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05534A -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105534A
KR20120105534A KR1020127018916A KR20127018916A KR20120105534A KR 20120105534 A KR20120105534 A KR 20120105534A KR 1020127018916 A KR1020127018916 A KR 1020127018916A KR 20127018916 A KR20127018916 A KR 20127018916A KR 20120105534 A KR20120105534 A KR 20120105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shade
stay
lid
movable body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89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57012B1 (ko
Inventor
신야 오지마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20105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05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0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38Storage box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19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 B60J1/2027Roller blinds powered, e.g. by electric, hydraulic or pneumatic actuators with a buckle-proof guided flexible actuating element acting on the draw bar for pushing or push-pulling, e.g. a Bowden c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with a roller situated at the bott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차량의 윈도우를 차폐 및 개방 가능하게 가리는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이다.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는 윈도우 차양과, 윈도우 차양을 권취하는 권취장치와, 윈도우 차양의 선단측에 설치된 스테이와, 윈도우 차양의 인출용 슬릿을 갖는 프레임과, 인출용 슬릿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와, 덮개를 여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부재를 갖는다. 권취장치에 의해 권취되는 윈도우 차양에 설치된 스테이의 움직임은 전달부재에 의해 덮개를 닫힘 방향으로의 힘으로서 전달된다. 덮개, 스테이, 전달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스테이의 움직임과 덮개의 움직임의 오차를 흡수하는 오차흡수기구가 조립되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VEHICLE WINDOW SHADE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사이드 윈도우 등을 가리는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이런 종류의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로서 특허문헌 1에 개시한 것이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윈도우 차양 시트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 슬릿에 회전 가능한 덮개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덮개는 압축 스프링에 의해 개방 위치로 부세(付勢)되어 있다. 또한, 윈도우 차양 시트에 결합된 작동요소의 오버 스트로크(over stroke)에 의해 작동아암을 움직임으로써, 덮개를 폐쇄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특허공개 2004-136881호 공보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한 기술에서는, 윈도우 차양 시트의 권취시에, 작동요소가 작동아암을 누름으로써 덮개를 닫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윈도우 차양 시트의 위치와 덮개의 위치가 대략 1대 1로 연동(連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윈도우 차양 시트의 완전 권취 위치와 덮개의 완전 닫힘 위치가 어긋나 버리면, 윈도우 차양을 완전하게 권취한 경우에도, 덮개가 완전 폐쇄되지 않는다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차양의 권취에 연동하여 덮개를 보다 완전하게 폐쇄할 수 있도록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1 형태는 차량의 윈도우를 차폐 및 개방 가능하게 가리는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로서, 상기 윈도우를 차폐 가능한 윈도우 차양과,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 방향측 단부(端部)에 설치된 스테이(stay)와, 상기 윈도우 차양을 인출 수납 가능하게 권취하는 권취장치와, 상기 권취장치를 내부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 수납 방향으로 틈새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틈새부를 가림과 함께, 상기 스테이가 슬라이딩 가능한 인출용 슬릿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인출용 슬릿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와, 상기 덮개를 여는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세부재와, 상기 권취장치에 의해 권취되는 윈도우 차양에 설치된 스테이의 움직임을, 상기 덮개에 그것을 닫힘 방향으로의 힘으로서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 상기 스테이 및 상기 전달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스테이의 움직임과 상기 덮개의 움직임의 오차를 흡수하는 오차흡수기구가 조립되어 있는 것이다.
제2 형태는 제1 형태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로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 및 수납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윈도우 차양의 권취에 의해 상기 스테이에 의해 눌려 상기 윈도우 차양의 수납 방향측으로 이동하는 가동체(可動體)와, 상기 가동체가 상기 윈도우 차양의 수납 방향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덮개를 닫힘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가동체가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 방향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덮개가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덮개와 상기 가동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갖는다.
제3 형태는 제2 형태에 따른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로서, 상기 오차흡수기구는 상기 윈도우 차양의 권취에 의해 상기 덮개가 열리기까지 상기 스테이가 상기 가동체를 누른 상태로, 상기 가동체가 상기 스테이의 이동경로로부터 퇴피하도록 자세 변경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제4 형태는 제1?제3 중 어느 하나의 형태에 따른 윈도우 차양장치로서, 상기 덮개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제1 형태에 의하면, 권취장치에 의해 권취되는 윈도우 차양에 설치된 스테이의 움직임이 전달부재를 통하여, 덮개에 그것을 닫힘 방향으로의 힘으로서 전달되기 때문에, 차양의 권취에 연동하여 덮개를 폐쇄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덮개, 상기 스테이 및 상기 전달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스테이의 움직임과 상기 덮개의 움직임의 오차를 흡수하는 오차흡수기구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스테이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덮개가 보다 완전하게 폐쇄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제2 형태에 의하면, 상기 윈도우 차양의 권취에 의해 상기 스테이에 의해 눌려 가동체가 윈도우 차양의 수납 방향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연결부재를 통하여 상기 덮개가 닫힘 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윈도우 차양을 인출하면, 가동체가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 방향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덮개가 열림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므로, 덮개는 부세부재의 부세력(付勢力)에 의해 열린다.
제3 형태에 의하면, 윈도우 차양의 권취에 의해 상기 덮개가 열리기까지 상기 스테이가 상기 가동체를 누른 상태로, 상기 가동체가 상기 스테이의 이동경로로부터 퇴피한 위치로 대피하기 때문에, 스테이의 이동량과 덮개의 이동량의 오차를 흡수하여, 덮개가 보다 완전하게 닫혀지도록 할 수 있다.
제4의 형태에 의하면, 열린 상태로 덮개의 돌출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덮개가 닫힌 상태에서의 덮개의 개폐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3은 덮개가 열린 상태에서의 덮개의 개폐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4는 도 3의 일부 투과 설명도이다.
도 5는 덮개의 개폐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덮개의 개폐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7은 덮개의 개폐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관련된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에 관하여 설명한다.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의 전체 구성>
도 1은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20)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여기에서는,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20)가 뒷좌석의 사이드 윈도우(10)를 가리는 경우를 상정(想定)하여 설명한다. 다만,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는 그 이외, 트렁크 측방의 사이드 윈도우, 리어 윈도우 등을 가리는 것이어도 좋다.
이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20)는 사이드 윈도우(10)의 일측을 따라 연장되는 패널 부분에 조립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20)는 사이드 윈도우(10)의 하부에 존재하는 도어패널(18)의 상측부에 조립되어 있다. 그리고,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20)로부터 윈도우 차양(22)이 사이드 윈도우(10)의 차실(車室) 측면을 따라 인출됨으로써, 그 윈도우 차양(22)이 사이드 윈도우(10)를 차폐 및 개방 가능하게 가리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20)는 윈도우 차양(22)과, 스테이(24)와, 권취장치(60)와, 프레임(30)을 구비하고 있다.
윈도우 차양(22)은 메쉬 형상의 천, 수지 시트 등의 재료를 재단, 봉제 등으로 하여 형성된 시트 형상의 부재이다. 여기에서는, 윈도우 차양(22)은 대상이 되는 사이드 윈도우(10)와 대략 같은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그 사이드 윈도우(10)의 전체를 차폐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만, 윈도우 차양(22)은 대상이 되는 윈도우의 일부를 차폐하는 형상 및 크기, 혹은 복수의 윈도우를 일괄하여 차폐 가능한 크기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스테이(24)는 상기 윈도우 차양(22)의 인출 방향측 단부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윈도우 차양(22)은 권취장치(60)에 의해 권취되어 있어, 그 권취장치(60)로부터 윈도우 차양(22)을 따라 위쪽으로 인출되기 때문에, 윈도우 차양(22)의 상측 단부가 인출 방향측 단부이다. 스테이(24)는 윈도우 차양(22)의 상측의 끝 가장자리부가 길이 치수를 따른 긴 봉상(棒狀)부재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스테이(24)는 후술하는 인출용 슬릿(32h)을 통하여 프레임(30) 내에 배치 가능한 두께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윈도우 차양(22)의 권취 수납 상태에서는, 스테이(24)는 프레임(30) 내에 배치되어 있고, 이 상태로부터 인출용 슬릿(32h)을 통하여 스테이(24)를 프레임(30) 바깥으로 인출하여 위쪽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윈도우 차양(22)이 사이드 윈도우(10)를 따라 인출되도록 되어 있다.
프레임(30)은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 장척(長尺) 형상 부재이며, 사이드 위드우(10)의 일측을 따른 위치, 여기에서는, 도어패널(18)의 상측부에 장착되어 있다. 이 프레임(30)은 사이드 윈도우(10)측에 면(面)하는 표면판부(32)를 갖고 있고, 이 표면판부(32)에 사이드 윈도우(10)의 일측 가장자리부(여기에서는, 하측의 가장자리)를 따라 뻗는 가늘고 긴 인출용 슬릿(32h)이 형성되어 있다. 인출용 슬릿(32h)의 길이 치수는 윈도우 차양(22)의 폭 치수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어, 상기 윈도우 차양(22)은 프레임(30) 내로부터 인출용 슬릿(32h)을 통하여 사이드 윈도우(10)측으로 인출된다.
이 프레임(30)에는, 인출용 슬릿(32h)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덮개(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덮개(50)는 윈도우 차양(22)의 인출 및 수납에 따라 자동적으로 개폐된다. 그것을 위한 구성에 관하여는 다음에 상세히 설명한다.
권취장치(60)는 윈도우 차양(22)을 인출 및 수납 가능하게 권취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권취장치(60)는 프레임(30)의 내측에 설치된 부재이며, 상기 윈도우 차양(22)을 권취 가능한 권취축부(62)를 갖고 있다(도 2?도 4 참조). 권취축부(62)는 프레임(30)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과 함께, 도시 생략한 코일스프링 등의 부세부재에 의해 회전 부세되어 있다.
상기 윈도우 차양(22)의 일단부인 기단부(基端部)는 상기 권취축부(62)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게 연결 고정되어 있어, 부세부재에 의한 부세력에 의해 권취축부(62)가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면, 스테이(24)가 인출용 슬릿(32h)을 통하여 프레임(30) 내에 위치되는 상태로 될 때까지, 윈도우 차양(22)이 권취축부(62)에 권취 수납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부터 상기 스테이(24)를 인장(引張)하면, 부세부재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권취축부(62)가 상기 권취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윈도우 차양(22)이 인출용 슬릿(32h)을 통하여 사이드 윈도우(10)를 따라 인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윈도우 차양(22)을 인출 및 수납 구동하는 차양구동기구(70)를 구비하고 있다. 차양구동기구(70)는 상기 스테이(24)를 권취축부(62)의 축에 대하여 대략 평행 자세를 유지한 상태에서 그 권취축부(62)에 대하여 접근 및 이간 이동시킴으로써, 윈도우 차양(22)을 인출 및 수납하는 장치이다. 여기에서는, 차양구동기구(70)는 한 쌍의 아암(72)과, 한 쌍의 아암을 진퇴 구동시키는 아암구동부(74)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아암(72)은 수지 등으로 형성된 장척부재이며, 상기 인출용 슬릿(32h)을 통하여 사이드 윈도우(10)의 차실 측면을 따라 연장되도록, 프레임(30)에 대하여 진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한 쌍의 아암(72)의 선단부는 스테이(24)에 연결되어 있어, 한 쌍의 아암(72)이 진퇴 구동됨으로써, 스테이(24)가 상기와 같이 권취축부(62)에 대하여 접근 및 이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아암구동부(74)는 프레임(30)의 내측으로서 도어패널(18) 내에 조립되어 있다. 아암구동부(74)는 한 쌍의 안내부재(76)와, 한 쌍의 선상(線狀) 래크톱니부재(77)와, 래크구동부(78)를 갖고 있다.
한 쌍의 안내부재(76)와 한 쌍의 선상 래크톱니부재(77)는 각각 상기 한 쌍의 아암(72)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안내부재(76)는 직선부분(76a)과 만곡부분(76b)을 갖고 있어, 전체로서 대략 J자 형상을 갖고 있다. 한 쌍의 안내부재(76)의 각 직선부분(76a)은 각각 한 쌍의 프레임(30)의 하부에 연장되도록 고정되어 있어, 아암(72)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또한, 직선부분(76a) 및 만곡부분(76b)은 선상 래크톱니부재(77)를 안내 지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한 쌍의 만곡부분(76b)은 한 쌍의 직선부분(76a) 사이에 서로 겹치도록 연장되어 있다.
선상 래크톱니부재(77)는 수지 등, 가요성을 갖고 또한 압입된 경우에 용이하게 굴곡되지 않는 선상부재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 일면에 요철이 직선 형상으로 늘어서도록 복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다. 선상 래크톱니부재(77)의 일단부는 안내부재(76)의 직선부분(76a)에서 아암(72)의 기단부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선상 래크톱니부재(77)는 직선부분(76a)으로부터 만곡부분(76b)을 통과하도록 안내되어 있다.
래크구동부(78)는 한 쌍의 직선부분(76a) 사이에 설치되어 있고, 한 쌍의 만곡부분(76b)의 각각에서 선상 래크톱니부재(77)에 맞물림 가능한 래크용 치차(齒車)(도시 생략)와, 그 치차를 회전 구동하는 모터(78a)를 갖고 있다. 모터(78a)의 회전 구동력은 베벨기어 등의 치차, 풀리 등을 통하여 한 쌍의 래크용 치차를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힘으로서 전달된다. 그리고, 한 쌍의 래크용 치차가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으로써, 한 쌍의 선상 래크톱니부재(77)가 동기(同期)하여 진퇴 구동되고, 이에 의해, 한 쌍의 아암(72)이 동기하여 진퇴 구동된다. 그리고, 한 쌍의 아암(72)이 진출 구동됨으로써, 스테이(24)가 권취축부(6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윈도우 차양(22)이 사이드 윈도우(10)를 따라 인출되며, 한 쌍의 아암(72)이 퇴피 구동됨으로써, 스테이(24)가 권취축부(62)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부세부재의 부세력에 의해 권취축부(62)가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여 윈도우 차양(22)이 그 권취축부(62)에 권취 수납된다.
또한, 윈도우 차양(22)을 인출 및 수납 구동하는 구성은 상기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모터 등의 구동에 의해 와이어를 인장함으로써, 아암을 진퇴 구동시키도록 해도 좋다. 또한, 아암을 진퇴 구동시키는 대신에, 윈도우의 양측부에 한 쌍의 레일을 설치하고, 스테이의 양단부가 그 레일을 따라 이동 구동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윈도우 차양(22)을 인출 및 수납 구동하는 구성이 생략되어 스테이에 인출용의 손잡이 등을 설치하여, 수동에 의해 윈도우 차양을 인출 및 수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덮개의 개폐 구성>
도 2는 덮개(50)가 닫힌 상태에서의 덮개(50)의 개폐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3은 덮개(50)가 열린 상태에서의 덮개(50)의 개폐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며, 도 4는 도 3의 일부 투과 설명도이다. 또한, 도 2?도 4는 도 1의 II-II선에서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20)를 절단한 부분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5?도 7은 덮개(50)의 개폐 동작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20)는 윈도우 차양(22)의 인출 및 수납에 연동하여 덮개(50)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하고, 부세부재로서의 코일스프링(56)과 전달부재(40)를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프레임(30)에서의 스테이(24)의 움직임에 관하여 설명하여 둔다. 즉, 프레임(30)은 표면판부(32) 내측에 제1 내판부(內板部)(33A) 및 제2 내판부(33B)를 갖고 있다. 이들 제1 내판부(33A) 및 제2 내판부(33B)는 인출되는 윈도우 차양(22)을 끼우도록 하여 간격을 갖고 대향 배치되어 있다. 이러한 제1 내판부(33A) 및 제2 내판부(33B)는 표면판부(32)와 일체로 형성된 것이어도 좋고, 별도 조립된 것이어도 좋다. 그리고, 스테이(24)는 표면판부(32)의 내측에서, 제2 내판부(33B)의 내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윈도우 차양(22)의 인출 및 수납 방향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 내판부(33A) 및 제2 내판부(33B)는, 권취장치(60)가 내부에 배치된 케이스를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이 케이스에 대하여 윈도우 차양(22)의 인출 수납 방향측(즉, 제1 내판부(33A) 및 제2 내판부(33B) 사이의 위쪽 틈새)에 틈새부가 형성되어 있어, 이 틈새부를 가리도록 하여 프레임(30)의 표면판부(32)가 설치되어 있다.
덮개(50)는 수지 등에 의해 형성된 부재이며, 인출용 슬릿(32h)을 폐색 가능한 가늘고 긴 판상(板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덮개(50)의 양단부가 프레임(30)의 표면판부(32)의 내측으로서 인출용 슬릿(32h)의 양단부에 형성된 가이드홈(32g)(도 4 참조)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것 등에 의해, 인출용 슬릿(32h)의 폭 방향에서 표면판부(32)의 내면을 따라, 덮개(50)가 인출용 슬릿(32h)을 완전하게 폐색하는 닫힘 위치(도 2 참조)와, 윈도우 차양(22)을 인출 가능한 정도로 인출용 슬릿(32h)을 개방시키는 열림 위치(여기에서는, 인출용 슬릿(32h)을 완전하게 개방한 위치, 도 3 및 도 4 참조) 사이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다만, 덮개는 상기 구성 이외에, 프레임에 고정된 가이드 샤프트가 그 덮개에 삽입 통과되는 구성 등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성이어도 좋다.
코일스프링(56)은 덮개(50)를 열림 방향으로 부세하는 부재이며, 여기에서는, 덮개(50)의 양단부와 프레임(30)의 단부의 내면 부분 중 덮개(50)가 열림 방향으로 이동하는 측의 부분과의 사이에 신장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도 4 참조). 그리고, 이 코일스프링(5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덮개(50)를 상시 열림 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다.
전달부재(40)는 권취장치(60)에 의해 권취되는 윈도우 차양(22)에 설치된 스테이(24)의 움직임을, 덮개(50)를 닫힘 방향으로의 힘으로서 그 덮개(50)에 전달하는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전달부재(40)는 가동체(42)와 연결부재(48)를 갖고 있다.
가동체(42)는 수지 등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프레임(30) 내에서 윈도우 차양(22)의 인출 및 수납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가동체(42)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하나의 주면(主面)(인출되는 윈도우 차양(22)측의 면)을 따라 받침 돌기부(42a)가 돌출 형성되어 있다. 윈도우 차양(22)의 수납시에서의 스테이(24)의 움직임은 받침 돌기부(42a)를 통하여 가동체(42)에 전달된다.
이 가동체(42)는 다음의 구성에 의해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프레임(30)의 제1 내판부(33A)에 가동체(42)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기 위한 안내구멍부(33Ah)가 형성되어 있다. 이 안내구멍부(33Ah)의 양측 가장자리부에 한 쌍의 가동체 안내부(34)가 설치되어 있다. 가동체 안내부(34)는 윈도우 차양(22)의 인출 및 수납 방향을 따라 뻗는 한 쌍의 벽부(34a)와, 그 한 쌍의 벽부(34a) 중 윈도우 차양(22)의 수납 방향측에 설치된 단벽부(端壁部)(34b)를 갖고 있다. 단벽부(34b)는 반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벽부(34a)의 단부(端部)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벽부(34a) 사이에, 윈도우 차양(22)의 인출 및 수납 방향을 따라 뻗는 일정 폭의 홈(34g)이 형성되고, 이 홈(34g)은 윈도우 차양(22)의 수납 방향측에서 단벽부(34b)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또한, 가동체(42) 중 상기 한 쌍의 가동체 안내부(34)에 대향하는 각 측면에는, 주(主)가이드 돌기부(43a)가 형성됨과 함께, 그 주가이드 돌기부(43a)를 끼우도록 하여 한 쌍의 부(副)가이드 돌기부(43b)가 형성되어 있다. 주가이드 돌기부(43a)는 홈(34g) 내에 이동 가능하고 또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부가이드 돌기부(43b)는 주가이드 돌기부(43a)에 대하여 벽부(34a)의 두께 치수 정도의 간격을 두고 돌출 설치되고, 상기 벽부(34a)의 외면 및 단벽부(34b)의 외주측 호(弧)형상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돌기부 형상(여기서는 원기둥 형상의 돌기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구멍부(33Ah)의 각각의 측 가장자리부에서, 주가이드 돌기부(43a)가 홈(34g) 내에 배치됨과 함께, 한 쌍의 부가이드 돌기부(43b)가 한 쌍의벽부(34a)의 외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가동체(42)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가동체(42)는 가동체 안내부(34) 중 윈도우 차양(22)의 수납 방향측 단부에 위치하는 상태와, 그 위치보다 인출 방향측의 범위에 있는 상태에서는 다른 거동을 나타낸다. 먼저, 후자(後者) 상태에서는, 주가이드 돌기부(43a)와 한 쌍의 부가이드 돌기부(43b)의 각각의 사이에, 직선 형상의 벽부(34a)가 끼워 넣어지는 상태로 유지되므로, 가동체(42)는 그 받침 돌기부(42a)를, 윈도우 차양(22)의 인출 및 수납 방향을 따라 연장시킨 자세로 유지된다(도 3, 도 4, 도 5및 도 6 참조, 이하, 간단히 받침 자세라고 함). 또한, 전자(前者) 상태에서는, 주가이드 돌기부(43a)는 홈(34g)의 단부에 도달되며, 한 쌍의 부가이드 돌기부(43b)는 단벽부(34b)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 가능한 위치에 배치된다. 이 때문에, 가동체(42)는 주가이드 돌기부(43a)를 중심으로서, 한쪽의 부가이드 돌기부(43b)를 단벽부(34b)의 외주면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하여, 자세변경 가능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가동체(42)는 주가이드 돌기부(43a)를 홈(34g)의 단부에 배치한 상태인 채로, 받침 돌기부(42a)를 윈도우 차양(22)의 수납 방향측으로 이동시키도록 하여 자세 변경 가능하게 된다(도 2 및 도 7 참조, 이하, 이와 같이 자세 변경된 상태를 간단히 퇴피 자세라고 함).
상기 스테이(24)는 윈도우 차양(22)의 수납에 의해 가동체(42)를 눌러서 윈도우 차양(22)의 수납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스테이(24)는 제2 내판부(33B)의 내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이동될 때에, 적어도 수납 방향측의 측 가장자리부에서, 가동체(42)의 받침 돌기부(42a)에 맞닿을 수 있는 두께 치수를 갖고 있다. 그리고, 윈도우 차양(22)이 수납되어, 스테이(24)가 표면판부(32) 내로 이동하면, 스테이(24)는 제2 내판부(33B)의 내면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가동체(42)의 받침 돌기부(42a)를 압입한다. 이에 의해, 가동체(42)가 눌려 받침 자세인 채로 윈도우 차양(22)의 수납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주가이드 돌기부(43a)가 홈(34g)의 단부에 도달하면, 주가이드 돌기부(43a)를 일정 위치에 위치시킨 상태인 채로 받침 돌기부(42a)를 윈도우 차양(22)의 수납 방향측으로 더 이동시키도록 하여, 가동체(42)가 퇴피 자세로 자세 변경하도록 되어 있다.
연결부재(48)는 덮개(50)와 가동체(42)를 연결하는 부재이며, 여기에서는, 연결부재(48)는, 실(絲), 수지 와이어 혹은 금속 와이어 등의 선상(線狀) 부재이다. 연결부재로서는 그 이외에, 수지 필름 등의 필름 부재 등이어도 좋다. 연결부재(48)의 일단부는 덮개(50)의 기단측의 측 가장자리부에 연결되고, 연결부재(48)의 타단부는 가동체(42) 중 주가이드 돌기부(43a) 및 한 쌍의 부가이드 돌기부(43b)가 나란한 방향에서 주가이드 돌기부(43a)에 대응하는 부분에 연결되어있다. 연결부재(48)의 연결 구성은 끼워 넣기 구성, 나사 고정 구성, 연결 구성 등, 주지(周知) 구성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구성에 의해 실현된다. 이 연결부재(48)는 표면판부(32) 내측으로서 덮개(50)의 내측 공간을 통하여, 덮개(50)와 가동체(42)를 연결하고 있다. 연결부재(48)는, 덮개(50)가 닫힘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덮개(50)와 가능동체(42) 사이를 직선 형상으로 뻗고 있다(도 2 및 도 7 참조). 또한, 덮개(50)가 열림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는, 제1 내판부(33A)보다 인출용 슬릿(32h)측에 있는 코너(corner)부(33Ac)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구부려지도록 안내된다. 코너부(33Ac) 자체는 제1 내판부(33A)에 대하여 별도 설치된 부재이어도 좋고, 제1 내판부(33A)의 일부분이어도 좋다. 그리고, 가동체(42)가 윈도우 차양(22)의 수납 방향으로 이동하는 힘이 연결부재(48)와 코너부(33Ac)와의 슬라이딩 접촉 부분에서, 덮개(50)를 닫힘 방향으로의 힘으로서 변환되어 덮개(50)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해, 코일스프링(56)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덮개(50)가 닫혀지게 된다. 또한, 가동체(42)가 윈도우 차양(22)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와는 반대로, 덮개(50)를 닫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힘이 해제되어, 그 덮개(50)가 열림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된다. 이에 의해, 코일스프링(56)의 부세력에 의해 덮개(50)가 열리게 된다.
상기한 덮개(50)의 개폐 구성에는, 스테이(24)의 움직임과 덮개(50)의 움직임의 오차를 흡수하는 오차흡수기구가 조립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전달부재(40)에 조립된 다음의 구성에 의해 오차흡수기구가 실현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덮개(50)와 가동체(42)는 연결부재(48)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통상의 동작 상태에서는, 가동체(42)의 위치와 덮개(50)의 위치는 대략 1대 1로 대응한다. 그리고, 덮개(50)가 닫힘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이동하는 구간에 대응하는 가동체(42)의 이동 구간에서는, 그 가동체(42)는 가동체 안내부(34)의 한 쌍의 벽부(34a)에 대응하는 구간에 배치되어, 받침 자세로 유지된다. 이 때문에, 윈도우 차양(22)의 수납에 따라 스테이(24)가 수납 방향측으로 이동되면, 그 스테이(24)가 가동체(42)를 누르고, 스테이(24)의 이동에 대략 1대 1로 연동하여 가동체(42)가 수납 방향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코일스프링(56)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덮개(50)가 닫힘 위치에서 열림 위치로 이동된다.
덮개(50)가 열림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는, 가동체(42)는 홈(34g)의 수납 방향측 단부에 도달하여, 퇴피 자세로 자세 변경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윈도우 차양(22)의 새로운 수납에 따라 스테이(24)가 수납 방향측으로 이동하면, 스테이(24)가 가동체(42)의 받침 돌기부(42a)를 누른다. 이에 의해, 가동체(42)는 주가이드 돌기부(43a)를 홈(34g)의 수납 방향측 단부에 위치시킨 상태인 채로, 퇴피 자세로 자세 변경한다. 이 때, 가동체(42)에 대한 연결부재(48)의 연결 개소는 대략 일정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스테이(24)의 이동 및 가동체(42)의 자세 변경에 상관없이, 연결부재(48)의 견인력은 거의 작용하지 않고, 따라서, 덮개(50)를 상기 닫힘 위치보다 더 이동시키는 힘은 억제된다. 이와 같이, 덮개(50)가 열릴 때까지 스테이(24)가 가동체(42)를 누른 상태에서, 가동체(42)가 스테이(24)의 이동경로로부터 퇴피되도록 퇴피 자세로 자세 변경함으로써, 오차 흡수가 실현된다.
상기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20)에서는, 윈도우 차양(22)이 인출된 상태에서는, 코일스프링(56)의 부세력에 의해 덮개(50)가 열림 위치로 이동된 상태로 된다(도 3?도 5 참조). 가동체(42)는 연결부재(48)를 통하여 덮개(50)로 인장되도록 하여, 인출 방향측으로 이동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권취장치(60)의 권취력에 의해 윈도우 차양(22)이 수납되어, 스테이(24)가 인출용 슬릿(32h)을 통하여 표면판부(32) 내로 이동되면, 스테이(24)가 가동체(42)에 맞닿아 그 가동체(42)를 수납 방향으로 압입한다(도 6 참조). 이에 의해, 가동체(42)는 받침 자세를 유지한 채로, 수납 방향측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덮개(50)는 연결부재(48)를 통하여 가동체(42)에 의해 인장되어, 코일스프링(56)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열림 위치로부터 닫힘 위치로 향하여 이동된다.
그리고, 가동체(42)가 가동체 안내부(34)의 수납 방향측 단부에 도달한 상태로, 덮개(50)가 닫힘 위치에 도달한다(도 2 및 도 7). 이 후, 권취장치(60)의 이동힘에 의해 스테이(24)가 수납 방향측으로 더 이동되어도, 가동체(42)는 받침 자세로부터 퇴피 자세로 자세 변경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연결부재(48)를 인장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덮개(50)를 닫힘 위치에 유지하면서, 스테이(24)를 수납 방향측으로 더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수납 방향측에서의 스테이(24)의 정지 위치는 스테이(24)를 가이드 지지하는 가이드홈(32g)의 단부 위치에 의해 정해진다. 스테이(24)는, 덮개(50)가 닫힘 위치에 도달한 상태로 정지하도록 설정되어 있어도 좋다. 다만, 제조 오차, 조립 오차 등을 고려하여 덮개(50)를 보다 확실히 닫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덮개(50)가 닫힘 위치에 도달한 상태로부터 수납 방향측으로 더 이동된 상태로, 스테이(24)가 정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20)에 의하면, 권취장치(60)에 의해 권취 수납되는 윈도우 차양(22)에 장착된 스테이(24)의 움직임이 가동체(42) 및 연결부재(48)를 포함한 전달부재(40)를 통하여 덮개(50)를 닫힘 방향으로의 힘으로서 전달된다. 이 때문에, 윈도우 차양(22)의 권취에 연동하여 덮개(50)를 닫을 수 있다. 이 때, 전달부재(40)에, 스테이(24)의 움직임과 덮개(50)의 움직임의 오차를 흡수하는 오차흡수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덮개(50)를 닫힘 위치에 정지시킨 상태인 채로, 스테이(24)를 수납 방향측으로 더 이동시킬 수 있는 상기 오차흡수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테이(24)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덮개(50)가 보다 완전하게 닫혀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덮개(50)가 닫힘 위치로 이동한 상태로부터 오차 흡수를 행하면서 스테이(24)를 수납 방향측으로 더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두면, 제조 오차, 조립 오차에 상관없이, 덮개(50)를 보다 완전하게 닫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윈도우 차양(22)의 권취에 의해 이동하는 스테이(24)에 의해 눌려 가동체(42)가 윈도우 차양(22)의 수납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연결부재(48)를 통하여 덮개(50)가 닫힘 방향으로 부세된다. 반대로, 윈도우 차양(22)을 인출하면, 가동체(42)가 윈도우 차양(22)의 인출 방향으로 이동됨으로써, 덮개(50)가 열림 위치로 이동되는 것이 허용된다. 그러면, 코일스프링(56)의 부세력에 의해, 덮개(50)가 열림 위치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윈도우 차양(22)의 인출 및 수납에 연동하여 자동적으로 덮개(50)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덮개(50)가 열림 위치로 이동될 때까지 스테이(24)가 가동체(42)를 누른 상태에서, 가동체(42)가 받침 자세로부터 퇴피 자세로 자세 변경함으로써, 스테이(24)의 이동량과 덮개(50)의 이동량의 오차를 흡수하여, 덮개(50)가 보다 완전하게 닫아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닫힌 상태에서, 덮개(50) 및 가동체(42)에 여분의 부하가 작용하기 어렵다. 또한, 탄성 변형 등에 의한 오차 흡수를 행하지 않기 때문에, 피로 열화(劣化) 등도 생기기 어렵다.
또한, 덮개(50)가 슬라이드 이동하여 인출용 슬릿(32h)을 닫는 구성이기 때문에, 덮개(50)가 열린 상태에서 덮개(50)의 바깥쪽으로의 돌출 등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연결부재(48)를 통하여 덮개(50)를 인장하는 가동체(42)가 자세 변경함으로써, 오차를 흡수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오차흡수기구로서는 그 밖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오차흡수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가동체(42)를 자세 변경시키는 대신에, 연결부재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고무 혹은 코일스프링 등의 탄성 변형 가능한 구성으로 하여, 그 탄성 변형 부분에서 오차를 흡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오차흡수기구는 반드시 전달부재(40)에 설치될 필요는 없고, 스테이 혹은 덮개 등에 설치되어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 스테이 중 덮개를 닫도록 동작시키는 부분, 덮개 중 닫힘 방향으로의 힘을 받는 부분 등이 탄성 변형함으로써, 오차를 흡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덮개(50)는 슬라이드 이동됨으로써 인출용 슬릿(32h)를 개폐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다. 덮개가 소정의 축 둘레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인출용 슬릿을 개폐 가능하게 가리는 구성이어도 좋다. 이 경우, 덮개를 여는 방향에 비틀림 코일스프링 등의 부세부재를 설치하고, 연결부재의 인장에 의해 덮개가 닫혀지도록, 연결부재를 배치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형태에 있어서, 예시이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정(想定)될 수 있는 것이라고 해석된다.
10 : 사이드 윈도우
20 :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22 : 윈도우 차양
24 : 스테이
30 : 프레임
32 : 표면판부
32h : 인출용 슬릿
34 : 가동체 안내부
40 : 전달부재
42 : 가동체
43a : 주가이드 돌기부
43b : 부가이드 돌기부
48 : 연결부재
50 : 덮개
60 : 권취장치

Claims (4)

  1. 차량의 윈도우를 차폐 및 개방 가능하게 가리는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로서,
    상기 윈도우를 차폐 가능한 윈도우 차양과,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 방향측 단부에 장착된 스테이와,
    상기 윈도우 차양을 인출 수납 가능하게 권취하는 권취장치와,
    상기 권취장치를 내부에 배치함과 함께,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 수납 방향으로 틈새부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틈새부를 가림과 함께, 상기 스테이가 슬라이딩 가능한 인출용 슬릿을 갖는 프레임과,
    상기 인출용 슬릿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덮개와,
    상기 덮개를 여는 방향으로 부세(付勢)하는 부세부재와,
    상기 권취장치에 의해 권취되는 윈도우 차양에 장착된 스테이의 움직임을, 상기 덮개에 그것을 닫힘 방향으로의 힘으로서 전달하는 전달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덮개, 상기 스테이 및 상기 전달부재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스테이의 움직임과 상기 덮개의 움직임의 오차를 흡수하는 오차흡수기구가 조립되어 있는,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부재는,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 및 수납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윈도우 차양의 권취에 의해 상기 스테이에 의해 눌려 상기 윈도우 차양의 수납 방향측으로 이동하는 가동체와,
    상기 가동체가 상기 윈도우 차양의 수납 방향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덮개를 닫힘 방향으로 이동시킴과 함께, 상기 가동체가 상기 윈도우 차양의 인출 방향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덮개가 열림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허용하도록, 상기 덮개와 상기 가동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갖는,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차흡수기구는 상기 윈도우 차양의 권취에 의해 상기 덮개가 열리기까지 상기 스테이가 상기 가동체를 누른 상태에서, 상기 가동체가 상기 스테이의 이동경로로부터 퇴피되도록 자세 변경 가능하게 배치되는 구성인,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는 상기 프레임에 대하여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KR1020127018916A 2010-02-01 2011-01-28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KR1017570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19991A JP5431990B2 (ja) 2010-02-01 2010-02-01 車両用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JPJP-P-2010-019991 2010-02-01
PCT/JP2011/051695 WO2011093422A1 (ja) 2010-02-01 2011-01-28 車両用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05534A true KR20120105534A (ko) 2012-09-25
KR101757012B1 KR101757012B1 (ko) 2017-07-11

Family

ID=44319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8916A KR101757012B1 (ko) 2010-02-01 2011-01-28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20247694A1 (ko)
EP (1) EP2532545B1 (ko)
JP (1) JP5431990B2 (ko)
KR (1) KR101757012B1 (ko)
CN (1) CN102725159B (ko)
WO (1) WO20110934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17050B2 (ja) * 2011-09-01 2016-05-11 芦森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US20150224857A1 (en) * 2014-02-12 2015-08-13 Craig Calkins Rear window sunshade for vehicle and method of operating
TWM501967U (zh) * 2014-12-31 2015-06-01 Macauto Ind Co Ltd 電動式側窗遮陽簾之掀蓋裝置
CN107995897B (zh) * 2015-06-19 2021-01-26 博斯股份有限两合公司 用于机动车窗的遮蔽装置
JP6629049B2 (ja) * 2015-11-18 2020-01-15 芦森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シェード装置
JP6593650B2 (ja) * 2016-04-12 2019-10-2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DE102017101017B4 (de) * 2017-01-19 2019-01-03 Lisa Dräxlmaier GmbH Sonnenschutzrollo mit seil für eine fahrzeugscheib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41241A (en) * 1993-05-26 1994-08-23 Draper Shade & Screen Co., Inc. Trap door for projection screen case
CN2183437Y (zh) * 1994-02-04 1994-11-23 宋建华 多功能卷帘式纱窗
DE19835257C2 (de) * 1998-08-04 2002-06-13 Baumeister & Ostler Gmbh Co Fensterrollo mit versenkbaren Führungselementen
JP2000135249A (ja) * 1998-10-30 2000-05-16 Sanyuu:Kk 介護用椅子の制動方法
DE10057762A1 (de) * 2000-11-22 2002-06-06 Bos Gmbh Fensterrollo mit Ausgleich gegen Verzug
DE10062682B4 (de) * 2000-12-15 2008-07-03 Audi Ag Blend-und Sichtschutzeinrichtung
DE10248591B4 (de) * 2002-10-17 2006-04-20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mit Deckel auf dem Auszugschlitz
JP4300849B2 (ja) * 2003-04-10 2009-07-22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DE202004020095U1 (de) * 2004-12-22 2006-04-27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Coburg Fensterrollo für ein Fahrzeugfenster
DE202007012982U1 (de) * 2007-09-11 2009-02-05 Brose Fahrzeugteile Gmbh & Co. Kg, Hallstadt Fensterrollo für ein Fahrzeugfenster
JP5340891B2 (ja) * 2009-11-18 2013-11-13 芦森工業株式会社 シェード装置
JP5662091B2 (ja) * 2010-09-22 2015-01-28 芦森工業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US8215697B1 (en) * 2011-01-28 2012-07-10 Macauto Industrial Co., Ltd. Sunshading apparatus mountable on a rear window of a vehicle
JP5917050B2 (ja) * 2011-09-01 2016-05-11 芦森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DE102012200259A1 (de) * 2012-01-10 2013-07-11 Bos Gmbh & Co. Kg Rollo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156960A (ja) 2011-08-18
EP2532545A1 (en) 2012-12-12
US20120247694A1 (en) 2012-10-04
EP2532545A4 (en) 2012-12-12
CN102725159A (zh) 2012-10-10
CN102725159B (zh) 2014-11-26
WO2011093422A1 (ja) 2011-08-04
KR101757012B1 (ko) 2017-07-11
EP2532545B1 (en) 2014-04-02
JP5431990B2 (ja) 2014-03-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105534A (ko)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US20230407696A1 (en) Slider window assembly with movable panel drive system
JP5646934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KR101690822B1 (ko)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WO2013031590A1 (ja) 車両用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KR20120027227A (ko) 차양장치
US8579011B2 (en) Sunshade device
KR20130081203A (ko) 차양장치
JP2011046340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WO2013133066A1 (ja) シェード装置
JP5310405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WO2011122154A1 (ja) シェード装置
JP5146773B2 (ja) 自動車用サンシェード装置
CN110733317B (zh) 卷帘组件
CN117227419A (zh) 用于车辆的车顶组件以及用于在其中使用的卷帘组件
JP5662091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5051096B2 (ja) 車両用サンシェード装置
JP6688143B2 (ja) シート装置
WO2013133065A1 (ja) シェード装置
JP2009061900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2013163411A (ja) 車両用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JP2006069450A (ja) サンシェー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