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1203A - 차양장치 - Google Patents

차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1203A
KR20130081203A KR1020127024865A KR20127024865A KR20130081203A KR 20130081203 A KR20130081203 A KR 20130081203A KR 1020127024865 A KR1020127024865 A KR 1020127024865A KR 20127024865 A KR20127024865 A KR 20127024865A KR 20130081203 A KR20130081203 A KR 201300812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nshade
cover body
slit
guide
wind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248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오치카 카타다
Original Assignee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아시모리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81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12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60J1/2011Blinds; curtains or screens reducing heat or light intensity
    • B60J1/2013Roller blinds
    • B60J1/2036Roller blind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elements
    • B60J1/2055Pivoting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20Accessories, e.g. wind deflectors, bli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0Spring drums operated only by closure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9/70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comprising an electric motor positioned outside the rol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차양장치는, 윈도우 주변부재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윈도우를 차폐 가능한 장치이다. 본 차양장치는,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권취샤프트를 갖는 권취장치와, 대향하는 짧은 변 단부와 긴 변 단부를 갖고, 긴 변 단부가 권취샤프트에 장착되어, 권취장치에 대해 슬릿을 통하여 인출수납 가능한 차양과, 차양의 짧은 변 단부에 장착된 스테이와, 슬릿을 부분적으로 막는 폐쇄위치와, 슬릿을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커버체와, 권취샤프트의 회동에 연동하여 커버체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차양의 수납상태에서, 스테이와 커버체에 의해 슬릿을 막도록 커버체를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는 연동기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차양장치{SHADE DEVICE}
차양에 의해 윈도우를 차폐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차양장치는, 윈도우 주변부재(예를 들면 자동차에서는 내장재)의 내부에 수용되는 경우가 있고, 이 경우, 해당 주변부재에 슬릿이 형성되어 이 슬릿을 통해 차양을 인출하도록 배설(配設)된다.
특허문헌 1에는,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에 대해, 상기 형태로 적용되는 창 롤 블라인드(window roll-up blind)가 개시되어 있다. 즉, 특허문헌 1의 창 롤 블라인드는, 롤 블라인드 시트의 일단연(一端緣)이 고정된 권취축이 리어 쉘프(rear shelf)의 하방에 설치되어, 리어 쉘프에 형성된 인출 슬롯을 통해 롤 블라인드 시트가 인출됨으로써, 리어 윈도우를 차폐한다. 여기서는, 롤 블라인드 시트의 타단연(他端緣)이 고정된 인장봉이 한 쌍의 레버에 의해 조작됨으로써, 롤 블라인드 시트가 인출수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1-301458호 공보
그런데 특허문헌 1의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대향(對向)하는 변(邊)의 길이가 다른 형태인 사다리꼴 등의 형상으로 된 윈도우(자동차 리어 윈도우 등)에 대해, 차양장치(창 롤 블라인드)를 적용하는 경우, 차양(롤 블라인드 시트) 자체도 윈도우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짧은 변 단부(短邊端部)와 긴 변 단부(長邊端部)를 갖는 차양이 이용되는 경우에, 그 짧은 변 단부에 차양 인출용 스테이가 장착되는 경우가 있다.
특허문헌 1과 같이, 차양장치가 슬릿(인출 슬롯)을 통해 차양을 인출수납하는 형태로 설치되는 경우, 슬릿을 차양의 긴 변 단부보다 크게 형성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차양의 짧은 변 단부에 장착되는 스테이의 길이 치수보다, 슬릿의 길이 치수가 큰 대소(大小)관계가 된다. 이 때문에, 차양의 수납상태에서, 스테이보다 긴 길이분만큼 슬릿이 개방된 상태인 채로 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발명은, 차양 수납상태에서 슬릿을 전체적으로 막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는, 윈도우 주변부재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윈도우를 차폐 가능한 차양장치에 있어서, 축 둘레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된 권취샤프트를 갖는 권취장치와, 대향(對向)하는 짧은 변 단부와 긴 변 단부를 갖고, 상기 긴 변 단부가 상기 권취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권취장치에 대해 상기 슬릿을 통하여 인출수납 가능한 차양과, 상기 차양의 상기 짧은 변 단부에 장착된 스테이와, 상기 슬릿을 부분적으로 막는 폐쇄위치와, 상기 슬릿을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커버체와, 상기 권취샤프트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커버체를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차양의 수납상태에서, 상기 스테이와 상기 커버체에 의해 상기 슬릿을 막도록 상기 커버체를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는 연동기구(連動機構)를 구비한다.
제2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는, 제1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커버체를, 상기 권취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3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는, 제1 또는 제2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안내홈(案內凹部)이 형성되며, 축 둘레로 회전가능한 안내체와, 상기 권취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안내체의 축 둘레의 회전력으로서 전달하는 전달수단을 갖고, 상기 커버체는, 상기 안내체의 상기 안내홈 내에 배설 가능한 돌출부(凸部)를 갖고, 상기 안내홈은, 상기 커버체의 상기 돌출부가 내측으로 배설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돌출부를 상기 안내체의 축방향으로 안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4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는, 제3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권취샤프트에 대해 동축(同軸)상에 상대회전(相對回轉) 불능으로 연결된 권취샤프트측 기어와, 상기 권취샤프트측 기어에 맞물려 회전 가능한 중간기어와, 상기 안내체에 대해 동축상에 상대회전 불능으로 연결되며, 상기 중간기어에 맞물려 회전 가능한 연동기어를 갖고 있다.
제5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는, 제3 또는 제4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안내체는, 스크류기어이다.
제6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는, 제1∼제5 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는, 상기 커버체를, 상기 권취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커버체 안내부를 갖고 있다.
제7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는, 제1∼제6 형태 중 어느 한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는, 상기 차양의 수납상태에서 상기 커버체에 대해 상기 차양의 인출수납방향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길이방향 측방(側方)으로 뻗어나오는(延出) 보조커버부를 갖고 있다.
제1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슬릿을 부분적으로 막는 폐쇄위치와, 슬릿을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커버체가, 연동기구에 의해 권취샤프트의 회동에 연동하여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된다. 그리고 연동기구는, 차양의 수납상태에서, 스테이와 커버체에 의해 슬릿을 막는 형태로 커버체를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차양의 수납상태에서 슬릿을 전체적으로 막을 수 있다.
제2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연동기구에 의해 커버체를 권취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권취샤프트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서 스페이스의 확보가 곤란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제3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권취샤프트의 축 둘레의 회전력이 전달수단에 의해 전달되어 안내체가 축 둘레로 회전되면, 안내체의 안내홈 내를 돌출부가 이동하여 커버체가 안내체에 대해 축방향으로 상대이동(相對移動)된다. 이 때문에, 차양의 형상, 인출 치수 등에 따라 안내홈의 경로를 설정함으로써, 차양의 인출수납 동작에 따르는 권취샤프트의 회동에 연동하여, 커버체에 대해 소망하는 개폐 이동을 시킬 수 있다.
제4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권취샤프트와 일체로 회전하는 권취샤프트측 기어와 안내체와 일체로 회전하는 연동기어가, 중간기어를 통해 회동되기 때문에, 커버체의 이동량 등의 설계변경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제5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안내체가 스크류기어이기 때문에, 커버체를, 권취샤프트의 회전량에 대해 이동량을 일정하게 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제6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권취장치에 커버체 안내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커버체의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제7 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에 의하면, 스테이에 보조커버부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스테이와 커버체에 의해, 더 확실히 슬릿 전체를 막을 수 있다.
도 1은 차양 인출상태에서의 차양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차양 수납상태에서의 차양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차양 인출상태에서의 슬릿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서의 슬릿과 커버체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5는 차양 수납상태에서의 슬릿 모양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서의 슬릿과 커버체의 관계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7은 차양 수납상태에서의 연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차양 인출상태에서의 연동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안내체의 안내홈과 커버체의 돌출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차양 인출상태에서의 변형예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1은 차양 수납상태에서의 변형예에 관계되는 차양장치의 개략도이다.
이하, 실시형태에 관계되는 차양장치(10)에 대해 설명한다(도 1, 도 2 참조).
본 차양장치(10)는, 윈도우(1)를 차폐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 차양장치(10)는, 슬릿(4)이 형성된 윈도우 주변부재(3)의 내측에 배설되어, 슬릿(4)을 통해 차양(20)을 인출수납하도록 되어 있다(도 3 참조). 그리고 차양장치(10)는, 차양(20)의 수납상태에서, 슬릿(4)을 전체적으로 막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5 참조).
설명 편의상, 차양장치(10)를 적용하는 윈도우(1)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차양장치(10)가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인 윈도우(1)에 적용되는 예로 설명한다. 이 윈도우(1)는, 대향하는 짧은 변과 긴 변을 갖는 대략 등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차양장치(10)는, 윈도우(1)의 긴 변측(자동차 바닥측)에 위치하는 윈도우 주변부재(3)로서의 리어 패키지 트레이(해치백(hatch back)식인 경우에는 트림(trim) 등의 내장재)의 내측에 배설된다. 이 윈도우 주변부재(3)에는, 차실(車室) 안으로 개구하는 차양(20) 인출용 슬릿(4)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4)은, 차체의 폭방향을 따라 대략 직선 형상으로 뻗는 폭 좁은 관통구멍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하, 설명 편의상, 슬릿(4)에 대해, 차체의 폭방향을 슬릿(4)의 길이방향이라 하고, 해당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짧은 치수의 방향)을 폭방향이라 한다. 더 구체적으로는, 슬릿(4)은, 길이방향에 있어서, 윈도우(1)의 긴 변과 대략 같은 치수(후술하는 차양(20)과의 관계에서는 그 긴 변 단부(24)보다 큰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또한, 슬릿(4)의 폭 치수는, 후술하는 스테이(40)를 내측으로 배설 가능한 정도의 치수로 설정되어 있다.
물론, 차양장치(10)는, 상기와 같은 자동차의 리어 윈도우로 한정되지 않고, 자동차의 사이드 윈도우 등, 그 외 윈도우에 대해서도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이들 윈도우에 적용되는 경우에는, 차양장치(10)는 윈도우 주변부재로서의 트림, 그 외 내장재 등의 내측으로 배설되며, 각부(各部)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본 차양장치(10)는, 차양(20)과, 권취장치(30)와, 스테이(40)와, 커버체(50)와, 연동기구(60)를 구비하고 있다.
차양(20)은, 메쉬 형상 등의 포재(布材), 수지(樹脂) 시트 등을 재단, 봉제 등 하여, 윈도우(1)를 차폐 가능한 크기 및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차양(20)은, 대향하는 짧은 변 단부(22)와 긴 변 단부(24)를 갖는 형상(여기서는, 대략 등변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차양(20)의 짧은 변 단부(22)와 긴 변 단부(24)를 잇는 양 측방의 단부를 측단부(側端部)(26)라 한다(도 1, 도 2 참조).
물론, 차양(20)은, 짧은 변 단부(22)와 긴 변 단부(24)를 갖고, 윈도우(1)를 차폐 가능하다면, 등변 사다리꼴 이외의 사다리꼴 형상, 또는, 측단부가 곡선 등과 같은 형상 등이어도 좋다.
상기 차양(20)은 권취장치(30)에 대해 인출수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권취장치(30)는, 베이스(32)와, 회동지지부(33)와, 권취샤프트(34) 등을 갖고 있다.
베이스(32)는 금속판을 절단, 굴곡 등 하여 형성된 부재, 혹은, 금속을 압출성형하여 형성된 부재이다.
권취샤프트(34)는, 길이가 긴 원통 형상 부재이며, 베이스(32)에 대해 회동지지부(33)에 의해 축 둘레로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권취샤프트(34)의 외주면에는, 그 축방향을 따라 차양(20)의 긴 변 단부(24)가 장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권취샤프트(34)가 회동되면, 차양(20)이 권취샤프트(34)에 대해 권취된다.
또한, 권취샤프트(34)는, 도시생략된 부세부재(코일스프링 등)에 의해, 회동지지부(33)에 대해 차양(20)을 권취하는 방향(권취방향(R))으로 회동부세(回動付勢)되어 있다.
이 권취장치(30)는, 윈도우(1)의 긴 변측에 위치하는 윈도우 주변부재(3)의 내측에 배설된다. 그리고 이 권취장치(30)의 위치는, 권취샤프트(34)에 권취되는 차양(20)을 슬릿(4)을 통해 차실 내측으로 인출 가능한 위치에 배설되어 있다. 권취장치(30)는, 베이스(32)가 나사고정 등에 의해 차체, 도어의 패널 등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위치에 지지된다.
차양(20)의 짧은 변 단부(22)에는, 차양(20) 인출용 스테이(40)가 장착되어 있다(도 1, 도 2 참조). 스테이(40)는, 차양(20)의 짧은 변 단부(22) 전체 길이에 이르는 길이가 긴 봉 형상의 부재이다. 여기서는, 스테이(40)는, 차양(20)의 짧은 변 단부(22)와 대략 같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이 스테이(40)를 인출 조작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차양(20)은 권취장치(30)의 권취력에 의해 권취샤프트(34)에 감아 붙여진 수납상태로 유지된다(도 2, 도 5 참조). 이 상태에서, 스테이(40)는, 슬릿(4) 내(슬릿(4)의 개구연부(開口緣部)로 둘러싸인 위치)에 배설되어, 슬릿(4)을 길이방향에서 부분적으로(여기서는 중앙부분을) 막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스테이(40)가 슬릿(4)을 막은 상태란, 슬릿(4)을 그 폭방향에서 완전히 덮은 상태로 한정하지 않고, 윈도우 주변부재(3)의 내부 구조(권취장치(30)도 포함한다)가 외부로부터 숨을 정도로 막혀 있으면 좋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이(40)와 슬릿(4)의 크기 관계는, 스테이(40)가 슬릿(4) 내에 배설된 상태에서, 슬릿(4)의 개구연부가 위치하는 평면상에서, 슬릿(4)의 폭 치수보다 스테이(40)가 약간 폭이 좁으면 좋다.
그리고 스테이(40)는, 슬릿(4) 내에 배설된 위치에서 권취장치(30)의 일부에 고정되어, 차양(20)이 그 이상 권취되지 않도록 권취규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예를 들면, 권취장치(30)에는, 스테이(40) 고정용 스토퍼(도시생략)가 마련되어 있어도 좋다. 물론, 스테이(40)는 윈도우 주변부재(3)의 일부에 고정함으로써 차양(20)의 권취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스테이(40)를 권취장치(30)의 권취력에 반해 권취샤프트(34)의 축방향에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 조작함으로써, 슬릿(4)을 통해 차양(20)을 인출할 수 있다. 여기서, 차양(20)은, 윈도우(1)를 따라 인출된다. 그리고 차양(20)이 인출수납되는 방향을 인출수납방향(P)이라 한다. 또한, 윈도우(1) 전체를 차폐할 때까지 차양(20)을 인출한 상태를, 차양(20)의 인출상태라 한다(도 1, 도 3 참조).
상기와 같이, 짧은 변 단부(22)와 긴 변 단부(24)를 갖는 차양(20)을 이용한 차양장치(10)에서는, 긴 변 단부(24)(차양(20) 인출상태에서 슬릿(4) 내에 위치하는 부분)를 통과 가능한 형태로, 슬릿(4)은 긴 변 단부(24)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스테이(40)는, 차양(20)의 긴 변 단부(24)보다 작은 짧은 변 단부(22)에 대응해서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양(20) 수납상태에서, 슬릿(4) 내에 배설되는 스테이(40)의 길이방향 측방(여기서는 양 측방) 위치에, 스테이(40)에 의해 막히지 않은 개소(箇所)가 생긴다. 이에 의해, 슬릿(4)은, 차양(20) 수납상태에서도, 스테이(40)보다 긴 길이분만큼 부분적으로 개방된 상태인 채로 되어 버린다.
그래서 본 차양장치(10)에서는, 차양(20) 수납상태에서, 슬릿(4) 전체를 막을 수 있는 구성을 채용하고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본 과제는 짧은 변 단부(22)와 긴 변 단부(24)를 갖는 차양(20)의 형상에 기인하는 것이며, 윈도우(1)의 형상에 직접 관계가 있는 것은 아니다. 즉, 통상, 차양(20)은, 윈도우(1) 형상에 대응한 형상으로(사다리꼴이면 사다리꼴이라는 형태로) 형성되지만, 짧은 변과 긴 변을 갖지 않는 형태인 윈도우여도, 짧은 변 단부(22)와 긴 변 단부(24)를 갖는 차양(20)이 이용되어도 좋다. 즉, 본 차양장치(10)는, 상술한 짧은 변과 긴 변을 갖는 형상 이외의 형상으로 된 윈도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이하, 차양(20) 수납상태에서 슬릿(4)을 전체적으로 막는 구성에 대해 설명을 한다.
커버체(50)는, 슬릿(4)을 부분적으로 막는 폐쇄위치와, 슬릿(4)을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도 7, 도 8 참조). 더 구체적으로는, 커버체(50)의 폐쇄위치란 슬릿(4) 중 차양(20) 수납상태에서의 스테이(40)의 길이방향 측방을 막는 위치이고, 개방위치란 인출상태의 차양(20)의 측단부(26)에 간섭하지 않는 정도로 폐쇄위치로부터 퇴피한 위치이다. 즉, 커버체(50)의 개방위치는, 슬릿(4)을 전혀 차단하지 않은 상태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는, 차양(20) 수납상태에서, 스테이(40)와 커버체(50)에 의해, 슬릿(4)을 막도록 되어 있다(도 5 참조). 즉, 차양(20) 수납상태에서, 스테이(40)가 슬릿(4)의 중앙부분을 막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슬릿(4) 중 스테이(40) 양 측방의 개방 개소를 각각 막도록, 2개의 커버체(50)가 마련되어 있다.
물론, 커버체(50)는, 차양(20) 수납상태에서 슬릿(4) 중 스테이(40)의 길이방향 측방으로 개방되어 있는 부분을 덮을 수 있다면 좋다. 즉, 차양(20) 수납상태에서, 스테이(40)가 슬릿(4)의 길이방향 한쪽측에 근접하여 배설되는 경우(예를 들면, 하나의 각(角)이 직각을 이루는 사다리꼴로 형성된 차양의 경우), 스테이(40)의 길이방향 다른쪽측에만 마련되어도 좋다. 또, 후술하는 연동기구(60)의 수도 커버체(50)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
이 커버체(50)는, 수지재(樹脂材) 등에 의해 본체부(52)와 피안내부(被案內部)(56)가 일체로 형성된 부재이다.
본체부(52)는, 차양(20) 수납상태에서, 슬릿(4) 내에 배설되는 스테이(40)의 길이방향 측방으로 개방된 개소를 막는 것이 가능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체부(52)는, 슬릿(4)의 폭 치수와 같거나 그보다 큰(여기서는 크다) 폭 치수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부(52)는, 슬릿(4)을 막은 상태에서, 윈도우 주변부재(3)의 차내측(車內側) 부분을 따르도록 한 표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피안내부(56)는, 본체부(52)가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도록, 아래와 같은 연동기구(60)에 대해 연결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연동기구(60)는, 권취샤프트(34)의 회동에 연동하여 커버체(50)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연동기구(60)는 차양(20)의 인출수납 조작에 따라, 커버체(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연동기구(60)는, 차양(20) 수납상태에서, 스테이(40)와 커버체(50)에 의해 슬릿(4)을 막는 형태로 커버체(50)를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연동기구(60)는, 커버체(50)를, 권취샤프트(34)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한, 여기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2개의 커버체(50)가 마련되기 때문에, 각 커버체(50)를 각각 동작시키는 2개의 연동기구(6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아래의 설명에서는, 한쪽측의 커버체(50) 및 연동기구(60)에 주목하여 설명한다(도 4, 도 6∼도 9 참조). 또, 다른쪽측의 구성도 마찬가지이다.
연동기구(60)는, 안내체(62)와, 전달수단을 갖고 있다.
안내체(62)는, 외주부(外周部)에 나선 형상의 안내홈(63)이 형성되며,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된 봉 형상 부재이다(도 7, 도 8 참조). 여기서는, 안내체(62)는, 치홈(tooth groove)을 안내홈(案內凹部)(63)으로 하는 스크류기어이다.
이에 대해, 커버체(50)의 피안내부(56)는, 안내체(62)의 안내홈(63) 내를 이동 가능한 돌출부(凸部)(57)를 갖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피안내부(56)는, 본체부(52)의 이면(裏面)에 있어서, 커버체(50)의 이동방향 일단부로부터 돌출하는 형태로 형성되며, 해당 이동방향으로 관통하는 구멍부를 갖고 있다. 이 구멍부는, 안내체(62)를 삽입통과 가능하게(안내체(62)의 외경보다 약간 대경(大徑)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돌출부(57)는, 구멍부의 내주부(內周部)로부터 그 반경방향 내측을 향해 돌출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피안내부(56)는, 스크류기어인 안내체(62)에 대응하여, 구멍부에 암나사가 형성된 형태이며, 해당 암나사의 산부(山部)가 돌출부(57)이다(도 9 참조).
물론, 상기 피안내부(56)의 돌출부(57)는, 암나사의 산부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구멍부의 일 개소로부터 원주(圓柱) 형상, 반구(半球) 형상으로 돌출하는 돌출부여도 좋다. 즉, 돌출부(57)는, 안내체(62)의 안내홈(63) 내에 배설 가능하며, 이와 같은 배설 상태에서 안내홈(63)을 따라 (안내되어) 그 내부를 이동 가능하다면 좋다.
그리고 피안내부(56)에 안내체(62)를 삽입통과시킨 상태에서, 피안내부(56)의 돌출부(57)가 안내체(62)의 안내홈(63) 내에 배설된다. 피안내부(56)에 대해 안내체(62)가 상대회전(相對回轉)되면, 돌출부(57)가 안내홈(63) 내를 이동하여, 커버체(50)는 안내체(62)의 축방향으로 상대이동된다.
안내체(62) 중 안내홈(63)이 형성되는 부분의 축방향 치수는, 커버체(50)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안내할 수 있는 정도로 크게 설정된다. 즉, 해당 치수는, 커버체(50)의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의 이동거리와, 커버체(50)의 이동방향에 있어서의 피안내부(56)의 치수를 다 더한 치수에 대해, 같거나 그보다 길게(여기서는 길게) 설정되면 좋다.
또한, 안내체(62)는, 스크류기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안내홈으로서 나선 형상의 캠홈(helical cam groove)이 형성된 봉 형상 부재라도 좋다. 즉, 각부(各部)에서 다른 비틀림 각으로 설정된 나선 형상의 캠홈(안내홈)이 형성된 형태도 채용할 수 있어, 차양(20)의 측단부가 곡선 형상 등인 경우에도, 해당 측단부를 따라 커버체(5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피안내부(56)의 돌출부 형상으로서는, 상술한 원주 형상, 반구 형상 등의 형상을 채용하면 좋다.
또, 상기 안내체(62)의 안내홈(63)의 경로 설정에 대해서는, 차양(20)의 인출수납과 커버체(50)의 개폐 이동과의 연동 동작에 관한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
전달수단은, 권취샤프트(34)의 축 둘레 회전력을, 안내체(62)의 축 둘레 회전력으로서 전달하는 것을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 전달수단은, 권취샤프트측 기어(36)와, 연동기어(64)와, 중간기어(66)를 갖고 있다.
권취샤프트측 기어(36)는, 권취샤프트(34)에 대해 동축(同軸)상에 상대회전 불능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는, 권취샤프트측 기어(36)는, 권취샤프트(34) 단부에 일체로 구성되어, 권취샤프트(34)와 함께 회동지지부(33)에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연동기어(64)는, 안내체(62)에 대해 동축상에 상대회전 불능으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는, 안내체(62) 및 연동기어(64)는,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안내체(62) 및 연동기어(64)와 중간기어(66)는, 권취장치(30)를 구성하는 지지체(38) 상에 입설(立設)된 기어 홀더(6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기어 홀더(68)는, 안내체(62) 및 연동기어(64)와 중간기어(66)를, 연동기어(64)와 중간기어(66)가 맞물리는 형태로 지지하고 있다. 또, 도 7 및 도 8에서는, 기어 홀더(68) 중 중간기어(66)를 지지하는 부분을 2점 쇄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또한, 여기서는, 중간기어(66)는, 차양장치(10)가 적용되는 윈도우(1)에 대응하여 치수(齒數)가 다른 것으로 교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으면 좋다. 예를 들면, 중간기어(66)는, 지지되는 기어 홀더(68)의 일부와 함께 일체로서 교환 가능한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서 2점 쇄선으로 나타낸 부분을, 기어 홀더(68) 중 다른 부분에 끼워맞춤, 나사고정 등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하면 좋다.
이 지지체(38)는, 베이스(32)에 대해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지지체(38)는, 중간기어(66)가 권취샤프트측 기어(36)에 맞물리도록 한 위치에서, 베이스(32)에 대해 장착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지지체(38)는, 상기와 같이 중간기어(66)를 교환한 경우에도 중간기어(66)가 권취샤프트측 기어(36)에 맞물리는 형태로 장착 가능하다면 좋다. 예를 들면, 지지체(38)는, 베이스(32)에 대해, 끼워맞춤, 나사고정 등에 의해 고정 가능한 구성에 의해 탈부착 가능하게 되어 있으면 좋다.
또한, 안내체(62)는 권취샤프트(34)가 권취방향(R)으로 회동되면 커버체(50)를 폐쇄위치측을 향해 이동시킴과 아울러, 권취샤프트(34)가 권취방향(R)과 역방향으로 회동되면 커버체(50)를 개방위치측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한 자세로, 기어 홀더(68)에 지지되어 있다. 즉, 해당 자세는, 안내홈(63)의 경로가, 권취샤프트(34)의 길이방향 외측을 향해, 권취방향(R)으로 선회하는 나선 형상이 되는 자세이다.
또한, 커버체(50)는, 지지체(38)가 베이스(32)에 장착된 상태에서, 피안내부(56)가 형성되어 있는 측의 단부가, 권취샤프트(34)의 길이방향 중심측에 위치하는 자세로 안내체(62)에 연결되어 있으면 좋다(도 7, 도 8 참조). 이에 의해, 안내체(62)를 권취샤프트(34)의 길이방향 중심측에 배설할 수 있기 때문에, 연동기구(60) 전체로서도 해당 중심측에 배설할 수 있어, 차양장치(10)의 길이방향 치수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연동기구(60)는, 차양(20) 수납상태에서 커버체(50)가 폐쇄위치에 위치하고, 차양(20) 인출상태에서 커버체(50)가 개방위치에 위치하는 형태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연동기구(60)는, 차양(20)의 인출수납 동작에 따라,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커버체(50)를 서서히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동기구(60)는, 커버체(50)를, 인출수납되는 차양(20)의 측단부(26)를 따라(바꿔 말하면, 커버체(50)의 측방(側方)을 통과하는 차양(20)의 측단부(26)에 대해 간격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여) 이동시키도록 설정하면 좋다.
상기 차양(20)의 인출수납과 커버체(50)의 개폐 이동의 연동 동작은, 안내체(62)의 안내홈(63)의 경로, 및, 권취샤프트측 기어(36)와 중간기어(66)와 연동기어(64)에 의해 결정되는 권취샤프트(34)와 안내체(62)의 감속비에 의해 설정할 수 있다.
즉, 차양(20)의 인출수납(권취샤프트(34)의 회동)에 따르는 커버체(50)의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의 이동 형태(전체 이동량에 대한 각(各) 위치에서의 이동량의 비율)가, 안내홈(63) 경로의 비틀림 각에 의해 결정된다. 이 안내홈(63)의 경로는, 차양(20)의 측단부(26) 형상(바꿔 말하면, 측단부(26) 각 위치의 짧은 변 단부(22), 긴 변 단부(24)에 대한 경사각)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또한, 차양(20)의 최대 인출량에 기초하여, 권취샤프트(34)와 안내체(62)의 감속비가 결정된다. 여기서는, 중간기어(66)를 치수(齒數)가 다른 것으로 교환함으로써 감속비를 변경하면 좋다. 물론, 권취샤프트측 기어(36), 연동기어(66)를 교환함으로써 감속비를 변경해도 좋다.
연동기구(60)의 구성은, 상기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전달수단이, 중간기어(66)를 통하지 않고 권취샤프트측 기어(36)와 연동기어(64)가 직접 맞물려 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안내체(62)는, 안내홈(63)의 경로가 상기와 역방향의 나선 형상이 되는 자세로, 기어 홀더(68)에 지지되면 좋다.
또한, 전달수단은, 권취샤프트(34)와 안내체(62)를, 차양장치(10)가 적용되는 윈도우(1)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되는 감속비로 연동시킬 수 있으면 좋고, 그 밖에도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달수단은, 권취샤프트(34)에 연결된 풀리와 안내체(62)에 연결된 풀리를 벨트를 통해 연동시키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지지체(38)에는, 커버체(50)를 이동방향으로 안내하는 커버체 안내부(39)가 형성되어 있다(도 7, 도 8 참조). 여기서는, 커버체 안내부(39)는, 피안내부(56)에 안내체(62)가 삽입통과된 상태에서, 평판 형상의 본체부(52)의 이동방향을 따른 한쪽 단변부(端邊部)를 배설 가능한 홈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커버체 안내부(39)는, 안내체(62)의 축 둘레에서의 커버체(50)의 회전을 규제 가능한 형태로, 상기 한쪽 단변부의 두께방향 양측에 접촉 가능(한쪽 단변부 두께 치수보다 약간 폭 넓은)하게 형성되어 있다.
물론, 커버체(50)를 안내하는 구성은, 상기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지지체(38)에 돌출형 커버체 안내부가 형성됨과 아울러, 해당 돌출형 커버체 안내부를 내측에 배설 가능한 홈부를 본체부(52)에 형성해도 좋다.
또한, 상기 설명한 지지체(38)와, 기어 홀더(68)와, 안내체(62) 및 연동기어(64)와 중간기어(66)와, 커버체(50)는, 베이스(32)에 대해 탈부착 가능한 일체형 부품으로 취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상기 스테이(40)는, 차양(20) 수납상태에서 커버체(50)에 대해 차양(20)의 인출수납방향(P)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길이방향 측방으로 뻗어나오는 보조커버부(48)를 갖고 있다(도 6, 도 7에서 2점 쇄선으로 표시). 더 구체적으로는, 스테이(40)는 양단에 단부부재(42)를 갖고, 보조커버부(48)가 각(各) 단부부재(42)로부터 길이방향 외측으로 뻗어나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커버체(50)는, 차양(20)의 측단부(26)에 대해 간섭하지 않는 형태로 마련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스테이(40)에 대해서도 차양(20)의 인출수납 조작시에 간섭하지 않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양(20) 수납상태에서는, 스테이(40)의 단부부재(42)와 커버체(50) 사이에는 약간 간격이 생긴다. 즉, 보조커버부(48)는, 차양(20) 수납상태에서, 슬릿(4)의 단부부재(42)와 커버체(50) 사이를 막기 위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는, 보조커버부(48)는, 차양(20) 수납상태에서, 폐쇄위치에 있는 커버체(50)의 내측단부에 대해, 차양(20)의 인출수납방향(P)으로 중첩되는 정도로 단부부재(42)로부터 뻗어나와 있다. 이에 의해, 차양(20)의 수납상태에서, 차실 내측으로부터 본 슬릿(4)은, 스테이(40)와 커버체(50) 사이에서 간격 없이 막힌 상태가 된다. 이 보조커버부(48)는, 차양(20) 수납상태에서, 윈도우 주변부재(3)의 차내측 부분을 따른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좋다.
이하, 차양(20)의 인출수납 동작에 따르는 커버체(50)의 이동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차양(20)을 인출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초기 상태로서, 차양(20)이 수납상태로 있는 것으로 한다(도 2, 도 5∼도 7 참조). 즉, 슬릿(4)은, 스테이(40) 및 폐쇄위치에 위치하는 각 커버체(50)에 의해 막힌 상태로 되어 있다.
먼저, 슬릿(4) 내에 위치하는 스테이(40)를 윈도우(1)를 따라 인출수납방향(P) 인출측으로 이동시킨다.
스테이(40)가 이동되어 차양(20)이 인출되기 시작하면, 차양(20)이 감겨 있는 권취샤프트(34)와 함께 권취샤프트측 기어(36)가 권취방향(R)과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권취샤프트측 기어(36)의 회전에 따라, 중간기어(66)를 통해 연동기어(64)와 함께 안내체(62)가 권취방향(R)과 역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폐쇄위치에 있던 커버체(50)는, 안내체(62)의 회전에 의해, 서서히 개방위치측(권취샤프트(34)의 길이방향 외측)을 향해 이동되어 간다. 더 구체적으로는, 커버체(50)가 커버체 안내부(39)에 의해 안내체(62)의 둘레방향(周方向)으로 위치 규제되어, 돌출부(57)가, 안내체(62)의 둘레방향 대략 일정 위치에 위치한 채로, 안내체(62) 회전에 의해 안내홈(63) 내를 이동해 간다. 이에 의해, 커버체(50)는, 일정 자세로 이동된다.
차양(20)을 더 인출해 가면, 차양(20) 중 슬릿(4) 안에 위치하는 부분의 폭 치수는 서서히 커져 간다. 그리고 이 차양(20)을 피하는 형태로, 커버체(50)도 서서히 폐쇄위치측으로부터 개방위치측으로 이동해 간다. 즉, 차양(20)의 측단부(26)와 커버체(50)의 내측(권취샤프트(34)의 길이방향 중심측) 단부의 간격은 거의 일정한 채로, 차양(20)이 인출되면서 커버체(50)가 이동해 간다.
차양(20)이 윈도우(1)를 전체적으로 차폐하는 위치(인출상태)까지 인출되면, 차양(20)의 긴 변 단부(24)측 부분이 슬릿(4) 내에서 길이방향 전체적으로 위치하고, 커버체(50)는 개방위치에 위치한다. 즉, 슬릿(4)은, 전체적으로 개방된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차양(20)을 수납할 때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스테이(40)를 인출수납방향(P) 수납측으로 이동시키면, 차양(20)은, 권취장치(30)의 권취력에 의해 권취되어 수납되어 간다. 차양(20)의 권취에 따라 권취방향(R)으로 회전되는 권취샤프트(34)와 함께 권취샤프트측 기어(36)가 회전된다. 그리고 권취샤프트측 기어(36)의 회전에 따라, 중간기어(66)를 통해 연동기어(64)와 함께 안내체(62)가 그 축 둘레로 권취방향(R)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개방위치에 있던 커버체(50)는, 안내체(62)의 회전에 의해, 서서히 폐쇄위치측(권취샤프트(34)의 길이방향 내측)을 향해 이동되어 간다.
스테이(40)를 더 수납측으로 이동시켜 가면, 차양(20) 중, 슬릿(4)의 길이방향에서 슬릿(4) 내에 위치하는 부분의 치수는 서서히 작아져 간다. 그리고 커버체(50)도 서서히 개방위치측으로부터 폐쇄위치측으로 이동해 간다. 이때, 인출시와 마찬가지로, 차양(20)의 측단부(26)와 커버체(50)의 내측단부의 간격은 거의 일정한 채로, 차양(20)이 수납되면서 커버체(50)가 이동해 간다.
스테이(40)가 슬릿(4) 내에 배설되는(스테이(40)가 권취장치(30)의 일부에 고정되는) 위치까지 이동되면, 차양(20)은 수납상태가 되고, 커버체(50)는 폐쇄위치에 위치한다. 즉, 슬릿(4)은, 스테이(40)와 2개의 커버체(50)에 의해 전체적으로 막힌 상태로 되어 있다.
차양장치(10)는, 스테이(40)가 수동으로 조작되는 것이어도 좋지만, 여기서는, 구동기구부(90)에 의해 한 쌍의 아암(80)을 통해 스테이(40)를 이동시켜, 차양(20)을 자동으로 인출수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도 1, 도 2 참조).
한 쌍의 아암(80)은, 각각, 제1 부재(82)와 제2 부재(84)를 갖고 있다.
제1 부재(82)의 일단부와 제2 부재(84)의 타단부는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제2 연결부(C2)). 또한, 제1 부재(82)의 타단측 일부는 권취장치(30)의 베이스(32)의 단부측 부분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제1 연결부(C1)). 또한, 제2 부재(84)의 일단부는 스테이(40)의 단부부재(42)에 대해 상대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제3 연결부(C3)). 예를 들면, 각(各) 연결부(C1∼C3)로서는, 연결 대상끼리에 형성한 관통구멍부에 연결축부재를 삽입통과시킴으로써, 연결 대상을 연결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즉, 한 쌍의 아암(80)은, 제2 연결부(C2) 위치에서 절첩(折疊)(도 2 참조), 전개(展開)(도 1 참조)됨으로써 스테이(40)를 차양(20)의 인출수납방향(P)으로 이동 조작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1 부재(82)는, 아암(80)의 전개상태에서, 제1 연결부(C1)로부터 윈도우(1) 측변(側邊)을 향해 뻗는 프레임 지향부(extending-toward-frame part)(83a)와, 프레임 지향부(83a)의 일단부로부터 굴곡하는 형태로 윈도우(1) 측변을 따라 뻗는 프레임 추종부(extending-along-frame part)(83b)를 갖는 평판 봉 형상 부재이다. 또한, 제2 부재(84)는, 대략 직선 형상의 평판 봉 형상 부재이다.
즉, 제2 연결부(C2)가 권취장치(30)의 길이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 한 쌍의 아암(80)이 절첩되면, 스테이(40)는 윈도우(1)의 짧은 변측으로부터 긴 변측으로 이동되어 차양(20)이 수납 조작된다. 그리고 아암(80)이 완전히 절첩된 절첩상태로, 차양(20)이 수납상태로 된다.
또, 제2 연결부(C2)가 권취장치(30)의 길이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한 쌍의 아암(80)이 전개되면, 스테이(40)는 윈도우(1)의 긴 변측으로부터 짧은 변 측으로 이동되어 차양(20)이 인출 조작된다. 그리고 제1 부재(82)의 프레임 추종부(83b)와 제2 부재(84)가 직선 형상으로 된 아암(80)의 전개상태로, 차양(20)이 윈도우(1) 전체를 덮은 인출상태로 된다.
구동기구부(90)는, 아암(80)의 제1 부재(82)를 제1 연결부(C1) 둘레로 회전구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는, 구동기구부(90)는, 모터(92)와, 제1 부재(82)의 제1 연결부(C1)보다 타단측 부분에 연결된 소정의 링크(94)를 갖고 있다. 즉, 구동기구부(90)는, 모터(92)에 의해 소정의 링크(94)를 통해 한 쌍의 아암(80)의 각(各) 제1 부재(82)를 회전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아암(80)을 전개, 절첩 조작해서 스테이(40)를 차양(20)의 인출수납방향(P)으로 이동시켜, 차양(20)을 인출수납 조작할 수 있다.
이 구동기구부(90)는, 모터(92)의 구동을 조작 가능한 도시생략된 조작부를 설치하여, 해당 조작부의 조작에 의해 인출수납 구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물론, 차양장치(10)는, 상기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차양장치(10)는, 커버체가 랙 앤드 피니언 기구(rack and pinion mechanism)에 의해 이동되는 것이라도 좋다. 즉, 커버체에 이동방향을 따라 랙이 마련되고, 연동기구가, 랙에 맞물리는 피니언과, 권취샤프트의 축 둘레 회전력을 피니언의 축 둘레 회전력으로서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권취샤프트측 기어 및 중간기어(예를 들면 베벨기어 조합)를 갖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차양장치(10)는, 아암(80)의 제1 부재(82)가 프레임 지향부(83a)와 프레임 추종부(83b)를 갖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차양장치(110)와 같이, 아암(180)이, 대략 직선 형상의 제1 부재(182)와 제2 부재(184)가 연결된 구조로, 아암(180)의 전개상태에서, 제1 부재(182)와 제2 부재(184)가 전체적으로 대략 직선 형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 도 10, 도 11에 나타내는 구성의 차양장치(110)는, 아암(180) 구성 이외는, 상술한 차양장치(10)와 마찬가지 구성이다.
또한, 차양장치(10)는, 커버체를, 권취샤프트(34)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연동기구를 구비하는 것이어도 좋다. 즉, 슬릿(4)의 폭방향을 따른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한 안내체를 갖고, 전달수단을 통해, 권취샤프트(34)의 축 둘레 회전력을 안내체의 축 둘레 회전력으로서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전달수단은, 권취샤프트측 기어와, 안내체와 동축상에 상대회전 불능으로 연결된 연동기어와, 권취샤프트 기어와 연동기어에 맞물리는 베벨기어를 갖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이러한 권취샤프트(34)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커버체를 이동시키는 구성을 채용하는 경우, 차양(20)의 인출 개시로부터, 차양(20)의 측단부(26) 일부가 폐쇄위치에서의 커버체(50)의 내측단부에 접촉하기 전에, 커버체를 차양(20)의 경로 상으로부터 퇴피시키고, 퇴피시키고 나서 차양(20)이 완전히 인출될 때까지 그 퇴피위치에 유지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안내체로서는, 외주부에 둘레방향에 대해 경사지는 안내면을 갖는 퇴피안내부(退避案內部)와, 해당 경사부의 일단부에 연속하여 둘레방향을 따른 안내면을 갖는 유지안내부가 외주부에 형성된 원통 형상 혹은 원주 형상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즉, 커버체가 폐쇄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커버체의 돌출부가 퇴피안내부의 타단부에 위치하고, 차양(20)이 인출되어 권취샤프트(34)가 회전하기 시작하면 돌출부가 퇴피안내부로 안내되어 안내체의 축방향으로 퇴피이동하여, 차양(20)의 측단부(26)가 폐쇄위치에서의 커버체(50)의 내측단부에 접촉하기 전에 커버체가 차양(20)의 경로 상으로부터 퇴피한다. 그 후, 커버체의 돌출부가 유지안내부로 안내되어, 차양(20)의 인출 조작 중, 안내체의 축방향에서 대략 일정한 개방위치에 유지된다.
상기와 같이, 커버체를 권취샤프트(34)의 축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는 구성에 의하면, 권취장치(30)를 설치 스페이스의 폭방향 가득 설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차양장치(10)에 의하면, 슬릿(4) 중 차양(20)의 수납상태에서도 개방된 부분(스테이(40)에 의해 막을 수 없는 부분)을 커버체(50)에 의해 막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커버체(50)가 연동기구(60)에 의해 권취샤프트(34)의 회동에 연동하여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되어, 차양(20)의 수납상태에서 스테이(40)와 폐쇄위치로 이동된 커버체(50)에 의해 슬릿(4)을 막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차양(20)의 수납상태에서 슬릿(4)을 전체적으로 막을 수 있다. 또, 차양(20)의 인출상태에서는 커버체(50)가 개방위치로 이동하기 때문에, 커버체(50)의 차양(20)에 대한 간섭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동기구(60)에 의해, 권취샤프트(34)의 회동에 연동하여 커버체(50)를 동작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차양(20)의 인출수납 조작만으로 인해 용이하게 슬릿(4)의 개폐를 행할 수 있다.
또한, 커버체(50)를 권취장치(30)측에 마련하고 있기 때문에, 슬릿(4)을 전체적으로 막기 위한 구성을 스테이(40)에 마련하는 경우와 비교하여, 스테이(40) 자체의 중량을 가볍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한 쌍의 아암(80), 각 연결부(C1∼C3), 한 쌍의 아암(80)이 지지되는 권취장치(30)의 베이스(32) 등의 구성부재의 강도 향상을 위해 요구되는 부재 변경 등을 생략할 수 있다는 이점도 있다. 또한, 해당 변경에 따르는 비용도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40)의 중량이 작아짐으로써, 구동기구부(90)에 걸리는 부하도 경감할 수 있다.
또한, 스테이(40)의 구성을 간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차양(20)을 인출수납 조작할 때에, 걸림 등의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커버체(50)를 권취샤프트(34)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권취샤프트(34)의 축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에서 스페이스의 확보가 곤란한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커버체(50)가 차내측으로 돌출하도록 한 동작이 없기 때문에, 차양(20)의 인출시에, 커버체(50)가 윈도우(1)의 차내측으로 중첩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또한, 권취샤프트(34)의 축 둘레 회전력이 전달수단에 의해 전달되어 안내체(62)가 축 둘레로 회전되면, 안내체(62)의 안내홈(63) 내를 돌출부(57)가 이동하여 커버체(50)가 안내체(62)에 대해 축방향으로 상대이동된다. 이 때문에 차양(20)의 형상, 최대 인출량 등에 따라 안내홈(63)의 경로를 설정함으로써, 차양(20)의 인출수납 동작에 따르는 권취샤프트(34)의 회동에 연동하여, 커버체(50)에 대해 소망의 개폐 이동을 시킬 수 있다.
또, 권취샤프트(34)와 일체로 회전하는 권취샤프트측 기어(36)와 안내체(62)와 일체로 회전하는 연동기어(64)가, 중간기어(66)를 통해 회동되기 때문에, 커버체(50)의 이동량 등의 설계변경을 중간기어(66)의 변경에 의해 행할 수 있어, 설계 자유도가 높다는 이점도 있다.
또, 안내체가 스크류기어이기 때문에, 권취샤프트(34) 회전량에 대해, 커버체(50)를, 이동량을 일정하게 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차양(20)의 측단부(26)가 직선 형상인 경우에는, 커버체(50)와 차양(20)의 측단부(26)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한 채로 안정적으로 차양(20)의 인출수납 조작을 행할 수 있다.
또, 권취장치(30)에 커버체 안내부(39)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체(62)의 축방향(권취샤프트(34)의 축방향) 이동 이외의 커버체(50)의 이동, 자세 변경을 규제하여, 커버체(50)의 동작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스테이(40)에 보조커버부(48)가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스테이(40)와 커버체(50)에 의해, 더 확실히 슬릿(4) 전체를 막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차양장치(10)는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서 예시이며, 본 발명이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1 윈도우
3 윈도우 주변부재
4 슬릿
10 차양장치
20 차양
22 짧은 변 단부
24 긴 변 단부
30 권취장치
34 권취샤프트
36 권취샤프트측 기어
39 커버체 안내부
40 스테이
48 보조커버부
50 커버체
57 돌출부
60 연동기구
62 안내체
63 안내홈
64 연동기어
66 중간기어

Claims (7)

  1. 윈도우 주변부재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윈도우를 차폐 가능한 차양장치에 있어서,
    축 둘레로 회동(回動) 가능하게 지지된 권취샤프트를 갖는 권취장치와,
    대향(對向)하는 짧은 변 단부와 긴 변 단부를 갖고, 상기 긴 변 단부가 상기 권취샤프트에 장착되어, 상기 권취장치에 대해 상기 슬릿을 통하여 인출수납 가능한 차양과,
    상기 차양의 상기 짧은 변 단부에 장착된 스테이와,
    상기 슬릿을 부분적으로 막는 폐쇄위치와, 상기 슬릿을 개방하는 개방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커버체와,
    상기 권취샤프트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커버체를 상기 개방위치와 상기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차양의 수납상태에서, 상기 스테이와 상기 커버체에 의해 상기 슬릿을 막도록 상기 커버체를 상기 폐쇄위치로 이동시키는 연동기구(連動機構),
    를 구비하는 차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상기 커버체를, 상기 권취샤프트의 축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차양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기구는,
    안내홈(案內凹部)이 형성되며, 축 둘레로 회전 가능한 안내체와,
    상기 권취샤프트의 회전력을 상기 안내체의 축 둘레 회전력으로서 전달하는 전달수단,
    을 갖고,
    상기 커버체는, 상기 안내체의 상기 안내홈 내에 배설(配設) 가능한 돌출부(凸部)를 갖고,
    상기 안내홈은, 상기 커버체의 상기 돌출부가 내측으로 배설된 상태에서, 상기 안내체의 회전에 의해 상기 돌출부를 상기 안내체의 축방향으로 안내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차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달수단은,
    상기 권취샤프트에 대해 동축(同軸)상에 상대회전(相對回轉) 불능으로 연결된 권취샤프트측 기어와,
    상기 권취샤프트측 기어에 맞물려 회전 가능한 중간기어와,
    상기 안내체에 대해 동축상에 상대회전 불능으로 연결되며, 상기 중간기어에 맞물려 회전 가능한 연동기어,
    를 갖고 있는 차양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체는, 스크류기어인 차양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권취장치는, 상기 커버체를, 상기 권취샤프트의 축방향으로 안내하는 커버체 안내부를 갖고 있는 차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는, 상기 차양의 수납상태에서 상기 커버체에 대해 상기 차양의 인출수납방향에서 벗어난 위치에서, 길이방향 측방으로 뻗어나오는(延出) 보조커버부를 갖고 있는, 차양장치.
KR1020127024865A 2010-06-09 2011-05-19 차양장치 KR2013008120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132106 2010-06-09
JP2010132106A JP5600484B2 (ja) 2010-06-09 2010-06-09 シェード装置
PCT/JP2011/061528 WO2011155301A1 (ja) 2010-06-09 2011-05-19 シェード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1203A true KR20130081203A (ko) 2013-07-16

Family

ID=45097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24865A KR20130081203A (ko) 2010-06-09 2011-05-19 차양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30008619A1 (ko)
EP (1) EP2581244A1 (ko)
JP (1) JP5600484B2 (ko)
KR (1) KR20130081203A (ko)
CN (1) CN102917897A (ko)
WO (1) WO20111553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46934B2 (ja) 2010-09-24 2014-12-24 芦森工業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JP5758782B2 (ja) * 2011-11-24 2015-08-05 芦森工業株式会社 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WO2014006980A1 (ja) * 2012-07-06 2014-01-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ドア
TWM478627U (zh) * 2013-12-25 2014-05-21 Macauto Ind Co Ltd 汽車捲簾裝置
US9874078B2 (en) 2015-01-16 2018-01-23 Baker Hughes, A Ge Company, Llc Boltless electrical connector for submersible well pump
JP6543561B2 (ja) * 2015-11-27 2019-07-10 トヨタ紡織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DE102016203382B4 (de) * 2016-03-02 2017-11-23 Bos Gmbh & Co. Kg Beschatt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innenraum
CN108363457B (zh) * 2018-02-24 2021-02-23 东营市亚通石化有限公司 一种新型Pad遮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612165A1 (de) * 1986-04-11 1987-10-22 Baumeister & Ostler Fuehrungsloses fensterrollo,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US5468040A (en) * 1994-02-01 1995-11-21 Peng Hsieh; Shih-Fang Power-operated automobile sunshade
JP3414864B2 (ja) * 1994-10-26 2003-06-09 三菱電機株式会社 幕状体巻取り装置
US5638884A (en) * 1995-09-05 1997-06-17 Lin; King-Long Electrical sunshade assembly for shielding a window of an automobile
US5896910A (en) * 1996-04-30 1999-04-27 Pi-Hsiu Wang Automobile rear windshield sunshade device
US5653278A (en) * 1996-06-03 1997-08-05 Cheng; Po-Wen Automobile front and rear windshield sunshade device
US5752560A (en) * 1997-03-21 1998-05-19 Cherng; Bing Jye Electric sunshield for automobiles
DE10014760B4 (de) * 2000-03-24 2004-02-12 Bos Gmbh & Co. Kg Heckscheibenrollo mit gefederten Rollen
US6216762B1 (en) * 2000-06-05 2001-04-17 Paul Lin Sun-shade device
DE10041708A1 (de) * 2000-08-25 2002-03-14 Bos Gmbh Heckfensterrollo mit Bowdenzug
DE10055949C2 (de) * 2000-11-10 2003-09-18 Bos Gmbh Fensterrollo oder Trenngitter mit zwei Winkelgetrieben
DE10057764B4 (de) * 2000-11-22 2005-06-09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mit variabler Abschattungswirkung
DE10062690A1 (de) * 2000-12-16 2002-07-04 Bos Gmbh Fensterrollo mit vereinfachter Montage
DE10228028B3 (de) * 2002-06-24 2004-02-19 Bos Gmbh & Co. Kg Heckscheibenrollo mit Hubkassette
DE10248591B4 (de) * 2002-10-17 2006-04-20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mit Deckel auf dem Auszugschlitz
US7314079B2 (en) * 2003-09-09 2008-01-01 Asmo Co., Ltd. Sunshade system having blind sheet
US7228884B2 (en) * 2004-09-28 2007-06-12 Ing-Wen Chen Rear window car curtain
DE102005029559B4 (de) * 2005-06-23 2007-05-03 Bos Gmbh & Co. Kg Heckfensterrollo mit vollständiger Schlitzabdeckung durch das Auszugsprofil
DE102005030707A1 (de) * 2005-06-29 2007-01-04 Bos Gmbh & Co. Kg Fensterrollo für Kraftfahrzeuge mit formschlüssigem Anschlag auf dem Betätigungsglied
EP1739275A2 (de) * 2005-06-30 2007-01-03 BOS GmbH & Co. KG Rollo mit elektrischem Einklemmschutz
KR20090060963A (ko) * 2006-09-29 2009-06-15 브로제 파르쪼이크타일레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코부르크 차량용 블라인드
DE102006054881A1 (de) * 2006-11-20 2008-05-21 Bos Gmbh & Co. Kg Dachfensterrollo
DE202007015541U1 (de) * 2007-03-14 2008-02-07 Bos Gmbh & Co. Kg Seitenfensterrollo mit Seilantrieb
DE202007007924U1 (de) * 2007-05-21 2007-09-06 Bos Gmbh & Co. Kg Heckfensterrollo mit Hutablage als Trägerelement
DE102008006157A1 (de) * 2008-01-26 2008-10-23 Daimler Ag Windschottanordnung
US7984746B2 (en) * 2008-05-06 2011-07-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ver deploying system utilizing active material actuation
US7673925B2 (en) * 2008-07-11 2010-03-09 Macauto Industrial Co., Ltd. Drive motor assembly for a vehicle sunshade assembly
JP5125838B2 (ja) * 2008-07-15 2013-01-23 トヨタ紡織株式会社 自動車用サンシェード装置
JP5247536B2 (ja) * 2009-02-27 2013-07-24 アスモ株式会社 遮光装置
DE102009037824A1 (de) * 2009-08-10 2011-02-17 Bos Gmbh & Co. Kg Rollosystem für ein Kraftfahrzeug
JP5431838B2 (ja) * 2009-08-28 2014-03-05 芦森工業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JP5410266B2 (ja) * 2009-12-24 2014-02-05 芦森工業株式会社 サンシェード装置
US20120048488A1 (en) * 2010-08-26 2012-03-01 Korea Fuel-Tech Corporation Window blind assembly for vehicle
US8061757B1 (en) * 2010-09-01 2011-11-22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Force assist for sunshade closing slide mechanism
US8215697B1 (en) * 2011-01-28 2012-07-10 Macauto Industrial Co., Ltd. Sunshading apparatus mountable on a rear window of a vehicle
US20130020040A1 (en) * 2011-07-20 2013-01-24 Paul Lin Sunshade Assembly Having a Lock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255789A (ja) 2011-12-22
WO2011155301A1 (ja) 2011-12-15
EP2581244A1 (en) 2013-04-17
CN102917897A (zh) 2013-02-06
US20130008619A1 (en) 2013-01-10
JP5600484B2 (ja) 2014-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81203A (ko) 차양장치
KR101776980B1 (ko)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US9303452B2 (en) Arrangement for a roller blind
WO2012039314A1 (ja) サンシェード装置
KR101712232B1 (ko) 차양장치
JP5719585B2 (ja) シェード装置
KR101757012B1 (ko) 차량용 윈도우 차양장치
KR101690823B1 (ko) 차양장치
JP5431838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6063682B2 (ja) 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JP5662091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JP2014065351A (ja) 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JP5407339B2 (ja) サンシェード装置
WO2013161628A1 (ja) シェード装置
JP4876961B2 (ja) サンバイザ
JP5758782B2 (ja) 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WO2013077373A1 (ja) ウインドウシェード装置
JP2014074270A (ja) ワイヤー巻取装置
JP2014074271A (ja) シート引出収納装置
WO2013133065A1 (ja) シェー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