고 있다. 가이드 핀(76)이 보강 구역(70)으로부터 측면으로 돌출되어 가이드 수단(52)의 가이드 슬롯(77) 안으로 들어가서, 하우징(12) 내에서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하부 영역이 곡률 라인(56)을 따라 바뀌도록 한다. (또한 도 15 참조)
곡률 라인(56)을 따라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곡률을 유지하는 것은, 두 개의 가이드 본체(78)에 의해 도움을 받고, 가이드 본체는 부분 디스크 본체(80)로 형성되거나(도 16, 도 17 참조) 아니면 부분 링 본체(82)(도 18, 도 19 참조)로 형성되고, 각각 곡면형 외측 엣지(84)를 갖는다. 가이드 본체(78)는 각각 도 16 및 도 18의 화살표(86) 방향으로 편향(bias)되고, 나아가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와 디스플레이 호일(18)의 곡률을 유지하는 것에 더하여 액추에이터(36)가 집어 넣어질 때 하우징(12) 안으로 집어 넣는 것을 돕는다.
도 16과 도 18에서, 각각의 가이드 본체(78)는 편향된 위치에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고, 이 경우 디스플레이(16)가 완전히 인출되어 있다. 액추에이터(36)가 안으로 들어갈 때, 각각의 가이드 본체(78)는 화살표(86)의 방향으로 피봇회전하고, 휘어진 외측 엣지(84)는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측면 엣지와 접촉하게 되며, 곡률을 형성하고 지지한다. 디스플레이(16)가 최대로 들어간 위치에서(도 17 및 도 19), 각각의 가이드 본체(78)는 각각의 도면에 도시된 위치를 취한다.
가이드 본체(78)는 구동 핀 형태의 구동 요소에 의해 특히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측면 엣지와 협력하는데, 이는 예를 들어 그 둘을 기계적으로 결합하는 것을 구현하여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와 디스플레이 호일(18)을 하우징(12) 안으로 집어넣는 것을 보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0 내지 도 22는 이 실시예에서는 부분 링 본체(82)로 형성된 가이드 본체(78)가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와 협력하는 구동 단부(88)를 중심으로 어떻게 피봇회전을 할 수 있는지를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20은 디스플레이(16)가 최대로 인출된 위치를 보여준다. 부분 링 본체(82)는 위로 피봇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디스플레이(16)를 집어 넣는 첫번째 단계에서, 직선 화살표(90)으로 표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는 아래로 이동되고, 따라서, 부분 링 본체(82)도 아래쪽으로 직선 이동한다. 이렇게 함으로써, 부분 링 본체(82)는 추가적으로 화살표의 방향으로 구동 단부(88)를 중심으로 피봇회전하고, 즉 중첩된 이동을 수행하는데, 중첩된 이동은 선형 이동과 회전 중심(93)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이동으로 구성되며, 따라서 측면 아래쪽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도 21에 도시된 상황이 초래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출발하여, 디스플레이(16)를 좀 더 안으로 집어넣게 되거나 집어넣는 것을 지지하는 것이 도 18과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발생하고, 따라서 마지막으로 디스플레이(16)가 최대로 들어간 상태에서, 도 22에 따른 상황이 발생한다.
도 23은 디스플레이(16)가 보강 핀(94)(stiffening fin)에 의해 더욱 단단히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각각의 핀(94)은 플라스틱 오버몰딩 코어(96)를 가질 수 있고, 이웃하는 핀(94)들 사이의 플라스틱 물질은 리빙 힌지(98)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핀(94)은 좁은 접착 스트립(100)에 의해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에 접착 결합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리빙 힌지(98)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핀(94)을 서로 관절식으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여기서는 순수하게 기계적으로 작동하는 조인트 축을 갖는 조인트도 적절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24와 도 25는 가이드 본체(78)를 도 18과 도 20에 도시된 위치로 탄성적으로 편향시키는 바이어스 메커니즘을 추가로 보여주고, 바이어스 유닛(102)이 화살표(86)의 방향으로 작용한다. 바이어스 유닛(102)은 스프링 메커니즘(104)을 갖고, 스프링 메커니즘은 가이드 본체(78) 마다 하나의 구동 레버(106)를 포함한다. 구동 레버(106)는 회전축(108)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그 위에 인장 스프링(110)이 배치되어 있다. 구동 레버(106)는 가이드 본체(78)에 결합되어 이를 통해 이동되어, 디스플레이(16)가 인출될 때 인장 스프링(110)에 인장력을 가하고, 이는 액추에이터(36)를 구동함으로써 달성된다. 인출된 상태에서, 가이드 본체(78)는 도 16과 도 18에 따른 위치를 각각 취하고, 인장 스프링(110)이 인장되어, 가이드 본체(78)를 회전시킴으로써 액추에이터(36)가 안으로 들어갈 때 디스플레이(16)가 들어가는 것을 돕는다.
10 디스플레이 장치
10a 디스플레이 장치
10b 디스플레이 장치
12 하우징
14 하우징의 상부면
16 디스플레이
18 OLED 디스플레이 호일
20 디스플레이면
22 커버필름
24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
26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상단부
28 보강 플레이트
30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주요부
32 디스플레이 호일의 상단부
34 디스플레이 호일의 주요부
36 액추에이터
38 지지부
40 모터
42 변속기
44 액추에이터의 상측 단부
46 지지부의 상측 단부
48 액추에이터의 하측 단부
50 지지부의 하측 단부
52 가이드 수단
54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의 측면 엣지
56 곡률 라인
58 액추에이터 또는 지지부의 피봇축
59a 선형 화살표
59b 회전 화살표
60 인접 요소
62 액추에이터 또는 지지부의 프로파일 요소
64 액추에이터 또는 지지부의 프로파일 요소
66 액추에이터 또는 지지부의 프로파일 요소
68 액추에이터 또는 지지부의 수용 슬롯
69 리테이너 요소
70 보강 구역
72 캐리어 요소
74 회로보드
76 가이드 수단의 가이드 핀
77 가이드 수단의 가이드 핀
78 가이드 수단의 가이드 핀
80 부분 디스크 본체
82 부분 링 본체
84 가이드 본체의 외측 엣지
86 화살표
88 가이드 본체의 구동 단부
90 디스플레이의 선형 이동방향의 화살표
92 부분 링 본체의 피봇/회전 이동방향의 화살표
93 부분 링 본체의 회전중심
94 보강 핀
96 보강 핀의 코어
98 보강핀 사이의 리빙 힌지
100 접착 스트립
102 바이어스 유닛
104 바이어스 유닛의 스프링 메커니즘
106 바이어스 유닛의 구동 레버
108 회전축
110 인장 스프링

Claims (30)

  1. 차량용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 디스플레이면(20)을 갖는 전방면과 후방면을 포함하는 OLED 기술의 가요성 디스플레이 호일(18)로서,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의 주요부(34)는 상단부(32)와 인접하여 붙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의 하단부로 이어지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호일(18),
    - 상기 후방면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에 부착되거나 특히 탄성 물질의 중간층에 의해 연결되고 상단부(26)를 갖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로서, 상기 상단부(26)는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주요부(30)와 인접하여 붙어있고, 상기 주요부(30)는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하단부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상단부(26)는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의 상단부(32)와 맞붙어 보강되거나 보강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
    -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이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와 함께 인입되고 인출되는 하우징(12),
    - 상기 하우징(12) 내에 및/또는 상에 지지되는 제1 단부(48)와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상단부(26)가 부착되는 제2 단부(44)를 갖고, 모터로 구동되는 길이-가변형의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36),
    -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36)의 길이를 변경하여 상기 하우징(12) 안팎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주요부(34, 30)의 적어도 일부 영역이 인입하고 인출하는 동안, 적어도 주요부(34, 30)의 부분 영역에서 180도 미만 또는 135 미만 또는 90도 미만으로 곡률(56) 라인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를 가이드 하는, 상기 하우징(12) 내의 가이드 수단(5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36)는 두 단부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액추에이터 요소(62, 64, 66)를 갖고, 이웃하는 액추에이터 요소(62, 64, 66)는 서로에 대하여 및/또는 서로의 내부로 슬라이딩하도록 각각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36)는 폐쇄면과 개방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C-형상의 제1 액추에이터 프로파일 요소; 상기 제1 액추에이터 프로파일 요소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가이드되고 실질적으로 C-형상이면서 폐쇄면과 개방면을 갖고, 폐쇄면이 상기 제1 액추에이터 프로파일 요소의 폐쇄면과 마주하는 제2 액추에이터 프로파일 요소; 및 상기 제2 액추에이터 프로파일 요소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가이드되고 실질적으로 C-형상이면서 폐쇄면과 개방면을 갖고, 폐쇄면이 상기 제2 액추에이터 프로파일 요소의 개방면을 덮는 제3 액추에이터 프로파일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 내에 지지되는 제1 단부(50)와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상단 영역(26)이 부착되는 제2 단부(46)를 갖는 적어도 하나의 길이-가변형 지지부(3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길이-가변형 지지부(38)는 두 단부 사이에 배치된 적어도 두 개의 지지 요소를 갖고, 이웃하는 지지 요소는 서로에 대하여 및/또는 서로의 내부로 슬라이딩하도록 각각 가이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38)는 폐쇄면과 개방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C-형상의 제1 지지 프로파일 요소; 상기 제1 지지 프로파일 요소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가이드되고 실질적으로 C-형상이면서 폐쇄면과 개방면을 갖고, 폐쇄면이 상기 제1 지지 프로파일 요소의 폐쇄면과 마주하는 제2 지지 프로파일 요소; 및 상기 제2 지지 프로파일 요소에서 슬라이딩가능하게 가이드되고 실질적으로 C-형상이면서 폐쇄면과 개방면을 갖고, 폐쇄면이 상기 제2 지지 프로파일 요소의 개방면을 덮는 제3 지지 프로파일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36) 또는 그 지지 요소 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38) 또는 그 지지 요소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와 마주하는 내부면을 갖고, 내부면에 수용 홈이 형성되거나 배열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가 인출하고 인입할 때,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주요부(30 내에, 특히 상기 수용홈 맞은편의 가상의 선에,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의 반대편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후방면으로부터 튀어 나와 있는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 요소(69)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 요소(69)는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가 인출될 때 상기 수용홈 안으로 들어가고,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가 인입할 때 상기 수용홈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 요소(69)는, 상기 수용홈의 수용 슬롯(68) 뒤에서 결합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반대편으로 확대되거나 경사진 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 안으로 인입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는 상단부(32, 2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하우징(12)으로부터 튀어 나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 안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상단부(32, 26)에서 피봇회전하기 위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36) 및 존재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38)가 상기 하우징(12) 내의 각각의 제1 단부에 피봇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36)의 제2 단부(44) 및, 존재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38)의 제2 단부(46)가 관절연결식 또는 휘어지는 방식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상단부(26)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36)의 제1 단부(48) 및, 존재할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부(38)의 제1 단부(50)는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후방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12) 안으로 피봇회전되어 들어갈 수 있고, 특히 피봇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상기 상단부에 인접하여 붙어 있는 주요부의 부분 영역이 갖는 곡률의 정도는 상기 하우징(12)에 배열된 접촉 요소(60)에 의해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두 개의 액추에이터(36)가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양측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상단부(26)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액추에이터(36)와 지지부(38)가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양측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상단부(26)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52)은 서로 반대편에 있는 두 개의 가이드 슬롯(77)을 갖고,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는 주요부(30)를 따라 연장하는 측면 엣지(54)를 갖고,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를 가이드하도록 상기 가이드 슬롯(77)과 협력하는 가이드 핀(76)이 측면방향으로 상기 측면 엣지로부터 튀어나오거나 돌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는 상기 상단부(26)의 반대편에 있는 주요부(30)의 단부에 보강 구역(70)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핀(76)은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주요부(30)의 보강 구역(70)의 영역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강성의 또는 가요성의 프린트 회로 보드(74)를 갖는 캐리어 요소(72)가 상기 보강 구역(70)으로부터 경사지게 튀어 나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52)은 반대편에 있는 두 개의 가이드 본체(78)를 갖고, 상기 가이드 본체는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각각 굽은 외측 엣지(84)를 갖고, 상기 가이드 본체(78)는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가 인출되고 인입될 때 피봇회전하여, 측면 엣지 측에서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가 인입될 때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를 구동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 본체(78)가 기계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19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본체(78)는 180도 미만, 135도 미만, 또는 90도 미만의 각도로 연장되는 부분 디스크 본체(80)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본체(78)는 180도 미만, 135도 미만, 또는 90도 미만의 각도로 연장되는 부분 링 본체(82)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가이드 본체(78)는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단부(88)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각각의 가이드 본체(78)의 구동 단부(88)에 구동 핀이 배치되어 있고, 상기 구동 핀은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측면 엣지 측에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 상에서 핀 수용부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25. 제19항 및 제24항, 또는 제19항 및 제24항에 관련된 제1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본체(78)의 구동 핀은 가이드 핀(76)으로서 상기 가이드 수단(52)의 가이드 슬롯(77)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26. 제23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2) 안으로 피봇회전하여 들어가도록 구동 단부(88)에 회전가능하게 각각의 가이드 본체(78)가 장착되어 있고, 회전축이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인출 및 인입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수단(52)은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러어(24)를 자동으로 인입시키거나 적어도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러어(24)를 자동으로 인입하는 것을 지지하는 바이어스 유닛(102)을 갖고, 상기 바이어스 유닛(102)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36)가 인출될때 인장될 수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36)가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를 인입시키기 위해 인입될 때 해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유닛(102)은 피봇 베어링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레버(106)와, 피봇 베어링에 예를 들어 레그 스프링, 코일 스프링 또는 헬리컬 스프링을 갖는 스프링 텐션 메커니즘(104)을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구동 레버(106)는 상기 가이드 본체(78) 중 하나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스 유닛(102)은 두 개의 구동 레버(106)를 갖고, 상기 구동 레버는 각각 다른 가이드 본체(78)에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보강 핀(94)을 포함하는 보강 캐리어가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의 반대편에 있는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후방면에 배열되어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18)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의 인출 및 인입 방향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이어지는 보강 핀(94)이 스트립 형상의 영역을 따라 상기 디스플레이 호일 캐리어(24)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테이너 요소(69)가 존재할 경우 상기 보강 핀(94) 들 중 하나에 배열되어 있거나, 복수의 리테이너 요소(69)가 존재할 경우 다른 보강 핀(94)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37009467A 2020-09-23 2021-09-23 차량용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유닛 KR202300704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0124829 2020-09-23
DE102020124829.6 2020-09-23
DE102020124958 2020-09-24
DE102020124958.6 2020-09-24
PCT/EP2021/076135 WO2022063866A1 (de) 2020-09-23 2021-09-23 Aus- und einfahrbare anzeige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70458A true KR20230070458A (ko) 2023-05-23

Family

ID=78000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9467A KR20230070458A (ko) 2020-09-23 2021-09-23 차량용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유닛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269889A1 (ko)
EP (1) EP4217222A1 (ko)
JP (1) JP2023541989A (ko)
KR (1) KR20230070458A (ko)
CN (1) CN116171236A (ko)
DE (1) DE102021124508B3 (ko)
WO (1) WO20220638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145A1 (ko) * 2022-07-06 2024-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변형가능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115050B4 (de) * 2001-03-27 2006-04-13 Robert Bosch Gmbh Anzeigevor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Fortbewegungsmittel
ATE432845T1 (de) 2004-09-16 2009-06-15 Daimler Ag Anzeigevorrichtung für ein fahrzeug
TWI417821B (zh) * 2007-11-23 2013-12-01 Creator Technology Bv 具改進功能的電子裝置
US8953327B1 (en) * 2011-05-26 2015-02-10 iBlaidZ, Inc. Self-winding membrane device
US10434847B2 (en) 2014-08-07 2019-10-08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device and driving support system
DE102019127570A1 (de) 2019-10-14 2021-04-15 Audi Ag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171236A (zh) 2023-05-26
WO2022063866A1 (de) 2022-03-31
EP4217222A1 (de) 2023-08-02
US20230269889A1 (en) 2023-08-24
DE102021124508B3 (de) 2022-03-17
JP2023541989A (ja) 2023-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936207B (zh) 遮阳组件以及设有遮阳组件的天窗结构
US8366187B2 (en) Sunroof apparatus
KR101367580B1 (ko) 잔류 개방 틈이 없는 리어-윈도우 롤러 블라인드
US8419119B2 (en) Sunshade device
JP4797091B2 (ja) サンルーフ装置におけるシェードパネルの連動機構
US20100326607A1 (en) Roller shade apparatus for vehicle
WO2012039314A1 (ja) サンシェード装置
KR20230070458A (ko) 차량용 인출 인입 디스플레이 유닛
US20040040676A1 (en) Shade tarp as sun shield
US8579011B2 (en) Sunshade device
KR20120027227A (ko) 차양장치
JP5431838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6251494B2 (ja) 車両用のオープンルーフシステム
KR20120105534A (ko)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JP5468443B2 (ja) シェード装置
US10507713B2 (en) Wind deflector assembly for vehicle roof
US9145043B2 (en) Open roof system for a vehicle
JP7010123B2 (ja) シェード装置
WO2023058638A1 (ja) サンルーフ装置
JP2023056707A (ja) サンルーフ装置
JP2023056706A (ja) サンルーフ装置
US20230302884A1 (en) Roof system
JP5501822B2 (ja) シェード装置
CN113879083A (zh) 用于车辆的、具有分离的后梁设计的车顶构造
JP2006069450A (ja) サンシェード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